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119B1 -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7119B1 KR101497119B1 KR1020130017234A KR20130017234A KR101497119B1 KR 101497119 B1 KR101497119 B1 KR 101497119B1 KR 1020130017234 A KR1020130017234 A KR 1020130017234A KR 20130017234 A KR20130017234 A KR 20130017234A KR 101497119 B1 KR101497119 B1 KR 101497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reeding
- crab
- larvae
- bab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700141 Rotif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38814 Orthopt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7646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5986 Chrysanthemum x morifolium Nutrition 0.000 claims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384 rea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500917 Megal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950 Hippophae rhamn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45 Hippophae rhamn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176 Digitaria c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98 Digitaria cili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6 Digitaria cruc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30 Digitaria didacty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23 Digitaria sangu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16 Eleusine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35 Megaloblas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02 crabgra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04 crabgra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8 larv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4 megal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의 참게 양식 장치 방법은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을 메갈로파기로 생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갈로파기 참게 유생에 바이오플락을 공급하면서 치게로 생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오플락을 메갈로파기 단계 이후에 생성 및 공급함으로써, 사육조의 해수 및 담수를 교환하지 않고도 사육수를 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플락을 메갈로파기 단계 이후에 생성 및 공급함으로써, 사육조의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교환하지 않고도 사육수를 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게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게(Mitten Crab)는 주로 강, 하천, 논 등에 서식하는 갑각류로서, 최근 농약이나 오폐수로 인해 그 생활터전이 오염되면서 어획량이 거의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러나, 게장이나 매운탕으로 대표되는 그 맛의 독특함으로 인해 참게를 다시 우리 밥상으로 올리려는 꾸준한 노력이 이어졌고, 현재에는 참게의 인공 양식이 실용화의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참게 인공 양식은 양식장(사육조)에 충전된 사육수(해수 및 담수)가 참게(이하, 참게 유생, 치게 등 포함)의 배설물이나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므로, 주기적으로 사육수를 갈아주어야만 하는데, 특히, 해수가 적조현상으로 인해 오염되거나 또는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경우, 참게가 집단 폐사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양식장 내부의 해수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해수를 바다로 무단 방류할 경우 반대로 바다가 오염될 수 있다.
상기 오염된 해수 및 참게의 배설물에 의한 참게의 집단 폐사를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를 공급하기도 하지만, 항생제 사용에 따른 사료 값이 상승하게 되어 양식어민의 부담이 가중되고, 항생제가 함유된 참게를 사람들이 취식함에 따른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양식장 내부의 오염된 바닷물을 여과해서 재사용하는 순환여과식(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RAS) 장치가 사용되기도 하나, 별도의 추가 장치 및 공정에 따른 양식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교환하지 않고도 사육수를 정화할 수 있는 참게 양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육수 교환에 따른 참게 유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참게 양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가 장치 및 공정 없이 경제적으로 참게를 양식할 수 있는 참게 양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참게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참게 양식 