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883A -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3883A KR20200033883A KR1020207004281A KR20207004281A KR20200033883A KR 20200033883 A KR20200033883 A KR 20200033883A KR 1020207004281 A KR1020207004281 A KR 1020207004281A KR 20207004281 A KR20207004281 A KR 20207004281A KR 20200033883 A KR20200033883 A KR 202000338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device
- source
- target
- context information
- plm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2—Conditional hando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개시하였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어,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 후, 단말 기기를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구축한다.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 기기가 이동하는 경우, 통신의 연속성과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스위칭을 통해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해야 하며, 종래 기술의 방안은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크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에 있어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어, 단말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유휴 상태 및 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일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가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가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및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에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상기 측면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아래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셀 스위칭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는 셀 스위칭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 흐름도이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뉴 라디오(New Radio,NR)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희소 코드 다중 액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과 같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으며, 물론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사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상기 실시 환경은, 단말 기기(110), 액세스망 기기(120) 및 코어망 기기(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S1 인터페이스는 액세스망 기기와 코어망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것이며, X2 인터페이스는 액세스망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것이며, Uu 인터페이스는 단말 기기와 액세스망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110)는 무선 액세스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통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망과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대,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국, 휴대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5th Generation)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액세스망 기기(120)는 액세스망에서의 네트워크 요소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을 예로 들어, 액세스망 기기(120)는 기지국(Node Base, Nb)일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일 수도 있다. LTE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기지국은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ved Node Base station, eNB)일 수 있다.
코어망 기기(130)는 코어망(Core Network, CN) 중의 네트워크 요소이다. LTE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예로 들어, 코어망 기기(130)는 이동성 관리 장비(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및 공중 데이터망 게이트웨이((Public Data Network(PDN) Gateway, P-GW)을 포함한다. MME는 주로 단말 기기(110)의 이동성 관리 및 세션 관리를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S-GW는 주로 eNB와 P-GW 간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P-GW는 주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 후, 단말 기기를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구축한다.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 기기는 하나의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 다른 하나의 PLMN으로 이동하거나 하나의 코어망에서 다른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통신의 연속성 및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스위칭을 통해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해야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와 결합하여 셀 스위칭의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셀 스위칭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단말은 소스 액세스망 기기(소스 셀이 속하는 액세스망 기기) 간의 초기 액세스 과정을 완성한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유휴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진입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상기 단말이 속하는 MME를 통해 컨텍스트 세션을 구축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203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204에 있어서, 단말은 인접 셀의 측정 과정을 완성한다. 상기 단말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액세스망 기기로 하여금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단말이 셀 스위칭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측정 대상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단계 205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단말이 스위칭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스위칭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스위칭 요청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송한다.
단계 206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207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스위칭 결정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208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단말을 목표 액세스망 기기로 스위칭한다.
단계 209에 있어서, S1 경로를 소스 액세스망 기기로부터 목표 액세스망 기기로 전이한다. 단말이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액세스 한 후,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코어망 네트워크 요소에 경로 변경 요청을 송신하며, 그 목적은, 코어망 네트워크 요소에 단말의 서비스를 목표 액세스망 기기로 전이하도록 통지하여, 사용자면 및 제어면의 노드 관계를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상기 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단말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커버되는 셀로부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커버되는 셀로 이동하고, 단말 기기는 스위칭 방식을 통해, 단말 기기와 액세스망 엔티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하며, 다시 말해, 단말 기기는 먼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통지해야 하고,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다시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스위칭을 요청하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송하며, 단말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와 여러 차례 교호를 진행해야 연결이 회복될 수 있으므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LTE 에볼루션 및 미래 무선 시스템 연구에서, 단말은 연결 상태에서 스위칭을 통하지 않고 자율 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이동 방법은 LTE 네트워크에서의 셀 선택 또는 셀의 재선택과 유사하다. 즉, 단말은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자율적으로 이동을 진행하고, 네트워크(스위칭과의 구별)에 알리지 않는다. 단말이 상이한 코어망 또는 상이한 PLMN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 기기 자체 또는 이전에 단말 기기를 서비스했던 액세스망 기기 또는 코어망 기기 또는 PLMN 기기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가 현재 코어망 또는 PLMN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경우, 현재 네트워크 기기는 전송을 회복하도록 단말 기기 또는 이전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문의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문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다만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문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방법(300)은 다음의 일부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20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와 목표 네트워크 기기의 연결에 적용되지만,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저장되며, 다시 말해,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기기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 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액세스망 기기일 수도 있고, 코어망 기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PLMN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소스 네트워크 기기와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액세스망 기기일 수 있고, 또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와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코어망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와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PLMN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이들이 