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420A -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420A
KR20200124420A KR1020190047713A KR20190047713A KR20200124420A KR 20200124420 A KR20200124420 A KR 20200124420A KR 1020190047713 A KR1020190047713 A KR 1020190047713A KR 20190047713 A KR20190047713 A KR 20190047713A KR 20200124420 A KR20200124420 A KR 2020012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larvae
psu
salt concentration
cr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319B1 (ko
Inventor
김형섭
장건강
최우용
김지민
김소연
이원호
고병설
황인서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어미 갯게를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14 내지 16시간의 명주기와 8 내지 10시간의 암주기를 28 내지 32일 동안 반복하여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외포란 개체를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15 내지 20일 동안 유지시켜 상기 수정란을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시키는 단계; (C)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12 내지 18일 동안 유지시켜 집게발이 형성되는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시키는 단계; (D) 메갈로파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유지시켜 어린게로 변태시키는 단계; 및 (E) 어린게를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이 깔린 환경에서 20 내지 35 ℃의 수온 하에서 사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법정 보호종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를 통해 원하는 시기에 수정란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유생의 사육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Culture method of mud flat crab, Chasmagnathus convexus}
본 발명은 법정 보호종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를 통해 원하는 시기에 수정란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수정란으로부터 부화된 유생의 사육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갯게(Chasmagnathus convexus)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중국, 대만 등의 극동 아시아에 분포하는 희귀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와 남해 및 제주 연안의 하구 및 조간대 상부의 초지대나 돌무더기, 도랑이나 습지 등에 구멍을 파고 서식한다. 낮에는 구멍 속에서 생활하다가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움직이는 야행성이며, 육상에 서식하는 다른 게류와 같이 잡식성으로 알려져 있다.
봄에 포란된 어미 갯게를 확인할 수 있고, 조에아(zoea)로 부화된 유생은 바다에서 생활하면서 메갈로파(megalopa)와 어린게(치해(稚蟹), juvenile) 단계로 발달하며, 이후 몇 번의 탈피를 거치면서 게로 변태한 후 육상 생활을 한다.
이러한 갯게는 최근 하구 및 연안의 매립, 오염 등에 의한 인위적인 간섭으로 서식지가 사라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만 소수의 개체가 발견된다. 환경부는 갯게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해양수산부는 보호대상 해양생물로 지정하여 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법정 보호종인 갯게의 자연개체군 회복을 위해서는 서식지의 환경 복원이 필수적이며, 실내 인공종자 생산을 통해 자연개체군을 보다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
실내 인공종자 생산을 위해서는 어미 갯게의 사육관리에서부터 부유유생 시기와 방류 전의 어린게로 성장할 때까지의 사육관리에 대한 전 과정의 구체적인 방법이 규명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갑각류에 속하는 꽃게, 참게, 대게 등의 게류 양식은 보통 포란된 어미게를 구입한 후 단기간 사육하면서 어미가 포란된 난을 스스로 부화시키게 한 후 조에아 시기에는 동물먹이생물인 로티퍼(Brachionus spp.)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메갈로파 시기 이후에는 조개류나 새우류 등의 육질을 잘게 갈아 공급하면서 약 1개월 간 사육한 후 종자생산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종자생산 과정에서 어려운 점은 첫째, 대부분 자연 산란시기에 맞춰 어미게를 구입하기 때문에 종자생산 가능 기간이 짧아 종자생산 과정 중간에 실패할 경우 재생산을 위한 준비기간이 짧아 당해 연도 종자 생산에 어려움이 있고; 둘째, 유생의 사육기간 중에 최적 먹이생물의 공급 밀도 실패에 따른 문제점으로, 적을 경우 성장 및 생존율이 낮아지고, 많을 경우 과잉 잔존 먹이생물에 의한 수질관리 등의 어려움이 상존하기 때문에 먹이생물의 적정 공급밀도 산정이 매우 중요하며; 셋째, 메갈로파 시기부터는 공식현상에 의한 피해가 크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한 여러 방법(차광막, 그물 등의 투입)을 적용하여 사육하고 있으나, 바닥 생활을 하는 어린게 단계에서는 유영 생활하는 시기의 공식억제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고 장기간 사육할 수가 없어 어린게로 변태한 이후 단기간 내에 방류용 종자로 판매하는 형태를 취한다.
