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610A -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610A
KR20200120610A KR1020207019668A KR20207019668A KR20200120610A KR 20200120610 A KR20200120610 A KR 20200120610A KR 1020207019668 A KR1020207019668 A KR 1020207019668A KR 20207019668 A KR20207019668 A KR 20207019668A KR 20200120610 A KR20200120610 A KR 2020012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terminal device
anchor
network
contex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해당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을 저감시키고, 무선 연결의 쾌속 복구을 위해, 새로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상태, 즉 비활성 상태(RRC_INACTIVE)가 도입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RRC_INACTIVE 상태에 있을 때,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영역을 구성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페이징 영역에서 이동할 때, 네트워크 측에 통지할 필요가 없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페이징 영역 밖으로 이동될 때, 단말기기 디바이스의 하향 데이터가 도착하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RAN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노드, 즉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노드는, 페이징 영역 내의 모든 셀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여, RRC_INACTIVE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도록 RRC 연결을 복구시킨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RRC_INACTIVE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은, 다음 트리거 조건에 기반할 수 있다.
1, 단말기 디바이스의 하향 데이터가 도착한다.
2, 단말기 디바이스가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를 시작한다.
3,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향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어느 트리거 조건인지에 관계없이,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에 기억하고, 이 경우,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저감시키기 위해, RRC 연결을 어떻게 복구하는지는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는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RRC 연결 복구의 트리거 이벤트에 의거하여,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거 이벤트는 단말기 디바이스 자신에 의해 시작되는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거나, 또는 해당 트리거 이벤트는 하향 데이터 도착하거나, 또는 상향 데이터 전송인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타임리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도록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회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청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된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는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하는 트리거 이벤트가 액세스 네트워크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양태로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5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6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상기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9 양태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0 양태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여,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1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또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또는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또는 상기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12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또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또는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또는 상기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TS), 또는 글로벌 상호 연결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통신 시스템 및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 또는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ase, EB 또는 eNodeB)일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이거나,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내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유닛, 차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200)의 흐름도이며, 해당 방법(200)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고,
단계 S220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anchor) 네트워크 노드에 기억되며,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anchor)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할 때, 비활성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서비스 중인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 복구를 요청하는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RRC 연결을 복구하는 트리거 이벤트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트리거 이벤트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 자신에 의해 시작되는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거나, 또는 해당 트리거 이벤트는 하향 데이터가 도착하거나, 또는 상향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타임리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RAN 페이징 영역은 사업자에 의해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고, 앵커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변위 특성에 의거하여 스스로 확정될 수도 있다. 해당 면허는 RAN 페이징 영역의 확정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는 주기적인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 즉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RAN 페이징 영역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또는 교차 영역 위치 업데이트, 즉 해당 RAN 페이징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트리거되는 교차 영역 위치 업데이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RRC 연결 복구 요청에 포함된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하고,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구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해당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할 수 있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의 변경을 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거절 메시지를 회신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 2의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회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고, 또한,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고, 구체적으로,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컨테이너(container) 방식에 의해 해당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한 해당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컨테이너(container) 방식에 의해 해당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 복구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된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상기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300)의 흐름도이고, 해당 방법(300)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은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고,
단계 S320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고,