속하는 코어망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과 코어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은 유사하며, 이하, 주로 코어망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PLMN 네트워크 기기는 코어망 기기의 구체적인 구현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자신이 현재 이동 중인 코어망 또는 PLMN이 이전의 코어망 또는 PLMN과 상이하다고 판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그널링 교호를 통하지 않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구축할 수 있으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 또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고, 또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단말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직접 이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의 전송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고, 그러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직접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면,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어,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함으로써,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 기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 및 소스 코어망 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 및 소스 코어망 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결합하여,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 및 소스 코어망으로부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각각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1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10)은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단말 기기에 저장되는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은 다음의 일부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신이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12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코어망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3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신이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S14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고, 상기 단말 기기가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15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는, 단말 기기 또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전달되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2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20)은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저장되는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은 다음의 일부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신이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소스 액세스망 기기의 일부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할당한 식별자, 단말 기기와 소스 액세스망 기기의 경로 식별자 또는 코어망 기기와 소스 액세스망 기기의 경로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소스 액세스망 기기의 임의의 식별자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식별자 정보로 될 수 잇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22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의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에서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를 반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할당한 식별자일 수 있으며, 전역 고유 임시 UE식별자(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 GUTI)일 수도 있으며,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MSI) 등 다른 단말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식별자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식별자 정보로 될 수 있다.
단계 S23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반송된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먼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찾은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송신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코어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5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전달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코어망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선택하고, 소스 코어망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26에 있어서, 소스 코어망 기기가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코어망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27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직접 지시할 수도 있다.
단계 S28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에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으며, 즉 단말 기기에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통신을 진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통지한다.
단계 S29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전달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에 목표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고, 즉 단말 기기에 목표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통신을 진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에 소스 코어망 기기의 정보를 직접 보고할 수 있고, 그러면, 목표 코어망 기기는 보고된 소스 코어망 기기의 정보에 따라 소스 코어망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소스 코어망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소스 액세스망에 다른 하나의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다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송신한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에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는 목표 코어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에 송신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에 반송된 단말 기기의 식별자와 상이할 수 있고, 동일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그 어떤 한정도 하지 않는다.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소스 코어망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소스 코어망 기기는 나아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코어망 기기에 전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목표 코어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3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0)은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소스 코어망 기기에 저장되는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0)은 다음의 일부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3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신이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소스 코어망 기기의 일부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찾을 수 있다.
단계 S32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의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코어망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에서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를 반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할당한 식별자일 수 있으며, GUTI일 수도 있으며, IMSI 등 다른 단말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를 식별하는 임의의 식별자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식별자 정보로 될 수 있다.
단계 S33에 있어서, 소스 코어망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반송된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먼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찾은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코어망 기기에 송신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목표 코어망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5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전달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코어망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선택하고, 소스 코어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릴리즈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36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전달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37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망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고,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소스 코어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이후, 소스 코어망 기기에 지시 정보를 직접 송신하고, 릴리즈 컨텍스트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38에 있어서, 목표 액세스망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전달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에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으며, 즉 단말 기기에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통신을 진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통지한다.
