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962A - 루프 랙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루프 랙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962A
KR20200123962A KR1020190047178A KR20190047178A KR20200123962A KR 20200123962 A KR20200123962 A KR 20200123962A KR 1020190047178 A KR1020190047178 A KR 1020190047178A KR 20190047178 A KR20190047178 A KR 20190047178A KR 20200123962 A KR20200123962 A KR 20200123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ack
hook
fastening structure
ho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619B1 (ko
Inventor
박상현
이만수
권주현
강용한
이승열
이욱희
정용우
조언연
황용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1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key-typ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제1측판, 제2측판, 두 측판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루프 랙에 고정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와 연결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후킹 구조물; 차량 상부에 설치되고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 랙 마운팅 구조{Roof rack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루프 랙의 A/S 커버(캡) 삭제를 위한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루프 랙(roof rack)은 차량 상부에 짐을 적재하기 위한 기능성 부품으로서, 차량의 지붕 상면인 루프 패널(roof panel)에 고정되고, 캠핑 장비 및 스키와 같은 레저 장비 등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이 루프 랙에 적재된다. 요즘에는 레저용 차량(SUV: Sport Utility Vehicle, RV: Recreational Vehicle)의 대중화 및 캠핑 등의 레저 여행의 붐과 함께 루프 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차량용 루프 랙은 마운팅 볼트(mounting bolt) 등을 통해 루프 랙의 레일부를 차량의 루프 패널에 직접 고정하였는데, 마운팅 볼트가 레일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운팅 볼트 설치 영역에 캡(cap)을 장착하여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캡은 루프 랙의 외관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루프 랙은 차체 마운팅 후, 외관 노출부(루프 랙 상단)에 장착되는 캡으로 인해, ① 외관 고급감 저하가 발생하고, 실내 마운팅 방식 사용 시, ② 라인 조립성 저하, ③ 리페어, ④ A/S 어려움 등의 품질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출 타입 플라스틱 루프 랙 부품과 연계하여 새로운 마운팅 구조를 설정함으로써 자유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판, 제1측판, 제2측판, 두 측판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루프 랙에 고정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와 연결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후킹 구조물; 차량 상부에 설치되고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후크는 수직부와 걸림부를 구비하는 J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 구조물은 후크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1홀을 구비하는 고리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J자 형상의 후크는 루프 랙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리 형태의 체결 구조물은 루프 랙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J자 형상의 후크 및 고리 형태의 체결 구조물은 루프 랙의 길이 방향 슬라이딩을 통해 걸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걸림부의 말단면은 제1홀의 상단과 접촉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말단면이 제1홀의 상단과 접촉한 후 제1홀을 통과하면서 탄성적으로 밀려서 아래쪽으로 하강할 수 있으며, 말단면이 제1홀을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상승함으로써, 말단면의 상단이 걸림 결합한 후 제1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후크는 수직부와 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되 두 걸림부가 이격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후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 구조물은 중공 구조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크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하는 2개의 제2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체결 구조물의 상단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두 걸림부의 말단면은 체결 구조물의 상단면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이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걸림부의 말단면이 체결 구조물의 상단면과 접촉한 후 테이퍼 구조를 따라 내려오면서 탄성적으로 밀려 안쪽으로 오므라들 수 있고, 두 걸림부의 말단면이 두 홀에 도달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짐으로써 두 홀에 걸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루프 랙은 제1리브 및 제2리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할 수 있고, 제1리브 및 제2리브는 두 홀 방향에서 체결 구조물의 외주면과 밀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루프 랙은 사출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후킹 구조물의 장착부는 루프 랙의 인서트 사출 시에 루프 랙의 상판 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착부는 파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실외 마운팅 컨셉을 유지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신규 컨셉의 마운팅 구조 적용으로 마운팅부 후-장착 캡을 삭제할 수 있고, 더욱이 외부에 노출되는 홀과 볼트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이들에 의한 외관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외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후킹 구조물과 체결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내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외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후킹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후킹 구조물과 체결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외측 결합 사시도, 도 2는 후킹 구조물과 체결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내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 등을 참고하면,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크게 구분하여 루프 랙(10), 후킹 구조물(20), 체결 구조물(30)을 구비할 수 있다.
