KR20200125132A - 목도리용 결속구 - Google Patents

목도리용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132A
KR20200125132A KR1020190048951A KR20190048951A KR20200125132A KR 20200125132 A KR20200125132 A KR 20200125132A KR 1020190048951 A KR1020190048951 A KR 1020190048951A KR 20190048951 A KR20190048951 A KR 20190048951A KR 20200125132 A KR20200125132 A KR 20200125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wl
muffler
members
binding tool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490B1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이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102019004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움직임이 심한 등산, 조깅, 조기축구, 테니스, 각종 스포츠 등 야외활동시 목에 착용하여 필요시 언제든 편리하게 땀을 닦기 위해 필수품으로 휴대하는 수건 또는 동절기 보온을 위해 사용하는 목도리 등(이하 목도리라 한다.)을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는 목도리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목도리의 양단을 말아서 끼우는 수고로움으로 목도리를 목에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 기능,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인식수단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목도리용 결속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8자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부재와;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부재와;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각각 고정한 똑딱단추의 암단추(SOCKET) 및 숫단추(STUD)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목도리용 결속구{a bind together for muffler}
본 발명은 신체 움직임이 심한 등산, 조깅, 조기축구, 테니스, 각종 스포츠 등 야외활동시 목에 착용하여 필요시 언제든 편리하게 땀을 닦기 위해 필수품으로 휴대하는 수건 또는 동절기 보온을 위해 사용하는 목도리 등(이하 목도리라 한다.)을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는 목도리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목도리의 양단을 말아서 끼우는 수고로움으로 목도리를 목에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 기능,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인식수단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목도리용 결속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이나 육체노동을 할 경우 인체에 분비되는 다량의 땀의 제거를 위해 타월을 사용하게 되며, 이때 타월은 일측과 타측을 묶어 목둘레에 결합시키거나, 바지의 뒷주머니에 꽂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신체 움직임이 심한 운동이나 육체노동을 하다보면 종종 타월이 이탈하여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보니 타월의 관리에 신경 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의 선행기술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291923호(2002.10.11.)의 결합구를 갖는 타월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일측 영역에 결합구가 관통 형성되어 오므려진 타 영역이 상기 결합구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30079호(2006.11.03.)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타월로, 그 구성은 물 또는 인체로부터 분비되는 땀을 닦기 위해 사용되는 수건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고, 좌우로 길이를 갖는 타월과; 상기 타월의 좌우 일측 중심에 형성되며 일정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구를 통해 상기 타월의 타측 단을 관통 삽입하고, 상기 이탈방지구의 형상으로 인해 관통된 타월의 타측 단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타월의 좌우 일 측에 서로 평행한 절취부가 2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타월의 길이방향 일측 한쪽에 일자형 구멍을 내어 그 구멍으로 타월을 집어넣어 빼내고 다시 잡아 당겨 조여지도록 사용하는데 빼낸 쪽이 길이가 길어 활동이 불편하고 디자인성도 저하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코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967325호(2019.04.11.)의 목도리용 수건을 개발한 바 있다.
상기한 목도리용 수건은 펼친 상태에서 세로변(폭)이 좁고 가로변(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타월타입 면제품(綿製品)으로 구성된 수건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건의 네 귀퉁이에 상부로 결합부분이 노출되도록 말이용 결합고정 똑딱단추의 숫단추를 고정하고, 숫단추가 있는 수건의 가로방향 하측에서부터 세로방향으로 말아 돌릴 때 외부로 암단추가 노출되도록 하여 말이용 결합고정 똑딱단추의 숫단추과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목에 착용 시 이탈방지와 더불어 이물감이 없으며, 목도리용으로 사용시 보온력이 우수하고, 땀 흡수력이 우수하며, 저렴한 가격대에 생산 보급이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목도리용 수건의 경우 수건의 정해진 위치에 타월의 똑딱단추들을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일반 수건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비특허문헌으로 인터넷 에 의하면 링 형상으로 밴드를 제공하고 있는 제품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목도리(수건)의 양단을 하나의 구멍에 결합해야 하므로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땀을 닦는 등의 이류로 수건을 사용코자 할 시에 반드시 밴드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291923 Y1 2002.10.11. KR 200430079 Y1 2006.11.03. KR 101967325 B1 2019.04.11.
