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780A -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780A
KR20200123780A KR1020207022768A KR20207022768A KR20200123780A KR 20200123780 A KR20200123780 A KR 20200123780A KR 1020207022768 A KR1020207022768 A KR 1020207022768A KR 20207022768 A KR20207022768 A KR 20207022768A KR 20200123780 A KR20200123780 A KR 20200123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ound post
post system
sound
suppor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456B1 (ko
Inventor
윌리-폴 발레리트
Original Assignee
다이아스트라드 이.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스트라드 이. 케이. filed Critical 다이아스트라드 이. 케이.
Publication of KR2020012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배치하기에 용이하고, 위치-가변적이고 또한 덜 기술적으로 숙련된 작업자들에 의해서조차도 적은 기술적 경비를 가지고 조정될 수 있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운드 포스트(1) 및 조정 툴(2)을 포함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을 제안하는데, 이때 상기 사운드 포스트는 튜브의 일 단에서 힌지되는 접촉 요소(5)를 가지는 튜브(3) 및, 상기 튜브의 타 단에, 지지 요소(12)를 갖는 나사 메카니즘(10, 11)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메카니즘은 상기 지지 요소(12)에 연결되는 나사산있는 구성요소(11)와 상기 튜브(3) 상의 메이팅 나사산(10)에 의해 형성되고, 이때 추가의 힌지된 접촉 요소(18)는 상기 튜브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지지 요소(12)의 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나사 메카니즘(10, 11)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2 개의 접촉 요소들(5, 18)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지지 요소(12)와 상기 튜브(3) 모두는 토크 힘들의 도입을 위한 래디얼 홀들(13, 16)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툴(2)은 래디얼 홀(13, 16)로 삽입하기 위한 로드(22), 및 상기 로드(22)에 연결되는 핸들(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본 발명은 사운드 포스트 및 조정 툴을 포함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들은 현악기들의 정밀 튜닝에 사용된다.
현악기의 사운드는 필수적으로 개별적인 구성요소의 기하구조 및 그 질량들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는 차례로 이 개별적인 구성요소와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에 특수한 기능을 가진다.
이 구성요소들 중 하나가 소위 사운드 포스트(sound post)이다. 유럽 위도들에서 개발된 목재 앞판을 갖는 각각의 현악기의 필수 구성요소로서의 사운드 포스트는, 이하의 기능들에 의해 무엇보다도, 현악기의 구성요소들의 목록 중에서 특히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줄걸이를 향한) 브릿지 뒤의 소정의 거리에서, 현의 가로방향의 진동(채찍질 효과)에 의해 활성화되고 또한 비대칭적으로 작용하는 브릿지에 의해 전달되는, 그 길이방향의 진동으로 앞판을 지지한다. 사운드 포스트의 길이는 위치에 있어서의 변화는, 아무리 작더라도, 사운드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를 야기시킨다.
음향판들의 2 개의 내부 측면들 "앞판(belly)" 및 "뒷판(back)"의 구 형태로 인해, 이들은 단면에서 불규칙한 원을 형성하는데, 사운드 포스트는 각각의 지점에서의 서로 다른 반지름들 및 거리들로 인해, 하나의 위치에서만 실제로 잘 맞을 수 있는 탄젠트(tangent)를 나타낸다.
무시될 때 현악기들의 목재에 부피-변경 효과를 가져오는, 습도 조건들에 있어서의 변화로 인해, 악기의 기하학적 조건들 또한 변한다. 사운드 포스트가 그 길이와 관련하여 이 변화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결과로 핏이 변경된다.
사운드 포스트의 2 개의 헤드 끝단들의 악기 "앞판 및 뒷판"의 내부 측면들과의 결정적인 관계는 이하의 조건들을 만족시킬 경우에만 충분하다:
a) 사운드 헤드 끝단들의 앞판 및 뒷판 핏은 악기의 내부 측면들 상의 모든 헤드 끝단 점들에 동일한 압력을 가지고 또한 전체 접촉 영역("앞판" 및 "뒷판"의 내부 측면들) 상의 "기밀(air-tight)"을 나타낸다.
b) 뒷판 및 앞판 상에서 선택된 사운드 포스트의 위치는 원하는 톤 칼러로 진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c) 뒷판과 앞판 사이 사운드 포스트의 지지 압력은, 사운드 포스트의 개별적인 길이에 종속하는데, 이것은 악기의 원하는 응답 동작 및 진폭 전개로 이어지는 신호 통과 속도를 허용한다.