단계 S39에 있어서, 목표 코어망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에 목표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으며, 즉 단말 기기에 목표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통신을 진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통지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방법(10), 상기 방법(20) 및 상기 방법(30)은 컨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기기에 저장하는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 기기 및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러면, 단말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에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송신할 수 있으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단말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소스 액세스망 기기의 일부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내용에서는 코어망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PLMN 네트워크 기기와 코어망 기기의 기능이 유사하므로,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 또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는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에 반송될 수 있으며, 즉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업링크에 의해 송신된 자원 요청을 발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기기는 유휴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상기 단말 기기 또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 또는 소스 코어망 기기(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 기기도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비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상기 단말 기기 또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 또는 소스 코어망 기기(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본 출원은 상기 단말 기기의 상태에 대해 한정을 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400)은 다음의 일부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단계 S420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면,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며, 즉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와 목표 네트워크 기기의 교호 및 관련 특징, 기능 등은 목표 네트워크 기기의 관련 특징, 기능에 상응한다. 다시 말해,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어떤 정보를 송신하면,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응하게 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500)은 다음의 일부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5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하고, 목표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며, 또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또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에 의해 설명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교호 및 관련 특징, 기능 등은 네트워크 기기의 관련 특징, 기능에 상응한다. 다시 말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어떤 정보를 송신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장치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 특징은 아래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600)는,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610);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6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어, 단말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5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6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7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8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6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의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의 방법 중의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700)는,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710) -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7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면,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1 릴리즈 유닛,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유닛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5 수신 유닛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2 릴리즈 유닛, 또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5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700)는 본 출원 방법실시예에서의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700)에서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4 방법에서 목표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각각 구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8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800)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기 위한 결정 유닛(810); 및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트리거 유닛(8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하고, 목표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릴리즈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800)는 본 출원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800)에서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5의 방법에서 목표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900)를 더 제공하였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도 3의 방법(3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도 9의 네트워크 기기(600)일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입력 인터페이스(910), 출력 인터페이스(920), 프로세서(930) 및 메모리(9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910), 출력 인터페이스(920), 프로세서(930) 및 메모리(9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9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930)는 상기 메모리(940)에 있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910)을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9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 기기와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어, 단말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어,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함으로써,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9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9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9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9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940)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40)는 또한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9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940)에 위치되고, 프로세서(930)는 메모리(9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제1 수신 유닛은 도 12의 입력 인터페이스(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제1 송신 유닛에서 제8 송신 유닛까지는 도 12의 출력 인터페이스(9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획득 유닛은 도 12의 프로세서(9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1000)를 더 제공하였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0)는 도 7의 방법(4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도 10의 네트워크 기기(700)일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10), 출력 인터페이스(1020), 프로세서(1030) 및 메모리(10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10), 출력 인터페이스(1020), 프로세서(1030) 및 메모리(10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1030)는 입력 인터페이스(10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10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1040) 중의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할 수 있어,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함으로써,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0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10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040)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0)는 또한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10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1040)에 위치되고, 프로세서(1030)는 메모리(10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700) 중의 제1 수신 유닛에서 제5 수신 유닛까지는 도 13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10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700) 중의 제1 송신 유닛에서 제5 송신 유닛까지는 도 13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10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700) 중의 제1 릴리즈 유닛 및 제2 릴리즈 유닛은 도 13 중의 프로세서(10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기기(2000)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2000)는 도 8의 방법(500)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도 11 중의 단말 기기(800)일 수 있다. 