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558B1 - 다용도 의류 - Google Patents

다용도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558B1
KR101847558B1 KR1020160130744A KR20160130744A KR101847558B1 KR 101847558 B1 KR101847558 B1 KR 101847558B1 KR 1020160130744 A KR1020160130744 A KR 1020160130744A KR 20160130744 A KR20160130744 A KR 20160130744A KR 101847558 B1 KR101847558 B1 KR 10184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hook
dense
hook member
coa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엔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엔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엔블루
Priority to KR102016013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005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made from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31/0066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5/00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41D5/003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5/00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41D5/006Accessories for fur garments, e.g. fur fasteners, artificial animal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의류를 제공한다.
상기 다용도 의류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편직된 직물을 포함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모피원단을 포함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파트의 상기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1 착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의류{MULTI-USAGE WEAR}
본 발명은 다용도 의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한 다용도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피는, 보온성이 좋고 외관이 미려하여, 고급의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모피의류 제작에 이용되는 모피원단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여 소량 생산되는 것으로서, 모피의류를 제조할 때 모피의 소요량이 많고 생산 효율이 낮아 제조단가가 높아지고 중량이 크다. 이러한 모피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모피의류는 다양한 종류와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모피의류는, 제작 시에 어느 하나의 용도 즉, 조끼, 워머, 목도리, 치마 등 어느 하나의 용도로 이용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고가의 비용을 들여 모피의류를 구매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느 하나의 용도로만 모피의류를 사용해야 하므로, 활용도가 적거나 쉽게 지겨워질 수 있으므로, 고가의 비용을 들여 구매한 모피의류가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621호 (2011.10.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모피의류를 다양한 용도로 지속적으로 이용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다용도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마나 망토로의 용도 변환 시에,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시켜주고, 사용자에게 안정적이 착용감을 제공하는 다용도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편직된 직물을 포함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모피원단을 포함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파트의 상기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1 착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조밀한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상기 조밀한 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조밀한 부분보다 성기게 짜여진 성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밀한 부분은,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성긴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긴 부분은,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조밀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성긴 부분보다 조밀하게 편직되며, 상기 성긴 부분 및 상기 조밀한 부분과 상이한 방향으로 편직되는 말단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일면에 포함되고, 정전기가 방지되며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착탈수단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단추부재, 똑딱이 단추, 지퍼부재 및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착탈수단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의 일면에 구비된 돌부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의 타면에 구비된 요부를 포함하는 똑딱이 단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파트의 상기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2 착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착탈수단은 갈고리단추로 제공되며, 상기 갈고리단추는,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탄성 변형되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의 타면에 부착되고,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재가 끼워지게 구비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스토퍼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링부재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착탈수단은, 상기 제2 파트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제1 절개부와, 상기 제1 절개부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파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릎담요, 치마, 망토, 조끼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모피의류를 다양한 용도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여 구매를 촉진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피원단 부분과 함께 니트 형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착탈이 용이한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치마나 망토로의 용도 변환 시에,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시켜주고, 사용자에게 안정적이 착용감을 제공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를 펼친 상태의 타면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를 펼친 상태의 일면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가 치마로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가 