항시 물속에서 생활하는 수산양식용 꽃게, 대게, 참게 등과 달리, 갯게는 육상에서 생활하는 법정 보호종으로서 실내에서 어미 갯게 사육관리를 통한 종자생산에서부터 부유유생 및 어린게 단계까지 전 기간을 실내 수조에서 진행되어야하는 어려움에 있고, 같은 게 종류라 하더라도 각 종에 따른 특이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종별 특성에 따른 사육관리 방법이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희귀종인 갯게의 자연개체군 증가를 위한 방사용 종자로 성장시킬 수 있고, 실내 수조에서 지속적으로 종 보존을 이룰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71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12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법정 보호종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를 통해 원하는 시기에 수정란을 얻을 수 있으며, 유생의 사육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산방법에 따라 실내에서 생산된 갯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법정 보호종인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은 (A) 어미 갯게를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14 내지 16시간의 명주기와 8 내지 10시간의 암주기를 28 내지 32일 동안 반복하여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외포란 개체를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15 내지 20일 동안 유지시켜 상기 수정란을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시키는 단계; (C) 상기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12 내지 18일 동안 유지시켜 집게발이 형성되는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시키는 단계; (D) 상기 메갈로파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유지시켜 어린게로 변태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어린게를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이 깔린 환경에서 20 내지 35 ℃의 수온으로 사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명주기의 조도는 900 내지 1500 Lux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10 내지 12 ℃에서 사육되던 어미 갯게를 바로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켜 사육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는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염분의 농도가 10 psu 이상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조에아 유생은 22 내지 25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되거나, 26 내지 34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먹이는 로티퍼,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먹이는 10 내지 80 개체/ml의 로티퍼, 1 내지 10 개체/ml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또는 로티퍼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가 1 : 0.03 내지 0.2의 개체수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는 메갈로파 유생을 염분의 농도가 10 psu 이상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메갈로파 유생은 22 내지 23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20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 24 내지 30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 또는 31 내지 34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먹이는 10 내지 20 개체/ml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일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는 은신처 제공을 위해 차광막을 추가로 설치하여 어린게를 사육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어린게는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담수(염분 농도 0 psu) 또는 염분의 농도가 1 내지 35 psu인 염수 하에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는 조개와 어린새우를 혼합한 혼합물을 먹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C) 내지 (E)단계에서 물의 용존산소량은 4 내지 10 mg/L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에서 생산된 갯게는 상기 생산방법에 따라 실내에서 사육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 방법은 10 내지 12 ℃에서 사육되던 어미 갯게를 바로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14 내지 16시간의 명주기와 8 내지 10시간의 암주기를 28 내지 32일 동안 반복하여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으로 수행하면 법정 보호종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를 통해 원하는 시기에 수정란을 얻음으로써 종자생산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갯게의 부유유생 기간 동안 적정 수온 및 염분 농도를 제공함으로써 유생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먹이생물의 공급밀도를 특정하여 먹이의 허실을 방지하고 유생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식현상으로 인한 어린 갯게의 생존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수조 바닥에 직경 5 mm 이상의 자갈과 차광막을 함께 투입함으로써 어린 갯게의 장기간 사육에 따른 생존율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법정 보호종인 갯게를 실내 사육함으로써 종을 보존하고 동시에 제한적인 어미개체로부터 대량으로 종자를 생산함으로써 방사를 통한 자연개체군의 증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을 유도한 후 이를 어린게로 성장시키기 위해 사육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수온에 따른 염분농도 별 조에아 유생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조에아 Ⅰ기에서 Ⅳ기 순으로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인 로티퍼를 섭취하는 섭식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조에아 Ⅰ기에서 Ⅳ기 