방법은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을 메갈로파기로 생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갈로파기 참게 유생에 바이오플락을 공급하면서 치게로 생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은 염도 20 내지 40 ‰의 해수 및 로티퍼를 포함하는 사료를 공급하며 생장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바이오플락은 상기 참게 유생이 메갈로파기로 생장 시, 해수 공급을 중단하고, 사료 및 담수를 공급하며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사육수의 산소 농도가 5 내지 7 ppm이 되도록 유지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담수는 상기 사육수의 염도가 10 내지 20 ‰이 되도록 공급되는 것이고, 상기 사료는 알테미아를 포함하는 생사료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치게는 상기 바이오플락이 가라앉지 않도록 물을 순환시키며, 생장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치게는 사육수의 염도가 3 내지 5 ‰이 되도록 사육조에 담수 및 조개, 어린 새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생장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사육조의 물을 배수 및 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교환하지 않고도 사육수를 정화할 수 있고, 사육수 교환에 따른 참게 유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가 장치 및 공정 없이 경제적으로 참게를 양식할 수 있는 참게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참게(Mitten Crab) 양식 방법은 (a) 조에아(zoea)기의 참게 유생을 메갈로파(megalopa)기로 생장시키는 단계(조에아기 단계); 및 상기 메갈로파기 참게 유생에 바이오플락(biofloc)을 공급하면서 치게로 생장시키는 단계(메갈로파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에아기 단계(a)는 참게의 알에서 부화된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을 메갈로파기의 참게 유생으로 생장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은 플랑크톤 크기 정도이며, 유영 생활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 1, 2, 3기로 나뉘기도 한다. 상기 조에아기 단계는 통상의 참게 양식 방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육조에 염도 2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8 ‰의 해수 및 플랑크톤의 일종인 로티퍼(rotifer) 등을 포함하는 사료를 공급하며 생장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해수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부화 후 3일 후부터 깨끗한 해수를 하루에 한 번씩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해수의 온도는 15 내지 25℃일 수 있고, 사육수(해수)의 산소 농도가 1 내지 10 ppm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조에아기 단계는 통상 9 내지 11일 정도 소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메갈로파기 단계(b)는 메갈로파기의 참게 유생을 치게로 생장시키는 단계로서, 사육조의 사육수를 버리거나 갈아주지 않고 사육수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바이오플락(biofloc)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갈로파기의 참게 유생은 모기 형상을 가지며, 모기 새끼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유영 생활을 한다.
상기 바이오플락은 참게(참게 유생, 치게 포함)의 배설물, 사료 찌꺼기 등의 바이오매스(biomass)를 섭식(소비 또는 분해)하여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해수 공급을 중단하고, 사료 및 담수를 공급하면서,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3℃의 온도에서, 사육수의 산소 농도가 5 내지 7 pp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ppm이 되도록 유지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이오플락은 상기 조건에서 약 10일 후 생성될 수 있으며, 바이오플락 생성 정도에 따라, 사육수(해수 및 담수)의 색은 투명에서 오렌지색, 오렌지색에서 황토색, 황토색에서 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 통상 사육수의 색 변화는 각각 약 5일이 걸릴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담수는 염도가 10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이 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육조의 해수와 공급되는 담수의 비율은 약 1:1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갈로파기 단계의 사료는 알테미아(altemia) 등을 포함하는 생사료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갈로파기 단계 이후에 상기 과정에서 생성된 바이오플락 외에, 외부에서 따로 제조된 바이오플락을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메갈로파기 단계는 통상 15 내지 18일 정도 소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참게 양식 방법은 (c) 상기 치게를 상기 바이오플락이 가라앉지 않도록 물을 순환시키며 생장시키는 단계(치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게 단계(c)는 치게를 참게, 바람직하게는 참게 성체의 중간크기를 갖는 참게로 생장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바이오플락을 유지하여, 사육조의 사육수를 버리거나 갈아주지 않고 사육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치게(어린 게)는 어린 게의 형상을 가지며, 다리 10개로 기어 다닐 수 있다.
