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834A - 항-cd47 및 항-cd20 항체를 이용한 항암 섭생 - Google Patents

항-cd47 및 항-cd20 항체를 이용한 항암 섭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834A
KR20200119834A KR1020207025511A KR20207025511A KR20200119834A KR 20200119834 A KR20200119834 A KR 20200119834A KR 1020207025511 A KR1020207025511 A KR 1020207025511A KR 20207025511 A KR20207025511 A KR 20207025511A KR 20200119834 A KR20200119834 A KR 2020011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dose
subject
administered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핑 차오
크리스 히데미 미즈후네 타키모토
옌스-피터 볼크메어
Original Assignee
포티 세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 세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포티 세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8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CD2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80Vaccine for a specifically defined cancer
    • A61K2039/804Blood cells [leukemia, lymphom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2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CD20+ 암, 특히 림프종을 치료하기 위한 섭생이 개시된다. 상기 섭생은 적합한 용량 및 투여 간격에서 항-CD20 및 항-CD47 항체의 여러 투여 주기를 수반한다.

Description

항-CD47 및 항-CD20 항체를 이용한 항암 섭생
관련된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2월 12일자 제출된 U.S. 가출원 번호 62/629,340; 2018년 5월 31일자 제출된 U.S. 가출원 번호 62/678,468; 2018년 10월 9일자 제출된 U.S. 가출원 번호 62/743,060; 및 2018년 10월 10일자 제출된 U.S. 가출원 번호 62/743,875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은 각각 본원에서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된다.
서열 목록
본 출원은 서열 목록을 내포하는데, 이것은 ASCII 형식으로 전자적으로 제출되었고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된다. 2019년 2월 6일자에 창출된 상기 ASCII 사본은 42491WO_CRF_sequencelisting.txt로 명명되고 크기에서 18,342 바이트이다.
배경
CD47은 선천성 면역계에 의한 식균작용의 암 세포 회피를 매개하는 핵심 분자로서 확인되었다. CD47은 암 줄기 세포를 비롯한 암 세포가 그들의 식세포촉진, "잇 미 (eat me)" 신호의 종종 내재성 발현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수단인 것으로 보인다. 정상 세포로부터 암 세포로의 진행은 예정된 세포 사멸 (PCD) 및 예정된 세포 제거 (PCR)를 촉발하는 유전자 및/또는 유전자 발현에서 변화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암 진행에서 단계 중에서 다수는 PCD의 복수 기전을 와해시키고, 그리고 항포식 신호, CD47의 발현은 중요한 관문을 나타낼 수 있다.
CD47 발현은 하기의 원발성 악성종양을 비롯한 다수의 다양한 인간 종양 유형으로부터 많은 암 세포의 표면에서 증가된다: 두경부, 흑색종, 유방, 폐, 난소, 췌장, 결장, 방광, 전립선, 평활근육종, 교모세포종, 수모세포종, 희돌기교종, 신경교종, 림프종, 백혈병, 그리고 다발성 골수종. 뮤린 이종이식 연구에서, CD47-차단 항체는 다양한 혈액암 및 여러 고형 종양으로부터 암 세포의 식균작용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간 암 성장과 전이를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CD47은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를 비롯한 식균 세포에서 발현되는 SIRPα에 대한 리간드로서 역할을 한다. SIRPα가 CD47 결합에 의해 활성화될 때, 이것은 식균작용의 저해를 유발하는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D47은 지배적인 저해 신호를 식균 세포에 전달함으로써 항-포식 신호로서 기능한다.
암을 앓는 인간에서 CD47을 차단하는 항체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방법은 임상적으로 관심되고, 그리고 본원에서 제공된다.
요약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거나 또는 인간 개체에서 CD20+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a) 항-CD47 항체를 체중의 kg당 10 mg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항체의 용량에서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b) 항-CD20 항체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CD20+ 암은 B 세포 암이다. 일부 양상에서, B 세포 암은 비호지킨 림프종 (NHL)이다.
일부 양상에서, NHL은 무통성 림프종이다. 일부 양상에서, 무통성 림프종은 여포성 림프종 (FL)이다. 일부 양상에서, 무통성 림프종은 변연대 림프종이다.
일부 양상에서, NHL은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이다.
일부 양상에서, CD20+ 암은 DLBCL, 여포성 림프종, 변연대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성 백혈병/소형 림프성 백혈병,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림프구형질세포 림프종, 원발성 종격 B-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미분류 B-세포 림프종,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또는 이식후 림프구증식병 (PTLD)이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CD20+ 암은 조직병리학, 유세포분석법, 분자 분류,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동등한 검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일부 양상에서, CD20+ 암은 이중 히트 림프종이다. 일부 양상에서, CD20+ 암은 myc-재배열된 림프종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0가지 이상의 이전 라인의 암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리툭시맙에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리툭시맙 불응성 상태는 임의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이다. 일부 양상에서, 리툭시맙 불응성 상태는 최후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고, 그리고 적어도 2가지 이전 전신 요법을 제공받았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고, 그리고 리툭시맙-내포 섭생 후 재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섭생에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2가지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전신 요법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큰-B 세포 림프종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최전선 요법에 불응성인 데노보 또는 변환된 큰-B 세포 림프종을 앓거나, 또는 이선 구난 섭생 또는 자가 조혈 세포 이식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큰-B 세포 림프종을 앓고, 그리고 리툭시맙-내포 섭생을 포함하는 2가지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전신 요법 후 재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요법 후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CD47에 결합에 대해 Hu5F9-G4와 경쟁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은 Hu5F9-G4와 동일한 CD47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IgG4 Fc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Hu5F9-G4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10-30, 20-30, 10, 20, 또는 30 mg 항체의 용량에서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의 투여는 90%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수용체 포화, 임의적으로 90-1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수용체 포화를 유발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수용체 포화는 유세포분석법 또는 동등한 검정을 이용하여 계측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CD20에 결합에 대해 리툭시맙과 경쟁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CD20에 결합에 대해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과 경쟁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과 동일한 CD20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과 동일한 CD20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ADCC 및 ADCP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를 할 수 있는 Fc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야생형 Fc에 비하여 증가된 ADCC 및/또는 ADCP 활성을 유발하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변형을 포함하는 Fc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에 비하여 CD20에 대한 더욱 높은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임의적으로, 각 유관한 시점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주 1회, 월 1회, 또는 2 개월마다 1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항-CD20 항체는 항-CD47 항체에 앞서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정맥내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정맥내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약 20 내지 약 67.5 mg의 항체, 임의적으로 체중의 kg당 20 내지 30 mg의 항체, 임의적으로 체중의 kg당 20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30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45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60 mg의 항체, 또는 체중의 kg당 67.5 mg의 항체의 범위에서 변하는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주 1회, 2 주마다 1회, 또는 3 주마다 1회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항-CD47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1 mg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초회감작 용량은 약 3 시간 동안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1 일자에서 체중의 kg당 1 mg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 그 이후에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 항체의 용량을 포함하는 첫 번째 주기에서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첫 번째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이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첫 번째 주기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주 1회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항-CD47 항체는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 항체의 용량을 포함하는 두 번째 주기에서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두 번째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이다. 일부 양상에서, 항-CD20 항체는 두 번째 주기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4 주마다 1회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 임의적으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0회 이상의 추가 주기를 더욱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의 투약 섭생은 두 번째 주기와 동일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상기 투약 섭생의 항-CD20 항체 부분은 총 6회 주기를 완결한 후 중단된다. 일부 양상에서,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이다.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NHL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무통성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변연대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객관적인 반응 (OR)을 유발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질병 관리를 유발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부분적인 반응 (PR)을 유발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완전한 반응 (CR)을 유발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안정된 질환 (SD)을 유발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기준선에 비하여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여기서 기준선은 항-CD47 항체의 투여에 앞서 결정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가 리툭시맙에 불응성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리툭시맙에 불응의 반전을 유발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이들 항체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둘 모두 의학 전문가, 임의적으로 의사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이들 항체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둘 모두 개체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의 림프종 조직에서 CD47의 발현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더욱 포함한다. CD47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유세포분석법, 질량 세포계산 (CyTOF)에 의한 단백질 발현, 또는 RNA 염기서열결정,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또는 다른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방법에 의한 유전자 발현일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활성화된 B-세포 (ABC) DLBCL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비-배 중심 B 세포 (GCB) DLBCL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정상적인) 대조에 비하여 CD47의 증가된 발현을 갖고, 그리고 항-CD47 항체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상기 개체는 ABC 또는 비-배 중심 B 세포 (GCB) DLBCL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Bcl-2/Bcl-xL 저해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더욱 포함한다. Bcl-2/Bcl-xL 저해제는 베네토클락스, 나비토클락스 및/또는 AZD0466, 또는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PD1/PDL1 저해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더욱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PD1/PDL1 저해제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다. PD1/PDL1 저해제는 아테졸리주맙, 아벨루맙, 펨브로리주맙, 니볼루맙, 더발루맙, 티슬레리주맙 및/또는 세미플리맙, 또는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도면에 관한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이런 저런 특질, 양상과 이점은 하기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잘 이해될 것인데, 여기서:
도 1은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임상 1b/2상 단계에 대한 연구 설계 개요를 도시한다. 5F9 초회감작 용량 (1 mg/kg)이 온 표적 빈혈을 경감하는데 활용되었고, 유지 용량이 표준 3+3 설계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10으로부터 30 mg/kg으로 용량 증가되었다.
도 2a는 보상성 망상적혈구증가증을 동반한 빈혈을 도시한다.
도 2b는 5F9 및/또는 리툭시맙에 대한 치료-관련된 부작용을 도시한다. 주입 관련된 반응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2이고, 오른쪽은 등급 3이다. 구토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오른쪽은 등급 2이다. 메스꺼움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오른쪽은 등급 2이다. 폐색전증의 경우에, 막대는 등급 3이다. ITP의 경우에, 막대는 등급 4이다. 혈소판감소증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중앙은 등급 2이고, 오른쪽은 등급 4이다. 호중구감소증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오른쪽은 등급 4이다. 빈혈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중앙은 등급 2이고, 오른쪽은 등급 3이다. 두통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오른쪽은 등급 2이다. 요통의 경우에, 막대는 등급 2이다. 피로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오른쪽은 등급 2이다. 열병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중앙은 등급 2이고, 오른쪽은 등급 3이다. 오한의 경우에, 막대의 왼쪽은 등급 1이고, 중앙은 등급 2이고, 오른쪽은 등급 3이다.
도 2c는 코호트의 전역에서 치료된 22명 환자의 임상 1B상 단계 용량 증가를 도시한다.
도 3은 Hu5F9-G4 약물동력학을 도시한다.
도 4a는 말초혈에서 WBCs 상에서 CD47 수용체 점유를 도시한다. 높은 CD47 표적 수용체 점유가 용량 수준의 전역에서 신속하게 관찰되었다; CD47 수용체 점유 (RO)는 >90% 포화를 나타낸다.
도 4b는 2018년 4월까지 재발성 또는 불응성 NHL에서 5F9 및 리툭시맙으로 관찰된 항종양 활성을 도시한다. 10 mg/kg 및 20 mg/kg에서 용량은 0 축에서 표지화되고; 막대의 나머지 부분은 30 mg/kg이다.
도 4c는 2018년 4월까지 임상 1b상 단계 DLBCL과 FL 환자에서 지속적 반응을 도시한다.
도 5는 Hu5F9-G4 + 리툭시맙으로 치료를 통해 모든 암이 제거된, 심한 불응성 질환을 앓는 환자의 2가지 실례를 도시한다.
