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25B1 -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25B1
KR102254825B1 KR1020200144079A KR20200144079A KR102254825B1 KR 102254825 B1 KR102254825 B1 KR 102254825B1 KR 1020200144079 A KR1020200144079 A KR 1020200144079A KR 20200144079 A KR20200144079 A KR 20200144079A KR 102254825 B1 KR102254825 B1 KR 10225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g
outlet
open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숙
Original Assignee
진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숙 filed Critical 진현숙
Priority to KR102020014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22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애완동물의 배변 처리용 물품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납하며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도록, 양 측단이 접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며, 하단은 개방되어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하단에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하단의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의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BAG FOR PET FECAL DISPOSAL}
본 개시 내용은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강아지나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다. 애완동물의 증가로 인해 애완동물은 물론 주인이나 주위 사람들까지 행복할 수 있는 올바른 문화의 정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을 산책시키기 위해 실외로 나가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의 배변 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주인은 애완동물의 배변을 처리하기 위한 배변봉투와 휴지 등을 휴대하고 산책을 나서게 된다. 애완동물이 산책 중에 배변을 본 경우, 배변봉투를 이용하여 배변을 회수 처리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배변 처리를 위해 필요한 배변봉투나 휴지 등의 물품을 보관하고 배변을 처리한 봉투 등을 산책 동안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주로 소형의 가방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배변 처리용 가방은 일반적인 가방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이 불편하고, 입구를 통해 배변을 처리한 봉투나 휴지를 넣고 다시 가방의 입구를 개방하여 배변봉투나 휴지 등을 꺼내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가방에 보관된 배변의 처리가 쉽지 않고 불편하며, 비위생적이고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가방은 물통이나 사료 등 애완동물 산책 중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을 적절히 수납하기 어렵고 단지 물품의 보관 기능에 한정된 단점이 있다.
애완동물을 산책시키는 사람의 증가로 배변 처리용 가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종래의 배변 처리용 가방을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있다.
본 과제는 애완동물의 배변 처리용 물품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납하며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사용하여 가방에 보관된 배변봉투를 가방의 입구와 별도로 마련된 출구를 통해 쉽게 가방을 개방하여 배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보관할 물품에 따라 내부 크기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물통 등을 가방에서 빼지 않고 보관한 상태로 애완동물에게 바로 물 등을 줄 수 있도록 된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가방은, 양 측단이 접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며, 하단은 개방되어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하단에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하단의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하단의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본체 하단에 강성을 부여하여 본체를 마는 중심축을 이루는 띠부재, 상기 본체의 전면판과 후면판의 양 측단을 지나 연장되는 상기 띠부재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접합되는 각 띠부재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띠부재 사이를 접합하는 자성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클은 상기 본체의 측단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띠부재를 마주하여 버클을 결합하였을 때 상기 본체 하단의 출구 직경은 상기 본체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하단에 일부가 접합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본체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판을 개페하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입구에 강성을 부여하는 상단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를 선택적으로 확장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측단이 접합되고 양 선단은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확장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포는 상기 본체의 내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본체 상단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고정되고 타측 선단은 자유단을 이루어 필요시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되고, 자유단인 타측 선단에는 조임끈이 설치되어 선단을 선택적으로 조여주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확장포는 상기 전면판이나 후면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그물망 형태의 매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장포의 일측 선단은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 상단띠와 상기 본체 내면 사이에 접합되고 상기 상단띠 하단을 통해 본체 하방향으로 내려뜨려지도록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보조스트랩, 상기 보조스트랩 선단에 결합되어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보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 외면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수납부에 형성되어 내부 물품을 바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홀, 상기 전면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홀을 커버하며 물품이 인출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복수의 슬릿이 절단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 외면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내면에 설치되어 본체의 안감을 이루는 멸균성 재질의 내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 또는 상기 전면수납부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애완동물의 배변 처리용 물품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다.
