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758A -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 Google Patents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758A
KR20200120758A KR1020207029152A KR20207029152A KR20200120758A KR 20200120758 A KR20200120758 A KR 20200120758A KR 1020207029152 A KR1020207029152 A KR 1020207029152A KR 20207029152 A KR20207029152 A KR 20207029152A KR 20200120758 A KR20200120758 A KR 2020012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neckwear
display segment
coin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392B1 (ko
Inventor
조셉 판돌피노
Original Assignee
파투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투가 엘엘씨 filed Critical 파투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2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5Neckties made of different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4Bands; Fastening devices for th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44B11/259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the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or chai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1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wo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1/00Coins; Emergency money; Beer or gambling coins or toke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44C25/004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with articulated f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4Med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ornment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넥웨어는 넥밴드 및 넥벤드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체결구 부재 및 동전용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넥밴드 모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넥벤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기밀 밀봉하는 넥웨어가 제공되며,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용 디스플레이 삽입물, 몸체 세그먼트, 및 체결구를 갖는 넥벤드 모듈은 상호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수용한다.

Description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Neckwear for displaying coins, medals or bars}
본 발명은 넥웨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 년 6 월 30 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5 / 639,356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2016 년 12 월 20 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 / 384,540 호의 전체 내용이 또한 본 출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넥타이(necktie)에 대한 대안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넥웨어(neckwear)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5/384,540호는 넥밴드(neckband), 넥밴드 모듈 및 체결구(fastener)에 의해 직접 연결된 피벗 몸체 세그먼트(pivoting torso segment)를 포함하는 기능성 금속성 넥웨어를 개시한다. 넥웨어는 넥타이처럼 착용자의 상체 중심을 따라 위치한다. 본 발명자는 넥밴드 모듈 및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특별한 금속성 넥웨어 패널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민간 및 정부 조폐국이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bullion bar)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정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복수의 금속성 몸체 세그먼트는 전통적으로 넥타이의 바람직한 길이인 벨트 라인에서 끝날 수 있다. 실시예는 착용자가 몸체 세그먼트(torso segment)를 빠르고 쉽게 추가, 제거, 재배치 및 교체할 수 있게 하는 넥웨어의 다양한 잠재적 길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잠재적인 외관을 갖는 넥웨어를 제공한다.
보석 베젤(bezel)은 본 기술분야에서 단일 동전 또는 불리온 바를 펜던트(pendant)로 홀드(hold)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어떤 면에서 결점을 가지고 있는데, 보석류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은화(silver coin)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 밀봉된 환경(hermetically sealed environment)을 제공하는 데 부족하고, 넥타이의 기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베젤은 조폐된 동전 세트나 시리즈, 메달 또는 불리온 바 세트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지기 위하여 추가적인 섹션을 갖도록 구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지도 않는다.
금속 종류에 따라, 은(silver)과 구리(copper)와 같은 특정 동전, 메달 및 바는 대기 중 공기에 노출되면 자연스럽게 변색된다. 예를 들어, 은 및 구리가 변색되면서, 황화물(sulfides), 산화물(oxidizes) 및/또는 탄산염(carbonates)이 금속 표면에 형성된다. 은이 변색될수록 은의 반사율(reflectivity)과 함께 밝기(brightness)와 백색도(whiteness)가 감소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장 반사가 좋은 은의 매력과 외관을 떨어뜨린다. 변색(tarnish)은 청소작업으로 제거할 수는 있지만, 힘들기도 하고 종종 금속 표면과 제품 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변색이 금속에 남아 있든지 제거가 되든지, 금속 표면에 화학적 손상이 이미 발생하여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표면에 대한 디테일(detail) 감소한다. 동전, 메달 및 바를 포함한 은 불리온의 변색은 변색되지 않는 금 또는 백금 괴에 비해 조폐국, 보석상 및 수집가에게 문제가 된다. 은 불리온은 조폐국이 판매하는 가장 인기 있는 귀금속임에는 틀림없다.
은의 변색을 해결하는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로듐(rhodium) 또는 래커(lacquer) 또는 바니쉬(varnish)와 같은 다른 코팅(coating)을 사용하여 은 제품을 코팅하고, 은의 표면 상에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연속적인 분자층을 증착시켜 은의 표면에 필름 코팅을 적용하고, 게르마늄(germanium)을 포함하는 등의 특정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No. 존스(John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9,222,150 B2 호는 77 wt% 이상의 구리 및 바람직하게는 0.5 wt% 이상의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은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은 96-97.3 wt%, 1-2 wt% 게르마늄, 선택적으로 최대 1 wt%의 아연(zinc), 선택적으로 최대 0.2 wt%의 실리콘(silicon), 밸런스 구리(balance copper) 및 1-40 ppm의 붕소(boron)를 포함하는 은 합금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은 변색 속도는 감소시키지만, 변색을 방지하지는 못하며, 각각의 방법은 생산 비용 및 단계의 증가, 은의 탈색(discoloration), 은의 명도(brightness) 감소, 백색도(whiteness) 및 반사율(reflectivity), 및/또는 표면의 마모(wearing off)를 포함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은 또는 완성된 은 제품의 표면에 은이 아닌 원소나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은 은 바(silver bullion)에게는 반대요소가 되는 것인데, 이로 인해 많은 조폐국이 이러한 방법을 은 불리온에 포함시키지 않는 이유가 되고, 수집가 또는 투자자는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은 불리온이 불순화되거나 오염되지 않기를 원한다. 1000분의 1의 순도(millesimal fineness)는 합금에서 순수 금속 천 단위당 금속 순도를 질량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은 불리온은 일반적으로 "999 순도(fine)"또는 "순도높은(fine) 은"으로 지칭되는 99.9 % 이상의 순은이다. 일부 은 불리온은 경우는 9999 순도이다.
999 순도의 금 또는 은으로 된 제품을 착용할 때의 단점은 이것들이 긁힘(scratch)이나 흠집(nick)이 생기기 쉬운 부드러운 금속이라는 것이다. 금은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가 약 400-550 MPa인 백금과 비교하여, 약 188 내지 216 MPa의 비커스 경도를 가지며, 은은 약 251 MPa의 비커스 경도를 갖는다. 금 합금(예컨대 14 캐럿 금은 58.33 % 금)과 은 합금(예컨대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는 일반적으로 92.5 % 은)은 불리온에 비해 단단하기 때문에 보석 산업에서 인기가 있지만, 보석류의 이러한 금 또는 은 합금은 광학적 특성이 현저하게 바뀌어 귀금속의 아름다움과 매력을 감소시킨다. 9999 순도의 금 불리온, 999 순도의 은 불리온 및 999 순도의 구리는 각각 독특하고 매력적인 색상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이 다른 금속과 합금될 때 바뀌어 버린다. 금 불리온은 색깔 때문에 소중히 여겨지며 14캐럿 금보다 더 노란 색조를 띠고 있다. 은 불리온의 색상은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를 포함한 은 합금보다 더 밝고 더 흰색이다. 금과 마찬가지로 구리는 회색이나 은색 이외의 자연색을 가진 몇 안되는 금속 원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세트 또는 일련의 동전(a set or series of coins),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다양한 길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변색, 마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금속의 완전성을 보존하면서도, 체결구에 직접 장착되는 기능성 넥웨어가 필요하다.
일 측면은(a) 넥밴드;(b) 넥밴드 모듈;(c)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e)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f) 하나 이상의 체결구(fastener), 여기서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넥밴드 모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intra-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glass display window)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클로저(closu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웨어는 상기 넥웨어를 셔츠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립 세그먼트(clip segm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웨어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을 포함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 세그먼트(torso segm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는 분리형 힌지(take-apart 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퀵 릴리즈 버클(quick-release buck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intra-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intra-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열쇠(key) 또는 연장(tool) 없이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로저는 열쇠 또는 툴 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부터 연결 및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넥밴드로서, 넥밴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넥밴드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넥밴드 모듈은 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 모듈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분리형 힌지 또는 분리형 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퀵 릴리즈 버클(quick-release buckle) 또는 퀵 릴리즈 버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로저는 열쇠 또는 툴 없이 연결 및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목걸이를 위한 상호교환 가능한(inter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인데,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한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분리형 힌지(take-apart hinge) 또는 분리형 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fastener) 또는 체결구 부재는 퀵 릴리즈 버클(quick-release buckle) 또는 퀵 릴리즈 버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넥밴드 모듈 또는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 수용되도록(housed) 구성된 상호교환 가능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이다.
다른 측면은(a) 넥밴드(neckband);(b)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bullion bar);(c)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d) 유리를 통해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는 기밀 밀봉된(hermetically sealed) 넥밴드 모듈;(e) 유리를 통해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f)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 여기서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되며; 상기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은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밀봉된 넥밴드 모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밀 밀봉된(hermetically sealed)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intra-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는 상기 넥웨어를 셔츠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립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를 포함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은, 구리, 금 또는 백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구는 분리(take-apart)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퀵 릴리즈 버클(quick-release buckle)을 포함할 수 있다.
(a) 넥밴드;(b) 넥밴드 모듈;(c)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d) 유리를 통해 상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밀봉된(hermetically sealed)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e)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되며; 상기 넥밴드 모듈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지 않으며, 상기 넥밴드 모듈은 기밀 밀봉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기밀 밀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넥밴드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제1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 모듈을 개시한다.
넥밴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넥웨어를 포함하되,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유리를 통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기밀 밀봉되어 있으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열쇠 또는 툴 없이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넥밴드로서, 넥밴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유리를 통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을 표시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기밀 밀봉되어 있으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한다.
넥밴드 모듈은 상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는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상호교환 가능한(inter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하기 위해 또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목걸이를 위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인데,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기밀 밀봉되며(hermetically sealed),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유리를 통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한다.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에 의해 캡슐화(encapsulated)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분리형 힌지 또는 분리형 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퀵 릴리즈 버클 또는 퀵 릴리즈 버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a) 넥밴드;(b) 넥밴드 모듈;(c)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 제1 디스플레이 삽입물(insert);(e) 제2 디스플레이 삽입물; 및(f)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되며;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수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수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넥밴드 모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는 상기 넥웨어를 셔츠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립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는 디스플레이 삽입물(display insert)을 수용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몸체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구는 분리형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는 퀵 릴리즈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열쇠 또는 툴 없이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동전 홀더(coin holder),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클로저는 열쇠 또는 툴 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부터 연결 및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넥밴드로서, 넥밴드, 디스플레이 삽입물(display insert) 및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수용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넥밴드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넥밴드 모듈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이 포함될 수 있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분리형 힌지 또는 분리형 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는 퀵 릴리즈 버클 또는 퀵 릴리즈 버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밴드 모듈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밴드 모듈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넥웨어를 위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interchangeable display segment)인데,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수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체결구 또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한다.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넥밴드 모듈 또는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이다.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에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a는 넥밴드, 은 불리온 바 및 8개의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밀 밀봉된(hermetically sealed)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각각은 은 불리온 바(silver bullion bar)를 포함한다. 도 1b는 도 1a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중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d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갖는 넥밴드 모듈 및 8개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연결성을 도시하는 도 1a의 넥웨어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1e는 도1a의 넥웨어를 세명이 착용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동일한 넥웨어를 각기 다른 길이로 사용.
도 2a는 넥밴드(neckband), 정사각 넥밴드 모듈(square neckband module) 및 11개의 정사각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isplay segment)를 포함하는 넥웨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서 넥밴드 모듈의 상부 및 모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사용자가 12개의 내부적으로 교환가능(intra-changeable) 동전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클로저(closure)를 포함한다. 도 2b는 상기 넥웨어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넥웨어의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서, 넥웨어 패널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상의 클로저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상부 후방으로 각이 져 있다. 도 2d는 도 2c의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e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0080] 도 2f는 빠르고 쉽게 연결 및 분리될 수 잇는 클로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g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j는 여성이 (어떠한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도 없이) 착용한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k는 상기 넥웨어에 대해 구성된 2개의 상호교환 가능한(interchangeable)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2l은 도 2j의 여성이 상기 2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추가된 넥웨어를 착용한 정면도이다.
도 2m은 조개껍질형 용기(clamshell container) 형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n은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상호교환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할 수 있는 넥밴드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p는 상기 넥밴드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동전 홀더(holder)의 정면 사시이며, 이는 함께 스냅결합되며(snapped) 홀더 내부에 32.7 mm 동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3b는 상기 동전 홀더의 전면 분해사시도이며 이는 상기 동전 홀더의 커버 및 베이스 및 상기 동전을 도시한다. 도 3c는 상기 커버, 베이스 및 동전의 정면도이다. 도 3D는 상기 커버 및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e는 종래의 동전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며, 이는 함께 스냅결합되며 홀더 내부에 40.6 mm 동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3f는 상기 동전 홀더의 전면 분해사시도이며 이는 상기 동전 홀더의 커버 및 베이스 및 상기 동전을 도시한다. 도 3g는 상기 커버, 베이스 및 동전의 정면도이다. 도 3h는 상기 커버 및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i는 종래의 바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며, 이는 함께 스냅 결합되며 홀더 내부에 불리온 바(bullion bar)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3j는 상기 바 홀더 정면 분해사시도이며 이는 상기 바 홀더의 커버 및 베이스 및 상기 불리온 바를 도시한다. 도 3k는 상기 커버, 베이스 및 불리온 바의 정면도이다. 도 3l은 상기 바 홀더의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m은 종래의 동전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며, 이는 함께 스냅 결합되며 홀더 내부에 27 mm 동전을 포함하기 위한 개스킷을 가진다. 도 3n은 상기 동전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며 이는 상기 동전 홀더의 개스킷(gasket) 및 베이스 및 상기 동전을 도시한다. 도 30은 상기 개스킷, 베이스 및 동전의 정면도이다.
도 3p는 종래의 동전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며, 이는 함께 스냅 결합되며 홀더 내부에 38 mm 동전을 포함하기 위한 개스킷을 갖는다. 도 3q는 상기 동전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며 이는 상기 동전 홀더의 개스킷 및 베이스 및 상기 동전을 도시한다.
도 4a는 도 3e 내지 도 3h에 도시된 동전 홀더를 결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3I 내지 3L에서 바 홀더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D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e는 도 3m 내지 도 3o의 동전 홀더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f는 도 3p 및 도 3q의 동전 홀더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a 및 도 4b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서 넥웨어 패널은 동전 홀더를 취급 가능하도록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5b는 도 4c 및 도 4d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서, 넥웨어 패널은 바 홀더를 취급 가능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5c는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동전 홀더, 그리고 도 4f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동전홀더를 포함하는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d는 넥밴드 모듈 및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모두가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다양한 크기의 동전에 대한 하우스 동전 홀더를 포함하는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레싱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3개의 드레스 셔츠(dress shirts), 3개의 넥타이 및 3개의 바의 광 반사율 값을 도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7a는 종래의 분리형 힌지(take-apart)가 해제되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상기 힌지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7c는 상기 힌지가 잠금 위치에 있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d는 상기 힌지가 잠금 위치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 7d 및 7f는 상기 힌지를 잠금 해제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a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 상에 통합되는 키웨이(keyway)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b는 상기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상기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가 잠금 해제되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8c는 잠김 및 펴진 위치에 있는 상기 체결구의 상부 사시도이다. 상기 체결구를 잠금 해제하여 분해하는 네 개의 단계들이 도 8d 내지 도 8g에 도시된다. 도 8h는 도 8a의 키웨이보다 더 복잡한 키웨이를 포함하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에 대한 제2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i은 도 8h의 키웨이보다 더 복잡한 키웨이를 포함하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에 대한 제3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9a는 분리된 위치에 있는 종래 기술의 벨트 버클(belt buckle)의 평면도이며, 이는 도 2는 슈미츠(Schimitz)의 미국 특허 제6,792,654 B2호의 도 2에 도시된다. 도 9b는 상기 버클이 결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며, 이는 상기 특허의 도 3에 도시된다. 도 9c는 상기 버클이 분리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이는 상기 특허의 도 1에 도시된다.
도 10a는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quick-release buckle)이 분리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장착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b는 상기 버클이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장착되며 해제 위치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 10c는 상기 버클이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장착되며 결합 위치에 있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11a는 분리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을 포함하는 분리된 넥웨어 패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상기 버클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며 이로써 넥웨어 패널들이 연결된다.
도 11c는 도 11a의 넥웨어 패널에 대한 3 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1d는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torso)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도 11a의 넥웨어 패널에 대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자는, 하나의 세트 또는 시리즈인 메달 또는 불리온 바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성 넥웨어가 변색, 마모 및 찢어짐으로부터 보호되어 본래의 금속 특성을 보하는 것 및/또는 체결구들에 직접 장착되는 것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넥웨어의 기능성 및 다양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중요한 특징들은 사용자가 동전, 메달 또는 바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추가, 제거 및 교체할 수 있어 넥웨어 길이를 다양하게 하면서 넥웨어 패널에 걸쳐 전체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교환성(intra-changeability) 및 상호교환성(interchangeability)에 대한 특징들은 유용한데, 왜냐하면, 예를 들어, 조폐국(mints)에서 종종 한 세트 또는 시리즈의 동전, 메달 또는 바들을 추가로 배포하며 본 명세어의 넥웨어에 이들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넥웨어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넥타이의 기능은 앞쪽 셔츠 플래킷(placket) 및 단추들을 가리며 목 라인을 따라 셔츠 카라들(collars) 사이의 틈을 메우는 것을 포함하며 정복(formal attire) 또는 반정복(semi-formal attire)의 중요 구성품이 된다.
기능성 넥타이의 대안으로서 특별한 금속성 넥웨어를 제공하는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상술되는 바와 같이, 개인적으로 및 정부의 조폐국에 의해 사용되는 압착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들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새겨지는 정교한 디자인을 갖는 이미지를 포함한 임의의 이미지를 복제하여 다른 생산 방법에 비교될 수 없는 고품질의 금속성 넥웨어를 만든다. 전 세계의 조폐국들은 매년 수많은 동전(둥근 동전 포함), 메달 및 불리온을 생산한다. 여기에는 기념 동전과 메달, 불리온 동전 및 바가 포함되며, 이는 수집가들에게 제공되며 한 세트로 또는 시리즈로 한번에 전부 판매되고,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들이 정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년마다 판매를 위해 배포된다. 한 세트 또는 일련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조제품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공통된 주제를 가지며 한 세트 또는 일련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각각이 보통 그 양면, 즉, 전면과 뒷면 중 적어도 하나에 특유한 디자인을 갖는다.
정부 조폐국과 사설 조폐 시설이 수집가에게 제공하는 많은 사례 중 3 가지는, Platinum American Eagle 동전 시리즈, Gods of Maya 동전 세트 및 Suisse Lunar Series 불리온 바가 포함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것들과 다른 많은 동전과 불리온 바는 금속과 금속 가공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도록 절묘하게 제작되었으며 이는 예술 작품으로 간주된다. 동전과 귀금속 수집가들은 자신의 수집품을 전시하는 것을 선호한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넥웨어 실시예는 수집가가 넥타이에 대한 기능적이고 세련된 대체재로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세트 또는 일련의 세트를 포함함)를 착용하고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이들 넥웨어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함께 구입하지만 눈에 띄지 않게 컨테이너 또는 보관 박스에 저장될 예정인 동전 및 불리온 수집물들에 대한 혁신적인 용도를 제공한다. 조폐국의(mints) 압축 방식으로 제공되는 금속 넥웨어는 셔츠, 조끼, 슈트 코트와 컴포지션, 질감, 색상 및 빛의 반사율 값과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조폐국의 압축 방식에 의해 제공된 금속 바의 광 반사율 값은 천소재(fabric)의 광 반사율 값에 비해 더 선호되는 것으로 비교된다.
