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13A -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13A
KR20200124113A KR1020190047575A KR20190047575A KR20200124113A KR 20200124113 A KR20200124113 A KR 20200124113A KR 1020190047575 A KR1020190047575 A KR 1020190047575A KR 20190047575 A KR20190047575 A KR 20190047575A KR 20200124113 A KR20200124113 A KR 2020012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case
oil pump
fluid passage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희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113A/ko
Publication of KR2020012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5Engine and gearing, i.e. joint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01M2001/0207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mp
    • F01M2001/0238Rot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엔진회전수에 따라 오일펌프의 오일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른 오일 토출유량이 결정됨에 따라 오일펌프의 효율이 향상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OIL PUMP WITH FLUID DISCHARGE FLOW CONTROL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오일펌프의 오일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오일펌프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자동변속기와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변속제어와 윤활을 위한 유압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압의 생성을 위해 오일펌프가 마련되며, 오일펌프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유압이 자동변속기에 공급됨에 따라 자동변속기의 원활한 변속이 수행된다.
다만, 자동변속기는 낮은 RPM에서는 많은 오일의 토출유량이 필요하지만, 특정 RPM 이상부터는 오일의 토출유량이 크게 필요로하지 않음에 따라 불필요한 동력손실이 발생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오일펌프는 엔진과 기계적으로 직결되어 있음에 따라, RPM에 따른 토출유량 제어가 불가하다. 즉, 기계식 오일펌프는 필요한 유압과 관계없이 항상 엔진의 RPM과 동일한 속도로 작동하기 때문에 오일의 토출유량이 과도함에 따른 유압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77715 A (2017.07.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일펌프의 오일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오일펌프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는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유압이 유통되는 유체통로가 구비된 샤프트; 오일펌프 내부의 아우터로터에 치합되는 이너로터가 구비되고, 샤프트가 관통되어 통과됨에 따라 샤프트와 상대 회전되며, 샤프트의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기어케이스; 및 기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샤프트와 기어케이스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유체통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량에 따라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조절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한다.
동력전달기구는, 샤프트와 기어케이스에 연결되어 치합상태에 따라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조절하는 클러치기구; 및 기어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클러치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유체통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량에 따라 샤프트에서 왕복운동되어 클러치기구의 치합 상태를 변화시키는 피스톤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러치기구는 샤프트에 결합된 허브와 기어케이스에 결합된 클러치로 구성되고, 피스톤기구가 이동되어 클러치기구를 가압시 허브와 클러치가 치합됨에 따라 샤프트의 엔진 동력이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스톤기구는,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클러치기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클러치기구 사이로 유압공간을 형성하며 유체통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되어 클러치기구를 가압하거나 클러치기구에서 이격되는 피스톤; 및 오일펌프 내부에 고정되고 피스톤을 탄발 지지하여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피스톤이 클러치기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시스템은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유압이 유통되는 유체통로가 구비된 샤프트; 오일펌프 내부의 아우터로터에 치합되는 이너로터가 구비되고, 샤프트가 관통되어 통과됨에 따라 샤프트와 상대 회전되며, 샤프트의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기어케이스; 기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샤프트와 기어케이스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유압이 미제공되는 경우 샤프트에서 기에커이스로 엔진 동력이 모두 전달되도록 하고, 유압이 제공되는 경우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의 일부가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기구; 샤프트의 유체통로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유압공급부를 제어하여 유압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엔진회전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엔진회전수가 기설정된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공급부를 제어하여 유체통로를 통해 동력전달기구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엔진회전수가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공급부를 제어하여 유체통로를 통해 동력전달기구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되 엔진회전수에 따른 유압량 맵데이터를 토대로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은 엔진회전수에 따라 오일펌프의 오일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른 오일 토출유량이 결정됨에 따라 오일펌프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토출오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토출오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유압이 유통되는 유체통로(120)가 구비된 샤프트(100); 오일펌프(1000) 내부의 아우터로터에 치합되는 이너로터(210)가 구비되고, 샤프트(100)가 관통되어 통과됨에 따라 샤프트(100)와 상대 회전되며, 샤프트(100)의 유체통로(120)와 연통되는 내부공간(220)이 마련된 기어케이스(200); 및 기어케이스(200)의 내부공간(220)에 마련되어 유체통로(120)와 연결되고,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유체통로(12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량에 따라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조절하는 동력전달기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일펌프(1000)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100)에 연결되는 이너로터(210)가 구비된 기어케이스(200)가 샤프트(100)의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아우터로터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오일의 흡입 및 토출 동작을 통한 유압이 생성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는 동력전달기구(300)에 의해 엔진 동력의 전달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100)와 이너로터(210)가 구비된 기어케이스(200)는 동력전달기구(300)를 통해 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동력전달기구(300)는 샤프트(1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그대로 전달하거나 감쇠시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오일펌프(1000)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그대로 출력하거나 감쇠하여 출력 가능함으로써, 엔진회전수에 따라 요구되는 오일의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오일펌프(1000)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동력전달기구(300)는,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에 연결되어 치합상태에 따라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조절하는 클러치기구(310); 및 기어케이스(200)의 내부공간(220)에서 클러치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유체통로(12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량에 따라 샤프트(100)에서 왕복운동되어 클러치기구(310)의 치합 상태를 변화시키는 피스톤기구(320);를 포함한다.