사운드 포스트의 반지름/탄젠트 비로 인해, 위치의 변화마다 상기에서 언급된 점들 a) 내지 c)에 따라서 새로운 길이 결정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올바른 위치로 예상되는 위치를 발견하기만 하면, 후속적으로 요구되는 길이 조정은 위치의 교정들에 의한 다시 교정할 필요가 있는 톤 변경들로 귀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역시 a)의 조건은 만족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사운드 포스트의 길이가 손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길이가 요구되는 길이 이하라면, 새로운 사운드 포스트의 제조는 불가피하다.
사운드 최적화와 핏 사이의 이러한 반복적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은 보통 다소 시간소모적인 절차이고, 그 성공은 사용자의 전문적인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이러한 이유로, 조정가능한 사운드 포스트들 및 사운드 포스트의 재조정을 허용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들이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어 왔다.
US 2,145,237은 안내되는 압축 스프링을 이용해 사운드 포스트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조정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사운드 포스트를 개시하고 이때 내부 앞판 및 내부 뒷판의 불규칙한 원의 반지름들에 의해 야기되는 개별적인 경사들은 그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적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모든 고려할 수 있는 위치들이 아니라, 조정 없이 단지 하나의 위치에서 실제 핏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제한사항이다.
US 5,208,408은 적절한 소재들 및 나사산 피치들을 이용한 마찰 억제에 의해서만 고정이 달성되는, 조정가능한 사운드 포스트를 개시한다. 이 구성요소의 극한 진동들은 자체-조정들로 귀결된다. 나아가, "고정 위치"는 전체 높이가 항상 개별적인 현악기의 내부 치수들에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따라서, 사운드 포스트는 제 자리에서 안정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편평한 현대 악기들의 다른 높이들에의 조정들은, 한편으로는 더 오래된 더 높은 악기에 비해 수 센티미터 정도 다른 사운드 포스트 길이들을 가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 구성요소를 대체하는 것에 의해서만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 102014009336B3에 따른 사운드 포스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US 878,124는 (사운드 포스트)가 뒤 쪽의 구멍을 통해 그리고 그 끝단에서는 세트 나사로서 설계되는, 그 구멍의 둘레에 부착된 너트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고,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앞판과 뒷판 사이의 거리를 생성하는, 합리적으로 모순없는 형태로 사운드 포스트의 길이 조정가능성을 개시한다. 이로써 현악기에 특유한 길이방향의 전파에 있어서의 진동 여기(oscillation excitation)는 브릿지 풋을 스캐닝할 때 불가능하다. 나아가, 악기가 변형되고, 그리고 뒷판(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는 앞판)의 천공은 대부분의 악기 소유자들로부터의 저항에 직면하게 된다.
DE 202017105759는 변경가능한 포지셔닝, 자동 헤드-끝단 적용 및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 조정을 갖는, 조정가능한 사운드 포스트를 개시한다. 하지만, 6 개의 상이한 요소들이 장착 및 조정을 위해 필요하다: 플라스틱 로드, 플라스틱 링, 플라스틱 너트, 조정 개방-단 렌치, 2 개의 자석들.
