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554A -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 Google Patents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554A
KR20200120554A KR1020200044404A KR20200044404A KR20200120554A KR 20200120554 A KR20200120554 A KR 20200120554A KR 1020200044404 A KR1020200044404 A KR 1020200044404A KR 20200044404 A KR20200044404 A KR 20200044404A KR 20200120554 A KR20200120554 A KR 2020012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irtight
buckle
waterproof
st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오
손상열
Original Assignee
손광오
손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오, 손상열 filed Critical 손광오
Publication of KR2020012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10Beach-bags; Watertight beach-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에 관한 것으로, 이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의 개구를 기밀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납부(122)의 개구 상단과 연결되어 외부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이 연통하도록 하는 튜브 형상의 유연 재질 구조로서, 복수 회 접혀지는 폴딩부(124); 상기 폴딩부(124)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폴딩부(124)를 접기 위한 심지부(141)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부(141)의 양단에서 각각 소정 길이의 연장부(143,145)를 개재하여 서로 물려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요소(145,146)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탑밴드(14); 및 상기 심지부(141)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폴딩부(124)의 양측단에 위치하며, 상기 폴딩부(124)를 이루는 유연 재질이 상호 접합함으로써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12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AIRTIGHT FOLDING BUCKLE}
본 발명은 방수가방 또는 방수케이스와 같은 제품의 개구 개폐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단의 심지를 중심으로 복수 회 접은 후 그 양단의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것만으로 방수가방 또는 방수케이스의 수용부의 내부-외부간 수분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기밀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기밀성 소지품 휴대용 방수가방 또는 방수케이스 제품을 제공하도록 한 새로운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물놀이나 야외 활동시 옷가지나 휴대물건을 물이나 습기, 오염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생활방수기능을 하는 방수가방 또는 드라이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물속에서 스마트폰을 소지할 수 있으면서도 더 나아가 촬영기능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케이스 제품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 드라이백은 생활방수 정도만 되기 때문에, 물품을 수납하고 있는 내부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외부로 빠져나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방수케이스의 경우에는 물속에서도 내부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동작할 수 있도록 방수효과를 높이고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잡한 부가적인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저렴하게 제조 가능한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방수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폐구조가 있다면 유용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89호(2017.03.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89호(2017.03.07.)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케이스 또는 드라이백과 같이 물놀이나 야외 활동시 옷가지나 휴대물건을 물이나 습기, 오염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호할 수 있는 방수 제품에 있어서, 기존 생활방수성능보다 더 향상된 방수성능 및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밀성 개폐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성능 향상 및 기밀성 제공을 위해 복잡한 구조를 부가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높은 기밀성 개폐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의 개구를 기밀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한 기밀성 개폐수단으로서, 상기 수납부의 개구 상단과 연결되어 외부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이 연통하도록 하는 튜브 형상의 유연 재질 구조로서, 복수 회 접혀지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폴딩부를 접기 위한 심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부의 양단에서 각각 소정 길이의 연장부를 개재하여 서로 물려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요소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탑밴드; 및 상기 심지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폴딩부의 양측단에 위치하며, 상기 폴딩부를 이루는 유연 재질이 상호 접합함으로써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탑밴드는 상기 폴딩부의 튜브 형상 상단부, 상기 폴딩부의 상단부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탑밴드에서, 상기 폴딩부의 상단부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과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사이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에어 