일 측면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표시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무결성이 밀봉된 넥밴드 모듈 및/또는 밀봉된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 보호되고 보존됨으로써 이 넥웨어를 착용할 때 일어날 수 있는 변색 및 또는 마모 및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넥웨어를 제공한다.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는(새김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거나, 시판되는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가 넥웨어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본래 포함되어 있으나 본래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외부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교환된 것 중에서 내부적으로 교환될 수 있는, 넥웨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들은(i) 실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직접 내부적으로 교환 또는 상호교환하는 것,(ii)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내부적으로 교환 또는 상호교환하여, 다른 이점들 중에서도, 같은 넥웨어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 또는(iii)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예: 동전 홀더)를 내부적으로 교환하거나 상호교환할 수 있는 것들을 달성한다. 상기(i) 및(ii) 또는 상기(ii) 및(iii)의 조합은 동일한 넥웨어로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서로 구성되는 넥웨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삽입물(시판되는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을 포함할 수 있음)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 및 상호교환 가능한 동전, 라운드(rounds), 메달 및 불리온 바를 제공한다.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넥웨어에 대해(새김 방식으로, 기타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에 관하여) 특별히 구성 및 맞춤 설계된 동전, 라운드, 메달 또는 불리온 바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시판중인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들이 넥웨어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상호교환 가능한 동전, 상호교환 가능한 라운드, 상호교환 가능한 메달 및 상호교환 가능한 불리온 바는 넥웨어에 맞게 특별히 구성되고 맞춤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넥밴드 모듈이 착용자의 넥타이 매듭이 있는 곳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면서 넥밴드에 의해 지지되는 편안한 넥웨어를 제공한다. 넥웨어의 넥웨어 패널은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추가될 수 있는 용량을 포함하는 넥밴드 모듈을 본래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 패널은 또한 넥밴드 모듈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몸체 세그먼트를 본래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들)는 넥밴드 모듈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통적으로 넥타이의 바람직한 길이로 알려진 벨트 라인에서 종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넥웨어의 넥밴드는 다양한 크기의 목에 편안하게 맞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넥밴드의 둘레를 부착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스트랩 등 및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는 넥밴드 모듈을 지지하고 넥밴드는 다수의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연한 넥밴드 스트랩에 적합한 재료는 가죽, 나일론 또는 실크와 같은 직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벨트와 유사한 가죽 넥밴드는 스트랩 상에 다양한 구멍이 있어 착용자가 스트랩을 따라 임의의 구멍에 버클의 돌기를 위치시켜 최적의 편안함과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넥밴드 및 벨트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넥밴드 스트랩과 관련하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체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체결구에는 버클, 측면 릴리즈 버클 및 중앙 릴리즈 버클과 같은 퀵 릴리즈 버클 및 벨크로(velcro®)와 같은 후크 앤 루프(hook-and-loop) 체결구가 포함된다. 스트랩(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수용하기 위한 넥밴드 체결구에 적합한 재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강철과 같은 금속 합금, 섬유 강화 폴리머체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 폴리머이다. 넥밴드는, 가요성 넥밴드 스트랩에 대한 대체제로서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비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2개의 대략 반원형 섹션들을 포함하는 강성 초커(rigid choker)와 같은 체인형 또는 목걸이형의 유형들이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착용자 목 주위에 체결구로 고정되어 원 또는 타원을 형성한다. 넥밴드는 그 구성에 무관하게 각각 넥밴드 모듈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2개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은 넥밴드 모듈의 개구 메커니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및 클립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이는 넥타이 클립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지며, 넥밴드 모듈은 주조와 같은 종래의 임의의 방식으로 또는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으로 불리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3D 프린팅" 또는 "AM"은 모델 또는 다른 전자 데이터 소스로부터 컴퓨터 제어 하에 형성된 연속적인 또는 다중 층의 재료를 이용해 물체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3 차원 물체를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다양한 유형의 3D 프린팅은 본 발명의 넥웨어에 대해 활용될 수 있고, 이는 파우더 베드 및 잉크젯 헤드 3D 프린팅(3DP), 전자빔 용융(EBM),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직접 레이저 소결(DMLS), 직접 에너지 적층, 증착, 전자빔 프리폼 제조(EBF) 및 로보 캐스팅을 포함한다.
넥웨어는 클립 세그먼트(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넥웨어에 미리 장착되지 않은 추가 액세서리 없이, 넥웨어 패널이 셔츠 플래킷(placket) 또는 전면 셔츠 패널에 고정되게 하여, 착용되는 동안 넥웨어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억제하며 이는 넥웨어가 착용자에 대해 실질적으로 쭉 뻗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앞 셔츠 버튼을 덮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넥웨어에 추가되거나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넥웨어가 본래 구성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 소위 "외부(extrinsic)"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는 넥웨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착용자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잘못 놓치거나 잃어버리거나 단순히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또는 몸체 세그먼트(들)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외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 및/또는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외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 및/또는 교체하는 것은, 넥웨어가 본래 포함하고 있는 "내적인(intrinsic)"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들도 가지고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세그먼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것 및 “외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일정한 체결구 또는 적어도 충분히 일정한 체결구를 가져서, 서로 연결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는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라고도 지칭되며 이는 개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개별 몸체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몸체 세그먼트로서 시판 중인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교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에 대해(새김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맞춤 설계되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넥웨어에 본래 포함되지 않는 것인, 맞춤 설계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소위 "외부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넥웨어에 추가될 수 있다. 착용자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잘못 놓치거나 잃어버리거나 단순히 하나 이상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맞춤 설계된 다른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들)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교체하려는 경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에 사용되기 위한 "외부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추가 및/또는 대체하는 것이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넥웨어에 맞춤 설계된 "외부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추가 및/또는 대체하는 것은 이러한 특징들(예를 들어, 도 2a- 2p 및 아래의 관련 설명과 같이)을 갖는 넥웨어의 넥벤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또한 "상호교환 가능한 동전", "상호교환 가능한 메달" 또는 "상호교환 가능한 바"로도 지칭되며 이는 시판 중인 개별 동전, 메달 또는 바일 수 있고, 또는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과 함께 시판 중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넥웨어"는 넥밴드 및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체결구 부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몸체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넥웨어 패널"은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및 경우에 따라 몸체 세그먼트(들)로서, 경우에 따라 전체적으로 넥웨어의 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전면 넥웨어 패널"은 넥웨어가 착용될 때 일반 관찰자에게 보여지는 넥웨어 패널의 전면(front plane)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넥밴드 모듈"은 넥밴드가 연결되는 넥웨어 패널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넥밴드 모듈은 동전, 메달, 불리온 바 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고정 및 표시하도록 구성되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넥웨어는 도 1e(중간 그림의 여성의 넥웨어) 및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없는 넥밴드 모듈만을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 모듈은 체결구 및 넥밴드 모듈와 동일한 주조품(casting)의 일부인 또는 임의의 다른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넥밴드 모듈의 일부인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동전, 메달, 불리온 바 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고정 및 표시하도록 구성된 넥웨어 패널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장 위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인,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넥밴드 모듈에 연결되고, 넥웨어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체결구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동일한 주조품(casting)의 일부인 또는 임의의 다른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일부인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컷아웃(cut out)을 통해 직접, 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유리를 통해, 또는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로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이 사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삽입물의 유리를 통해 동전, 메달 또는 바가 보여질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는(넥밴드 모듈이 동전, 메달, 불리온 바 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이 컷아웃되어(절개되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중간에 유리 없이 직접 시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볼 수 있게 하면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더 보호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이 디스플레이 삽입물용으로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컷아웃을 통해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의 유리를 통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시인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주변 영역은 장식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몸체 세그먼트(torso segment)"는 동전, 메달, 불리온 바 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고정 또는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넥웨어 패널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몸체 세그먼트는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다른 몸체 세그먼트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 세그먼트는 임의의 유형의 장식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의 몸체 세그먼트는 다른 몸체 세그먼트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중에서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에 장착된 타이 클립(tie clip) 등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몸체 클립 세그먼트(torso-clip segment)"는 몸체 세그먼트의 후면에 장착된 타이 클립 등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몸체 세그먼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클립 세그먼트"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후면에 장착된 타이 클립 등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의미한다. 클립 세그먼트는 미부착 또는 미장착 액세서리의 추가 없이 셔츠 플래킷(shirt placket) 또는 전면 셔츠 패널과 같은 의복에 넥웨어를 고정시킨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디스플레이 삽입물"는 넥웨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의의 캡슐, 프레임, 홀더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벤드 모듈 내에서 고정 및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에 삽입되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넥웨어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삽입물(맞춤 설계된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을 포함함)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호용으로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종래 기술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삽입물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상호용으로 구성되거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종래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용으로 구성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삽입물(i)은 이미 설계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거나(ii) 맞춤 설계된(새김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한 치수에 관하여)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클로저(closure)"는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에 또는 그 내부에 고정시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취급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메커니즘 또는 메커니즘의 조합을 의미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은 클로저를 포함하지 않는다. 클로저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의 예시는 사용자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취급하기 위해 체결구(들)를 분리함으로써 두 부분(예를 들어, 반편들(halves))이 완전히 분리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이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의 다른 예시는 힌지(hinge) 등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반편들로 구성된 조개껍질형(clamshell) 용기와 유사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밀 밀봉된(hermetically sealed)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은 캡슐화된(encapsulated)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변색을 방지할 정도로 공기 유동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을 의미한다. MIL-STD-883 TM 1014를 포함하여 기밀 밀봉된 용기에 허용되는 누출률을 측정하기 위한 몇 가지 분석 테스트 방법이 있으며, 가장 엄격한 방법조차도, “기밀”이라고는 하지만 미세한 양의 공기와 수분은 용기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동전(coin)"은 정부가 화폐로 발행한 금속 조각을 의미하며, "동전"은 또한 법정 통화는 아니지만 미적 요소(aesthetics), 귀금속 함유(precious metal content) 또는 보통 금속 함유(common metal content)에 기인하여 판매되는 동전과 유사한 둥근 금속 조각인 "라운드(round)"를 포함한다. "불리온 바(bullion bar)" 또는 "바(bar)"는 본 명세서에서 혼용되며, 각각의 용어는 은과 같은 귀금속, 구리와 같은 보통 금속 또는 청동과 같은 금속 합금으로 구성된 바(bar) 또는 웨이퍼(wafer)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메달(medal)"은 메달리온(medallion)을 포함하여, 휘장(insignia), 초상화(portrait) 또는 기타 예술적 렌더링으로 표시된 완성된 금속 조각을 의미한다. 메달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거나 현저한 업적을 달성한 사람이나 조직을 기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넥웨어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춤 설계된(새김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dimension)에 관하여)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넥밴드 모듈은 서로 특색을 갖도록 구성된다. 넥웨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은 이미 설계, 생산 및/또는 시판용으로 별도로 제조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맞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넥웨어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춤 설계된(새김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dimension)에 관하여)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서로 특색을 갖도록 구성된다. 넥웨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이미 설계, 생산 및/또는 시판용으로 별도로 제조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맞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윈도우(display window)와 관련된 "유리(glass)"는 임의의 유형의 유리같은 투명(glassy transparent) 또는 반투명(semitransparent) 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 및 사파이어 유리 및 Coming® Gorilla® 유리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형의 유리가 있다.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착색된 색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체결구(fastener)"는,(i) 넥밴드 모듈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에, 디스플레이들 상호간에, 몸체 세그먼트 상호간에 및/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몸체 세그먼트에;(ii) 클로저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에; 또는(iii)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섹션(section)을 상호간에, 또는 넥밴드 모듈의 하나 이상의 섹션을 상호간에; 연결, 링크 또는 부착하는 임의의 물품 또는 물품의 조합을 의미한다. 체결구 또는 체결구의 일부 또는 부재는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또는 클로저와 동일한 주조품(casting)의 부분일 수 있다. 체결구의 유형들은,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에폭시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 스트랩 등을 수용하는 개구 메커니즘(aperture mechanism), 앵커, 볼트, 버클, 퀵-릴리즈 버클, 사이드-릴리즈 버클, 센터-릴리즈 버클, 버튼, 케이블, 캐치, 체인, 클램프, 배럴 걸쇠를 포함하는 걸쇠(clasp), 총검 걸쇠(bayonet clasp), 상자 걸쇠, 피쉬훅(fish hook) 걸쇠, 훅 걸쇠, 훅 & 아이 걸쇠, 랍스터 걸쇠, S 훅 걸쇠, 스프링 장력 걸쇠, 스프링 링 걸쇠, 스냅 걸쇠 및 토글 걸쇠, 클레비스 핀, 클립, 싱글 엔드 및 더블 엔드 스위블(swivel), 데드아이(deadeye), 아이 볼트(eye bolt), 잠금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hinge), 보안 핀을 포함하는 힌지, 배럴 힌지, 분리(take-apart) 힌지 및 예컨대 내부(암(female)) 쓰레드(thread)를 가진 힌지에 결합될 수 있는 외부(수(male)) 쓰레드를 가진 힌지 핀(hinge pin), 훅앤파일(hook-and-pile) 체결구로 알려진 훅앤루프 체결구, 벨크로(velcro®), 훅, 라냐드(lanyard), 패치, 훅, 잠금핀, 자석잠금 또는 여타 자성 메카니즘, 루프, 핀, 링, 로프, 나사눈(screw eye), 나사, 스냅 훅, 스냅, 스프링 체결구, 스프링, 스트랩, 끈(string), 스위블 클립, 타이, 와이어, 지퍼 및 전술한 것 사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넥웨어 패널에 적합한 체결구(fastner)의 예시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체결구를 포함한다. 첫번째 특징은 체결구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torso) 세그먼트가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와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될(intra-changed)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와 관련된 용어인 "빠르고 쉽게(quickly and easily)"는 넥웨어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임의이 열쇠, 공구 등 없이(넥밴드 모듈 하부의 넥웨어 패널을 따르는 위치 관점에서) 추가(add), 제거(remove), 교체(replace) 및/또는 재배치(relocate)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두번째 특징은 체결구가, 주로 착용자의 편의를 위해, 착용자가 섰다가 앉을 때 및 앉았다가 설 때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착용 중에 및 착용자의 몸체가 이동하는 동안 넥웨어가 본질적으로 착용자의 상체의 윤곽을 이루도록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피봇(착용자의 앞에서 뒤로 및 뒤에서 앞으로 움직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넥타이에서 이러한 특징은 넥타이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세번째 특징은 체결구가, 예를 들어 착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서 있는 자세로 갈 때와 같은 신체 움직임 이후 넥웨어가 착용자의 상체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착용자의 노력 없이 중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똑바로 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특징으로 인해 착용자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손으로 곧게 펴야 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클로저 수단과 관련되는 용어인 "빠르고 쉽게"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예를 들어, 동전 홀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열쇠, 공구 없이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로부터 추가, 제거, 교체 및/또는 재배치(넥웨어 패널을 따르는 위치 측면에서)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 예시는 이하에서 설명되고 도 2f 및 도 2g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클로져이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고 도 2h 및 도 2i에 도시된 넥웨어와 통합된다. 넥웨어의 사용자는 넥웨어 패널로부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분리하지 않고 이 넥웨어의 동전들을 "신속하고 쉽게" 내부 변경 및 교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며 클로저 없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관련되거나 클로저 없는 넥밴드 모듈과 관련된 용어 "신속하고 쉽게"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의 일부(예를 들어, 반편들)를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추가, 제거 또는 교체하기 위한 열쇠, 공구 등이 없이 조이거나 푸는 능력을 의미한다.
각각의 문구에서 임의의 다른 형태로 쓰이는 단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된 "본래 구성되는" 또는 "본래 포함하는"은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의 도매 또는 소매 거래(가장 먼저 발생)가 이루어지는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의 최초 판매, 이전, 선물 또는 양도 시, 도매 또는 소매 거래(가장 먼저 발생), 또는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에 대한 도매 또는 소매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의 판매, 이전, 선물 또는 양도, 또는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의 최종 사용자에 대한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의 판매, 양도, 선물 또는 양도 시의, 넥웨어 또는 넥웨어 패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며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어를 포함하는 용어인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intra-changeable)"은 다음의 3가지 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a)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가(넥밴드 모듈 하부에서) 넥웨어 패널을 따르는 위치 상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것,(b)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넥웨어 패널을 따라(넥밴드 모듈 하부에서) 재배치될 수 있는 것, 및/또는(c)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넥웨어로 분리 및 재부착될 수 있는 것임). 예를 들어, 도 1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의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중 각각 하나는,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위치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7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모두 중 각각에 대해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제3 및 제 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분리하고 이전 번호 및 위치로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새로운 번호 및 위치로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그리고 이전 번호 및 위치로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새로운 번호 및 위치로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부착하는 것을 수반한다. 도 1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이다. 다른 예시는,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서 재배치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 이전번호 및 위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은, 이전 번호 및 위치로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였던 것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되고, 이전 번호 및 위치로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였던 것은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되고, 이전 번호 및 위치로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였던 것은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되는 식으로 교환된다. 도 1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넥웨어의 또 다른 예는, 예를 들어,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넥웨어의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위치를 취하지 않고 넥웨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나중에 다시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의 예시는 이하에서 설명되며 도 2h 및 도 2i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넥웨어의 본래 구성인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관련되어 임의의 형태를 갖는 단어를 포함하는 용어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은, 넥웨어 패널을 따른 위치 측면에서,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들의 위치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의 12개의 동전 각각은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동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고 도 5b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의 일 예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어를 포함하는 용어 "상호교환 가능한(interchangeable)"은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것이 아닌 하나 이상의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하는 능력 또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것이 아닌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넥웨어에 추가되도록 또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었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대체하도록 구성된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는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는 장착된 체결구의 유무에 따라 시판중인 것일 수 있다. 당연히,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것이 아닌 외부의 넥밴드 모듈 또는 넥밴드는 또한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었던 넥밴드 모듈 또는 넥밴드와 상호교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넥밴드 모듈 또는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포함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호교환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외부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이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것이 아님)로서,(새김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와 관련하여) 넥웨어용으로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맞춤 설계된 것으로 대체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로 교체될 넥웨어용으로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맞춤 설계된 외부의 코인,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상호교환가능한 동전," "상호교환 가능한 메달" 또는 "상호교환 가능한 불리온 바"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삽입물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호교환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었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외부 디스플레이 삽입물로(이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것이 아니며 넥웨어용으로 구체적으로 구성된 것임)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디스플레이 삽입물로 교체할, 넥웨어용으로 구체적으로 구성된 외부의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이다. 넥웨어용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포함하여 시판 중인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어를 포함하는 "대비"는 시각적 관심, 흥분 및 드라마를 생성하기 위해 조각 또는 앙상블에서, 딱딱한 대 부드러운, 밝은 색 대 어두운 색 및 거친 질감 대 부드러운 질감과 같은 반대 요소가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체의 광 반사 값(Light Reflectance Value, "LRV")은 그 표면에서 반사되는 스펙트럼의 가시 영역광의 백분율(및 반대로 표면이 흡수하는 빛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LRV는 적분 구 반사계를 사용하여 측정되며, 결과는 1의 값을 달성하는, 가시광선의 100%를 반사하는 이론적 완벽한 흰색과 100%를 흡수하는, 0의 값을 달성하는 이론적 완벽한 검정을 사용하여 1에서 0 사이의 스케일로 도출된다. 실제로, LRV는 이러한 이론적 한계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어를 포함하는 용어 "마운트"는, 예를 들어, 납땜, 브레이징(brazing) 또는 나사 또는 볼트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연결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기반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물품에 체결구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는 넥밴드 모듈을 위한 금속 조성물 및 임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예시적인 금속은 은, 구리, 금, 백금, 티타늄, 코발트, 니켈, 알루미늄, 철, 주석, 및 청동, 황동, 강철 및 백랍을 포함하는 상기 금속의 합금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 / 384,54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몸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은 프레싱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실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일 수 있거나 또는 주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동전, 메달 또는 바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아닌 넥웨어 구성 요소로서, 몸체 세그먼트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아닌 주물 또는 몰딩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밴드 모듈은 금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미세 은일 수 있다.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은 예를 들어 목재 및 고무를 포함하는 소위 바이오 폴리머로 알려진 천연 폴리머 재료, 합성 고무, 아크릴, 플라스틱 및 실리콘과 같은 합성 폴리머, 유리질 재료, 또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섬유 강화 중합체와 같은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별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는 여러 유형의 금속과 같은 여러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넥밴드 모듈 및 임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는 천소재인 넥타이와 구체적으로 비교할 때 다음 장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내오염성,(2) 음식, 음료, 잉크, 담뱃재 또는 기타 오염 물질로 오염된 경우 청소가 훨씬 쉽고 경제적임(3) 내구성,(4) 주름 방지,(5) 걸리지 않는 것,(6) 흡연으로 구멍이 나지 않는 것,(7)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는 것,(8) 넥타이 매듭이 없어(및 결과적으로 비대칭으로 접히며 넥타이 매듭 아래 주름이 생기는 것이 없어) 착용 시 관찰자에 더 대칭적인 것.
