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968A -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968A
KR20200124968A KR1020190048508A KR20190048508A KR20200124968A KR 20200124968 A KR20200124968 A KR 20200124968A KR 1020190048508 A KR1020190048508 A KR 1020190048508A KR 20190048508 A KR20190048508 A KR 20190048508A KR 20200124968 A KR20200124968 A KR 2020012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s
guide
cable
strand
cabl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412B1 (ko
Inventor
문준호
Original Assignee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4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사용되는 파이프 내부에 효과적으로 스트랜드를 배치할 수 있는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는,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상기 수평열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된 상기 스트랜드를 주탑의 상부로 견인하는 상부 견인 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견인 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트랜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주탑의 상부로 견인되는 제1 멀티 가이드와, 상기 스트랜드와 함께 상기 제1 멀티 가이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주탑의 상부로 이동한 상기 상부 견인 부재를 상기 주탑의 하부로 견인하는 하부 견인 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견인 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파이프의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수평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주탑의 상부로 견인되는 제2 멀티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DEVICE FOR CABEL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ABLE INSTALL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사용되는 파이프 내부에 효과적으로 스트랜드를 배치할 수 있는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장교 등과 같은 케이블 교량에서 교량 바닥판을 지지하는 멀티-스트랜드 케이블(Multi-Strand Cable)은 HDPE와 같은 알루미늄 등의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strand/강연선)가 긴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를 배치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글라이더라는 부재를 이용하였다. 글라이더에 하나의 스트랜드를 연결하고, 글라이더가 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게 함으로써 글라이더에 연결된 스트랜드가 파이프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 개의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파이프 내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서는 직경이 큰 파이프를 이용하였으므로 파이프의 내부에서 글라이더가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파이프의 직경이 클수록 글라이더를 쉽게 통과시킬 수 있어서 스트랜드의 배치가 용이하지만, 반대로 교량에 미치는 풍하중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즉,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을 이루는 파이프의 직경이 클수록 풍력을 받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그만큼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의해 전달되는 풍하중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의해 전달되는 풍하중이 커지게 되면, 그에 따라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이 교량의 주탑이나 바닥판과 접속되는 부분에 대해 요구되는 강도 등도 증가하게 되어 전체 교량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개수의 스트랜드를 파이프 내에 배치한다면 가능한 파이프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파이프 내부에 밀집된 형태로 채워져 배치되어 있는 콤팩트(compact)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대한 기술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은 파이프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파이프와 스트랜드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여 종래의 글라이더를 반복 통과시켜서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스트랜드 배치를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사용되는 파이프 내부에 효과적으로 스트랜드를 배치할 수 있는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는,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상기 수평열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된 상기 스트랜드를 주탑의 상부로 견인하는 상부 견인 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견인 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트랜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주탑의 상부로 견인되는 제1 멀티 가이드와, 상기 스트랜드와 함께 상기 제1 멀티 가이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주탑의 상부로 이동한 상기 상부 견인 부재를 상기 주탑의 하부로 견인하는 하부 견인 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견인 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파이프의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수평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주탑의 상부로 견인되는 제2 멀티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멀티 가이드와 상기 스트랜드의 사이에는 상기 멀티 가이드와 상기 스트랜드의 사이에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굽힘 가능한 완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일정 각도 굽힘 가능한 강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상기 강선 부재가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선 부재에는 상기 강선 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이후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 가능한 강선 헤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선 헤드가 변형되는 경우 상기 강선 헤드는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선 부재에는 상기 강선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과 상호 이격된 강선 바디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멀티 가이드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견인 부재가 연결되는 가이드 헤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그가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호 경사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호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멀티 가이드에는 기 배치된 상기 