https://global.rakuten.com/ko/store/livingut/item/4936516037772/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목도리에 적용되는 다양한 선행기술들에서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목도리와 별도로 제공하며, 목도리의 양 끝을 말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목도리의 양단을 말아서 끼우는 수고로움으로 목도리를 목에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기존 사용하는 다양한 목도리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액세서리 기능은 물론이고,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인식수단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목도리용 결속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8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부재와;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부재와;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각각 고정한 똑딱단추의 암단추(SOCKET) 및 숫단추(STU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부재와;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부재와;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각각 고정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단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돌기에 결합하는 걸림구멍들을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형성하되;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의 제1,2부재의 양단에는 부재형성용 똑딱단추의 부재형성용 암단부와 부재형성용 숫단추를 결합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제1부재와;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부재와;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에는 고정구멍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제2부재에는 고정구멍과 직각으로 일측이 개구된 고정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체인의 양 끝에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체인의 중간부분에 양쪽 고정부재를 걸어 목도리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2결합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째 상기 목도리용 결합구에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째 상기 목도리용 결합구에는 목도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목도리와 별도로 제공되므로 기존 사용하는 목도리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목에 목도리를 착용한 상태에서 결합구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수고로움으로 목에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착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시 목도리를 고정하는 기능성과 함께 액세서리 기능으로 장식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2부재 또는 체인에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경우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인식수단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건 또는 목도리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를 섬유로 구성한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례에서 제1,2부재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례에서 제1,2부재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한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14은 도 13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인식수단을 적용한 상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고정수단을 적용한 상태 사시도
도 17,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서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를 섬유로 구성한 상태일 때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1)는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2)과 제2결합공(3)이 8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도리용 결속구(1)는 고무, 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하며, 천으로 제작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제1결합공(2)과 제2결합공(3) 사이에 경계인 재봉부(4)를 두어서 구획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1)의 제2실시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똑딱단추(5)를 적용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제2실시례는 목도리용 결속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결합공(2)이 형성되는 제1부재(1a)와, 제2결합공(3)이 형성되는 제2부재(1b)를 고무, 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하고, 이들 제1부재(1a)와 제2부재(1b)에 상호 대응하도록 똑딱단추(5)의 암단추(5a)(SOCKET)와 숫단추(5b)(STUD)를 각각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1,2부재(1a)(1b)에 똑딱단추(5)를 적용하는 경우 목도리(100)를 말은 상태에서 양단부를 제1,2부재(1a)(1b)에 끼워 고정한 후 목도리(100)를 목에 두르고, 제1,2부재(1a)(1b)에 부가되어 있는 똑딱단추(5)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면 되므로 사용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제2실시례와 같이 제1결합공(2)이 형성되는 제1부재(1a)와, 제2결합공(3)이 형성되는 제2부재(1b)를 고무, 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하고, 이들 제1부재(1a)와 제2부재(1b)에 상호 대응하도록 마그네트(15)를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15)를 적용하는 경우 제1부재(1a)와 제2부재(1b)의 분리 결합이 서로 자력에 의해 달라붙게 되는바, 사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례에서 제1,2부재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제 2실시례와 같이 제1,2부재(1a)(1b)에 똑딱단추(5)를 부가하거나 제3실시례와 같이 마그네트(15)를 부가함에 있어서, 고무 또는 천으로 제1,2부재(1a)(1b)를 구성할 때, 제1,2부재(1a)(1b)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목도리(100)를 말았을 때 굵기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제1,2부재(1a)(1b)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하되, 띠의 일단에는 걸림돌기(6)를 형성하고, 걸림돌기(6)가 있는 반대쪽으로는 복수의 걸림구멍(7)을 