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210A -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210A
KR20200123210A KR1020207027206A KR20207027206A KR20200123210A KR 20200123210 A KR20200123210 A KR 20200123210A KR 1020207027206 A KR1020207027206 A KR 1020207027206A KR 20207027206 A KR20207027206 A KR 20207027206A KR 20200123210 A KR20200123210 A KR 2020012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touch display
electronic device
proximity sens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062B1 (ko
Inventor
징이 마
샨 주
딩딩 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04M1/725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될 때,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근접 센서의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 장치, 전자 장치, 저장 매체 및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전자 기술 분야(electronic technology fiel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방법(control method), 제어 장치(control device),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6월 11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810596344.1을 기반으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현재, 풀-스크린 이동 단말기(full-screen mobile phone)는 주요 이동 단말기 제조업체들의 특징 제품이 되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스크린-대-바디 비율(screen-to-body ratio)을 높이기 위해,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가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 아래에 배치된다(disposed below).
그러나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외부의 물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해 동작 중에 지속적으로 적외선 광(infrared light)을 방출하기 때문에, 상기 적외선 광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컴포넌트들에서 쉽게 전자 전달(electron transfer)을 일으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국부적인 플리커 현상(local flicker phenomenon)을 유발하며, 이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불리한 단점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근접 센서의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추가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근접 센서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라이트-업 상태 일 때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라이트-업 상태 일 때 비활성화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 일 때 활성화된다.
본 발명은 다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근접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실질적으로 차폐된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며, 및 상기 근접 센서의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방출되는 적외선 광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고, 이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들로부터 명백해지고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른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 선을 따른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광 가이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광 가이드의 다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의 또 다른 개략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의 다른 개략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의 개략 순서도들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 예들의 예들을 상기 도면들에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가지는 구성 요소들은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에서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 장치들의 발달로 풀 스크린이 이동 단말기들의 발전 경향이 되었다. 상기 풀 스크린의 높은 스크린-대-바디 비율의 특징은 상기 근접 센서 또는 상기 스크린 상단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남겨진 영역을 제한한다.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광-투과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배치되면(disposed under),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의 전자들을 여기시키고,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로 인해 적외선 광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광 투과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플리커(flicker)를 유발함으로써, 광-투과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상적인 디스플레이에 간섭하고,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100)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touch display screen)(103),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16), 광 센서(light sensor)(5) 및 프로세서(processor)(23)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디스플레이 층(display layer)(13)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isplay area)(1311)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적외선 광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6)는 적외선 광을 방출하고 물체에서 반사된 상기 적외선 광을 수신하여 상기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100), 예로 들어, 이동 단말기(mobile phone)를 설명한다.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상기 거리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오작동들(misoperations)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력 소비(power consumption)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걸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그들의 머리(head)에 가까이(close) 가져다 대면, 상기 근접 센서(16)는 방출기(emitter)가 적외선 광을 방출하는 시간과 상기 수신기(receiver)가 상기 반사된 적외선 광을 수신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검출 정보(detection information)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을 폐쇄한다(clos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머리에서 멀어지면,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층(13)을 다시 개방한다(reopen).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OLED 디스플레이 층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층은 광 투과율이 좋고, 가시 광과 적외선 광을 더 잘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층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한 상기 적외선 광의 상기 방출 및 수신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또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층일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층은 상기 가시 광과 적외선 광에 대한 투과율들이 우수하다. 