순으로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인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섭취하는 섭식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수온에 따른 염분농도 별 메갈로파 유생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메갈로파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인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섭취하는 섭식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수온에 따른 염분농도 별 어린게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어린게의 공식방지 방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법정 보호종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를 통해 원하는 시기에 수정란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수정란에서 부화된 유생의 사육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서 수행되는 어린 갯게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온 및 광주기 조절을 통한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 부유유생인 조에아와 메갈로파 시기에 적합한 수온과 염분농도, 먹이 종류에 따른 공급밀도; 및 어린게 시기에 사육을 위한 적합한 수온과 염분농도, 공식(共食)방지를 위한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린 갯게를 생산하는 방법은 (A) 어미 갯게를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14 내지 16시간의 명주기와 8 내지 10시간의 암주기를 28 내지 32일 동안 반복하여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외포란 개체를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15 내지 20일 동안 유지시켜 상기 수정란을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시키는 단계; (C) 상기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12 내지 18일 동안 유지시켜 집게발이 형성되는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시키는 단계; (D) 상기 메갈로파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유지시켜 어린게로 변태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어린게를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이 깔린 환경에서 20 내지 35 ℃의 수온으로 사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야외환경과 유사한 10 내지 12 ℃의 낮은 온도에서 사육하던 어미 갯게를 순차적인 온도 상승 없이 바로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켜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시킨다.
이때 명주기는 14 내지 16시간이고 암주기는 8 내지 10시간으로서, 상기 명주기 시 조도는 900 내지 1500 Lux,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00 Lux이다.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수온)에서 생활하던 어미 갯게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수온)에서 사육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을 두면서 수온을 점차 높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바로 높은 온도로 수온을 향상시키되 명주기와 암주기를 상기 시간에 맞춰 수행함으로써, 조기 포란을 유도하고 언제든 원하는 시기에 수정란을 얻을 수 있다.
만약, 시간을 두면서 수온을 점차 높이기만 하고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수온을 향상시키면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하여 수행한 경우보다 조기 포란이 수행되지 않으며; 시간을 두고 수온을 점차 높이면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조기 포란이 유도되지만 수정되는 수정란의 양이 적을 수 있다.
명주기 시 조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조기 포란이 유도되지 않고 다량의 수정란을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수정란의 함량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외포란 개체를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15 내지 20일 동안 유지시켜 상기 수정란을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면서 12 내지 18일 동안 유지시켜 조에아 Ⅰ 내지 Ⅳ기를 거침으로써 집게발이 형성되는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시킨다.
상기 (B)단계에서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다른 수조로 옮긴 후 수온이 20 내지 35 ℃이면서 염분 농도가 10 psu 이상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킨다. 상기 조에아 유생의 성장은 수온 및 염분의 농도에 따라 상이한데, 구체적으로 22 내지 25 ℃의 수온일 때는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염수하에서 생존율이 높고, 26 내지 34 ℃의 수온일 때는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염수하에서 생존율이 높다.
조에아 유생에 공급되는 먹이생물로는 로티퍼, 부화시킨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공급되는 먹이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조에아 유생의 성장 속도 및 생존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먹이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과잉으로 투여된 먹이생물이 수조 내에서 성장하여 수질변화의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조에아 유생의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에, 먹이생물을 적정한 양으로 공급해야 하는데 로티퍼 단독으로 공급 시에는 10 내지 80 개체/ml의 밀도,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단독으로 공급 시에는 1 내지 10 개체/ml의 밀도, 및 로티퍼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의 혼합물을 공급 시에는 로티퍼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가 ml당 1 : 0.03 내지 0.2의 개체수비로 혼합된 밀도로 공급하되, 성장함에 따라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메갈로파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유지시켜 어린게로 변태시킨다.