포켓 내에 심지용 스트립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심지용 스트립은 상기 폴딩부의 상단부의 표면 및 상기 한쌍의 스트립의 표면에 접착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탑밴드는 상기 폴딩부의 상단부의 내표면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하단은 상기 폴딩부 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탑밴드가 접혀질 때 함께 접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에는, 상기 탑밴드의 심지부를 시작으로 접을 때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접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오목한 접는 선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상술한 구성의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는 방수 및 유연 재질의 백 또는 주머니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에어타이트 방수가방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상술한 구성의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는 방수 및 유연 재질이고 수중에서 스마트폰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수케이스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방수케이스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주변에는 공기가 채워진 튜브 형태의 프레임이 둘러싼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 개폐부재 즉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은, 드라이백과 같은 방수가방 또는 스마트폰을 수영장이나 바다와 같이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방수케이스에 적용됨으로써, 고도의 방수성능과 기밀성이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은, 단순히 복수 회(예컨대, 3회 이상) 접은 다음 양단의 체결부재를 상호 체결하는 것만으로, 높은 방수성능과 기밀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은, 복수 회 접은 부분의 양단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틈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혀지는 부분 중 대응하는 부분을 예컨대 고주파 열 접착방식으로 접합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특징을 제공한다. 이 특징에 의해, 복수 회 접은 부분에서 생기는 양단의 미세한 틈을 통한 공기의 유동은 접합된 차단부에 의해 완전히 차단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단순히 복수 회 접어서 그 양단을 서로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고도의 방수성능과 기밀성능을 제공하는 단순한 구조의 기밀성 체결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능력 향상을 위해 복잡한 장치 또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구조여서 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유연 재질의 방수시트를 고주파 열 접착방식으로 제조하는 공정 내에서 별다른 추가 공정없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추가되지 않으면서도 고도의 방수성능과 기밀성능을 제공하는 방수 가방 종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가방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고 체결함으로써 수용부를 폐쇄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은 후 양단의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양단을 체결한 후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샘플 사진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에서 차단부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가방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가방의 일예를 보여주는 샘플사진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케이스의 일예를 보여주는 샘플사진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케이스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기재사항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현장에서 구현할 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가방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방수 가방(10)은 크게 폴딩 버클(FB)과 수납부(C)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버클(FB)은 접어서 체결하는 방식의 개폐수단이며, 수납부(C)는 각종 소지품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폴딩 버클(FB)에 의해 그 내부공간으로부터의 물건 출입을 위한 개구가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딩 버클(FB)은 단순히 접어서 그 양단을 상호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납부(C)로부터 수분이나 공기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폐쇄할 수 있다.
도시된 방수가방(10)은 크게 본체(12) 및 탑밴드(14)로 구분된다. 본체(12)는 두 장의 유연 시트(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시트)의 가장자리를 예컨대 고주파 열접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만든 주머니 또는 가방이다. 본체(12)는 상부의 폴딩부(124) 및 차단부(126), 그리고 하부의 수납부(122)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부의 폴딩부(124) 및 차단부(126)는 폴딩 버클(FB)에 포함되고, 하부의 수납부(122)는 실제 물건이 수납되는 공간이며 수납부(C)에 대응한다.
탑밴드(14)는 본체(12)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며, 심지부(141), 연장부(143, 144), 체결부재(145, 146)로 구성된다. 심지부(141)는 본체(12)의 상단에 대응하며, 접을 때 심지 역할을 한다. 연장부(143, 144)는 심지부(141)의 길이방향으로 그 양단에서 각각 소정 길이만큼 연장한 부분이며, 그 자유 단에 예컨대 서로 대응하여 물리는 암수 버클 요소와 같은 체결부재(145, 146)가 고정된다.