망토로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가 치마로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파트의 양측 단부의 결합 방식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착탈수단의 일 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2 착탈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제2 착탈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가 망토로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의류가 조끼로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다용도 의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는, 제1 파트(200)와, 제2 파트(300)와, 제1 착탈수단(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편직된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트(200)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방향인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의 길이는 사용자의 허리의 둘레 또는 어깨둘레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300)는, 제1 파트의 폭 방향(도 1 및 도 2의 B 방향 참조)으로 배치되고, 제1 파트(2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모피원단(3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파트(300)의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 길이는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 길이와 일치할 수 있고, 제2 파트(300)의 폭 방향(도 1 및 도 2의 B 방향 참조)의 길이는 제1 파트(200)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파트(300)의 길이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의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펼쳤을 때,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파트(200)와 제2 파트(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의 타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다용도 의류(100)의 일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제1 착탈수단(410)은,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제1 파트(200)의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탈수단(410)은 제1 파트(200)의 양측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수단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는, 제1 파트(200)의 양측 연결되지 않은 상태(펼친 상태)에서는 무릎 담요(Rug)로 이용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제1 착탈수단(410)에 의해 제1 파트(200)의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치마(Skirt)(도 3, 도 5 및 도 6 참조)나, 망토(Cape)(도 4 및 도 8 참조)나, 조끼(Vest)(도 9 참조)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용도 의류(100)를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용도의 의류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는, 제2 파트(300)가 모피원단(310)으로 되어 있으므로, 보온성이 좋고 외관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는, 무릎담요, 치마, 망토, 조끼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모피의류를 다양한 용도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이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파트(200)는,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으로 길게 형성된 조밀한 부분(210)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조밀한 부분(210)에서 연장되며, 조밀한 부분(210)보다 성기게 짜여진 성긴 부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트(200)는 편직된 직물을 포함하는 니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밀한 부분(210)은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으로 조밀하게 편직되고, 성긴 부분(230)은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으로 성기게 편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밀한 부분(210)은 제1 파트(200)에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제1 파트(2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5 내지 도 9에는 제1 파트(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성긴 부분(230)과 조밀한 부분(210)의 배치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조밀한 부분(210)은, 제2 파트(300)와 성긴 부분(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를 치마나 망토로 사용할 때, 제1 파트(200)는 제2 파트(30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고, 조밀한 부분(210)은 제2 파트(300)의 상단에 연장되고, 성긴 부분(230)은 조밀한 부분(210)의 상단에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치마로 사용하는 경우에, 조밀한 부분(210)이 허리를 조여주는 신축성을 제공하여 몸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성긴 부분(230)은 조밀한 부분(210)의 상측에 유연하게 접거나 펼쳐져서 디자인적인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망토로 사용하는 경우에, 조밀한 부분(210)은 사용자의 목과 어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신축성을 제공하여, 다용도 의류(100)가 어깨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성긴 부분(230)은 자연스럽게 칼라(collar)를 형성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조밀한 부분(210)은, 제2 파트(300)와 성긴 부분(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도 6,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를 치마나 망토로 사용할 때, 제1 파트(200)는 제2 파트(30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고, 조밀한 부분(210)은 최상단에 배치되며, 성긴 부분(230)은 조밀한 부분(210)의 하단으로 연장되고, 제2 파트(300)는 성긴 부분(230)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치마로 사용하는 경우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밀한 부분(210)에 의해 다용도 의류(100)가 허리에 밀착되어 몸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성긴 부분(230)은 조밀한 부분(210)의 하측에서 디자인적인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망토나 조끼로 사용하는 경우에, 조밀한 부분(210)은 사용자의 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신축성에 의해 목을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보온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다용도 의류(100)가 어깨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성긴 부분(230)은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파트(200)는 말단 부분(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단 