형성하여 걸림돌기(6)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부재(1a)(1b)에서 제공하는 제1,2결합공(2)(3)의 직경을, 걸림돌기(6)에 결합되는 걸림구멍(7)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목도리(100)를 말았을 때의 다양한 직경에 부합하는 제1,2결합공(2)(3)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례에서 제1,2부재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한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제 2실시례와 같이 제1,2부재(1a)(1b)에 똑딱단추(5)를 부가하거나 제3실시례와 같이 마그네트(15)를 부가함에 있어서, 고무 또는 천으로 제1,2부재(1a)(1b)를 구성할 때, 제1,2부재(1a)(1b)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목도리(100)를 말았을 때 굵기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제1,2부재(1a)(1b)를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구성하고 부재형성용 똑딱단추(16)에 의해 제1,2부재(1a)(1b)가 말려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 띠의 일단에는 부재형성용 암단부(16a)를 결합하고, 이와 반대쪽에는 부재형성용 숫단추(16b)를 결합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1)의 제3실시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제1결합공(2)이 형성된 제1부재(1a)와, 제2결합공(3)이 형성된 제2부재(1b)의 바깥쪽에 각각 고정구멍(8)과 고정고리(9)를 돌출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멍(8)은 제1부재(1a)의 바깥쪽에 돌출된 구성으로 제공되며, 제1부재(1a)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고리(9)는 제2부재(1b)의 바깥쪽에 돌출되며 고정구멍(8)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이 트여 있으며, 제2부재(1b)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호 조립상태에서 제1,2부재(1a)(1b)에 형성되어 있는 제1,2결합공(2)(3)이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1)의 제5실시례는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례와는 달리 체인(10)의 양단에 고정부재(11)을 구비하고, 이들 고정부재(11)을 체인(10)의 중간 부분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목도리(100)를 말아 형성한 단부가 결합되는 제1,2결합공(2)(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체인(10)의 중간에 연결부재(12)가 구비되며, 이 연결부재(12)에 고정부재(11)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인식수단을 적용한 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도리용 결속구(1)에 인식수단(13)을 부가한 구성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2실시례로 구성된 목도리용 결속구(1)의 제1부재(1a) 또는 제2부재(1b)에 인식수단(13)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식수단(13)는 제1,2부재(1a)(1b)에 인쇄형식으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구성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인식수단(13)에는 이름 전화번호 등을 수록하여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길을 잃는 경우 인식수단(13)을 이용하여 보호자 등과 연락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고정수단을 적용한 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제1,2부재(1a)(1b)를 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공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즉, 제1,2부재(1a)(1b)를 고무로 구성하는 경우 목도리(100)를 말아 끼울 때 신축성이 의해 목도리(100)에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활동하는 과정에서 분실할 염려를 줄일 수 있으나, 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 직경이 작으면 목도리(100)를 말아 끼우기가 어렵고, 직경이 크면 목도리(100)를 말아 끼우기는 쉬우나 결합된 상태에서 활동시 쉽게 흘러 내려 분실할 염려가 있다.
도 16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제1부재(1a) 또는 제2부재(1b)에 고정수단(14)을 구비하면 목도리용 결속구(1)에 목도리(100)를 말아 끼운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는 고정수단(14)을 목도리(100)에 고정해 두어 활동 중 결합구가 목도리(100)에서 분리되어 분실하는 등의 염려를 일소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14)의 경우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집게를 구비하여 목도리(100)에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실시례들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목도리용 결속구(1)는 도 17, 도 18과 같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목도리(100)를 펼친 상태에서 폭이 좁은 종방향으로 말아 양 단부를 정렬한 상태에서 말린 양 단부를 결합구의 제1,2부재(1a)(1b)에 형성되어 있는 제1,2결합공(2)(3)에 끼워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제1,2부재(1a)(1b)가 도 6, 7과 같이 구성된 경우 제1,2부재(1a)(1b)를 펼친 상태로 두고, 목도리(100)를 말은 상태에서 양측 단부를 각각 제1,2부재(1a)(1b)에 올려 감싸지도록 한 상태에서 걸림돌기(6)에 걸림구멍(7)을 결합하여 고정토록 하며, 도 13, 14과 같이 체인(10)으로 구성하는 경우 체인(10)을 펼친 상태로 두고, 목도리(100)를 말은 상태에서 양측 단부를 각각 체인(10) 위에 올려 체인(10) 양단을 회동시켜 감싸지도록 한 상태에서 체인(10) 양단에 구비된 고정부재(11)을 체인(10)의 중간 부분에 걸어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제2실시례에서와 같이 제1,2부재(1a)(1b)에 똑딱단추(5)를 적용하여 분리/결합되도록 하거나, 제3실시례와 같이 제1,2부재(1a)(1b)에 고정구멍(8)과 고정고리(9)를 바깥쪽에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적용하여 분리/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사용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목도리(100)의 양단에 각각 제1,2부재(1a)(1b)를 결합한 상태에서 목에 목도리(100)를 두른 후 이들 똑딱단추(5) 또는 고정구멍(8)과 고정고리(9)를 결합하며 되므로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 중 목도리(100)로 땀을 닦고자 할 때 제1,2부재(1a)(1b)를 분리한 후 땀을 닦고 상기에서와 같이 재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목도리(100)를 목에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착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즉,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목도리(100)를 목에 느슨하게 할 경우는 제1,2부재(1a)(1b)를 목도리(100) 단부 쪽으로 내리면 되며, 목도리(100)를 팽팽하게 착용코자 할 경우는 제1,2부재(1a)(1b)를 목 쪽으로 상향 이동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목도리용 결속구 1a:제1부재
