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081A -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081A
KR20200122081A KR1020190044890A KR20190044890A KR20200122081A KR 20200122081 A KR20200122081 A KR 20200122081A KR 1020190044890 A KR1020190044890 A KR 1020190044890A KR 20190044890 A KR20190044890 A KR 20190044890A KR 20200122081 A KR20200122081 A KR 2020012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layer
anchor member
concrete
parking lot
d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찬
Original Assignee
정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찬 filed Critical 정현찬
Priority to KR102019004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081A/ko
Publication of KR2020012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하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시공되는 기초바닥콘크리트층; 누름콘크리트가 수용되도록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면 요홈부가 형성되고, 침투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면 요홈부가 형성된 배수판부재; 와이어메시망의 결속 및 누름콘크리트층에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되는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에 의해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에 매립되도록 상기 앵커부재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이어메시망; 상기 와이어메시망 및 상기 앵커부재가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배수판부재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시공되는 누름콘크리트층;을 마련하여 누름콘크리트층을 와이어메시망 및 앵커부재에 의해 추가균열 및 들뜨지 않도록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누름콘크리트층이 앵커부재에 의해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결속시켜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누름콘크리트층의 들뜸 및 차량 통행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free-flowing concrete in parking lot and construction method theerof}
본 발명은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의 바닥에 차량이 주행하는 통행로를 누름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함으로써 차량의 통행 시 소음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또는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되며, 대부분 이러한 지하구조물에는 지상 건축물의 전체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주차장으로 시공되어 이용되고 있으므로 지하층 바닥시공 시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지하층 바닥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층 깊이 굴착이 이루어질 경우 지층에는 지하수에 대한 내압이 낮아져 주위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어 지하층 바닥으로 침투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하게 배수 처리해주기 위한 배수시공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층 바닥시공과 배수시공을 동시에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누름콘크리트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수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배수판은 내방수용으로 지하구조물에 침투하는 지하수의 처리를 위하여 바닥콘크리트의 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결로 및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배수로를 통하여 집수정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수판은 지하구조물, 지하시설물, 지하주차장 등에 침투하는 지하수와 결로수의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어 불완전한 지하방수 하자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해주고, 이중슬라브 공법 대체 시 지하 터파기 및 남은 흙 처리량을 감소시켜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지층(50) 상면에 굴토마감면(40)을 형성하고, 그 위에 버림콘크리트(30)를 타설하고, 그 상부에 바닥콘크리트(20)를 타설하고, 다시 그 위에 누름콘크리트(10)를 타설하여 지하층 바닥면을 시공 시 상기 바닥콘크리트(20)의 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10) 사이에 배수판(100)이 설치된다.
배수판(100)은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평판(110)과 상기 평판(11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기둥(120)이 상기 다수개의 구멍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둥(120)의 내부로는 상기 평판(1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 내부로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20)의 상면에 상기 배수판(100)를 설치하고 상기누름콘크리트(10)를 타설함으로써, 지하수가 상기 배수판(100) 하부의 공간을 통해 집수정(60)으로 모이게 된다. 집수정(60)에 모인 물을 펌프로 배수하여 지하층의 습기, 결로 및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배수판(100)의 하부공간이 배수로역할을 하게 되고, 집수정(60)으로 유도할 수 있게되어 지하층의 지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배수판(100)은 상부에 누름콘크리트(10)를 타설했을 때, 상기 배수판(100)의 지지기둥(120)이 상기 바닥콘크리트(2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내부에 누름콘크리트(10)가 채워지거나, 상기 바닥콘크리트(20)가 고르지 못해 상기 배수판(100)가 들뜨게 설치될 경우, 지하주차장의 바닥 시공을 행하였을 때 차량의 운행 및 주차시 바닥면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지지기둥(120)이 들뜬 부분의 누름콘크리트(10)에 크랙이 발생되어 지하구조물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통 상기 배수판(100)을 상기 바닥콘크리트(20)에 설치할 때, 상기 배수판(100)을 바닥콘크리트(20)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배수판(100)의 평판(110)을 테이핑하거나, 무거운 물체로 눌러주곤 하였는데, 이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은 굴토마감면 위에 소정의 높이로 버팀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팀콘크리트층 위에 소정의 높이로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 위에 여러 개의 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기둥의 내부에 빈 곳의 공기 보온층이 형성된 배수판을 설치하되, 상기 배수판의 하부로 유입된 지하수가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과 연결된 트랜치로 배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판 위에 소정의 높이로 누름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누름콘크리트층의 상부 면에는 금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둥과 기둥 간에 또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줄눈커팅 작업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양쪽면에 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다수개로 돌출 형성된 배수판을 지하층 바닥 시공에 사용함으로써, 배수판 하부로 토출되는 지하수가 상기 배수판의 하부 면에 가득 채워지더라도 상기 배수판의 상부지지기둥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보온 및 단열이 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 층에 결로, 습기 또는 누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구체불량(평활도)으로 인한 배수판의 들뜸 및 과도한 줄 눈 부위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차량이 지나다니는 주차장 통로에서는 이동하중에 의한 기초콘크리트와 누름콘크리트 사이의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소음이 매우 