상기 메갈로파 유생을 수온이 20 내지 35 ℃이면서 염분 농도가 10 psu 이상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킨다. 상기 메갈로파 유생의 성장은 수온 및 염분의 농도에 따라 상이한데, 구체적으로 22 내지 23 ℃의 수온일 때는 염분의 농도가 20 내지 35 psu인 염수하에서 생존율이 높고, 24 내지 30 ℃의 수온일 때는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염수하에서 생존율이 높으며, 31 내지 34 ℃의 수온일 때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염수하에서 생존율이 높다.
메갈로파 유생에 공급되는 먹이생물로는 성장 속도를 향상시키며 수질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면에서 부화시킨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되는 먹이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메갈로파 유생의 생존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먹이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과잉으로 투여된 먹이생물이 수조 내에서 성장하여 수질변화의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메갈로파 유생의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10 내지 20 개체/ml의 밀도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어린게를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이 깔린 환경에서 20 내지 35 ℃의 수온 하에서 사육하여 성장시킨다.
상기 어린게를 수온이 20 내지 35 ℃이면서 담수(염분 농도 0 psu) 또는 염분 농도가 1 내지 35 psu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킨다. 상기 어린게는 상기 범위의 수온 및 염분 농도의 담수 또는 염수 하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인다.
상기 어린게는 지속적으로 탈피를 하면서 성장하는데 탈피 후 갑각이 연약할 때 다른 게에 의해 포식됨으로써 사육 중 생존율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된다. 게류의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사육하기 위해서는 사육수조에 적당한 은신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어린게의 생존율 하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이 깔린 환경을 제공하며, 더욱 높은 생존율을 위하여 은신처로 활용될 수 있는 차광막도 제공한다. 상기 직경 5 mm 이상의 자갈 대신 차광막 단독 또는 직경 2 mm 이하의 모래 하에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생존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린게의 먹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조개와 어린새우를 혼합한 혼합물을 들 수 있고, 해산어류 및 새우류의 배합사료를 혼합하면 영양분을 보충시킬 수 있다.
상기 (C) 내지 (E)단계에서 담수 또는 염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존산소량이 4 내지 10 mg/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g/L가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성장을 유도하고 수조 내 수질을 개선하여 생존율을 높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 및 조에아기
1.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
갯게 어미는 관할 지방환경청의 허가를 득한 후 2017년 5월 제주도 성산읍 조간대에서 포획한 암수 2쌍을 저면여과식의 사육수조에서 냉동 바지락 육질과 새우를 잘게 간 다음 어류용 배합사료를 섞어 매일 일정량씩 공급하였고, 사육환경은 야외환경과 유사한 실내에서 사육하였다. 이때의 수온은 약 10 ℃이었고, 광주기는 자연과 같은 조건으로 명암주기는 대략 명주기 14시간과 암주기 10시간이었다.
다음 해 1월 1일에 어미 갯게를 사육중인 수조의 수온을 25 ℃로 상승시키고, 광주기 조건을 명주기 15시간, 암주기 9시간으로 히터와 타이머를 장착하여 조절하였다. 명주기 시 빛의 표면 조도는 약 1,000 Lux가 되도록 하였다. 30일 후 수정란을 배딱지에 붙이는 외포란 개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를 위해서는 수온을 25 ℃로 상승시키고, 겨울철 동지(冬至)에 해당되는 광주기에서 하지(夏至)에 해당하는 광주기인 명주기 15시간, 암주기 9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조에아 유생 사육관리
포란된 어미는 조기 포란유도 실험을 위한 사육환경과 같은 조건으로 계속해서 사육하였으며, 17일 후 수정란이 조에아로 부화함에 따라 조에아 유생을 200 L 플라스틱 수조에 옮겼다. 이때 조에아 유생이 옮겨진 수조에 담겨진 염수의 수온 및 염분 농도를 각기 상이하게 조절하였으며, 산소발생기를 이용해 약 6 mg/L 이상의 용존산소량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시험예_1>
시험예 1. 조에아 유생의 성장 시 수온 및 염분 농도 확인
조에아 유생의 적정 수온 및 염분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한 후 1일이 경과한 조에아 1기 유생을 대상으로 6 well 배양판(culture plate)에 염분 농도가 조절되고 산소를 포화시킨 사육수 10 ml를 넣은 후 각 well 당 5개체의 조에아 유생을 투입하였으며, 총 6개의 반복구를 두었다. 적응력 분석을 위한 수온은 22, 25, 28, 31, 34 ℃이었고, 염분 농도는 0, 5, 10, 15, 20, 25, 30, 35 psu로 설정한 후 수온과 염분 실험구를 상호 혼합하여 실험하였다.