물론, 이들 디스플레이 층들은 예시 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상기 하우징(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투명 커버 보드(transparent cover board)(11) 및 터치 층(touch layer)(12)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투명 커버 보드(11)는 상기 터치 층(12) 상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층(12)은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의 상부면(131)은 상기 터치 층(12)을 향하고, 상기 가시 광 및 적외선 광에 대한 상기 투명 커버 보드(11)와 상기 터치 층(12)의 상기 광 투과율들은 모두 90 %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층(12)은 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위해 회로 기판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층(12)과 접촉하는 특정 위치를 획득한다. 상기 터치 층(12)이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터치 층(12)이 상기 디스플레이 층(13)과 접촉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층(12)은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의 중량 및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의 전체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In-Cell 또는 On-Cell 본딩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층(12)이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터치 층(12)이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층(13)과 이격되는 것을 또한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층(12) 상에 상기 투명 커버 보드(11)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터치 층(12) 및 그 내부 구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외력들에 의한 상기 터치 층(12) 및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시 광 및 적외선 광에 대한 상기 투명 커버 보드(11)와 상기 터치 층(12)의 상기 광 투과율들은 모두 90% 이상이며,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상기 콘텐츠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일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아래에 배치된 상기 근접 센서(16)가 상기 적외선 광을 안정적으로 방출 및 수신하는 장점이기도 하며, 이로써 상기 근접 센서(16)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상부면(upper surface)(131) 및 하부면(lower surface)(132)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하부면(132) 상에 코팅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커버하는 제1코팅층(first coating layer)(14)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제1코팅 층(14)은 적외선 광을 투과시키고 가시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제1코팅 층(14) 및 디스플레이 층(13)을 통해 적외선 광을 투과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광을 투과하도록 상기 제1코팅 층(14)을 구성하면 상기 근접 센서(16)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가시 광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코팅 층(14)을 구성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를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근접 센서(16)가 보이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근접 센서(16)는 방출기(emitter)(1611) 및 수신기(receiver)(1612)를 포함한다. 상기 방출기(1611)는 상기 제1코팅 층(14) 및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을 통해 적외선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1612)는 상기 물체에서 반사된 적외선 광을 수신하여, 상기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걸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접근하고, 상기 방출기(1611)는 상기 적외선 광을 방출하고, 상기 수신기(1612)는 상기 반사된 적외선 광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방출에서 상기 적외선 광의 수신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백라이트를 끄도록(turn off)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는 명령을 발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머리에서 멀어지면,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따라 다시 계산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기 백라이트를 켜는(turn on) 명령을 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직교 투영은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제1코팅 층(14)의 상기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내에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 공정 중에 상기 근접 센서(16)를 설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기 조립 간격(assembly gap)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근접 센서(16)와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에 간격이 초래되고, 가시 광이 상기 간격으로 들어가 빛 샘(light leakage)을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16)와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적층되는 상기 방향에서,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제1코팅 층(14)의 상기 직교 투영 영역은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직교 투영 영역보다 커서(larger), 상기 제1코팅 층(14)이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정상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어, 상기 전자 장치(100)를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근접 센서(16)가 보이지 않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하부면(132) 상의 근접 센서(16)의 상기 직교 투영은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제1코팅 층(14)의 상기 직교 투영과 일치한다(coincides with).
구체적으로, 상기 근접 센서(16)와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적층되는 상기 방향에서,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제1코팅 층(14)의 상기 직교 투영 영역은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직교 투영 영역과 동일하게(equal)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1코팅 층(14)은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정상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차폐할 수 있어,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의 상기 상부면(131)을 향하고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근접 센서(16)는 보이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또한 이러한 구현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하부면(132) 상에 배치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둘러싸는 광 차단 층(light shielding layer)(17)을 추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제1코팅 층(14)의 상기 직교 투영 영역이 상기 하부면(132) 상의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직교 투영 영역과 동일한 경우, 상기 근접 센서(16)가 배치되는 상기 공간의 부피가 상기 근접 센서(16)의 부피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외부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를 바라볼 때 상기 근접 센서(16) 주변 공간에서 상기 빛 샘(light leakage)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16)를 둘러싸는 상기 광 차단 층(17)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근접 센서(16)와 상기 근접 센서(16) 주변 공간 사이의 상기 간격이 채워져(filled), 상기 빛 샘 현상이 제거된다. 