도 6a는 Hu5F9-G4 + 리툭시맙으로 치료를 통해 모든 암이 제거된, 심한 불응성 질환을 앓는 환자의 추가 실례를 도시한다.
도 6b는 원발성 불응성 DLBCL, 2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 거대 질환을 갖는 56 세 남성의 실례를 도시한다.
도 7은 NHL 하위군 효능 분석을 도시한다.
도 8은 임상 시험을 위한 임상 2상 단계 투약 세트를 도시한다.
도 9는 항-CD47 항체가 리툭시맙-저항성 림프종 세포주에서 리툭시맙과 조합될 때 시험관내에서 종양 세포 식균작용을 증강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 군의 왼쪽 막대는 리툭시맙 민감성이고; 각 군의 오른쪽 막대는 리툭시맙 저항성이다.
도 10은 NHL에서 Hu5F9-G4 + 리툭시맙의 임상 1b/2상 단계에서 치료된 DLBCL의 부분집합에서 효능을 도시한다.
도 11은 편도에서 CD47 발현을 도시한다. 정상적인 건강한 환자 편도는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항인간 CD47 항체로 염색되었다. 어두운 염색은 양성 CD47 염색을 표시한다. 낮은 배율 (위쪽) 및 높은 배율 (아래쪽)이 도시되는데, 화살표는 배 중심을 나타내는, CD47 발현이 부재하는 표본 구역을 표시한다.
도 12는 5F9 농도가 Q2 주 투약과 대비하여 주 1회 투약에서 더욱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3은 NHL 환자에서 Hu5F9-G4 +/- 리툭시맙 치료를 위한 환자 선별 전략으로서 CD47 발현의 이용을 위한 설계 개요를 도시한다.
도 14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임상 1b상 단계에 대한 연구 설계 개요를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단독으로 또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작용제, 예컨대 항-CD20 작용제와 조합으로, 항-CD47 작용제, 예컨대 Hu5F9-G4로 암을 앓는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과 조성물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설명된 특정 방법 또는 조성물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당연히,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원에서 이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값의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에, 문맥에서 별도로 명시되지 않으면, 상기 범위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 하한선의 단위의 1/10까지 각 개재성 값 역시 특정적으로 개시된 것으로 이해된다. 언급된 범위 내에 임의의 진술된 값 또는 개재성 값, 그리고 상기 언급된 범위 내에 임의의 다른 진술된 또는 개재성 값 사이에 각각의 더욱 작은 범위는 본 발명 내에 포괄된다. 이들 더욱 작은 범위의 상하선과 하한선은 상기 범위 내에 독립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배제될 수 있고, 그리고 이들 더욱 작은 범위 내에 이들 한계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되거나, 어느 것도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둘 모두가 포함되는 각 범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괄되고 언급된 범위 내에 임의의 특정적으로 배제된 한계에 종속된다. 언급된 범위가 한계 중에서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 포함된 한계의 한쪽 또는 양쪽을 배제하는 범위 역시 본 발명에서 포함된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으면, 본원에서 이용된 모든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원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등한 임의의 방법과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검사에서 이용될 수 있긴 하지만, 일부 잠재적이고 바람직한 방법과 재료가 지금부터 설명된다.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은 이들 간행물이 관련하여 인용되는 방법 및/또는 재료를 개시하고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참조로서 편입된다. 본 개시는 상충하는 정도까지, 편입된 간행물의 임의의 개시를 대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판독 시에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각각의 개별 구체예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임의의 다른 여러 구체예의 특질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또는 이들 특질과 조합될 수 있는 구별된 구성요소와 특질을 갖는다. 임의의 언급된 방법은 언급된 사건의 순서로 또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에서 별도로 지시되지 않으면, 복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세포"에 대한 참조는 복수의 이런 세포를 포함하고, 그리고 "펩티드"에 대한 참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이들의 등가물,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기타 등등이다.
본원에서 논의된 간행물은 본 출원의 출원일에 앞서 오로지 그들의 개시 목적으로만 제공된다. 본원에서 어떤 것도 본 발명이 선행 발명에 의해서 이런 공개보다 선행할 권리가 없다는 것을 시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게다가, 제공된 공개의 일자는 실제 공개 일자와 상이할 수 있고, 이것은 독립적으로 확증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항-CD47 작용제"는 SIRPα (예를 들면, 포식 세포 상에서)에 CD47 (예를 들면, 표적 세포 상에서)의 결합을 감소시키는 임의의 작용제를 지칭한다. 적합한 항-CD47 시약의 무제한적 실례는 높은 친화성 SIRPα 폴리펩티드, 항-SIRPα 항체,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 그리고 항-CD47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SIRPα 시약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합한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항-CD47 항체, SIRPα 시약 등)는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SIRPα에 CD47의 결합을 감소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합한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항-SIRPα 항체,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 등)는 SIRP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SIRPα에 CD47의 결합을 감소시킨다. SIRPα에 결합하는 적합한 항-CD47 작용제는 SIRPα (예를 들면, SIRPα-발현 포식 세포에서)를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적합한 항-CD47 작용제의 효능은 상기 작용제를 검정함으로써 사정될 수 있다 (아래에 더욱 설명됨). 예시적인 검정에서, 표적 세포는 후보 작용제의 존재 또는 부재에서 배양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을 위한 작용제는 이러한 작용제의 부재에서 식균작용과 비교하여, 식균작용을 적어도 10% (예를 들면,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100%, 적어도 120%, 적어도 140%, 적어도 160%, 적어도 180%, 또는 적어도 200%) 상향조절할 것이다. 유사하게, SIRPα의 티로신 인산화의 수준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은 후보 작용제의 부재에서 관찰된 인산화와 비교하여, 인산화에서 적어도 5% (예를 들면,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100%) 감소를 보여줄 것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는 결합 시에 CD47을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CD47이 활성화될 때, 아폽토시스 (다시 말하면, 예정된 세포 사멸)와 유사한 과정이 발생할 수 있다 (Manna and Frazier, Cancer Research, 64, 1026-1036, Feb. 1 2004). 따라서,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는 CD47-발현 세포의 세포 사멸을 직접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
일부 병원체 (예를 들면, 폭스바이러스, 점액종 바이러스, 사슴두 바이러스, 돼지두 바이러스, 산양두 바이러스, 양두 바이러스 등)는 감염을 가능하게 하는 독성 인자로서 행동하는 CD47-유사체 (다시 말하면, CD47 모방체) (예를 들면, M128L 단백질)를 발현하고 (Cameron et al., Virology. 2005 Jun 20;337(1 ):55-67), 그리고 일부 병원체는 숙주 세포에서 내인성 CD47의 발현을 유도한다. CD47-유사체를 발현하는 병원체로 감염된 세포는 이런 이유로, 배타적으로 또는 내인성 CD47과 조합으로, 병원체-제공된 CD47 유사체를 발현할 있다. 이러한 기전은 병원체가 내인성 CD47의 수준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감염된 세포에서 CD47 발현 (CD47 유사체의 발현을 통해)을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항-CD47 항체, SIRPα 시약, SIRPα 항체,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 등)는 SIRPα에 CD47 유사체 (다시 말하면, CD47 모방체)의 결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적합한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SIRPα 시약, 항-CD47 항체 등)는 CD47 유사체 (다시 말하면, CD47 모방체)에 결합하여 SIRPα에 CD47 유사체의 결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적합한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항-SIRPα 항체,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 등)는 SIRPα에 결합할 수 있다. SIRPα에 결합하는 적합한 항-CD47 작용제는 SIRPα (예를 들면, SIRPα-발현 포식 세포에서)를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항-CD47 작용제는 병원체가 CD47 유사체를 제공하는 병원체일 때, 본원에서 제공된 임의의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CD47"은 CD47뿐만 아니라 CD47 유사체 (다시 말하면, CD47 모방체)를 포괄한다.
SIRPα 시약은 통상적으로 신호 서열 및 막경유 도메인 사이에 있는 CD47에 인식가능한 친화성으로 결합하는데 충분한 SIRPα의 부분, 또는 결합 활성을 유지하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적합한 SIRPα 시약은 선천적 단백질 SIRPα 및 CD47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 (예를 들면, 차단, 예방 등)시킨다. SIRPα 시약은 통상적으로, SIRPα의 d1 도메인을 적어도 포함할 것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SIRPα 시약은 예를 들면, 두 번째 폴리펩티드와 인프레임으로 융합된 융합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두 번째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면, 융합 단백질이 순환으로부터 빠르게 소실되지 않도록 융합 단백질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두 번째 폴리펩티드는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부분 또는 전체이다. 이러한 Fc 영역은 "잇 미"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식균작용을 보조하는데, 상기 신호는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에 의해 제공된 "돈트 잇 미 (don't eat me)" 신호의 블록을 증강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두 번째 폴리펩티드는 Fc와 실제적으로 유사한, 예를 들면, 증가된 크기, 다합체화 도메인 및/또는 Ig 분자와의 추가 결합 또는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폴리펩티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요지 항-CD47 작용제는 SIRPα-유래된 폴리펩티드 및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이다.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본원에서 특정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국제 출원 PCT/US13/21937에서 설명된다.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선천적 SIRPα 단백질의 변이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가용성인데,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야생형 SIRPα 서열에 비하여 SIRPα 막경유 도메인을 결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변화를 포함하며, 그리고 여기서 상기 아미노산 변화는 예를 들면, 오프 레이트를 적어도 10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100-배, 적어도 500-배, 또는 그 이상 감소시킴으로써 CD47에 SIRPα 폴리펩티드 결합의 친화성을 증가시킨다.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통상적으로 신호 서열 및 막경유 도메인 사이에 있는 CD47에 인식가능한 친화성, 예를 들면,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는데 충분한 SIRPα의 부분, 또는 결합 활성을 유지하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통상적으로, 친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변형된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SIRPα의 d1 도메인을 적어도 포함할 것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SIRPα 변이체는 예를 들면, 두 번째 폴리펩티드와 인프레임으로 융합된 융합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두 번째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면, 융합 단백질이 순환으로부터 빠르게 소실되지 않도록 융합 단백질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두 번째 폴리펩티드는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부분 또는 전체이다. 이러한 Fc 영역은 "잇 미"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식균작용을 보조하는데, 상기 신호는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에 의해 제공된 "돈트 잇 미 (don't eat me)" 신호의 블록을 증강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두 번째 폴리펩티드는 Fc와 실제적으로 유사한, 예를 들면, 증가된 크기, 다합체화 도메인 및/또는 Ig 분자와의 추가 결합 또는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폴리펩티드이다. 