그러한 넥웨어의 금속성 특성을 고려할 때, 적합한 체결구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의 피봇팅 능력은 편안함을 위한 중요한 특징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넥웨어는 충분한 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및 몸체 세그먼트들을 포함하여 넥웨어의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대략 착용자의 벨트 라인에서 끝나며, 이는 전통적으로 넥타이의 바람직한 길이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밀 밀봉된 넥웨어의 정면도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넥웨어는, 넥밴드가 착용자의 목 주위 및 칼라 아래에 위치된 넥타이와 유사하게 착용될 수 있다. 넥밴드(10)는 둥근 직사각형 넥밴드 모듈(9)을 지지하며, 이는 넥타이 매듭으로서 착용자에 위치되는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둥근 사각형 넥밴드 모듈(9)은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일련의 8개의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둥근 사각형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에 연결된다.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9)의 전면 및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 각각의 전방은(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며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의 음영선으로 도시된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다. 넥밴드 모듈(9) 및 8 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 각각은 은색의 둥근 직사각형 불리온 바를 장착, 고정 및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 뒤에 위치된 9개의 기밀 밀봉된 불리온 바(11-19) 각각은 도 1a에 도시되지 않은 독특한 디자인으로 새겨져 있다. 이 9개의 불리온 바(11-19)는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과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 보호 및 보존되어 불리온 바의 변색 및 마모를 방지한다.
본 개시에서 임의의 넥웨어 패널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대한 식별 부호 및 번호 표시는 도 1a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는 넥밴드 모듈(9) 아래에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 아래에 있고,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 아래에 있고,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4)는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 아래에 있고,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4)의 아래에 있고,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6)는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5)의 아래에 있고,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은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6)의 아래에 있고, 및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은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 아래에 있으며, 이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이다. 8개 보다 많거나 적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 패널에 대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의 순차적 넘버링은 도 1a의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방법론을 따른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 패널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번호를 매기는 것은 동일한 방법론을 따른다.
본 개시에서 임의의 넥웨어 패널 실시예의 불리온 바, 동전 또는 메달을 식별하고 번호를 매기는 것도 1a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고 이는(음영 라인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넥웨어 패널의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 뒤에 있는) 제1 불리온 바(11)는 넥밴드 모듈(9) 아래의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에 있고, 제2 불리온 바(12)는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 아래에 있고, 제3 불리온 바(13)는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 아래의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에 있고, 제4 불리온 바(14)는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 아래의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4)에 있고, 제5 불리온 바(15)는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4) 아래에 있는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5)에 있고, 제6 불리온 바(16)는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5) 아래에 있는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6)에 있고, 제7 불리온 바(17)은 제 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6) 아래에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에 있고, 제8 불리온 바(18)은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 아래에 있는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에 있고, 제9 불리온 바(19)는 넥밴드 모듈(9)에 있다. 8개 보다 많은 또는 적은 불리온 바, 동전 또는 메달을 포함하는 임의의 넥웨어 패널의 경우에도, 순차적인 넘버링은 전술한 도 1a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론을 따른다.
도 1a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밀 밀봉된 둥근 직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중 하나(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2, 6) 중 하나는 아님)의 정면 사시도가 도 1b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도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분해 사시도가 도 1c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이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금속성 둥근 직사각형 전면 프레임(20), 둥근 직사각형 유리 판(21), 둥근 직사각형 은(silver) 불리온 바(22) 및 금속성 둥근 직사각형 후면 패널(23)을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면 패널(23)의 홈(24)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프레임(20) 상의 립(lip)(25)과의 접합을 위해 서로 맞도록 구성된다. 후면 패널(23)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하나의 연속 주조된 금속 조각이며, 은 불리온 바(22)를 장착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획(26)을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패널(23)의 구획(26)은 전방(불리온 바(22)를 향함)에서 개방되고 후방 벽(27) 및 내부 프레임(28)의 4개의 측면에 의해 제한된다. 내부 프레임(28) 및 구획(26)은 불리온 바(22)를 끼우고 고정시킨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프레임(20)상의 유리 판(21) 및 본딩 평면(30)은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 접합을 위해 서로 맞도록 구성된다. 유리와 금속은 순수한 기계적 수단 또는 금속 표면의 산화물 층이 유리와의 결합을 형성하는 화학적 상호 작용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더 강한 결합을 유래한다. 이는 Donald, Ian W. Glass-to-Metal Seals에서 참조 가능하다. 원하는 기밀 밀봉의 수준에 따라, 제2 유리판(도 1b 및 도 1c에 도시되지 않음)이 또한 도시된 후면 패널(23)상의 접합 평면(29)의 4개의 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불리온 바가 제2 유리판과 구획(26) 사이에 있도록 불리온 바의 앞에 있음).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밀봉을 완료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금속 전면 프레임(20) 및 금속 후면 패널(23)은 후면 패널(23)(도 1b)의 홈(24)에 삽입되는 전면 프레임(20)(도 1c)의 립(25)에 접합된다. 이 접합 공정은 납땜 및/또는 에폭시의 사용과 같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 접합 후, 불리온 바(22)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캡슐화 된다. 도 3c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패널(23)의 후면 벽(27)은 아래에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넥웨어 패널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하기 위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31) 및 제2 힌지 부재(32)를 포함한다.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미세한 양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밀봉된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서 진공 상태가 달성될 수도 있다. 에폭시 기밀 밀봉 디자인은 저압 또는 고진공 압력에 활용되어 가스를 매우 낮은 누출률로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이는 로스, 알렉산더, 진공 밀봉 기술, 1994 년 미국 물리 연구소를 참조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d에 도시된 넥웨어의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9)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변형된 실시예이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제1 힌지 부재(31)가 제거되고,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넥밴드(10)를 수용하기 위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구 메커니즘(35)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 및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변색되기 쉬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변색을 방지하고 금속의 조성에 상관없이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의 마모를 방지한다. 이러한 유형의 넥밴드 모듈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특히 은, 구리 및 변색되는 다른 유형의 금속 및 연질 금속과 관련이 있다. 금속이 부드러울수록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예를 들어, 넥웨어 내에서 고급 은 및 고급 금화, 메달 및 불리온 바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백금으로 구성된 것보다 더 연관성이 있다.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은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기밀 밀봉된 넥밴드 모듈 내에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캡슐화)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d는 도 1a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배면도로서, 도 1a는 두 개의 힌지 부재를 갖는 리형 체결구(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 / 384,540에 개시되어 있고 후술됨)를 갖는 둥근 직사각형 넥밴드 모듈(9) 및 8 개의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둥근 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의 연결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힌지 부재(33) 및 제2 힌지 부재(34)는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에 장착되고, 제2 힌지 부재(34)는 넥밴드 모듈(9)의 바닥에 장착된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가 함께 조립되고 잠금되어 넥웨어 패널의 모든 구성 요소가 연결된다. 두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힌지 부재(33, 34) 모두는 넥웨어를 착용시 보통의 관찰자의 시야에서 본질적으로 숨겨져 있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빠르고 쉽게 교환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 넥웨어 패널에 적합한 체결구의 3 가지 전술한 특징을 모두 나타낸다. 더욱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또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 다른 유형의 체결구)를 사용하는 넥웨어 패널은 다양한 길이의 넥웨어에 대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빠르고 쉽게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닌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상호교환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d 도시된 넥웨어의 8개의 둥근 직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 각각은 서로 쉽고 빠르게 내부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넥웨어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특징은 착용자에게 다양한 넥웨어 외관을 제공하는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 팩토리얼 또는 8i 로 지칭됨)의 4 만개 이상의 넥웨어 조합을 도출한다. 마찬가지로, 넥웨어 본래 구성된 이러한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추가의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상호교환되어 훨씬 더 다양한 기능성 및 잠재적인 넥웨어 조합 및 패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 모듈(9)의 후면은 넥밴드(도 1d에 도시되지 않은 넥밴드)를 수용하고 넥밴드를 넥밴드 모듈(9)에 연결하기 위한 개구 형상인 장착 개구 메커니즘(35)을 갖는다. 타이 클립형 메커니즘(36)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 및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6)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가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1d 및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9) 상의 개구 매커니즘(35)의 조성은 금속, 강철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 목재, 섬유 강화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개구 메커니즘은 또한 넥밴드 모듈의 주조품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주조품의 일부가 아닌 경우, 개구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넥밴드 모듈에 납땜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구 메커니즘은 도 1d에 도시된 개구 메커니즘(35) 및 도 2b의 개구 메커니즘(62)의 직사각형 형상이 아닌 임의의 크기 또는 형상 일 수 있다. 곡률을 갖는 개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른 구조들이 주어진 넥밴드 유형 또는 구성 따라 더 적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의 변형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 실시예는 임의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1-8) 또는 넥밴드 모듈(9)은 또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에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체결구는 그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프레임은 더 클 수 있고 및/또는 힌지 부재 또는 체결구 부재는 더 작거나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어 예컨대, 힌지 부재(또는 다른 유형의 체결구 부재)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측면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시켜, 동전, 메달 또는 바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예시적인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구성을 제공하며, 여기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구성 및 다른 구성은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이다. 넥웨어의 착용자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상체를 가지며, 일부 착용자들은 넥웨어의 하단이 벨트 라인에서 거의 끝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을 포함하여 넥웨어가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넥웨어에 본래 포함되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수는 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사람은 10 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본래 포함하는 도 1a 및 도 1d의 넥웨어를 선호할 수 있고 반면에, 몸집이 작은 사람은 6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선호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길이는 또한 넥웨어가 본래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수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주어진 크기의 상체 및 목이 대략 벨트 라인에서 끝나기를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길이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수용하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크기에 따른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일 넥웨어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빠르고 쉽게 추가, 제거 또는 교체되고, 넥웨어 패널을 따른 위치(넥밴드 모듈 아래의 위치)의 관점에서, 다양한 길이로 착용될 수 있으며, 재배치 또는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e는 도 1a 및 도 1d의 넥웨어를 예시하며 이 넥웨어는 3 개의 상이한 구성으로 착용된다: 성인 남성에 의해 착용된 넥웨어 패널이 넥밴드 모듈 및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 성인 여성에 의해 착용된 넥웨어 패널이 넥밴드 모듈만을 포함하는 것, 및 소년에 의해 착용된 넥웨어 패널이 넥밴드 모듈과 3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 이 특징은, 보통의 넥타이 및 넥타이와 유사한 다른 유형의 넥타이와 달리, 즉각적으로 넥웨어를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성별과 다양한 크기의 사람들과 어린이부터 어른까지의 연령대를 포함하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또한 한 사람이 본래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 구성된 이 넥웨어를 9가지 길이로 착용할 수 있다. 가장 짧은 것은 넥밴드 모듈만 사용하는 것이고 가장 긴 것은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다.
둥근 사각형 직사각형 넥밴드 모듈(9)의 전면의 크기 및 형상과 도 1a 및 도 1d의 넥웨어의 둥근 사각형 직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 각각은 동일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의 전면과 각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은 동일한 폭이고 2개의 대칭 축(수직 및 수평)을 가져서 전면 넥웨어 패널이 또한 2개의 대칭축을 갖는다. 이 독특한 넥웨어용 기하학적 배열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무엇인지 또는 내부적으로 교환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수에 무관하게 넥웨어의 두 대칭 축을 유지한다. 넥웨어의 대칭적인 구조가 유지되면서, 본래 1-8로 구성된 넥웨어는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넥웨어의 길이를 위해 넥웨어 패널로부터 제거 및/또는 재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잠재적인 넥웨어 및 패션 외관은 추가적인 외부 구성품이나 장식품 없이 넥웨어를 대칭적으로 및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넥웨어의 2개의 대칭 축을 유지하면서, 이 기하학적 배열은 또한 하나 이상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각각 고유하게 새겨진 바를 포함할 수 있음)가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를 대체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넥밴드 모듈의 하부에서) 넥밴드 패널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추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적 장점 외에도 대칭성은 넥웨어의 미적 특징이다.
완벽하게 대칭인 넥타이를 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넥타이 매듭이, 거의 이루어지기 힘들지만, 대칭인 경우에도, 넥타이 매듭 아래의 직물이 종종 비 대칭적인 방식으로 접히고 주름지기 때문에 넥타이 대칭은 거의 달성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벨트 라인에서 끝나고 대칭 축을 갖는 두 개의 축을 갖는 기능성 넥타이는 거의 하나의 대칭축을 달성하는 넥타이와 비교하여 넥타이를 착용하거나 넥타이 없이 버튼 다운 셔츠를 착용하는 것에 대하여 정복(formal) 또는 반정복(semi-formal)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넥웨어 패널은 임의의 길이일 수 있고 임의의 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는 다양한 폭을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는 둥근 사각형, 다람쥐형(squircles), 사각형, 둥근 사각형, 사각형, 타원, 원,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일 수 있다.
넥웨어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없는 넥밴드 모듈로 본래 구성될 수 있거나, 넥웨어는 넥밴드 모듈 및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등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개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를 본래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체 개수의 중 0 개 또는 임의의 개수는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일 수 있다. 유사하게, 넥웨어는 넥밴드 모듈 및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등 몸체 세그먼트를 본래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넥웨어의 몸체 세그먼트의 전체 개수 중 0개 또는 임의의 개수는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일 수 있다.
넥웨어는 또한 넥밴드 모듈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의 임의의 숫자 조합으로 본래 구성될 수 있다. 넥웨어의 전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임의의 부분은 피봇형 세그먼트 일 수 있다.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수는 넥밴드 모듈의 크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및 착용자의 선호도 및 착용자의 크기(둘 다 사람과 다를 수 있음)를 포함하는 다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 넥웨어는 본래 충분한 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넥웨어가 대략 착용자의 벨트 라인에서 끝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넥타이의 바람직한 길이이다. 벨트 라인에서 끝나는 넥웨어는 전면 셔츠 플래킷과 전면 셔츠 버튼을 덮고, 목선을 따라 셔츠 칼라 사이의 틈을 메우고, 정복 또는 반정복에 대한 중요한 요소인 넥타이의 기능을 충족시킨다.
넥웨어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 패널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클립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넥웨어 패널이 신체 움직임 동안 착용자의 전방으로 흔들리거나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넥타이 및 넥타이와 유사한 다른 유형의 넥타이와 비교하여, 착용자가 착용 시에 넥웨어가 실질적으로 똑바로 유지되도록 보조한다. 또한, 클립 세그먼트(들)는 넥웨어가 착용되는 동안 신체 움직임 중에 모든 전면 셔츠 버튼을 덮는 것을 보조한다. 클립 세그먼트(들)은 부착 또는 장착되지 않은 액세서리를 추가함이 없이 넥웨어를 셔츠 플래킷 또는 전면 셔츠 패널에 고정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립 세그먼트(들)는 단독 재량으로 넥웨어의 착용자에 의해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 중 임의의 것으로 넥웨어의 착용자에게 개인적인 착용감을 제공한다. 넥웨어에 얼마나 많은 클립 세그먼트가 사용되는 지와 넥웨어에 클립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는 착용자의 상체의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안하고 깔끔한 외관을 위해, 착용자는 2개의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를 세그먼트 위치(2)에 배치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를 세그먼트 위치(6)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서 넥웨어가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및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착용자가 넥밴드 패널을 따라 (넥밴드 모듈 아래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클립 세그먼트의 수와 클립 세그먼트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이는 특히 메탈릭 넥웨어에 대해, 맞춤 착용감을 위한 중용한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넥웨어의 착용자가 2개의 클립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착용자가 클립 세그먼트를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한다면, 전술한 수의 넥웨어 조합이 도 1a 및 도 1d의 실시예서 감소된다. 착용자는 또한 넥웨어가 클립을 포함하더라도 클립 세그먼트를 연결하지 않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기능성 넥타이 대안으로서 특별한 금속성 넥웨어를 제조하는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 프레싱 방법에 의해 제공된 동전, 메달 및 바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며, 또한, 넥웨어가 일 세트의 또는 일련의 동전, 메달 또는 바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갖는 것에 대한 필요를 알아내었다. 프레싱 방법(스탬핑 또는 코이닝 방법이라고도 함)은 정교하고 세밀한 디자인의 메탈릭 넥웨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며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 방법은 모든 이미지를 복제하여 넥웨어에 사용하기 위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새길 수 있다. 이 압착 방법에는 우선 금속 블랭크(blank)가 필요하다. 블랭크는 원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용융시키고 용융된 금속을 빌렛으로 비워서 제공된다. 가열된 빌렛은 가열된 형태를 연질 어닐링된 금속의 얇은 스트립으로 형성하도록 압력 하에서 작동하는 압출기를 통과하여 진행된다. 길고 얇은 압출 금속 스트립이 냉각된 후, 이들은 절단되고 유압 시어러(shearer)를 사용하여 마무리된 다음 정확한 원하는 두께에 도달할 때까지 고압 압연기에 의해 압연될 수 있다. 롤링된 스트립으로부터, 블랭킹 프레스는 금속 블랭크를 펀칭하여 이후에 조각될 동전, 메달 또는 바의 크기 및 형상으로 천공한다. 블랭킹 기계는 블랭킹 프레스에 의해 남은 거친 가장자리를 제거하고 블랭크가 진동하는 마감 기계에 의해 문질러져 제거되기 전에 블랭크에 돌출된 림을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조각 전에 특정 단계를 거쳐야한다.
원하는 디자인 및 정보를 갖는 동전, 메달 또는 바를 생성하도록 블랭크 금속을 새기기 위해 조각 다이가 제조되기 전에, 원하는 디자인 및 정보의 3차원 석고 조각이 제조될 수 있다. 동전 디자인의 석고 복제품은 고무 디스크로 옮겨 져서 양각 이미지를 생성한 다음 에폭시 수지 디스크로 옮겨져 본래 디자인의 음각 모습을 생성한다. 축소 기구는 오리지널 에폭시 디스크의 윤곽을 따라 황동 판에 더 작은 스케일 버전을 조각함으로써 키 커터(key cutter)처럼 작동한다. 동전, 금속 또는 바를 타격하는 데 실제로 사용된 다이는 축소된 본래 디자인으로부터 복제된다. 제2 축소 기구는 황동판을 가져와서 모든 정보를 본래 다이인 매트릭스(matrix) 라 불리는 스틸 다이로 수축시킨다. 호빙(hobbing)으로 알려진 공정을 통해 매트릭스를 복제하여 마스터 펀치를 생성한 다음 다른 블랭크 다이에 호빙하여 동전, 금속 또는 바를 조각하기 위한 작업 다이를 생성한다.
