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02U -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 Google Patents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02U
KR20200002302U KR2020200003651U KR20200003651U KR20200002302U KR 20200002302 U KR20200002302 U KR 20200002302U KR 2020200003651 U KR2020200003651 U KR 2020200003651U KR 20200003651 U KR20200003651 U KR 20200003651U KR 20200002302 U KR20200002302 U KR 202000023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folding
waterproof bag
type waterproof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오
손상열
Original Assignee
손광오
손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오, 손상열 filed Critical 손광오
Priority to KR2020200003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302U/ko
Publication of KR20200002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2013/1061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elastic straps or ban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연 수지 재질의 수납부(32);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32)에 비하여 더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된 좁은 띠 형태의 폴딩밴드(34); 폴딩밴드(34) 상부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를 상부로 연장하는 유연 수지 재질의 연장폴드부재(38); 및 상기 연장폴드부재(38)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대응 고리형 체결부재(36)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연장폴드부재(38)를 접은 다음, 접힌 연장폴드부재(38) 및 폴딩밴드(34) 양자를 심지로 하여 상기 수납부(32) 일부를 말아 접어 폴딩캡(F)을 형성하고, 상기 폴딩캡(F)을 구부려 그 양단에 있는 상기 고리형 체결부재(36)를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Description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AIRTIGHT FOLD TYPE WATERPROOF BAG}
본 고안은 방수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 수지 재질의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입구에 형성되고 그 양단에 각각 대응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를 접은 후 폴딩캡을 구부려 그 양단의 대응 체결수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납부를 폐쇄하는 형태의 방수가방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폴드부재를 마련하고, 먼저 상기 연장폴드부재를 접어 개폐부에 삽입한 다음, 다시 개폐부를 접고 구부려 그 양단의 대응 체결수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새로운 형태의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나 야외 활동시 옷가지나 휴대물건을 물이나 습기, 오염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호할 수 있는 폴드 타입 방수가방 또는 드라이백(dry bag)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방수 성능을 가지는 유연 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며, 개방부를 돌돌 말아 접어 체결수단으로 체결함으로써 폐쇄하고,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대체로 직사각형 자루 형상이거나 또는 바닥이 원형인 자루 형상일 수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 폴드 타입 방수가방(1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방수가방(10)은 폴리염화비닐(PVC)와 같은 유연 수지 재질의 시트로 제작된 원통형 또는 사각형 수납부(12)를 포함한다. 수납부(12)의 상단은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내기 위한 개방부를 이루고, 또한 좁은 띠 형상의 폴딩밴드(14)가 형성된다. 이는 길고 폭이 좁은 스트립을 수납부(12) 상단부에 덧대어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얇고 유연한 수납부(12)보다는 더 두껍고 단단한 부분을 이루게 할 수 있다. 폴딩밴드(14)의 양단에는 각각 대응하는 고리용 체결수단(예컨대, 슬라이더 파스너)(16)이 연장되어 구비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수납부(12) 내에 물건을 수납한 후 그 입구를 폐쇄하는 경우, 먼저 수납부(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고 단단하면서도 좁고 긴 띠 형태의 폴딩밴드(14)를 심지로 삼아 수납부(12)의 상부 영역(F)을 말아 접는다. 그런 다음 이렇게 폴딩캡(F)을 구부려 그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대응하는 고리용 체결수단(16)을 서로 체결 고정한다. 그 결과 폴딩캡(F)은 대략 원호형으로 구부려져서 고리용 체결수단(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고리는 방수가방(10)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수가방은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생활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기밀성(airtight)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가방 내에 있는 공기가 쉽게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물놀이시 방수가방에 수납된 물건에 대한 완전 방수가 어렵고, 위험한 경우 방수가방이 비상시 구명튜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가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놀이를 위해 방수가방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밀성 보조가방을 추가로 구입하거나 비상용 구명튜브 등을 더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054호(2014.11.0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89호(2017.03.07.)
