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454A -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454A
KR20200081454A KR1020207015854A KR20207015854A KR20200081454A KR 20200081454 A KR20200081454 A KR 20200081454A KR 1020207015854 A KR1020207015854 A KR 1020207015854A KR 20207015854 A KR20207015854 A KR 20207015854A KR 20200081454 A KR20200081454 A KR 20200081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device
service
measurement result
result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화 리우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2 네트워크를 최대한 사용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5G 엔알(New Radio, NR) 네트워크 구축의 초기에 있어서, 일부 시나리오(예를 들어, 네트워크 혼잡, 음성 서비스가 필요할 때 등)에서 5G NR 네트워크에서 4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로 폴백(fallback)되는 경우가 있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5G NR 네트워크에서 4G LTE 네트워크로 폴백된 후, 어떻게 5G NR 네트워크로 돌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5G NR 네트워크에서 4G LTE 네트워크로 폴백된 후, 5G NR 네트워크로 신속하게 돌아갈 수 없으며,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5G NR 네트워크를 최대한 사용하는 것을 보장하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네트워크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5G NR 네트워크를 최대한 사용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이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이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이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이다.
제 2 양태로서, 네트워크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 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측정 결과 리포트이며,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이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 2 서비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상태 패킷 에러율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이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이다.
제 3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송수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처리 유닛은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송수신기는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는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처리 유닛과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처리 유닛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방법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제 8 양태로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코드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코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상기 제 2 양태의 랜덤 액세스 경합 방식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제 9 양태로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코드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코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상기 제 2 양태의 랜덤 액세스 경합 방법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0 양태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용 시나리오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전환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해결책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은 5G NR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 RAN), NR 시스템에서의 기지국(gN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디바이스, 웨이러블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의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LTE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예를 들어,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접속망(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형이거나, 고정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자동차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PLMN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30)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30)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또한 예를 들어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등 5G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30)는 LTE 네트워크의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세션 관리 기능+코어 네트워크의 데이터 게이트웨이(Session Management Function+Core Packet Gateway, sMF+PGW-C)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SMF+PGW-C는 SMF와 PGW-C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점을 이해하여야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MF는 SMF와 정보 인터렉션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MF는 AMF에서 일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MF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폴백 식별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스트림/제 1 베어러의 확립이 성공하지 못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통합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사용자 플레인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시그널링 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 SGW) 등의 다른 네트워크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종종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여기서, "및/또는"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일종이며, 세 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 만 존재하는 경우의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설명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은 일종의 "또는"의 관계인 것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5G 엔알(New Radio, NR) 네트워크 구축의 초기에 있어서, 일부 시나리오(예를 들어, 네트워크 혼잡, 음성 서비스가 필요할 때 등)에서 5G NR 네트워크에서 4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로 폴백되는 경우가 있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5G NR 네트워크에서 4G LTE 네트워크로 폴백된 후, 어떻게 5G NR 네트워크로 돌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5G NR 네트워크에서 4G LTE 네트워크로 폴백된 후, 5G NR 네트워크로 신속하게 돌아갈 수 없으며,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5G NR 네트워크를 최대한 사용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전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2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23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베어러/스트림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식별자 클래스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는 9 개의 클래스(1~9)로 구분될 수 있으며, QCI=1의 베어러는 음성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QCI=2의 베어러는 비디오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QCI=9의 베어러는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NR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 아래의 서비스 품질 식별자(5G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5QI)는 복수의 클래스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QI=1의 스트림은 음성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해당 제 1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5QI=1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를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방법은 해당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하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AT/EPS 폴백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EPS는 진화형의 UMTS 육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와 EPC의 총칭이며, 5GS는 NR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5G Core, 5 GC)와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총칭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EPS 폴백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UE)는 정보 관리 시스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에 세션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320에서, IMS는 폴리시 과금 및 규칙 기능(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 PCRF)에 IMS에서 음성 및 비디오(Voice & video over IMS, VoIMS)를 확립하는 것을 요청한다.
단계 330에서, PCRF는 PGW-C+SMF에 5QI=1 스트림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340에서, PGW-C+SMF는 5QI=1 스트림을 확립한다.
단계 350에서, PGW-C+SMF는 AMF에 5QI=1 스트림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360에서, AMF는 NG RAN에 5QI=1 스트림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370a에서, NG RAN은 이동성 관리 기능(AMF)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370b에서, AMF는 PGW-C+SMF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380에서, 진화형의 UMTS 육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와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단계 390a에서, RAT 폴백을 트리거한다.
단계 390b에서, 5GS->EPS 폴백을 트리거한다.
단계 3110에서, VoLTE(Voice over LTE) 콜 설정한다. 여기서, VoLTE는 IMS에 기초한 음성 서비스이다.
단계 3120에서, IMS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요청 응답을 송신한다.