프레스의 각 타격마다, 칼라(collar) 내의 블랭크에 대한 다이의 충격은 금속을 다이의 골판으로 힘을 가하여 각 측면, 전면 및 뒷면에 원하는 디자인 및 정보를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새긴다. 또한, 동전, 메달 또는 바의 전면, 후면, 및 가장자리는 또한 원하는 디자인 및 특징을 포함하는 각인이 새겨질 수 있다. 상기 압착 방법에 대한 상기 설명은 일반적인 설명이고 정확한 방법은 조폐소마다 다를 수 있다고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동전, 메달 및 바를 타격하는 것에 요구되는 압력, 기간, 온도 및 제조되는 동전, 메달 또는 바의 특정 금속 또는 금속 합금에 의존하여 사용되는 방식에서 다른 세부 특성들이 활용된다. 예를 들어, 은은 대략 962 ℃에서 용융되고 비커스 경도는 대략 251MPa인 반면, 백금은 대략 1,768℃에서 용융되고 대략 400-550MPa의 비커스 경도를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넥웨어 패널에 사용하기 위해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를 조각하는 압축 방법은 캐스팅 방법과 같은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많은 이점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프레싱 방법을 사용하면, 품질, 마무리 및 무게를 포함한 균일성에 대한 제어력이 향상된다. 가장 유리한 것은 고품질 마감재로 정교하고 세밀한 디자인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마감 처리에는 무광, 교정 및 역교정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고도로 연마된 다이를 포함하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제조 방법에서, 교정 불리온 바는 불리온 바의 표면의 더 높은 필드 상에서 차가워지고(frosted), 불리온 바의 더 낮은 필드에서 거울 같은 마감을 유발한다. 프레싱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는 또한 고부조(high relief) 또는 초고부조(ultra high relief)가 요구될 수 있다. 고부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의 바깥 쪽 가장자리 보다 위로 뻗어 있으며, 초고부조 육조에 타격되어 훨씬 더 높아진 이미지가 된다. 미국 조폐국이 생산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2015 American Liberty High Relief 금화와 2009 Ultra High Relief Gold Double Eagle이 있다. 고육조 및 초고육조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이미지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세부 모습들의 수준을 높이고 종종 예술 작품으로 묘사된다. 여러 수준의 부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윤곽이 있는 다단계 구호로 조각된 작품으로 인한 "3 차원"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색을 첨가할 수 있다. 여기에는 도금, 에나멜, 에폭시, 도자기, 페인트 및/또는 잉크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된다. 기밀 밀봉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포함시키기 위해 은 불리온 바에 새겨진 디자인의 선택된 영역에 금판이 적용될 수 있고, 잉크 오버레이는 사실상 은화에 디지털 이미지를 복제할 수 있다. 동전, 메달 또는 바에는 예를 들어 예술적 테마, 음악적 테마 또는 밴드, 서적, 영화, 캐스트, 만화, 액션 피규어, 인용, 주, 국가, 역사적 사건 또는 인물, 신화적 인물, 민족 또는 민족 유산, 가족, 운동, 정당, 법, 종교, 과학, 상징, 학교, 대학, 직업, 조직, 노동조합, 무역 그룹, 회사, 산업, 기업 제휴, 상표, 로고, 클럽, 속담, 슬로건, 스포츠 또는 스포츠팀, 휴일, 특별 행사 또는 행사 및 개인적인 경험을 표시, 홍보, 선포 또는 표현하기 위한 모든 맞춤형 디자인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동전 시리즈의 예로는 미국 조폐국이 생산하고 판매하는 Platinum American Eagle 시리즈가 있다. 100 달러의 액면가 증명 동전에는 1 온스의 백금이 포함되어 있으며 1997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동전의 뒷면에 다양한 예술가들이 만든 독창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이 진행 중인 동전 리즈의 전면에는 상 자유의 여신상 및 그 해가 새겨진 이미지가 포함되고 이 동전은 조폐군에 의해 새겨진다. 2009년부터 시작하여 2014년을 마무리하는 1 온스 증명 플래티넘 아메리칸 이글의 6년 디자인 서브 시리즈는 6개 동전 각각의 반대편에 미국 헌법 서문에서 발견된 미국 민주주의의 기초를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완전히 독특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Platinum American Eagle의 현재 연간 발매마다 미국 조폐국이 판매하는 것 외에도, 2차 시장에서 초기 발행된 동전 시리즈들도 입수 가능하다.
조폐국이 제공하는 동전 세트의 예는 Royal Canadian Mint가 판매한 세계의 Fine Silver Colored 5-Coin Set Mythologies : Gods of Maya(2015)이 있다. 세트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동전의 뒷면에는 점과 쓰기의 신 Itzamnd, 왕족과 계보의 신 Ah Bolom Tzacab, 비의 신 Chaac, 창조의 신 Kukulcan이 각각 있다. 이 네 가지 동전의 전면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있다. 다섯 번째 동전의 뒷면은 Parque Nacional de Tikal-Gran Plaza의 조감도이며, 전면에는 과테말라 정부의 공식적인 조각이 있다. 세트에 있는 5개의 동전은 모두 공식적인 법정 화폐 동전이다. 이 동전 세트에는 2017 년 1 월 Royal Canadian Mint에서 구매할 때 5개의 동전을 보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상자가 포함되어 있지만, Royal Canadian Mint의 동전 세트를 착용하고 표시하는 넥웨어 장치는 입수할 수 없으며 이 동전 세트 또는 임의의 다른 도전 세트를 위한 다른 장치도 입수할 수 없었다. Royal Canadian Mint로부터 온 디스플레이 박스에 있는 5개의 동전 각각은 동전 캡슐에 캡슐화된다.
조폐국이 제공하는 일련의 불리온 바의 예시는 Produits Artistiques Metaux Precieux가 생산한 Suisse Lunar Series이다. 매년 12가지 전통적인 중국 12궁도 동물인 쥐, 황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염소, 원숭이, 수탉, 개, 돼지 등 12가지 중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종류의 음력 시리즈 불리온 바가 출시된다. Lunar Series의 연간 불리온 바의 각 유형은 고급 은 또는 고급 금으로 구성된 다양한 크기로 제공된다. 각 불리온 바의 전면과 뒷면에는 상이한 모습의 동물의 각인이 새겨진다.
도 2a는 사각 넥밴드 모듈(48) 및 11개의 사각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47)를 포함하는 넥웨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는 넥밴드 모듈(48)의 아래에 있고 제1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47)은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이다. 넥밴드 모듈(48) 및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47) 각각은 동전을 수용하고 원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통해 동전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어 있던 넥웨어 패널의 12개의 동전들(49-60)은 각각 독특한 디자인으로 새겨져 있다(어느 것도 묘사되지 않음). 넥밴드 모듈(48)의 (동전을 수용하는) 구획과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47)의 모든 11개의 구획은 동일한 치수이고 모든 12개의 동전(49-60)은 동일한 치수이며, 이는 각각의 12개의 동전을 다른 11개의 동전 하나 하나에 대해 내부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한다.
도 2a의 넥웨어 패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면도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넥웨어 패널, 넥밴드 모듈(48) 및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47)의 구성 요소는 11개의 동일한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도 2b에는 하나의 힌지만이 표시되어 있고; 힌지(61)는 넥밴드 모듈(48) 및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을 연결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자체가 내부적으로 교환되거나 상호교환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넥웨어를 내부적으로 교체하는 것은 사용자가 넥밴드 모듈(48) 및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47) 중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12개의 동전(49-60) 각각을 재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의 내부적으로 교체 가능한 특징은 12 팩토리얼(12!)에 해당하는 12개의 내부적으로 교체가능한 동전의 다수의 넥웨어 조합을 허용하며, 이는 착용자에게 다양한 넥웨어 조합 및 외관을 제공한다. 도 2a의 실시예에서 넥웨어에 포함된 12개의 동전(49-60) 각각은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동전이다. 넥웨어를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것은 사용자가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었던 12 개의 동전(49-60) 중 임의의 것을 외부의 동전(들)로 교체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의 넥웨어 패널의 변형 실시예에서, 넥웨어 패널은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아래에 추가로 설명됨) 또는 유사한 연결 특징을 갖는 다른 유형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넥웨어의 다양한 길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추가 또는 제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며(예, 도 1e), 또는 넥웨어에 본래 구성되지 않은 외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와 상호교환되게 한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넥웨어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것 및 상호교환 가능한 것을 위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와 같은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 모듈(48)의 후방은 넥밴드를 수용하고 넥밴드를 넥밴드 모듈에 연결하기 위한 개구인 개구 메커니즘(62)을 포함한다.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40)는 타이 클립형 메커니즘(6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넥밴드 모듈(48)의 상단 및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47) 각각의 상단은 클로저(64)를 포함한다(12개의 클로저 중 2 개 만이 도 2b에 표시되어 있으며, 넥밴드 모듈(48)의 클로저(64) 및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37)의 클로저(64)가 표시되어 있음).
도 2a의 넥웨어의 정면도가 도 2c에 도시되고, 여기서, 넥웨어 패널이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7)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38) 사이의 적절한 각도(예를 들어, 적어도 90 °)로 피봇되어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38)의 상단에서 클로저(64)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클로저(64)를 제거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38) 내에서 제2 동전(50)을 취급할 수 있게 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및 다른 10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과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클로저를 포함한다(이는 도 2c에 도시되지 않음).
도 2c의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정면 분해도 및 후방 분해도가 도 2d 및 도 2e에 각각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부터 클로저(64)를 분리하기 위해 2개의 나사(65)가 사용된다. 나사들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저(64)상의 2개의 구멍(66)을 통과하고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 상의 2개의 수용 구멍(67)에 고정된다. 제2 동전(50)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전면에서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68)를 통해 시인된다.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후면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이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후면 벽(69)을 포함한다. 클로저(64)는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로부터 분리된 상태이고, 제2 동전(50)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상단에 있는 개구(70)를 통해 제거되었다. 제2 동전(50)을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에 재삽입하기 위해, 제2 동전을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다른 동전으로(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등의 동전으로) 내부적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제2 동전 또는 상호교환가능한 동전이나 라운드로 상호교환하여, 넥웨어의 사용자는 이들 동전 중 하나를 상단의 개구부(70)를 통해 삽입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상단부에서 개구부(70)에 클로저(64)를 끼워 맞춤 할 수 있다. 그 후, 클로저는 2개의 나사(65)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를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부재는 도 2d 및 도 2e에 포함되지 않았다.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저(64)의 바닥부는 동전(50)과 동일한 곡률(71)을 가진다. 동전(50)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개구(70)에 삽입되고 클로저(64)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에 삽입되어 두 개의 나사(65)에 의해 부착된 이후, 클로저(64)의 곡률(71)은 동전(50)을 지지하고 동전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부에서 고정시킨다. 클로저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부착되고 고정될 때, 클로저(64)의 최상부 패널(72)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면의 상단(73) 뒤에 침강되며, 이는 개구(70)를 둘러싸는 다른 3개의 부분, 즉, 개구(70), 후면 벽(69)의 상부(74) 및 두 측면들(75, 76)의 상부 보다 높다. 이 구성은, 넥웨어가 보통의 관찰자에 의해 전방에서 직접 관찰될 때, 부착되고 고정된 클로저(64)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면(73)의 상부 뒤에 가려지게 한다.
동전(50)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38)의 구획 내부는 동전에 맞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벽(69), 클로저의 곡률(71) 및 두 측면(75, 76)에 의해 제한되고, 이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부의 수평 바닥에 대해 수직이다. 디스플레이 윈도우(들) 이외에,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의 내부 구획의 표면들(이는 코인,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수용함)은,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2p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의 상태를 유지하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가죽과 같은 비연마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넥밴드 모듈이 클로저를 포함하는 경우, 비연마성 재료는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와 접촉하는 클로저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구획의 바닥의 구성은 동전을 형상에 맞게 가로지르는 직선형이거나 또는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2a 내지 도 2e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나사를 사용하여 클로저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넥밴드 모듈에 고정시켰으나 이는 다수의 적합한 유형의 체결구의 한 예일뿐이다.
비록 도 2a 및 도 2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넥밴드 모듈에 대한 클로저 타입은 사용자가 넥웨어의 동전을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하거나 상호교환할 수 없는 것이나, 적절한 클로저가 넥웨어의 동전을 쉽고 빠르게 내부적으로 교환하거나 상호교환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클로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d 및 도 2e의 수정된 실시예인, 도 2f 내지 2g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8)에 대한 클로저(77)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8)로부터 클로저(77)를 분리하기 위해 열쇠, 기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2개의 스냅 체결구를 이용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도에서, 때로는 스터드로 지칭되는 2개의 스냅 체결구의 2개의 수형 부분(79)이 클로저(77)의 각 단부에 포함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도에서, 때때로 소켓으로 지칭되는 스냅 체결구의 대응하는 2개의 암부(80)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에 위치된다. 이 클로저(77)는 클로저(77)상의 2개의 스터드(79)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8)상의 2개의 소켓(80) 내로 간단히 밀어냄으로써 사용자가 동전을 교환 또는 교환하기 위해 빠르고 쉽게 고정 및 고정 해제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78)를 넥밴드 모듈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예를 들어, 개선된 분리형 힌지)는 2f와 2g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통합될 수 있는 클로저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보안 수준과 사용 용이성 사이의 상충 관계이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e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사를 이용하여 클로저를 고정키는 것은 도 2f 및 도 2g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클로저보다 동전에 대한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지만; 도 2f 및 도 2g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클로저는 동전을 보다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 및 상호교환할 수 있게 한다.
넥웨어는 도 2h 내지 도 2i에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는 넥밴드 모듈(92)의 아래에 있고,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2)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3 몸체 세그먼트(83)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4)는 제3 몸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5)는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6)는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7)은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및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8)은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9 몸체 세그먼트(89)는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10 디스플레이 세그먼트(90)는 제9 몸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고, 제1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91), 즉,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10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아래에 있다. 동일한 치수인 9개의 동전(93-101)은 동일한 치수인 9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82, 84-88, 90-91)에 의해 넥웨어에 대한 보통의 관찰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며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9개의 동전(93-101) 각각은 독특한 디자인으로 새겨져 있으며, 이들 중 어느 것도 도 2h에 묘사되지는 않는다. 이 넥밴드 모듈(92)은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을 수용하거나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나, 넥밴드를 수용하고 넥밴드를 넥밴드 모듈에 연결하기 위한 개구 메커니즘(102)을 포함한다.
도 2h 및 도 2i에 도시된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82, 84-88, 90-91)는 앞서 설명된 도 2f 및 도 2g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클로저를 이용한다.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상의 클로저(103)는 도 2h 및 도 2i에 표시된 (9개의 클로저 중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중 하나인) 유일한 클로저이다. 이러한 유형의 클로저는 9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의 클로저를 통해 9개의 특유하게 새겨진 동전(93-101) 각각이 서로 쉽고 빠르게 내부적으로 교환될 수 있게 하고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것이 아닌 외부의 동전들과 상호교환될 수 있게 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에 포함된 9개의 동전(93-101) 각각은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동전이다.
도 2h 및 도 2i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92), 9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82, 84-88, 90-91) 및 2개의 몸체 세그먼트(83, 89)를 포함하는 넥웨어 패널의 구성이 11개의 동일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로 연결된다.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인 제1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91)는, 또한 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다른 10개의 세그먼트와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고 잠재적인 추가 세그먼트가 넥웨어에 추가될 수 있게 세그먼트의 바닥에 제2 힌지 부재(105)를 포함한다. 도 2i에 표시된 하나의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제1 힌지 부재(104) 및 제2 힌지 부재(105)이며 이는 종단부의 세그먼트(91)의 바닥부에서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2) 및 제2 힌지 부재(105)를 연결한다. 이하에서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9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2개의 몸체 세그먼트가 내부적으로 교환되고 상호교환될 수 있게 하며, 이는 넥웨어가 다양한 길이 및 외관을 갖도록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9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81-82, 84-88, 90-91) 각각은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이고, 2개의 몸체 세그먼트(83, 89) 각각은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이고 이로써 착용자는 넥밴드 모듈(92)만을 착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12개의 상이한 넥웨어 길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9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또한 2개의 몸체 세그먼트 각각과 내부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11개의 세그먼트(81-91)를 내부적으로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넥웨어를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것은 또한 사용자가 9개의 동전(93-101) 각각을 그 각각의 클로저 각각을 통해 내부적으로 교환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9개의 동전(93-101)을 내부적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한 넥웨어 조합의 개수는 9팩토리얼(9!)에 해당하고 11개의 세그먼트(81-91)를 내부적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한 넥웨어 조합의 수는 11 팩토리얼(11!)에 해당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넥웨어 조합 및 외관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없이) 성인 여성이 착용한 넥밴드 모듈에 본래 구성된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j에 도시되어 있다. 넥밴드 모듈은 동전(각인 디자인은 도시되지 않음), 넥밴드 모듈의 상단에 있는 클로저(보이지 않음), 및 넥밴드 모듈의 후면 바닥의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미도시)의 제2 힌지 부재(암형 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넥웨어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의 동전을 포함하는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넥밴드 모듈에 추가될 수 있게 하여, 당해 기술 분야의 다른 넥웨어와 비교하여 넥웨어를 다용도로 만든다. 착용자는 다양한 길이의 넥웨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할 수 있다. 이는, 조폐국이 예를 들어 일련의 또는 일 세트의 동전들 중 첫번째 동전을, 종종 일어나는 후속 시리즈의 또는 세트의 동전들을 발행하기 이전에, 발행할 때, 특히 중요하다.
2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방은 각각 도 2j의 넥웨어용으로 구성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 및 (빠르고 쉽게 연결 및 분리되는)클로져를 포함하며, 이는 도 2k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도시된다. 도 2l은 도 2j와 같은 여성이 이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에 의해 넥웨어에 추가되고 연결된 2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는 넥웨어를 도시한다. 이전에 (도 2j에서) 하나의 동전을 디스플레이한 넥웨어는 이제 3개의 동전(각인 디자인은 미도시)을 표시하고, 넥웨어는 착용자에 의해 추가된 동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일련의 또는 일 세트의 동전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용으로 구성된 후속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빠르고 쉽게 추가하는 능력을 가진다. 이러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에 의해 넥웨어의 종단부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의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2 힌지 부제에 연결함으로써,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된다. 이 특징은 조폐국에 의해 수차례 일 시리즈 또는 일 세트의 개별 부재들이 발행될 때 수집가가 동전, 메달 또는 바를 그 넥웨어에 추가할 수 있게 한다. 물론,도 2j 또는 도 2l의 넥웨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넥웨어에 추가된 각각의 누적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는 넥웨어 패널을 따라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될 수 있고 및/또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클로저를 통해 동전을 취급함으로써 넥웨어 패널을 따라 각각의 동전이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거나 앞뒤로 뒤집을(그 반대로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착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하루의 복장을 수납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제거된 후 다시 넥웨어에 추가될 수 있다.
도 2k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의 크기 및 형상은 도 2j 내지 도 2l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넥밴드 모듈의 전면과 동일하다. 넥웨어에 대한 이러한 유리한 기하학적 배열은 사용자가 각각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세그먼트 위치에 무관하게 넥웨어의 2개의 대칭축을 유지함으로써,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상호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의 체결구 및 넥밴드 모듈의 체결구가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정렬되며 구성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넥밴드 모듈보다 약간 넓거나 좁을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보다 약간 넓거나 좁을 수 있다. 물론, 동일한 폭을 갖는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디스플레이 삽입물, 동전, 메달 또는 바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구획과 동일한 폭이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j 내지 2l에 도시된 넥웨어의 변형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및/또는 임의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기밀 밀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종래의 동전 홀더 또는 캡슐을 수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전을 내부적으로 교환하거나 및 상호교환할 수 있게 하는 것 외에도, 도 2a 내지 도 2l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유리한 특징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넥웨어의 보통의 관찰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면서 앞면으로부터 그 뒷면으로, 혹은 그 반대로도 각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내에서 코인을 쉽게 뒤집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l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2j 및 도 2l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넥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하지 않으나, 변형된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및/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e,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2j 내지 도 2l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하고, 변형된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전면에 하나 및 후면에 하나의 2개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변형된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이들을 연결하는 체결구는 그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주어진 크기의 동전, 메달 또는 바에 대해,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두께(전면에서 후면)가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수용하도록 증가될 수 있고, 넥웨어 패널을 연결하는 체결구의 유형 및 이러한 체결구들의 위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하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대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구 또는 체결구의 부재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으로부터 동전, 메달 또는 바에 대한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측면 또는 바닥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 주위의 전방 및 후방 프레임의 크기 또한 수정될 수 있다. 물론,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하지 않거나 2개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이들 변형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l의 예시적인 실시예(및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은 도 4a-4f, 5a-5d 및 11a-11d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클로저를 갖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동전, 라운드,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취급할 수 있게 하는 유형의 적절한 클로저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이용될 수 있다.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클로저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클로저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측면들 또는 바닥에 있을 수 있다. 클로저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클로저를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힌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도 2a 내지 도 2l의 예시적인 실시예(및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4a-4f, 5a-5d 및 11a-11d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고정 및 디스플레이 하는 임의의 유형의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클로저를 포함하지 않는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m은 힌지에 의해 결합된 2개의 반편으로 구성된 조개껍질형 용기에 유사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이는 사용자가 불리온 바를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개폐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부는 유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두 절편은 나사로 함께 고정된다. 조껍질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다양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며, 이는 예를 들어,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가 스냅 결합, 자체 잠금 탭 또는 마찰 맞춤 메커니즘에 의해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고 상호교환가능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도 2n은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로 구성된 넥웨어에 연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에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두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배면도이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넥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넥밴드 모듈로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 부재가 제거된다.