가방의 입구와 별도로 출구를 통해 배변을 처리할 수 있고, 출구의 개폐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배변봉투의 처리를 불쾌감없이 보다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관할 물품에 따라 내부 크기를 가변할 수 있어, 적은 크기로도 다양하고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물통 등을 가방에서 빼지 않고 보관한 상태로 애완동물에게 바로 물 등을 줄 수 있어, 가방에서 물통을 빼고 넣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의 앞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의 뒷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의 앞면과 뒷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y축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x축 방향을 측방향이라 하고 x축 방향을 따라 측부 또는 측선단이라 하며, 가방의 바깥쪽을 외측이나 외면이라 하고 안쪽을 내측이나 내면이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20), 본체(20)에 연결되는 스트랩(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는 사각 형태의 전면판(22)과 후면판(24)이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22)과 후면판(24)은 양 측단이 서로 접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2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체(2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입구(26)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20)의 하단 역시 개방되어 출구(28)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본체(20)에 수용된 배변 등을 하단의 출구(28)를 통해 신속하게 용이하게 배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출구(28)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면판(22)과 후면판(24)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판(22)과 후면판(24)은 본체(20)의 겉감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판(22)과 후면판(24)은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판(22)과 후면판(24)은 방수성 및 방오성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관리가 용이하고 본체(20) 외측면에 오물이 묻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전면판(22)과 후면판(24)의 내면에 설치되어 본체(20)의 안감을 이루는 멸균성 재질의 내피(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29)는 냄새 등은 용이하게 배출하고 수분은 막아 의료용 멸균용으로 사용되는 타이벡(Tyvek) 재질의 합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내부에 수용되는 배변 등의 오염으로부터 본체(20)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체(20)의 전면에는 전면판(22) 외측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수납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면수납부(40)는 전면판(22)과 동일한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수납부(40)의 입구는 지퍼(42) 또는 벨크로테입 등이 설치되어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수납부(40)는 일회용 물수건이나 일회용 휴지를 수납하였을 때, 입구를 개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물수건이나 휴지를 뽑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수납부(40)는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 물품을 바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홀(44), 전면수납부(40)에 설치되어 홀(44)을 커버하며 물품이 인출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복수의 슬릿(46)이 절단 형성된 커버(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면수납부(40) 내부에 수납된 일회용 물수건이나 휴지를 홀(44)과 커버(48)의 슬릿(46)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후면에는 후면판(24) 외측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수납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후면수납부(50)는 후면판(24)과 동일한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수납부(50)의 입구는 지퍼 또는 벨크로테잎(52) 등이 설치되어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의 전면과 후면에 마련된 전면수납부(40)와 후면수납부(50)를 통해 애완동물 산책시 필요한 다양한 물품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전면판(22)과 후면판(24) 및 전면수납부(40)와 후면수납부(50)가 모두 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각 측단이 박음질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본체(20)의 상부 일측에는 스트랩(30)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32)가 설치될 수 있다. 고리(32)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스트랩(30)은 본체(20)에 설치된 고리(32)를 매개로 본체(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30)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간에 버클(31)이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허리나 어깨에 가방(10)을 착용할 수 있다. 스트랩(30)의 양 선단에는 본체(20)의 고리(32)에 걸 수 있도록 후크(34)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크(34)를 이용하여 본체(20)의 고리(32)에 스트랩(3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본체(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보조스트랩(36), 보조스트랩(36) 선단에 결합되어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보조고리(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고리(38)는 배변 처리시 애완동물에 연결된 리드줄을 고정하거나 본체(20) 내부가 꽉 찼을 때 배변 봉투를 고정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스트랩(36) 전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띠(3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반사띠(39)는 보조스트랩(36) 외에 전면판(22)이나 전면수납부(4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반사띠(39)는 설치 위치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방(10) 외면에 반사띠(39)가 구비됨으로써, 야간 산책시에 차량 등의 조명을 반사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고 보다 안전하게 산책할 수 있다.
본체(20)의 상단에는 입구(26)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상단띠(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단띠(60)는 본체(20)의 상단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단띠(60)는 본체(20)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전면판(22)이나 후면판(24)의 색상과 문양을 가리지 않는다.