본 발명자는 물놀이나 야외 활동시 옷가지나 휴대물건을 물이나 습기, 오염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호할 수 있는 방수가방을 제공하되, 기밀성을 높여 방수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예컨대 물놀이 사고 시 긴급 구난용 구명튜브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방수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기밀성을 제공하여 방수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복잡한 장치 또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부와 연결되는 개폐부재 및 그 주변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기밀성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은, 유연 수지 재질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에 비하여 더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된 좁은 띠 형태의 폴딩밴드; 폴딩밴드 상부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를 상부로 연장하는 유연 수지 재질의 연장폴드부재; 및 상기 연장폴드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대응 고리형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연장폴드부재를 접은 다음, 접힌 연장폴드부재 및 폴딩밴드 양자를 심지로 하여 상기 수납부 일부를 말아 접어 폴딩캡을 형성하고, 상기 폴딩캡을 구부려 그 양단에 있는 상기 고리형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유연 수지 재질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는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을 구비하며, 각각의 폴드영역 사이에 접기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드영역 및 가이드선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수납부 측으로 가면 갈수록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의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의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폴드영역에는 구부리기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좌방향 또는 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가이드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는 상기 폴딩밴드 내측에서부터 연장되며, 접힌 상태의 연장폴드부재는 상기 폴딩밴드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는 유연 수지 재질의 전면시트 및 후면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시트 및 후면시트에는 상기 가이드선 또는 상기 가이드패턴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밀착되면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폴딩밴드는 구부릴 때 접혀져 있는 유연 재질 부분에 대해 뻣뻣하게(rigid) 대항함으로써 접혀져 있는 유연 재질 부분이 서로 밀착되어 밀봉력을 증가시키도록 상대적으로 뻣뻣한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수납부 개방부 또는 상기 폴딩밴드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접힌 상태의 연장폴드부재가 상기 폴딩밴드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 또는 상기 폴딩밴드와 근접한 외부면 양면 각각에 대응 상단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딩밴드를 심지로 하여 상기 수납부 일부를 말아 폴딩캡을 고정하도록 대응 상단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 또는 상기 폴딩밴드의 내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퍼스트립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의 측면 소정 위치에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은, 유연 시트 재질의 수용부의 상단 개방부를 접어 폐쇄시키는 경우, 접힘 부분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밀성을 제공함으로써, 습기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방수성(waterproof)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기밀성(airtight)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에 야외활동이나 물놀이시 옷가지나 휴대 전자제품 등이 방수되도록 하는 생활방수 성능을 제공하는 것에 추가하여 물속에서도 방수성능이 탁월하게 되도록 더 향상된 고도의 방수성능을 제공할 수 있어, 야외에서 우천시 또는 물 근처뿐만 아니라 물 속에서도 물품을 휴대 및 보관 가능한 고성능 방수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 폐쇄되면 방수가방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항상 공기가 차서 빵빵하게 부풀려진 형태로 유지가능할 수 있어, 예컨대 물놀이 사고 시 긴급 구난용 구명튜브로 사용가능한 다목적 방수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기존 구명튜브의 경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멀리 던지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방에는 통상 옷가지나 신발 또는 전자제품과 같이 수납되어 있는 사용자의 소지품이 어느 정도 중량감을 제공하므로, 비상시 멀리까지 던지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르면 방수가방 내에 공기가 차있는 상태에서는 방수가방이 물에 가라앉지 않고 수면 상에 떠 있기 때문에 스노클링이나 잠수와 같은 물속 활동시에 물 밖의 제3자에게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부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베게나 에어 쿠션 등과 같은 생활용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수가방은 기밀성을 제공하고 방수능력을 향상시킴에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연 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예컨대 고주파 열접착 등의 방식으로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기밀 방수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폴드 타입 방수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이 펴진 상태에서 절단하여 더 상세히 보여주는 대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을 접어 폴딩밴드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절단하여 더 상세히 보여주는 대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을 접어 폴딩밴드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과정 이후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폴딩밴드 부분을 접고 구부려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고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멜빵끈을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이 펴진 상태에서 절단하여 더 상세히 보여주는 대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을 접어 폴딩밴드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절단하여 더 상세히 보여주는 대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30)이 도시된다. 방수가방(30)은, 수납부(32), 폴딩밴드(34), 연장폴드부재(38) 및 고리형 체결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부(32)는 예컨대 PVC 재질의 방수 기능을 가지는 유연 수지 재질의 시트로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각형 자루 형상의 주머니이다. 수납부(32)는 예컨대 2장 이상의 유연 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를 고주파 열접착 방식으로 이어 붙여 제조될 수 있다. 수납부(32)의 상단은 물품을 집어넣거나 빼내기 위한 주머니 입구 즉 개방부이다.