상기 치게 단계에서는 상기 바이오플락이 가라앉지 않도록 물을 순환시키며 생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사육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플락은 폭기 시에도, 사육조 밑에서 상승하는 공기에 의해서도 바이오매스 등과 같이 부유하여 침전이 방지될 수 있으나, 유동 발생부 등에 의해 물(사육수)이 순환 시, 바이오플락의 활동성이 더욱 증가하고, 사육수의 산소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치게 단계는 염도가 3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이 되도록 사육조에 담수 및 조개, 어린 새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배합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치게 시기의 참게부터는 성체에 가깝기 때문에 크기가 큰 배합사료가 공급되며, 이로 인해 배설물, 침전물 등의 크기 및 양이 증가하고, 슬러지가 많이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이 물의 순환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성체의 중간크기를 갖는 참게는 사육수의 온도를 25 내지 35℃로 올린 후, 생장시킬 수 있다. 이 시기에도 사육수에 흐름을 발생시켜 바이오플락, 침전물, 슬러지 등을 부유 및 순환시킴으로써, 사육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따라, 본 발명의 참게 양식 방법은 참게 유생이 참게로 완전히 성장할 때까지, 사육조의 물(사육수)을 배수 및 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조에아기
참게 유생의
바이오플락
유무에 따른 생존 미수 평가
6개의 사육조에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 3,000 미수를 사육하였다. 이때, 바이오플락을 생성하지 않은 사육수(해수)를 사용한 사육조가 3개였고(실시예 1 내지 3),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해수)를 사용한 사육조가 3개였다(비교예 1 내지 3). 상기 각 사육수의 염도는 20 내지 40 ‰이었고, 상기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는 사육수를 20℃에서 사육수 산소 농도가 7 ppm이 되도록 10일 이상 유지하여, 사육수의 색이 갈색이 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육수 온도를 15 내지 25℃로 동일하게 설정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생존 미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비교예 | |||||
일수(일) | 1 | 2 | 3 | 1 | 2 | 3 |
1 | 3,000 | 3,000 | 3,000 | 3,000 | 3,000 | 3,000 |
2 | 2,985 | 2,990 | 2,989 | 2,740 | 2,704 | 2,651 |
3 | 2,965 | 2,988 | 2,985 | 2,610 | 2,610 | 2,450 |
4 | 2,954 | 2,985 | 2,965 | 2,422 | 2,354 | 2,140 |
5 | 2,941 | 2,978 | 2,943 | 2,155 | 2,055 | 1,841 |
6 | 2,933 | 2,970 | 2,921 | 1,921 | 1,905 | 1,742 |
7 | 2,925 | 2,968 | 2,896 | 1,740 | 1,723 | 1,642 |
8 | 2,918 | 2,962 | 2,887 | 1,468 | 1,457 | 1,421 |
9 | 2,915 | 2,958 | 2,877 | 1,245 | 1,320 | 1,241 |
10 | 2,910 | 2,958 | 2,865 | 1,045 | 1,089 | 1,002 |
11 | 2,895 | 2,953 | 2,845 | 899 | 812 | 851 |
12 | 2,890 | 2,949 | 2,834 | 748 | 715 | 641 |
13 | 2,869 | 2,946 | 2,815 | 625 | 601 | 453 |
14 | 2,864 | 2,945 | 2,798 | 458 | 441 | 385 |
15 | 2,833 | 2,940 | 2,776 | 302 | 274 | 324 |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조에아기의 참게는 바이오플락이 생성되지 않은 사육수에서의 생존률이 약 95% 이상이고(실시예 1 내지 3),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에서의 생존률이 약 10%(비교예 1 내지 3)임을 알 수 있다. 즉, 조에아기의 참게는 바이오플락이 형성되지 않은 해수에서 사육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4 내지 6:
메갈로파기
참게 유생의
바이오플락
유무에 따른 생존 미수 평가
6개의 사육조에 메갈로파기의 참게 유생 3,000 미수를 사육하였다. 이때,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사용한 사육조가 3개였고(실시예 4 내지 6), 바이오플락을 생성하지 않은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사용한 사육조가 3개였다(비교예 4 내지 6). 상기 각 사육수의 염도는 10 내지 20 ‰이었고, 상기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는 사육수를 20℃에서 사육수 산소 농도가 7 ppm이 되도록 10일 이상 유지하여, 사육수의 색이 갈색이 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육수 온도를 15 내지 25℃로 동일하게 설정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생존 미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비교예 | |||||
일수(일) | 4 | 5 | 6 | 4 | 5 | 6 |
1 | 3,000 | 3,000 | 3,000 | 3,000 | 3,000 | 3,000 |
2 | 2,985 | 2,996 | 2,985 | 2,874 | 2,855 | 2,890 |