단계 S330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해당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고, 즉,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의 부하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의 부하가 큰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하고, 자신의 부하가 가벼운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부하 균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 복구의 트리거 이벤트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설명이 생략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하므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회신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컨테이너(container) 방식에 의해 해당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 복구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현재의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설명과 단말기 디바이스의 설명은 서로 대응하고, 유사한 설명은 상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400)의 흐름도이며, 해당 방법(400)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방법(400)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단계 S420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RRC 연결 복구 요청의 트리거 이벤트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트리거 이벤트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 자신에 의해 시작되는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40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단계 410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하는 트리거 이벤트가 액세스 네트워크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대해 현재 서비스중인 네트워크 노드와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대해 앵커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또한 앵커 네트워크 노드의 설명과 현재 서비스중인 네트워크 노드 및 단말기 디바이스의 설명과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상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10)의 상호 작용도이고, 해당 방법(10)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10)은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고,
단계 S12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1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1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장치의 실시예와 방법의 실시예는 서로 대응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통신 모듈(510) 및 확정 모듈(520)을 포함하고,
통신 모듈(510)은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고,
확정 모듈(520)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서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에 나타낸 방법(200)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통신 모듈(610) 및 복구 모듈(620)을 포함하고,
통신 모듈(610)은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고,
복구 모듈(620)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상기 방법(300)에서 설명된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그 자체일 수 있음)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의 각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300)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의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확정 모듈(710)과 통신 모듈(720)을 포함하고,
확정 모듈(71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 있고,
통신 모듈(720)은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상기 방법(400)에서 설명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그 자체일 수 있음)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700)의 각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40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의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통신 모듈(810)과 확정 모듈(820)을 포함하고,
통신 모듈(810)은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고,
확정 모듈(82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상기 방법(10)에서 설명된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그 자체일 수 있음)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의 각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10)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를 더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는 도 6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 또는 도 7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 또는 도 9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일 수 있고, 도 2의 방법(200)에 대응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 또는 도 3의 방법(300) 에 대응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 또는 도 5의 방법(10)에 대응하는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내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는 입력 인터페이스(910), 출력 인터페이스(920), 프로세서(930) 및 메모리(94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910), 출력 인터페이스(920), 프로세서(930) 및 메모리(9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어있다. 상기 메모리(9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930)는 메모리(9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고, 입력 인터페이스(9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9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함)일 수 있고,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9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9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94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기억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93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수행에 의해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의 수행에 의해 완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9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30)는 메모리(940)의 정보를 독출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 포함된 통신 모듈(510)은 도 10의 출력 인터페이스(920) 및 입력 인터페이스(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 포함되는 확정 모듈(520)은 도 10의 프로세서(9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통신 모듈(610)은 도 10의 출력 인터페이스(920) 및 입력 인터페이스(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7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복구 모듈(620)은 도 10의 상기 프로세서(9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의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에 포함된 통신 모듈(810)은 도 10의 출력 인터페이스(920) 및 입력 인터페이스(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9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확정 모듈(820)은 도 10의 프로세서(9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1000)를 더 제공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000)는 도 4의 방법(400)에 대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내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도 8의 단말기 디바이스(700)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0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10), 출력 인터페이스(1020), 프로세서(1030) 및 메모리(1040)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1010), 출력 인터페이스(1020), 프로세서(1030) 및 메모리(10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어있다. 상기 메모리(10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1030)는 메모리(10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고, 입력 인터페이스(10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10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0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함)일 수 있고,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04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더 기억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1030)에서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수행에 의해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의 수행에 의해 완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1040)에 위치되고, 프로세서(1030)는 메모리(1040)에서 정보를 독출하여,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있어서, 도 8의 단말기 디바이스(700)에 포함된 확정 모듈(710)은 도 11의 프로세서(10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8의 단말기 디바이스(700)에 포함된 통신 모듈(720)은 도 11의 출력 인터페이스(1020) 및 입력 인터페이스(10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면,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을 휴대용 전자 기기에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면 컴퓨터에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함-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도록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상기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청함-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회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된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음-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하는 트리거 이벤트가 액세스 네트워크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모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도록 구성되는 복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상기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청함-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회신된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도록 구성되는 복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1.