폴백 과정에서, 3 가지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1) 5GC는 변하지 않고, RAT 폴백 과정에서 AMF가 변화하지 않는다(without AMF Relocation).
이 경우, NG-RAN은 단계 370a에서 AMF에 거부(reject) 지시를 송신하고, 해당 reject는 핸드 오버(Hand Over, HO)에 의해 초래되는 것을 나타낸다. HO가 완료된 후, AMF에 의해 QCI=1 베어러의 확립이 즉시 트리거된다.
2) 5 GC는 변하지 않고, RAT 폴백 과정에서 AMF가 변화 한다(With AMF Relocation).
이 경우, NG-RAN은 단계 370 a에서 AMF에 reject 지시를 송신하고, 해당 reject는 HO가 진행 중인 것에 의해 초래된 것을 나타낸다. AMF가 변화했을 때, AMF는 SMF에 reject 지시를 송신하고, 방금 SMF에 의해 송신된 5 QI=1 스트림이 HO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확립에 성공하지 못한 것을 나타낸다. HO가 완료된 후, SMF에 의해 QCI=1 베어러의 확립이 즉시 트리거된다.
3) 5GC->EPC 폴백, RAT는 NR->LTE에 의해 전환된다(EPS Fallback).
이 경우, SMF는 시스템 전환 과정에서 SMF와 PGW-C를 조합한 모듈(일반적으로 SMF+PGW-C라고도 지칭함)이며, 해당 시스템 전환이 완료된 후, 즉시 QCI=1 베어러 확립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VoLTE 음성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완료된 후, 음성을 확립하기 위해 5G에서 4G로 폴백을 진행하는 UE에 대해,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해 4G 네트워크에서 음성이 종료된 후, UE가 5G로 돌아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시나리오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전환 방법은 VoIMS가 트리거될 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5G에서 4G로 폴백 여부의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취득하고, 해당 응답 메시지는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이다.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제 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고, 해당 RRC 시그널링은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해당 제 1 캐리어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 1 서비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이며,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제 2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해당 제 1 네트워크에서 해당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후보 네트워크에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의 전환이 필요할 때,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해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1 서비스가 일정 조건을 만족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전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인 것에 이해하여야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판단을 진행하기 전에, 사전에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송수신 유닛(410)과 처리 유닛(420)을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410)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처리 유닛(420)은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해당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응답 메시지는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또한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또한 구체적으로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또한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 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RRC 시그널링은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해당 제 1 캐리어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해당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서비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이며,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하거나, 또는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여기서, 해당 처리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제 2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해당 제 1 네트워크에서 해당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후보 네트워크에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송수신 유닛(410)은 송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해당 처리 유닛(420)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 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프로세서(510), 송수신기(52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530)는 지시 정보를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510)가 수행하는 코드, 명령어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고,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지만,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처리 유닛(610)과 송수신 유닛(620)을 포함하고,
처리 유닛(610)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 유닛(620)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해당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해당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측정 결과 리포트이며, 여기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또한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응답 메시지는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또한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또한 구체적으로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또한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기 전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기 전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제 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RRC 시그널링은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해당 제 1 캐리어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해제 명령어는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제 2 서비스를 시작할 때, 해당 제 2 서비스의 프로토콜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610)은 구체적으로, 제 2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여기서, 해당 송수신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610)은 또한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지시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해당 제 2 네트워크의 상태 패킷 에러율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해당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610)은 구체적으로 후보 네트워크에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해당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후보 네트워크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이다.
또한, 해당 처리 유닛(610)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송수신 유닛(620)은 송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프로세서(710), 송수신기(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30)는 지시 정보를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710)가 수행하는 코드, 명령어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700)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고,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지만,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의해 직접 완료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 성숙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독출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 또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은 것을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홀수 형태의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이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문맥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 때"라는 용어는 "만약", "만일" 또는 "......의 경우"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문맥에 따라 "확정된 경우" 또는 "검출된 경우(조건 또는 사건이 제시된 경우)"라는 어구는 "확정된 경우"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감지된 경우(조건 또는 사건이 제시된 경우)"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조건 또는 사건이 제시된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기술 해결책의 구체적인 적용 및 설계 제약에 따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가 결정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인정하여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된 동작 과정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적 기능의 분할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결합될 수도 있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 표시되거나 논의되는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하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산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제공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해결책의 일부는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양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 매체로서, U-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보호 범위 내에서 당업자는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들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74)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2.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19.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측정 결과 리포트이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 2 서비스의 프로토콜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상태 패킷 에러율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6. 제 1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7. 제 1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환 방법.