상기 광 차단 층(17)은 블랙 재료로 이루어진 발포체(foam)일 수 있거나, 다른 블랙 발포 플라스틱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재료들은 예시 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코팅 층은 IR 잉크를 포함한다. 상기 IR 잉크는 상기 적외선 광에 대한 상기 투과율이 85% 보다 크고, 상기 IR 잉크는 상기 가시 광에 대한 상기 투과율이 6% 보다 작고, 상기 IR 잉크에 의해 투과될 수 있는 상기 적외선 광은 850nm 내지 940nm의 파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IR 잉크는 상기 가시 광에 대한 광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상기 제1코팅 층(14) 아래에 배치된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전자 장치(100)를 외부에서 바라볼 때 사람의 시각으로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IR 잉크는 상기 적외선 광에 대한 투과율이 높아 상기 근접 센서(16)가 안정적으로 적외선을 방출 및 수신할 수 있어 상기 근접 센서(16)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하부면(132) 상에 코팅되고, 상기 제1코팅 층(14)과 접촉하는 제2코팅 층(second coating layer)(15)을 추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코팅 층(14)은 주로 적외선 광을 투과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1코팅 층(14)에 적용되는 상기 IR 잉크의 가격이 상기 일반 블랙 잉크(ordinary black ink)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하부면(132)을 전체적으로 상기 IR 잉크로 코팅하는 것은 상기 생산 원가를 낮추는데 불리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일반 블랙 잉크는 상기 IR 잉크보다 상기 가시 광에 대한 투과율이 낮고 차폐 효과가 더 두드러진다. 따라서, 상기 제2코팅 층(15)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생산 원가를 낮추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공정 요건들에 부합하는 상기 차폐 효과(shielding effect)를 더 증진시킨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하부면(132)을 커버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회피하는 쿠션 층(cushioning layer)(18)을 추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 층(18)은 충격력을 완화하고, 진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터치 층(12), 디스플레이 층(13) 및 그 내부 구조를 보호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쿠션 층(18)은 발포체, 발포 플라스틱, 고무 또는 기타 연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이들 쿠션 층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쿠션 층(18) 제공 시 상기 근접 센서(16)가 회피되어, 상기 쿠션 층(18)이 상기 근접 센서(16)를 차폐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한 상기 적외선 광의 상기 투과 및 수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구현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쿠션 층(18)을 커버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회피하는 금속 시트(metal sheet)(19)를 추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시트(19)는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차폐하고, 접지를 위해 구성되며, 온도 상승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금속 시트(19)는 구리 호일(copper foil) 또는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과 같은 금속 재료들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물론, 이들 금속 재료들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금속 시트(19) 제공 시 상기 근접 센서(16)가 회피되어, 상기 금속 시트(19)가 상기 근접 센서(16)를 차폐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광의 상기 투과 및 수신 동안 상기 근접 센서(16)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housing)(20), 수납 케이스(receiving case)(200), 광 가이드(light guide)(51) 및 광 센서(light sensor)(5)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200)는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slidably coupled), 상기 하우징(20) 밖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하우징(20) 안으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200)에는 광 입사홀(light incident hole)(2006)이 제공된다. 상기 광 가이드(light guide)(51)는 상기 수납 케이스(200)에 수용되고, 일부는 광 입사홀(2006)로 연장된다. 상기 광 가이드(51)는 광 입사면(light incident surface)(511) 및 상기 광 입사면(511)에 대향하는 광 방출면(light emitting surface)(512)을 가지고, 상기 광 입사면(511)은 상기 수납 케이스(200)의 외부를 향하고, 상기 광 방출면(512)은 상기 수납 케이스(200)의 내부를 향한다. 상기 광 센서(5)는 상기 수납 케이스(200)에 수용되고, 상기 광 방출면(512)을 직접 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대신에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수납 케이스(200)에 상기 광 입사홀(2006)이 배치되므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스크린-대-바디 비율을 제한하지 않고 주변 광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광 센서(5)의 상기 요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100)의 스크린-대-바디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다.
구체적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시야각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폭 방향(X), 길이 방향(Y) 및 두께 방향(Z)을 가진다. 상기 길이 방향(Y)은 폭 방향(X)에 수직이고, 상기 두께 방향(Z)은 각각 폭 방향(X) 및 길이 방향(Y)에 수직이다.
상기 하우징(20)은 탑 단부면(top end face)(1002) 및 상기 탑 단부면(1002)에 대향하여 배치된 바텀 단부면(bottom end face)(1003)을 추가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탑 단부면(1002) 및 바텀 단부면(1003)은 상기 폭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탑 단부면(1002) 및 바텀 단부면(1003)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단변들(short sides)이다. 상기 바텀 단부면(1003)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커넥터, 마이크, 스피커 등을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납 홈(receiving groove)(1004)이 상기 하우징(20)의 탑(top)에 제공된다. 