스트랜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멀티 가이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윙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그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방법은,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상기 수평열이 n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n-2번째의 수평열까지 상기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n-1번째 수평열에 상기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n-1번째 수평열에 상기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n-1번째 수평열의 좌측과 우측을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n-1번째 수평열의 마지막 스트랜드 배치 시 제1 멀티 가이드를 이용해서 상기 스트랜드와 하부 견인 부재를 함께 상향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견인 부재에 상부 견인 부재를 연결하여 하향 견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제2 멀티 가이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멀티 가이드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멀티 가이드를 상향 견인해서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에 의하면, 파이프의 직경이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을 제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의해 전달되는 풍하중의 감소, 그에 따른 교량의 주탑이나 바닥판과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이 접속되는 부분에 대한 요구 강도의 감소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어 구조적으로 더욱 유리한 상태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n-1번째 수평열의 마지막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n번째 수평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n번째 수평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은 55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73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멀티 가이드에 스트랜드와 하부 견인 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 (b) 및 (c)는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d)는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n-1번째 수평열의 마지막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n번째 수평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n번째 수평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은 55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73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멀티 가이드에 스트랜드와 하부 견인 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 (b) 및 (c)는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d)는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멀티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를 이용해서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는,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100)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이러한 수평열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된 스트랜드(200)를 주탑의 상부로 견인하는 상부 견인 부재(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견인 부재(500)에는 단일의 스트랜드(200)가 연결되며, 상부 견인 부재(50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스트랜드(200)가 상향 견인되어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이프(100) 내부에 스트랜드(2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부 견인 부재(500)를 이용해서 파이프(100) 내부에 일정 개수의 스트랜드(20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게 되고, 이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부 견인 부재(500)에 제1 멀티 가이드(30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멀티 가이드(300)의 일측에는 전술한 상부 견인 부재(50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스트랜드(200)가 연결되며,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멀티 가이드(300)는 상부 견인 부재(500)에 의해 주탑의 상부로 견인된다.
이때, 제1 멀티 가이드(300)의 타측에는 스트랜드(200)와 함께 하부 견인 부재(600)가 함께 연결된다. 즉, 제1 멀티 가이드(300)의 타측에 스트랜드(200)와 하부 견인 부재(600)가 함께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견인 부재(500)에 의해 주탑의 상부로 함께 견인되는 것이다. 이후 상향 견인된 스트랜드(200)는 파이프(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 견인 부재(600)에는 상부 견인 부재(5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견인 부재(500)를 주탑의 하부로 하향 견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멀티 가이드(300)를 이용해서 스트랜드(200)를 배치함과 동시에 하부 견인 부재(600)를 상향 견인하고, 이러한 하부 견인 부재(600)를 이용해서 상부 견인 부재(500)를 주탑의 하부로 하향 견인함으로써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에 사용되는 파이프(100)의 내부에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상부 견인 부재(500)를 효과적으로 하향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부 견인 부재(500)가 하향 견인된 이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부 견인 부재(500)에는 제2 멀티 가이드(40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제2 멀티 가이드(400)의 일측에는 전술한 상부 견인 부재(50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파이프(100)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수평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가 동시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멀티 가이드(400)는 상부 견인 부재(500)에 의해 주탑의 상부로 상향 견인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 최하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가 동시에 배치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 내부에 55개의 스트랜드(200)가 배치되는 경우 n번째 수평열에 배치되는 3개의 스트랜드(200)는 제2 멀티 가이드(400)를 통해 동시에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 내부에 73개의 스트랜드(200)가 배치되는 경우 n번째 수평열에 배치되는 2개의 스트랜드(200)는 제2 멀티 가이드(400)를 통해 동시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향 견인된 상부 견인 부재(500)에 제2 멀티 가이드(400)를 연결하고, 이러한 제2 멀티 가이드(400)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를 연결하여 상향 견인함으로써 파이프(100) 내부의 n번째 수평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해지게 된다.