루프 랙(1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나일론 등) 수지에 유리섬유 및/또는 미네랄이 강화된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루프 랙(1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레일 형태의 긴 구조물일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루프 랙(10)의 길이는 예를 들어 1 내지 7 m, 높이와 폭은 예를 들어 30 내지 50 cm일 수 있다.
루프 랙(10)은 상판(11), 제1측판(12), 제2측판(13), 리브(14, 15, 16)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은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판(11)은 차량 루프에 설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고, 또한 경사 없이 수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측판(12)은 차량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판(11)의 외측 말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측판(12)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1측판(12)은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두께가 하부보다 더 두꺼울 수 있고, 두꺼운 상부에서는 대략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면서 한 지점에서 최대 두께를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측판(13)은 차량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판(1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측판(13)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2측판(13)은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두께가 하부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리브(rib)(14, 15, 16)는 루프 랙(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루프 랙(1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브(14, 15, 16)는 상판(1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리브(14, 15, 16)는 두 측판(12, 13)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 방향 리브(14, 15) 및/또는 폭 방향으로 두 측판(12, 13)을 연결하는 폭 방향 리브(16)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방향 리브(14, 15)의 수는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일 수 있다. 폭 방향 리브(16)의 수는 2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개일 수 있다. 루프 랙(10)은 제1리브(14) 및 제2리브(15)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할 수 있고, 제1리브(14) 및 제2리브(15)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리브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2개의 길이 방향 리브(14, 15) 및 2개 이상의 폭 방향 리브(16)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 방향 리브(14, 15)끼리 그리고 길이 방향 리브(14, 15)와 측판(12, 13)끼리는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후킹(hooking) 구조물(20)은 체결 구조물(30)과 조합하여 루프 랙(10)을 차량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루프 랙(10)에 고정되는 장착부(21), 및 이 장착부(21)와 연결되는 후크(25)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금속(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등)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후킹 구조물(20)은 다이캐스팅(die casting)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또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후킹 구조물(20)은 루프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 리브(14, 15) 및 측판(12, 13)과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후킹 구조물(20)의 장착부(21)는 루프 랙(10)의 인서트 사출 시에 루프 랙(10)의 상판(11) 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인서트)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루프 랙(10)과의 결속력 강화 및 후크(25) 지지력 강화를 위해 장착부(21) 전체가 루프 랙(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후킹 구조물(20)은 루프 랙(10)의 제작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1)가 삽입되는 상판(11)의 중앙 부위는 다른 상판 부위에 비해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1)는 2개의 길이 방향 리브(14, 15) 및 2개의 폭 방향 리브(16)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21)는 파형(corrugated)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는 짧게 수평방향으로는 길게 주름진 파형 구조,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부(23) 및 철부(22)를 갖는 요철구조의 파형판(corrugated she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21)는 파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동일 크기의 평판 구조에 비해 계면(표면적)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루프 랙(10)과의 결속력(결합력, 부착력)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도 2에는 장착부(21)가 중앙에 형성된 1개의 철부(22) 및 이와 인접한 2개의 요부(23)로 구성되어 있는데, 요부(23) 및 철부(22)의 개수 및 배치구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요부(23) 및 철부(22)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곡면 구간 및/또는 직선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1)는 또한 슬롯(24)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slot)(24)은 장착부(21)의 일부가 절단되어 뚫린 일종의 구멍으로서, 예를 들어 평판을 구부려서 요철구조의 장착부(21)를 형성할 때 구부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구부림 가공 전에 평판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24)은 루프 랙(10)과의 결속력 강화 및 후킹 구조물(20)의 경량화에도 유리할 수 있다. 슬롯(24)은 각 요부(23) 및/또는 철부(2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는데, 슬롯(24)의 위치와 개수 및 형상과 크기 등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후크(25)는 수직부(26)와 걸림부(27)를 구비하는 J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J자 형상의 후크(25)는 루프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후크(25)는 장착부(21)의 중앙에 1개가 연결될 수 있고, 후크(25)의 횡단면은 사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후크(25)의 위치와 개수 및 형상과 크기 등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걸림부(27)는 원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걸림부(27)의 말단면(28)은 체결 구조물(30)과의 걸림 결합을 위해, 제1홀(31)의 상단(32)과 접촉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25)는 그 일단만 장착부(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크(25)의 크기(높이, 두께, 폭 등)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후크(25)를 제작할 수 있다.
