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53A - 방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53A
KR20200125053A KR1020190048744A KR20190048744A KR20200125053A KR 20200125053 A KR20200125053 A KR 20200125053A KR 1020190048744 A KR1020190048744 A KR 1020190048744A KR 20190048744 A KR20190048744 A KR 20190048744A KR 20200125053 A KR20200125053 A KR 2020012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protrusion
housing
lower hous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197B1 (ko
Inventor
이광성
서기원
김명규
최하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4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1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5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encapsulation, e.g. waterproof resin forming an integral casing, injection moulding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 제1 돌출부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된 삽입부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버튼부 및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수밀하게 밀봉하는 제1 방수부를 포함하는 방수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 구조물{A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방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시 수밀하게 밀봉하기 위한 방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 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한 종류인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로서 가벼운 무게와 작은 부피를 요구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생활 방수기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배터리가 실장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방수 기능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방수링 및 스크루 등의 부품을 이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이러한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해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16-0012436 A1
(특허문헌 2) KR10-2019-0015877 A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1 방수부를 수작업 없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효율이 향상시키는 방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시 2.5D로 양산이 가능한 방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 구조물은,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된 삽입부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결합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버튼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수밀하게 밀봉하는 제1 방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접하는 하부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하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테두리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접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동일평면상에 있는 테두리면 및 상기 제1,2 리세스의 함몰된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대향하는 상기 제1 리세스의 일면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일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처리된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리세스는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리세스,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리세스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부를 제외한 상기 버튼부의 나머지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의 중심축을 연장한 중심축선(L1)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선(L2)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L1)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양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은 제1 방수부를 수작업 없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은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시 2.5D로 양산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의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S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며, 이러한 방수 구조물(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의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100)은 상부 하우징(110), 하부 하우징(120), 버튼부(130) 및 방수부(140)를 포함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100)의 상부 하우징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10)은 방수 구조물(1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부 커버로서, 중앙부가 개방된다. 개방된 중앙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10)은 돌출부(111), 삽입부(112), 관통홀(113) 및 관통홈(114)을 포함한다.
돌출부(111)는 상부 하우징(1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1a) 및 제2 돌출부(111b)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111a)는 상부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11a)는 상부 하우징(110)의 상면 중 일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제1 돌출부(111a)는 볼록하게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제2 돌출부(111b)는 제1 돌출부(111a)와 마주보도록 상부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제1 돌출부(111a) 및 제2 돌출부(111b)는 대향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제조 시 2.5D 성형이 가능하다.
삽입부(112)는 제1 돌출부(111a)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112)는 제1 돌출부(111a)에만 형성되고, 제2 돌출부(111b)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12)는 제1 돌출부(111a)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돌출부(111a)의 라운딩처리된 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한 제1 돌출부(111a)와 삽입부(112)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13)이 관통형성된다.
관통홀(113)은 제1 돌출부(111a)와 삽입부(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13)은 제1 돌출부(111a) 또는 제2 돌출부(111b)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111a)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13)의 내부에는 버튼부(130) 및 방수부(140)가 삽입될 수 있다.
관통홈(114)은 제2 돌출부(111b)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관통홈(114)은 관통홀(113)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100)의 하부 하우징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20)는 상부 하우징(110)과 결합한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120)은 리세스(121), 삽입홈(122) 및 하부 테두리부(123)를 포함한다.
리세스(121)는 제1 돌출부(111a) 및 제2 돌출부(111b)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리세스(121a) 및 제2 리세스(121b)를 포함한다.
제1 리세스(121a)는 하부 하우징(120)의 측면 내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110)과 대향하는 제1 리세스(121a)의 일면은 하부 하우징(120)의 하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처리된 곡면이다. 그에 따라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되면, 제1 리세스(121a)의 일면은 제1 돌출부(111a)의 일면과 접하게 된다.
제2 리세스(121b)는 제1 리세스(121a)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하부 하우징(120)의 측면 내측에 형성된다. 제2 리세스(121b)의 일면은 제1 리세스(121a)의 일면과 마찬가지로 하부 하우징(120)의 하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처리된 곡면이다.
전술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되면, 제1 돌출부(111a)와 제1 리세스(121a), 제2 돌출부(111b)와 제2 리세스(121b)가 접하면서 결합된다.
또한, 제1 리세스(121a) 및 제2 리세스(121b)는 대향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제1, 2 돌출부(111a, 111b)와 마찬가지로 제조 시 2.5D 성형이 가능하다.
삽입홈(122)은 삽입부(112)를 수용하도록 함몰된다. 구체적으로 삽입홈(122)은 하부 하우징(120)의 측면과 제1 리세스(121a)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20)과 접하는 하부 테두리부(123)가 형성된다. 하부 테두리부(123)는 상부 하우징(110)과 접하는 하부 하우징(120)의 동일평면상에 있는 테두리면 및 제1,2 리세스(121a, 121b)의 함몰된 곡면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물(1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S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튼부(130)는 제1 돌출부(111a)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된 삽입부(112)를 관통한다.
또한, 버튼부(130)는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에 실장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버튼부(130)가 동작하면 그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를 회로기판이나 기타 전자부품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130)는 케이스(131), 스위치부(132) 및 돔키(133)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31)는 내부가 비어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스(131)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어서 스위치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스위치부(132)는 원판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체일 수 있다. 스위치부(132)의 일측에는 원판이 형성되고, 스위치부(132)의 타측에는 돔키(133)가 형성된다.
케이스(131)의 타측은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밀폐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한 돔키(133)는 스위치부(132)와 연결된다. 스위치부(132)가 눌리면, 돔키(133)도 눌리게 되고, 그에 따라 톰키(133)에서 생성된 신호는 회로기판에 전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부(130)의 일부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된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버튼부(130)의 일부를 제외한 버튼부(130)의 나머지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수부(140)는 제1 방수부(141) 및 제2 방수부(142)를 포함한다.
제1 방수부(141)는 하부 하우징(120)의 하부 테두리부(123)에 형성된다. 제1 방수부(141)는 하부 테두리부(123)를 따라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밀착시킨다.
즉,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될 경우, 제1 방수부(141)는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수밀하게 밀봉한다.
제2 방수부(142)는 관통홀(113)에 삽입되어 버튼부(130)를 수용한다. 이러한 제2 방수부(142)는 상부 하우징(110)의 관통홀(113)에 삽입됨에 따라 관통홀(113)로 삽입되는 상부 하우징(110)과 버튼부(130)를 수밀하게 밀봉한다.
적어도 수밀하게 밀봉된다는 것은 수밀하면서 동시에 기밀하게 밀봉되어 물과 공기 모두 통과되지 않는다는 것일 수도 있고, 수밀하되 기밀하지는 않아 통기가 가능하다는 것일 수도 있다. 수밀한 밀봉의 경우, 물 등의 액체는 통과하지 않지만 공기는 통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2 방수부(141, 142)는 재질에 따라 수밀하면서 기밀하게 밀봉할 수 있고, 또한, 수밀하되 기밀하지 않게 밀봉할 수도 있다.
기밀하게 밀봉되는 것은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수준으로 밀봉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물 등의 액체가 통과하지 않는 수준으로 밀봉되는 것인 수밀(水密)한 밀봉보다 더욱 치밀하게 밀봉되는 것에 해당한다.
한편,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31)와 스위치부(132)의 중심축 또는 버튼부(130)의 중심축을 연장한 중심축선(L1)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결합선(L2)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120)이 하부에 있는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10)이 하부 하우징(120)에 결합된 상태로 설명하면, 중심축선(L1)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양분하고, 결합선(L2)은 중심축선(L1)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시 2.5D로 양산이 가능하고, 제1 방수부를 수작업 없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방수 구조물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방수 구조물
110: 상부 하우징
111: 돌출부
111a: 제1 돌출부
111b: 제2 돌출부
112: 삽입부
113: 관통홀
114: 관통홈
120: 하부 하우징
121: 리세스
121a: 제1 리세스
121b: 제2 리세스
122: 삽입홈
123: 하부 테두리부
130: 버튼부
131: 케이스
132: 스위치부
133: 돔키
140: 방수부
141: 제1 방수부
142: 제2 방수부