폴딩밴드(34)는 수납부(32) 상단에 위치하며 수납부(32)에 비하여 더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이는 주머니 형태인 수납부(32)의 상단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예컨대 상하방향 폭이 좁고 좌우방향 길이가 개방부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지 재질의 스트립이 열접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형 체결부재(36)는 예컨대 슬라이딩 파스너, 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과 같이 두 개의 서로 대응하는 체결부재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고리형 체결부재(36)는 폴딩밴드(34)의 양단에서 각각 대응하는 체결부재(36)가 돌출 연장되어 구비된다.
한편, 연장폴드부재(38)는 폴딩밴드(34) 상부로 연장 형성된 부재이다. 연장폴드부재(38)는 예컨대 PVC 재질의 방수 기능을 가지는 유연 수지 재질의 시트 2장 즉 전면부재(38a) 및 후면부재(38b)가 그 양측단에서 서로 열접착된 형태의 튜브형 통로 형태이며, 그 하단은 폴딩밴드(34)의 안쪽면에 또는 수납부(32) 상단의 안쪽면에 열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장폴드부재(38)는 수납부(32)의 개방부를 연장한 형태로 됨으로써, 사용자는 연장폴드부재(38)의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물건을 수납부(32) 내로 수납하거나 수납부(32)로부터 물건을 꺼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방수가방(30)에서, 수납부(32)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먼저 연장폴드부재(38)를 접어 폴딩밴드(34)와 겹치게 한다. 그런 다음 접힌 연장폴드부재(38) 및 폴딩밴드(34) 양자를 심지로 하여 수납부(32) 일부 즉 상단부 일부를 말아 접어 폴딩캡(F)을 형성한다. 이 폴딩캡(F)은 수납부(32)를 폐쇄하는 뚜껑역할을 하지만 접어서 형성한다는 특징을 가지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폴딩캡(F)을 구부려 그 양단에 있는 고리형 체결부재(36)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고리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방수가방(30)의 폐쇄시, 먼저 유연 재질의 연장폴드부재(38)가 접힘으로써 수납부(32)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이 1차로 차단된다. 그런 다음 유연 재질의 수납부(32) 상부가 접힘으로써 수납부(32)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이 2차로 차단된다. 이에 더하여 접히는 유연 재질의 연장폴드부재(38) 및 수납부(32)의 일부는 상대적으로 뻣뻣한 폴딩밴드(34)와 함께 반원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려지게 됨으로써 서로 강하게 밀착되고 압착되는 방식으로 수납부(32)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이 3차로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폴드부재(38)은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381)을 구비하는데, 도시된 예에서 폴드영역(381)은 4개이며, 각각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2,3,4가 표시되어 있다. 연장폴드부재(38)를 접을 때 상단의 1로 표시된 폴드영역(381)부터 2,3,4로 표시된 영역을 차례로 말아 접는다.
이때 각각의 폴드영역(381)은 상하방향으로 작은 폭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폴드영역(381)을 접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폴드영역(381) 사이에는 가이드선(383)이 형성된다. 가이드선(383)은 예컨대 고주파기를 이용하여 유연 수지 재질에 열을 가하여 형성된 요홈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드영역(381) 및 가이드선(383)의 상하방향 폭의 크기는, 접을 때마다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이를 반영하여 쉽게 접히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32) 측으로 가면 갈수록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폴드영역(381)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1로 표시된 최상단의 폴드영역(381)은 접기를 개시하는 부분이므로 심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아래의 2로 표시된 폴드영역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3으로 표시된 폴드영역에는 예컨대 고주파 열접착기를 이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요홈부 형태로 일정한 가이드패턴(385)이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패턴(385)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두께가 다른 폴드영역들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패턴(385)은 접혀진 연장폴드부재(38)를 포함하는 폴드캡(F)을 구부릴 때 구부리기 용이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좌방향 또는 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요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수가방(30)의 연장폴드부재(38) 부분이 펴진 상태에서 A-A선으로 절단하여 더 상세히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폴드부재(38)는 전면부재(38a)와 후면부재(38b)의 2장의 시트를 구비한다. 연장폴드부재(38)의 전면부재(38a)와 후면부재(38b)는 각각 폴딩밴드(34)를 이루는 2장의 스트립 즉 전면밴드(34a)와 후면밴드(34b)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폴딩밴드(34)의 전면밴드(34a)와 후면밴드(34b)는 각각 수납부(32)를 이루는 2장의 시트 즉 전면시트(32a) 및 후면시트(32b)에 연결되어 있다.
