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34B1 -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34B1
KR102565334B1 KR1020180158660A KR20180158660A KR102565334B1 KR 102565334 B1 KR102565334 B1 KR 102565334B1 KR 1020180158660 A KR1020180158660 A KR 1020180158660A KR 20180158660 A KR20180158660 A KR 20180158660A KR 102565334 B1 KR102565334 B1 KR 10256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door hinge
mixture
mol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096A (ko
Inventor
이진현
조영철
곽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34B1/ko
Priority to US16/520,125 priority patent/US11085214B2/en
Priority to CN201910748638.6A priority patent/CN111287594B/zh
Publication of KR2020007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096A/ko
Priority to US17/370,439 priority patent/US202103326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22F10/14Formation of a green body by jetting of binder onto a bed of metal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2Process control of the atmosphere, e.g. composition or pressure in a build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17Multiple heating or additional steps
    • B22F3/1021Removal of binder or fi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5/1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of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9/00Flaps or sleeve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from particular material, e.g. hoop-iron, sheet metal,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80Plants, production lines or modules
    • B22F12/82Combination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86Serial processing with multiple devices grou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7/00Aspects of the compositions, gradients
    • B22F2207/20Cooperat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05D2005/104Pin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Injection 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사출 성형과 적층 가공을 함께 적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힌지는 제 1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핀홀에 연통되는 제 2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접철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바디의 제 1 핀홀과 제 2 바디의 제 2 핀홀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에 적층되면서 충진되어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DOOR HIN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사출 성형과 적층 가공을 함께 적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사양 등의 추가로 인해 차량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샤시부품이 받는 하중은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역설적으로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어 힌지는 차체측 브라켓과 도어측 브라켓을 고정핀으로 결합하여 도어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부품으로 중대형 차종의 경우 도어 무게의 증가로 인해 고강도 소재 및 강성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힌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어 힌지는 차체측에 고정되는 차체측 브라켓(10)과 도어측 브라켓(20)을 고정핀(30)으로 결합시켜서 차체측 브라켓(10)과 도어측 브라켓(20)이 접철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차체측 브라켓(10)과 도어측 브라켓(20)에는 각각 고정핀(3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차체측 핀홀(11)이 형성된 차체측 연결부재(12)와 도어측 핀홀(21)이 형성된 도어측 연결부재(22)가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된다. 그래서 차체측 핀홀(11)과 도어측 핀홀(21)이 연통되면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 힌지는 차체측 브라켓(10) 및 도어측 브라켓(20)과 고정핀(30)을 각각 정밀주조로 성형한 다음 차체측 브라켓(10) 및 도어측 브라켓(20)에 고정핀(30)을 조립한 후 후가공하여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공정 수가 증가하여 도어 힌지의 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공정 시 차체측 브라켓(10) 및 도어측 브라켓(20)과 고정핀의 도금이 벗겨지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부식이 발생되어 품질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한편, 도어 힌지의 양산성 향상을 위하여 도어 힌지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선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과 같은 3D 프린팅 기술로 도어 힌지를 제작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을 활용하여 도어 힌지 전체를 제작하는 경우, 공간 및 시간의 소요가 많아 양산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4774호 (2013.07.26)
본 발명은 금속사출 성형과 적층 가공을 함께 적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힌지는 제 1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핀홀에 연통되는 제 2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접철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바디의 제 1 핀홀과 제 2 바디의 제 2 핀홀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에 적층되면서 충진되어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는 금속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는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는 Fe-Ni-C계 금속 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로 성형한 다음 소결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는 소결 후 인장강도가 500MPa 이상이고, 신율이 15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핀홀 및 제 2 핀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핀홀은 그 하단부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핀홀 및 제 2 핀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핀홀은 그 하단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부피가 큰 확장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힌지 제조방법은 금속 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소재 준비단계와; 제 1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핀홀에 연통되는 제 2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바디를 성형하는 바디 성형단계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시켜서 제 1 핀홀과 제 2 핀홀이 연통되는 캐비티를 형성시키는 결합단계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결합에 의해 제 1 핀홀과 제 2 핀홀이 연통되면서 형성된 캐비티에 상기 혼합물을 적층시키면서 충진시켜 핀부재를 성형하는 핀부재 