증가된 친화성을 제공하는 아미노산 변화는 d1 도메인에서 국지화되고, 그리고 따라서,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d1 도메인 내에 야생형 서열에 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변화를 갖는, 인간 SIRPα의 d1 도메인을 포함한다. 이런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추가 아미노산 서열, 예를 들면, 항체 Fc 서열; 선천적 단백질의 잔기 150 내지 374 또는 이의 단편, 통상적으로 d1 도메인과 인접한 단편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d1 도메인 이외에 야생형 인간 SIRPα 단백질의 부분; 기타 등등을 임의적으로 포함한다. 높은 친화성 SIRPα 시약은 단량체 또는 다합체, 다시 말하면, 이합체, 삼합체, 사합체 등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요지 항-CD47 작용제는 SIRP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다시 말하면, 항-SIRPα 항체), 그리고 한 가지 세포 (예를 들면, 감염된 세포) 상에서 CD47 및 다른 세포 (예를 들면, 포식 세포) 상에서 SIRPα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항체이다. 적합한 항-SIRPα 항체는 SIRPα의 활성화가 식균작용을 저해할 것이기 때문에, SIRPα를 통한 신호전달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자극하지 않으면서 SIRPα에 결합할 수 있다. 그 대신에, 적합한 항-SIRPα 항체는 정상 세포에 비하여 감염된 세포의 우선적인 식균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세포 (비감염된 세포)에 비하여 더욱 높은 수준의 CD47을 발현하는 이들 세포 (예를 들면, 감염된 세포)는 우선적으로 식균될 것이다. 따라서, 적합한 항-SIRPα 항체는 SIRP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식균작용을 저해할 만큼의 신호전달 반응을 활성화하거나/자극하지 않으면서), 그리고 SIRPα 및 CD47 사이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 적합한 항-SIRPα 항체는 이런 항체의 완전 인간, 인간화 또는 키메라 버전을 포함한다. 인간화 항체는 특히, 그들의 낮은 항원성으로 인해 인간에서 생체내 적용에 유용하다. 유사하게, 개화 항체, 고양이화 항체 등은 특히, 개, 고양이, 그리고 다른 종 각각에서 적용에 유용하다. 관심되는 항체는 인간화 항체, 또는 개화 항체, 고양이화 항체, 말화 항체, 소화 항체, 돼지화 항체 등, 그리고 이들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 일부 구체예에서, 요지 항-CD47 작용제는 SIRP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각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이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항-CD47 항체"는 CD47 리간드, 예컨대 SIRPα (예를 들면, 포식 세포 상에서)에 CD47 (예를 들면, 표적 세포 상에서)의 결합을 감소시키는 임의의 항체를 지칭한다. 무제한적 실례가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고 Hu5F9-G4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요지 항-CD47 작용제는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다시 말하면, 항-CD47 항체), 그리고 한 가지 세포 (예를 들면, 감염된 세포) 상에서 CD47 및 다른 세포 (예를 들면, 포식 세포) 상에서 SIRPα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항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합한 항-CD47 항체는 결합 시에 CD47을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적합한 항체의 무제한적 실례는 클론 B6H12, 5F9, 8B6 및 C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특정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국제 특허 공개 WO 2011/14362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합한 항-CD47 항체는 항체의 완전 인간, 인간화 또는 키메라 버전을 포함한다. 인간화 항체 (예를 들면, hu5F9-G4)는 특히, 그들의 낮은 항원성으로 인해 인간에서 생체내 적용에 유용하다. 유사하게, 개화 항체, 고양이화 항체 등은 특히, 개, 고양이, 그리고 다른 종 각각에서 적용에 유용하다. 관심되는 항체는 인간화 항체, 또는 개화 항체, 고양이화 항체, 말화 항체, 소화 항체, 돼지화 항체 등, 그리고 이들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항체"는 특정 항원 (예를 들면, CD47)과 면역학적으로 반응성인 면역글로불린-기초된 분자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고, 그리고 다중클론과 단일클론 항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유전적으로 가공된 형태, 예컨대 키메라 항체 (예를 들면, 인간화 뮤린 항체) 및 헤테로접합체 항체를 포함한다. 용어 "항체"는 또한, 항원 결합 능력을 갖는 단편 (예를 들면, Fab', F(ab')2, Fab, Fv 및 rIgG를 비롯한, 항체의 항원 결합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재조합 단일 사슬 Fv 단편 (scFv)을 지칭한다. 용어 항체는 또한, 이가 또는 이중특이적 분자,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그리고 테트라바디를 포함한다. 용어 항체에 관한 추가 설명은 아래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을 위해, "환자"는 애완동물 및 실험 동물, 예를 들면, 생쥐, 쥐, 토끼 등을 비롯하여, 인간 및 다른 동물, 특히 포유동물 둘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방법은 인간 요법 및 수의학적 적용 둘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환자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영장류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환자는 인간이다.
용어 "피험자," "개체" 및 "환자"는 치료를 위해 사정되는 및/또는 치료되는 포유동물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교체가능하게 이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용어 "피험자," "개체" 및 "환자"는 암을 앓는 개체를 제한 없이 포괄한다. 개체는 인간일 수 있지만, 다른 포유동물, 특히 인간 질환에 대한 실험실 모형으로서 유용한 포유동물, 예컨대 생쥐, 쥐 등을 또한 포함한다.
환자에 대하여 용어 "표본"은 혈액 및 생물학적 기원의 다른 액체 표본, 고형 조직 표본, 예컨대 생검 검체 또는 조직 배양액, 또는 그것으로부터 유래된 세포 및 이들의 자손을 포괄한다. 상기 정의는 또한, 예컨대 시약으로 처리; 세척; 또는 일정한 세포 개체군, 예컨대 암 세포에 대한 농축에 의해, 그들의 구입 후 어떤 방식으로든 조작된 표본을 포함한다. 상기 정의는 또한, 특정 유형의 분자, 예를 들면, 핵산, 폴리펩티드 등에 대해 농축된 표본을 포함한다. 용어 "생물학적 표본"은 임상적 표본을 포괄하고, 그리고 또한, 외과적 적출에 의해 획득된 조직, 생검에 의해 획득된 조직, 배양 중인 세포, 세포 상층액, 세포 용해물, 조직 표본, 장기, 골수, 혈액, 혈장, 혈청 등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표본"은 환자의 암 세포로부터 획득된 표본, 예를 들면, 환자의 암 세포로부터 획득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표본 (예를 들면, 폴리뉴클레오티드 및/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세포 용해물 또는 다른 세포 추출물); 그리고 환자로부터 암 세포를 포함하는 표본을 포함한다. 환자로부터 암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표본은 또한, 비암성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진단"은 분자 또는 병리학적 상태, 질환 또는 장애의 확인, 예컨대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다른 유형의 암의 분자 아형의 확인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이용된다.
용어 "예후"는 신생물 질환, 예컨대 림프종의 재발, 전이성 확산 및 약제 내성을 비롯한, 암-기인한 사망 또는 진행의 가능성의 예측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이용된다. 용어 "예측"은 관찰, 경험, 또는 과학적 추론에 근거하여, 예측하거나 또는 추정하는 행위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이용된다. 한 가지 실례에서, 의사는 원발성 종양의 외과적 제거 및/또는 일정한 기간 동안 화학요법 이후에, 환자가 암 재발 없이 생존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 "치료하는" 등은 효과를 획득하는 목적으로,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시술을 실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상기 효과는 질환 및/또는 상기 질환의 증상에 대한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치유를 달성한다는 면에서 치료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치료"는 포유동물에서, 특히 인간에서 종양의 치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한 없이, 상기 질환을 저해하는, 다시 말하면, 이의 발달을 저지하는; 그리고 상기 질환을 완화하는, 다시 말하면, 상기 질환의 퇴행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하는 것은 임의의 객관적인 또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예컨대 감소; 관해; 증상의 축소, 또는 환자가 질환 상태를 더욱 견뎌내도록 만듦; 변성 또는 감퇴의 속도에서 늦춤; 또는 변성의 최종점이 더욱 적게 심신쇠약성이 되도록 만듦을 비롯하여, 암의 치료 또는 개선에서 성공의 임의의 증인을 지칭할 수 있다. 증상의 치료 또는 개선은 의사에 의한 검사의 결과를 비롯한, 객관적인 또는 주관적인 파라미터에 근거될 수 있다. 용어 "치료 효과"는 개체에서 질환, 상기 질환의 증상, 또는 상기 질환의 부작용의 감소, 제거 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조합으로", "복합 요법" 및 "조합 산물"은 일정한 구체예에서, 환자에게 본원에서 설명된 작용제의 동시 투여를 지칭한다. 조합으로 투여될 때, 각 성분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서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성분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별개로, 하지만 시간상으로 충분히 가깝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에서 활성제의 "수반성 투여"는 이들 작용제가 동시에 치료 효과를 나타낼 그와 같은 시점에서 이들 시약으로 투여를 의미한다. 이런 수반성 투여는 이들 작용제의 동시 (다시 말하면, 동시에) 투여, 이전 투여, 또는 차후 투여를 수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관시킨다," 또는 "상관한다" 및 유사한 용어는 2가지 사건의 사례 사이에 통계학적 연관을 지칭하는데, 여기서 사건은 숫자, 데이터 세트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건이 숫자를 포함할 때, 양성 상관 (본원에서 "직접적인 상관"으로서 또한 지칭됨)은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서, 다른 하나 역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 상관 (본원에서 "역 상관"으로서 또한 지칭됨)은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서, 다른 하나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약 단위" 또는 "용량"은 치료되는 특정 개체에 대한 단위 용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구별된 단위를 지칭한다. 각 단위는 제약학적 담체와 연관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들)를 발생시키도록 계산된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화합물(들)을 내포할 수 있다. 복용 단위 형태에 대한 사양은 (a) 활성 화합물(들)의 독특한 특징 및 달성되는 특정 치료 효과(들), 그리고 (b) 이런 활성 화합물(들)을 배합할 때 당해 분야에서 내재하는 제약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치료 효과량"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개체에게 투여될 때, 상기 질환에 대한 치료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수용체 점유 (RO) 검정은 CD47 결합 작용제, 예를 들면, 항-CD47 항체 (Ab)에 의한 CD47 점유의 수준을 계측한다. CD47 RO의 수준을 계측하는 목적은 CD47 결합 작용제의 용량, CD47 수용체 포화, 그리고 약리학적 효과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시간의 추이에서 수용체 점유의 퍼센트는 원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약물의 양 또는 노출의 지속 기간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검정은 대용 세포 상에서, 예를 들면, CD45 음성 (-) 적혈구 (RBCs) 및 CD45 양성 (+) 백혈구 (WBCs), 또는 다른 세포 개체군, 예를 들면, 조직 생검을 통해 획득된 골수 또는 조직 세포 상에서 CD47 RO를 계측함으로써 체내에서 전체 RO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O 검정은 또한, CD47 결합 및 또는 차단 요법에 대해, 표적 세포, 예를 들면, RBC, 백혈병 세포 또는 고형 종양 세포 상에서 CD47 RO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원하는 약리학적 효과와 상관되는 CD47 수용체 점유의 역치를 결정하기 위한 이러한 검정의 이용이 관심된다. 이러한 역치는 탈체 (시험관내)에서 수행된 검정에 의해 또는 생체내 투약/치료 동안 표본의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검정의 구체예에서, 관심되는 세포의 세포에서 CD47 결합 표준 곡선은 플루오로크롬-접합된 항체를 다양한 농도에서 이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수용체 점유는 표적 세포를 상이한 농도 하에 표지화되지 않은 항체와 함께 배양함으로써 계측되고, 그리고 이후, 이들 세포는 시험관내 식균작용에서 검정되거나, 또는 표준 곡선에 근거하여 포화 농도의 표지화된 항체와 함께 배양되고, 그리고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결합에 대해 분석되었다. 수용체 점유는 하기와 같이 계산되었다:
% RO= 100 - ((MFI 검사 -MFI 염색되지 않음 ) / (MFI 포화된 STD -MFI 염색되지 않음 )) X 100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검정은 규정된 용량의 항체를 환자에게 주입하고, 통상적으로 항체의 주입 전후에 환자로부터 조직 표본, 예를 들면, 혈액 표본을 획득함으로써 수행된다. 조직 표본은 포화 농도의 표지화된 항체와 함께 배양되고, 그리고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분석된다. 상기 분석은 예를 들면, 적혈구, 백혈구, 암 세포, 기타 등등 상에서 게이팅될 수 있다.