부분(250)은,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 양측 끝단에 구비되고, 성긴 부분(230)보다 조밀하게 편직되며, 상기 성긴 부분(230) 및 상기 조밀한 부분(210)과 상이한 방향으로 편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단 부분(250)은,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의 양측 끝단 즉, 제2 파트(300)가 연장되지 않은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말단 부분(250)은 조밀한 부분(210)과 동일하거나 더 조밀하게 편직되어, 양단부에서 제1 파트(200)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파트(300)는, 제2 파트(300)의 일면에 포함되고, 정전기가 방지되며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안감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감부재(330)는, 제1 파트(200)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치마나 망토 등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제2 파트(300)의 일면 즉,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는 내측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가 방지되며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제2 파트(300)의 모피원단(310)의 털이 사용자의 몸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착탈수단(4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파트(200)의 양측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수단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 례로, 단추부재, 똑딱이 단추, 지퍼부재 및 벨크로 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착탈수단(410)이 똑딱이 단추인 것을 일 례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착탈수단(410)은 똑딱이 단추로 제공될 수 있고, 똑딱이 단추는,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의 일측 단부의 일면에 구비된 돌부(411)와, 상기 제1 파트(200)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의 타면에 구비된 요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돌부(411)는, 제1 파트(200)의 일측 단부의 일면 즉,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요부(413)는 제1 파트(200)의 타측 단부의 타면 즉,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똑딱이 단추는, 돌부(411)를 요부(413)에 위치시키고 누르면 똑딱하고 닫혀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돌부(411)와 요부(413)의 위치는 상기한 바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돌부(411)와 요부(413)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이러한 똑딱이 단추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를 치마나 망토로 이용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 또는 탈의할 수 있고, 다른 용도로의 전환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파트(300)의 길이방향(도 1 및 도 2의 A 방향 참조)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제2 파트(300)의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2 착탈수단(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착탈수단(420)은, 다용도 의류(100)를 치마나 망토로 이용할 때, 제1 착탈수단(4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착탈수단(410)과 함께 다용도 의류(100)를 몸에 착용시키고 흘러내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의류(100)는, 제1 파트(200)에 구비되는 제1 착탈수단(410)과 별도로, 제2 파트(300)에 제2 착탈수단(420)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본 발명을 활용할 때, 사용자가 더욱 안정적으로 착의할 수 있고, 기능적, 심미적 요소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착탈수단(420)은, 종류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추부재, 똑딱이 단추, 지퍼부재 및 벨크로 부재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례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착탈수단(420)은, 갈고리단추(hook and eyes)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갈고리단추는, 후크부재(421)와, 스토퍼부재(422)와, 링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421)는, 제2 파트(30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링부재(423)는, 제2 파트(300)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의 타면에 부착되고,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후크부재(421)가 끼워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부재(421)와 링부재(423)의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후크부재(421)와 링부재(423)의 위치가 바뀌어서 구비될 수도 있다.
갈고리단추는, 후크부재(421)가 링부재(423)에 끼움결합되거나 끼움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제2 파트(300)의 양단부를 연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단추는, 후크부재(421)에 결합되어 후크부재(421)의 회전을 제한하고, 탄성 변형되는 스토퍼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재(421)의 회전 시에, 스토퍼부재(422)의 탄성 변형에 의해, 링부재(423)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크부재(421)는 스토퍼부재(422)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42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변형부(422a)를 포함하고, 후크부재(421)는 탄성변형부(422a)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회전 시에 탄성변형부(422a)를 변형시키는 걸림부(42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상태에서 후크부재(421)가 링부재(423)에 걸림해재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후크부재(421)를 회전시키면, 탄성변형부(422a)가 걸림부(421a)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재(421)의 회전이 완료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422a)가 탄성 복원되면서 걸림부(421a)가 탄성변형부(422a)에 딸깍하고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파트(300)는 제2 착탈수단(420)이 갈고리단추로 구비됨으로써, 제2 파트(300)의 양 단부를 용이하고 결합 또는 결합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착탈수단(420)은, 제2 파트(300)의 폭 방향(도 1 및 도 2의 B 방향 참조)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를 치마로 이용하는 경우에,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의 대부분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2 파트(300)의 하측부분이 벌어지는 것은 방지하여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2 파트(300)는, 제2 파트(300)의 폭 방향(도 1 및 도 2의 B 방향 참조)으로 길게 절개된 제1 절개부(351)와, 제1 절개부(351)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2 파트(3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제2 절개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부(351)와 제2 절개부(35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100)를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어깨에 인접하게 배치된 부분으로, 이러한 제1 절개부(351)와 제2 절개부(352)를 통해 사용자의 팔이 통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인 다용도 의류(100)를 조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류를 이용하면, 무릎담요, 치마, 망토, 조끼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모피의류를 다양한 용도로 지속적으로 이용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다용도 의류 200 : 제1 파트