장착 후, 구성요소 상에 상대적으로 큰 조정 휠이 현악기 내부에 남아 있게 된다. 이것은 무게의 증가로 이어지고 그리고 사운드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조정 보조장치들이 악기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은 부적절하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적 훈련이 덜 된 사람들조차도 적은 기술적 노력으로 조정될 수 있고 또한 위치 측면에서 변경될 수 있는, 단순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기술적 솔루션으로서, 청구항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이 제안된다. 추가적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은 사운드 포스트 및 조정 툴을 포함한다. 사운드 포스트는 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서 "튜브"는 중앙에 구멍을 갖거나 또는 내부적으로 천공된 끝단들을 갖는 연속적인 관 또는 바(bar)를 의미한다. 보통, 튜브는 어떠한 물질로든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제안에 따르면, 튜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소 섬유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탄소 섬유 물질을 포함한다. 이것은 악기의 거동(behavior)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신호 통과 속도들 및 관성들이 이용됨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물질들은 서로 다른 밀도들을 가지고 이로써 광범위한 사운드 변화들(sound variations)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튜브"는 반드시 이것이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가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디자인은 원하는 톤 칼러에 따라 그리고 현악기의 사운드 거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운드 포스트의 중간 구성요소, 소위 튜브는 튜브의 일단에 힌지되는 접촉 요소를 가진다. 접촉 요소는 볼 베어링에 의해 튜브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제안은 볼 베어링을 사운드 포스트의 끝단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것은 풀칠, 도포, 접착, 나사결합(gluing, gluing in, putting over, screwing on)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볼 베어링 요소는 튜브로부터 멀리 향하는 볼 요소를 갖는 플랜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안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볼을 수신하기 위한 볼 소켓을 가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언더컷을 가질 수 있어, 접촉 요소는 볼에 고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한 제안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교환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요소는 어떠한 소재들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어떠한 표면 윤곽들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제안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현악기 내부의 서로 다른 표면들에 잘 부착될 수 있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튜브로 지칭되는, 사운드 포스트의 다른 끝단에는, 나사 메카니즘(screw mechanism)이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측면에서 나사 메카니즘들은, 나사산있는 스핀들 또는 나사산있는 튜브와 같은, 나사산있는 구성요소(threaded component)를 포함하고, 해제가능하지만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지 않는, 따라서 스핀들 너트 또는 메이팅 튜브와, 메이팅 나사산과 상호작용하는, 서브-조립체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요소의 회전 운동은 길이방향 운동으로 전환된다.
나사 메카니즘의 자유단에는, 추가적인 접촉 요소에 차례로 힌지되는, 지지 요소(supporting element)가 제공된다. 이 제2 접촉 요소에 대하여, 제1 접촉 요소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것은 볼 베어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현악기 내부의 접촉 표면들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사 메카니즘의 발동은 2 개의 접촉 요소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디자인은 특히 지지 요소 및 튜브 모두가 래디얼 홀들(radial hole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들은 토크 힘들을 양 요소들에 도입하도록 기능한다. 시스템에 속하는 조정 툴이, 조정 툴에 속하는 로드(rod)를 래디얼 홀에 삽입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튜브의 래디얼 홀들 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요소의 래디얼 홀들 내에서 사용된다면, 토크는 로드에 연결된 핸들을 거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사 메카니즘의 이 2 개의 요소들의 상대 운동이 이 2 개의 접촉 요소들이 서로로부터 멀리 또는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결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운드 포스트는 자동으로 길이가 조정되고 또한 악기 내부의 의도된 위치에서 현악기의 대향하는 내부 표면들에 대하여 지탱된다. 이때 죔쇠(bracing)의 강도는 사운드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
나사 메카니즘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은 하나의 튜브 끝단 내부에 나사산있는 슬리브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외부 나사산이 튜브 상에 슬리브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또는, 양 경우들에 있어서, 나사산을 튜브에 직접 재단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내부 나사산 또는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었는지에 따라서, 지지 요소에 연결되는 메이팅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산있는 로드, 볼트 또는 나사산있는 슬리브가 된다.
나사산의 피치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악기-기술적 측면들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제안에 따르면, 지지 요소는 디스크 형태이고, 가능하다면 너트의 형태이다. 이것은 회전가능하지 않게 나사산있는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로드를 래디얼 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토크가 지지 요소를 거쳐 가해질 수 있다. 카운터 토크가 튜브의 래디얼 홀들 내에 삽입된 조정 툴의 로드에 의해 그리고 카운터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유리하게도, 나사 메카니즘은 잠금 유닛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유리한 제안을 따르면 잠금 너트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제안에 따르면, 이 잠금 너트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래디얼 홀들을 가져서 동일한 조정 툴을 이용해 풀리거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대응하여 좋은 토크들 또는 카운터-토크들을 튜브에 도입할 수 있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정렬된 래디얼 홀들이 만들어질 것을, 즉 실제로 또는 가상으로 튜브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지나는 관통공들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적의 매우 미세한 토크들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도, 조정 툴들에는 핸들 및 이에 부착된 가이드 로드가 제공된다. 튜브 및 지지 요소의 래디얼 홀들 내에 그리고 필요하다면 잠금 너트 내에 모두 삽입될 수 있는, 로드는 가이드 로드의 끝단에 배치된다. 유리하게도, 이 로드는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조정가능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여기에 제시된 신규한 발명은 단지 2 개의 손잡이-핸들이 있는 굽은 와이어들을 필요로 하고 이로써 조작성 측면에서 조작하기에 훨씬 더 용이하다. 이것은 또한 악기 내부에 조정 요소들을 남길 필요가 없다.