폴딩부(124)는 접혀지는 영역이며, 탑밴드(14)의 심지부(141)를 중심으로 복수 회(예컨대 3회 이상) 접혀지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도면에서는 심지부(141)에서 a-a 선까지의 부분에 해당한다. 폴딩부(124)는 대체로 튜브와 같이 내부 통로를 가지며, 그 하단에서 수납부(122)의 개구 상단과 연결된다. 폴딩부(124)는 접혀져 있지 않은 경우, 외부와 수납부(122)의 내부공간이 연통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차단부(126)는 폴딩부(124)의 양측단에 위치한다. 차단부(126)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을 가지며, 특히 본체(12)를 이루는 두 장의 시트를 열 접합하여 형성한 접합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접합 영역은 폴딩부(124)가 접혀진 후 그 양단의 미세한 틈을 통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차단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폭과 길이의 구체적인 치수는, 제품의 재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탑밴드의 심지부(241)는 본체(22)의 상단부 즉 폴딩부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201, 202)의 외표면에 접합된 한 쌍의 스트립(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폴딩부 상단부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201, 202)의 외표면과 한 쌍의 스트립(203, 204) 사이에 각각 에어 포켓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심지부(241)와 본체(22)가 동일한 유연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심지부(241)가 나머지 부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고 더 딱딱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시트(201, 202)에 스트립(203, 204)을 그 가장자리를 따라 대체로 사각형으로 접합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심지부(241)의 딱딱함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트(201, 202)와 스트립(203, 204) 사이의 에어포켓에는 예컨대 종이 또는 수지 재질로 된 심지용 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지용 스트립은 차후 접힌 부분이 구부러지기 때문에, 이때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트(201, 202)와 스트립(203, 204)의 표면에 접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탑밴드의 심지부(341)는 본체(32)의 상단부 즉 폴딩부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301, 302)의 내표면에 접합된 한 쌍의 스트립(303, 3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폴딩부 상단부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301, 302)의 내표면과 한 쌍의 스트립(303, 304) 사이에 각각 에어 포켓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심지부(341)와 본체(32)가 동일한 유연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심지부(341)가 나머지 부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고 더 딱딱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시트(301, 302)에 스트립(303, 304)을 그 가장자리를 따라 대체로 사각형으로 접합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심지부(341)의 딱딱함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트(301, 302)와 스트립(303, 304) 사이의 에어포켓에는 예컨대 종이 또는 수지 재질로 된 심지용 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지용 스트립은 차후 접힌 부분이 구부러지기 때문에, 이때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트(301, 302)와 스트립(303, 304)의 표면에 접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트립(303, 304)의 재질은 시트(301, 302)의 재질과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눌려졌을 때 밀착성이 더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예에서 스트립(303, 304)의 하단이 폴딩부 측으로 더 연장되어 심지부탑밴드(341)가 접혀질 때 스트립(303, 304)의 하단 부분이 함께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접힌 부분에서의 공기차단효과를 더 크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고 체결함으로써 수용부를 폐쇄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은 후 양단의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폴딩 버클(FB)을 접고, 이후 그 양단을 상호 체결함으로써, 수납부(C)를 밀폐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이때, 수납부(C)는 기밀 폐쇄되어, 수분뿐만 아니라 공기도 차단된다. 이러한 기밀성은 본 발명에 따라 몇 가지 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제공된다. 즉, 첫째는 유연 재질의 폴딩 버클(FB)이 복수 회 접혀지고 그 양단이 체결됨에 따라 일정한 곡률로 구부려짐으로써, 접힘 부분이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폴딩 버클(FB)이 접혔을 때, 접힌 부분의 양단에는 불가피하게 미세한 틈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틈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접합된 차단부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접힌 부분의 양단에서의 틈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딩 버클 중 접는 부분을 더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심지부(541)를 중심으로 폴딩부(524) 및 차단부(526)가 3회 접히는 예가 도시된다. 심지부(541) 즉 상단의 제1영역(F1)은 제1접는선(D1)에서 접혀져서 제2영역(F2)과 겹쳐진다. 그런 다음, 겹쳐진 제1,2영역(F1, F2)이 함께 제2접는선(D2)에서 접혀져서 제3영역(F3)과 겹쳐진다. 마지막으로, 겹쳐진 제1,2,3영역(F1, F2, F3)이 함께 제3접는선(D3)에서 접혀져서 제4영역(F4)과 겹쳐지고, 최종적으로 폴딩밴드부(F)를 형성한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접는선(D1, D2, D3)에는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변보다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접은 후 양단의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양단을 체결한 후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샘플 사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혀진 폴딩 버클의 구부림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된다. 접혀진 상태에서 폴딩 버클은, 접혀진 폴딩밴드부(F)와 그 양단에 구비된 버클부(B)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밴드부(F)는 심지부(641), 폴딩부(624) 및 차단부(626)가 예컨대 3회 접혀진 것에 대응한다. 버클부(B)는 심지부(641)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643, 644)와 체결부재(645, 646)를 포함한다. 체결부재(645, 646)를 서로 결합시키면, 폴딩밴드부(F)는 구부러진다. 