  38.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과,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4. 제 3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5. 제 39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8.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제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9. 제 39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제 2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4. 제 38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5. 제 3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6.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정한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측정 결과 리포트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해제 명령어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9. 제 57 항 또는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0. 제 57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특정된 시간 유닛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횟수는 고정된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2. 제 57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의 송신 주기, 횟수 및 특정된 시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3. 제 57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제 1 캐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제 1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 1 QoS 스트림 또는 제 1데이터 스트림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6.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제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서비스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해제 명령어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7.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제 2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 2 서비스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측정 결과 리포트를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제 2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상태 패킷 에러율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7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신호에 의해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73. 제 56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상태 정보는 후보 네트워크의 채널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74. 제 56 항 내지 제 7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제 2 캐리어에서의 서비스, 제 2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KR1020207015854A 2017-11-14 2017-11-14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20200081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0966 WO2019095119A1 (zh) 2017-11-14 2017-11-14 切换网络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454A true KR20200081454A (ko) 2020-07-07

Family

ID=6653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54A KR20200081454A (ko) 2017-11-14 2017-11-14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84827B2 (ko)
EP (1) EP3706505B1 (ko)
JP (1) JP2021509546A (ko)
KR (1) KR20200081454A (ko)
CN (1) CN111316754A (ko)
AU (1) AU2017439668A1 (ko)
WO (1) WO2019095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716A1 (zh) * 2017-06-23 2018-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分流方法、装置、接入点设备及终端
CN109819481B (zh) * 2017-11-20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及会话管理网元
CA3088216A1 (en) * 2018-01-11 2019-07-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rvice-based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356195B (zh) * 2020-03-03 2022-07-12 达闼机器人股份有限公司 网络选择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网络设备
CN113498123B (zh) * 2020-03-20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系统、方法及终端
CN113676891B (zh) * 2020-05-14 2022-05-3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终端
US11330495B1 (en) * 2020-10-19 2022-05-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fallback for multimedia priority services
CN113225781B (zh) * 2021-03-22 2023-09-26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6471B2 (en) * 2001-02-02 2004-12-28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r-operator handover between WCDMA and GSM
CN100574500C (zh) * 2005-11-25 2009-1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保证实时业务服务质量的装置及方法
CN101453745B (zh) * 2007-11-29 2012-09-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小区切换过程中的测量方法、透明中继及基站
CN101902793A (zh) * 2009-06-01 2010-12-01 中国移动通信集团广西有限公司 双模终端的网络重选方法及双模终端设备
CN101668322B (zh) * 2009-09-17 2012-06-27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的网络切换方法和终端设备
CN101980569A (zh) * 2010-07-22 2011-02-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双模终端的数据业务传输方法及双模终端
US8693437B2 (en) * 2010-09-14 2014-04-08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figuring secondary cell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WO2014082301A1 (zh) * 2012-11-30 2014-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9742533B2 (en) * 2013-01-18 2017-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voiding serving cell interruption
CN109982429B (zh) * 2013-09-25 2020-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模式切换的方法及装置
KR101902341B1 (ko) * 2014-04-23 2018-09-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50350963A1 (en) * 2014-05-30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Pseudo-fast return in a wireless network
US10123372B2 (en) * 2015-09-30 2018-11-06 Apple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to avoid voice call setup failure due to network congestion
US10057787B2 (en) * 2016-04-06 2018-08-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5337A1 (en) 2020-08-27
JP2021509546A (ja) 2021-03-25
EP3706505A4 (en) 2020-12-02
CN111316754A (zh) 2020-06-19
EP3706505A1 (en) 2020-09-09
US11184827B2 (en) 2021-11-23
EP3706505B1 (en) 2022-06-15
WO2019095119A1 (zh) 2019-05-23
AU2017439668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1454A (ko) 네트워크 전환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US10595350B2 (en) Service continuity ensuring method, control plane gateway, an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element
US20200359283A1 (en) Switch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1051215B2 (en) Switch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870347B (zh) 网络切换之后返回的方法、接入网设备和核心网设备
CN107251611B (zh) 一种业务处理方法、相关装置和系统
CN110049578B (zh) 无线连接修改方法、设备及系统
CN110312287B (zh) 一种保持语音通话连续性的方法
JP6900464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側デバイス
CN110719613A (zh) 一种建立语音业务的方法及装置
CN110463343B (zh) 用于拥塞处理的方法和设备
US2018031021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20200033883A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US11184807B2 (en) Method for enabling network to fall back, terminal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CN110741681A (zh) 用于建立连接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20200288529A1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2023544292A (ja) 条件付きハンドオーバ手順のためのモビリティロバストネス最適化メカニズムの方法および装置
CN106576278B (zh) 一种srvcc能力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1465097A (zh) 一种通知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CN105900484B (zh) 一种语音业务承载的切换方法、相关装置及系统
CN117998476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15361702A (zh) 新空口承载语音VoNR能力的识别方法和装置
CN111918357A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