체결 구조물(30)은 루프 랙(10)에 장착된 후크(25)와의 체결을 위해 차량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 구조물(30)의 횡단면(수평방향)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고, 상단부는 원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고리 형태의 체결 구조물(30)은 루프 랙(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폭 방향 리브(16)와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체결 구조물(30)은 차량 루프 상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차체에 설치된 인서트 너트와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이 경우 체결 구조물(30) 하단에 볼트나 나사가 직접 장착되거나, 평판 형태의 하부 구조물이나 별도의 브라켓 등을 통해 볼트나 나사를 설치하여 차체의 인서트 너트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홀(31)은 후크(25)와의 걸림 결함을 위해 체결 구조물(30)에 형성된 것으로, 적어도 체결 구조물(30)의 폭 방향으로 후크(25)와의 체결이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체결 구조물(30)의 폭 방향으로 후크(25)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홀(31)은 수직방향(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는데, 후크(25)와의 체결이 가능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구조물(30)은 후크(25)의 걸림부(27)와 걸림 결합하는 제1홀(31)을 구비하는 고리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J자 형상의 후크(25) 및 고리 형태 체결 구조물(30)의 제1홀(31)은 루프 랙(10)의 길이 방향 슬라이딩을 통해 걸림 결합할 수 있다. 즉, 조립(체결) 방향은 차량 전방 종축 방향으로서, 루프 랙(10)의 전방 종축 방향 슬라이딩을 통해 조립(체결)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크(25)와 제1홀(31)이 걸림 결합 가능하면서, 걸림 결합 후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걸림부(27)의 말단면(28) 및 제1홀(31)의 상단(32) 사이의 상대적 위치(높이) 그리고 걸림부(27)의 말단면(28) 형상이 중요한데, 구체적으로 걸림부(27)의 말단면(28)은 제1홀(31)의 상단(32)과 접촉 가능한 높이에 위치해야 하고, 또한 걸림부(27)의 말단면(28)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걸림부(27)의 말단면(28)은 제1홀(31)의 상단(32)과 접촉한 후 제1홀(31)을 통과하면서 탄성적으로 밀려서 아래쪽으로 하강할 수 있고, 또한 걸림부(27)의 말단면(28)은 제1홀(31)을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상승할 수 있으며, 말단면(28)의 적어도 상단(29a)은 걸림 결합한 후에 빠지지 않도록 제1홀(31)의 상단(32)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제1홀(31)의 상단(32)은 말단면(28)의 하단(29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말단면(28)의 상단(29a)과 하단(29b) 사이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부(27)의 말단면(28)이 제1홀(31)의 상단(32)과 접촉 가능하게 되고, 이후 말단면(28)이 제1홀(31)을 통과하면서 후크(25)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 변형 시에, 후크(25)는 도 2의 뒤쪽(후방)으로 약간 밀리면서 제1홀(31)에 삽입된 후에, 다시 앞쪽(전방)으로 복원되면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서 J자-후킹 구조물(20)은 다이캐스팅 제작 및 표면처리 후, 루프 랙(10)을 사출할 때 인서트 될 수 있다. 조립 방향은 차량 전방 종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립될 수 있다. 루프 랙(10)의 앞/뒤 위치에 혓바닥 형상의 체결 구조물(30)을 도출하여 차체와 볼트 체결(Bolting) 또는 나사 체결(Screwing) 후(이 경우 차체에는 인서트 너트가 붙어 있어야 함), 루프-몰딩(Roof-Molding) 부품인 루프 랙(10)을 덮개 삼아 조립하여 외관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루프-몰딩인 루프 랙은 혓바닥 형상의 체결 구조물(30)에 마련된 조립 구조를 활용하여 패스너(Fastener)인 J자-후킹 구조물(20)로 조립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기존 실외 마운팅 컨셉을 유지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신규 컨셉의 마운팅 구조 적용으로 마운팅부 후-장착 캡을 삭제할 수 있고, 더욱이 외부에 노출되는 홀과 볼트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이들에 의한 외관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외측 결합 사시도, 도 5는 후킹 구조물 사시도, 도 6은 후킹 구조물과 체결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고하면,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루프 랙(10), 후킹 구조물(20a), 체결 구조물(30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차이점은 후킹 구조물(20a)의 후크(25a, 25b)를 2개로 구성하고, 체결 구조물(30a)을 고리 형태가 아니라 2개의 홀(33a, 33b)을 갖는 통 형태로 구성한 것이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후킹 구조물(20a)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착부(21a) 및 후크(25a, 25b)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장착부(21a)는 루프 랙(10)의 인서트 사출 시에 루프 랙(10)의 상판(11) 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루프 랙(10)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부(21a)는 루프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길이 방향 리브(14, 15) 및 2개의 폭 방향 리브(16)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21a)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파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장착부(21a)는 중앙에 형성된 1개의 요부(23a) 및 이와 인접한 2개의 철부(22a)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 2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장착부(21)를 뒤집어 놓은 것과 동일하다. 