이렇게, 동력전달기구(300)는 클러치기구(310)와 피스톤기구(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러치기구(310)의 경우 다수의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클러치가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에 각기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치합시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엔진 동력이 전달된다.
피스톤기구(320)의 경우 기어케이스(200)의 내부공간(220)에서 클러치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샤프트(100)에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피스톤기구(320)는 유체통로(12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샤프트(100)를 따라 왕복운동되며, 클러치기구(310)를 밀어줄 경우 클러치기구(310)가 치합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클러치기구(310)에서 이격시 클러치기구(310)가 단속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클러치기구(310)는 샤프트(100)에 결합된 허브(311)와 기어케이스(200)와 허브(311)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312)로 구성되고, 피스톤기구(320)가 이동되어 클러치기구(310)를 가압시 클러치기구(310)에 의해 기어케이스(200)와 허브(311)가 연결됨에 따라 샤프트(100)의 엔진 동력이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311)와 기어케이스(200)를 연결하는 클러치(312)의 경우 다판 클러치 구조와 같이 다수로 이루어져 상호 포개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러치기구(310)는 클러치(312)의 치합 여부에 따라 허브(311)와 기어케이스(200)가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피스톤기구(320)에 연동되어 클러치(312)의 치합시 샤프트(100)의 엔진 동력이 기어케이스(2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312)가 반클러치 상태로 슬립될 경우 엔진 동력의 일부만이 샤프트(100)를 통해 기어케이스(2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클러치(312)의 치합 상태가 해제되면 허브(311)와 기어케이스(200) 서로 단속되어 엔진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피스톤기구(320)는, 샤프트(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클러치기구(3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클러치기구(310) 사이로 유압공간(322)을 형성하며 유체통로(120)를 통해 제공된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되어 클러치기구(310)를 가압하거나 클러치기구(310)에서 이격되는 피스톤(321); 및 오일펌프(1000) 내부에 고정되고 피스톤(321)을 탄발 지지하여 피스톤(321)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피스톤(321)이 클러치기구(310)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피스톤기구(320)는 피스톤(321)과 탄성체(322)로 구성되며, 피스톤(321)이 탄성체(322)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기구(310)를 가압함으로써, 클러치기구(310)가 치합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샤프트(100)의 엔진 동력이 기어케이스(2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피스톤(321)의 경우 샤프트(1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기어케이스(200)와 상대회전되거나 기어케이스(200)에 연결되어 기어케이스(20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321)은 클러치기구(3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클러치기구(310)와 마주하는 사이에 유체통로(120)를 통해 제공된 유압이 채워지는 유압공간을 형성한다. 탄성체(322)의 경우 오일펌프(1000) 내부에 고정되거나 변속기케이스에 지지될 수 있고,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피스톤(321)을 클러치기구(310) 측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21)이 탄성체(322)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기구(31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피스톤(321)이 클러치기구(310)를 가압하여 클러치기구(310)가 치합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100)의 엔진 동력이 클러치기구(310)를 통해 기어케이스(200)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는 함께 회전되어 엔진 동력에 따른 오일 토출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통판(321)이 유압에 의해 탄성체(322)를 가압하면서 밀리게 되고, 피스톤(321)이 클러치기구(310)의 반대편으로 이동됨에 따라 클러치기구(310)의 치합상태가 슬립상태로 전환된다. 