3 | 2,971 | 2,994 | 2,965 | 2,658 | 2,741 | 2,698 |
4 | 2,966 | 2,991 | 2,945 | 2,451 | 2,544 | 2,588 |
5 | 2,953 | 2,988 | 2,935 | 2,265 | 2,354 | 2,365 |
6 | 2,945 | 2,981 | 2,911 | 2,058 | 2,158 | 2,258 |
7 | 2,933 | 2,975 | 2,905 | 1,914 | 1,945 | 2,145 |
8 | 2,925 | 2,972 | 2,890 | 1,758 | 1,754 | 2,054 |
9 | 2,910 | 2,967 | 2,875 | 1,589 | 1,640 | 1,985 |
10 | 2,895 | 2,964 | 2,865 | 1,457 | 1,488 | 1,878 |
11 | 2,887 | 2,955 | 2,858 | 1,305 | 1,329 | 1,685 |
12 | 2,873 | 2,945 | 2,845 | 1,205 | 1,154 | 1,458 |
13 | 2,865 | 2,942 | 2,815 | 1,098 | 980 | 1,354 |
14 | 2,845 | 2,939 | 2,801 | 1,010 | 878 | 1,124 |
15 | 2,838 | 2,936 | 2,779 | 912 | 785 | 1,020 |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메갈로파기의 참게는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에서의 생존률이 약 95%이고(실시예 4 내지 6), 바이오플락이 생성되지 않은 사육수에서의 생존률이 약 30%(비교예 4 내지 6)임을 알 수 있다. 즉, 메갈로파기의 참게는 조에아기의 참게와는 반대로 바이오플락이 형성된 사육수에서 사육해야 함을 알 수 있고, 이는 바이오플락이 사육수를 정화시킴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7 내지 9:
치게의
바이오플락
유무에 따른 생존 미수 평가
6개의 사육조에 치게 시기의 참게 3,000 미수를 사육하였다. 이때,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사용한 사육조가 3개였고(실시예 7 내지 9), 바이오플락을 생성하지 않은 사육수(해수 및 담수)를 사용한 사육조가 3개였다(비교예 7 내지 9). 상기 각 사육수의 염도는 3 내지 5 ‰이었고, 상기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는 사육수를 20℃에서 사육수 산소 농도가 7 ppm이 되도록 10일 이상 유지하여, 사육수의 색이 갈색이 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육수 온도를 15 내지 25℃로 동일하게 설정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생존 미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비교예 | |||||
일수(일) | 7 | 8 | 9 | 7 | 8 | 9 |
1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10 | 285 | 295 | 297 | 235 | 225 | 215 |
20 | 280 | 285 | 296 | 154 | 172 | 145 |
30 | 278 | 282 | 293 | 85 | 105 | 84 |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치게는 바이오플락이 생성된 사육수에서의 생존률이 약 95%이고(실시예 7 내지 9), 바이오플락이 생성되지 않은 사육수에서의 생존률이 약 30%(비교예 7 내지 9)임을 알 수 있다. 즉, 치게는 조에아기의 참게와는 반대로 바이오플락이 형성된 사육수에서 사육해야 함을 알 수 있고, 이는 바이오플락이 사육수를 정화시킴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7)
-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을 메갈로파기로 생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갈로파기 참게 유생에 바이오플락을 공급하면서 치게로 생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게 양식 방법이며,
상기 바이오플락은 상기 참게 유생이 메갈로파기로 생장 시, 해수 공급을 중단하고, 사료 및 담수를 공급하며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사육수의 산소 농도가 5 내지 7 ppm이 되도록 유지하여 생성시키는 것이며,
상기 방법은 사육조의 물을 배수 및 교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게 양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에아기의 참게 유생은 염도 20 내지 40 ‰의 해수 및 로티퍼를 포함하는 사료를 공급하며 생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게 양식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는 상기 사육수의 염도가 10 내지 20 ‰이 되도록 공급되는 것이고, 상기 사료는 알테미아를 포함하는 생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게 양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게는 상기 바이오플락이 가라앉지 않도록 물을 순환시키며, 생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게 양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게는 사육수의 염도가 3 내지 5 ‰이 되도록 사육조에 담수 및 조개, 어린 새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생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게 양식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7234A KR101497119B1 (ko) | 2013-02-18 | 2013-02-18 |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7234A KR101497119B1 (ko) | 2013-02-18 | 2013-02-18 |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4077A KR20140104077A (ko) | 2014-08-28 |