상단띠(60)는 본체(20)를 이루는 전면판(22)과 후면판(24) 상단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다른 부위보다 본체(20) 입구(26)쪽의 강성을 높이게 된다. 이에, 상단띠(60)에 의해 본체(20) 입구(26)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입구(26)를 통해 물품이나 배변봉투 등을 용이하게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상단에 설치되어 본체(20)의 상하방향 길이를 선택적으로 확장하는 연장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70)에 의해 본체(20)의 상하방향 길이가 늘어나 본체(20)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장부(70)는 측단이 접합되고 양 선단은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확장포(7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포(72)는 본체(20)의 내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 선단은 본체(20) 상단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고정되고 타측 선단은 자유단을 이루어 필요시 본체(2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확장포(72)를 본체(20) 내부에 수납하거나 필요시 확장포(72)의 타측 선단을 본체(20) 외측으로 빼서 본체(20)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자유단인 확장포(72)의 타측 선단에는 조임클립(76)이 설치된 조임끈(74)이 구비되어 확장포(72)의 선단을 선택적으로 조여주는 구조일 수 있다. 조임끈(74)으로 확장포(72) 선단을 조이고 조임끈(74)에 결합되어 있는 조임클립(76)으로 조임끈(74)을 고정함으로써, 입구(26)를 이루는 확장포(72)의 선단을 차단할 수 있다.
물품의 양이 많지 않아 본체(20) 확장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확장포(72)를 본체(20) 내부로 삽입한다.확장포(72)는 본체(20)의 내부 크기로 이루어져 본체(20)의 내면에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확장포(72)는 전면판(22)이나 후면판(24)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그물망 형태의 매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확장포(72)가 본체(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본체(20)와 간섭없이 본체(20)의 내부 크기와 수납 용량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포(72)는 본체(20) 내부로 내려뜨려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확장포(72)의 선단은 본체(20)의 상단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 상단띠(60)와 본체(20) 내면 사이에 접합되고, 상단띠(60) 하단을 통해 본체(20) 하방향으로 내려뜨려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확장포(72)가 본체(20) 내부에 내려뜨려져 자연스럽게 수납될 수 있다. 확장포(72)가 본체(20)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단띠(60)가 본체(20)의 입구(26) 내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체(20) 입구(26)로 물품을 수납시 물품과 확장포(72) 사이 간섭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본체(20) 내부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내부에 수납된 배변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본체(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입구(26)와 별도로 본체(20) 하단이 개방되어 출구(28)를 형성하여, 본체(20)의 입구(26)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배변을 하단의 출구(28)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중력 방향을 따라 가방(10)의 아래쪽에 배치된 출구(28)를 통해 본체(20)에 수납된 배변을 배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방(10)의 입구(26)를 통해 다시 배변을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가방(10) 입구(26)에 배변이 다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배변을 꺼낼 필요없이 출구(28)를 통해 자중에 의해 배변을 배출 처리할 수 있어, 불쾌감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변을 처리할 수 있다.
종래 가방(10)의 경우, 가방(10)의 상단 입구(26)를 통해 배변봉투를 넣고 다시 상단 입구(26)를 통해 배변봉투를 빼내야 하므로, 자칫 배출 과정에서 입구(26)에 배변이 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구(26)에서 배변을 꺼내야 하므로 번거롭고 비 위생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20) 하단에는 출구(2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개폐부(80)를 닫아 출구(28)를 폐쇄함으로써, 본체(20) 내부에 정상적으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시 개폐부(80)를 열어 출구(28)를 개방함으로써, 본체(20)에 수납된 물품을 출구(28)를 통해 바로 배출 처리할 수 있다.
개폐부(80)는 본체(20) 하단의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본체(20) 하단에 강성을 부여하여 본체(20)를 마는 중심축을 이루는 띠부재(82), 본체(20)의 전면판(22)과 후면판(24)의 양 측단을 지나 연장되는 띠부재(82)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버클(8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80)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80)는 띠부재(82)를 중심으로 본체(20)를 말아 출구(28)를 막고 띠부재(82) 양 선단의 버클(84)을 체결함으로써, 출구(28)를 막을 수 있다.