이것은 종래 기술 및 종래 디자인들에 비해 상당한 장점들로 귀결된다. 가능하다면 반나절을 필요로 하는 조정 작업이 이로써 단지 수 분으로 감소된다. 앞판 및 뒷판 내부에의 손상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고 또한 홀들의 경우에 있어서 또는 전통적인 목재 사운드 포스트에 있어서의 접선방향의 틸팅으로 인한 손상은 없다. 사용자는 현악기 제작자와 같은 특별한 전문적인 소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모든 음악가들은 실제적으로 조금만 연습하면 그의 악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정적인 상세사항들에서 종래 기술과 다르다. 볼 베어링들에 의해 지지되는 접촉 요소들 또는 끝단 피스들의 소재들의 선택은 충분한 정지마찰을 허용하는 한 임의적이고, 또한 변형으로서 구성요소에 추가된다. 서로 다른 물질들은 서로 다른 감쇠들(attenuations) 및 신호 통과 속도들로 이어진다. 그 결과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사운드 구조가 된다. 볼 헤드는 일 예로서 사파이어로 만들어지고 또한 탄소 섬유 끝단 피스에 내재되는 것으로, 여기에 설명된다. 모든 버전들은 동일한 신호 전달 속도들을 가질 수 없고 또한 완전히 다른 사운드 특성들을 가진다.
나아가, 2 개의 조정 요소들 사이의 연결 부품에 있어서의 소재(탄소 섬유, 목재, 금속 등) 및 디자인(튜브 또는 로드)은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물질들은 서로 다른 밀도들, 즉 신호 전달 속도들 및 서로 다른 관성 모멘트들을 가진다. 광범위한 사운드 변화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다양한 옵션들은 음악가들의 서로 다른 사운드 비전들 및 모든 가능한 현악기들의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에 더하여, 설치 및 조정은 극히 수행하기 용이하다.
결국, 일단 설정되면, 그 결과는 영구적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조정된 후, 고정 부품으로서 시간 제한 없이 현악기 내에 남아 있는 것은 적절하고, 또한 앞판 및 뒷판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들에 따른 목재 사운드 포스트의 적용 동안 일시적인 사용을 위한 툴로서 적절하다.
장착 및 조정 툴은 구성요소를 향하는 그 끝단에서 굽어 있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또한 악기에 맞게 조정되는 서로 다른 와이어 두께(바이올린 및 비올라에 대해서는 1.5 mm, 첼로에 대해서는 2 mm, 및 더블 베이스에 대해서는 3 mm)를 가지고 또한 가이드 로드에 의해 이에 단단히 연결되는 목재 핸들에 의해 다른 끝단에서 끝난다.
튜브는 바람직하게 서로 다른 현악기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지름들로 디자인되는데, 예를 들어 바이올린 및 비올라에 대해서는 대략 6 mm, 첼로에 대해서는 대략 10 mm, 더블 베이스에 대해서는 18 mm.
접촉 요소들에 있어서, 볼은 지지부(바이올린 및 비올라에 대해서는 4 mm 지름, 첼로에 대해서는 5 mm, 및 더블 베이스에 대해서는 10 mm)에 각각 부착되고, 여기서 대응하는 볼 구멍을 가지는 접촉 요소에 대한 시트(seat)로서 볼은 구성요소의 끝단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매우 실험-지향적이고, 용이하게 제조되고 사용편이적인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사운드 포스트 및 조정 툴의 일 실시예의 대략적인 도면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사운드 포스트(1)의 실시예는 그 끝단(4)에 플러그(8)가 삽입되는 튜브(3)를 포함한다. 이것은 부착된 볼(7)을 수반한다. 플러그(8)는 튜브 내로 밀릴 수 없는 이러한 방식으로, 즉 장착 플랜지에 의해, 크기가 정해진다. 접촉 요소(5)는 볼(6)에 고정되는 볼 소켓(7)에 의해 볼(6)에 부착된다. 접촉 요소(5)는 이로써 피봇팅될 수 있고 또한 거의 어떠한 표면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형태, 크기, 소재 등을 변경하기 위해 교환가능하다.