이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멀티 가이드(300, 400)와 스트랜드(200)의 사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가이드(300, 400)와 스트랜드(200)의 사이에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굽힘 가능한 완충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주탑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파이프(100)는 중력에 의해 일정 곡률을 형성하면서 만곡되는데, 멀티 가이드(300, 400)가 이러한 파이프(100) 내부를 따라 상향 견인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멀티 가이드(300, 400)에 스트랜드(200)가 직접 연결되면 전술한 파이프(100) 곡률에 의해 스트랜드(200)가 구부러지게 될 수 있으므로 멀티 가이드(300, 400)와 스트랜드(200) 사이에는 일정 각도 굽힘 가능한 완충부(7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700)가 구비되면 멀티 가이드(300, 400)가 상향 견인되는 과정에서 파이프(100) 곡률에 의해 스트랜드(200)가 구부러질 수 있는 구간에서 완충부(700)가 일정 각도 굽힘 변형되면서 스트랜드(200)가 구부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멀티 가이드(300, 400)에 하부 견인 부재(60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멀티 가이드(300, 400)와 하부 견인 부재(600) 사이에도 전술한 완충부(700)가 구비되어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완충부(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체결홀(711)이 형성된 케이스 부재(710)와, 케이스 부재(7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일정 각도 굽힘 가능한 강선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케이스 부재(710)의 일단에 연결된 강선 부재(720)에는 멀티 가이드(300, 400)가 연결되고, 케이스 부재(710)의 타단에 연결된 강선 부재(720)에는 스트랜드(2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 부재(710)에 강선 부재(720)를 연결하기 위해 케이스 부재(710)의 양단에는 체결 부재(7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730)에는 강선 부재(72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홀(731)이 형성되어 강선 부재(720)가 이러한 관통홀(731)을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 고정되며, 이러한 체결 부재(730)를 케이스 부재(710)의 양단에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케이스 부재(710)에 강선 부재(720)를 연결하게 된다.
케이스 부재(710)에 형성된 체결홀(711)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체결 부재(730)의 외주면에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면 간단한 방식으로 케이스 부재(710)에 체결 부재(73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부재(720)에는 강선 부재(720)가 관통홀(731)을 관통한 이후 체결 부재(7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 가능한 강선 헤드(7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강선 부재(720)가 체결 부재(730)에 형성된 관통홀(731)을 관통한 상태에서 강선 헤드(721)를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강선 헤드(721)가 변형되는 경우 강선 헤드(721)는 관통홀(731)의 내경(DI)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W)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강선 부재(720)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강선 부재(720)에는 강선 부재(720)와 체결 부재(730)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홀(731)의 내주면과 상호 이격된 강선 바디(7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랜드(200)는 일반적으로 릴 등에 감긴 상태로 현장으로 옮겨지고, 현장 설치 시에 스트랜드(200)를 릴에서 직접 풀면서 파이프(100) 내부에 배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스트랜드(200)가 릴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스트랜드(200)가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스트랜드(200)가 멀티 가이드(300, 40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향 견인되면 스트랜드(200)가 풀리면서 발생하는 회전으로 인해 스트랜드(200)에 꼬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스트랜드(200)의 꼬임은 의도하지 않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선 부재(720)와 체결 부재(730)가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홀(731)의 내주면과 상호 이격된 강선 바디(722)가 형성되면 스트랜드(200)에 회전이 발생할 때 강선 부재(720)와 체결 부재(730)가 상대 회전하면서 스트랜드(200)의 회전으로 인해 스트랜드(200)가 꼬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멀티 가이드(300, 400)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견인 부재(500, 600)가 연결되는 가이드 헤드(310, 4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그(320, 420)가 형성되되, 도 8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레그(320, 420)는 상호 경사(a)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랜드(200)가 릴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스트랜드(200)에 회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회전하는 스트랜드(200)와 하부 견인 부재(600) 또는 다른 스트랜드(200)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스트랜드(200)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 견인 부재(600)나 다른 스트랜드(200)가 회전하는 스트랜드(200)에 꼬이면서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스트랜드(200)가 연결된 어느 가이드 레그(320, 420)와 하부 견인 부재(600)나 다른 스트랜드(200)가 연결된 다른 가이드 레그(320, 420)에 상호 경사(a)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회전하는 스트랜드(200)가 하부 견인 부재(600)나 다른 스트랜드(200)와 상호 이격될 수 있으므로 회전에 의해 상호 간에 꼬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레그(320, 420)는 상호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100) 내부에 스트랜드(200)를 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간은 파이프(10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곡률이 형성되므로 멀티 가이드(300, 400)가 이와 같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지나가면서 스트랜드(200)를 배치(도 3 참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가이드 레그(320, 420)는 상호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멀티 가이드(4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배치된 스트랜드(200)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멀티 가이드(4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윙 