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132A - 화목난로 - Google Patents

화목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132A
KR20200122132A KR1020190045003A KR20190045003A KR20200122132A KR 20200122132 A KR20200122132 A KR 20200122132A KR 1020190045003 A KR1020190045003 A KR 1020190045003A KR 20190045003 A KR20190045003 A KR 20190045003A KR 20200122132 A KR20200122132 A KR 20200122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ood
stove
combustion
smoke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섭
Original Assignee
차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섭 filed Critical 차영섭
Priority to KR102019004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132A/ko
Publication of KR2020012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1/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after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8Closed stoves with mean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24B13/008Ash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땔감의 착화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손쉽게 착화됨과 동시에 착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연통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는 것은 물론 연소시 외부의 공기를 최소한으로 유입되게 하여 화력이 오래 지속되도록 한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 땔감이 연소되는 공간과 열이 정체되는 공간이 나뉘고 땔감의 착화시 또는 연소시에 연기의 배출 경로를 조절하는 난로와; 땔감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를 연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난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이루어지고, 지지대에 의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재를 받는 재받이함체 또는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함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난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땔감의 착화시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기로의 면적을 최대한 오픈하여 연통으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땔감의 연소시 배기되는 배기로의 면적을 최대한 줄여 땔감이 오랜 시간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난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목난로{Wood Stoves}
본 발명은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땔감의 착화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손쉽게 착화됨과 동시에 착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연통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는 것은 물론 연소시 외부의 공기를 최소한으로 유입되게 하여 화력이 오래 지속되도록 한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고체(화목, 펠릿, 석탄 등)를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보일러 포함)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랜 세월에 걸쳐서 이용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연료의 상태와 사용되는 장소 등 환경에 따라 난로는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고 발전되고 있다.
상기 과정에서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이고자 연료의 종류에 적합한 연소실을 갖는 난로가 제공되고 있고 또 여러종의 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최근들어 화목이나 펠릿을 겸용 사용할 수 있는 난로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앞서 다양한 선행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한 예로 이러한 종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24436호(2015.06.09. 공고),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2292호(2015.06.17.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42082호(2015.08.06. 공고),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6-40815호(2016.04.15.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481740호(2016.11.04. 공고)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 화목과 펠릿을 연료로하는 난로의 경우 연소실 하방에는 화목연소가 이루어지게 하고 연소실 상부 측벽에는 화목 투입구를 구비하고, 펠릿은 연소실 상부에 연소통을 설치하여 펠릿을 연소통으로 공급하고 상기 연소통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의 종래수단은 화목과 펠릿은 연료의 형태가 다르고 연소환경이 달라 초기 점화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선행 종례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작에 많은 생산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화목 또는 펠릿을 연소시킬 때 연소재료에 따라서 연소방식이 번거로워 효율적인 연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연소를 위해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투시창이 연소연기에 의해 그을리거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86117호(공개일: 2018.07.30.)의 "화목 난로"는 난로본체의 내부에 화목연소관이 위치되고 난로본체 상부에는 화목투입호퍼와 상기 호퍼 윗면에는 공기조절구가 구비되는 덮개가 씌워지고 후방 벽면의 연소가스배출관에는 연도와 연결되고 상기 화구를 구비한 화목연소관 후방에는 연소열을 유치할 수 있도록 격판을 구비하고, 상기 격판 상부에는 구이통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화목난로에 있어서, 상기 화목난로를 펠릿난로와 겸용할 수 있도록 난로본체에서 펠릿공급 및 연소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은 펠릿 연료의 점화시 발생하는 연기가 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것도 일부 존재하지만 걸림턱에 받침턱이 안착되는 펠릿호퍼의 걸림턱 사이로 연기가 배출되어 실내로 퍼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실내의 공기질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86117호(공개일: 2018.07.30.)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땔감의 착화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손쉽게 착화됨과 동시에 착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연통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하여 실내로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화목난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목난로로 투입되는 땔감의 연소시 외부의 공기를 최소한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화력이 오래 지속되도록 하여 땔감이 빠르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목난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땔감이 연소되는 공간과 열이 정체되는 공간이 나뉘고 땔감의 착화시 또는 연소시에 연기의 배출 경로를 조절하는 난로와; 땔감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를 연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난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이루어지고, 지지대에 의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재를 받는 재받이함체 또는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함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난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로는, 연소되는 땔감의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출경로가 댐퍼에 의해 변경될 있도록 제1배출공과 제2배출공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받침대 상부에 설치되는 난로본체와; 연소되는 땔감의 열이 난로본체와의 사이 공간에 머무를 수 있게 난로본체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면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받침대와 난로본체에서 이격되게 난로본체에 설치되는 연소관과;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을 가지며 난로본체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과; 연소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뚜껑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양조절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출덕트는, 땔감이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기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댐퍼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받침대는, 연소관의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땔감으로부터 발생되는 재가 재받이함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재낙하공이 형성되어 난로본체의 하부에 받침대를 가지며 설치되는 상부패널과; 복수의 받침대를 가지며 상부패널의 하방향으로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패널과;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땔감이 연소되어 발생하는 재를 받을 수 있도록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함체와; 밤, 고구마, 감자와 같은 음식을 구워 먹을 수 있도록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이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땔감의 