1b:제2부재 2:제1결합공
3:제2결합공 4:재봉부
5:똑딱단추 5a:암단추
5b:숫단추 6:걸림돌기
7:걸림구멍 8:고정구멍
9:고정고리 10:체인
11:고정부재 12:연결부재
13:인식수단 14:고정수단
15:마그네트 16:부재형성용 똑딱단추
16a:부재형성용 암단부 16b:부재형성용 숫단추
100:목도리

Claims (9)

  1.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2)과 제2결합공(3)을 8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2.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2)이 형성된 제1부재(1a)와;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3)이 형성된 제2부재(1b)와;
    제1부재(1a) 및 제2부재(1b)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1a) 및 제2부재(1b)에 각각 고정한 똑딱단추(5)의 암단추(5a)(SOCKET) 및 숫단추(5b)(STU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3.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2)이 형성된 제1부재(1a)와;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3)이 형성된 제2부재(1b)와;
    제1부재(1a) 및 제2부재(1b)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1a) 및 제2부재(1b)에 각각 고정한 마그네트(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a)와 제2부재(1b)는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형성하되;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의 제1,2부재(1a)(1b)의 일단에는 걸림돌기(6)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돌기(6)에 결합하는 걸림구멍(7)들을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a)와 제2부재(1b)는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으로 형성하되;
    좁고 길게 만든 띠 형상의 제1,2부재(1a)(1b)의 양단에는 부재형성용 똑딱단추(16)의 부재형성용 암단부(16a)와 부재형성용 숫단추(16b)를 결합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6.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결합공(2)이 형성된 제1부재(1a)와;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2결합공(3)이 형성된 제2부재(1b)와;
    제1부재(1a) 및 제2부재(1b)를 상호 분리 결합하도록 제1부재(1a)에는 고정구멍(8)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제2부재(1b)에는 고정구멍(8)과 직각으로 일측이 개구된 고정고리(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7. 체인(10)의 양 끝에 고정부재(11)을 결합하여 체인(10)의 중간부분에 양쪽 고정부재(11)을 걸어 목도리(100)의 끝을 말아서 끼우는 제1,2결합공(2)(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용 결합구(1)에는 인식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용 결합구(1)에는 목도리(1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용 결속구.
KR1020190048951A 2019-04-26 2019-04-26 목도리용 결속구 KR10225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51A KR102254490B1 (ko) 2019-04-26 2019-04-26 목도리용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51A KR102254490B1 (ko) 2019-04-26 2019-04-26 목도리용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132A true KR20200125132A (ko) 2020-11-04
KR102254490B1 KR102254490B1 (ko) 2021-05-21

Family

ID=7357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951A KR102254490B1 (ko) 2019-04-26 2019-04-26 목도리용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793A (ko) 2020-11-16 2022-05-24 오재우 고리가 결합된 목도리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190U (ja) * 1998-10-01 1999-06-08 弘子 政井 伸縮たすき
KR200291923Y1 (ko) 2002-07-13 2002-10-11 김동천 결합구를 갖는 타월
KR200430079Y1 (ko) 2006-08-23 2006-11-03 김동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타월
JP3188925U (ja) * 2013-12-03 2014-02-13 孝嘉 松井 発熱部が装着可能なネックウォーマー
KR101967325B1 (ko) 2018-12-28 2019-04-11 이진국 목도리용 수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190B2 (ja) * 1991-01-17 2000-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188925B2 (ja) * 1993-03-24 2001-07-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レーザイオン化中性粒子質量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190U (ja) * 1998-10-01 1999-06-08 弘子 政井 伸縮たすき
KR200291923Y1 (ko) 2002-07-13 2002-10-11 김동천 결합구를 갖는 타월
KR200430079Y1 (ko) 2006-08-23 2006-11-03 김동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타월
JP3188925U (ja) * 2013-12-03 2014-02-13 孝嘉 松井 発熱部が装着可能なネックウォーマー
KR101967325B1 (ko) 2018-12-28 2019-04-11 이진국 목도리용 수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global.rakuten.com/ko/store/livingut/item/493651603777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793A (ko) 2020-11-16 2022-05-24 오재우 고리가 결합된 목도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490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8554B1 (en) Hands free towel carrying system
CN102387726A (zh) 装饰品
KR200438005Y1 (ko) 마스크
KR101967325B1 (ko) 목도리용 수건
JP2016195676A (ja) 装飾体
US20090255295A1 (en) Double helix band with attachable ornamental elements
KR102254490B1 (ko) 목도리용 결속구
US5535448A (en) Leg ornamentation device
KR200450430Y1 (ko) 체결이 간편한 끈을 구비한 앞치마
AU682441B2 (en) Combination eyeglasses and interchangeable fashion accessory
US20160235259A1 (en) Sports towel
KR200490427Y1 (ko) 팔찌 착용용 밴드
KR101739521B1 (ko) 스마트 넥타이
KR101847558B1 (ko) 다용도 의류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CN213096646U (zh) 玉质连接装置及带有该连接装置的手饰、包袋
JP2006214025A (ja) 多用途アフガン
JP5883973B1 (ja) 布体留め具
KR200415741Y1 (ko) 넥타이 착용기용 슬라이드 파스너
JP3159274U (ja) ネクタイ
CN213756942U (zh) 表带及穿戴设备
JP3102379U (ja) ストール
JP3197879U (ja) 簡易ネクタイ
KR200424223Y1 (ko)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