성형단계와;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를 소결시키는 소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성형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금속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하여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성형하고,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성형단계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성형하는 금형의 온도를 20 ~ 40℃로 유지시키고,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는 상기 캐비티로 충진되는 혼합물의 온도는 90 ~ 100℃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금형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로 분위기 온도가 형성된 상기 캐비티로 상기 혼합물을 적층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에서 상기 캐비티로 적층되면서 충진된 혼합물은 불활성 가스의 주입에 의해 산소와의 반응이 차단되면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성형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에서 잔존물을 제거하는 제 1 탈지단계 및;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에서 잔존물을 제거하는 제 2 탈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사출 성형과 적층 가공을 함께 적용하여 도어 힌지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밀주조 공법을 활용하여 도어 힌지를 제작하는 경우와 같이 조립 공정 및 표면 가공과 같은 후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종래 제작 공정 대비 공정 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복잡한 형성의 도어 힌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을 활용하여 도어 힌지 전체를 제작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금속사출 성형을 활용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바디를 제작한 다음 주요 연결부위에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을 활용하여 핀부재를 형성함에 따라 각 공정이 갖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힌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제조시 주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제조시 주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힌지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제 1 핀홀(1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120)가 구비되는 제 1 바디(100)와; 제 1 핀홀(110)에 연통되는 제 2 핀홀(2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220)가 구비되는 제 2 바디(200)와;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가 접철식으로 연결되도록, 제 1 바디(100)의 제 1 핀홀(110)과 제 2 바디(200)의 제 2 핀홀(210)에 구비되는 핀부재(30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핀부재(300)는 종래와 같이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별개로 제작하여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에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바디(100)의 제 1 핀홀(110)과 제 2 바디(200)의 제 2 핀홀(210)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에 적층되면서 충진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는 금속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 이하, 'MIM공법'이라 함)으로 형성되고, 핀부재(300)는 바인더 젯(Binder Jet) 기술을 활용한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 이하, 'AM공법'이라 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도어 힌지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핀부재(300)가 AM공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는 캐비티(110, 2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바디(100)의 제 1 핀홀(110)과 제 2 바디(200)의 제 2 핀홀(210)이 연통되는 형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핀부재(300)의 형성을 위하여 AM공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제 1 핀홀(110) 및 제 2 핀홀(210)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핀홀은 그 하단부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 핀홀(110) 및 제 2 핀홀(2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캐비티(110, 210)는 그 하단부가 폐쇄되어 핀부재(300)를 형성하기 위한 소재가 폐쇄된 영역을 기반으로 적층되면서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핀부재(300)를 소결하는 경우에 소결 조건에 따라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핀부재(300)가 다른 수축율로 수축이 발생되더라도 제 1 핀홀(110) 및 제 2 핀홀(210)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110, 210)에서 핀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핀홀(110) 및 제 2 핀홀(210)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핀홀은 그 하단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부피가 큰 확장영역(211)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핀부재의 하단부에는 다른 영역보다 부피가 큰 확장부(31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제조방법은 금속 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소재 준비단계와;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성형하는 바디 성형단계와;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결합시켜서 제 1 핀홀(110)과 제 2 핀홀(210)이 연통되는 캐비티(110, 210)를 형성시키는 결합단계와; 캐비티(110, 210)에 혼합물을 적층시키면서 충진시켜 핀부재(300)를 성형하는 핀부재 성형단계와; 제 1 바디(100), 제 2 바디(200) 및 핀부재(300)를 소결시키는 소결단계를 포함한다.
소재 준비단계는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핀부재(300)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Fe-Ni-C계 금속 분말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한다.
예를 들어 Fe-Ni-C계 금속 분말은 Fe-Ni계 분말에 기계적 성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C를 첨가한 금속 분말로서, Fe-2Ni-0.5C가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로는 왁스(Wax)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핀부재(300)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는 부피%로 Fe-Ni-C계 금속 분말 60 ~ 65%와 바인더 35 ~ 40%를 혼합하여 준비한다. 이때 바인더의 함량이 35%보다 작으면 혼합물의 유동성이 부족하여 사출시 혼합물의 충진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바인더의 함량이 40%보다 크면 바인더의 탈지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잔존 바인더가 발생되어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핀부재(300)에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바디 성형 단계는 제 1 핀홀(1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120)가 구비되는 제 1 바디(100)와, 제 1 핀홀(110)에 연통되는 제 2 핀홀(210)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220)가 구비되는 제 2 바디(200)를 각각 성형하여 준비하는 단계로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 각각을 소재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MIM공법으로 성형한다.