착화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손쉽게 착화됨과 동시에 착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연통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으로서 실내로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쾌적한 환경에서 난로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목난로로 투입되는 땔감의 연소시 외부의 공기를 최소한으로 유입되게 하여 화력이 오래 지속됨으로 땔감이 빠르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내 난방이 지속되어 땔감에 의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땔감의 착화시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기로의 면적을 최대한 오픈하여 연통으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땔감의 연소시 배기되는 배기로의 면적을 최대한 줄여 땔감이 오랜 시간 연소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난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의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난로의 A-A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목난로의 B-B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이용하여 땔감에 착화시키는 상태에서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이용하여 땔감이 연소되는 상태에서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에서 잔불씨에 의해 난방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에 설치되는 연통에 쌓인 재 및 목초액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는 땔감의 착화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손쉽게 착화됨과 동시에 착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연통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서 실내로 연기가 누수되는 것을 막아 쾌적한 환경에서 난로를 사용하고, 또한, 투입되는 땔감의 연소시 외부의 공기를 최소한으로 유입되게 하여 화력이 오래 지속됨으로 땔감이 느리게 연소되하면서 실내 난방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는 불의 착화시, 연소시에 따라 연기가 배출되는 배기로를 변경시켜 연기, 연소가스 등의 배출 및 연소에 따른 땔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난로의 A-A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목난로의 B-B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이용하여 땔감에 착화시키는 상태에서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이용하여 땔감이 연소되는 상태에서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에서 잔불씨에 의해 난방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에 설치되는 연통에 쌓인 재 및 목초액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는 땔감이 연소되는 공간과 열이 정체되는 공간으로 나뉘고 땔감의 착화시 또는 연소시에 연기의 배출 경로를 조절하는 난로(100)와, 땔감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를 연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난로(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200)와,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로 이루어지고, 지지대(321)에 의해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재를 받는 재받이함체 또는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함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난로(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난로(100)는 난로본체(110), 연소관(120), 뚜껑(130) 및 공기양조절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난로본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난로본체(110)는 원통형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난로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쪽에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이 각각 형성되고, 배출덕트(200)에 설치된 댐퍼(220)에 의해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 및 배출면적을 변경시켜 제1배출공(111), 제2배출공(112) 중 어는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착화시에는 댐퍼(220)에 의해 배기로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는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을 모두를 통해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땔감이 연소될 때에는 댐퍼(220)에 의해 배기로를 폐쇄시켜 땔감이 느리게 연소되도록 하여 땔감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소관(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땔감이 연소할 수 있도록 연소실(121)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 둘레에 난로본체(110)의 내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있도록 결합돌기(122)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관(120)은 난로본체(110)의 내측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받침대(300)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땔감의 연소시 열이 난로본체(110)와 연소관(12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소정 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뚜껑(130)은 난로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경첩(13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뚜껑손잡이(132)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공기가 연소실(1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유입공(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공(133)이 형성된 뚜껑(130)의 저부에는 공기양조절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소실(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양조절부재(140)에는 조절손잡이(141)가 설치되어 공기양조절부재(140)를 회전시켜 공기유입공(133)의 크기를 조절해 연소실(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상기 배출덕트(200)는 난로본체(110)의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이 형성된 위치에 설치되어 연소실(121)에서 연소되는 땔감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출이 연통(23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덕트(200)에는 덕트배출공(미부호)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배출공은 제1배출공(111), 제2배출공(112)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배출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가 연통(2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200)에는 댐퍼(220)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220)는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을 통해 배출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기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댐퍼(220)는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이 형성된 사이에 위치되어 착화시 또는 젖은 땔감의 연소시 많은 양의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발생하면, 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로의 면적을 넓혀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땔감이 용이하게 연소되면, 땔감이 느리게 연소될 수 있도록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의 배출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덕트(200)의 덕트배출공(미부호)이 형성된 위치에는 연통(23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연결관(2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230)에는 재제거부재(250)에 의해 제거되는 재와 목초액이 담겨질 수 있도록 수거통(231)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거통(231)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연통(230)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연통(230)을 연결하는 연결연통(미부호)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제거부재에 의해 제거되는 재와 목초액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방향 연통(230)과 수직방향 연통(230)을 연결하는 연결연통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40)에 가이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연통(230)의 내측에 쌓인 재와 목초액을 제거하기 위한 재제거부재(25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40)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연통(2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연통에 형성된 결합공(미부호)의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패널(241)과, 상기 재제거부재(250)가 왕복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을 가지며 고정패널(24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관(24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재제거부재(250)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연통(230)의 사이에 결합된 연결연통(미부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40)의 가이드관(2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연통(230)의 내측으로 위치된다.