많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지하주차장에 바닥 배수판을 설치하게 됨에 따라 바닥 배수판의 하부가 일부 들뜨게 되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바닥 배수판에 의해 누름콘크리트에 가해지는 동적하중에 따른 충격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컬링 현상에 의해 누름콘크리트가 덜컹거리게 되고, 차량의 이동 시 균열 부위에서 균열층이 서로 맞부딛쳐 발생되는 소음 및 누름콘크리트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지하 주차장 지하 바닥의 부력방지용 배수 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지하 주차장 지하 바닥의 부력방지용 배수 시설은 지하 주차장의 지하 바닥과 콘크리트 기초의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 시설에 있어서, 상기의 지하 주차장에는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지하 바닥이 설치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기초와 지하 바닥이 접하는 그 사이인 지하 바닥의 밑면에 배수 유공관이 설치되어 지하 주차장의 외부 및 콘크리트 기초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집수 맨홀로 유도시키는 한편, 상기의 집수 맨홀에는 그 집수 맨홀의 상부에 배수 파이프를 연결하는 개부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수중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수중 펌프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의 개구부에는 그 내측에 배수 파이프가 설치되며, 상기의 배수유공관은 내측에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유공관이 설치되고 상기의 유공관에는 그 외측에 잘게 자갈을 부순 깬 자갈이 설치되며, 상기의 유공관과 깬 자갈은 그 외측을 폴리에틸렌 네트론 망으로 감싸고 상기의 폴리에틸렌 네트론 망은 체결 밴드로 고정되며, 상기의 폴리에틸렌 네트론 망에는 그 외측에 체결 밴드가 결합되어 내측의 유공관과 깬 자갈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의 유공관은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경우, 그 유공관의 일측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다른 유공관과 유공관 체결밴드로 결합되며, 상기 유공관 체결밴드와 체결 밴드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한편 고정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의 체결클립은 U자형 연결볼트에 체결판이 결합되고 상기의 U자형 연결볼트와 체결판은 너트로 고정되어 유공관을 폴리에틸렌 네트론 망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1546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42683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344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바닥콘크리트층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분리되게 시공되는 누름콘크리트층을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또는 결속)시킴으로써 들뜸을 방지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콘크리트층에 와이어메시망 및 앵커부재가 매립 시공됨으로써 누름콘크리트층이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된 상태로 시공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는 지하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시공되는 기초바닥콘크리트층; 누름콘크리트가 수용되도록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면 요홈부가 형성되고, 침투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면 요홈부가 형성된 배수판부재; 와이어메시망의 결속 및 누름콘크리트층에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되는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에 의해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에 매립되도록 상기 앵커부재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이어메시망; 상기 와이어메시망 및 상기 앵커부재가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배수판부재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시공되는 누름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배수판부재이 설치된 다음 상기 배수판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앵커부재의 하단이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소정 깊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을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방법은 (a) 지하 바닥면에 소정의 높이로 기초바닥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배수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앵커부재를 소정 깊이로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배수판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앵커부재에 와이어메시망을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단계; (e) 상기 배수판부재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누름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배수판부재의 상면에 상기 앵커부재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앵커부재의 설치구간에 상기 앵커부재가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소정 깊이로 시공되도록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을 소정 깊이로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누름콘크리트층을 와이어메시망 및 특수가공앵커부재에 의해 들뜨지 않도록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누름콘크리트층이 앵커부재에 의해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결속시켜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누름콘크리트층의 들뜸 및 차량 통행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둥과 기둥 사이의 중간 위치에 들뜸방지 누름콘크리트층이 시공되어 누름콘크리트층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차량 통행로와 주차 공간을 무근콘크리트층으로 일체화시켜 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의 와이어메시망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가 적용된 주차장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가 적용된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는 지하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시공되는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 누름콘크리트가 수용되도록 상면에 일정 간겨으로 상면 요홈부(21)가 형성되고, 침투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면 요홈부(22)가 형성된 배수판부재(20), 와이어메시망(40)의 결속 및 누름콘크리트층(50)에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되는 앵커부재(30), 상기 앵커부재(30)에 의해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에 매립되도록 상기 앵커부재(30)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이어메시망(40), 상기 와이어메시망(40) 및 상기 앵커부재(30)가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시공되는 누름콘크리트층(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는 지하 주차장 등의 침출수 또는 유입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판부재(20)를 설치하게 됨에 따라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과 누름콘크리트층(50)이 서로 분리 또는 이격된 상태로 시공되는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이 앵커부재(30)에 의해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시공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은 차량 등으로부터 동적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견고하게 시공되어 누름콘크리트층(50)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름콘크리트층(50)이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음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의 와이어메시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은 기초 바닥면(미도시)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시공된다.