클로저를 포함하지 않는 넥밴드 모듈의 다른 예시는 사용자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취급할 수 있도록 서로 완전히 분리된 2개의 섹션(예를 들어, 절반)을 갖는 넥밴드 모듈이다. 도 2o는 나사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넥밴드 모듈의 2개의 분리된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넥밴드 모듈의 전면부는 유리 바를 포함하여 불리온 바를 표시한다. 도 2p는 후면부의 상부에 개구 메커니즘 및 후면부의 하부에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2 힌지 부재를 포함하는 넥밴드 모듈의 2개의 분리된 섹션의 후면도이다. 하나의 동전, 메달 또는 바용 베젤과는 달리,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부재를 포함하는 넥밴드 모듈에 (도 2o 및 2p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 없이) 본래 구성된 넥웨어 패널은 넥웨어용 구성된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가 넥웨어에 추가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 특징을 통해 다용도의 넥웨어는 여러 길이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에 논의된 Suisse Lunar 시리즈 불리온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행되는 시리즈 또는 세트 상으로 추가된 불리온 바를 할 수 있는 넥웨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타일의 넥밴드 모듈은 또한 개구 메커니즘이 제거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 부재(male member)가 추가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이용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도 2m 및 2n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도 2o 및 도 1p의 넥밴드 모듈은 동전 또는 메달용으로 구성된다. 이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넥밴드 모듈은 둥근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갖는 원형 일 수 있거나 둥근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갖는 정사각형 일 수 있다. 넥웨어는 클로저가 있거나 없는 것과 같은 다수의 유형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넥웨어 패널에는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종래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및 불리온 바 캡슐이 넥밴드 모듈 및 목걸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고정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삽입물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및 불리온 바 캡슐을 이렇게 신규하게 사용하는 것은 동전, 메달 및 불리온 바를 넥웨어로 표시하고 캡슐화 하는데 효율적이다. 조폐국에 의해 판매되는 불리온, 기념 동전 및 기념 메달은 보통 조폐국에서 선적될 때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에 포함된다. 대부분의 수집용 동전은 금속의 마모 및 지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동전 홀더 또는 동전 캡슐에 저장한다. 기밀 밀봉되지는 않았지만,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및 불리온 바 캡슐은 또한 은 및 구리 동전 및 바의 변색 속도를 감소시킨다. 상이한 크기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동일한 외부 치수를 갖지만 상이한 크기의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에 대한 다양한 크기의 구획을 갖는 단일 유형의 홀더 또는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넥웨어 패널에 의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모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균일하지만 단일 유형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로 다양한 크기의 동전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넥웨어 패널의 생산이 용이 해진다. 넥웨어에 사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삽입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종래의 동전 홀더 및 바 캡슐의 예시가 도 3a 내지 3q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들은 동전이나 불리온 바를 홀딩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이며 이전에는 넥웨어로서 의도, 제공, 사용된 것은 아니다.
종래의 원형 Air-Tite 동전 홀더(모델 : Direct Fit H32)(106)(동전 캡슐이라고도 함)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홀더가 동전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전(107)(각인 디자인은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함께 배치된다. 이 원형의 단단하고 투명한 동전 홀더는 아크릴로 만들어졌으며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 홀더의 2개의 분리된 부분은 동전(107)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베이스(108) 및 커버(109)로 구성된다. 구획부(110)가 위를 향하는 베이스(108)의 평면도, 개방면(111)이 위로 향하는 커버(109)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캡슐화된 동전을 고정하는 베이스(108)의 구획부(110)의 직경은 이 모델의 동전 홀더에 대해 대략 32.7 mm이다. 이 직경의 동전에는 American Eagle One Ounce Gold Coin, Platinum American Eagle One Once Coin 및 1 온스, 24 캐럿 American Gold Buffalo가 있으며 이는 미국 조폐국이 생산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9)의 내부 플랩(flap) 상에는 및 그 주위에는 다수의 균일한 간격을 둔 직사각형 융기부(ridges)(112)가 있다. 베이스(108) 내부에 동전(107)을 구비할 때, 커버(109)는 커버에 압력이 가해질 때 베이스(108)에 스냅결합되며, 이는 커버(109) 상의 직사각형 융기부(112)가 베이스(108)의 외부 림(113)의 주변에 스냅 결합되도록 한다. 동전 홀더(106)를 분해하고 동전을 제거하기 위해 커버(109)의 에지들 및 베이스(108)의 외부 림(113) 사이에 충분한 힘이 가해지도록, 동전 홀더의 베이스(108)와 커버(109)의 분리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손톱 또는 작은 레버로 동전을 취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d의 베이스(108) 주위의 내부 림(114)은 직경이 32.7mm 인 위에서 언급한 동전을 대략 32.7mm(직경) 구획부(110)에 꽉 맞도록 하는 개스킷(gasket)으로 기능한다. 직접 맞춤 H32 모델 동전 홀더의 전체 외경은 44.45mm이다. H32 모델 외에도 Air-Tite 동전 홀더의 다양한 다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직접 장착 모델의 전체 외경은 44.45mm이지만, H27(구획부 지름이 약 27mm), H34(구획 직경이 약 34mm), H38(구획 직경 약 38.1mm) H39(구획 직경 약 39mm) 및 H40.6(구획 직경 약 40.6mm)을 포함하는 각 구획부의 직경은 다양하다. 실제로, 제조 공정 동안, 내부 림은 임의의 크기의 구획(직경 최대 약 40.6 mm)을 위한 44.45 mm(전체 외경) 동전 홀더의 베이스를 따라 어디에나 위치하여 맞춤 설계된(각인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적 요소 및 두께를 포함하는 치수와 관련하여)에 라운드, 메달 또는 바에 맞출 수 있다.
Air-Tite 동전 홀더라는 브랜드 이름에도 불구하고, 이 동전 홀더는 "밀폐형"이 아니며, 여기에 언급된 다른 동전 홀더도 마찬가지다. 이 홀더가 조립될 때, 커버(109)의 플랩 내부 주위의 직사각형 융기부(112)와 베이스(108) 사이의 갭은 주변 공기가 동전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실험에서 Weimar W. White는 동전 홀더에 캡슐화된 은 달러와 구리 동전을 높은 수준의 황화수소 가스에 노출시켰는데, 이는 동전이 변색되는 일반적인 환경 오염 물질이다. 이 실험의 목적은 실제로 동전 홀더가 기밀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Air-Tite 동전 홀더는 한 가지 유형의 홀더로 평가되었다. White 는 은 달러와 구리 동전이 동전 홀더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을 포함하는 동전 홀더가 높은 수준의 황화수소 가스에 노출된 후 금방 변색된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는 Air-Tite 동전 홀더를 포함하는 동전 홀더가 기밀이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White, Weimar W., Coin Chemistry Including Preservation and Cleaning, Third Edition, American Sports Media, 2012을 참조할 수 있다.
원형 Air-Tite 동전 홀더(모델 : 다이렉트 핏 AE $ / H-40) 115(동전 캡슐이라고도 함)의 다른 예가 도 3e에 도시되어 있고, 이 홀더가 동전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전(116)(각인된 디자인은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함께 배치된다. 전술한 Air-Tite H32 모델과 같이, 이 모델 동전 홀더의 2개의 분리된 부분은 도 3f 및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7) 및 커버(118)로 구성된다. 구획부(119)가 위를 향하는 베이스(117)의 상면도, 개방면이 위를 향하는 커버(118)의 상면도가 도 3h에 도시되어 있다. 이 Air-Tite AE $ / H-40 모델 동전 홀더에는 베이스 주변에 내부 림이 없다(Air-Tite H32 모델 및 위에서 설명한 다른 모델과 마찬가지임). Air-Tite AE $ / H-40 모델에서 베이스(117)의 구획부(119)의 직경은 대략 40.6 mm이며, 이는 또한 외부 림(120)의 직경이기도 하다. 이 직경을 갖는 동전의 예는 미국 조폐국에서 생성된 American Eagle One을 포함하고, 이는 외부 림(120) 주위에 밀착되어 내부 림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동전 또는 라운드용으로 구성되지 않고 넥웨어에 사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삽입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홀더의 예가 도 3i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둥근 사각형 바 용 둥근 사각형 바 홀더 121(Air-Tite direct fit Bar 모델)로, 결합되어 있으며 불리온 바(122)를 포함하고 있다(각인된 디자인은 묘사되지 않음). 위에서 설명한 동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이 바 홀더는 단단하고 투명한 아크릴이며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바 홀더는 또한 본 기술분야의 다른 바 홀더와 마찬가지로, 불리온 바 캡슐 또는 바 캡슐이라고도 한다. 도 3j 및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바 홀더의 2개의 분리된 부분은 베이스(123) 및 커버(124)를 포함한다. 베이스(123)의 구획부(125)가 위를 향하는 평면도가 도 3l에 도시되어 있다. 도 3j 및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4)의 내부 플랩 상에 그리고 그 주위에, 다수의 균등 이격된 직사각형 융기부(ridges)(126)가 있다. 베이스(123)의 구획부(125) 내부에 불리온 바(122)를 구비한 상태로, 압력이 커버(124)에 가해지면 커버(124)는 베이스(123)에 간단히 스냅 결합되고, 이는 커버(124)상의 직사각형 융기부(126)가 베이스(123)의 외부 림(127) 주위에 스냅 결합되도록 한다. 이 Air-Tite 직접 맞춤 바 홀더는 베이스 주위에 있는 내부 림을 갖지 않는다(Tite H32 모델); 외부 림(127)은 구획부(125) 내에 불리온 바(122)를 장착하고 고정한다. 베이스(123)의 구획부(125)의 길이 및 폭은 50.42mm x 29.41mm이다. 이 바 홀더는 Sunshine Minting, Inc.에서 생산한 999 순도의 은 불리온 바와 같은 은 불리온 바에 맞는다.
넥웨어에 사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삽입물로 기능할 수 있는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동전 홀더의 다른 예는 Black Gasket이 있는 Quadrum® Intercept Snaplock Holder이다. 이 둥근 사각형 동전 홀더는 많은 모델에서 사용 가능하며 각 모델에는 14mm의 내경에서 시작하여 1mm에서 41mm까지 증가하는 다른 크기의 원형 개구부(내경)를 가진 폼 개스킷(24mm 및 40mm 내경 개스킷 제외)이 포함되어 있다. 이 범위의 개스킷 크기로 인해 이 유형의 동전 홀더는 거의 모든 크기의 동전 또는 라운드에 맞게 고정 및 고정할 수 있다. 개스킷의 모델 및 내경에 관계없이 이 유형의 동전 홀더의 전체 외부 치수는 약 5.1 cm 5.1 cm이다. 27 mm 동전(129)을 포함하는 27 mm 모델(128)이 도 3m에 도시되어 있다. 도 3n 및 도 3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동전 홀더는 베이스(130) 및 커버(131)로 구성된 2개의 결합 가능하고 강성이며 투명한 플라스틱 부품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스냅 결합함으로써 연결된다. 27mm 직경의 동전(129)(각인된 디자인은 미도시)은 동전 홀더 내에 동전(129)을 고정시키는 폼 가스켓(132)의 27mm(직경) 원형 개구(133) 내부에 끼워진다. CBPM(China Banknote Printing and Minting Corporation)에서 생산한 1/2 온스 중국 금 팬더와 미국 조폐국에서 생산한 American Eagle One-Half Ounce 금화가 이 모델 동전 홀더에 맞는 동전의 예이다.
블랙 개스킷(134)가 있는 Quadrum® Intercept Snaplock Holder의 38mm 모델이 도 3p 및 도 3q에 도시된다. 개스킷(135)은 38mm(직경) 동전(129)(각인 디자인은 미도시)에 맞는 38mm(직경) 원형 개구(136)를 가지며, 동전을 동전 홀더에 고정시킨다. 이 동전 홀더의 개스킷(135)에 맞는 동전(137)의 예시는 로열 캐나다 조폐국(Royal Canadian Mint)에 의해 생산된 1 온스 실버 메이플 리프(Silver Maple Leaf)이다. 이 동전 홀더의 전체 외형 치수는 위에서 설명한 27mm 모델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모델과 동일하다.
앞서 설명되고 도 3e 내지 도 3h에서 도시되는 동전(116)을 포함하는 동전 홀더(115)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38)가 도 4a 및 도 4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2d 및 도 2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 사시도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고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사시도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38)의 개구(139)는 단지 동전에 비해 더 두꺼운 동전 홀더를 수용하기 위해 더 크다. 클로저(140)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38)의 후면에 있는 2개의 수용 구멍(142)을 통해 그리고 클로저상의 2개의 수용 구멍(143)을 통해 고정되는 2개의 나사(141)를 이용한다. 두 세트의 수용 홀들(142, 143)의 위치 설정은 도 2e의 이들 홀들(66, 67)의 위치 설정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폭을 합리화할 수 있다.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144)의 직경은 대략 40.6 mm이며, 이는 상기 동전 홀더의 전술한 모델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는 최대 동전의 직경이다. 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38)는 또한 전체 외부 직경이 44.45mm 인 다른 전술한 Air-Tite 모델을 모두 수용할 것이다. 도 4a 및 도 4b의 변형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폭 및 길이는 대략 동전 홀더 내에 캡슐화된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동전의 직경과 거의 일치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보다 합리적이게 한다.
앞서 설명된 및 도 3i 내지 도 3l에 도시된, 바(122)를 포함하는 바 홀더(121)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45)가 도 4c 및 도 4d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4a 내지 도 4b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 사시도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후면 사시도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38)와 비교할 때.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45)는 둥근 직사각형 바 홀더를 수용하고 클로저(146)의 바닥은 평평하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저(146)의 각 단 부는 클로저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고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45)의 상단을 향해 2개의 핀 소켓(148)에 끼워지는 2개의 스프링 핀(147)을 포함한다. 클로저는 두 개의 스프링 핀(147) 중 하나를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45)의 어느 한 단 부를 향해 클로저를 슬라이딩 함으로써 개방된다. 이 클로저(146)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내용물이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되며 상호교환 되도록 하는 클로저의 다른 예시이다. 이 예시에서, 불리온 바(122)를 포함하는 것은 바 홀더(121)이다.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149)는 도 3l 내에서 바 홀더의 베이스(123)상의 구획부(125)의 길이 및 폭인 치수가 50.42mm x 29.41mm 인 둥근 사각형이다.
도 3m 내지 도 3o 및 앞서 설명된 동전(129)을 포함하는 동전 홀더(128)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0)의 전면 사시도가 도 4e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4c 및 4d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4c 및 도 4d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45)와 비교하여,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0)는 둥근 사각형 동전 홀더(128)를 수용한다.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151)의 직경은 27mm이며 이는 도 3m 내지 도 3o의 동전(129)의 직경과 일치한다. 도 4c 및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클로저(152)는 2개의 핀 소켓(154)에 끼워지는 2개의 스프링 핀(153)에 의해 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0)에 고정되어 동전 홀더(128)가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되거나 상호교환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도 3p 및 도 3q에 도시된 동전(137)을 포함하는 동전 홀더(134)를 장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5)는 도 4f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0)와 비교하여, 도 4f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5)는 더 큰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156)(직경 40.6 mm)를 가지며, 이는 동전(137)의 직경과 일치하고 대부분의 동전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같이, 도 4f의 클로저(157)는 동전 홀더(134)가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되거나 상호교환될 수 있게 하는 2개의 핀 소켓에 맞는 2개의 스프링 핀에 의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5)에 고정된다.
도 2d-2g 및 4a-4f에 도시된 것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넥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체결구 부재가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에 따라 수정된 넥밴드 모듈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의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가 도 5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원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갖는 정사각형 넥밴드 모듈은 원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갖는 일련의 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된다. 넥밴드 모듈 및 11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도 3e 내지 도 3h의 동전 홀더(115) 및 고유하게 새겨진 동전(각인된 디자인은 표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넥웨어는 두 개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8)의 위로 기울어져 있다.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8)에 대한 클로저(159)가 분리된 상태이고, 동전을 포함하는 동전 홀더(115)가 직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되었다.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8)를 포함하여 넥웨어의 모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도 3a 내지 도 3d의 동전 홀더(106) 및 전술한 다른 Air-Tite 모델을 포함하여 대략 44 mm의 전체 외경을 갖는 둥근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장착하고 고정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 넥웨어의 특징은 위의 동전 홀더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교체용 삽입물에서 다양한 수의 넥웨어 조합과 패션 외관에 관한 다양한 용도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넥웨어 용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동전 홀더 및 넥밴드 모듈 또는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용으로 특별히 구성 및 제조된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포함한다.
도 4c 및 도 4d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클로저를 포함하는 넥웨어는 도 5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둥근 직사각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있는 직사각형 넥밴드 모듈은 둥근 직사각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있는 일련의 직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된다. 넥밴드 모듈 및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도 3i 내지 도 3l의 바 홀더(121) 및 독특하게 새겨진 바(각인 디자인은 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넥웨어는 두 개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0) 위로 기울어져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0)의 클로저(161)가 분리된 상태이고 바 홀더(121)(불리온 바를 포함함)가 직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되었다. 넥밴드 모듈 및 이 넥웨어의 다른 모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포함된 이러한 유형의 클로저(161)(전술됨)는 넥웨어 패널에 수용된 9개의 바 홀더가 서로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되거나 외부의 디스플레이 삽입물과 상호교환 될 수 있게 한다. 이 넥웨어는 넥웨어 패널의 후면에 걸쳐 개선된 분리형 힌지(162)(아래에 추가로 설명됨)를 포함하며, 이는 넥웨어가 9 개의 다른 길이로 착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내부적으로 교환되고 상호교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넥웨어의 특징은 다양한 잠재적 넥웨어 조합과 패션 외관을 가능하게 하는 엄청난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넥밴드 모듈의 전면 및 도 5b의 넥웨어의 각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밴드 모듈의 전면과 각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면은 동일한 폭이고 2개의 대칭 축(수직 및 수평)을 가지며 전면 넥웨어 패널도 또한 2개의 대칭 축을 갖는다. 이 독특한 넥웨어용 기하학적 배열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종류 또는 교환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수에 관계없이 넥웨어의 두 대칭 축을 유지한다. 넥웨어의 대칭성을 유지하면서,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은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대로 복수의 넥웨어 길이가 될 수 있도록 넥웨어 패널로부터 제거되고 다시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잠재적인 넥웨어 및 패션 외관은 추가적인 외부 부품이나 장식품 없이도 넥웨어의 대칭성 및 내부적으로 교환가능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마찬가지로, 넥웨어의 2개의 대칭 축을 유지하면서, 이 기하학적 배열은 또한 하나 이상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대체 할 수 있게 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넥웨어 패널을 따라 (넥밴드 모듈 아래에서) 임의의 위치에 추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적 장점 외에도 대칭성은 넥웨어의 미적 특징이 된다.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0), 클로저(152) 및 동전 홀더(128), 도 4f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5), 클로저(157) 및 동전 홀더(134)를 포함하는 넥웨어가 도 5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원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있는 사각형 넥밴드 모듈은 원형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있는 일련의 사각형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연결된다. 넥밴드 모듈은 도 4e의 클로저(152) 및 동전 홀더(128)를 포함한다. 9개의 동전 홀더 각각에는 디자인이 묘사되지 않은 고유하게 각인된 동전이 들어 있다.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3) 및 제5 내지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164)가 도 5c에 도시되며 이는 도 4e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0)를 포함한다. 도 5c에 도시된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5)는 도 4f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넥밴드 모듈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직경(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5)의 디스플레이 윈도우(166)의 직경 만이 표시됨)은 넥밴드 모듈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있는 동전 홀더의 개스킷의 내부 직경에 상응한다. 넥웨어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넥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직경은 넥웨어 패널을 가로질러 일정하다.