상기 수납 홈(1004)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 홈(1004)은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측면을 관통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200)는 상기 수납 홈(1004)에서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수납 케이스(200)는 상기 수납 홈(1004)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200) 내에 기능 요소(functional element)(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 요소(300)는 예를 들어, 카메라, 이어피스 또는 레이저 방출기이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광 입사홀(2006)을 통해 노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요소(300)는 상기 수납 케이스(200)의 상기 측면 상의 광 입사홀(2006)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200)가 상기 하우징(20) 밖으로 연장되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외부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예를 들어, RGB 카메라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200)는 외측면(outer side surface)을 가지며, 상기 광 입사면(511)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수납 케이스(200)는 광 입사면(511)을 덜 차폐하거나 심지어 광 입사면(511)을 차폐하지 않으므로, 상기 광 입사면(511)은 더 많은 주변 광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광 가이드(5151)는 외부 광을 상기 광 센서(5)로 더 잘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200)의 상기 외측면은 탑면(top surface)(2003)을 포함하고, 상기 탑면(2003)에는 광 입사홀(2006)이 제공된다. 상기 광 가이드(51)는 상기 탑면(2003) 상에 위치한 광 입사홀(2006)에 대응한다. 즉, 상기 광 센서(5)는 상기 광 가이드(51)를 통해 상기 탑면(2003) 상에 위치한 광 입사홀(2006)을 통과하는 광을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광 센서(5)는 상기 수납 케이스(200)가 상기 하우징(20)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내부로 수축되는 것과 상관없이 주변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 입사면(511)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탑면(2003)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광 입사면(511)은 중앙 영역(central area)(5111) 및 상기 중앙 영역(5111) 주위에 배치된 에지 영역(edge area)(5112)을 가진다. 상기 중앙 영역(5111)은 에지 영역(5112)에 대해 돌출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광 입사면(511)의 영역이 넓고, 더 많은 외부 광이 상기 광 가이드(51)에 입사할 수 있다. 상기 광 입사면(511)은 곡면(curved surface)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200)는 내측면(inner side surface)(2063)을 가진다. 상기 내측면(2063)은 포지셔닝 홈(positioning groove)(2064)을 형성한다. 상기 포지셔닝 홈(2064)은 상기 광 입사홀(2006)과 연통한다. 상기 광 가이드(51)는 광 입사부(light incident portion)(513) 및 광 방출부(light emitting portion)(514)를 포함한다. 상기 광 입사면(511)은 상기 광 방출부(514)로부터 떨어진 상기 광 입사부(513)의 단부면이다. 상기 광 방출면(512)은 상기 광 입사부(513)로부터 떨어진 상기 광 방출부(514)의 단부면이다. 상기 광 입사부(513)는 상기 광 입사홀(2006)을 통과하고, 상기 광 방출부(514)는 포지셔닝 홈(2064)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광 가이드(51)와 상기 수납 케이스(200)는 서로 고정되어 미끄러지기 쉽지 않다. 한편, 상기 광 입사부(513)와 대향하는 상기 광 방출부(514)의 표면에는 밀봉 요소(sealing element)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광 입사부(513)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상기 밀봉 요소는 포지셔닝 홈(2064) 및 상기 광 방출부(514)의 홈 벽면에 맞닿아 밀봉되고, 외부 먼지, 수증기 등이 상기 광 입사홀(2006)을 통해 상기 수납 케이스(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광 방출면(512)의 영역은 상기 광 입사면(511)의 영역보다 크고, 상기 광 입사부(513)의 단면적은 상기 광 입사면(511)의 방향에서 상기 광 방출면(512)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입사부(513)는 실질적으로 잘린 원뿔 형상(truncated cone shape)으로 되어 있어서, 광이 상기 광 입사부(513)에서 투과 및 확산되어 상기 광 방출부(514)로 균일하게 진입하는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광 가이드(51)는 포지셔닝부(positioning portion)(515)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포지셔닝부(515) 및 상기 광 방출부(514)는 상기 광 센서(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516)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수용 공간(516)에 수용된 상기 광 센서(5)는 포지셔닝부(515) 및 상기 광 방출부(514)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100)가 낙하 또는 충격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광 방출면(512)과 상기 광 센서(5)의 감광 영역(photosensitive region)(52) 사이에 간격이 생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블록(S02)에서, 상기 근접 센서(16)가 비활성화(deactivated)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블록(S03)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블록(S04)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될 때,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블랙-아웃 상태(black-out state)로 진입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근접 센서(16)가 활성화된다(activated).
블록(S05)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디스플레이 상태(display state)는 상기 근접 센서(16)의 검출 데이터(detection data)에 따라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의 블록들(S02 내지 S05)에서의 동작들은 상기 프로세서(2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근접 센서(16)를 제어하고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제어하고; 및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100)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를 비활성화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광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블록(S02)에서 동작 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들을 추가 포함한다.
블록(S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가 통화 서비스(call service)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블록(S02)의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위한 제어 장치(control device)(2000)를 추가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제어 장치(20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2000)는 제1판단 모듈(first determining module)(21), 제1제어 모듈(first control module)(22), 제2판단 모듈(second determining module)(24) 및 제2제어 모듈(second control module)(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판단 모듈(21)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통화 서비스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제어 컴포넌트(22)는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진입할 때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근접 센서(1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판단 모듈(24)은 상기 터치 층(12)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사람 머리에 가까운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제어 모듈(25)은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블랙-아웃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층(12)이 상기 사람 머리에 접근할 때 상기 근접 센서(16)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제어 컴포넌트(25)는 상기 근접 센서(16)의 상기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을 상기 블랙-아웃 상태를 유지하거나 라이트-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도록 추가 구성된다.