Claims (11)

  1.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된 삽입부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결합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버튼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수밀하게 밀봉하는 제1 방수부를 포함하는 방수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접하는 하부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하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밀착시키는 방수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테두리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접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동일평면상에 있는 테두리면 및 상기 제1,2 리세스의 함몰된 곡면인 방수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방수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대향하는 상기 제1 리세스의 일면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일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처리된 곡면인 방수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리세스는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리세스,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리세스가 결합되는 방수 구조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부를 제외한 상기 버튼부의 나머지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방수 구조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방수 구조물.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를 수용하는 방수 구조물.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의 중심축을 연장한 중심축선(L1)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선(L2)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방수 구조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L1)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양분하는 방수 구조물.
KR1020190048744A 2019-04-25 2019-04-25 방수 구조물 KR10224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44A KR102241197B1 (ko) 2019-04-25 2019-04-25 방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44A KR102241197B1 (ko) 2019-04-25 2019-04-25 방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53A true KR20200125053A (ko) 2020-11-04
KR102241197B1 KR102241197B1 (ko) 2021-04-16

Family

ID=7357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44A KR102241197B1 (ko) 2019-04-25 2019-04-25 방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36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536A (ko) * 2009-07-14 2011-01-20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JP2012054201A (ja) * 2010-09-03 2012-03-15 Casio Comput Co Ltd 押釦スイッチ構造
KR20130078378A (ko) * 2011-12-30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5032619A (ja) * 2013-07-31 2015-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取り換え式コネクタ内蔵電気機器筐体
KR101659020B1 (ko) * 2010-02-18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536A (ko) * 2009-07-14 2011-01-20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KR101659020B1 (ko) * 2010-02-18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2054201A (ja) * 2010-09-03 2012-03-15 Casio Comput Co Ltd 押釦スイッチ構造
KR20130078378A (ko) * 2011-12-30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5032619A (ja) * 2013-07-31 2015-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取り換え式コネクタ内蔵電気機器筐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36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197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60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US7228158B2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tereo sound
US9225105B2 (en) Waterproof ear jack soc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053666A1 (en) Mobile terminal
CN107833775B (zh) 防水组件、移动终端、以及防水组件的装配方法
US20090268382A1 (en) Button structure
KR101747968B1 (ko)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9997373A (zh) 音频组件及移动终端
KR102241197B1 (ko) 방수 구조물
KR20140046867A (ko) 전자 기기의 실링 장치
US20070178949A1 (en) Mobile Terminal
CN112738301A (zh) 电子设备
KR101848667B1 (ko) 휴대용 충전기
CN109449566B (zh) 三合一天线组件及电子设备
US20170048600A1 (e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90108951A1 (en) Electronic device
KR100571172B1 (ko) 분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폰
KR101848666B1 (ko) 이동 단말기
CN215344976U (zh) 麦克风密封结构及电子设备
TWI491267B (zh) 電子裝置之音箱結構
TWI410994B (zh) 按鍵結構
CN207869309U (zh) 扬声器箱
CN108712547B (zh) 一种电子装置及前壳组件
JP2007096893A (ja) 携帯端末装置
JP200005037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