예를 들어, 도 5d의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7-174) 및 넥밴드 모듈(175)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다(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70)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직경(176)만이 표시됨). 이 넥웨어는 도 4f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55), 클로저(157) 및 쿼드 럼 인터셉트 스냅 락 동전 홀더(Quadrum® Intercept Snaplock Coin Holder)(134)를 포함한다. 이 유형의 동전 홀더는 다음과 같은 가변 개스킷 크기(내경)와 동일한 외부 치수를 갖는다: 넥밴드 모듈(175)은 30mm 개스킷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7)는 32mm 개스킷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8)는 34mm 개스킷을 포함하고,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9)는 36 mm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70)는 41 mm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71)는 36 mm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72)는 34 mm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73)은 32 mm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74)은 30 mm 가스켓을 포함한다. 각 동전 홀더에는 디자인이 묘사되지 않은 고유하게 각인된 동전이 들어 있다. 넥밴드 모듈(175)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67-174)의 동전 홀더 내의 각 동전의 직경은 상기 개스킷 크기(내경)에 상응한다. 이러한 넥웨어 구성은 직경 14mm 내지 직경 41mm 범위의 거의 모든 크기의 동전이, 넥웨어가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넥웨어 패널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전 홀더를 포함하는 이 넥웨어의 9개의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모두 빠르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고 상호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삽입물이다.
매우 얇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넥밴드 모듈, 몸체 세그먼트 및/또는 디스플레이 삽입물을 제공기위한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들이 넥웨어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두께가 얇을수록 넥웨어가 더욱 심미적이고 착용감이 좋다. 다음 특성들을 포함하는 특수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유리가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디스플레이 삽입물에 바람직하다 : (i) 유리의 두께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균열, 긁힘 및 마모에 대한 높은 내성, (ii) 높은 광학 선명도, (iii) 경량 및 (iv) 높은 화학적 내구성. 이러한 유리의 예로는 Corning® Gorilla® 유리가 있으며, 이는 0.4mm 정도로 얇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위의 특성을 가진다.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종래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바 캡슐을 위해 구성될 수 있지만,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종래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바 캡슐과 넥웨어용으로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동전 홀더, 동전 캡슐 또는 불리온 바 캡슐에 다양한 변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주변 공기가 덜 통과하도록 설계되고 제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홀더 및 캡슐에는 다양한 유형의 금속-유리 밀봉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 및 캡슐의 베이스와 커버 사이의 공기 유동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에지 주위에 에폭시 아크릴 스트립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이들은 또한 넥웨어를 위해 구성되고 맞춤 설계된 동전, 라운드, 메달 또는 바를 수용하기 위해 다른 크기(예 : 더 두껍거나 얇은)로 생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유리 없이 동전, 라운드, 메달 또는 바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삽입물은 임의의 크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동전, 라운드, 메달 또는 바가 넥밴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전방에 있는 컷아웃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통해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넥웨어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직물 넥타이 및 넥타이와 유사한 다른 유형의 넥웨어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을 포함한다 : 내오염성, 음식, 음료, 담뱃재, 잉크 또는 다른 오염물에 의해 오염된 경우 세척의 경제성 및 용이성, 광범위한 내 교환성 및 상호교환성, 내구성, 주름 방지, 걸림 방지, 흡연으로 인한 구명 발생 가능성이 적음, 넥타이 매듭이 없어(및 결과적으로 비대칭으로 접히며 넥타이 매듭 아래 주름이 생기는 것이 없어) 착용 시 관찰자에 더 대칭적인 것. 또한 편안한 메탈릭 넥웨어는 넥타이를 착용하거나 넥타이없이 버튼 다운 드레스 셔츠를 입는 것보다 훨씬 필요한 정복 및 준정복에 대한 패션 대안을 제공한다.
3 개의 금속 바, 3개의 버튼 다운 드레스 셔츠와 3개의 패브릭 넥타이에 대하여 Surface Optics Corporation에 의해 Gary 5000 적분 구 반사 계를 사용하여 가시 광선 스펙트럼(390 nm ~ 700 nm, 10 nm 미만의 파장 간격에서 반구형 방향 반사율, 하나의 각도로, 20° 미만)에서의 광 반사율을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제공된 3개의 금속 바는 Patuga LLC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프레싱 방법을 사용하여 전용 조폐소에서 제조되었다. 광 반사율에 대해 분석된 3개의 금속 바는 모두 에나멜 또는 조각된 디자인 요소로 구성되지 않는다. 금속 바 중 하나는 은으로, 두 번째는 구리로, 세 번째는 황동(85 % 구리 및 15 % 아연)이다. 세 개의 금속 바는 모두 동일한 광택 처리 마감 처리를 포함하여 동일한 디자인과 조각이 있다.
LRV(광 반사 값, light reflectance value) 분석을 위해 제공된 3개의 버튼 다운 드레스 셔츠는 미국의 JC Penny Corporation(Travel, Easy-Care Broadcloth,면 55 % 및 폴리 에스터 45 %로 구성, 표준 핏 크기 -16 1/2, 32-33)에 의해 배포된 Stafford 브랜드 셔츠이다. 3개의 드레스 셔츠는 각각 단색이었고; 첫 번째는 파란색(라벨, 블루 피), 두 번째는 흰색(라벨, 흰색), 세 번째는 회색(라펠 펠러 회색)이다. LRV 분석을 위해 제공된 3가지 패브릭 넥타이는 J.C. Penny Corporation(좁은 JF Backwall)에 의해 배포된 JF J. Ferrar 브랜드 넥타이다. 세 가지 넥타이 각각은 단색이었다; 첫 번째는 파란색(라벨, 짙은 파란색), 두 번째는 빨간색(카이엔), 세 번째는 노란색(라벨, 밝은 미나리)이었다. 대상 넥타이의 라벨은 직물의 유형을 공개하지 않았다. 세 가지 넥타이 모두 강한 광택을 보였다.
분석된 모든 드레스 셔츠와 넥타이는 직물에 눈에 띄는 패턴이 없는 단색이므로 이에 직물에 여러 색상이나 패턴이 포함된 경우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샘플에서 대상 위치를 선택할 때 발생하는 모호함이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광 반사율을 분석하기 위한 분광 광도계에 대한 각 샘플의 목표 위치는 대략 3 cm x 5 mm였다. 세 가지 유형의 샘플 각각에서 대상 위치의 중심은 다음과 같다: 금속 바의 경우 상단에서 3mm(넥웨어에 위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중심을 맞춤, 셔츠의 경우 중앙에서 2cm 아래 칼라 왼쪽 끝(셔츠는 여전히 접혀 공장에서 고정되어 각 셔츠의 대상 위치의 직물이 다층화되어 있음), 넥타이의 경우 넥타이의 아래쪽 끝에서 38cm 떨어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중앙을 맞춤.
9개의 샘플 각각으로부터 32개의 광 반사율 값이 생성되었다. 9개의 샘플 각각에 대한 이들 32개의 값의 평균이 도 6의 막대선도로 도시되어 있다. 은 바의 평균 LRV(88.5 %)는 흰색 드레스 셔츠의 평균 LRV(88.6 %)와 거의 같았으며, 이는 흰색 물체뿐만 아니라 금속도 빛을 반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은 바의 평균 LRV(88.5 %)는 파란색 셔츠의 평균 LRV(32.8 %)보다 크고 회색 셔츠의 평균 LRV(42.0 %)보다 크고 세 가지 넥타이의 평균 LRV( 파랑 : 22.5 %, 빨강 : 24.6 % 및 노랑 : 56.2 %)보다 컸다. 구리 바의 평균 LRV(60.9 %)는 파란색 셔츠의 평균 LRV(32.8 %)보다 크고 회색 셔츠의 평균 LRV(42.0 %)보다 크고 세 가지 넥타이의 평균 LRV보다 컸다. 황동 바의 평균 LRV(54.1 %)는 파란색 셔츠의 평균 LRV(32.8 %)보다 크고 회색 셔츠의 평균 LRV(42.0 %)보다 컸으며 노란색 넥타이의 평균 LRV(56.2 %)와 거의 같고, 파란색 넥타이의 평균 LRV(22.5 %)보다 크고 빨간색 넥타이의 평균 LRV(24.6 %)보다 크다. 이러한 LRV 결과는 조폐국의 프레싱 방법에 의해 제공된 금속 바를 포함한 넥웨어가 컬러, 컴포지션 및 텍스쳐 뿐만 아니라 광 반사도의 형식 및 반 형식 복장의 직물과 극적으로 대조됨을 확인시켜준다. 본 발명의 금속성 넥웨어는 정복 및 준정복의 일부로서 시각적 관심, 흥분 및 드라마를 생성할 것이다.
개선된 분리형 힌지
분리형 힌지(때로는 "리프트 오프 힌지"라고도 함)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두 객체를 연결하고 하나 또는 두 객체를 움직이거나 회전시켜 일반 힌지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분리형 힌지의 유리한 특징은 분리형 힌지에 연결된 물체가 열쇠, 툴 등 없이 분리 및/또는 재연결되며 분리형 힌지는 취급성 및 무게 측면에서 그 크기에 비해 강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자는 미국 특허 출원 제15 / 384,54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새롭고 개선된 분리형 힌지를 고안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로 지칭한다. 본 발명자는 도난 방지 증가 및 어떠한 움직임 또는 충격에 의해 힌지가 우발적으로 잠금 해제되고 미끄러질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등 보안 수준이 더 높은 분리형 힌지를 사용하여 물체를 보다 잘 보호할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넥웨어 패널의 구성 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넥웨어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들은 도 1a 내지 도 1e, 도 2h 내지 도 2p 및 도 5b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넥웨어의 실시예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임의의 물품을 물체에 고정 또는 준 잠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점 환경에서 예술품을 보호하거나 보석류와 같은 귀중품을 디스플레이에 고정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보안을 강화하고 도난 방지를 지원하면서 일반적인 분리형 힌지가 제공하는 이점을 유지한다.
공지된 분리형 힌지(Sea Dog Line made in Thailand)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주조되며,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잠금 해제되어 분리되고 2개의 부재, 핀(178)을 갖는 제1 힌지 부재(수형 단부)(177) 및 제2 힌지 부재(암형 단부)(179)로 구성된 종래 기술의 분리형 힌지의 평면도이며 이는 핀을 수용하고 피봇 포인트로서 작용하는 배럴(180)을 구비한다. 제1 힌지 부재는 제1 리프(leaf)(181), 너클(knuckle)(182), 키홈(key groove)(183) 및 핀(pin)(178)을 포함한다. 제2 힌지 부재는 제2 리프(184), 키(key)(185) 및 배럴(barrel)(180)로 구성된다. 도 7b는 핀(178)이 배럴(180)에 맞물리는 것을 나타내는 잠금 위치에서의 종래 기술의 분리형 힌지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키(185)가 키홈(183)과 맞물리는 것을 나타내는 잠금 위치에서의 상기 힌지의 저면도이다. 도 7d는 힌지의 바닥이 제1 힌지 부재(수형 단부)(177) 및 제2 힌지 부재(암형 단부)(179)를 가로 질러 편평하고 직선인 것을 나타내는 잠금 위치에서의 상기 힌지의 측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분리형 힌지를 잠금 해제하고 취급하는 것은 두 단계를 필요로 한다. 먼저, 도 7d의 힌지의 편평한 위치와 비교하여.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단부(179)상의 키(185)가 수형 단부(177)상의 키홈(183)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힌지를 올바른 각도(적어도 대략 150 °)로 힌지(평평한 위치로부터 클로저)로 회전시킨다. 키(185)는 더이상 키홈(183) 내에 구속되지 않으며, 수형 단부(177) 및 암형 단부(179)는 이에 잠금 해제된다. 둘째,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단부(177)와 암형 단부(179)를 분리시킨다. 힌지를 잠그기 위해, 이들 두 단계는 역순으로 수행된다. 상기 힌지는 특정 용도에 충분하고, 그 구성 및 설계로 인해 잠겨 있을 때 강하지만, 상기 힌지가 어느 정도 쉽게 잠금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움직임 또는 충격에 의해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힌지는 도난 방지를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는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주조된 것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즉각(instant)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분리형 힌지에 추가적인 보안의 중요한 특징을 추가한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예는 도 8a 내지 도 8i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레그로 구성된 키웨이(186), 즉, 키웨이(keyway)의 제1 레그(187) 및 키웨이의 제2 레그(188)로 구성된 키웨이(186)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수형 단부)에 통합되어 있다. 키웨이는 핀상의 상승 컬(elevated curl)(189)에 의해 구성되며, 이는 키에 맞물리는 통로이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힌지는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키가 키웨이를 통해 안내되어야 하므로, 키웨이를 통합시키는 것은 도난 방지의 정도를 증가시키고 힌지가 실수로 잠금 해제 및 슬라이딩 될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도 8b의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191) 상의 키웨이(186)는 도 7a의 종래의 분리형 힌지의 키홈(183)과 구별되는 별개의 것이며 도 8b의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191)상의 키홈(190)과 구별되는 별개의 것이다. 종래의 분리형 힌지는 키웨이를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힌지의 키가 키홈을 빠져나가면, 상기 힌지의 두 힌지 부재가 모두 잠금 해제되고 즉시 분리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제1 힌지 부재(수형 단부)(191) 및 제2 힌지 부재(암형 단부)(195)를 포함한다. 제1 힌지 부재(191)는 제1 리프(192), 키웨이(186), 키홈(190), 및 너클(193) 및 핀(194)을 포함한다. 제2 힌지 부재(195)는 제2 리프(196), 키(197) 및 배럴(198)을 포함한다. 제1 리프(192) 및 제2 리프(196)는 각각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물체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다. 너클(193)은 키홈(190)의 외관의 경계로서 기능한다.
도 8c는 핀(194)의 대부분이 배럴(198)에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위치에 있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평면도이다. 키웨이의 제1 레그(187) 및 키웨이의 제2 레그(188)도 도시된다. 키(197)가 키홈(190)과 맞물리고 핀(194)이 배럴(198)과 맞물릴 때, 제1 힌지 부재(191) 및 제2 힌지 부재(195)는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에 장착된 임의의 물품을 포함하여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제1 힌지 부재(191) 및 제2 힌지 부재(195)는 또한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에 장착된 임의의 물품을 포함하여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키 그루브(190)는 대체로 핀(194)의 원주 둘레로 연장된다.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같은 장착된 물품의 유무에 관계없이 즉시형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잠금 해제하고 분리하는 것은 사용자가 도 8d 내지 도 8g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간단한 단계를 완료해야 한다. 첫 번째 단계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 부재상의 키(197)가 키웨이의 제1 레그(187)의 진입점에 올 때까지 제1 힌지 부재(191) 및/또는 제2 힌지 부재(195)를 회전시켜(도 8c의 평평한 위치로부터 180도에 가깝게), 그에 따라 키(197)가 키홈(190)을 벗어나 키웨이의 제1 레그(187)에 들어갈 수 있도록 키(197)를 키홈(190) 내부에서 적절한 각도(예를 들어, 대략 100도)로 위치시킨다. (만일, 힌지 부재(들)가 180도의 평평한 위치로부터 너무 많이 회전하고 키(197)가 키웨이의 제1 레그(187)의 진입점을 통과하면, 키홈(190) 이후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키홈의 단자 단부(199)를 포함하여, 키(197)는 키웨이의 제1 레그(187)에 들어가지 않으면 키(197)가 키홈(190)을 빠져나가지 않을 것이다. 이에, 힌지 부재(들)는 적절한 각도로 간단히 재회전되며, 이는 이 예에서는 대략 100도이다). 두 번째 단계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197)가 키웨이의 제1 레그(187)와 키웨이의 제2 레그(188)의 교차점과 접촉 할 때까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91) 및/또는 제2 힌지 부재(195)를 부분적으로 이격 시키며, 이는 제1 및 제2 힌지 부재가 추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예에서, 키웨이의 제1 레그(187)는 핀(194)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키웨이의 제2 레그(188)는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키웨이의 제1 및 제2 레그의 교차점은 핀을 따라 수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로,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91) 및/또는 제2 힌지 부재(195)를 적절한 각도(예를 들어, 적어도 약 160 °)까지 더 회전시켜 키(197)가 키가 있는 지점의 제2 레그(188)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키웨이의 마지막 레그인 키웨이의 제2 레그 내에서 키가 더이상 구속되지 않게 된다. 네 번째 단계로,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91)와 제2 힌지 부재(195)를 완전히 밀어 분리시키고, 이 경우 핀(194)은 배럴(198)로부터 제거된다.
이들 2개의 추가 잠금 해제 단계는 도 8d 내지 도 8g에 포함되어 있고,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잠금 해제 단계와 비교하여, 이는 공통 분리형 힌지를 준-결합 잠금으로 방식으로 변환한다. 일단 잠금 해제 및 분리되면, 즉시형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조립하고 잠금 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4 단계를 역순으로 수행하는 것을 간단히 한다. 잠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핀(194)이 배럴(198)에서 회전하는 동안 그리고 키(197)가 키홈(190)과 맞물리는 동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같은 임의의 장착된 물품이 피봇될 수 있게 한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제1 힌지 부재(수형 단부)와 제2 힌지 부재(암형 단부)로 구성된 두 부분만을 가지며, 잠겨 있을 때 매우 강하고, 높은 하중 및 중량 하중을 처리할 수 있으며, 스프링, 코일, 나사, 볼트, 걸쇠 등이 작동하도록(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결국 파손될 수 있음), 프로파일이 낮으며, 상기 체결구의 바닥은 평평하고 직선이다. 키웨이의 보안 기능과 결합된 이러한 기능은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쥬얼리 제품을 함께 연결하고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넥웨어의 몸체 세그먼트 연결을 포함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걸친 매력적인 체결 옵션이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분리형 힌지와 비교하여,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예를 들어 임의의 움직임 또는 충격에 의해 의도치 않게 넥웨어가 분리되는 위험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링크 타입 체인 또는 기타 보석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적절하고 안전하지 않은 체결구에 비하여, 넥웨어가 착용되는 동안 도난 시도에 대해 넥웨어를 더욱 안전하게 만든다.
따라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모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피봇되고 신속하고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되며 상호교환될 수 있도록, 넥웨어 패널에 걸친 연결을 허용하는 넥웨어의 넥웨어 패널에 장착될 수 있는 체결구의 예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d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d에 도시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힌지 부재(수형 단부)(33) 및 제2 힌지 부재(수형 단부)(34)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넥웨어 패널의 후면에 장착된다(예를 들어 넥밴드 모듈(9) 및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1-8)로 본래 구성된 넥웨어의 경우) :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암형 단부(34)(키는 아래로 향함)는 넥밴드 모듈(9)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넥밴드 모듈 바로 아래에 있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2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3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4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5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6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7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단부(33)(너클은 위로 향함)는 제8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고,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키는 아래로 향함)의 암형 단부(34)는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하단부로 향한다.