즉, 블록(S01)에서의 동작은 상기 제1판단 모듈(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블록(S02)에서의 동작은 상기 제1제어 모듈(22)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블록(S03)에서의 동작은 상기 제2판단 모듈(24)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블록들(S04 내지 S05)에서의 동작은 상기 제2제어 모듈(2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예를 들어, 정전 용량성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일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물체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정전 용량 값들(different capacitance values)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되는지 여부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전 용량 값들 및 이들 정전 용량 값들의 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5개의 정전 용량 값들을 출력하고, 상기 5개의 정전 용량 값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된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진입할 때, 상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 가깝게 배치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를 귀에 가깝게 배치하는 과정에서, 얼굴과 귀처럼 피부들이 있는 신체 일부가 도체(conductor)이기 때문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전자 장치(100)와 상기 사람 머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신호 값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 가깝게 배치하는 상기 동작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근접 센서(16)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 가깝게 배치한 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스크린을 관찰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턴 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정상적인 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기 근접 센서(16)는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어, 상기 프로세서(23)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온/오프를 제어할 때, 플리커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 경험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 가까이 배치한 후에만 활성화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귀에 가까이 배치하기 전에 상기 근접 센서(16)가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귀에 가깝게 배치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관찰하면, 상기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 경험이 저하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블록(S01)의 동작에서, 상기 통화 서비스에는 전화 걸기(making a call), 전화 받기(receiving a call) 또는 전화 연결(connecting a call)이 포함된다. 전화를 걸거나, 전화를 받거나, 혹은 전화를 연결할 때, 상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 가깝게 배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와 상기 사람 머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인체에서 멀어지면 상기 스크린이 켜지고, 상기 전자 장치(100)가 인체에 가까워지면 꺼져서,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가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화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 즉, 전화를 거는 상태; 또는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과정, 즉, 통화 연결 상태; 또는 상기 전자 장치(100)가 외부로부터의 통화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화에 응답하기를 기다리는 과정, 즉, 전화를 수신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블록(S02)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가 착신 통화에 연결될 때,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일반적으로 라이트-업 상태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전화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의 이름, 전화 번호 등을 표시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근접 센서(16)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근접 센서(16)는 적외선 광을 방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볼 때 상기 적외선 광에 의한 상기 플리커 현상을 관찰할 수 없다.
블록(S03)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되는 것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완전히 차폐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3)가 부분적으로 차폐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사람 머리와 접촉하거나 가까이 있을 때 차폐된다.
블록(S04)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에 진입한 후,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광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광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상기 플리커 현상을 일으키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플리커 현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블록(S05)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블랙-아웃 상태는 완전히 블랙-아웃된 디스플레이 영역(1311); 또는 나머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이 불랙-아웃되는 동안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이 완전히 블랙-아웃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은 블랙으로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나머지 부분이 불랙-아웃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일부가 상기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일부만 라이트-업 되어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나머지 부분은 불랙-아웃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일부만 라이트-업 되어 상기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AOD(Always on Display) 모드에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콘텐츠는 예를 들어 시간일 수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 또는 라이트-업 상태에 진입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미리 결정된 콘텐츠는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의 날짜, 신호 세기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의 일부와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두께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staggered).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라이트-업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 전체가 라이트-업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311)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터치하여, 각각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블록(S04)의 동작은 다음을 포함한다.
블록(S041)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과 상기 물체 사이의 상기 거리가 제1미리 결정된 거리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블록(S042)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자세(posture)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가 미리 결정된 자세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블록(S043)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과 상기 물체 사이의 상기 거리가 제1미리 결정된 거리 미만이고,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자세에 있을 때 차폐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블록(S044)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상기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근접 센서(16)가 활성화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블록들(S041 내지 S044)에서의 상기 동작들은 상기 프로세서(2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16)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을 활성화하고, 더 정확하게 꺼지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만들어진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부 시나리오들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진입하더라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 가깝게 배치하는 동작을 완료했다고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진입한 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터치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가깝게 배치되지 않지만,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또한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자세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귀에 가까이 배치하는지 여부를 추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자세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또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누운 자세(laid-down posture), 거꾸로된 자세(inverted posture) 또는 수직 자세(vertical posture)와 같은 많은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대화를 진행할 때 상기 수직 자세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배치하는 손-들기 동작(hand-raising action)을 일반적으로 하므로, 상기 미리 결정된 자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들기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 장치(100)가 배치되는 수직 자세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을 드는 상기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S041)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과 상기 물체 사이의 상기 거리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정전 용량 값들 및 이들 정전 용량 값들의 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블록(S042)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자세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서, 블록(S042)에서의 상기 동작은 블록(S041)에서의 상기 동작 이후에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블록(S042)에서의 상기 동작은 블록(S041)에서의 상기 동작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블록(S041)에서의 상기 동작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블록(S03)에서의 상기 동작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탑 영역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차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탑 영역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이 차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수신기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탑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화를 받으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탑은 귀 부근에 더 가깝다. 따라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탑 영역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차폐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머리에 가깝게 있는지 판단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블록(S05)의 상기 동작은 다음들을 포함한다.
블록(S051)에서, 상기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상기 거리가 제2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상기 블랙-아웃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사람 머리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제2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블랙-아웃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상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블록(S05)의 상기 동작 후에, 상기 방법은 다음들을 추가 포함한다.
블록(S052)에서, 상기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제2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라이트-업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근접 센서(16)는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상에 플리커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어 방법은 블록(S052)의 상기 동작 후 다음들을 추가 포함한다.