이때 제 1 바디(100)의 제 1 연결부재(120)와 제 2 바디(200)의 제 2 연결부재(220)를 결합할 경우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7 kgf 정도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IM공법을 적용하여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제작하는 경우에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의 표면에 발생될 수 있는 버(Burr) 및 용접 라인(Weld Line)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의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사출결함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는 요인으로는 사출속도, 사출압, 보압, 금형온도 등이 있고, 이러한 조건은 제품의 소재, 형상 및 크기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설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출속도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충진 시간이 감소하고, 사출 중량이 증대되지만, 버(Burr) 발생 및 내부결함이 우려된다. 그리고, 사출압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충진 시간이 감소하고 사출 중량이 증대되지만, 충진 영역별 편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압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사출 중량이 증대되고, 충진 영역별 편차는 적지만, 중량 조절이 어려운 부분이 있고, 금형온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주입되는 혼합물의 유동성이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제품 표면에 기포가 발생하면서 표면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MIM공법시 적정 조건으로 사출속도 60 ~ 80㎠/s, 사출압 50 ~ 70MPa, 보압 30 ~ 50MPa, 금형온도 20 ~ 4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유지하여 충분한 혼합물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출 이후 내부에 잔존하는 기공을 제거할 수 있으며 표면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단계는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결합시켜서 제 1 핀홀(110)과 제 2 핀홀(210)이 연통되는 캐비티(110, 210)를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캐비티(110, 210)는 혼합물이 적층되면서 충진되는 핀부재(300)가 성형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핀부재 성형단계는 소재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AM공법으로 성형한다.
부연하자면, 결합단계에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결합시켜서 제 1 핀홀(110)과 제 2 핀홀(210)이 연통되는 캐비티(110, 210)는 그 하단부가 폐쇄되어 핀부재(300)를 형성하기 위한 소재가 폐쇄된 영역을 기반으로 적층되면서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 1 핀홀(110) 및 제 2 핀홀(210)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핀홀은 그 하단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부피가 큰 확장영역(211)을 형성하여 확장영역(211)이 형성된 캐비티(110, 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핀부재(3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결합시켜서 제 1 핀홀(110)과 제 2 핀홀(210)이 연통되는 캐비티(110, 210)는 핀부재(300)의 형성을 위하여 혼합물을 적층시키는 주입수단(F)의 충진 경로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핀부재 성형단계에서는 캐비티(110, 210)로 충진되는 혼합물의 온도는 90 ~ 100℃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캐비티(110, 210)의 온도 분위기가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를 MIM공법으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로 형성된 상태에서 혼합물을 적층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핀부재(300)의 형성을 위하여 혼합물을 캐비티(110, 210)로 주입하여 적층시키는 경우에 일정 형상을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혼합물을 캐비티(110, 210)로 충진시키는 주입수단(F)의 노즐부분 온도를 90 ~ 100℃ 유지시키고, 캐비티(110, 210)의 온도 분위기를 20 ~ 40℃, 바람직하게는 25 ~ 35℃로 유지시킨다. 그래서 90 ~ 100℃로 충진되어 적층된 혼합물이 20 ~ 40℃ 조건에서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핀부재 성형단계에서는 캐비티(110, 210)로 적층되면서 충진된 혼합물은 Ar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주입에 의해 산소와의 반응이 차단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별도로 성형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에 형성된 캐비티(110, 210)에 혼합물을 적층시켜 냉각시킴에 따라 혼합물이 냉각되면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에 붙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그 접합력이 미비하여 추후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의 회동 동작시 접합된 부위가 제거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소결단계는 MIM공법으로 제작된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200)와, AM공법으로 제작된 핀부재(300)가 도어 힌지에서 요구하는 물성을 