도 1d에 도시된 것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왼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용 힌지라고 한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또한 오른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용 힌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인스턴트 넥웨어 및 다른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에 체결구를 장착하는 방법은 넥웨어 패널에 사용되는 체결구의 유형 및 구성 및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수형 및 암형 단부는 사용되는 체결구의 유형 및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또는 경우에 따라 다른 물품들의 조성에 따라 납땜 또는 에폭시의 사용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실제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포함하는 체결구는 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볼트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솔더링 또는 에폭시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넥웨어 패널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물품에 장착될 수 있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체결구의 일부는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와 함께 주조 또는 가압 방법에 의해 단일 부품의 일부로서 형성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키웨이는 핀을 따라 하나 이상의 레그를 포함하고 직선(들), 원의 일부 및/또는 타원의 일부를 포함하는 핀을 따르는 임의의 패턴을 포함한다. 키웨이의 다리는 핀의 종축을 따라 또는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에 통합될 레그의 개수 및 레그의 유형(예를 들어, 선형 레그 또는 곡선 레그)을 포함하는 키웨이의 복잡성을 결정하는 것은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분리 조립할 때의 보안과 용이성 사이의 상충 관계이다. 키웨이가 복잡할수록 보안 수준이 높아지고 키웨이가 덜 복잡하면 보안 수준이 낮아지며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가 더 쉽고 빠르게 잠금을 해제하거나 잠글 수 있게 된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키는 직육면체 또는 실린더와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여, 키웨이 및 키홈과 맞물리는 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 일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197)는 제2 리프(196)에 부착된 키의 일면을 제외하고 대략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이다. 물론, 키의 모양 또는 크기에 상관없이, 키웨이 및 키홈의 치수는 적절한 결합을 위해 키의 치수에 맞춰 조정 및 구성된다.
4개의 다리를 갖는 보다 복잡한 키웨이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8h에 도시되어 있다. 이 키웨이는 위에서 설명되고 도 8a에 도시된 키웨이에 비교하여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 하기 위해 총 6개의 단계로, 2개의 추가 단계를 필요로 한다. 제1 단계는 제2 힌지 부재(미도시) 상의 키가 제1 힌지상의 키웨이의 제1 레그(200)의 진입점에 올 때까지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를 (평평한 위치로부터 가깝게)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키가 키홈(202)을 떠나 키웨이에 들어가도록 적절한 각도로 키를 제2 힌지 부재 상에 위치된다. 제2 단계는, 키가 키웨이의 제1 레그(200)와 키웨이의 제2 레그(203)의 교차점(이는 제1 및 제2 힌지 부재가 더이상 분리되는 것을 막음)과 접촉할 때까지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를 부분적으로 밀어서 이격시키는 것이다. 제3 단계는 키가 키웨이의 제3 레그(204)의 진입점에 도달할 때까지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부재를 적절한 각도로 더 회전시킨다. 제4 단계는, 키가 키웨이의 제3 레그(204)와 키웨이의 제4 레그(205)의 교차점과 키가 접촉할 때까지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를 부분적으로 더 멀리 밀어내어 제1 및 제2 힌지 부재를 추가적인 분리되지 않게 정지시킨다. 제5 단계는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를 적절한 각도까지 더 회전시켜, 키가 키웨이 내에서 더이상 구속되지 않는 지점에서 키웨이의 제4 레그(205)를 통과하도록 키를 통과시킨다. 제6 단계는 제1 및 제2 힌지 부재를 완전히 분리시키며, 이 경우 키는 핀(206)을 통과하고 핀은 배럴로부터 제거된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훨씬 더 복잡한 키웨이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8i에 도시되어 있다. 이 키웨이는 5개의 레그로, 제1 레그(207), 제2 레그(208), 제3 레그(209), 제4 레그(210) 및 제5 레그(211)를 포함한다. 이 키웨이는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를 잠금 해제하거나 잠그기 위해 6개의 단계를 필요로 한다. 처음 네 단계는 위와 동일하다. 제5 단계는 제 3단계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제1 힌지 부재 및/또는 제2 힌지 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을 요구하지만, 차이는 제5 단계가 힌지 부재(들)를(평평한 위치로부터) 클로징하지 제3 단계에서와 같이(평평한 위치로부터) 힌지 부재를 개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 8h의 키웨이와 비교하여, 이 키웨이의 추가 보안 방식은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키웨이 부분에 대해, 키가 2개의 레그의 교차점과 접촉할 때 키가 키웨이의 이들 부분을 두 원주 방향으로 모두로 자유롭게 맞물리게 한다는 것이다. 이 기능은 잠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키웨이 패턴을 모르는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힌지를 잠금 해제할 때 힌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궁금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인 보안을 위해 키웨이를 통합하는 것에 더하여, 위에서 설명되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분리형 힌지와 비교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다른 개선점들이 있다. 넥웨어 실시예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 관련하여 이러한 개선점들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너클(193)이 제1 리프(192)와 플러시되고(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프와 겹치지 않음)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배럴(198)이 이전의 배럴 단부의 제2 리프(196)에 비해 많이 돌출되지 않는다는 점을 포함한다. 제1 리프 및 제2 리프의 크기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들에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로 인해 감소되었다. 또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힌지와 달리,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키(197)가 키웨이의 제1 레그(187)에 들어가지 않는 한 키(197)가 키홈(190)을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키홈(190)의 제2 단자 단부(199)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 개선으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가 더욱 효율화 되었다. 핀 및 배럴의 직경을 포함하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의 크기는 특정 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1 리프 및/또는 제2 리프는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제1 리프 또는 제2 리프는 물품을 장착하기위한 2개의 구멍을 갖는다.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몸체 세그먼트 및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임의의 물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리프 및/또는 제2 리프는 장착 구멍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넥밴드 모듈에 납땜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자는 다양한 물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새롭고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자는 퀵 릴리즈 버클이 하나 이상의 단단한 물체에, 예를 들어, 나사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 퀵 릴리즈 버클이 장착된 이러한 단단한 물체가 피봇팅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포함하여, 퀵 릴리즈 버클로 물체를 연결하는 것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들)은 장착된 단단한 물체가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거나 상호교환 가능하게 한다.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은 본 발명의 넥웨어와 함께 사용되어 넥웨어 패널의 구성 요소를 연결하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몸체 세그먼트에 피봇팅 기능을 제공하고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및 상호교환 가능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은 신속하고 피봇팅 능력 및 쉽게 내부적으로 교환 또는 상호교환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강성 물체에 장착될 수 있다.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이 장착된 임의의 물품은 사용자에게 다목적성을 포함하여 더 큰 유용성을 제공하고, 이는 다수의 조합이 물품의 일부만 내부적으로 교환 또는 상호교환함으로써 물품의 외관이 크게 변경되는 형태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넥웨어 패널을 연결하는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은 임의의 수의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제거함으로써 넥웨어 패널을 단축시키거나, 디스플레이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추가함으로써 넥웨어 패널을 연장시킬 수 있고,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의 위치는 서로 재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시나리오에서 넥웨어는 완전히 새로운 모습을 가진다. 본 명세서의 넥웨어의 임의의 실시예는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퀵-릴리즈 버클은 본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벨트를 연결 및 분리하고 웨빙 스트랩(webbing strap)을 연결 및 해제하는데 유용하다. 이들은 인상적인 힘과 무게 하중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맞물리거나 풀기 위한 도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다. Lerra 등의 미국 특허 6,226,844 B1은 체결 단부를 갖는 제1 버클 구성 요소 및 체결 단부 반대편에 있는 모듈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면 해제 버클, 및 제1 버클 구성 요소의 체결 단부와 맞물린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모듈 수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체결 단부를 갖는 제2 버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슈미츠(Schmitz)의 미국 특허 제6,792,654 B2 호(공개 국제 출원 WO 01/82737)는 벨트 단부에 고정된 2개의 버클 부재를 포함하는 금속 벨트 버클을 개시하며, 상기 부재 중 1개는 제2 버클 부재가 축 방향으로 삽입수용 구획을 가지며 제2 버클 부재는 스프링 힘에 의해 조정되고 제1 버클 부재의 언더컷과 상호 작용하여 끼워 맞춤되는 버클 부재를 고정시키는 스냅-핏 부재를 포함한다. 도 9a(654 특허의 도 2)는 아이 루프(eye loop)(214)를 포함하는 제1 버클 부재(212)와 아이 루프(214)를 포함하는 제2 버클 부재(213)가 해제 위치에 있는 슈미츠의 벨트 버클의 평면도이다. 결합 위치에서의 벨트 버클의 평면도는 도 9b(654 특허의 도 3)에 도시되며 이는 2개의 아이 루프를 형성하고 둘러싸는 바를 포함하여 2개의 버클 부재의 단부에서 2개의 아이 루프(214)가 벨트 버클의 전체 길이의 대부분을 누적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해제 위치에 있는 벨트 버클의 측면도가 도 9c(654 특허의 도 1)에 도시되며, 이는 벨트 단부(215)가 제1 및 제2 버클 부재의 아이 루프(214)에 고정되고, 아이 루프는 아래로 기울어져서 낮은 프로파일 및/또는 평평하고 직선 바닥(평면 바닥)을 요하는 체결구를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서 물품을 장착 또는 연결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erra의 측면 릴리즈 버클과 슈미츠(Schmitz)의 벨트 버클은 벨트를 연결 및 분리하고 웨빙 스트랩 또는 기타 유사한 유형의 가요성 제품(예 : 배낭 또는 수하물)을 연결 및 분리하는 데 유용하지만 이러한 빠른 릴리즈 버클은 의도하고 하지 않으며,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 및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단단한 물체에 장착(나사 식 또는 납땜 포함)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적합한 것은 아니다. 또한, Lerra 등의 측면 릴리즈 버클, Schmitz의 벨트 버클 및 기타 빠른 릴리즈 버클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또는 기타 단단한 물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와 같은 메커니즘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종래의 퀵-릴리즈 버클은 이러한 유형의 응용에는 이용가치가 떨어진다.
따라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은, 넥웨어 패널을 가로질러 연결될 수 있고 장착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피봇되고 교환될 수 있게 하는 넥웨어의 넥웨어 패널에 장착될 수 있는 체결구의 예를 제공한다. 도 10a는 상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2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18, 219)의 후면에 장착된 제1 버클 부재(수형 단부)(216) 및 제2 버클 부재(암형 단부)(217)를 포함하는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주물 금속)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수형 단부(216)는 2개의 스프링-핏 아암(spring-fit arm)(223), 스프링(스프링 힘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도 10에서 기호 "S"로 표시됨) 및 중심 가이드(224)를 포함하고; 암형 단부(217)는 수용 챔버(226)의 각각의 측면 상에 하나의 해제 개구부(225)를 포함한다. 수용 챔버(226)는 암형 단부(217) 내의 중공형 공동이고 암형 단부의 전방에서 개방되어 중심 가이드(224)와 맞물린다.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가이드(224)의 전면은 수형 단부의 결합 단부이고 수용 챔버(226)는 암형 단부의 결합 단부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해제 개구부(225)는 두 해제 개구부(225)의 각각의 측면상의 상부 벽 부분(227), 하부 벽 부분(228) 및 측부 벽 부분(229)에 의해 구분된다. 상부 벽 부분(227) 및 하부 벽 부분(228)은, 암형 단부(217)의 각각의 측면 상의 각각의 해제 개구부(225)의 위아래에서, 스프링-핏 암(223)의 맞물림을 위해 안쪽으로 잘리고 만곡되어 있다. 수형 단부(216)의 치수는, 수형 단부가 암형 단부의 수용 챔버(226) 내로 삽입되거나 가압될 수 있도록 암형 단부(217)와 같이 조정된다. 따라서, 수형 단부(216)는, 수형 단부가 수용 챔버 내로 삽입될 때 스프링-핏 아암이 내측으로 피봇되는 방식으로, 2개의 래칭 또는 스프링-핏 아암(223)이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중심 가이드(224)를 포함한다. 일단 2개의 스프링-핏 아암(223)이 측벽 부분(릴리즈 개구의 전방)(229)을 통과하고 2개의 릴리즈 개구부(225)에 완전히 들어간 후, 2개의 스프링-핏 아암은 압축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이동하여 피봇되어(스프링의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시프링 심볼 "S"로 나타냄) 각각의 스프링-핏 아암(223)의 각각의 후방 대향 코너(230)가 정지되어 각 측벽 부(해재 개구부의 앞쪽의 전방)(229)에 걸리도록 작용함으로써,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이 잠기게 된다. 따라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을 잠그는 것은 매우 간단하며 대략 1초의 시간만으로 수형 단부(216)를 암형 단부(217)에 삽입하거나 암형 단부를 수형 단부의 2개의 스프링-핏 암(223)을 지나서 밀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스프링-핏 암이 이동 및 피봇 할 수 있도록 수형 단부 내에 임의의 유형의 적합한 스프링 또는 스프링 형 메커니즘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플랫폼(220), 힌지 타워(221) 및 힌지(222)는 체결 단부 반대편의 제1 버클 부재(수형 단부)(216) 상에 장착되고, 체결 단부 반대쪽의 제2 버클 부재(암형 단부)(217) 상에 장착된다. 동일한 힌지(222)가 654 특허의 벨트 버클의 벨트 단부의 고정을 위한 아이 루프 (844 특허의 퀵 릴리즈 버클의 웨빙 스트랩 등과 결합하기 위한 웹 수용 슬롯과 유사 함) 및 상기 아이 루프(및 마찬가지로 상기 웹 수용 슬롯)를 형성하고 둘러싸는 바(bar)를 대신한다. 힌지(222)는 상기 아이 루프 /웹 수용 슬롯의 위치에 대략 위치된다. 동일한 힌지 타워(221)는 힌지(222)를 지지하고 힌지 타워는 2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18, 219) 각각의 후면에 장착된 힌지 플랫폼(220)에 연결된다. 종래의 퀵 릴리즈 버클의 벨트 고리, 웨빙 스트랩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아이 루프 및 웹 수용 슬롯 등은 넥밴드 모듈 및 넥웨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장착되고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특정 용도에서는 사용가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즉각 개선된 버클에 대한 응용 시 기능을 저해할 것이다. 힌지(222)를 포함하는 수형 단부(216) 및 힌지(222)를 포함하는 암형 단부(217)는 힌지 플랫폼(220) 위의 임의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장에 의해, 힌지 플랫폼에 임의의 물품이 장착된다(이 예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힌지 플랫폼(220)이 더 큰 강도 및 보안성을 제공하지만, 힌지 타워(221) 또는 힌지(222)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18, 219) 또는 다른 물품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에 이들은 삭제될 수 있다.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에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 또는 크기의 힌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프링-핏 아암(223)이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제1 및 제2 버클 부재를 잠그는 해제 개구부(225) 내로 진입하여 완전히 확장된다. 스프링-핏 암이 해제 개구부내로 완전히 확장되면 스냅 식으로 잠긴다. 버클 부재가 잠길 때 사용자가 클릭 소리를 듣는다는 사실은 "클릭"이 버클이 실제로 잠겼음을 보장하기 때문이며,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에 대한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의 유리한 특징이다. 이 인터로킹 동작은 측면 릴리즈 버클에 크기에 비해 엄청난 강도를 제공하며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을 여러 체결 응용 분야에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만든다. 또한, 단일 압력 포인트 또는 중앙 해제 버클을 분리 및 잠금 해제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이 있는 센터 릴리즈 버클과 달리,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은 버클을 분리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두 개의 압력 포인트를 가지므로 실수로 임의의 움직임이나 충격에 의해 버클이 분리될 위험이 줄어든다.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스프링-핏 암(223)을 동시에 누르면서 수형 단부 및/또는 암형 단부를 미끄러져서 양 해제 개구부(225)로부터 분리시킨다.
전술한 도 5b의 변형된 실시예인, 도 11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제1 버클 부재(수형 단부) 및 제2 버클 부재(암형 단부)의 힌지 플랫폼은 개선된 분리형 힌지 대신에 넥웨어 패널의 후면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버클 부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장착된다(예를 들어, 넥웨어가 넥밴드 모듈(231) 및 8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32)로 본래 구성됨): 퀵-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를 향함)가 넥밴드 모듈(231)의 하단부를 향하고, 퀵-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는 위쪽을 향함)는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1의 상단부(넥밴드 모듈 바로 아래에 있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3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5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6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7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3)(중심 가이드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함)가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고, 퀵 릴리즈 버클의 암형 단부(234)(수용 챔버의 개구가 위쪽을 향함)가 제9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향한다.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제1 버클 부재(수형 단부) 및 제2 버클 부재(암형 단부)의 힌지 플랫폼, 힌지 타워 또는 힌지는 납땜 또는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버클 부재, 힌지 플랫폼, 힌지 타워 및/또는 힌지의 유형 및 구성 및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몸체 세그먼트 또는 경우에 따라 임의의 다른 물품의 유형 및 구성에 따른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버클 부재(수형 단부)(233) 및 제2 버클 부재(암형 단부)(234)와 맞물려 잠김으로써, 넥웨어 패널의 모든 구성 요소를 연결한다. 즉각형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에는 전술한 넥웨어용 체결구의 세 가지 특징이 모두 포함된다. 타이 클립형 메커니즘(235)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클립 세그먼트는 제4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위치되어 있다.
도 11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3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36-238)는 도 11a 및 도 11b의 넥웨어용으로 구성된다. 이들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9) 및 암형 단부(240)를 포함한다. 이들 3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각각은 도 11a 및 도 11b의 넥웨어의 임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대체하거나 넥웨어 패널을 따라 임의의 세그먼트 위치에서 넥웨어에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1a 및 도 11b의 넥웨어의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가 보통의 관찰자에게 (세그먼트의 하부에서) 보일 필요가 없어, 도 11c의 상호교환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36-238)를 사용하면서, 도 11의 상호교환 가능한 몸체 세그먼트(241) 또는 상호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242)를 도 11a 및 11b의 넥웨어의 종단부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개선된 퀵 릴리즈 버클의 수형 단부(239)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부에 체결 부재가 없는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또한 단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넥웨어 패널을 위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서 단일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넥웨어의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해 임의의 체결구의 부재 또는 부분을 장착하는 지 여부는 선택적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선된 분리형 체결구의 제2 힌지 부재(암형 단부)(34)는 제 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이 예에서는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을 향하는 것으로 도 1d에 포함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선된 퀵-릴리즈 버클의 제1 버클 부재(수형 단부)(233)는 제 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이 예에서는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는 않게 삭제되었다. 제8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여전히 단일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넥웨어를 위해 넥밴드 모듈(23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d의 제2 힌지 부재(34) 또는 도 11a의 제1 버클 부재(233)와 같은,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바닥을 향해 체결구의 일부 또는 부재를 장착하는 것은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다른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 각각과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가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에 추가될 수 있게 한다. 물론, 넥웨어에 본래 구성된 종단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바닥부를 향하는 체결구의 부재 또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면, 이에 따라 잠재적인 넥웨어 조합의 수가 감소된다.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 또는 임의의 체결구의 부재 또는 부분은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캐스팅의 일부로서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주물의 일부가 아닌 경우,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의 조성은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구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넥웨어의 체결구의 조성은 각각 다양한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체결구는 금속, 금속 합금, 섬유 강화 중합체(예를 들어 탄소 섬유 강화 중합체)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 중합체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가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주조품의 일부가 아닌 경우, 체결구의 구성 및 넥웨어의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구성은 넥밴드 모듈,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또는 몸체 세그먼트의 체결구를 장착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탄소 섬유 강화 폴리머인 경우, 납땜 또는 브레이징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장착하는 체결구의 옵션이 아니다. 넥웨어 패널의 체결구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로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할 수 있거나, 넥웨어 패널의 체결구 및 구성 요소는 장착용 구멍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성 넥밴드 모듈에는 장착 구멍이 없고 금속성 체결구에 납땜되거나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넥밴드(neckband);
    넥밴드 모듈(neckband module);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와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isplay segment);
    적어도 두개의 체결구(fastener);
    제1 동전(coin), 메달(medal) 또는 불리온 바(bullion bar)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수용하는 구획(compartment)을 갖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display)함; 및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수용하는 구획(compartment)을 갖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표시(display)함 - 를 포함하는 넥웨어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넥밴드는 상기 넥밴드 모듈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 모듈은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획(compartment)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상호간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하며(intra-changeable),
    상기 적어도 두개의 체결구(fastener)는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구는 상기 넥밴드 모듈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 가능하게(pivotably)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피봇 가능하게(pivotably)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상기 제2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 것이며,
    (a) 조폐국이 판매하는 기념 주화, 메달 또는 불리온 바;
    (b) 귀금속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및
    (c) 주문 설계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
    여기서, 상기 기념 주화,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이벤트를 기념하거나 업적이나 행위를 한 사람 또는 조직을 기념하는 것이고,
    상기 귀금속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은, 금 또는 백금을 포함하며,
    상기 주문 설계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는 상기 넥웨어의 상기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위해 구성된 것인, 넥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넥웨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웨어를 셔츠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클립 세그먼트(clip segment)를 더 포함하는, 넥웨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클로저(closure)를 포함하는, 넥웨어.