블록(S06)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가 통화 서비스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그렇다면 블록(S02)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전자 장치(100)가 통화 서비스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화 서비스 중일 때 상기 근접 센서(16)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통화 중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서 떼어낼 때, 상기 사용자가 플리커 현상에 방해받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통화 중에 상기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서 떼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근접 센서(16)가 계속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방해하는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광에 의한 상기 플리커 현상은 상기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제2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라이트-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없는 경우, 상기 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추론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 방법이 직접 종료된다. 상기 전자 장치(100)가 여전히 상기 통화 서비스 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에서 떼어 놓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간섭하는 상기 근접 센서(16)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광에 의해 야기되는 플리커 현상을 피하기 위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로 가져가고 일시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를 귀에서 떼어 놓은 후 상기 통화를 계속하기 때문에, 블록(S02)에서의 상기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귀로 가져가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활성화 및 제어하여 상기 블랙-아웃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근접 센서(16)를 제어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100)를 추가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및 근접 센서(16)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온(turn on) 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상기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100) 사이의 상기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온 되면 비활성화되고,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오프 될 때 활성화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는 라이트-업 상태 및 블랙-아웃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16)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일 때 활성화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온 되는 것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라이트-업 된 것을 의미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오프 되는 것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전체 또는 일부)이 불랙-아웃 되거나 블랙으로 나타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꺼져(powered off) 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온 되는 것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라이트-업 상태임을 의미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턴 오프 되는 것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로팅 터치를 지원하는 터치 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정전 용량 센서들에는 가령, 상호-정전 용량 센서들(mutual-capacitance sensors)과 자기-정전 용량 센서들(self-capacitance sensors)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상기 자기-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상호-정전 용량에 의해 생성된 신호보다 강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최대 20mm의 더 먼 손가락 감지 및 검출 범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상호-정전 용량 센서의 상기 전기장은 너무 작아서 상기 신호 강도가 매우 낮으며, 매우 약한 신호들을 감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 위를 맴돌(hover) 때, 상기 상호-정전 용량 센서가 신호를 감지할 수 없다. 상기 자기-정전 용량 센서는 상호-정전 용량 센서보다 크다. 대형 센서는 상기 장치가 상기 스크린 위로 최대 20mm까지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는 강력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플로팅 터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자기-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상호-정전 용량 센서를 모두 실행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호-정전 용량 센서는 멀티-터치를 포함한 일반적인 터치 감지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기-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스크린 위로 맴도는 손가락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로팅 터치 기술은 상기 자기-정전 용량 센서에 의존하므로, 플로팅 멀티-터치를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상기 플로팅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스크린이 멀티-터치를 지원하지 않으며, 상기 스크린은 접촉하고(contacting) 터치하는(touching) 경우에만 멀티-터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를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23)가 상기한 실시 예들 중 임의의 것의 상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장치(300)를 추가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32) 및 상기 프로세서(23)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상기 메모리(32)에 저장된다. 상기 명령어들이 상기 프로세서(23)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한다.
도 25는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컴퓨터 장치(300)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컴퓨터 장치(300)는 상기 프로세서(23) 및 상기 메모리(32)(예를 들어, 비-휘발성 저장 매체), 내부 메모리(33), 디스플레이 층(13) 및 시스템 버스(31)에 의해 결합된 입력 장치(34)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장치(300)의 상기 메모리(32)는 운영 체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임의의 상기 실시 예들의 상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23)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전체 컴퓨터 장치(3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컴퓨팅 및 제어 능력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장치(300)의 상기 내부 메모리(33)는 상기 메모리(32)의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동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장치(300)의 상기 디스플레이 층(13)은 OLED 디스플레이 층 또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층 등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34)는 상기 디스플레이 층(13) 상에 배치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컴퓨터 장치(300)의 상기 외부 케이스에 제공된 버튼, 트랙볼 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으며, 심지어 외부 키보드, 터치 패드 또는 마우스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장치(300)는 휴대폰, 태블릿, 랩톱,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 (가령, 스마트 팔찌, 스마트 시계, 스마트 헤드셋, 스마트 안경)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상기 구조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과 관련된 상기 구조의 일부의 개략도일뿐이고,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이 적용되는 컴퓨터 장치(300)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장치(3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컴포넌트들과 결합될 수 있거나, 컴포넌트들에 대해 상이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인 방법에서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할 때 본 발명의 방법 실시 예에서 전술한 각 해결 수단의 흐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일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 예들에 불과하며, 이는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따른다.