A-A선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면부재(38a)와 후면부재(38b)는 각각 대응하는 수의 폴딩영역(381a, 381b) 및 가이드선(383a, 383b)을 구비하며, 이들은 서로 밀착되면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비록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이드패턴(385)의 경우에도 정면부재(38a)와 후면부재(38b)에 각각 서로 대응하여 서로 밀착되면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수가방(30)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을 접어 폴딩밴드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B-B선으로 절단하여 더 상세히 보여준다.
접힌 연장폴드부재(38)는 폴딩밴드(34)의 내측 즉 폴딩밴드(34)의 전면밴드(34a)와 후면밴드(34b) 사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연장폴드부재(38)의 전면부재(38a)의 하단부는 폴딩밴드(34)의 전면밴드(34a)가 아니라 그 아래의 수납부(32)의 전면시트(32a)와 열접착됨으로써, 연장폴드부재(38)의 전면부재(38a)와 폴딩밴드(34)의 전면밴드(34a) 사이에 접힌 연장폴드부재(38) 즉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접힌 부분(38a, 38b)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연장폴드부재(38)의 후면부재(38b)의 하단부는 폴딩밴드(34)의 후면밴드(34b)에 열접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폴딩밴드(34)는 구부릴 때 접혀져 있는 유연 재질 부분에 대해 뻣뻣하게(rigid) 대항함으로써 접혀져 있는 유연 재질 부분이 서로 밀착되어 밀봉력을 증가시키도록 상대적으로 뻣뻣한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연장폴드부재(38)의 좌우방향 폭은 수납부(32) 개방부 또는 폴딩밴드(34)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접힌 상태의 연장폴드부재(38)가 폴딩밴드(34)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 부분을 접어 폴딩밴드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면의 최상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방(6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수납부(62), 폴딩밴드(64), 고리형 체결부재(66) 및 연장폴딩부재(68)를 구비한다. 나아가 방수가방(60)은 폴딩밴드(64)와 인접하여 수납부(62)의 전후에서 대응하는 상단 체결부재(67)가 더 구비된다. 또한 방수가방(60)은 어깨나 등에 방수가방(60)를 매기 편리하게 하기 위한 멜빵끈을 탈착하기 용이하게 하는 고리(69), 그리고 측면에 손잡이(65) 등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방은 상기 수납부 개방부 또는 폴딩밴드의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퍼스트립을 형성하여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방은 수납부의 측면 소정 위치에 외부로부터 수납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가방(60)의 폐쇄시, 사용자는 먼저 연장폴딩부재(68)의 상단을 열어 공기와 함께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연장폴딩부재(68)를 예컨대 4번 접고, 접은 연장폴딩부재(68)를 폴딩밴드(64)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면의 최하단 우측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납부(62)의 상단에는 접은 연장폴딩부재(68)와 폴딩밴드(64)가 겹쳐서 위치하게 된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과정 이후 본 고안에 따른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의 연장폴드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폴딩밴드 부분을 접고 구부려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고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멜빵끈을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면의 최상단 우측에 도시된 같이 접은 연장폴딩부재(68)와 폴딩밴드(64)가 겹쳐 있는 부분을 심지로 하여 수납부(62)의 상부를 말아 3회 접어 폴딩캡(F)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폴딩캡(F) 위로 수납부(32)의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대응 상단 체결부재(67, 즉 67a 및 67b)를 체결함으로써 폴딩캡(F)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폴딩캡(F)을 구부리고 그 양단에 있는 고리형 체결부재(66)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방수가방(60)의 폐쇄를 완료할 수 있다.