RBCs 상에서 CD47 중에서 적어도 약 80% 포화를 달성하는 초회감작 용량은 빈혈에 대한 보상을 유도하고 차후 투약 시에 빈혈의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인간에서, 초회감작 용량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다시 말하면, 약 0.5 mg/kg 내지 약 5 mg/kg, 예를 들면, 1 mg/kg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구체예에서, RBC 상에서 적어도 약 50% 포화, 적어도 약 60% 포화, 적어도 약 70% 포화, 적어도 약 80% 포화, 적어도 약 90% 포화, 적어도 약 95% 포화, 적어도 약 99% 포화, 또는 그 이상을 제공하는 초회감작 용량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수용체 점유 검정이 후보 CD47 결합 작용제로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후보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CD47에 결합하는 항체, SIRPα 폴리펩티드 등에 대한 온당한 초회감작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수용체 점유 검정이 수행된다.
항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항체 또는 항체들의 투여, 다시 말하면, 항 CD47 항체의 투여, 그리고 일부 구체예에서, 추가 항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특정 항원과 면역학적으로 반응성인 면역글로불린 분자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고, 그리고 다중클론과 단일클론 항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유전적으로 가공된 형태, 예컨대 키메라 항체 (예를 들면, 인간화 뮤린 항체) 및 헤테로접합체 항체를 포함한다. 용어 "항체"는 또한, 항원 결합 능력을 갖는 단편 (예를 들면, Fab', F(ab')2, Fab, Fv 및 rIgG를 비롯한, 항체의 항원 결합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재조합 단일 사슬 Fv 단편 (scFv)을 지칭한다. 용어 항체는 또한, 이가 또는 이중특이적 분자,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그리고 테트라바디를 포함한다.
항체의 선별은 선택성, 친화성, 세포독성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기준에 근거될 수 있다.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지칭할 때, 관용구인 항체에 "특이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결합한다" 또는 항체와 "특이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면역반응성"은 단백질 및 다른 생물제제의 이질성 개체군에서 단백질의 존재를 결정하는 결합 반응을 지칭한다. 따라서, 지정된 면역검정 조건 하에, 특정된 항체는 배경의 적어도 2배, 그리고 더욱 전형적으로, 배경의 10 내지 100배 이상으로 특정 단백질 서열에 결합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항체는 작동체 세포 (예컨대 자연 킬러 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존재에서 표적 세포의 표면상에서 항원에 결합한다. 작동체 세포 상에서 Fc 수용체는 결합된 항체를 인식한다.
특정 항원과 면역학적으로 반응성인 항체는 재조합 방법, 예컨대 파지 또는 유사한 벡터에서 재조합 항체의 라이브러리의 선별에 의해, 또는 동물을 항원 또는 상기 항원을 인코딩하는 DNA로 면역화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다중클론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항체는 대안으로 단일클론 항체일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에서, 온당한 숙주 동물은 전형적으로, 면역화 작용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항체를 생산하거나 또는 생산할 수 있는 림프구를 이끌어 내는 면역화 작용제로 면역화된다. 대안으로, 림프구는 시험관내에서 면역화될 수 있다. 림프구는 이후,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융합 작용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이용하여 영속화된 세포주와 융합된다.
인간 항체는 파지 전시 라이브러리를 비롯하여,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인간 항체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좌위를 유전자도입 동물, 예컨대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유전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비활성화된 생쥐 내로 도입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공격 접종 시에, 유전자 재배열, 어셈블리 및 항체 레퍼토리를 비롯한, 모든 양상에서 인간에서 목격되는 것과 매우 유사한 인간 항체 생산이 관찰된다.
항체는 또한, 다양한 펩티드분해효소로 절단에 의해 생산되는 다수의 충분히 특징화된 단편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펩신은 힌지 영역 내에 디설피드 연쇄 아래에서 항체를 절단하여 Fab의 이합체인 F(ab)'2를 생산하는데, 이것은 그 자체로, 디설피드 결합에 의해 VH-CH1에 결합된 경쇄이다. F(ab)'2는 온화한 조건 하에 환원되어 힌지 영역 내에 디설피드 연쇄가 파괴되고, 따라서 F(ab)'2 이합체가 Fab' 단량체로 전환될 수 있다. Fab' 단량체는 힌지 영역의 일부를 갖는 본질적으로 Fab이다. 다양한 항체 단편이 무손상 항체의 절단의 면에서 규정되긴 하지만, 당업자는 이런 단편이 화학적으로,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데노보 합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전체 항체의 변형에 의해 생산된 항체 단편, 또는 재조합 DNA 방법론을 이용하여 데노보 합성된 것들 (예를 들면, 단일 사슬 Fv) 또는 파지 전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확인된 것들을 또한 포함한다.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내포하는 면역글로불린 분자이다.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의 상보성 결정 영역 (CDR)으로부터 잔기가 원하는 특이성, 친화성 및 수용력을 갖는, 비인간 종 (공여자 항체), 예컨대 생쥐, 쥐 또는 토끼의 CDR로부터 잔기에 의해 대체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수용자 항체)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프레임워크 잔기가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에 의해 대체된다. 인간화 항체는 또한, 수용자 항체에서뿐만 아니라 이입된 CDR 또는 프레임워크 서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적어도 하나, 그리고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실제적으로 모두 포함할 것인데, 여기서 CDR 영역의 전부 또는 실제적으로 전부가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것들에 상응하고, 그리고 프레임워크 (FR) 영역의 전부 또는 실제적으로 전부가 인간 면역글로불린 공통 서열의 것들이다. 인간화 항체는 최적으로는 또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Fc)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것을 포함할 것이다.
관심되는 항체는 ADCC (항체-의존성 세포 세포독성) 또는 ADCP (항체 의존성 세포 식균작용)을 유도하는 능력에 대해 검사될 수 있다. 항체-연관된 ADCC 활성은 용해된 세포로부터 표지 또는 유산 탈수소효소의 방출의 검출, 또는 감소된 표적 세포 생존력의 검출 (예를 들면, 아넥신 검정)을 통해 모니터링되고 정량될 수 있다. 아폽토시스에 대한 검정은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전달효소-매개된 다이곡시제닌-11-dUTP 틈 단부 표지화 (TUNEL) 검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Lazebnik et al., Nature: 371, 346 (1994). 세포독성 역시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검출 키트, 예컨대 Roche Applied Science (Indianapolis, Ind.)로부터 세포독성 검출 키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항-CD47 작용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항-CD47 항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CD47은 단일 Ig-유사 도메인 및 5개의 막 스패닝 영역을 갖는 광범위하게 발현된 막경유 당단백질인데, 이것은 SIRPα의 NH2-말단 V-유사 도메인을 통해 매개된 결합으로 SIRPα에 대한 세포 리간드로서 기능한다. SIRPα는 대식세포, 과립구, 골수성 수지상 세포 (DCs), 비만 세포를 비롯한 골수 세포, 그리고 조혈 줄기 세포를 비롯한 이들의 전구체에서 일차적으로 발현된다. CD47 결합을 매개하는 SIRPα 상에서 구조적 결정인자는 Lee et al. (2007) J. Immunol. 179:7741-7750; Hatherley et al. (2008) Mol Cell. 31(2):266-77; Hatherley et al. (2007) J.B.C. 282:14567-75에 의해 논의되고; 그리고 CD47 결합에서 SIRPα 시스 이합체화의 역할은 Lee et al. (2010) J.B.C. 285:37953-63에 의해 논의된다. 정상 세포의 식균작용을 저해하는 CD47의 역할과 부합하게, 이것은 이동 시기 직전에 및 동안 조혈 줄기 세포 (HSCs) 및 선조에서 일시적으로 상향조절되고, 그리고 이들 세포 상에서 CD47의 수준은 이들이 생체내에서 집어삼켜질 확률을 결정하는 것으로 증거된다.
용어 "항-CD47 작용제" 또는 "CD47 차단을 제공하는 작용제"는 CD47 리간드, 예컨대 SIRPα (예를 들면, 포식 세포 상에서)에 CD47 (예를 들면, 표적 세포 상에서)의 결합을 감소시키는 임의의 작용제를 지칭한다. 적합한 항-CD47 시약의 무제한적 실례는 높은 친화성 SIRPα 폴리펩티드, 항-SIRPα 항체, 가용성 CD47 폴리펩티드, 그리고 항-CD47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SIRPα 시약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합한 항-CD47 작용제 (예를 들면, 항-CD47 항체, SIRPα 시약 등)는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SIRPα에 CD47의 결합을 감소시킨다.
항-CD47 작용제는 SIRPα 또는 이의 부분을 포함하는 SIRPα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CD47 작용제는 SIRPα-기초된 Fc 융합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조로서 편입된 Kipp Weiskopf, et al. Science 341, 88 (2013).
항-CD47 작용제는 본원에서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WO2014094122에서 개시된 SIRPα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RPα 작용제는 WO201409412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서열 번호: 3, 25, 또는 26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본원에서 참조로서 편입된다.
항-CD47 작용제는 본원에서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WO2017177333에서 개시된 SIRPα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RPα 작용제는 WO2017177333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서열 번호: 3 또는 8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본원에서 참조로서 편입된다.
항-CD47 작용제는 본원에서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WO2016023040에서 개시된 SIRPα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RPα 작용제는 WO2016023040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서열 번호: 78-85, 98-104, 107-113, 116-122, 135-137, 또는 152-159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본원에서 참조로서 편입된다.
항-CD47 작용제는 본원에서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WO2017027422에서 개시된 SIRPα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RPα 작용제는 WO201702742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서열 번호: 3-34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본원에서 참조로서 편입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요지 항-CD47 항체는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리고 한 가지 세포 (예를 들면, 감염된 세포) 상에서 CD47 및 다른 세포 (예를 들면, 포식 세포) 상에서 SIRPα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합한 항-CD47 항체는 결합 시에 CD47을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일부 항-CD47 항체는 SIRPα에 CD47의 결합을 감소시키지 않고, 그리고 이런 항체는 "비-차단 항-CD47 항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항-CD47 작용제"인 적합한 항-CD47 항체는 "CD47-차단 항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적합한 항체의 무제한적 실례는 클론 B6H12, 5F9, 8B6 및 C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특정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국제 특허 공개 WO 2011/14362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합한 항-CD47 항체는 이런 항체의 완전 인간, 인간화 또는 키메라 버전을 포함한다. 인간화 항체 (예를 들면, hu5F9-G4)는 특히, 그들의 낮은 항원성으로 인해 인간에서 생체내 적용에 유용하다. 유사하게, 개화 항체, 고양이화 항체 등은 특히, 개, 고양이, 그리고 다른 종 각각에서 적용에 유용하다. 관심되는 항체는 인간화 항체, 또는 개화 항체, 고양이화 항체, 말화 항체, 소화 항체, 돼지화 항체 등, 그리고 이들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인간 IgG Fc 영역, 예를 들면, IgG1, IgG2a, IgG2b, IgG3, IgG4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IgG Fc 영역은 IgG4 불변 영역이다. IgG4 힌지는 아미노산 치환 S241P에 의해 안정될 수 있다 (참조: 본원에서 특정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Angal et al. (1993) Mol. Immunol. 30(1):105-108).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CD47에 결합에 대해 Hu5F9-G4와 경쟁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은 Hu5F9-G4와 동일한 CD47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10-30, 20-30, 10, 20, 또는 30 mg 항체의 용량에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90%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수용체 포화, 임의적으로 90-1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수용체 포화를 유발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수용체 포화는 유세포분석법 또는 동등한 검정을 이용하여 계측된다.
항-CD47 항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될 수 있다.