Claims (16)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touch display screen) 및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display area)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disposed under),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deactivated) 유지하는(keeping)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지(shielded) 여부를 판단하는(determining)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black-out state)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controlling),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는(activating) 동작; 및
    상기 근접 센서의 검출 데이터(detection data)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display state)를 제어하는(controlling)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물체(object) 사이의 거리가 제1미리 결정된 거리(first predetermined distance)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determining)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posture)를 검출하고(detecting), 상기 전자 장치가 미리 결정된 자세(predetermined posture)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determining) 동작;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물체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제1미리 결정된 거리 미만이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자세에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차폐되는 것으로 판단하는(determining) 동작;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controlling),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는(activating)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은:
    물체(object)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2미리 결정된 거리(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이하인 경우, 상기 블랙-아웃 상태를 유지하도록(maintain)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controlling) 동작; 또는
    물체(object)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2미리 결정된 거리(second predetermined distance)보다 큰 경우, 라이트-업 상태(light-up state)로 전환하도록(switch)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고(controlling),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하는(deactivating)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후에,
    상기 전자 장치가 통화 서비스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서비스 중인 경우,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 유지하는 동작;
    을 추가 포함하는,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블랙-아웃 상태는: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이 불랙 아웃되는 상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미리 결정된 콘텐츠를 표시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랙 아웃되는 상태;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 유지하는 동작 전에,
    상기 전자 장치가 통화 서비스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 유지하는 동작;
    을 추가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touch display screen) 및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display area)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disposed under),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라이트-업 상태(light-up state)일 때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라이트-업 상태일 때 상기 근접 센서가 비활성화되고(deactivated),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black-out state)일 때 상기 근접 센서가 활성화되는(activated),
    전자 장치.
  8.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touch display screen),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deactivated) 유지하고(keep);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차폐되는지(shielded) 여부를 판단하고(determine);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실질적으로 차폐된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control),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며(activate); 및
    상기 근접 센서의 검출 데이터(detection data)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상태(display state)를 제어하도록(control);
    구성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제1미리 결정된 거리(first predetermined distance)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determine);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posture)를 검출하고(detect), 상기 전자 장치가 미리 결정된 자세(predetermined posture)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determine);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물체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제1미리 결정된 거리 미만이고, 상기 전자 장치가 미리 결정된 자세에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차폐되는 것으로 판단하고(determine);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control),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하도록(activate);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2미리 결정된 거리(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이하인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블랙-아웃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control); 또는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2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라이트-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control),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하도록(deactivate);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라이트-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센서를 활성화한 후에,
    상기 전자 장치가 통화 서비스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서비스 중이면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 유지하도록
    추가 구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 유지하기 전에,
    상기 전자 장치가 통화 서비스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서비스에 진입하면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로 유지하도록
    추가 구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층은 상부면(upper surface) 및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는 하부면(lower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부면 상에 코팅되고 상기 근접 센서를 커버하는 제1코팅 층(first coating layer)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제1코팅 층은 적외선 광(infrared light)을 투과하고(transmit) 가시 광(visible light)을 차단하도록(block) 구성되며,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제1코팅 층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적외선 광을 투과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4.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housing), 수납 케이스(receiving case), 광 가이드(light guide) 및 광 센서(light sensor)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slidably coupled) 상기 하우징 밖으로 확장하거나 하우징 안으로 수축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케이스에는 광 입사홀(light incident hole)이 제공되고,
    상기 광 가이드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 수용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광 입사홀로 연장되며, 상기 광 가이드는 광 입사면(light incident surface)과 광 입사면에 대향하는 광 방출면(light emitting surface)을 가지고, 상기 광 입사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외부를 향하고, 상기 광 방출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며,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광 방출면을 직접 향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는 내측면(inner side surface)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포지셔닝 홈(positioning groove)을 형성하며,
    상기 포지셔닝 홈은 상기 광 입사홀과 연통하며,
    상기 광 가이드는 광 입사부(light incident portion) 및 광 방출부(light emitt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광 입사면은 상기 광 방출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광 입사부의 단부면이고,
    상기 광 방출면은 상기 광 입사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광 방출부의 단부면이고,
    상기 광 입사부는 상기 광 입사홀을 통과하고,
    상기 광 방출부는 상기 포지셔닝 홈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삽입되는,
    전자 장치.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7206A 2018-06-11 2019-06-06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388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596344.1 2018-06-11
CN201810596344.1A CN110581904B (zh) 2018-06-11 2018-06-11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PCT/CN2019/090242 WO2019237985A1 (en) 2018-06-11 2019-06-06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210A true KR20200123210A (ko) 2020-10-28
KR102388062B1 KR102388062B1 (ko) 2022-04-18

Family