  5. 제1항에 있어서,
    동전, 메달 또는 불리온 바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획(compartment)을 포함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넥웨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열쇠 또는 도구 없이 내부적으로 교환 가능한, 넥웨어.
  7. 체결구에 있어서,
    제1 리프(leaf), 너클(knuckle), 키홈(key groove), 키웨이(keyway) 및 핀(pin)을 포함하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리프, 키(key) 및 배럴(barrel)을 포함하는 제2 힌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키홈은 상기 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럴은 상기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가 잠금상태 이거나 사용 중일 때, 상기 키는 상기 키홈과 결합되고 상기 핀은 상기 배럴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2 힌지 부재는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pivot);
    상기 키웨이는 상기 핀 위의 상승 컬(elevated curl)로 구성되고, 상기 키웨이는 상기 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키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 동안 상기 키홈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키홈은 하나 이상의 레그(leg)를 포함하는
    체결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상기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구.
  9. 제7 항에 따른 체결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넥웨어.
  10. 제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레그는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키웨이의 제1 레그는 상기 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키웨이의 제2 레그는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상기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구.
  12. 제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레그는 제1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제1 레그의 진입점에서 키홈을 벗어나는 체결구.
  13. 체결구에 있어서,
    제1 리프(leaf), 너클(knuckle), 키홈(key groove), 키웨이(keyway) 및 핀(pin)을 포함하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리프, 키(key) 및 배럴(barrel)을 포함하는 제2 힌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키홈은 상기 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럴은 상기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가 잠금상태 이거나 사용 중일 때, 상기 키는 상기 키홈과 결합되고 상기 핀은 상기 배럴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2 힌지 부재는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pivot);
    상기 키웨이는 상기 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키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 동안 상기 키홈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키웨이는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키웨이의 제1 레그는 상기 키를 수용하는 제1 진입점에서 상기 키홈과 교차하고, 상기 키웨이의 제2 레그는 상기 키웨이의 제1 레그와 교차하고, 상기 키웨이의 제3 레그는 상기 키웨이의 제2 레그와 교차하는 체결구.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웨이의 제1 레그는 상기 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키웨이의 제2 레그는 상기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구.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제1 레그의 진입점에서 상기 키홈을 벗어하는 체결구.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상기 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구.
  17. 제13 항의 체결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넥웨어.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상기 핀 상의 상승 컬로 구성되는 체결구.
KR1020207029152A 2017-06-30 2018-06-29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KR102202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39,356 2017-06-30
US15/639,356 US10136689B1 (en) 2017-06-30 2017-06-30 Neckwear for displaying coins, medals or bars
PCT/US2018/040347 WO2019006339A1 (en) 2017-06-30 2018-06-29 TIE OR COVER FOR PRESENTING COINS, MEDALS OR BA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998A Division KR102170916B1 (ko) 2017-06-30 2018-06-29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758A true KR20200120758A (ko) 2020-10-21
KR102202392B1 KR102202392B1 (ko) 2021-01-13

Family

ID=643157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998A KR102170916B1 (ko) 2017-06-30 2018-06-29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KR1020207029152A KR102202392B1 (ko) 2017-06-30 2018-06-29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998A KR102170916B1 (ko) 2017-06-30 2018-06-29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8) US10136689B1 (ko)
EP (4) EP3689168B1 (ko)
JP (1) JP2020526674A (ko)
KR (2) KR102170916B1 (ko)
CN (2) CN113662300A (ko)
AU (2) AU2018291370C1 (ko)
CA (2) CA3123565C (ko)
ES (2) ES2882777T3 (ko)
IL (1) IL271714B (ko)
MX (2) MX2021003404A (ko)
NZ (1) NZ761091A (ko)
WO (1) WO2019006339A1 (ko)
ZA (1) ZA202000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6689B1 (en) * 2017-06-30 2018-11-27 Patuga Llc Neckwear for displaying coins, medals or bars
USD824795S1 (en) * 2017-12-15 2018-08-07 Patuga Llc Neckwear to house and display metallic bars
US11426818B2 (en) 2018-08-10 2022-08-30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additively manufactured products
USD854441S1 (en) * 2018-11-13 2019-07-23 Patuga Llc Neckwear for displaying minted bars
KR102565334B1 (ko) * 2018-12-10 202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CN111480951B (zh) * 2019-01-25 2023-09-29 鸿富锦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连接装置及佩戴物
USD860852S1 (en) 2019-01-31 2019-09-24 Patuga Llc Neckwear for minted bars
USD856841S1 (en) 2019-02-11 2019-08-20 Patuga Llc Neckwear for minted coins or rounds
CN109938463B (zh) * 2019-03-20 2024-04-05 瑞信五金(河源)有限公司 手指旋转快拆表带及手表
USD881510S1 (en) 2019-08-06 2020-04-21 Patuga Llc Neckwear for metallic bars
USD874970S1 (en) 2019-08-12 2020-02-11 Patuga Llc Neckwear for coins or rounds
USD882206S1 (en) 2019-08-13 2020-04-28 Patuga Llc Neckwear for rounds or coins
FR3102385B1 (fr) * 2019-10-25 2022-01-21 Safran Helicopter Engines Dispositif pour l’expansion a froid d’un perçage debouchant
USD951129S1 (en) 2020-06-16 2022-05-10 Venus by Maria Tash, Inc. Lobster clasp
US11889871B2 (en) * 2020-07-20 2024-02-06 Alpha Class, Inc. Garment support
TWI774316B (zh) * 2021-04-12 2022-08-11 光磊科技股份有限公司 多向多關節轉折件及其顯示裝置
US20220364621A1 (en) * 2021-05-13 2022-11-17 Moffitt,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3d-printed spring
US11940841B2 (en) * 2021-06-18 2024-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ulated display of flexible display device dividable into separate units
CN113500773B (zh) * 2021-07-08 2022-04-01 吉林大学 仿龙虾眼聚焦脉冲强光原位成型4d打印装置及方法
US11950665B2 (en) 2021-09-23 2024-04-09 Jerry Guire Pendant with locking mechanism and interchangeable insert receiving portion
USD1000754S1 (en) 2023-03-16 2023-10-10 Lyndsy Calato Leather and elastic bel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784A (en) * 1962-10-04 1965-02-02 One In Hand Tie Company Neckwear for supporting an ornament
US3453698A (en) * 1968-01-15 1969-07-08 James H Mosby Bolo slide
US4283831A (en) * 1980-05-05 1981-08-18 Tempo G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terlocking jewelry with precise preforms
US20200260807A1 (en) * 2017-06-30 2020-08-20 Patuga Llc Components of a neckwear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491A (en) * 1880-07-27 Hinge
US408441A (en) * 1889-08-06 Henry w
US132053A (en) * 1872-10-08 Improvement in hinges
US353007A (en) * 1886-11-23 teies
DE355459C (de) * 1922-06-27 Bernhard Friderich Abnehmbares Tuer- bzw. Fensterband
US1345524A (en) * 1919-05-09 1920-07-06 Way John Howard Hinge
US1847898A (en) * 1931-11-18 1932-03-01 Gemex Co Clip for retaining alpha pencil
US1979894A (en) * 1932-06-18 1934-11-06 Reading Hardware Corp Butt hinge construction
US2024943A (en) * 1934-12-20 1935-12-17 Hickok Mfg Co Inc Necktie holder
US2052465A (en) * 1935-06-15 1936-08-25 Jr Fred E Hardy Cover structure
US2677147A (en) * 1950-10-07 1954-05-04 Int Harvester Co Separable hinge
US2578807A (en) * 1951-02-13 1951-12-18 Robert F Johnson Combination necktie and pocket handkerchief
FR1124486A (fr) * 1954-02-27 1956-10-11 Charnière à frein incorporé pour fenêtres, portes et membrures analogues
US3222683A (en) * 1962-10-04 1965-12-14 One In Hand Tie Company Necktie with suspended ornament
US3225358A (en) * 1962-10-04 1965-12-28 One In Hand Tie Company Article of neckwear with suspended ornament
US3181175A (en) * 1962-10-04 1965-05-04 One In Hand Tie Company Pretied necktie
US3225359A (en) * 1962-10-04 1965-12-28 One In Hand Tie Company Necktie with suspended ornament
US3206765A (en) * 1964-02-10 1965-09-21 Sherman Sol Necktie with money pocket
US3218650A (en) * 1964-09-04 1965-11-23 One In Hand Tie Company Ornamental neckwear
US3430829A (en) * 1966-11-01 1969-03-04 Porter C Wilson Apparel attached container
US3431591A (en) * 1967-06-05 1969-03-11 Ludwig & Co Inc A Selectively releasable engageable separable-leaf hinge
US3635335A (en) * 1970-04-27 1972-01-18 Joseph A Kramer Numismatic coin or medal display case
US3708802A (en) * 1970-09-14 1973-01-09 Ja Dor Inc Neckwear support structure
DE7242916U (de) * 1972-11-22 1973-10-25 Vahle G Scharnier
US4165573A (en) 1978-02-06 1979-08-28 Richards Marjorie S Coin holder
US4159542A (en) * 1978-02-28 1979-07-03 Pehr Harold T Tie holder
JPS5542740Y2 (ko) * 1978-09-01 1980-10-07
US4246658A (en) * 1979-05-31 1981-01-27 Liaw Wan Yiun Cord necktie
US4265098A (en) 1979-07-09 1981-05-05 Kurt Wayne, Inc. Device for carrying a removable pendant
US4399910A (en) * 1981-12-08 1983-08-23 Tempo G Jewelry retaining means including compensation means for dimensional variations in objects retained therein
DE8314926U1 (de) * 1983-05-20 1983-08-25 Carl Suelberg Gmbh & Co, 5630 Remscheid Sicherheitsscharnier
US4546494A (en) * 1984-10-22 1985-10-15 Garber Michael I Necktie construction
US4627113A (en) * 1986-01-10 1986-12-09 Allen Lord Decorative neckwear
CA1213407A (en) * 1986-02-19 1986-11-04 Ferdinand G. Stanford Safety hinge
US4654929A (en) * 1986-08-22 1987-04-07 Fahnders Jesse L Hinge re-build assembly
US4723422A (en) * 1986-08-28 1988-02-09 Elaine Foster Necktie simulating brooch
JPS6361911U (ko) * 1986-10-13 1988-04-23
CH669714A5 (ko) 1987-02-28 1989-04-14 Laurette Heim
AT389630B (de) 1987-09-02 1990-01-10 Heinz Knapp Krawatte
US4827576A (en) 1987-10-23 1989-05-09 Prince Jr Gorman W Buttonslot necktie fastener
USD318754S (en) * 1988-12-14 1991-08-06 Hughes Vincent H Necktie
USD320499S (en) 1989-04-17 1991-10-08 White William A Wooden necktie
CA1317698C (en) 1989-06-06 1993-05-18 Eugene J. Marostica Necktie device
AU597226B3 (en) * 1989-08-14 1990-04-17 Peter Demourtzidis Hinge
US5173968A (en) * 1990-02-28 1992-12-29 Peter Weiss Article comprising an enveloping structure
US5016285A (en) 1990-05-15 1991-05-21 Just William J Necktie
US5036550A (en) * 1990-06-18 1991-08-06 Wilsey Steven M Sports tie
US5073987A (en) * 1991-06-14 1991-12-24 Crosier Glenn W Tie with picture pocket
US5191972A (en) * 1992-03-11 1993-03-09 Unicover Corporation Storage and display device for coins and the like
US5493731A (en) * 1993-05-10 1996-02-27 Amnott; James Necktie accessory
US5435011A (en) * 1993-08-27 1995-07-25 Nicolai; John H. Necktie with pocket
US5481783A (en) * 1994-06-29 1996-01-09 Liou; Gaieter Attachment device for gearshift lock
USD374111S (en) 1994-07-01 1996-10-01 Wilson Daniel A Articulated interlinked segmented belt
US5774893A (en) * 1994-10-26 1998-07-07 Torres; Miguel Grajales Simulated necktie knot and necktie combination
US5673434A (en) * 1995-06-01 1997-10-07 Risk Design, Inc. Necktie fabricated from a plurality of rigid components
US5609043A (en) * 1995-08-04 1997-03-11 Nfb Of New York, Inc. Decorative article with engraved image
US5799511A (en) * 1995-08-04 1998-09-01 Nfb Of New York, Inc. Decorative article with engraved high visibility image
US5600852A (en) * 1996-03-08 1997-02-11 Densch; Daniel W. Knotless interchangeable neckwear
USD398435S (en) 1997-08-13 1998-09-22 William Iliff Gray Wooden necktie
ITMI972140A1 (it) * 1997-09-22 1999-03-23 Corrado Padoan Cravatta provvista di scomparto passante interno
CA2237976A1 (en) * 1998-06-15 1999-12-15 Christian Guillemette Lockable hinge device
US6226844B1 (en) 1999-05-26 2001-05-08 Velcro Industries B.V. Quick release buckles
US6422037B1 (en) * 2000-01-12 2002-07-23 Photoscribe, Inc. Decorative article with engraved high contrast image
DE20007724U1 (de) 2000-05-02 2001-09-13 Schmitz Gmbh Gurtschnalle
US6729159B2 (en) 2002-07-16 2004-05-04 Laura Jeanene Rose Interchangeable jewelry system
US7603746B1 (en) * 2002-09-20 2009-10-20 G-U Hardware, Inc. Adjustable butt hinges for doors
US20040111005A1 (en) 2002-12-06 2004-06-10 Lu Johnny M. J. Magnetic accessory
US6904613B2 (en) * 2003-06-27 2005-06-14 Ford K. Dotterer Necktie ornament holder
US7024732B2 (en) * 2004-02-09 2006-04-11 Schell Joe P Necktie holder
USD509944S1 (en) * 2004-03-31 2005-09-27 Mason Parker T Bottle cap necktie
US9222150B2 (en) 2004-06-02 2015-12-29 Peter Gamon Johns Process for making finished or semi-finished articles of silver alloy
US7353665B2 (en) 2004-07-27 2008-04-08 Spectrum Gems, Inc. Clasps, interchangeable jewelry piec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he same
CN2888922Y (zh) 2005-12-23 2007-04-18 张华新 木质领带
US20070214543A1 (en) * 2006-03-14 2007-09-20 Tyger Innovations, Llc Novelty necktie
US20080235907A1 (en) * 2007-03-27 2008-10-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Multi-functional hinge
US7607320B2 (en) * 2007-06-19 2009-10-27 Amit Perle Interlocking jewelry links
US20090031757A1 (en) 2007-08-01 2009-02-05 Funki Llc Modular toy bracelet
AT506061B1 (de) * 2007-11-28 2009-06-15 Klaus Mag Haslauer Modulares krawatten-clip-system
KR20080007538A (ko) * 2007-12-31 2008-01-22 윤선영 도어용 경첩
CN201182232Y (zh) 2008-03-27 2009-01-21 高阳 一种带小包的领带
TWM386741U (en) * 2010-03-30 2010-08-1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USD663916S1 (en) 2011-06-16 2012-07-24 Bracey Marshall R Segmented tie
US9161582B2 (en) 2012-10-29 2015-10-20 Paul Anderson Linked belt
US20150201712A1 (en) 2014-01-20 2015-07-23 Andy Keller Invisible magnetic tie clip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TWI633233B (zh) * 2014-03-13 2018-08-21 In&泰克公司 用於門、百葉窗及其相似物的鉸鏈裝置
USD775777S1 (en) * 2014-03-19 2017-01-10 Enrique Peral Segmented tie
US9095180B1 (en) * 2014-05-15 2015-08-04 Clyde Lovett Apparatus for forming a simulated necktie
USD748370S1 (en) * 2014-12-31 2016-02-02 TecWares, LLC Electronic materials neck tie
CN205875998U (zh) * 2016-07-20 2017-01-11 招景棉 一种自闭式合页
US10390576B2 (en) 2016-12-20 2019-08-27 Patuga Llc Neckwear and faste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784A (en) * 1962-10-04 1965-02-02 One In Hand Tie Company Neckwear for supporting an ornament
US3453698A (en) * 1968-01-15 1969-07-08 James H Mosby Bolo slide
US4283831A (en) * 1980-05-05 1981-08-18 Tempo G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terlocking jewelry with precise preforms
US20200260807A1 (en) * 2017-06-30 2020-08-20 Patuga Llc Components of a neck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77671T3 (es) 2021-11-17
AU2018291370A1 (en) 2020-02-13
US10820641B2 (en) 2020-11-03
EP3644775B1 (en) 2021-07-21
US20190000166A1 (en) 2019-01-03
MX2021003404A (es) 2021-09-14
EP3644775A1 (en) 2020-05-06
EP3881705A1 (en) 2021-09-22
US20190069619A1 (en) 2019-03-07
US10568372B2 (en) 2020-02-25
US10555570B2 (en) 2020-02-11
US10136689B1 (en) 2018-11-27
AU2018291370B2 (en) 2020-09-24
IL271714B (en) 2020-05-31
WO2019006339A1 (en) 2019-01-03
EP3689168B1 (en) 2021-05-26
US20200170323A1 (en) 2020-06-04
CN110868878A (zh) 2020-03-06
ES2882777T3 (es) 2021-12-02
CA3068625C (en) 2021-08-17
US20200260807A1 (en) 2020-08-20
MX2021003405A (es) 2021-04-28
KR102170916B1 (ko) 2020-12-01
JP2020526674A (ja) 2020-08-31
CA3123565A1 (en) 2019-01-03
US20210100301A1 (en) 2021-04-08
EP3689168A1 (en) 2020-08-05
CN113662300A (zh) 2021-11-19
KR20200017540A (ko) 2020-02-18
KR102202392B1 (ko) 2021-01-13
ZA202000440B (en) 2021-02-24
US11357275B2 (en) 2022-06-14
US10863786B2 (en) 2020-12-15
CA3123565C (en) 2022-07-05
IL271714A (en) 2020-01-30
CA3068625A1 (en) 2019-01-03
NZ761091A (en) 2020-07-31
EP3884794A1 (en) 2021-09-29
EP3644775A4 (en) 2020-05-27
AU2018291370C1 (en) 2020-12-24
US20190059481A1 (en) 2019-02-28
AU2020294256A1 (en) 2021-01-28
US10172400B1 (en) 2019-01-08
CN110868878B (zh) 2022-05-24
US20200170324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392B1 (ko) 동전, 메달 또는 바를 표시하기 위한 넥웨어
US10149505B2 (en) Neckwear and fasteners
US20150047095A1 (en) Modular Necktie
WO2024039627A1 (en) Reversible pendant
KR200307420Y1 (ko) 형상부재간 심미감 연속성을 갖는 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