이후 방수가방(6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고리(69)에 끈을 연결하여, 사용자 등에 매거나 허리에 감거나 또는 어깨에 매는 방식으로, 방수가방(60)을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 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30, 60: 방수가방, 32, 62: 수납부, 34, 64: 폴딩밴드, 36, 66: 고리용 체결부재, 38, 68: 연장폴딩부재

Claims (12)

  1. 유연 수지 재질의 수납부(32);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32)에 비하여 더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된 좁은 띠 형태의 폴딩밴드(34);
    폴딩밴드(34) 상부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를 상부로 연장하는 유연 수지 재질의 연장폴드부재(38); 및
    상기 연장폴드부재(38)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대응 고리형 체결부재(36)
    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연장폴드부재(38)를 접은 다음, 접힌 연장폴드부재(38) 및 폴딩밴드(34) 양자를 심지로 하여 상기 수납부(32) 일부를 말아 접어 폴딩캡(F)을 형성하고, 상기 폴딩캡(F)을 구부려 그 양단에 있는 상기 고리형 체결부재(36)를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수지 재질은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폴드부재(38)은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381)을 구비하며, 각각의 폴드영역(381) 사이에 접기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선(383)이 형성되고, 상기 폴드영역(381) 및 가이드선(383)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수납부(32) 측으로 가면 갈수록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폴드부재(38)의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381)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폴드부재(38)의 미리 한정된 복수의 폴드영역(381) 중 적어도 하나의 폴드영역(381)에는 구부리기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좌방향 또는 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가이드패턴(38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폴드부재(38)는 유연 수지 재질의 전면시트(38a) 및 후면시트(3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시트 및 후면시트(38a 및 38b)에는 상기 가이드선(383) 또는 상기 가이드패턴(385)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밀착되면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폴드부재(38)는 상기 폴딩밴드(34) 내측에서부터 연장되며, 접힌 상태의 연장폴드부재(38)는 상기 폴딩밴드(34)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밴드(34)는 구부릴 때 접혀져 있는 유연 재질 부분에 대해 뻣뻣하게(rigid) 대항함으로써 접혀져 있는 유연 재질 부분이 서로 밀착되어 밀봉력을 증가시키도록 상대적으로 뻣뻣한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폴드부재(38)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수납부(32) 개방부 또는 상기 폴딩밴드(34)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접힌 상태의 연장폴드부재(38)가 상기 폴딩밴드(34)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 또는 상기 폴딩밴드(34)와 근접한 외부면 양면 각각에 대응 상단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딩밴드(34)를 심지로 하여 상기 수납부(32) 일부를 말아 폴딩캡(F)을 고정하도록 대응 상단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부 또는 상기 폴딩밴드(34)의 내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퍼스트립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부(32)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2)의 측면 소정 위치에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부(32)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KR2020200003651U 2020-10-13 2020-10-13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KR202000023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51U KR20200002302U (ko) 2020-10-13 2020-10-13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51U KR20200002302U (ko) 2020-10-13 2020-10-13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617A Division KR20200005498A (ko) 2018-07-05 2019-07-05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02U true KR20200002302U (ko) 2020-10-20

Family

ID=7300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51U KR20200002302U (ko) 2020-10-13 2020-10-13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302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54Y1 (ko) 2012-07-05 2014-11-04 정은득 방수가방
KR200482789Y1 (ko) 2015-06-04 2017-03-07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54Y1 (ko) 2012-07-05 2014-11-04 정은득 방수가방
KR200482789Y1 (ko) 2015-06-04 2017-03-07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8857B2 (ja) 磁気閉鎖部を有する容器
JP2023174785A (ja) バックパック
KR101117889B1 (ko) 방수팩
US9113665B2 (en) Bunting bag for children
KR19990076800A (ko) 저장 포켓을 갖는 모자
JP2009090128A (ja) 封止体及び当該封止体を用いた製品
JP7478748B2 (ja) 磁気クロージャを含むコンテナ
JP2024016226A (ja) 磁気クロージャを含むコンテナ
KR20200002302U (ko)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KR20200005498A (ko)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KR101304584B1 (ko) 휴대용 부표
JP6355911B2 (ja) ベルト型ポーチ
KR200266633Y1 (ko) 판초우의로 상태변환되는 캠핑용 매트
KR100419829B1 (ko) 판초우의로 상태변환되는 캠핑용 매트
KR102310145B1 (ko) 매트 가변 가방
JP5967363B2 (ja) 水に浮くエコバッグ
KR200245279Y1 (ko) 공기주입식 방수가방
KR200191552Y1 (ko) 방수가방
US1213571A (en) Combined bathing-cap and suit-bag.
TWM500494U (zh) 救生包包
JP3101138U (ja) ポシェット
KR20020091413A (ko) 공기주입식 방수가방
KR19980056026U (ko) 다목적 에어튜브 배낭 백
JP2005194657A (ja) 衣料用フード
KR20000018849U (ko) 휴대용 물품보관 주머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