상기 재제거부재(25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연통(230)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하여 재와 목초액을 긁어 내어 수거통(231)으로 낙하시키는 재제거판(251)과, 재제거판(251)이 이동하면서 재와 목초액을 긁어 낼 수 있도록 고정볼트에 의해 재제거판(251)과 결합되어 가이드부재(24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252)와, 재제거판(251)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연통(23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재 및 목초액을 긁어 내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연결부재(252)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253)로 구성된다.
상기 재제거판(251)과 손잡이(253)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5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은 간격이 조밀하게 이루어지는 인장스프링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53)를 잡은 상태에서 연통(230)의 바닥쪽으로 힘을 가했을 때 재제거판(251)에 과도하게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통(23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재제거부재(2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실내에서 실외로 수평하게 설치된 부분에 쌓이는 재와 목촉액을 실외에서 긁어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재제거부재(250)를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므로 재와 목초액을 긁어낼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공기의 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300)는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로 이루어지고,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의 간격이 이격되게 지지대(321)가 설치되어 용접에 의해 난로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패널(310)의 중앙에는 연소실(121)에서 연소되는 땔감으로부터 발생하는 재만 낙하될 수 있도록 낙하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패널(3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310)의 하방에서 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지지대(321)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321)가 형성된 동일한 위치의 하부패널(320) 저부에 받침돌기(322)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재를 받을 수 있는 재받이함체(330)가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재받이함체(330)의 양측에는 제1가이드돌기(미부호)가 형성되어 재받이함체(330)의 입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재받이함체(330)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의 양측 방향에는 밤, 고구마, 감자와 같은 음식을 구워서 먹을 수 있도록 구이함체(340)가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이함체(340)에는 재받이함체(330)의 제1가이드돌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가이드돌기(미부호)가 각각 형성되어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서 입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댐퍼손잡이(221)를 이용하여 배출덕트(200)의 배기로가 개방되도록 댐퍼(220)를 조작하고, 난로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130)을 개방시켜 연소관(120)의 연소실(121) 내측으로 땔감을 넣은 후 뚜껑(130)을 닫는다.
상기 땔감을 넣은 상태에서 불쏘시개 또는 토치 등을 이용하여 땔감을 착화시키면, 많은 양의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관(120)과 상부패널(310) 사이에 공간을 통해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 모두를 통해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배출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는 실외에 위치되는 연통(230)으로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될 때, 대기의 이동에 의해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난로(100) 내부의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사이폰 현상이 발생하여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땔감이 착화되어 연소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력을 강하게 올리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기가 연소실(12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뚜껑(130)에 설치되는 조절손잡이(141)를 조작하여 공기양조절부재(140)에 의해 공기유입공(133)이 최대한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연소실(121)에서 연소되는 땔감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는 외부와 실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한 압력이 발생하는 사이폰 현상에 의해 연통(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공기유입공(133)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어 땔감의 연소력이 높아진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땔감이 연소되는 상태에서 뚜껑(130)에 설치된 공기양조절부재(140)를 이용하여 공기유입공(133)을 폐쇄시키고, 배출덕트(200)에 설치된 댐퍼(220)를 조작하여 배기로를 폐쇄시켜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단면적이 줄어들게 하면서 우회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연기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단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연기 및 연소가스가 천천히 배출되면서 적은 양이 배출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도 적게 유입되어 땔감이 꺼지지 않을 정도의 작은 화력을 유지하므로 장시간 연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땔감이 연소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와 함께 숯이 재받이함체(330)로 낙하되고, 낙하된 숯에 재가 덮여지며, 재에 의해 숯의 불씨가 오랜시간 지속되면서 열이 발산되면서 난방이 지속된다.