항-CD47 항체는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항-CD47 항체 Hu5F9-G4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Hu5f9-G4의 서열과 적어도 97%, 적어도 98%, 적어도 99% 또는 100% 동일한 서열 (경쇄, 중쇄 및/또는 CDR)을 갖는 항-CD47 항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표 1은 Hu5f9-G4 항체 중쇄와 경쇄의 서열을 내포한다. CDR 영역은 굵은 글씨체로 도시된다.
표 1.
서열 번호 설명 및 서열
1 Hu5f9-G4 항체 중쇄

QVQLVQSGAEVKKPGASVKVSCKASGYTFTNYNMHWVRQAPGQRLEWMGTIYPGNDDTSYNQKFKDRVTITADTSASTAYMELSSLRSEDTAVYYCARGGYRAMD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PCPAPEF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K
2 Hu5f9-G4 항체 경쇄

DIVMTQSPLSLPVTPGEPASISCRSSQSIVYSNGNTYLGWYLQKPGQSPQLLIYKVSNRFSGVPDRFSGSGSGTDFTLKISRVEAEDVGVYYCFQGSHVPYTFGQ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항-CD20 항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항-CD20 항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항-CD20 항체는 항-CD47 항체와 협력하여 투여된다.
항-CD20 항체는 CD20에 결합에 대해 리툭시맙과 경쟁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과 동일한 CD20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CD20에 결합에 대해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벨투주맙, 오카라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과 경쟁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벨투주맙, 오카라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과 동일한 CD20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벨투주맙, 오카라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Fc, 예컨대 활성 Fc 또는 야생형 Fc를 포함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ADCC 및 ADCP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를 할 수 있는 Fc를 포함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야생형 Fc에 비하여 증가된 ADCC 및/또는 ADCP 활성을 유발하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변형을 포함하는 Fc를 포함한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에 비하여 CD20에 대한 더욱 높은 결합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임의적으로, 각 유관한 시점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주 1회, 2 주마다 1회, 월 1회, 4 주마다 1회, 8 주마다 1회, 또는 2 개월마다 1회 투여될 수 있다.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항-CD20 항체는 항-CD47 항체에 앞서 투여된다.
항-CD20 항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될 수 있다. 항-CD20 항체 및 항-CD47 항체는 함께 조제될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표 2는 리툭시맙 항체 중쇄와 경쇄의 서열을 내포한다.
표 2
서열 번호 설명 및 서열
3 >리툭시맙 중쇄 키메라

QVQLQQPGAELVKPGASVKMSCKASGYTFTSYNMHWVKQTPGRGLEWIGAIYPGNGDTSY
NQKFKGKATLTADKSSSTAYMQLSSLTSEDSAVYYCARSTYYGGDWYFNVWGAGTTVTVS
A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
SGL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KAEPKSCDKTHTCPPCPAPELLG
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
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
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
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4 >리툭시맙 경쇄 키메라

QIVLSQSPAILSASPGEKVTMTCRASSSVSYIHWFQQKPGSSPKPWIYATSNLASGVPVR
FSGSGSGTSYSLTISRVEAEDAATYYCQQWTSNPPTFGGGTKLEIKRTVAAPSVFIFPPS
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
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이용 방법
개체를 치료 용량의 항-CD47 작용제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방법은 (a) 항-CD47 항체를 체중의 kg당 10 mg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항체의 용량에서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b) 항-CD20 항체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거나 또는 인간 개체에서 CD20+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프라이머 작용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그 이후에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작용제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는 프라이머 작용제의 투여를 시작한 후 적어도 약 3 일 (예를 들면, 적어도 약 4 일, 적어도 약 5 일, 적어도 약 6 일, 적어도 약 7 일, 적어도 약 8 일, 적어도 약 9 일, 또는 적어도 약 10 일) 후 수행된다. 이러한 기간은 예를 들면, 개체에 의한 증강된 망상적혈구 생산을 제공하는데 충분하다.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작용제의 투여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투여된 후,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투여된다.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적합한 투여는 단일 용량의 투여를 수반할 수 있거나, 또는 매일, 주 2회, 주 1회, 2 주마다 1회, 월 1회, 연 1회 등으로 용량의 투여를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 (다시 말하면, 증가하는 용량)의 2회 또는 그 이상의 용량으로서 투여되는데, 여기서 (i) 모든 용량이 치료 용량이고, 또는 여기서 (ii) 치료이하 용량 (또는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이하 용량)이 초기에 제공되고 치료 용량이 상기 단계적 확대에 의해 달성된다.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 (다시 말하면, 증가하는 용량)를 예시하기 위한 한 가지 무제한적 실례로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치료이하 용량 (예를 들면, 5 mg/kg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주 1회 투여될 수 있고, 그리고 투여가 중단될 수 있거나 또는 지속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지속된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의 용량) 시점인,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이 도달될 때까지, 각 차후 용량이 특정 증분 (예를 들면, 5 mg/kg)으로, 또는 가변적 증분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 (다시 말하면, 증가하는 용량)를 예시하기 위한 다른 무제한적 실례로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치료 용량 (예를 들면, 10 mg/kg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주 1회 투여될 수 있고, 그리고 각 차후 용량은 투여가 중단될 수 있거나 또는 지속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지속된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 100 mg/kg 등의 용량) 시점인,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 100 mg/kg 등)이 도달될 때까지, 특정 증분 (예를 들면, 10 mg/kg)으로, 또는 가변적 증분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투여는 연속 주입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용량은 시간의 추이에서 변경 (예를 들면, 증가)될 수 있다.
용량과 빈도는 환자에서 항-CD47 작용제의 반감기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이런 지침은 예를 들면, 항체 단편의 이용에서, 항체 접합체의 이용에서, SIRPα 시약의 이용에서, 가용성 CD47 펩티드의 이용에서, 기타 등등에서 활성제의 분자량에 맞춰 조정될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용량은 또한, 국부 투여, 예를 들면, 비내, 흡입 등, 또는 전신 투여, 예를 들면, i.m., i.p., i.v., s.c. 등에 맞춰 변할 수 있다.
초회감작 용량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CD47 결합 작용제의 초기 용량은 주입 직후에 기간 동안 적혈구응집을 야기할 수 있다. 이론에 한정됨 없이, 다가 CD47 결합 작용제의 초기 용량은 이러한 작용제에 결합된 RBC의 교차연결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일정한 구체예에서, CD47 결합 작용제는 초기 용량에서, 그리고 임의적으로 차후 용량에서, RBC 및 상기 작용제의 높은 국부 농도가 존재하는 혈액학적 미세환경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기간 및/또는 농도에 걸쳐 환자에게 주입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CD47 결합 작용제의 초기 용량은 적어도 약 2 시간, 적어도 약 2.5 시간, 적어도 약 3 시간, 적어도 약 3.5 시간, 적어도 약 4 시간, 적어도 약 4.5 시간, 적어도 약 5 시간, 적어도 약 6 시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주입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초기 용량은 약 2.5 시간 내지 약 6 시간; 예를 들면, 약 3 시간 내지 약 4 시간의 기간에 걸쳐 주입된다. 일부 이런 구체예에서, 주입액에서 작용제의 용량은 약 0.05 mg/ml 내지 약 0.5 mg/ml; 예를 들면, 약 0.1 mg/ml 내지 약 0.25 mg/ml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CD47 결합 작용제의 초기 용량, 예를 들면, 초회감작 용량은 예를 들면, 삼투성 펌프, 전달 패치 등으로서 연속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데, 여기서 상기 용량은 적어도 약 6 시간, 적어도 약 12 시간, 적어도 약 24 시간, 적어도 약 2 일, 적어도 약 3 일의 기간에 걸쳐 투여된다. 많은 이런 시스템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다. 예를 들면, DUROS 기술은 피스톤에 의해 분리된 이중 구획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들 구획 중에서 하나는 과잉의 고체 NaCl로 특이적으로 만들어진 삼투성 엔진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이것은 전달 기간 내내 존속하고 일정한 삼투성 구배를 유발한다. 상기 구획은 또한, 물이 삼투성 엔진 내로 끌려 들어오고, 그리고 조직수 및 삼투성 엔진 사이에 크고 일정한 삼투성 구배를 확립하는, 한쪽 단부 상에 반투과성 막으로 구성된다. 다른 구획은 약물이 삼투성 구배로 인해 방출되는 구멍을 갖는 약물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인간에서 이식될 때 부위 특이적 전달 및 전신 약물 전달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람직한 이식 부위는 위팔의 내부에서 피하 배치이다.
초회감작 작용제를 투여하고, 그리고 망상적혈구 생산에서 증가에 효과적인 기간을 허용한 이후에, 항-CD47 작용제의 치료 용량이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 용량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예를 들면, 주 1회 투약 일정에서 투여된 후,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의 2회 또는 그 이상 용량으로서 투여되고, 다른 것들에서는 이들 용량이 동등하다. 초회감작 투약 후 적혈구응집이 감소한다.
추가 작용제는 항-CD47 작용제의 효능을 증강할 수 있다. 항-CD47 항체는 추가 작용제와 조합으로 또는 추가 작용제에 앞서 투여될 수 있다.
항-CD47 항체 및 본원에서 설명된 추가 작용제의 조합은 이들 요법에 반응성인 종양 아형을 앓는 환자에게 제공된다. 이들 종양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더욱 많은 종양 항원을 유발하는 더욱 높은 빈도의 돌연변이에 의해 규정되고, 이런 이유로 더욱 면역원성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복합 요법으로 치료되는 환자는 면역 활성인자 또는 관문 저해제로 치료에 반응성이다; 하지만 이것은 특정한 잠재적으로 반응성 종양 아형 내에 환자 중에서 대략 25%의 부분집합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에서, 개체는 백금 요법 민감성 또는 저항성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요지 방법은 프라이머 작용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그 이후에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항체 및 추가 작용제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는 프라이머 작용제의 투여를 시작한 후 적어도 약 3 일 (예를 들면, 적어도 약 4 일, 적어도 약 5 일, 적어도 약 6 일, 적어도 약 7 일, 적어도 약 8 일, 적어도 약 9 일, 또는 적어도 약 10 일) 후 수행된다. 이러한 기간은 예를 들면, 개체에 의한 증강된 망상적혈구 생산을 제공하는데 충분하다.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항체 및/또는 추가 작용제의 투여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투여된 후,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투여된다.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적합한 투여는 단일 용량의 투여를 수반할 수 있거나, 또는 매일, 주 2회, 주 1회, 2 주마다 1회, 월 1회, 연 1회 등으로 용량의 투여를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 (다시 말하면, 증가하는 용량)의 2회 또는 그 이상의 용량으로서 투여되는데, 여기서 (i) 모든 용량이 치료 용량이고, 또는 여기서 (ii) 치료이하 용량 (또는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이하 용량)이 초기에 제공되고 치료 용량이 상기 단계적 확대에 의해 달성된다.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 (다시 말하면, 증가하는 용량)를 예시하기 위한 한 가지 무제한적 실례로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치료이하 용량 (예를 들면, 5 mg/kg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주 1회 투여될 수 있고, 그리고 투여가 중단될 수 있거나 또는 지속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지속된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의 용량) 시점인,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이 도달될 때까지, 각 차후 용량이 특정 증분 (예를 들면, 5 mg/kg)으로, 또는 가변적 증분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 (다시 말하면, 증가하는 용량)를 예시하기 위한 다른 무제한적 실례로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치료 용량 (예를 들면, 10 mg/kg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주 1회 투여될 수 있고, 그리고 각 차후 용량은 투여가 중단될 수 있거나 또는 지속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지속된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 100 mg/kg 등의 용량) 시점인, 치료 용량 (예를 들면, 30 mg/kg, 100 mg/kg 등)이 도달될 때까지, 특정 증분 (예를 들면, 10 mg/kg)으로, 또는 가변적 증분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투여는 연속 주입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용량은 시간의 추이에서 변경 (예를 들면, 증가)될 수 있다.