폴딩밴드부(F)의 구부러지는 정도는 버클부(B)의 길이(w2)와 폴딩밴드부(F)의 길이(w1)의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폴딩밴드부(F)의 길이(w1)에 대하여 버클부(B)의 길이(w2)가 짧으면 짧을수록 폴딩밴드부(F)의 구부러지는 정도가 커진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딩밴드부(71F)의 길이가 버클부(71B)의 길이보다 약간만 더 긴 길이를 가진 제1실시예(71)와, 폴딩밴드부(73F)의 길이가 버클부(73B)의 길이보다 훨씬 더 긴 길이를 가진 제2실시예(73)가 도시된다. 제1실시예(71)의 경우는 방수케이스과 같이 비교적 소형의 제품에 적당하며, 제2실시예(73)의 경우는 드라이백과 같이 비교적 대형의 제품에 적당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에서 차단부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심지부(841), 연장부(843) 및 체결부재(845)를 포함하는 탑밴드의 일부가 도시된다. 탑밴드의 아래에는 폴딩부(824) 및 차단부(826)가 위치한다. 차단부(826)는 심지부(841)를 심지로 하여 접었을 대, 심지부(841)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틈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부(826)의 폭(w3)과 길이(h3)는 제품의 크기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가방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트립(91, 94)과 시트(92, 93)를 차례로 적층한다. 이후 B-B 단면으로 보여지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방지시트(100)를 시트(92, 93) 사이에 삽입한 후 소정 접합포인트(101, 102, 103, 104)에 고주파 열접착 방식으로 열을 가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포인트(101, 102, 103, 104)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체결부재를 결합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예와 같이 탑밴드 즉 심지부(1241), 연장부(1243, 1244) 및 체결부재(1245, 1246)와 본체 즉 수납부(1222), 폴딩부(1224) 및 차단부(1226)가 형성된 방수가방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가방의 일예를 보여주는 샘플사진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방수가방(13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FB)을 구비하며, 수납부(C)는 방수 및 유연 재질의 백 또는 주머니 형태를 한다. 수납부(C)에는 공기주입구(14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케이스의 일예를 보여주는 샘플사진들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방수케이스(15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FB)을 구비하며, 수납부(C)는 방수 및 유연 재질이고 수중에서 스마트폰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수납부(C)는 스마트폰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1522)와 그 주변에 공기가 채워진 튜브 형태의 프레임, 즉 에어프레임(AF)이 둘러싼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에어프레임(AF)은 사용자가 수납된 스마트폰을 구동시킬 때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며, 외부 충격에 대하여 수납된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버퍼 역할을 하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는 방수케이스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심지용 스트립(1702, 1705), 스트립(1703, 1704) 및 시트(1701, 1706)를 차례로 적층한다. 이후 C-C 단면으로 보여지는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방지시트(1800)를 스트립(1703, 1704) 사이에 삽입한 후 소정 접합포인트(1801, 1802, 1803, 1804, 1805, 1806)에 고주파 열접착 방식으로 열을 가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포인트(1801, 1802, 1803, 1804, 1805, 1806)는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체결부재를 결합하고, 에어프레임(AF)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도 20에 도시된 예와 같이 탑밴드 즉 심지부(2041), 연장부(2043, 2044) 및 체결부재(2045, 2046)와 본체 즉 수납부(2022) 및 에어프레임(AF), 폴딩부(2024) 및 차단부(2026)가 형성된 방수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 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의 개구를 기밀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한 기밀성 개폐수단으로서,
    상기 수납부의 개구 상단과 연결되어 외부와 상기 수납부 내부공간이 연통하도록 하는 튜브 형상의 유연 재질 구조로서, 복수 회 접혀지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폴딩부를 접기 위한 심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부의 양단에서 각각 소정 길이의 연장부를 개재하여 서로 물려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요소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탑밴드; 및
    상기 심지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폴딩부의 양측단에 위치하며, 상기 폴딩부를 이루는 유연 재질이 상호 접합함으로써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밴드는 상기 폴딩부 상단부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각각 접합되는 한쌍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밴드에서, 상기 폴딩부의 상단부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과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사이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에어 포켓 내에 심지용 스트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용 스트립은 상기 폴딩부의 상단부의 표면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표면에 접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밴드는 상기 폴딩부 상단부의 내표면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하단은 상기 폴딩부 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탑밴드가 접혀질 때 함께 접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에는, 상기 탑밴드의 심지부를 시작으로 접을 때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접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오목한 접는 선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는 방수 및 유연 재질의 백 또는 주머니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방수가방.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는 방수 및 유연 재질이고 수중에서 스마트폰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수케이스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방수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주변에는 공기가 채워진 튜브 형태의 프레임이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방수케이스.