장착부(21a)는 또한 철부(22a)에 형성된 슬롯(24a)을 구비할 수 있다. 요부(23a)와 철부(22a) 및 슬롯(24a)의 위치와 개수 및 형상과 크기 등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후크(25a, 25b)는 장착부(21a)의 중앙인 요부(23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후크(25a, 25b)는 제1실시형태와 달리, 수직부(26a, 26b)와 걸림부(27a, 27b)를 각각 구비하되, 두 걸림부(27a, 27b)가 이격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후크(25a, 25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후크(25a, 25b)는 J자 보다는 ㄴ자에 가깝고, 즉 걸림부(27a, 27b)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신에 걸림부(27a, 27b)의 하면은 전체적으로 원호 형태로 곡면 처리될 수 있다. 2개의 후크(25a, 25b)는 루프 랙(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길이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후크(25a, 25b)는 동일 평면 상에서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즉 각 말단면(28a, 28b)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후크(25a, 25b), 구체적으로 두 수직부(26a, 26b)는 후크(25a, 25b)의 탄성 변형을 수용하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걸림부(27a, 27b)의 말단면(28a, 28b)은 체결 구조물(30a)과의 걸림 결합을 위해,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이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후크(25a, 25b)의 폭, 구체적으로 각 말단면(28a, 28b) 사이의 간격은 체결 구조물(30a)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체결 구조물(30a)의 장방향 폭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체결 구조물(30a)은 고리 형태의 제1실시형태와 달리, 중공 구조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구조물(30a)은 횡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인 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중공 구조는 수직(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즉 체결 구조물(30a)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타원통 형태의 체결 구조물(30a)은 그 장방향이 루프 랙(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후킹 구조물(20a)은 높이 방향으로 체결 구조물(30a)에 삽입될 수 있고, 즉 체결 구조물(30a)의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체결 구조물(30a)은 2개의 후크(25a, 25b)와 걸림 결합하는 2개의 제2홀(33a, 33b)을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제2홀(33a, 33b)은 체결 구조물(30a)의 장방향으로 양쪽 끝에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후크(25a, 25b)와 체결 가능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홀(33a, 33b)은 수직방향(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는데, 후크(25a, 25b)와 체결 가능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구조, 즉 테이퍼부(34a, 34b)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 구조에 의해, 후크(25a, 25b)의 삽입 및 탄성 변형이 용이해질 수 있다. 테이퍼부(34a, 34b)는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부터 제2홀(33a, 33b)까지 형성될 수 있고, 테이퍼부(34a, 34b)의 길이와 각도 등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은 후크(25a, 25b)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크(25a, 25b)와 제2홀(33a, 33b)이 걸림 결합 가능하면서, 걸림 결합 후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걸림부(27a, 27b)의 말단면(28a, 28b) 및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 사이의 상대적 위치(폭) 그리고 말단면(28a, 28b)의 형상 등이 중요한데, 구체적으로 두 걸림부(27a, 27b)의 말단면(28a, 28b)은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여야 하고, 달리 말하면 후크(25a, 25b)의 폭, 즉 각 말단면(28a, 28b) 사이의 간격은 체결 구조물(30a)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체결 구조물(30a)의 장방향 폭과 거의 동일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말단면(28a, 28b)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체결 구조물(30a)은 상단부에 테이퍼부(34a, 34b)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면(35a, 35b)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두 걸림부(27a, 27b)의 말단면(28a, 28b)은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과 접촉한 후 테이퍼부(34a, 34b)를 따라 내려오면서 탄성적으로 밀려 안쪽으로 오므라들 수 있고, 또한 두 걸림부(27a, 27b)의 말단면(28a, 28b)은 2개의 제2홀(33a, 33b)에 도달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짐으로써 2개의 제2홀(33a, 33b)에 걸림 결합할 수 있다.