용량과 빈도는 환자에서 항-CD47 항체 및/또는 추가 작용제의 반감기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이런 지침은 예를 들면, 항체 단편의 이용에서, 항체 접합체의 이용에서, SIRPα 시약의 이용에서, 가용성 CD47 펩티드의 이용에서, 기타 등등에서 활성제의 분자량에 맞춰 조정될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용량은 또한, 국부 투여, 예를 들면, 비내, 흡입 등, 또는 전신 투여, 예를 들면, i.m., i.p., i.v., s.c. 등에 맞춰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정한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초기 용량에서, 그리고 임의적으로 차후 용량에서, RBC 및 상기 작용제의 높은 국부 농도가 존재하는 혈액학적 미세환경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기간 및/또는 농도에 걸쳐 환자에게 주입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의 초기 용량은 적어도 약 2 시간, 적어도 약 2.5 시간, 적어도 약 3 시간, 적어도 약 3.5 시간, 적어도 약 4 시간, 적어도 약 4.5 시간, 적어도 약 5 시간, 적어도 약 6 시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주입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초기 용량은 약 2.5 시간 내지 약 6 시간; 예를 들면, 약 3 시간 내지 약 4 시간의 기간에 걸쳐 주입된다. 일부 이런 구체예에서, 주입액에서 작용제의 용량은 약 0.05 mg/ml 내지 약 0.5 mg/ml; 예를 들면, 약 0.1 mg/ml 내지 약 0.25 mg/ml이다.
용어 "암," "신생물" 및 "종양"은 세포 증식에 대한 제어의 유의미한 상실에 의해 특징되는 일탈적 성장 표현형을 전시할 만큼, 자율적인 조절되지 않은 성장을 전시하는 세포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교체가능하게 이용된다. 본 출원에서 검출, 분석 또는 치료를 위한 관심되는 세포는 전암성 (예를 들면, 양성), 악성, 전전이성, 전이성 및 비전이성 세포를 포함한다. 사실상 모든 조직의 암이 알려져 있다. 관용구 "암 부담"은 개체에서 암 세포의 퀀텀 또는 암 체적을 지칭한다. 암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은 따라서, 개체에서 암 세포의 숫자 또는 암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암 세포"는 암 세포이거나, 또는 암 세포로부터 유래되는 임의의 세포, 예컨대 암 세포의 클론을 지칭한다. 고형 종양, 예컨대 암종, 육종, 교모세포종, 흑색종, 림프종, 골수종 등, 그리고 순환 암, 예컨대 백혈병을 비롯한, 많은 유형의 암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암의 "병리"는 환자의 행복을 훼손하는 모든 현상을 포함한다. 이것은 비정상적인 또는 통제할 수 없는 세포 성장, 전이, 이웃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의 간섭, 비정상적인 수준에서 사이토킨 또는 다른 분비 산물의 방출, 염증성 또는 면역학적 반응의 억제 또는 악화, 신생물, 전악성, 악성종양, 주변 또는 멀리 떨어진 조직 또는 장기, 예컨대 림프절의 침습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암 재발" 및 "종양 재발", 그리고 이들의 문법적 변이체는 암의 진단 후 신생물성 또는 암성 세포의 추가 성장을 지칭한다. 특히, 추가 암성 세포 성장이 암성 조직에서 일어날 때,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 "종양 확산"은 유사하게, 종양의 세포가 국부 또는 원위 조직과 장기 내로 파종될 때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종양 확산은 종양 전이를 포괄한다. "종양 침습"은 종양 성장이 국부로 확산하여 정상적인 장기 기능의 압박, 파괴 또는 방해에 의해, 침습된 조직의 기능을 훼손할 때 발생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이"는 본래 암성 종양의 장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장기 또는 신체 부위에서 암성 종양의 성장을 지칭한다. 전이는 본래 암성 종양의 장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장기 또는 신체 부위에서 검출할 수 없는 양의 암성 세포의 존재인 미세전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전이는 또한, 과정의 여러 단계, 예컨대 본래 종양 부위로부터 암 세포의 일탈 및 암 세포의 다른 신체 부위로의 이주 및/또는 침습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환자는 낮은 돌연변이 부담을 갖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환자는 높은 돌연변이 부담을 갖는다.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암 유형은 돌연변이의 평균 또는 특정한 정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여기서 돌연변이의 더욱 높은 수준은 신항원의 증가된 발현과 연관된다. 참조: 예를 들면, Vogelstein et al., (2013), 위와 같음. 낮은 돌연변이 부담은 종양마다 약 10개까지, 약 20개까지, 약 30개까지, 약 40개까지, 약 50개까지 비유의한 돌연변이의 종양마다 평균, 또는 개별 종양에 대한 특정한 숫자를 갖는 암 유형일 수 있다. 높은 돌연변이 부담은 종양마다 약 50개 이상, 약 75개 이상, 약 100개 이상, 약 125개 이상, 약 150개 이상의 비유의한 돌연변이를 갖는 암 유형일 수 있다.
CD20+ 암
개체에서 CD20+ 암을 앓는 개체를 치료하거나 또는 이런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고, 이들 방법은 항-CD47 항체의 치료 효과량을 개체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작용제, 예컨대 항-CD20 작용제의 치료 효과량을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CD20+ 암은 B 세포 암이다. B 세포 암은 비호지킨 림프종 (NHL)을 포함할 수 있다.
NHL은 무통성 림프종을 포함할 수 있다. 무통성 림프종은 여포성 림프종 (FL)을 포함할 수 있다. 무통성 림프종은 변연대 림프종을 포함할 수 있다.
NHL은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을 포함할 수 있다. NHL은 DLBCL 아형, 예컨대 데노보 DLBCL 또는 변환된 DLBCL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DLBCL은 활성화된 B 세포, 배 중심 B 세포, 그리고 이중 히트 림프종을 비롯한 상이한 기원 세포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CD20+ 암은 DLBCL, 여포성 림프종, 변연대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성 백혈병/소형 림프성 백혈병,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림프구형질세포 림프종, 원발성 종격 B-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미분류 B-세포 림프종,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또는 이식후 림프구증식병 (PTLD)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CD20+ 암 아형, 예컨대 본원에서 개시된 것들은 조직병리학, 유세포분석법, 분자 분류,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동등한 검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근거하여 분류될 수 있다.
CD20+ 암은 이중 히트 림프종 (예를 들면, MYC 및 BCL2 및/또는 BCL6 재배열을 갖는 높은 등급 C 세포 림프종)을 포함할 수 있다. CD20+ 암은 myc-재배열된 림프종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복합 요법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치료제와 함께 투여된다. 임의의 적합한 추가 치료제가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면역자극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면역자극제는 면역 세포의 저해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작용제이다. 일부 양상에서, 저해 수용체 또는 리간드는 PD-1 또는 PD-L1이다. 일부 양상에서, 상기 작용제는 항-PD-1 항체 (예를 들면, 펨브로리주맙 또는 니볼루맙), 그리고 항-PD-L1 항체 (예를 들면, 아테졸리주맙), 그리고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일부 양상에서, 상기 작용제는 펨브로리주맙이다. 일부 양상에서, 상기 작용제는 니볼루맙이다. 일부 양상에서, 상기 작용제는 아테졸리주맙이다.
표 3은 아테졸리주맙의 중쇄와 경쇄 서열을 내포한다.
표 3 아테졸리주맙 서열
서열 번호 설명 및 서열
5 >중쇄 서열
EVQLVESGGGLVQPGGSLRLSCAASGFTFSDSWIHWVRQAPGKGLEWVAWISPYGGSTYY
ADSVKGRFTISADTSKNTAYLQMNSLRAEDTAVYYCARRHWPGGFDYWGQGTLVTVSSAS
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
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KVEPKSCDKTHTCPPCPAPELLGGPS
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AST
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EEMT
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
GNVFSCSVMHEALHNHYTQKSLSLSPGK
6 >경쇄 서열
DIQMTQSPSSLSASVGDRVTITCRASQDVSTAVAWYQQKPGKAPKLLIYSASFLYSGVPS
RFSGSGSGTDFTLTISSLQPEDFATYYCQQYLYHPATFGQGTKVEIKRTVAAPSVFIFPP
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
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일부 구체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제이다. 일부 양상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추가 치료제는 항체, 펩티드모방체 및 소형 분자에서 선택된다. 일부 양상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추가 치료제는 펨브로리주맙, 니볼루맙, 아테졸리주맙, 아벨루맙, 더발루맙, 티슬레리주맙, 세미플리맙, BMS-936559, 술파모노메톡신 1, 술파메티졸 2, 그리고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추가 치료제는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Weinmann et al., Chem Med Chem, 2016, 14:1576 (DOI: 10.1002/cmdc.20150056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런 활성을 갖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치료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동일한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상이한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의 투여에 앞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의 투여 후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PD-1 및 PD-L1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동시기에 투여되지만, 상기 작용제와 항체는 별개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Bcl-2/Bcl-xL 저해제를 포함한다. Bcl-2/Bcl-xL 저해제는 베네토클락스, 나비토클락스 및/또는 AZD0466, 또는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Bcl-2/Bcl-xL 저해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동일한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Bcl-2/Bcl-xL 저해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상이한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Bcl-2/Bcl-xL 저해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의 투여에 앞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Bcl-2/Bcl-xL 저해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의 투여 후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Bcl-2/Bcl-xL 저해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와 동시기에 투여되지만, 상기 Bcl-2/Bcl-xL 저해제와 항체는 별개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투여된다.
개체 상태 및 선별
항-CD47 작용제 및 항-CD20 작용제가 투여되는, 암을 앓는 개체는 일정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개체의 선별에 이용될 수 있다. 상태는 소정의 개체가 양쪽 작용제의 투여로부터 이익을 얻을 가능성을 더 높게 만들 수 있다.
개체는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0가지 이상 이전 라인의 암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일 수 있다.
개체는 리툭시맙에 불응성일 수 있다. 개체는 리툭시맙에 저항성일 수 있다.
리툭시맙 불응성 상태는 임의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일 수 있다.
리툭시맙 불응성 상태는 최후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일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고, 그리고 적어도 2가지 이전 전신 요법을 제공받았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고, 그리고 리툭시맙-내포 섭생 후 재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섭생에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2가지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전신 요법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큰-B 세포 림프종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최전선 요법에 불응성인 데노보 또는 변환된 큰-B 세포 림프종을 앓거나, 또는 이선 구난 섭생 또는 자가 조혈 세포 이식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큰-B 세포 림프종을 앓고, 그리고 리툭시맙-내포 섭생을 포함하는 2가지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전신 요법 후 재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요법 후 불응성이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의 림프종 조직에서 CD47의 발현 수준은 검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CD47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유세포분석법, 질량 세포계산 (CyTOF)에 의한 단백질 발현, 또는 RNA 염기서열결정,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또는 다른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방법에 의한 유전자 발현일 수 있다.