도 2는 수온에 따른 염분농도 별 조에아 유생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에아 1기 유생의 수온 및 염분에 따른 생존율은 염분 농도 15 psu 이상인 모든 수온 실험구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반면, 수온에 상관없이 염분 농도 0 psu과 5 psu인 실험구에서는 조에아 유생이 전량 폐사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염분이 15 psu 이상이면 수온 범위(22 내지 34 ℃)에 관계없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22 내지 25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경우 및 26 내지 34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경우일 때 높은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수온의 경우에는 수온이 높을수록 용존산소 포화도 및 수질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22 내지 31 ℃가 바람직하다.
시험예 2. 조에아 유생에 공급되는 먹이생물의 밀도
조에아기의 먹이생물로는 로티퍼,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조에아기에 먹이생물의 적정 공급밀도를 알아보기 위해 25 ml 폴리에틸렌 병에 산소를 포화시킨 20 ml의 해수(염분 농도: 35 psu)를 채우고, 로티퍼는 2.5, 5, 10, 20, 40, 80, 160 개체/ml의 밀도로, 갓 부화한 알테이마 노우플리우스는 1, 2.5, 5, 10, 20, 40 개체/ml의 밀도로 넣었다. 각각의 밀도 실험구에 2개체의 조에아 유생을 넣은 다음 25 ℃로 조절된 항온배양기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5회의 반복 실험구를 두었다. 갯게는 조에아 시기에 4회의 탈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에아 4기까지 실험을 실시하였고, 탈피후 섭식량 감소를 감안하여 탈피 후 1일이 경과된 개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도 3은 조에아 Ⅰ기에서 Ⅳ기 순으로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인 로티퍼를 섭취하는 섭식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조에아 Ⅰ기에서 Ⅳ기 순으로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인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섭취하는 섭식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에아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로티퍼 섭식량이 증가하였고, 로티퍼 먹이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섭식량이 증가하였으나, 최고 밀도로 공급한 실험구는 오히려 낮은 섭식량을 보였다.
따라서, 로티퍼만을 공급하여 사육 시 조에아 Ⅰ기에는 10 내지 20 개체/ml, 조에아 Ⅱ기에는 20 내지 40 개체/ml, 조에아 Ⅲ기에는 40 내지 60 개체/ml, 조에아 Ⅳ기에는 60 내지 80 개체/ml로 공급할 때 최대 먹이 섭식량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조에아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량을 증가시키되 20 내지 80 개체/ml의 밀도로 공급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에아 유생이 성장하고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의 먹이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섭식량은 증가하였으나, 최대 먹이밀도에서는 오히려 섭식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만을 단독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조에아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밀도를 점차 증가시키되, 조에아 Ⅰ기에는 1 개체/ml, 조에아 Ⅱ기에는 1 내지 3 개체/ml, 조에아 Ⅲ기에는 3 내지 5 개체/ml, 조에아 Ⅳ기에는 5 내지 10 개체/ml를 공급할 때 최대 먹이 섭식량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조에아 성장 시 전체적으로 1 내지 10 개체/ml를 공급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에아 1기와 2기에는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섭식량이 적으므로 조에아 3기부터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공급한다.