ID=6677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206A KR102388062B1 (ko) 2018-06-11 2019-06-06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7058B2 (ko)
EP (1) EP3582089B1 (ko)
JP (1) JP7015399B2 (ko)
KR (1) KR102388062B1 (ko)
CN (1) CN110581904B (ko)
AU (1) AU2019284180B2 (ko)
WO (1) WO20192379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28A1 (ko) * 2021-10-22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접 센싱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1019B (zh) * 2018-08-22 2020-07-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近事件检测元件切换控制方法和装置
CN112449034A (zh) * 2019-08-30 2021-03-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1193820B (zh) * 2020-01-06 2021-08-06 深圳市德仓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JP2021150671A (ja) * 2020-03-16 2021-09-27 ローム株式会社 受光ic、近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CN113625905A (zh) * 2020-05-07 2021-1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20026864A (ko) * 2020-08-26 202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147933B (zh) * 2020-09-25 2023-05-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传感器的控制方法、电子设备
CN114415864B (zh) * 2020-10-13 2024-02-02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触摸区域的确定方法与显示设备
JP2022085258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および移動体
CN113899154B (zh) * 2021-09-30 2022-08-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电器
US20230304636A1 (en) * 2022-03-22 2023-09-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ydrogen refueling ir interference shield
WO2024079989A1 (ja) * 2022-10-13 2024-04-1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347A (ko) * 2012-11-16 2014-05-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비밀 채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077140A1 (en) * 2012-04-23 2015-03-19 Chih-Pin Chu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ximity detection according to capacitive sensing output and status output
KR20150085866A (ko) * 2014-01-16 2015-07-27 한국과학기술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107767A (ko) *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기 조작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66B1 (ko) * 2002-12-25 2011-07-06 에이씨티 엘에스아이 인크. 정전 용량 검출형 근접 센서
US8970501B2 (en) 2007-01-03 2015-03-03 Apple Inc. Proximity and multi-touch sensor detection and demodulation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US8411045B2 (en) * 2008-12-15 2013-04-02 Sony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s with coplanar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ensor pads and related touch panels
JP5183790B2 (ja) * 2010-09-27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160625B2 (ja) * 2010-12-02 2013-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近接センサ及び電子機器
US8682388B2 (en) 2010-12-31 2014-03-25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ximity detection verification
CN102722297B (zh) * 2011-03-30 2016-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设备及其实现接近感应的方法
WO2011150891A2 (zh) 2011-06-24 2011-12-0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确定物体接近的方法及装置
US8838085B2 (en) 2012-04-26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proximity sensors for interacting with mobile devices
US9465460B2 (en) 2012-05-24 2016-10-11 Ht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886692B2 (ja) 2012-06-07 2016-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9173086B2 (en) 2012-07-17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CN102937866B (zh) 2012-11-12 2015-05-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及终端
US20140232540A1 (en) 2013-02-20 2014-08-21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a power saving technique using a proximity sensor controlled display
CN103369142B (zh) * 2013-07-09 2015-02-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止打电话误操作的方法及系统
CN103870085A (zh) * 2014-02-28 2014-06-18 惠州市德帮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电容感应的手机距离感应装置及方法
AU2015301514A1 (en) * 2014-08-15 2017-04-06 Beam Authentic, Inc. Systems for handling media for wearable display devices
KR102271433B1 (ko) * 2014-08-22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CN105630139A (zh) * 2014-10-31 2016-06-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屏幕控制系统及方法
CN106131336A (zh) * 2016-07-11 2016-11-16 朱小龙 一种自动识别部分耳朵的来电即接方法
KR102586792B1 (ko) 2016-08-23 2023-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6506794A (zh) 2016-09-05 2017-03-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的状态监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2603269B1 (ko) * 2016-10-24 2023-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793023A (zh) 2016-11-21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移动终端防误触方法
KR102562001B1 (ko) * 2017-01-13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707835A (zh) * 2017-09-11 2018-02-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67835B (zh) 2017-11-22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10667157B2 (en) * 2018-06-03 2020-05-26 Apple Inc. Individualized adaptive wireless parameter tuning for streaming content
CN108848259B (zh) * 2018-06-06 2020-06-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7140A1 (en) * 2012-04-23 2015-03-19 Chih-Pin Chu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ximity detection according to capacitive sensing output and status output
KR20140063347A (ko) * 2012-11-16 2014-05-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비밀 채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85866A (ko) * 2014-01-16 2015-07-27 한국과학기술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107767A (ko) *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기 조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28A1 (ko) * 2021-10-22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접 센싱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84180A1 (en) 2020-11-26
KR102388062B1 (ko) 2022-04-18
CN110581904B (zh) 2021-01-15
JP7015399B2 (ja) 2022-02-02
EP3582089A1 (en) 2019-12-18
EP3582089B1 (en) 2023-08-23
US20190379781A1 (en) 2019-12-12
WO2019237985A1 (en) 2019-12-19
US10827058B2 (en) 2020-11-03
JP2021516406A (ja) 2021-07-01
AU2019284180B2 (en) 2021-08-26
CN110581904A (zh)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062B1 (ko) 제어 방법,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8769296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制造方法
CN108600421B (zh)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167857B (zh) 校准方法、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R20200112935A (ko) 전자 장치
CN108512960B (zh)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US11455018B2 (en) Optical proximity sensor component comprising light guide
WO2019233232A1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CN109040417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8769354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R102552626B1 (ko) 압력 검측 장치, 스크린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기
CN108833615B (zh) 电子装置
CN108718349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8989566A (zh) 控制方法、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10119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8803947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WO2019233233A1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9710110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9710109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9743451B (zh) 控制方法、电子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TW201319866A (zh) 電子系統之控制裝置
CN109388282B (zh) 控制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9683750B (zh) 控制方法、电子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521481B (zh) 电子装置
CN109656429B (zh) 控制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