튜브(3)의 다른 끝단(9)에서는, 도시된 디자인 예에서와 같이 나사산있는 슬리브(10)가 삽입되는데, 이것은 또한 장착 플랜지로 인해 튜브(3)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다. 나사산있는 로드(11)는 나사산있는 슬리브(10)의 내부 나사산으로 나사결합되고 또한 지지 디스크(12)에 그 자유단이 단단히 연결된다. 이 지지 디스크는 차례로 볼(17)을 지지하고 여기에 그 볼 소켓(19)을 가지는 접촉 요소(18)가 부착된다. 접촉 요소(18)는 접촉 요소(5)와 동일한 방식으로 디자인된다. 2 개의 접촉 요소들(5 및 18)의 형태들, 소재들 및 크기들은 달라질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정을 위해, 래디얼 홀들(16)이 지지 디스크(12) 내에 만들어진다. 지지 디스크(12)가 이제 회전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서, 튜브(3)가 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나사산있는 로드(11)는 나사산있는 슬리브(10)로 또는 이로부터 나사가 돌려진다.
운영을 위해, 조정 툴(2)은 가이드 로드(21)의 일 끝단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목재의, 핸들(20)을 가지고 형성된다. 가이드 로드(21)의 자유단에, 로드(22)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적절하게 각을 이룬다. 로드(22)는 튜브의 및/또는 지지 디스크의 래디얼 홀들(13 및/또는 16)로 그 삽입이 가능하도록 지름을 가진다. 조정 툴(2)이 이제 그 로드(22)가 튜브(3)의 래디얼 홀들(13)을 통과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적용되면 그리고 제2 조정 툴(2)이 지지 디스크(12)의 래디얼 홀들(16)에 적용되면 그리고 대응하는 토크들이 적용되면, 나사산있는 로드(11)는 튜브(3) 내의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나사산있는 슬리브(10)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한 접촉 요소들(5 및 18)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고정을 위해, 역시 래디얼 홀들(15)을 가지는 잠금 너트(14)가 제공되고 또한 나사산있는 슬리브(10)의 장착 플랜지 또는 튜브(3)의 끝단에서 자유 에지에 대하여 나사산있는 로드(11)를 막기 위해 조정 후 대응하는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장착:
상기에서 설명된 디자인의 사운드 포스트의 장착은 매우 쉽다:
1) 사운드 포스트의 길이는 내부 캘리퍼스(악기를 만들기 위한 흔한 툴)를 이용해 결정된다. 또는, 목재 사운드 포스트가 대략적인 길이 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길이는 서로에 대한 접촉 요소들(5 및 18)의 외부 표면들의 거리이다.
2) 필요하다면, 튜브(3)가 길이로 절단된다.
3) 플러그(8)가 일 끝단에 삽입된다.
4) 나사산있는 슬리브(10)가 다른 끝단에 삽입된다.
5) 나사산있는 로드(11) 뿐만 아니라 접촉 요소들(5 및 18)이 부착된다.
6) 길이가 대충 미리 설정된다.
7) 장착 툴(2)(바이올린, 비올라 및 첼로에 대하여 1.5 mm, 더블 베이스에 대하여 3 mm) - 핸들(20)을 가지는, 각이 있는 로드(22) -이 튜브(3)의 래디얼 홀(13) 내에 삽입된다.
8) 무거운 하부 부분이 흔들림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사운드 포스트(1)를 장착 위치에 고정하고, 악기의 f-홀에 삽입되고, 바닥에 위치되어 앞판의 아치에 대하여 당겨진다.
구성요소의 장착은 이로써 완료된다.