한편, 조에아 유생의 먹이생물로 로티퍼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로티퍼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가 1 : 0.03 내지 0.2의 개체수비로 혼합된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로티퍼가 10 내지 40 개체/ml,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가 0.5 내지 5 개체/ml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실시예. 메갈로파기
3. 메갈로파 유생 사육관리
조에아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15일째에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하였으며, 이때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 후 수조에 담겨진 염수의 수온 및 염분 농도를 각기 상이하게 조절하였으며, 산소발생기를 이용해 약 6 mg/L 이상의 용존산소량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시험예_2>
시험예 3. 메갈로파 유생의 성장 시 수온 및 염분 농도 확인
메갈로파 유생의 적정 수온 및 염분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메갈로파로 변태된 후 1일이 경과한 메갈로파 유생을 대상으로 6 well 배양판(culture plate)에 염분 농도가 조절되고 산소를 포화시킨 사육수 10 ml를 넣은 후 각 well 당 1개체의 메갈로파 유생을 투입하였으며, 총 10개의 반복구를 두었다. 적응력 분석을 위한 수온은 22, 25, 28, 31, 34 ℃이었고, 염분 농도는 0, 5, 10, 15, 20, 25, 30, 35 psu로 설정한 후 수온과 염분 실험구를 상호 혼합하여 실험하였다.
도 5는 수온에 따른 염분농도 별 메갈로파 유생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갈로파 유생의 수온 및 염분에 따른 생존율은 염분 농도 15 psu 이상인 모든 수온 실험구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염분 농도가 높을수록 낮은 수온에서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염분 농도 0 psu인 모든 수온 실험구 및 염분 농도 5 psu이면서 34 ℃인 실험구에서는 메갈로파 유생이 전량 폐사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염분이 15 psu 이상이면 수온 범위(22 내지 34 ℃)에 관계없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22 내지 23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20 내지 35 psu인 경우, 24 내지 30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경우 및 31 내지 34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경우일 때 높은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수온의 경우에는 수온이 높을수록 용존산소 포화도 및 수질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22 내지 31 ℃가 바람직하다.
시험예 4. 메갈로파 유생에 공급되는 먹이생물의 밀도
메갈로파기의 먹이생물로는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의 공급 밀도를 파악하기 위해 25 ml 폴리에틸렌 병에 산소를 포화시킨 20 ml의 해수를 채우고, 갓 부화한 알테이마 노우플리우스를 1, 2.5, 5, 10, 20, 40 개체/ml의 밀도로 넣은 다음 1개체의 메갈로파 유생을 넣었다. 실험은 25 ℃로 조절된 항온배양기에서 실시하였으며, 5회의 반복 실험구를 두었다.
도 6은 메갈로파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인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섭취하는 섭식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갈로파 유생을 10 내지 20 개체/ml의 밀도로 넣었을 때 많은 양의 먹이를 섭식하였으며,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먹이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섭식량이 증가하였으나, 최고 밀도로 공급한 실험구는 오히려 낮은 섭식량을 보였다. 이에,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10 내지 20 개체/ml의 밀도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어린게
4. 어린게 사육관리
메갈로파 유생이 성장함에 따라 8일째에 어린 갯게로 변태하였으며, 이때 어린 갯게로 변태 후 수조에 담겨진 염수의 수온 및 염분 농도를 각기 상이하게 조절하였으며, 산소발생기를 이용해 약 6 mg/L 이상의 용존산소량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시험예_3>
시험예 5. 어린 갯게의 성장 시 수온 및 염분 농도 확인
어린 갯게의 적정 수온 및 염분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어린 갯게로 변태된 후 1일이 경과한 어린 갯게를 대상으로 6 well 배양판(culture plate)에 염분농도가 조절되고 산소를 포화시킨 사육수 10 ml를 넣은 후 각 well 당 1개체의 어린 갯게를 투입하였으며, 총 10개의 반복구를 두었다. 적응력 분석을 위한 수온은 22, 25, 28, 31, 34 ℃이었고, 염분 농도는 0, 5, 10, 15, 20, 25, 30, 35 psu로 설정한 후 수온과 염분 실험구를 상호 혼합하여 실험하였다.