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고,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의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도록 구성되는 복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인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모듈은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RRC 연결을 복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4.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과,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 변경하는지 여부를 지시함-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하는 트리거 이벤트가 액세스 네트워크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인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8.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전달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복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RRC 연결 복구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앵커 네트워크 노드를 변경한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회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07019668A 2018-02-14 2018-02-14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20200120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6850 WO2019157716A1 (zh) 2018-02-14 2018-02-14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610A true KR20200120610A (ko) 2020-10-21

Family

ID=6762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668A KR20200120610A (ko) 2018-02-14 2018-02-14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65950B2 (ko)
EP (1) EP3720242B1 (ko)
JP (1) JP7097445B2 (ko)
KR (1) KR20200120610A (ko)
CN (2) CN111034347A (ko)
AU (1) AU2018408722A1 (ko)
WO (1) WO2019157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56461A (zh) * 2022-05-24 2023-12-01 荣耀终端有限公司 网络配置方法、用户设备、网络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8664B (zh) * 2009-08-12 2014-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无线资源控制连接重建方法、系统及设备
EP2557889B1 (en) * 2011-08-12 2019-07-17 BlackBerry Limited Simplified ue + enb messaging
KR102090515B1 (ko) * 2013-01-18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혼잡 상황에서 서비스 레벨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17854A1 (en) * 2013-02-01 2014-08-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andling a radio link failure in communications
WO2015178033A1 (ja) * 2014-05-23 2015-11-26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通信方法、mmeおよび通信システム
PL3582551T3 (pl) * 2015-02-06 2021-1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osób i urządzenie do optymalizacji sygnalizacji
CN107124741A (zh) * 2016-02-24 2017-09-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rrc连接重建立的方法及装置
EP3434066B1 (en) * 2016-03-23 2021-01-27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US10721612B2 (en) * 2016-03-23 2020-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cking area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194104A1 (en) * 2016-05-12 2017-11-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ignaling towards core network with a bi-directional tunnel
CN107666693B (zh) * 2016-07-29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终端路径转移、控制终端状态转换的方法、终端及基站
KR102463290B1 (ko) * 2016-08-02 202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소모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
EP3496477B1 (en) * 2016-08-12 2022-10-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Pa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relate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356837B2 (en) * 2016-09-29 2019-07-16 Acer Incorporated State transition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0622564B (zh) * 2016-12-21 2021-10-01 鸿颖创新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的状态转移方法
EP3562259B1 (en) * 2016-12-29 2021-11-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ntext release method and devices
WO2018128571A1 (en) * 2017-01-05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125964B (zh) * 2017-01-06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无线网络系统之间的数据传送控制的方法及设备
AU2017397594B9 (en) * 2017-02-03 2021-04-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nection release method and apparatus
US20190357295A1 (en) * 2017-02-10 2019-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as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3393197A1 (en) * 2017-04-18 2018-10-24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measurement gaps
WO2019071462A1 (zh) * 2017-10-11 2019-04-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9819468B (zh) * 2017-11-22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最小化路测配置方法、测量方法和装置
WO2019113969A1 (zh) * 2017-12-15 2019-06-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寻呼用户设备的方法、第一网络设备及用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0242B1 (en) 2023-06-21
WO2019157716A1 (zh) 2019-08-22
EP3720242A1 (en) 2020-10-07
US20200288529A1 (en) 2020-09-10
CN111034347A (zh) 2020-04-17
EP3720242A4 (en) 2020-12-09
CN111526550B (zh) 2022-01-25
US11265950B2 (en) 2022-03-01
JP7097445B2 (ja) 2022-07-07
CN111526550A (zh) 2020-08-11
JP2021516877A (ja) 2021-07-08
AU2018408722A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1136B (zh) 一种插入smf的方法及amf实体
CN112087734B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9769412B (zh) 配置频率优先级的方法、终端设备、基站和核心网设备
CN111343567A (zh) 非连接态上行定位方法和设备
EP3562178B1 (en) Paging method and device
KR20200081454A (ko)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N110870347A (zh) 网络切换之后返回的方法、接入网设备和核心网设备
EP3661278A1 (en) Method for paging, and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EP412073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s, target base station and anchor base station
CN110463343B (zh) 用于拥塞处理的方法和设备
EP38798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1770433B (zh) 一种终端定位方法及装置
US2021036856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1406381B (zh) 通信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084568A1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10169121B (zh) 切换的方法、接入网设备、终端设备
KR20200088410A (ko)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US11265950B2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200033883A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EP3873063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