210 : 조밀한 부분 230 : 성긴 부분
250 : 말단 부분 300 : 제2 파트
310 : 모피원단 330 : 안감부재
351 : 제1 절개부 352 : 제2 절개부
410 : 제1 착탈수단 411 : 돌부
413 : 요부 420 : 제2 착탈수단
421 : 후크부재 422 : 스토퍼부재
423 : 링부재

Claims (12)

  1.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편직된 직물을 포함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모피원단을 포함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파트의 상기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1 착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조밀한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상기 조밀한 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조밀한 부분보다 성기게 짜여진 성긴 부분을 포함하는, 다용도 의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밀한 부분은,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성긴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다용도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긴 부분은,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조밀한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다용도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성긴 부분보다 조밀하게 편직되며, 상기 성긴 부분 및 상기 조밀한 부분과 상이한 방향으로 편직되는 말단 부분를 포함하는, 다용도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일면에 포함되고, 정전기가 방지되며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의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수단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단추부재, 똑딱이 단추, 지퍼부재 및 벨크로부재 중 어느 하나인, 다용도 의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수단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의 일면에 구비된 돌부와, 상기 제1 파트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의 타면에 구비된 요부를 포함하는 똑딱이 단추인, 다용도 의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파트의 상기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2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의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탈수단은 갈고리단추로 제공되며,
    상기 갈고리단추는,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크부재;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탄성 변형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의 타면에 부착되고,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재가 끼워지게 구비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스토퍼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링부재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는, 다용도 의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탈수단은, 상기 제2 파트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된, 다용도 의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파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의류.
KR1020160130744A 2016-10-10 2016-10-10 다용도 의류 KR10184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744A KR101847558B1 (ko) 2016-10-10 2016-10-10 다용도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744A KR101847558B1 (ko) 2016-10-10 2016-10-10 다용도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558B1 true KR101847558B1 (ko) 2018-04-10

Family

ID=6197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744A KR101847558B1 (ko) 2016-10-10 2016-10-10 다용도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64U (ko) * 2021-11-04 2023-05-11 신재원 치마형 담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869Y1 (ko) 2005-06-30 2006-01-24 유교상 망토우비
JP2006214021A (ja) * 2005-02-02 2006-08-17 Oshima Medias Kk 着回し自在被服
KR101077621B1 (ko) * 2010-04-23 2011-10-27 삼양모피 주식회사 다용도 모피의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021A (ja) * 2005-02-02 2006-08-17 Oshima Medias Kk 着回し自在被服
KR200406869Y1 (ko) 2005-06-30 2006-01-24 유교상 망토우비
KR101077621B1 (ko) * 2010-04-23 2011-10-27 삼양모피 주식회사 다용도 모피의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64U (ko) * 2021-11-04 2023-05-11 신재원 치마형 담요
KR200497475Y1 (ko) * 2021-11-04 2023-11-21 신재원 치마형 담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9866B2 (en) Convertible garment cuff
US20140189935A1 (en) Sleeve Accessories and Related Methods
US20140208485A1 (en) Adjustable maternity pant expander
US5918315A (en) Utilitarian fashion sleeve
KR101847558B1 (ko) 다용도 의류
US9844236B2 (en) Convertible garment
WO2016210316A1 (en) Wearable elastic pairing device for socks
JP6238039B1 (ja) ワイシャツ類やブラウスシャツ類袖口交換シャツ。
JP3215271U (ja) 袖の長さを調整可能な上着
JP3196300U (ja) ロンパース
JP3245020U (ja) エプロン及び三角巾
JP6113332B1 (ja) 着物
KR200479778Y1 (ko) 목도리와 겉옷 기능 숄을 갖는 원피스
CN215913338U (zh) 一种上衣及其袖口
CN213663712U (zh) 一种保暖针织衫
CN214340222U (zh) 一种保暖结构及衣服
US11484074B2 (en) Garment with convertible arm sleeves
CN207411514U (zh) 一种带有围巾的毛衣
JP3126948B2 (ja) 和洋服
JP3210584U (ja) 衣類
JP3148409U (ja) 仏衣
JP3212514U (ja) ゆかた
JP3212515U (ja) ゆかた
JP3138876U (ja) レーシーベルト
KR101838714B1 (ko)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