띠부재(82)는 본체(20) 출구(28)쪽 선단을 말아 출구(28)를 막을 때, 본체(20)가 감기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즉, 축방향으로 연장된 띠부재(82)를 중심으로 본체(20)를 말아줌으로써, 본체(20)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말아줄 수 있다. 띠부재(82)를 중심으로 본체(20)를 말아줌으로써, 본체(20) 출구(28)가 막혀 폐쇄된다.
띠부재(82)는 폭이 좁고 길게 연장된 형태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전면판(22)이나 후면판(24)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띠부재(82)를 중심으로 본체(20)를 말아 출구(28)를 막았을 때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개폐부(80)는 전면판(22)과 후면판(24)에 접합되는 각 띠부재(82)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띠부재(82) 사이를 접합하는 자성판(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판(86)이 서로 자력으로 접합됨으로써, 전면판(22)의 띠부재(82)와 후면판(24)의 띠부재(82) 사이가 서로 부착되어 닫힌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띠부재(82)의 측방향 양 선단에 버클(84)이 설치된다. 버클(84)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버클과 수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암버클과 수버클의 형태나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암버클과 수버클을 결합하면 띠부재(82)의 양 선단이 서로 연결되어 본체(20)를 말아 출구(28)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를 말아 버클(84)로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버클(84)을 풀어주는 것으로 출구(28)를 쉽게 개방할 수 있어, 본체(20)로부터 보다 쉽고 신속하게 배변을 배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버클(84)은 본체(20)의 측단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띠부재(82)를 마주하여 버클(84)을 결합하였을 때 본체(20) 하단의 출구(28) 직경은 본체(20)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띠부재(82)를 중심으로 본체(20)를 말지 않은 상태에서 버클(84)을 결합하였을 때 출구(28)의 크기로 본체(20) 직경 이하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출구(28) 직경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출구(28) 직경보다 큰 직경의 물품의 경우 본체(20) 내부에 수납되면서 출구(28)를 통해서는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가방(10)에서 물품을 꺼내지 않고도 출구(28)를 개방한 상태로 출구(28)를 통해 필요한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 등을 가방(10)에서 빼지 않고 보관한 상태로 출구(28)를 통해 물통(100)의 입구를 나오게 하여 애완동물에게 바로 물 등을 줄 수 있다. 이에, 가방(10)에서 물통(100)을 빼고 넣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의 가방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방(10)은 개폐부(90)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부는 이미 설명된 가방(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개폐부(9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폐부(90)는 본체(20) 하단에 일부가 접합 설치되는 바닥판(92), 바닥판(92)과 본체(20)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판을 개폐하는 지퍼(9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92)은 대략 타원이나 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바닥판(92)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지퍼(94)를 열고 닫는 것으로 본체(20) 하단과 바닥판(92) 사이가 개폐된다. 따라서, 지퍼(94)를 닫아 출구(28)를 막고 본체(20) 내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필요시 지퍼(94)를 열어 출구(28)를 개방함으로써, 본체(20)에 수납된 물품을 출구(28)로 배출 처리할 수 있다.