조정:
상기에서 설명된 사운드 포스트의 조정은 매우 쉽고 또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정확도를 허용한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장착 툴(2)이 사용되고 또한 잠금 너트(14)의 홀들(15) 중 하나로 구부러진 악기의 f-홀을 통해 삽입된다. 동일한 디자인의 제2 조정 툴(2)을 이용해, 잠금 너트(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튜브(3)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나사산있는 로드(11)가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도록 해주어 지지 디스크(12)의 기존의 래디얼 홀들(16)로 툴(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나사산있는 로드(11)는 원하는 방향(나사산 확장을 위해서는 좌측, 나사산 단축을 위해서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동시에, 튜브(3)는 튜브(3)의 래디얼 홀들(13) 내에 삽입되고 그리고 고정되는, 로드(22)에 의해 고정된다.
구성요소의 길이에 있어서의 변화는 추가적인 회전이 발생하는, 홀들의 수로부터 읽힐 수 있다.
- 6 개의 래디얼 홀들이 있고,
- 나사산 피치는 더블 베이스 변형에 대하여 0.75 mm/U이다.
- 결론적으로, 구성요소의 길이에 있어서의 변화는 움직인 각각의 홀에 대하여 0.125 mm이다.
의심이 나는 경우에 있어서, 길이에 있어서의 각각의 변화 전과 후에 내부 캘리퍼스를 이용해 측정이 가능하다.
물론, 이 전 및 후 측정은 대응하는 슬라이드 게이지를 이용해 외부에서도 가능하다.
실제로, 조정 폭은 예를 들어 음악가가 그의 악기와 함께 여행할 때, 사운드로 간주되는 바와 같이 귀에 의해 주로 설정된다.
이후에, 잠금 너트(14)가 다시 조여지고 이로써 조정 프로세스는 완료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해 제공되고 한정하지 않는다.
1: 사운드 포스트 2: 조정 툴
3: 튜브 4: 끝단
5: 접촉 요소 6: 볼
7: 볼 소켓 8: 플러그
9: 끝단 10: 나사산있는 슬리브
11: 나사산있는 로드 12: 지지 디스크
13: 래디얼 홀 14: 잠금 나사
15: 래디얼 홀 16: 래디얼 홀
17: 볼 18: 접촉 요소
19: 볼 소켓 20: 핸들
21: 가이드 로드 22: 로드

Claims (17)

  1. 사운드 포스트(1) 및 조정 툴(2)을 포함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포스트는 튜브의 일 단에서 힌지되는 접촉 요소(5)를 가지는 튜브(3) 및, 상기 튜브의 타 단에, 지지 요소(12)를 갖는 나사 메카니즘(10, 11)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메카니즘은 상기 지지 요소(12)에 연결되는 나사산있는 구성요소(11)와 상기 튜브(3) 상의 메이팅 나사산(10)에 의해 형성되고, 이때 추가의 힌지된 접촉 요소(18)는 상기 튜브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지지 요소(12)의 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나사 메카니즘(10, 11)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2 개의 접촉 요소들(5, 18)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지지 요소(12)와 상기 튜브(3) 모두는 토크 힘들의 도입을 위한 래디얼 홀들(13, 16)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툴(2)은 래디얼 홀(13, 16)로 삽입하기 위한 로드(22), 및 상기 로드(22)에 연결되는 핸들(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는 탄소 섬유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 상의 메이팅 나사산은 내부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은 상기 튜브 내에 삽입되고 이에 고정되는 나사산있는 슬리브(10)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상의 메이팅 나사산은 외부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2)에 연결되는 나사산있는 구성요소는 나사산있는 로드(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에 연결되는 나사산있는 구성요소는 나사산있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2)에 연결되는 나사산있는 구성요소는 나사산있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2)는 디스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2)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메카니즘(10, 11)은 잠금 유닛(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너트(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너트(14)는 래디어 홀들(1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 상의 상기 래디얼 홀들(13)은 적어도 한 쌍의 상호 정렬된 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들(5, 18)은 상기 튜브(3)에 대하여 볼 베어링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들(5, 18)은 이들이 교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툴(2)의 핸들이 핸들(20) 및 상기 핸들(20)로부터 멀리 향하는 그 끝단에 상기 로드(22)가 배치되는 가이드 로드(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KR1020207022768A 2018-02-23 2019-02-05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KR102423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000990.3 2018-02-23
DE202018000990.3U DE202018000990U1 (de) 2018-02-23 2018-02-23 In der Länge verstellbarer Stimmstock, sowie das passende Montage- und Einstellwerkzeug
PCT/EP2019/052758 WO2019162081A1 (de) 2018-02-23 2019-02-05 Stimmstock-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780A true KR20200123780A (ko) 2020-10-30
KR102423456B1 KR102423456B1 (ko) 2022-07-20

Family

ID=6211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768A KR102423456B1 (ko) 2018-02-23 2019-02-05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27568B2 (ko)
EP (1) EP3756180B1 (ko)
JP (1) JP7106163B2 (ko)
KR (1) KR102423456B1 (ko)
CN (1) CN111801726A (ko)
DE (1) DE202018000990U1 (ko)
WO (1) WO2019162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0594B (zh) * 2021-06-23 2024-03-22 江苏凤灵乐器有限公司 一种安装稳固的提琴音柱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5759U1 (de) * 2017-09-22 2017-09-29 Wolfgang Hamberger Stimmstock variabler Länge mit austauschbarem Klangfil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124A (en) 1907-02-23 1908-02-04 John W D Armon Violin and the like.