부재(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100) 내에 배치되는 스트랜드(200)가 꼬이게 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제2 멀티 가이드(400)에는 윙 부재(430)가 형성되고, 이러한 윙 부재(430)가 파이프(100) 내에 스트랜드(200) 배치 시 기 배치된 스트랜드(200)에 의해 지지되어 스트랜드(200)가 꼬이지 않고 파이프(10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윙 부재(430)는 가이드 레그(320, 420)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100) 내부에 스트랜드(200)를 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간은 파이프(10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곡률이 형성되므로 멀티 가이드(300, 400)가 이와 같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지나가면서 스트랜드(200)를 배치(도 4 참조)할 수 있도록 이러한 윙 부재(430)는 가이드 레그(320, 420)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방법은,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100)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스트랜드(200)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이러한 수평열이 n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100)의 내부에 n-2번째의 수평열까지 스트랜드(20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S100)와, n-1번째 수평열에 스트랜드(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 및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스트랜드(200)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즉, 파이프(100) 내부에 n-2번째 수평열까지는 상부 견인 부재(500)를 이용해서 단일의 스트랜드(20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이후 n-1번째 수평열에 스트랜드(200)를 배치하며, n번째 수평열에는 복수의 스트랜드(200)를 동시에 배치함으로써 파이프(100)의 직경이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n-1번째 수평열에 스트랜드(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는, n-1번째 수평열의 좌측과 우측을 교번하는 방식으로 스트랜드(200)를 배치하는 단계(S210), 및 n-1번째 수평열의 마지막 스트랜드(200) 배치 시 제1 멀티 가이드(300)를 이용해서 스트랜드(200)와 하부 견인 부재(600)를 함께 상향 견인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트랜드(200)를 좌우 교번하는 방식으로 배치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스트랜드(20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n-1번째 수평열의 마지막 스트랜드(20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제1 멀티 가이드(300)를 이용해서 스트랜드(200)와 하부 견인 부재(600)를 동시에 상향 견인함으로써 이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견인 부재(600)를 이용해서 상부 견인 부재(500)를 하향 견인하는 것이 용이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스트랜드(200)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S300)는, 하부 견인 부재(600)에 상부 견인 부재(500)를 연결하여 하향 견인하는 단계(S310)와, 상부 견인 부재(500)에 제2 멀티 가이드(400)를 연결하는 단계(S320), 및 제2 멀티 가이드(400)에 복수의 스트랜드(200)를 연결하고, 이러한 제2 멀티 가이드(400)를 상향 견인해서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스트랜드(200)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멀티 가이드(400)를 이용해서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스트랜드(200)를 동시에 배치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스트랜드(200)를 배치할 수 있어서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파이프 200 : 스트랜드
300 : 제1 멀티 가이드 310 : 가이드 헤드
320 : 가이드 레그 400 : 제2 멀티 가이드
410 : 가이드 헤드 420 : 가이드 레그
430 : 윙 부재 500 : 상부 견인 부재
600 : 하부 견인 부재 700 : 완충부
710 : 케이스 부재 711 : 체결홀
720 : 강선 부재 721 : 강선 헤드
722 : 강선 바디 730 : 체결 부재
731 : 관통홀

Claims (14)

  1.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상기 수평열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된 상기 스트랜드를 주탑의 상부로 견인하는 상부 견인 부재;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견인 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트랜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주탑의 상부로 견인되는 제1 멀티 가이드;
    상기 스트랜드와 함께 상기 제1 멀티 가이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주탑의 상부로 이동한 상기 상부 견인 부재를 상기 주탑의 하부로 견인하는 하부 견인 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상부 견인 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파이프의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수평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주탑의 상부로 견인되는 제2 멀티 가이드;
    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멀티 가이드와 상기 스트랜드의 사이에는 상기 멀티 가이드와 상기 스트랜드의 사이에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굽힘 가능한 완충부가 구비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일정 각도 굽힘 가능한 강선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상기 강선 부재가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부재에는 상기 강선 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이후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 가능한 강선 헤드가 형성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헤드가 변형되는 경우 상기 강선 헤드는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이 형성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부재에는 상기 강선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과 상호 이격된 강선 바디가 형성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멀티 가이드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견인 부재가 연결되는 가이드 헤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그가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호 경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호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 가이드에는 기 배치된 상기 스트랜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멀티 가이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윙 부재가 형성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그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설치 장치.