만족하도록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로서, 소결조건, 즉 소결온도 및 소결시간을 조정하여 소결단계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디(100), 제 2 바디(200) 및 핀부재(300)는 소결 후 인장강도가 500MPa 이상이고, 신율이 15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1350 ~ 1360℃의 소결 온도에서 1시간 정도 또는 그 이상 유지하여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결시간이 1시간정도 경과되면 소결목의 형성이 원활하여 원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치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소결단계에서는 제 1 바디(100), 제 2 바디(200) 및 핀부재(300)의 표면 탈탄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결로 내부의 분위기를 약침탄 분위기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결로 내의 탄소 함량을 0.6% 수준으로 유지하여 표면 탈탄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 성형단계 이후에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에서 잔존물을 제거하는 제 1 탈지단계 및; 핀부재 성형단계 이후에 제 1 바디(100), 제 2 바디(200) 및 핀부재(300)에서 잔존물을 제거하는 제 2 탈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탈지단계와 제 2 탈지단계를 모두 실시하는 것이 좋으나, 공정 수의 간소화를 위하여 제 2 탈지단계만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탈지단계 및 제 2 탈지단계는 110 ~ 130℃ 수준에서 실시하며, 바인더의 탈지율이 9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차체측 브라켓 11: 차체측 핀홀
12: 차체측 연결부재 20: 도어측 브라켓
21: 도어측 핀홀 22: 도어측 연결부재
30: 고정핀 100: 제 1 바디
110: 제 1 핀홀 120: 제 1 연결부재
200: 제 2 바디 210: 제 2 핀홀
211: 확장영역 220: 제 2 연결부재
110, 210: 캐비티 300: 핀부재
310: 확장부 F: 주입수단

Claims (11)

  1. 제 1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핀홀에 연통되는 제 2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접철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바디의 제 1 핀홀과 제 2 바디의 제 2 핀홀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에 적층되면서 충진되어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홀 및 제 2 핀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핀홀은 그 하단부가 폐쇄되면서, 그 하단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부피가 큰 확장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는 금속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는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는 Fe-Ni-C계 금속 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로 성형한 다음 소결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는 소결 후 인장강도가 500MPa 이상이고, 신율이 15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5. 삭제
  6. 삭제
  7. 금속 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소재 준비단계와;
    제 1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핀홀에 연통되는 제 2 핀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바디를 성형하는 바디 성형단계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시켜서 제 1 핀홀과 제 2 핀홀이 연통되는 캐비티를 형성시키는 결합단계와;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결합에 의해 제 1 핀홀과 제 2 핀홀이 연통되면서 형성된 캐비티에 상기 혼합물을 적층시키면서 충진시켜 핀부재를 성형하는 핀부재 성형단계와;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를 소결시키는 소결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디 성형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금속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하여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성형하고,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디 성형단계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성형하는 금형의 온도를 20 ~ 40℃로 유지시키고,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는 상기 캐비티로 충진되는 혼합물의 온도는 90 ~ 100℃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금형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로 분위기 온도가 형성된 상기 캐비티로 상기 혼합물을 적층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에서 상기 캐비티로 적층되면서 충진된 혼합물은 불활성 가스의 주입에 의해 산소와의 반응이 차단되면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제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디 성형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에서 잔존물을 제거하는 제 1 탈지단계 및;
    상기 핀부재 성형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핀부재에서 잔존물을 제거하는 제 2 탈지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제조방법.