도 7은 수온에 따른 염분농도 별 어린 갯게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 갯게의 수온 및 염분에 따른 생존율은 모든 수온과 모든 염분 농도의 실험구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성장함에 따라 염분 농도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든 수온 범위(22 내지 34 ℃)에 관계없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으나, 수온이 높을 경우 용존산소 포화도 및 수질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22 내지 31 ℃가 바람직하며, 염분 농도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6. 어린 갯게의 공식방지 방법 확인
서로 유생끼리 잡아먹는 공식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린 갯게의 효과적인 공식방지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5%의 차광률을 갖는 차광막 이외에 직경 2 mm 이하의 모래, 직경 5 내지 10 mm의 자갈, 직경 1cm 이상의 큰 자갈을 투입하여 생존율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가로 36 cm, 세로 28 cm, 높이 19 cm의 플라스틱 사각수조에 10 L의 해수를 채운 다음 50개체의 어린 갯게를 수용하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2주 동안 실험하였다.
도 8은 어린 갯게의 공식방지 방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을 투입한 두 실험구는 생존율이 모두 96.0% 이상으로써 가장 우수한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을 투입한 경우에는 갑장이 약 2.0 mm인 어린 갯게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했기 때문에 높은 생존율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아무것도 투입하지 않은 대조구는 생존율이 48.0%이며, 차광막(55% 차광률)을 설치한 실험구는 생존율이 84.0%이고, 직경이 2.0 mm 이하인 모래가 투입된 실험구는 생존율이 78.0%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모래를 투입한 실험구는 모래에서 어린 갯게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을 찾지 못하였고, 모래 속으로 잠입하기에는 힘이 미약하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어린 갯게 시기에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경 5 mm 이상의 자갈과 함께 차광막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6)

  1. (A) 어미 갯게를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14 내지 16시간의 명주기와 8 내지 10시간의 암주기를 28 내지 32일 동안 반복하여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외포란 개체를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15 내지 20일 동안 유지시켜 상기 수정란을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시키는 단계;
    (C) 상기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12 내지 18일 동안 유지시켜 집게발이 형성되는 메갈로파 유생으로 변태시키는 단계;
    (D) 상기 메갈로파 유생을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먹이를 공급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유지시켜 어린게로 변태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어린게를 직경 5 mm 이상의 자갈이 깔린 환경에서 20 내지 35 ℃의 수온으로 사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명주기의 조도는 900 내지 1500 Lu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10 내지 12 ℃에서 사육되던 어미 갯게를 바로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켜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부화된 조에아 유생을 염분의 농도가 10 psu 이상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조에아 유생은 22 내지 25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되거나, 26 내지 34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먹이는 로티퍼,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 갯게의 생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먹이는 10 내지 80 개체/ml의 로티퍼, 1 내지 10 개체/ml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 또는 로티퍼와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가 1 : 0.03 내지 0.2의 개체수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메갈로파 유생을 염분의 농도가 10 psu 이상인 염수하에서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메갈로파 유생은 22 내지 23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20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 24 내지 30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0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 또는 31 내지 34 ℃의 수온에서 염분의 농도가 15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먹이는 10 내지 20 개체/ml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은신처 제공을 위해 차광막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어린게는 20 내지 35 ℃의 수온에서 담수 또는 염분의 농도가 1 내지 35 psu인 염수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조개와 어린새우를 혼합한 혼합물을 먹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내지 (E)단계에서 물의 용존산소량은 4 내지 10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생산방법에 따라 실내에서 생산된 어린 갯게.
  16. 10 내지 12 ℃에서 사육되던 어미 갯게를 바로 23 내지 28 ℃의 수온에서 14 내지 16시간의 명주기와 8 내지 10시간의 암주기를 28 내지 32일 동안 반복하여 상기 어미 갯게의 배딱지에 수정란이 붙은 외포란 개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미 갯게의 조기 포란유도방법.