KR1020200044404A 2019-04-12 2020-04-13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KR20200120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3284 2019-04-12
KR1020190043284 2019-04-12
KR1020190051844 2019-05-02
KR20190051844 2019-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554A true KR20200120554A (ko) 2020-10-21

Family

ID=7275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04A KR20200120554A (ko) 2019-04-12 2020-04-13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20554A (ko)
WO (1) WO20202096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825B1 (ko) * 2020-11-02 2021-05-21 진현숙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KR20230123125A (ko)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기밀성 방수가방 겸용 가슴압박소생술 실기교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89Y1 (ko) 2015-06-04 2017-03-07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5000A (ja) * 1996-03-22 1997-09-30 Zuiile:Kk 吸排気弁付きの袋
JP3180643U (ja) * 2012-10-17 2012-12-27 有限会社大久保製作所 鞄等の雨除けカバー
KR20150002905U (ko) * 2014-01-17 2015-07-27 조수재 포장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대
JP2017127412A (ja) * 2016-01-19 2017-07-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携帯情報端末機用ケース
KR101946988B1 (ko) * 2017-05-18 2019-02-12 박은지 휴대용 방수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89Y1 (ko) 2015-06-04 2017-03-07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825B1 (ko) * 2020-11-02 2021-05-21 진현숙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KR20230123125A (ko)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기밀성 방수가방 겸용 가슴압박소생술 실기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91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8857B2 (ja) 磁気閉鎖部を有する容器
KR20200120554A (ko)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US4463789A (en) Video equipment bag
JP2012206754A (ja) 携帯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JP2019097724A (ja) 折り畳みかばん
US20130340875A1 (en) Folded bellows
KR200482789Y1 (ko)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KR20210002476U (ko) 다기능 휴대용 방수팩
KR101982803B1 (ko) 다중 밀폐구조를 가지는 방수팩
US10765188B2 (en) Key wallet butterfly type
JP3170865U (ja) 透明状ポケット付き収納体
US1246871A (en) Garment.
TWM486311U (zh) 摺疊式行李箱
KR102139996B1 (ko) 종이 파우치
KR101672931B1 (ko) 휴대물품 보관용 방수케이스의 밀봉장치
US10494163B2 (en) Padded shipping envelop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495744Y1 (ko) 보냉 가방
KR102616874B1 (ko) 가변형 신발 주머니를 포함하는 가방
KR101377918B1 (ko) 런치박스 수납가방
KR200449690Y1 (ko) 진공수납자루 및 수납박스의 조합체
KR200492061Y1 (ko) 실링 마감형 2중 구조 포장비닐팩
KR20200005498A (ko)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KR20200002302U (ko)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JP2008029819A (ja) 折り畳み濡れ傘用バッグ
KR200374497Y1 (ko) 입체 수납자루 및 수납박스의 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