후크(25a, 25b)의 폭, 즉 말단면(28a, 28b)의 양측 말단 사이의 간격은 체결 구조물(30a)의 장방향 폭, 즉 제2홀(33a, 33b)의 양측 말단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27a, 27b)의 말단면(28a, 28b)이 체결 구조물(30a)의 상단면(35a, 35b)과 접촉 가능하게 되고, 이후 말단면(28a, 28b)이 테이퍼부(34a, 34b)를 통과하면서 후크(25a, 25b)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 변형 시에, 후크(25a, 25b)는 도 7의 안쪽(내측)으로 약간 오므라들면서 제2홀(33a, 33b)에 삽입된 후에, 다시 바깥쪽(외측)으로 복원되어 벌어지면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루프 랙(10)은 길이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리브(14) 및 제2리브(15)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할 수 있고, 동일 방향의 제1리브(14) 및 제2리브(15)는 두 홀(33a, 33b) 방향에서 체결 구조물(30a)의 외주면과 밀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리브(14, 15)가 체결 구조물(30a)의 외주면과 밀착됨에 따라, 후킹 구조물(20a)과 체결 구조물(30a) 사이의 걸림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따른 후킹 구조물(20a)은 다이캐스팅 제작 및 표면처리 후, 루프 랙(10)을 사출할 때 인서트 될 수 있다. 차체 쪽에서는 통 형상의 체결 구조물(30a)이 설치되어 있어, 루프 랙(10)에 설치된 후킹 구조물(20a)은 H방향으로 딸각하고 체결 구조물(30a)과 조립될 수 있다. 단, 제2실시형태의 조립은 단방향 조립(Only-Locking)으로, 조립 후에는 탈거(Release)가 안 될 수 있다.
한편, 루프 랙은 차량의 상단에 짐을 싣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 부품으로, 하기와 같은 하중 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시험 방법은 루프 랙 적재 하중 관련이다.