이렇게, 클러치기구(310)의 슬립에 의해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이 감소되고 기어케이스(2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됨에 따라 불필요한 오일 토출유량이 최소화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1000)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유압이 유통되는 유체통로(120)가 구비된 샤프트(100); 오일펌프(1000) 내부의 아우터로터에 치합되는 이너로터(210)가 구비되고, 샤프트(100)가 관통되어 통과됨에 따라 샤프트(100)와 상대 회전되며, 샤프트(100)의 유체통로(120)와 연통되는 내부공간(220)이 마련된 기어케이스(200); 기어케이스(200)의 내부공간(220)에 마련되어 유체통로(120)와 연결되고,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유압이 미제공되는 경우 샤프트(100)에서 기에커이스로 엔진 동력이 모두 전달되도록 하고, 유압이 제공되는 경우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의 일부가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기구(300); 샤프트(100)의 유체통로(12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400); 및 유압공급부(400)를 제어하여 유압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샤프트(100)와 기어케이스(200)는 동력전달기구(300)에 의해 엔진 동력의 전달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100)와 이너로터(210)가 구비된 기어케이스(200)는 동력전달기구(300)를 통해 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동력전달기구(300)는 샤프트(1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그대로 전달하거나 감쇠시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기구(300)는 유체통로(120)를 통해 유압 제공여부에 따라 샤프트(100)의 회전 동력이 조절되어 기어케이스(200)에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샤프트(100)의 유체통로(120)에는 유압공급부(400)가 연결됨으로써, 유압공급부(400)의 동작에 의해 유체통로(120)를 통해 유압이 공급된다. 여기서, 유압공급부(400)는 오일펌프(1000)의 동작에 의해 순환되는 오일을 공급하거나 별도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오일 유압량의 조절을 위해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공급부(4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유압 공급량이 조절됨으로써,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른 유압 공급량에 따라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이 그대로 출력되도록 하거나 감소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엔진회전수에 따른 오일의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오일펌프(1000)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500)는 엔진회전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엔진회전수가 기설정된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공급부(400)를 제어하여 유체통로(120)를 통해 동력전달기구(300)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에는 설정회전수가 기설정되며, 엔진회전수가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체통로(120)를 통해 동력전달기구(300)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회전수는 엔진회전수가 높아지는 고RPM영역으로서, 오일의 오출유량이 불필요한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엔진회전수가 설정회전수에 도달시, 유체통로(120)를 통해 동력전달기구(300)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100)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 동력의 일부만이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오일 토출유량이 불필요한 시점에서 오일 토출유량이 저감됨에 따라 오일펌프(1000) 손실이 저감된다. 이는, 동력전달기구(300)가 다판클러치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성적으로 클러치 치합상태가 유지되며, 유체통로(120)를 통해 유압 제공시 클러치가 슬립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엔진회전수가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공급부(400)를 제어하여 유체통로(120)를 통해 동력전달기구(300)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되 엔진회전수에 따른 유압량 맵데이터를 토대로 샤프트(100)에서 기어케이스(20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량 맵데이터는 자동변속기가 요구하는 오일유량에 따른 데이터이며, 엔진회전수가 높아지더라도 자동변속기에서 요구되는 오일유량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자동변속기 사양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값이다.