KR1020180158660A 2018-12-10 2018-12-10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6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60A KR102565334B1 (ko) 2018-12-10 2018-12-10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US16/520,125 US11085214B2 (en) 2018-12-10 2019-07-23 Door hin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201910748638.6A CN111287594B (zh) 2018-12-10 2019-08-14 车门铰链及其制造方法
US17/370,439 US20210332622A1 (en) 2018-12-10 2021-07-08 Door hin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60A KR102565334B1 (ko) 2018-12-10 2018-12-10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096A KR20200075096A (ko) 2020-06-26
KR102565334B1 true KR102565334B1 (ko) 2023-08-09

Family

ID=7097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660A KR102565334B1 (ko) 2018-12-10 2018-12-10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85214B2 (ko)
KR (1) KR102565334B1 (ko)
CN (1) CN111287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57557C (en) * 2017-03-21 2023-12-19 Magna Exteriors Inc. In mold assembly of two hinges
EP3771791B1 (en) * 2019-07-29 2022-01-19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Hinge of motor-vehicle mobile part
TWI707767B (zh) * 2019-12-13 2020-10-21 東友科技股份有限公司 一體化積層製造方法及其所製造之物件
CN114769614B (zh) * 2022-04-24 2024-02-02 江苏精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一体式铰链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306A (ja) * 1999-12-15 2001-06-26 Fukushima Industries Corp 扉オートクローザ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223A (en) * 1956-02-14 Loose-pin butt-hinge
US2817871A (en) * 1955-07-18 1957-12-31 Stanley Works Hinge
US2997734A (en) * 1955-11-23 1961-08-29 Herbert A Dyer Hinge
US3013297A (en) * 1958-01-06 1961-12-19 Stanley Works Hinge having pintle retaining means
US3135013A (en) * 1961-03-10 1964-06-02 Stanley Works Hinge with pin retaining means
US3188686A (en) * 1962-11-14 1965-06-15 Paul C Orcutt Butts and/or hinges
US3621512A (en) * 1970-06-12 1971-11-23 Arthur Johnson Tamper resistant hinge
US4175315A (en) * 1977-05-09 1979-11-27 Hayes Frank F Jr All plastic hinge having a non-rising p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956809A (en) * 1998-06-04 1999-09-28 Hodgson; Antony J. Self-aligning hinge
US6216316B1 (en) * 1999-06-14 2001-04-17 Dominic R. Errichiello Hinge
US7603746B1 (en) * 2002-09-20 2009-10-20 G-U Hardware, Inc. Adjustable butt hinges for doors
US6804862B2 (en) * 2002-12-05 2004-10-19 Miller Dowel Company Hinge system
NL1023383C2 (nl) * 2003-05-09 2004-11-15 Rexnord Flattop Europe Bv Kettingpen voor scharnierbandkettingen.
US8486204B2 (en) * 2010-11-17 2013-07-16 Shin Zu Shing Co., Ltd.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84774A (ko) 2012-01-18 2013-07-26 김광환 세탁기 도어용 힌지 샤프트 제조방법
DE202013008268U1 (de) * 2013-09-19 2013-10-08 Edscha Engineering Gmbh Kraftfahrzeugscharnier
CN106761093A (zh) * 2017-03-03 2017-05-31 上海帝陈塑胶工业有限公司 全塑铰链
US20180292863A1 (en) * 2017-04-07 2018-10-11 Intel Corporation Folding display hinge
US10136689B1 (en) * 2017-06-30 2018-11-27 Patuga Llc Neckwear for displaying coins, medals or bars
US11408216B2 (en) * 2018-03-20 2022-08-09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printed or concurrently assembled hinge stru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306A (ja) * 1999-12-15 2001-06-26 Fukushima Industries Corp 扉オートクロー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2622A1 (en) 2021-10-28
CN111287594B (zh) 2022-06-28
CN111287594A (zh) 2020-06-16
KR20200075096A (ko) 2020-06-26
US11085214B2 (en) 2021-08-10
US20200181961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334B1 (ko) 도어 힌지 및 그 제조방법
US5681518A (en) Process for molding a fuel rail assembly
WO2011087098A1 (ja) 焼結方法
WO2007005632A1 (en) Fuel injector nozzle manufacturing method
JP2016215554A (ja) 液体供給部材の製造方法
WO2007029101A3 (en)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731894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breech slide for a firearm
JP5624593B2 (ja) 複合金属の一体成形方法
JP5973341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
JP5363229B2 (ja) 射出成形方法
EP2127848A1 (en) Injection molding die
JP2001277284A (ja) 異種材からなる中空体の成形方法
US11154927B2 (en) Composite casting system and composite casting method for manufacturing heterogeneous material casting product, and heterogeneous material casting product manufactured by composite casting method
US10294864B2 (en) Flow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2025823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part
JP2012189146A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そのベアリングシート及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ベアリ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EP3778940A1 (fr) Matériau composite, composant hétérogène pour pièce d'horlogeri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CN107639232A (zh) 复合结构件的制造方法
JP2012091330A (ja) 射出成形金型、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542230B1 (ko) 용탕의 적층 및 주입을 이용한 주조방법
US10960464B2 (en) Method of casting heterogeneous materials and a casting product manufactured thereby
JP5607600B2 (ja) 発泡樹脂成形体構造
EP3473400A1 (en) Molding method and molding system for resin molded member
KR102651330B1 (ko) 다단가압 주조 공법용 금형 장치
EP3657115B1 (fr) Procédé de realisation d'un module d'echangeur de chaleur a au moins un circuit de circulation de fl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