구분 평가 방법 하중 부하 비고
국내 기준
(수하물:
100 kg)
미끄럼
저항
종축
(전방)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400 kgf
(3,920 N)
주행
(급 정거/
회전)
경사
(좌/우
전방)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400 kgf
(3,920 N)
양력
저항
전방
(수직
상방)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350 kgf
(3,430 N)
수화물
양력
(고속
주행)
후방
(수직
상방)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175 kgf
(1,715 N)
10: 루프 랙
11: 상판
12: 제1측판
13: 제2측판
14, 15: 길이방향 리브
16: 폭 방향 리브
20, 20a: 후킹 구조물
21, 21a: 장착부
22, 22a: 철부
23, 23a: 요부
24, 24a: 슬롯
25, 25a, 25b: 후크
26, 26a, 26b: 수직부
27, 27a, 27b: 걸림부
28, 28a, 28b: 걸림부 말단면
29a, 29b: 말단면 상단과 하단
30, 30a: 체결 구조물
31: 제1홀
32: 홀 상단
33a, 33b: 제2홀
34a, 34b: 테이퍼부
35a, 35b: 체결 구조물 상단면

Claims (9)

  1. 상판, 제1측판, 제2측판, 두 측판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루프 랙에 고정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와 연결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후킹 구조물;
    차량 상부에 설치되고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후크는 수직부와 걸림부를 구비하는 J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체결 구조물은 후크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하는 제1홀을 구비하는 고리 형태의 구조물인 루프 랙 마운팅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J자 형상의 후크는 루프 랙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리 형태의 체결 구조물은 루프 랙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J자 형상의 후크 및 고리 형태의 체결 구조물은 루프 랙의 길이 방향 슬라이딩을 통해 걸림 결합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걸림부의 말단면은 제1홀의 상단과 접촉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말단면이 제1홀의 상단과 접촉한 후 제1홀을 통과하면서 탄성적으로 밀려서 아래쪽으로 하강하며, 말단면이 제1홀을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상승함으로써, 말단면의 상단이 걸림 결합한 후 제1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후크는 수직부와 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되 두 걸림부가 이격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후크로 구성되며, 체결 구조물은 중공 구조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크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하는 2개의 제2홀을 구비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체결 구조물의 상단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구조를 갖고, 두 걸림부의 말단면은 체결 구조물의 상단면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이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두 걸림부의 말단면이 체결 구조물의 상단면과 접촉한 후 테이퍼 구조를 따라 내려오면서 탄성적으로 밀려 안쪽으로 오므라들고, 두 걸림부의 말단면이 두 홀에 도달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짐으로써 두 홀에 걸림 결합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루프 랙은 제1리브 및 제2리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제1리브 및 제2리브는 두 홀 방향에서 체결 구조물의 외주면과 밀착되거나 인접한 루프 랙 마운팅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루프 랙은 사출을 통해 제작되고, 후킹 구조물의 장착부는 루프 랙의 인서트 사출 시에 루프 랙의 상판 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파형 구조를 갖고, 슬롯을 구비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1020190047178A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10245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78A KR102450619B1 (ko)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78A KR102450619B1 (ko)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62A true KR20200123962A (ko) 2020-11-02
KR102450619B1 KR102450619B1 (ko) 2022-10-05

Family

ID=7339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178A KR102450619B1 (ko)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6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774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루프몰딩 고정구조
KR19980082372A (ko) * 1997-05-06 1998-12-05 김영귀 자동차의 루프 몰딩 취부 구조
KR100668898B1 (ko) * 2005-12-13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
KR20160133604A (ko) * 2015-05-12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774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루프몰딩 고정구조
KR19980082372A (ko) * 1997-05-06 1998-12-05 김영귀 자동차의 루프 몰딩 취부 구조
KR100668898B1 (ko) * 2005-12-13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
KR20160133604A (ko) * 2015-05-12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19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437B2 (en) Roof rack system for a vehicle, method for producing the roof rack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a roof rack system
US9924765B1 (en) Rail fastener
US11225197B2 (en) Roof rack for vehicle
US11230230B2 (en) Weight distributing cargo rack system for use on vehicles
KR20200123962A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US20060290154A1 (en) One piece long glass fiber molded cross rail with integrated end stanchions
WO2018062792A1 (ko) 차량용 루프랙
KR102450627B1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CN217994269U (zh) 一种皮卡车后厢行李架固定卡扣
KR102450628B1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CN210391034U (zh) 一种汽车保险杠吸能器
KR102450626B1 (ko) 루프랙
CN216969526U (zh) 一种车辆行李架及具有其的车辆
CN213199651U (zh) 一种装饰固定结构及汽车
CN213473049U (zh) 一种汽车外饰中网结构
CN112026656A (zh) 一种行李架以及车辆
KR102262660B1 (ko) 루프랙
CN220904875U (zh) 车顶装饰罩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220262649U (zh) 连接轨道
CN219360993U (zh) 一种保险杠支架
CN216545966U (zh) 一种可调节的车载警灯安装脚架
CN217532722U (zh) 汽车行李架
KR20190088620A (ko) 차량용 루프랙
DK173074B1 (da) Køretøj, især anhænger-køretøj
CN216147644U (zh) 一种沙发底座结构及中位沙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