CD47에 대한 검정의 실례는 DNA 검정 (전체 유전체 또는 진유전체 염기서열결정 포함), 마이크로어레이, 중합효소 연쇄 반응 (PCR), RT-PCR, 서던 블롯, 노던 블롯, 항체-결합 검정,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ELISAs), 유세포분석법, 단백질 검정, 웨스턴 블롯, 혼탁측정, 혼탁도측정,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법, 면역검정 (실례로서 하지만 제한 없이, RIA, 면역형광, 면역화학발광, 면역전기화학발광, 또는 경쟁 면역검정, 그리고 면역침전 포함)을 포함한다. 이러한 검정으로부터 정보는 정량적이고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에 보내질 수 있다. 정보는 또한, 정성적, 예컨대 관찰 패턴 또는 형광일 수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판독기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량적 척도로 번역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개체는 또한, 검정 정보 이외의 정보, 예컨대 인종,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눈 색깔, 모발 색상, 가족력, 그리고 사용자에게 유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정보, 예컨대 임상적 요인을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단백질 검출 검정은 표본으로부터 소정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검정이다. 단백질 검출 검정은 당해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그리고 면역검정, 단백질-결합 검정, 항체-기초된 검정, 항원 결합 단백질-기초된 검정, 단백질-기초된 어레이,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ELISA), 유세포분석법, 단백질 어레이, 블롯, 웨스턴 블롯, 혼탁측정, 혼탁도측정,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법, 효소 활성, 그리고 RIA, 면역형광, 면역화학발광, 면역전기화학발광, 면역전기이동, 경쟁 면역검정 및 면역침전에서 선택되는 면역검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변경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전술된 바와 같은 항체, 또는 비-변경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특정 스플라이싱 변이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한 단백질 기초된 분석이 특정 스플라이싱 변이체, 또는 다형성 또는 변경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검사 표본에서 존재, 또는 특정 스플라이싱 변이체, 또는 비-다형성 또는 비-변경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검사 표본에서 부재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형성 또는 변경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존재, 또는 비-다형성 또는 비-변경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부재는 관상 동맥 질환에 대한 감수성에 대해 진단적이다.
한 양상에서, 검사 표본에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수준 또는 양은 대조 표본에서 상기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수준 또는 양과 비교된다. 검사 표본에서 폴리펩티드의 수준 또는 양은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도록, 대조 표본에서 상기 폴리펩티드의 수준 또는 양보다 높거나 낮은데, 이것은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발현에서 변경을 지시하고 진단적이다. 대안으로, 검사 표본에서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조성은 대조 표본에서 상기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폴리펩티드의 조성과 비교된다 (예를 들면, 상이한 스플라이싱 변이체의 존재). 대조 표본에서 폴리펩티드의 조성과 비교하여, 검사 표본에서 상기 폴리펩티드의 조성에서 차이는 진단적이다. 다른 양상에서, 폴리펩티드의 수준 또는 양 및 조성 둘 모두 검사 표본에서 및 대조 표본에서 사정될 수 있다. 대조 표본과 비교하여 검사 표본에서 폴리펩티드의 양 또는 수준에서 차이; 대조 표본과 비교하여 검사 표본에서 조성에서 차이; 또는 양 또는 수준에서 차이 및 조성에서 차이 둘 모두 개체가 항-CD47 항체로 치료되어야 하는 지를 지시한다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지에 상관없이).
이에 더하여, 당업자는 전술된 방법이 일반적으로, 다형성을 포함하지 않는 마커를 검출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일부 양상에서 검정을 위해 표본이 채취되는 개체는 활성화된 B-세포 (ABC) DLBCL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검정을 위해 표본이 채취되는 개체는 비-배 중심 B 세포 (GCB) DLBCL을 앓는다. 일부 양상에서, 개체는 (정상적인) 대조에 비하여 CD47의 증가된 발현을 갖고, 그리고 항-CD47 항체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상기 개체는 ABC 또는 비-배 중심 B 세포 (GCB) DLBCL을 앓는다. ABC 또는 GCB 상태의 결정은 예를 들면,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투약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조성물, 다시 말하면,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항체 및 임의적으로, 추가 작용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전술된 바와 같이, 표적화된 세포를 실제적으로 제거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것을 달성하는데 적합한 양은 전체 생존율에서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으로서 규정된다. 조성물의 단일 또는 복수 투여는 필요에 따른 및 환자에 의해 용인된 용량과 빈도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치료에 이용되는 특정 용량은 포유동물의 의학적 상태와 병력뿐만 아니라 다른 인자, 예컨대 연령, 체중, 성별, 투여 루트, 효율 등에 의존할 것이다.
암의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조합된 작용제의 유효 용량은 투여 수단, 표적 부위, 환자의 생리학적 상태, 환자가 인간 또는 동물인지의 여부, 투여된 다른 약제, 그리고 치료가 예방적 또는 치료적인지의 여부를 비롯한 많은 상이한 인자에 따라 변한다. 통상적으로, 환자는 인간이지만, 비인간 포유동물, 예컨대 반려 동물, 예컨대 개, 고양이, 말 등, 실험실 포유동물, 예컨대 토끼, 생쥐, 쥐 등, 기타 등등 역시 치료될 수 있다. 치료 용량은 안전성 및 효능을 최적화하도록 적정될 수 있다.
항-CD47 항체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이용되는 특정한 작용제에 의존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약 20 mg/체중 kg 또는 그 이상 (예를 들면, 약 20 mg/kg 또는 그 이상, 약 25 mg/kg 또는 그 이상, 약 30 mg/kg 또는 그 이상, 약 35 mg/kg 또는 그 이상, 약 40 mg/kg 또는 그 이상, 약 45 mg/kg 또는 그 이상, 약 50 mg/kg 또는 그 이상, 또는 약 55 mg/kg 또는 그 이상, 또는 약 60 mg/kg 또는 그 이상, 또는 약 65 mg/kg 또는 그 이상, 또는 약 70 mg/kg 또는 그 이상), 또는 약 20 mg/kg 내지 약 70 mg/kg (예를 들면, 약 20 mg/kg 내지 약 67.5 mg/kg, 또는 약 20 mg/kg 내지 약 60 mg/kg)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20, 30, 45, 60, 또는 67.5 mg/kg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20 내지 60 mg/kg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20 내지 67.5 mg/kg이다.
항-CD47 항체의 용량은 편평 용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편평 용량은 특정 개체의 체중과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편평 용량은 특정 체중 범위, 예를 들면, 100 kg 이하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첫 번째 범위; 또는 100 kg 이상의 두 번째 범위의 범위에 들어가는 특정 개체의 체중에 근거하여 제공될 수 있다. 편평 용량은 예를 들면, 1000-5000, 2000-4000, 2000-3500, 2400-35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2400, 2500, 2600, 2700, 2800, 2900, 3000, 3100, 3200, 3300, 3400, 35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4400, 4500, 4600, 4700, 4800, 4900, 5000 mg, 또는 이들의 중간 숫자의 mg일 수 있다.
투여된 조성물의 특정 혈청 수준을 달성하고 및/또는 유지하는데 필요한 용량은 투약 사이에 시간의 양에 비례하고, 그리고 투여된 투약의 횟수에 역비례한다. 따라서, 투약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필요 용량이 감소한다. 투약 전략의 최적화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고 실시될 것이다. 예시적인 치료 섭생은 2 주마다 1회 또는 월 1회 또는 3 내지 6 개월마다 1회 투여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치료적 실체는 통상적으로, 여러 번에 걸쳐 투여된다. 단일 용량 사이에 간격은 주 1회, 월 1회 또는 연 1회일 수 있다. 간격은 또한, 환자에서 치료적 실체의 혈액 수준을 계측함으로써 지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치료적 실체는 지속된 방출 제제로서 투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례에서는 덜 빈번한 투여가 이용된다. 용량과 빈도는 환자에서 폴리펩티드의 반감기에 따라서 변한다.
"유지 용량"은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되도록 의도되는 용량이다. 예를 들면,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에서, 복수의 상이한 유지 용량이 상이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용량 중에서 일부는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일 수 있고, 그리고 다른 것들은 치료이하 용량일 수 있다.
방지적 적용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이 긴 기간에 걸쳐 상대적으로 드문 간격에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환자는 그들의 여생 동안 치료를 계속 제공받는다. 다른 치료적 적용에서, 질환의 진행이 감소되거나 또는 종결될 때까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질환의 증상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개선을 보여줄 때까지, 상대적으로 짧은 간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용량이 때때로 이용된다. 그 후에, 환자는 예방적 섭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암종, 혈액암, 흑색종, 육종, 신경교종 등을 비롯한 암의 종양 성장, 종양 전이 또는 종양 침습을 치료하거나, 감소시키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지적 적용을 위해, 제약학적 조성물 또는 약제는 질환, 이의 합병증 및 질환의 발달 동안 나타나는 중간 병리학적 표현형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행태적 증상을 비롯하여, 질환의 위험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질환의 심각도를 줄이거나, 또는 질환의 착수를 지연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질환에 감수성인 또는 만약 그렇지 않으면, 질환의 위험에 처해 있는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조합된 작용제의 독성은 예를 들면, LD50 (개체군의 50%에 치명적인 용량) 또는 LD100 (개체군의 100%에 치명적인 용량)을 결정함으로써, 세포 배양액 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 제약학적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독성과 치료 효과 사이에 용량 비율은 치료 지수이다. 이들 세포 배양 검정 및 동물 연구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인간에서 이용 시에 독성이 아닌 용량 범위를 공식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단백질의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유효 용량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용량은 이용된 약형 및 활용된 투여 루트에 따라, 이러한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정확한 제제, 투여 루트 및 용량은 환자의 상태에 비추어 개별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프라이머 작용제 및 초회감작 용량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의 일부 구체예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기에 앞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투여된다. 적합한 프라이머 작용제는 적혈구생성-자극제 (ESA) 및/또는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포함한다. 초회감작 작용제를 투여하고, 그리고 망상적혈구 생산에서 증가에 효과적인 기간을 허용한 이후에, 항-CD47 항체의 치료 용량이 투여된다. 투여는 본원에서 특정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되는 공동계류중인 특허 출원 USSN 14/769,069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합 작용제의 투여는 환자 헤마토크리트를 증가시키는 작용제, 예를 들면, 에리트로포이에틴 자극제 (ESA)의 유효 용량과 조합된다. 예를 들면, 아라네습→ (다베포에틴 알파), 에포젠→NF/프로크리트→NF (에포에틴 알파), 오몬티스→ (페기네사티드), 프로크리트→ 등을 비롯한, 이런 작용제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이용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초회감작 용량"은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RBCs의 심각한 상실 (감소된 헤마토크리트 또는 감소된 혈색소)을 유발하지 않도록,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작용제의 투여에 대해 개체를 초회감작하는 항-CD47 작용제의 용량을 지칭한다. 항-CD47 작용제의 특정한 온당한 초회감작 용량은 이용되는 작용제의 성격 및 다양한 개체-특이적 인자 (예를 들면, 연령, 체중 등)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항-CD47 작용제의 적합한 초회감작 용량의 실례는 약 0.5 mg/kg 내지 약 5 mg/kg, 약 0.5 mg/kg 내지 약 4 mg/kg, 약 0.5 mg/kg 내지 약 3 mg/kg, 약 1 mg/kg 내지 약 5 mg/kg, 약 1 mg/kg 내지 약 4 mg/kg, 약 1 mg/kg 내지 약 3 mg/kg, 약 1 mg/kg, 약 2 mg/kg, 약 3 mg/kg, 약 4 mg/kg, 약 5 mg/kg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초회감작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1 mg/kg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의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약 0.5 내지 약 5 mg/kg의 항체의 범위에서 변하는 초회감작 용량, 임의적으로 1 mg/kg의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약 20 내지 약 67.5 mg/kg의 항체의 범위에서 변하는 용량, 임의적으로 20 mg/kg의 항체, 30 mg/kg의 항체, 45 mg/kg의 항체, 60 mg/kg의 항체, 또는 67.5 mg/kg의 항체의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된다.