  12. 사장교 케이블에서 파이프 내에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배치되되,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열을 이루며, 상기 수평열이 n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n-2번째의 수평열까지 상기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n-1번째 수평열에 상기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1번째 수평열에 상기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n-1번째 수평열의 좌측과 우측을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n-1번째 수평열의 마지막 스트랜드 배치 시 제1 멀티 가이드를 이용해서 상기 스트랜드와 하부 견인 부재를 함께 상향 견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견인 부재에 상부 견인 부재를 연결하여 하향 견인하는 단계;
    상기 상부 견인 부재에 제2 멀티 가이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멀티 가이드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멀티 가이드를 상향 견인해서 n번째 수평열에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치 방법.
KR1020190048508A 2019-04-25 2019-04-25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KR10225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08A KR102255412B1 (ko) 2019-04-25 2019-04-25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08A KR102255412B1 (ko) 2019-04-25 2019-04-25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68A true KR20200124968A (ko) 2020-11-04
KR102255412B1 KR102255412B1 (ko) 2021-05-24

Family

ID=7357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508A KR102255412B1 (ko) 2019-04-25 2019-04-25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453A (zh) * 2021-06-17 2021-08-10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高效预应力钢绞线束牵引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989A (ja) * 2003-08-20 2005-03-17 Freyssinet Internatl Stup 控えを組み立てる方法
KR20130052185A (ko) * 2011-11-11 2013-05-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의 가설방법
KR101659411B1 (ko) * 2016-03-09 2016-09-3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989A (ja) * 2003-08-20 2005-03-17 Freyssinet Internatl Stup 控えを組み立てる方法
KR20130052185A (ko) * 2011-11-11 2013-05-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의 가설방법
KR101659411B1 (ko) * 2016-03-09 2016-09-3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453A (zh) * 2021-06-17 2021-08-10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高效预应力钢绞线束牵引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412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555B2 (en) Braided loop utilizing bifurcation technology
US8104242B1 (en) Concrete-filled metal pole with shear transfer connectors
KR102648176B1 (ko) 더블시스 구조용 케이블
EP2028308A3 (en) Climbing rope comprising two braided layers
US8702063B2 (en) Method of pulling strands of a cable into a conduit and associated system
US20130145740A1 (en) Forming an eye end termination on a rope
KR102255412B1 (ko)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KR10148238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101952156B1 (ko) 사장교 케이블 교체용 와이어 시스템 및 사장교 케이블 교체 방법
JPH06299517A (ja) マルチストランドの斜張ケーブルを架設する方法と装置
KR101127939B1 (ko) 복수 유닛 구조의 주케이블을 갖는 현수교
JP2000054321A (ja) 斜ケーブルの架設方法
KR102341972B1 (ko) 강연선 분배장치 및 강연선 분배장치가 적용된 psc 거더
KR20090085664A (ko) 다중 스트랜드 강선 와이어 로프
CN100564685C (zh) 拉杆的装配方法
US9340396B2 (en) Nested lift assemblies
US6385928B1 (en) Tension member
KR101299963B1 (ko)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의 가설방법
JP7374644B2 (ja) 屋根構造
KR101430624B1 (ko) 보정 강선을 포함하는 인장 케이블
JP6154247B2 (ja) 電化柱の耐震補強構造及び電化柱の耐震補強方法
JP2007257975A (ja) 複合ケーブル
KR20190002947U (ko) 강연선 클램핑용 더미 구조체
CN112096088B (zh) 钢管预应力钢绞线高空穿管施工方法
EP2710185A2 (en) Coupling ropes by means of eyes in combination with a connecting spool and forming an eye end termination on a r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