KR101497119B1 true KR101497119B1 (ko) | 2015-03-03 |
Family
ID=5174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7234A KR101497119B1 (ko) | 2013-02-18 | 2013-02-18 |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71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2032A (ko) | 2015-06-29 | 2017-01-0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제식 새우 양식장의 관리시스템 |
KR20200124420A (ko) | 2019-04-24 | 2020-11-03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21974A (zh) * | 2014-10-14 | 2014-12-24 | 石日福 | 一种对虾养殖方法 |
CN105935042A (zh) * | 2016-05-30 | 2016-09-14 | 铜陵东晟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 锯缘青蟹养殖技术 |
CN110012855A (zh) * | 2019-01-18 | 2019-07-16 | 上海海洋大学 | 一种高沙土地区池塘养殖成蟹的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5219A (ko) * | 2003-07-07 | 2005-01-13 | 황승국 | 참게를 위한 양식 방법과 양식장 |
KR100991274B1 (ko) * | 2008-07-30 | 2010-11-01 |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
-
2013
- 2013-02-18 KR KR1020130017234A patent/KR1014971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5219A (ko) * | 2003-07-07 | 2005-01-13 | 황승국 | 참게를 위한 양식 방법과 양식장 |
KR100991274B1 (ko) * | 2008-07-30 | 2010-11-01 |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Roselien crab et al. Biofloc technology in aquaculture:Beneficial effects and future challenges. Aquaculture. 2012. 5. 8. 356~357.(게재) * |
안준황, 박동기. 2004년도 시험연구사업 보고서(동남참게 시험 인공종묘 생산).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민물고기연구센터. 2004.12. 27~33.(발행)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2032A (ko) | 2015-06-29 | 2017-01-0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제식 새우 양식장의 관리시스템 |
KR20200124420A (ko) | 2019-04-24 | 2020-11-03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
KR102241319B1 (ko) | 2019-04-24 | 2021-04-16 |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4077A (ko) | 2014-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15346B (zh) | 南美白对虾的淡水养殖方法 | |
KR101497119B1 (ko) |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참게 양식 방법 | |
CN106818573B (zh) | 一种海捕野生梭子蟹沙池育肥养殖方法 | |
CN107751067B (zh) | 一种全雄罗氏沼虾的繁育方法 | |
JP2017148007A (ja) | 魚類種苗の育成システム | |
CN104542407B (zh) | 一种泥鳅苗种二级培育的方法 | |
JP5802941B2 (ja) | マシジミ飼育ビオトープキット | |
CN1745725A (zh) |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 |
JP7169502B2 (ja) | 水産動物の養殖方法 | |
CN111771772A (zh) | 一种石斑鱼育苗方法 | |
Liu et al. | Sea urchin aquaculture in China | |
JP2002010723A (ja) | 魚介類養殖装置 | |
CN107114283B (zh) | 一种棘头梅童鱼的人工繁育方法 | |
CN109122443B (zh) | 澳洲淡水龙虾循环水抱卵孵化系统及育苗方法 | |
Zhang | Influence of the artificial substrates on the attachment behavior of Litopenaeus vannamei in the intensive culture condition | |
Shakir et al. |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performance in Penaeus monodon | |
CN110250047B (zh) | 一种工厂化养殖四指马鲅的方法 | |
CN104872013A (zh) | 石斑鱼养殖方法和系统 | |
JP6799887B2 (ja) | 食用ガエルを養殖するための飼育水の循環システム | |
Oniam et al. | Effect of feeding frequency and various shelter of blue swimming crab larvae, Portunus pelagicus (Linnaeus, 1758). | |
CN112931332A (zh) |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 |
KR101839314B1 (ko) |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 |
KR101839315B1 (ko) |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 |
CN104381157A (zh) | 一种室内水体分段式海鱼鱼苗繁育方法 | |
JP7079302B2 (ja) | 食用ガエルの餌を養殖するための飼育水の循環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