그리고 연소가 완전히 끝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연통에 설치된 재제거부재(250)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연통의 내부에 쌓인 재와 목초액을 긁어 청소를 하므로 재와 목초액이 엉겨붙으면서 연통(230)의 내부의 공간이 막히게 되어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출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230) 내부에 재와 목초액이 엉겨붙는 경우 기존에는 연통을 분리하여 도구를 이용해 제거하거나 또는 새로운 연통으로 교환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연통(23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와 목초액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통의 내부에 엉겨붙어 굳는 현상에 의해 연통(230)을 분리하여 청소를 하거나 또는 새로운 연통(230)으로 교환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실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통(2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연통에 설치된 재제거부재(250)를 이용하여 실외에서 재와 목촉액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재와 목초액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미세먼지 등에 의해 실내의 공기질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제거부재(250)에 의해 수거통으로 모여지는 목초액은 물과 희석하거나 또는 원액 그대로를 이용하여 화초, 농작물 등에 병충해를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화력에 의해 난로본체(110) 및 연소관(120)이 가열된 상태를 유지시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땔감의 사용양은 줄이면서 효율적인 난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방본체(110)에 형성된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 뚜껑(130)에 설치된 공기양조절부재(140) 및 배출덕트(200)에 설치된 댐퍼(2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착화 또는 연소시 배출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와 유입되는 공기의 양 및 배기되는 면적이 유기적으로 조절되므로 최적의 상태에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난로 110: 난로본체
111: 제1배출공 112: 제2배출공
120: 연소관 121: 연소실
122: 결합돌기 130: 뚜껑
131: 경첩 132: 뚜껑손잡이
133: 공기유입공 140: 공기양조절부재
141: 조절손잡이 200: 배출덕트
210: 연결관 220: 댐퍼
221: 댐퍼손잡이 230: 연통
231: 수거통 240: 가이드부재
241: 고정패널 242: 가이드관
250: 재제거부재 251: 재제거판
252: 연결부재 253: 손잡이
300: 받침대 310: 상부패널
311: 낙하공 312: 낙하망
320: 하부패널 321: 지지대
322: 받침돌기 330: 재받이함체
340: 구이함체

Claims (4)

  1. 땔감이 연소되는 공간과 열이 정체되는 공간이 나뉘고 땔감의 착화시 또는 연소시에 연기의 배출 경로를 조절하는 난로(100)와;
    땔감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연소가스를 연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난로(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200)와;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로 이루어지고 지지대(321)에 의해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재를 받는 재받이함체(330) 또는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함체(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난로(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100)는,
    연소되는 땔감의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출경로가 댐퍼(220)에 의해 변경될 있도록 제1배출공(111)과 제2배출공(112)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받침대(300) 상부에 설치되는 난로본체(110)와;
    연소되는 땔감의 열이 난로본체(110)와 연소관(120)의 사이 공간에 머무를 수 있게 난로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면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받침대(300)와 난로본체(110)에서 이격되게 난로본체(110)에 설치되는 연소관(120)과;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133)을 가지며 난로본체(110) 상부에서 경첩(13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130)과;
    연소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뚜껑(130)의 공기유입공(133)이 형성된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양조절부재(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200)는,
    땔감이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기 및 연소가스의 배기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댐퍼(2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0)는,
    연소관(120)의 연소실(121)에서 연소되는 땔감으로부터 발생되는 재가 재받이함체(3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재낙하공(311)이 형성되어 난로본체(110)의 하부에 받침대(300)를 가지며 설치되는 상부패널(310)과;
    복수의 받침대(300)를 가지며 상부패널(310)의 하방향으로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패널(320)과;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321)와;
    땔감이 연소되어 발생하는 재를 받을 수 있도록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함체(330)와;
    밤, 고구마, 감자, 생선, 고기와 같은 음식을 구워서 먹을 수 있도록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이함체(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KR1020190045003A 2019-04-17 2019-04-17 화목난로 KR20200122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03A KR20200122132A (ko) 2019-04-17 2019-04-17 화목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03A KR20200122132A (ko) 2019-04-17 2019-04-17 화목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32A true KR20200122132A (ko) 2020-10-27

Family

ID=7313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003A KR20200122132A (ko) 2019-04-17 2019-04-17 화목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1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117A (ko) 2017-01-20 2018-07-30 권오윤 이동형 및 고정형 화목 겸용 펠릿난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117A (ko) 2017-01-20 2018-07-30 권오윤 이동형 및 고정형 화목 겸용 펠릿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3011B1 (en) Tapered grill, smoker and fireplace device
KR10075276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US20070221191A1 (en) Outdoor oven
KR101355727B1 (ko)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KR101291402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US20130029024A1 (en) Barbeque stove
KR20180086117A (ko) 이동형 및 고정형 화목 겸용 펠릿난로
EP2319377B1 (en) Element and method for a fire-lighting system
KR20200122132A (ko) 화목난로
CN210493798U (zh) 一种烧烤炉用燃烧机构
CN114286639A (zh) 多用途烹饪装置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0392575Y1 (ko) 고기구이기
KR200445239Y1 (ko) 간접 열화식 구이기
CN209782715U (zh) 一种燃烧生物质颗粒燃料的炊事炉
CN209605219U (zh) 组合式全封闭祛烟尘节能柴火灶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KR101506546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033850B1 (ko) 아궁이가 회전되는 벽난로
KR20150006393A (ko) 로스톨
CN216591802U (zh) 燃烧炉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KR20190048426A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CN218899205U (zh) 一种无烟烤箱及炉具
CN218495022U (zh) 一种火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