상기 단말 기기(20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10), 출력 인터페이스(2020), 프로세서(2030) 및 메모리(20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2010), 출력 인터페이스(2020), 프로세서(2030) 및 메모리(20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2030)는 입력 인터페이스(20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20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2040) 중의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PLMN 또는 상이한 코어망으로 이동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을 회복하고, 목표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단말의 전력량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단말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0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20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40)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0)는 또한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20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2040)에 위치되고, 프로세서(2030)는 메모리(20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기기(800) 중의 수신 유닛은 도 14의 출력 인터페이스(20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800) 중의 트리거 유닛, 릴리즈 유닛 및 결정 유닛은 도 14 중의 프로세서(20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여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서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을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다만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거론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요구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 개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컴퓨터 기기가(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몇 개의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50)
-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가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가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및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5 송신 유닛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거나,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6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7 송신 유닛 -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27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8 송신 유닛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27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식별자를 반송함 - ; 및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 또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목표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가 소스 액세스망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1 릴리즈 유닛, 또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유닛 - 상기 제2 컨텍스트 획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9항 내지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이고,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목표 액세스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5 수신 유닛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소스 액세스망 기기가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2 릴리즈 유닛, 또는,
상기 소스 코어망 기기 또는 상기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5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제39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 단말 기기로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로부터 제2 PLMN으로 이동하거나 제1 코어망으로부터 제2 코어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목표 네트워크 기기를 트리거링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릴리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에 소스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코어망 기기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코어망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PLMN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PLMN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상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액세스망 기기이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망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4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7/096082 WO2019024108A1 (zh) | 2017-08-04 | 2017-08-04 |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3883A true KR20200033883A (ko) | 2020-03-30 |
KR102316348B1 KR102316348B1 (ko) | 2021-10-22 |
Family
ID=6523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4281A KR102316348B1 (ko) | 2017-08-04 | 2017-08-04 |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69923A1 (ko) |
EP (1) | EP3627891B1 (ko) |
JP (1) | JP2020534715A (ko) |
KR (1) | KR102316348B1 (ko) |
CN (1) | CN110832902A (ko) |
WO (1) | WO20190241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82022B (zh) * | 2019-10-31 | 2023-08-29 | 腾讯云计算(北京)有限责任公司 | 数据发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
CN113676995A (zh) * | 2020-05-14 | 2021-11-1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终呼处理方法及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
WO2023283843A1 (zh) * | 2021-07-14 | 2023-01-1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14275A1 (ko) * | 2012-07-17 | 2014-01-23 | 주식회사 팬택 |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
KR20150020316A (ko) * | 2012-06-14 | 2015-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
KR20170036551A (ko) * | 2015-09-24 | 201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66245B2 (en) * | 2011-03-28 | 2013-10-22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Generating and using network data to provide a content customization service |
CN102917420A (zh) * | 2011-08-03 | 2013-02-0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公众陆地移动通信网的切换方法、基站、移动管理实体、和通讯系统 |
US20150079991A1 (en) * | 2011-09-12 | 2015-03-19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onnected mode mobility |
US10219190B2 (en) * | 2014-07-21 | 2019-02-26 | Intel IP Corporatio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network-provided autonomous handover |
US9603165B2 (en) * | 2015-01-30 | 2017-03-21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Random-access response with analog beamforming |
CN106572508B (zh) * | 2015-10-13 | 2019-07-12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将终端设备切换到目标小区的方法、装置及基站 |
-
2017
- 2017-08-04 JP JP2020503034A patent/JP2020534715A/ja not_active Withdrawn
- 2017-08-04 KR KR1020207004281A patent/KR1023163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04 WO PCT/CN2017/096082 patent/WO2019024108A1/zh unknown
- 2017-08-04 EP EP17919660.5A patent/EP3627891B1/en active Active
- 2017-08-04 US US16/625,097 patent/US202001699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8-04 CN CN201780092841.1A patent/CN11083290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0316A (ko) * | 2012-06-14 | 2015-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
WO2014014275A1 (ko) * | 2012-07-17 | 2014-01-23 | 주식회사 팬택 |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
KR20170036551A (ko) * | 2015-09-24 | 201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24108A1 (zh) | 2019-02-07 |
CN110832902A (zh) | 2020-02-21 |
JP2020534715A (ja) | 2020-11-26 |
US20200169923A1 (en) | 2020-05-28 |
EP3627891B1 (en) | 2022-07-20 |
EP3627891A4 (en) | 2020-03-25 |
EP3627891A1 (en) | 2020-03-25 |
KR102316348B1 (ko) | 2021-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3981B2 (en) | Locatio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 |
JP6013372B2 (ja) | 隣接セルについて伝達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11528366B2 (en) | Policy transmission method, policy control function (PCF) network ele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EP3534649B1 (en) | Method for configuring frequency priority,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device | |
CN109417699B (zh) | 一种状态切换方法及装置 | |
US11533706B2 (en) | Method for paging, and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 |
US11265950B2 (en) |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JP2020507967A (ja) | 通信方法、端末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 |
CN111757357B (zh) | 重定向方法、网络及终端设备、通信系统及可读存储介质 | |
KR20190034500A (ko) |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2316348B1 (ko) |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
CN109196886B (zh) | 无线通信的方法、装置、接入网实体和终端设备 | |
US20210120624A1 (en) | Overloa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
US20210243657A1 (en) | Communication method, core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
CN109548171B (zh) | 一种无线连接方法及装置 | |
JP2021013195A (ja) | 通信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装置と通信システム | |
TW202010335A (zh) | 通訊方法、網路設備和終端設備 | |
CN116939747A (zh) | 一种通信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