개폐부(90)가 바닥판(92)과 지퍼(94)의 개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방의 크기나 형태를 유지하면서 물품을 수납 및 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가방 20 : 본체
22 : 전면판 24 : 후면판
26 : 입구 28 : 출구
30 : 스트랩 32 : 고리
36 : 보조스트랩 38 : 보조고리
39 : 반사띠 40 : 전면수납부
44 : 홀 46 : 슬릿
48 : 커버 50 : 후면수납부
60 : 상단띠 70 : 연장부
72 : 확장포 74 : 조임끈
80,90 : 개폐부 82 : 띠부재
84 : 버클 86 : 자성판
92 : 바닥판 94 : 지퍼

Claims (5)

  1. 양 측단이 접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며, 하단은 개방되어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하단에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하단의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이고,
    상기 본체는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를 선택적으로 확장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측단이 접합되고 양 선단은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확장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포는 상기 본체의 내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본체 상단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고정되고 타측 선단은 자유단을 이루어 필요시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되고, 자유단인 타측 선단에는 조임끈이 설치되어 선단을 선택적으로 조여주는 구조의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하단의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본체 하단에 강성을 부여하여 본체를 마는 중심축을 이루는 띠부재, 상기 본체의 전면판과 후면판의 양 측단을 지나 연장되는 상기 띠부재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입구에 강성을 부여하는 상단띠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KR1020200144079A 2020-11-02 2020-11-02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KR10225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79A KR102254825B1 (ko) 2020-11-02 2020-11-02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79A KR102254825B1 (ko) 2020-11-02 2020-11-02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825B1 true KR102254825B1 (ko) 2021-05-21

Family

ID=7615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79A KR102254825B1 (ko) 2020-11-02 2020-11-02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0295A1 (en) * 2021-08-25 2023-03-01 Morris&Co Co.,Ltd. Portable carrier bag for disposing pet was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06Y1 (ko) * 2006-03-27 2006-06-14 노상완 오물수거용 비닐봉투가 일체로 내장되는 애완동물전용휴대가방
KR20080075287A (ko) * 2007-02-12 2008-08-18 심성은 윗옷 겸용 백
KR20090046624A (ko) * 2007-11-06 2009-05-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배변 가방
KR20120010262A (ko) * 2009-04-20 2012-02-02 미취 백 엘엘씨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핸드백 및 핸드백 맞춤 방법
KR101974528B1 (ko) * 2017-11-24 2019-05-03 연지선 청소가 용이한 신발주머니
KR20200120554A (ko) * 2019-04-12 2020-10-21 손광오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06Y1 (ko) * 2006-03-27 2006-06-14 노상완 오물수거용 비닐봉투가 일체로 내장되는 애완동물전용휴대가방
KR20080075287A (ko) * 2007-02-12 2008-08-18 심성은 윗옷 겸용 백
KR20090046624A (ko) * 2007-11-06 2009-05-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배변 가방
KR20120010262A (ko) * 2009-04-20 2012-02-02 미취 백 엘엘씨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핸드백 및 핸드백 맞춤 방법
KR101974528B1 (ko) * 2017-11-24 2019-05-03 연지선 청소가 용이한 신발주머니
KR20200120554A (ko) * 2019-04-12 2020-10-21 손광오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0295A1 (en) * 2021-08-25 2023-03-01 Morris&Co Co.,Ltd. Portable carrier bag for disposing pet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4166A1 (en) StylePouch
US6314917B1 (en) Retractable leash pack
US8292860B1 (en) Medical drainage pouch
US20060258997A1 (en) Pouch for ostomy bag
KR1022548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 처리 가방
US20170215385A1 (en) Pet harness with waste bag dispenser and storage
KR102162659B1 (ko) 애완동물용 의류
US20050263087A1 (en) Pet waste disposal device
US10080692B2 (en) Feminine needs container
US9828733B2 (en) Pet waste collection apparatus
KR200451868Y1 (ko) 애완동물용 줄
KR101984821B1 (ko) 배변봉투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옷
CN115918568A (zh) 宠物排泄物用便携包
US20190159926A1 (en) Waist supported ostomy appliance case
US20220304281A1 (en) Pet waste collection device
US20190191669A1 (en) Pet waste collection system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EP0714598A1 (en) Device to hold elastic bags to the dog body for the collection of excrements
EP1702510A1 (en) "Device for collecting discharge of animal"
KR20220046884A (ko)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KR102004509B1 (ko) 휴대용 애완동물 배변 처리 파우치
WO2023153149A1 (ja) ペット用おむつ
US20230331474A1 (en) Wearable refuse collection receptacle
US20050028755A1 (en) Waste collecting garment for dogs
JP3154628U (ja) ダストボックス付ティッシュポー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