이를 통해, 제어부(500)는 엔진회전수가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량 맵데이터를 토대로 유압공급부(400)를 제어함으로써, 오일 토출유량이 불필요한 시점에서 오일 토출유량이 저감되도록 하여, 불필요 구동토크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에는 엔진회전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오일 토출유량도 함께 증가되는 반면, 본 발명은 엔진회전수가 오일 토출유량이 불필요한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동력전달기구(300)의 제어를 통해 샤프트(100)의 엔진 동력이 기어케이스(200)에 일부만 전달됨에 따라 오일 토출유량이 엔진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지 않고 적정 수준을 유지한다. 이로 인해, 엔진회전수에 비례하여 과도한 오일 토출유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일펌프(1000)의 손실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1000)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은 엔진회전수에 따라 오일펌프의 오일 토출유량을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른 오일 토출유량이 결정됨에 따라 오일펌프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0:오일펌프 100:샤프트
120:유체통로 200:기어케이스
210:이너로터 220:내부공간
300:동력전달기구 310:클러치기구
311:허브 312:클러치
320:피스톤기구 321:피스톤
322:탄성체 400:유압공급부
500:제어부

Claims (7)

  1.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유압이 유통되는 유체통로가 구비된 샤프트;
    오일펌프 내부의 아우터로터에 치합되는 이너로터가 구비되고, 샤프트가 관통되어 통과됨에 따라 샤프트와 상대 회전되며, 샤프트의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기어케이스; 및
    기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샤프트와 기어케이스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유체통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량에 따라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조절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기구는,
    샤프트와 기어케이스에 연결되어 치합상태에 따라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조절하는 클러치기구; 및
    기어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클러치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유체통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량에 따라 샤프트에서 왕복운동되어 클러치기구의 치합 상태를 변화시키는 피스톤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클러치기구는 샤프트에 결합된 허브와 기어케이스와 허브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로 구성되고, 피스톤기구가 이동되어 클러치기구를 가압시 클러치기구에 의해 기어케이스와 허브가 연결됨에 따라 샤프트의 엔진 동력이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피스톤기구는,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클러치기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클러치기구 사이로 유압공간을 형성하며 유체통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되어 클러치기구를 가압하거나 클러치기구에서 이격되는 피스톤; 및
    오일펌프 내부에 고정되고 피스톤을 탄발 지지하여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피스톤이 클러치기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5. 엔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유압이 유통되는 유체통로가 구비된 샤프트;
    오일펌프 내부의 아우터로터에 치합되는 이너로터가 구비되고, 샤프트가 관통되어 통과됨에 따라 샤프트와 상대 회전되며, 샤프트의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기어케이스;
    기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샤프트와 기어케이스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유압이 미제공되는 경우 샤프트에서 기에커이스로 엔진 동력이 모두 전달되도록 하고, 유압이 제공되는 경우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의 일부가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기구;
    샤프트의 유체통로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유압공급부를 제어하여 유압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어부는 엔진회전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엔진회전수가 기설정된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공급부를 제어하여 유체통로를 통해 동력전달기구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부는 엔진회전수가 설정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유압공급부를 제어하여 유체통로를 통해 동력전달기구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되 엔진회전수에 따른 유압량 맵데이터를 토대로 샤프트에서 기어케이스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시스템.
KR1020190047575A 2019-04-23 2019-04-23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200124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75A KR20200124113A (ko) 2019-04-23 2019-04-23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75A KR20200124113A (ko) 2019-04-23 2019-04-23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13A true KR20200124113A (ko) 2020-11-02

Family

ID=7339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75A KR20200124113A (ko) 2019-04-23 2019-04-23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1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715A (ko) 2015-12-28 2017-07-0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오일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715A (ko) 2015-12-28 2017-07-0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오일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365A (en) Power train
US8905212B2 (en) Synchro-lock clutch-combination friction and mechanical locking clutch
CN102165222B (zh) 动力传递装置和安装该动力传递装置的车辆
JP5445045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EP1521003A1 (en) Oil measurement system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JP2009243640A (ja) 発進装置の油圧制御装置
SE515747C2 (sv) Hydrauliskt reglersystem för en fordonstransmission
EP2063153A3 (en) Clutch control system for transmission
RU2010149040A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масл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рансмисс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трансмиссия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систему подачи масла
CN104160180A (zh) 用于具有发动机的车辆传动系的液压致动无级变速器
CN110864105A (zh) 用于双离合器变速器的液压系统
KR20200124113A (ko) 오일토출유량 제어가 가능한 오일펌프 및 그에 따른 시스템
JP2013213543A (ja) 変速機の潤滑油供給装置
JP2011052795A (ja) 車両用伝動機構の油圧制御装置
KR101916183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EP1630457B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20060134423A (ko) 이중 클러치를 사용하는 변속기 제어 방법
JP5267258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5910760B2 (ja) 油圧制御装置
RU2816962C1 (ru) Насосная станция
KR20190040670A (ko) 자동변속기 제어를 위한 유압제어 시스템
KR100551080B1 (ko) 자동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압력조절밸브
JP5423436B2 (ja) 油圧制御装置
KR20220086091A (ko) 전기 자동차용 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CN110454515A (zh) 一种离合装置、变速箱及电动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