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은 통상의 지하 주차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초 바닥면 또는 지하면의 상면에 시공된다. 이러한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은 통상의 지하 주차장과 동일하게 시공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는 배수판부재(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판부재(20)는 합성수지 등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는 상면 요홈부(21)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저면에는 저면 요홈부(2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들 상면 요홈부(21)와 하면 요홈부(22)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상면과 저면에 서로 교호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 요홈부(21)와 하면 요홈부(22)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판부재(20)는 계란판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누름콘크리트층(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저면은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과 배수판부재(20) 사이에 침출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앵커부재(30)는 누름콘크리트층(50)을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앵커부재(30)는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을 소정 깊이로 천공하여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앵커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상단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31)는 천공된 기초바닥콘크리트층(41)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32)는 배수판부재(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앵커부재(30)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탈되지 않도록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측에는 와이어메시망(40)이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은 가로철근(41)과 세로철근(42)을 일정 간격으로 서로 교차되게 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은 앵커부재(30)의 수평부(32)에 결속된다.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은 누름콘크리트층(50)에 매립 시공되는 것으로, 누름콘크리트층(50)을 앵커부재(30)와 함께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시공되는 와이어메시망(4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철근(41)과 상기 가로철근(41)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세로철근(42)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타설되는 누름콘크리트층(50)을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어메시망(40)의 인장력에 의해 누름콘크리트층(50)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은 앵커부재(30)에 결속선(미도시) 등에 의해 앵커부재(30)에 고정된다.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은 와이어메시망(50) 및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타설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의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 등을 도포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가 적용된 주차장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가 적용된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는 상면 요홈부(21)와 하면 요홈부(22)가 형성된 배수판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는 누름콘크리트(50)를 시공하여 지하 주차장을 시공하게 된다.
한편 지하 주차장은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공간과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통행로로 구획 시공되는데, 본 고안의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는 차량 통행로에 소정의 구역으로 이격되게 시공된다.
도 6 및 도 7은 지하 주차장의 차량을 주차하는 주차 공간과 차량이 통행하는 통행로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 통행로의 일부 구역에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가 적용된다.
즉, 주차 공간 및 차량 통행로는 기초바닥콘크리층(10)과 배수판부재(20) 및 누름콘크리트층(50)으로 시공되는데, 상기 차량 통행로 중 일부 구역에는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로 시공된다.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1)는 지하 주차장에 시공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시공된다. 즉, 4개의 기둥을 가상의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그 중심의 취약구간에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1)가 시공된다.
아울러 상기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는 차량의 통행량 또는 지하 주차장의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는 부위 등에 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1)는 누름콘크리트층(50)을 일정 간격으로 커팅하는 소오 커팅(Saw Cutting)의 교차 부위에 시공함으로써, 누름콘크리트층(50)이 와이어메시망(40) 및 앵커부재(30)에 의해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누름콘크리트층(50)이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차량의 통행에 따른 동적하중이 반복적으로 기해지게 되더라도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되어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방법은 (a) 지하 바닥면에 소정의 높이로 기초바닥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S10), (b)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배수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20), (c)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에 앵커부재를 소정 깊이로 고정시키는 단계(S30), (d)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앵커부재(30)에 와이어메시망(40)을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단계(S40), (e) 상기 배수판부재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누름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을 소정의 높이로 시공한다(S10).
이어서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는 상면 요홈부(21)와 하면 요홈부(22)가 형성된 배수판부재(20)를 설치한다(S20).
이러한 배수판부재(20)는 지하 주차장의 주차 공간 및 차량 통행로에 전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판부재(2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앵커부재(40)를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 즉 4개의 기둥을 가상의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그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크기를 갖는 영역을 표시한다(S23).
이는 앵커부재(30)와 와이어메시망(40)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위를 표시하여 둠으로써 앵커부재(30) 및 와이어메시망(40)의 시공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작업 영역이 표시된 위치에는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을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게 되며, 천공이 완료된 위치에는 앵커부재(30)를 고정하게 된다(S26).