KR1020190047713A 2019-04-24 2019-04-24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KR10224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13A KR102241319B1 (ko) 2019-04-24 2019-04-24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13A KR102241319B1 (ko) 2019-04-24 2019-04-24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20A true KR20200124420A (ko) 2020-11-03
KR102241319B1 KR102241319B1 (ko) 2021-04-16

Family

ID=7319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713A KR102241319B1 (ko) 2019-04-24 2019-04-24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767A (zh) * 2020-12-11 2021-02-26 江苏省农业科学院宿迁农科所 一种基于全年上市的商品河蟹养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465B1 (ko) 2022-03-14 2022-11-25 이우석 대체불가토큰을 이용한 종자 가치 보전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7832A (ja) * 1992-01-27 1993-08-20 Kaiyo Kagaku Gijutsu Center ズワイガニの増養殖方法とその海底牧場
KR20080020810A (ko) * 2006-09-01 2008-03-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어(Konosirus punctatus)의 성성숙시기 제어를 통한 조기산란 유도 및 이를 이용한종묘생산방법
KR100991274B1 (ko) 2008-07-30 2010-11-01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KR101497119B1 (ko) 2013-02-18 2015-03-03 유병화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7832A (ja) * 1992-01-27 1993-08-20 Kaiyo Kagaku Gijutsu Center ズワイガニの増養殖方法とその海底牧場
KR20080020810A (ko) * 2006-09-01 2008-03-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어(Konosirus punctatus)의 성성숙시기 제어를 통한 조기산란 유도 및 이를 이용한종묘생산방법
KR100991274B1 (ko) 2008-07-30 2010-11-01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KR101497119B1 (ko) 2013-02-18 2015-03-03 유병화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767A (zh) * 2020-12-11 2021-02-26 江苏省农业科学院宿迁农科所 一种基于全年上市的商品河蟹养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319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gan et al. Development of spawning and mass larval rearing techniques for brackish-freshwater shrimps of the genus Macrobrachium (Decapoda: Palaemonidae)
Zhang et al. Aquaculture, stock enhancement, and restocking
CN102318576B (zh) 松江鲈鱼全程海水繁育方法
CN102440204B (zh) 一种黄姑鱼和大黄鱼混合育苗的方法
CN102144596B (zh) 圆斑星鲽雌鱼与条斑星鲽雄鱼杂交育种育苗方法
CN100370896C (zh) 半滑舌鳎的亲鱼培育方法
KR100872327B1 (ko) 전어(Konosirus punctatus)의 성성숙시기 제어를 통한 조기산란 유도 및 이를 이용한종묘생산방법
KR102241319B1 (ko)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JP4734509B2 (ja) スキャンピの養殖方法
CN1167334C (zh) 一种文蛤育苗越冬及中间育成方法
CN107155956B (zh) 一种玫瑰毒鮋的人工苗种培育方法
CN105557584A (zh) 一种松江鲈鱼全海水苗种繁育及室内工厂化养殖方法
CN107087560A (zh) 南美白对虾与金鲳鱼生态混养模式的建立及其应用
CN112568159A (zh) 一种有机虾养殖病害防控方法
Fourooghifard et al. Egg production and larval rearing of orange-spotted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using reared broodstocks in Hormozgan Province, Iran
JP2021503967A (ja) サケの卵を生産するための水産養殖プロセス
CN1799345A (zh) 条石鲷亲鱼培育及繁育方法
CN108522367B (zh) 一种褐菖鲉室内人工育苗的方法
CN112931332A (zh)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CN112970642A (zh) 一种有机虾种虾的培育方法
CN112772495A (zh) 一种无公害对虾种虾的培育方法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JP4262102B2 (ja) クマノミ類の生育方法および影響評価試験方法
Dewi et al. The performance of first generation Of domesticated javaean barb (Systomus orphoides) f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