US2145237A (en) 1937-09-07 1939-01-31 Eberhart George Sound post
US2162595A (en) * 1938-08-11 1939-06-13 Virzi Giuseppe Musical string instrument
US5208408A (en) 1991-10-31 1993-05-04 Cave James G Sound post for musical instruments
BRPI0900201B1 (pt) * 2009-01-30 2020-03-17 Adriano Zumsteg Dispositivo de fixação de alavanca na ponte trêmolo e kit
DE102014009336B3 (de) * 2014-06-27 2015-03-26 Pal Molnar Stimmstock und Stimmstock-Werkzeug-Set sowie Verfahren zur Montage des Stimmstocks in ein Streichinstrument
CN105118479A (zh) * 2015-07-29 2015-12-02 严泰昌 弦乐器用音色调整装置
DE202016101066U1 (de) * 2016-02-29 2016-03-08 Wolfgang Hamberger Stimmstock
JP6635300B2 (ja) * 2016-03-22 2020-01-22 ヤマハ株式会社 音管を支持体に吊り下げるための吊下部材および音管が吊り下げられる支持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5759U1 (de) * 2017-09-22 2017-09-29 Wolfgang Hamberger Stimmstock variabler Länge mit austauschbarem Klang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6180B1 (de) 2023-01-04
KR102423456B1 (ko) 2022-07-20
US11227568B2 (en) 2022-01-18
US20210118413A1 (en) 2021-04-22
JP2021517988A (ja) 2021-07-29
CN111801726A (zh) 2020-10-20
WO2019162081A1 (de) 2019-08-29
DE202018000990U1 (de) 2018-04-19
JP7106163B2 (ja) 2022-07-26
EP3756180A1 (de)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913B1 (ko) 가변 길이를 갖는 사운드 포스트
US6265648B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8237039B2 (en) Adjustable wing nut-less cymbal mount
CN104424926A (zh) 鼓系统
US20030145712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557282B2 (en) Hardtail converter block for a tremolo equipped guitar
WO1997003435A1 (en) Sound reverberator mounted in a sound box of a string musical instrument
JP2023018089A (ja) ギター
JP2003084754A (ja) 鍵 盤
US5208408A (en) Sound post for musical instruments
KR20200123780A (ko) 사운드 포스트 시스템
KR102091617B1 (ko) 첼로 엔드핀
JP3658862B2 (ja) 楽器用ホルダー
WO2004008429A2 (en) Adjustable bridge system for a stringed instrument
KR102619069B1 (ko)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RU2130650C1 (ru) Система настройки для фортепьяно и настроечный штифт
US9934762B1 (en) Pitch changing mechanism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S61170795A (ja) 管楽器のリード付きマウスピース
US20170249928A1 (en) Tailpiece for a string instrument
GB2306244A (en) A tremolo effect unit
US9299325B1 (en) Guitar vibrato stabilizing device
US6884932B2 (en) Stringed instrument truss assembly
WO1999062050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10593309B2 (en) Damper bar adjustment mechanism for keyboard percussion instrument
US5994636A (en) Guitar repai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