이러한 앵커부재(30)의 고정은 천공 직경을 앵커부재(30)의 직경과 동일하게 천공한 다음 상기 앵커부재(30)가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케미칼 또는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앵커부재(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앵커부재(30)에는 와이어메시망(40)을 결속시켜 고정하며,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은 누름콘크리트층(50)의 시공되는 두께에 따라 적정한 높이에 고정한다(S40).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메시망(40)이 결속된 다음 누름콘크리트층(50)을 타설한다(S50).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의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 등을 도포함은 물론 줄눈을 형성하는 소오 커팅 작업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기초바닥콘크리트층
20: 배수판부재 21: 상면 요홈부
22: 하면 요홈부
30: 앵커부재 31: 수직부
32: 수평부
40: 와이어메시망 41: 가로철근
42: 세로철근
50: 누름콘크리트층

Claims (5)

  1. 지하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시공되는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
    누름콘크리트가 수용되도록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면 요홈부(21)가 형성되고, 침투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면 요홈부(22)가 형성된 배수판부재(20);
    와이어메시망(40)의 결속 및 누름콘크리트층(50)에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되는 앵커부재(30);
    상기 앵커부재(30)에 의해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에 매립되도록 상기 앵커부재(30)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이어메시망(40);
    상기 와이어메시망(40) 및 상기 앵커부재(30)가 매립되게 시공되도록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시공되는 누름콘크리트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30)는 상기 배수판부재(20)이 설치된 다음 상기 배수판부재(20)를 관통하여 상기 앵커부재(30)의 하단이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소정 깊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30)는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되는 수직부(31)와,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부(3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32)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부재(30)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50)이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4. (a) 지하 바닥면에 소정의 높이로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을 시공하는 단계(S10);
    (b)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배수판부재(20)를 설치하는 단계(S20);
    (c)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앵커부재를 소정 깊이로 고정시키는 단계(S30);
    (d)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앵커부재(30)에 와이어메시망(40)을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단계(S40);
    (e)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누름콘크리트층(50)을 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배수판부재(20)의 상면에 상기 앵커부재(3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표시하는 단계(S23),
    상기 앵커부재(30)의 설치구간에 상기 앵커부재(30)가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에 소정 깊이로 시공되도록 상기 기초바닥콘크리트층(10)을 소정 깊이로 천공하는 단계(S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방법.
KR1020190044890A 2019-04-17 2019-04-17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22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890A KR20200122081A (ko) 2019-04-17 2019-04-17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890A KR20200122081A (ko) 2019-04-17 2019-04-17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63A Division KR20200131800A (ko) 2020-11-17 2020-11-17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81A true KR20200122081A (ko) 2020-10-27

Family

ID=731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890A KR20200122081A (ko) 2019-04-17 2019-04-17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592A (zh) * 2023-03-09 2023-04-04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跳仓与流水递推相结合的超长结构混凝土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466A (ko) 2001-08-14 2003-02-25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지하 주차장 지하 바닥의 부력방지용 배수 시설
KR101134498B1 (ko) 2011-09-19 2012-04-13 이태희 친환경 주차장 바닥재 시공방법
KR20180042683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한양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466A (ko) 2001-08-14 2003-02-25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지하 주차장 지하 바닥의 부력방지용 배수 시설
KR101134498B1 (ko) 2011-09-19 2012-04-13 이태희 친환경 주차장 바닥재 시공방법
KR20180042683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한양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592A (zh) * 2023-03-09 2023-04-04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跳仓与流水递推相结合的超长结构混凝土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871B1 (ko)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JP6966446B2 (ja) 材木ポール基礎構造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200431560Y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KR20200131800A (ko)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KR20200122081A (ko)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JP4690067B2 (ja) 排水性舗装用の境界ブロックセット、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643089B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CN107882018B (zh) 一种部分可回收装配式钢混组合地下连续墙结构及施工工艺
KR20190093278A (ko) 주차장 바닥의 소음 저감 공사 방법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JP6832101B2 (ja) 盛土の補強構造及び盛土の補強方法
KR100643638B1 (ko) 철망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용 역타 주입관
KR102175546B1 (ko) 하프피씨 바닥판 및, 바닥판구조체
KR20080005134U (ko) 옹벽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KR200428941Y1 (ko)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
JP4821713B2 (ja) 合成壁構造および合成壁の構築方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JP3806069B2 (ja) 既存建物の地盤からの免震構造化方法
KR960031718A (ko) 탑 다운 (top down) 시공을 위한 지하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36480Y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