항-CD47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은 편평 초회감작 용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편평 초회감작 용량은 특정 개체의 체중과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편평 초회감작 용량은 특정 체중 범위, 예를 들면, 100 kg 이하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첫 번째 범위; 또는 100 kg 이상의 두 번째 범위의 범위에 들어가는 특정 개체의 체중에 근거하여 제공될 수 있다. 편평 초회감작 용량은 예를 들면, 10-200, 50-100, 70-90, 75-85,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또는 200 mg, 또는 이들의 중간 숫자의 m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의 항-CD47 작용제를 개체에게 투여하기에 앞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투여된다. 적합한 프라이머 작용제는 적혈구생성-자극제 (ESA) 및/또는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작용제를 포함한다. 초회감작 작용제를 투여하고, 그리고 망상적혈구 생산에서 증가에 효과적인 기간을 허용한 이후에, 항-CD47 작용제의 치료 용량이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 용량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투여된 후,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의 2회 또는 그 이상 용량으로서 투여되고, 다른 것들에서는 이들 용량이 동등하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Hu-5F9G4의 효과적인 초회감작 용량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인간에게 효과적인 초회감작 용량은 대략 1 mg/kg, 예를 들면, 적어도 약 0.5 mg/kg으로부터 많아야 약 5 mg/kg까지; 적어도 약 0.75 mg/kg으로부터 많아야 약 1.25 mg/kg까지; 적어도 약 0.95 mg/kg으로부터 많아야 약 1.05 mg/kg까지이고; 그리고 대략 1 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CD47 결합 작용제의 초기 용량은 적어도 약 2 시간, 적어도 약 2.5 시간, 적어도 약 3 시간, 적어도 약 3.5 시간, 적어도 약 4 시간, 적어도 약 4.5 시간, 적어도 약 5 시간, 적어도 약 6 시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주입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초기 용량은 약 2.5 시간 내지 약 6 시간; 예를 들면, 약 3 시간 내지 약 4 시간의 기간에 걸쳐 주입된다. 일부 이런 구체예에서, 주입액에서 작용제의 용량은 약 0.05 mg/ml 내지 약 0.5 mg/ml; 예를 들면, 약 0.1 mg/ml 내지 약 0.25 mg/ml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초회감작 용량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피하 루트, 주사에 의해, 패치, 삼투성 펌프, 기타 등등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초회감작 작용제를 투여하고, 그리고 망상적혈구 생산에서 증가에 효과적인 기간을 허용한 이후에, 항-CD47 작용제의 치료 용량이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 용량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예를 들면, 주 1회 투약 일정에서 투여된 후,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의 2회 또는 그 이상 용량으로서 투여되고, 다른 것들에서는 이들 용량이 동등하다.
다른 구체예에서, CD47 결합 작용제의 초기 용량, 예를 들면, 초회감작 용량은 예를 들면, 삼투성 펌프, 전달 패치 등으로서 연속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데, 여기서 상기 용량은 적어도 약 6 시간, 적어도 약 12 시간, 적어도 약 24 시간, 적어도 약 2 일, 적어도 약 3 일의 기간에 걸쳐 투여된다. 많은 이런 시스템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다. 예를 들면, DUROS 기술은 피스톤에 의해 분리된 이중 구획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들 구획 중에서 하나는 과잉의 고체 NaCl로 특이적으로 만들어진 삼투성 엔진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이것은 전달 기간 내내 존속하고 일정한 삼투성 구배를 유발한다. 상기 구획은 또한, 물이 삼투성 엔진 내로 끌려 들어오고, 그리고 조직수 및 삼투성 엔진 사이에 크고 일정한 삼투성 구배를 확립하는, 한쪽 단부 상에 반투과성 막으로 구성된다. 다른 구획은 약물이 삼투성 구배로 인해 방출되는 구멍을 갖는 약물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인간에서 이식될 때 부위 특이적 전달 및 전신 약물 전달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람직한 이식 부위는 위팔의 내부에서 피하 배치이다.
초회감작 작용제를 투여하고, 그리고 망상적혈구 생산에서 증가에 효과적인 기간을 허용한 이후에, 항-CD47 항체의 치료 용량이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 용량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라이머 작용제가 예를 들면, 주 1회 투약 일정에서 투여된 후, 2회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의 치료적으로 유효 용량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농도의 2회 또는 그 이상 용량으로서 투여되고, 다른 것들에서는 이들 용량이 동등하다. 초회감작 투약 후 적혈구응집이 감소한다.
투약 주기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거나 또는 인간 개체에서 CD20+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a) 항-CD47 항체를 체중의 kg당 10 mg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항체의 용량에서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b) 항-CD20 항체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적어도 1회의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는 1회 또는 그 이상의 주기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주기는 첫 번째 투약 계획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1회 또는 그 이상의 차후 주기는 첫 번째 주기와 상이한 (또는 동일한) 투약 계획(들)을 가질 수 있다.
항-CD47 항체는 소정의 주기에서, 체중의 kg당 약 20 내지 약 67.5 mg의 항체, 임의적으로 체중의 kg당 20 내지 30 mg의 항체, 임의적으로 체중의 kg당 20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30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45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60 mg의 항체, 또는 체중의 kg당 67.5 mg의 항체의 범위에서 변하는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항-CD47 항체는 소정의 주기에서, 예를 들면, 주 1회, 2 주마다 1회, 또는 3 주마다 1회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체중의 kg당 10 mg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항체의 용량에서 항-CD47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기에 앞서, 소정의 주기에서 상기 개체에 항-CD47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 초회감작 용량은 체중의 kg당 1 mg 항체일 수 있다. 초회감작 용량은 약 3 시간 동안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항-CD47 항체는 1 일자에서 체중의 kg당 1 mg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 그 이후에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 항체의 용량을 포함하는 첫 번째 주기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첫 번째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첫 번째 주기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주 1회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항-CD47 항체는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 항체의 용량을 포함하는 두 번째 주기에서 투여될 수 있다. 두 번째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두 번째 주기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4 주마다 1회 투여될 수 있다.
추가 주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 임의적으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0회 이상의 추가 주기가 이용될 수 있다.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의 투약 섭생은 두 번째 주기와 동일할 수 있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상기 투약 섭생의 항-CD20 항체 부분은 총 6회 주기를 완결한 후 중단된다. 임의적으로 소정의 주기의 항-CD20 부분은 예를 들면, 월 1회 또는 2 개월마다 1회 투약 프로토콜을 추구함으로써, 총 6회 주기를 완결한 후 지속될 수 있다.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일 수 있다.
인간 개체에서 암을 치료하거나 또는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암은 적어도 CD20+ 암, B 세포 암, 비호지킨 림프종 (NHL), 무통성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FL), 변연대 림프종, 또는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중에서 한 가지일 수 있다.
인간 개체에서 CD20+ 암을 치료하거나 또는 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Hu5F9-G4인 항-CD47 항체 및 리툭시맙인 항-CD20 항체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CD20+ 암은 적어도, B 세포 암, 비호지킨 림프종 (NHL), 무통성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FL), 변연대 림프종, 또는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중에서 한 가지일 수 있다.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NHL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무통성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변연대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본원에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예를 들면, Hu5F9-G4) 및 항-CD20 항체 (예를 들면, 리툭시맙)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적어도 30 m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예를 들면,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추가 주기 (예를 들면,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열 번째 등)로서 반복될 수 있다.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는 그 대신에,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예를 들면, CR 또는 사망을 통해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상기와 같이 개체에게 계속 투여될 것이다. 항-CD47 항체는 Hu5F9-G4일 수 있다.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일 수 있다.
투여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에서, 조성물, 예를 들면, 항-CD47 항체 및 임의적으로, 추가 작용제가 개체에게 투여된다. 이들 조성물은 비경구, 국소, 정맥내, 복강내, 종양내, 경구, 피하, 동맥내, 두개내, 복막내, 비내 또는 근육내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록 다른 루트가 동등하게 효과적일 수 있긴 하지만, 전형적인 투여 루트는 정맥내 또는 종양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 및/또는 추가 작용제는 복강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 및/또는 추가 작용제는 정맥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 및/또는 추가 작용제는 종양내 투여된다. 한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이 투여되고, 그리고 이러한 초회감작 용량은 피하 전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 및 추가 작용제는 동시에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 및 추가 작용제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이들 활성제는 숙주에서 암 세포의 고갈에 대한 부가 또는 상승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간 내에 투여된다. 투여 방법은 전신 투여, 종양내 투여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항-CD47 항체는 약 45 일, 약 30 일, 약 21 일, 약 14 일, 약 10 일, 약 8 일, 약 7 일, 약 6 일, 약 5 일, 약 4 일, 약 3 일, 약 2 일, 약 1 일의 기간 이내에, 또는 추가 작용제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일자에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추가 작용제에 앞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항체는 추가 작용제 후 투여된다. 이들 작용제는 만약 투여 일정관리가 양쪽 작용제의 혈청 수준이 동시에 치료 수준에 있도록 하는 그런 것이면, 조합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암 세포 개체군의 고갈을 위해, 필요에 따라 투여가 반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항체는 의학 전문가, 임의적으로 의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항체는 개체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임상적 종결점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기준선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향상된 종결점을 유발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객관적인 반응 (OR)을 유발할 수 있다. 객관적인 반응은 Cheson, Lugano, 또는 유사한 NHL 반응 기준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부분적인 반응 또는 완전 관해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질병 관리를 유발할 수 있다. 질병 관리는 안정된 질환 플러스 객관적인 반응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부분적인 반응 (PR)을 유발할 수 있다. PR은 종양 병변의 완전한 소멸 없이, 영상화 기준 (CT 또는 PET/CT)에 의해, 종양의 적어도 50% 위축이다. PET/CT 기준에 의해, PR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거나, 또는 임의의 크기의 기준선 및 잔여 질량과 비교하여 감소된 물질대사 흡수에 의한다 (Lugano criteria, Cheson et al., JCO 2014).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완전한 반응 (CR)을 유발할 수 있다. Cheson et al., JCO 2014.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안정된 질환 (SD)을 유발할 수 있다. Cheson et al., JCO 2014.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기준선에 비하여 개체의 암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여기서 기준선은 항-CD47 항체의 투여에 앞서 결정된다.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개체에서 리툭시맙에 불응의 반전을 유발할 수 있다.
제약학적 조성물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항-CD47 항체 및/또는 추가 작용제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들 조성물은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 중에서 어느 하나로서 주사가능물질로서 제조된다; 주사에 앞서 액체 운반제에서 용해 또는 현탁에 적합한 고체 형태 역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물은 또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증강된 어쥬번트 효과를 위해 리포솜 또는 마이크로 입자, 예컨대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또는 공중합체 내에 유화되거나 또는 캡슐화될 수 있다. Langer, Science 249: 1527, 1990 및 Hane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8: 97-119, 1997. 본 발명의 작용제는 활성 성분의 지속된 또는 박동성 방출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조제될 수 있는 저장소 주사 또는 이식 제조물의 형태에서 투여될 수 있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무균이고, 실제적으로 등장성이고, 그리고 미국 식품의약국의 모든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 (GMP)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도록 조제된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 다양한 단위 약형에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한 단위 약형은 분말, 정제, 알약, 캡슐 및 로젠지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때, 소화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분자를 조성물과 복합화하여 이들이 산성 및 효소적 가수분해에 저항하도록 만듦으로써, 또는 이들 분자를 적절하게 내성인 담체, 예컨대 리포솜 또는 보호 장벽 내에 포장함으로써 달성된다. 작용제를 소화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은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다.
투여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바람직하게는 수성 담체에서 용해되는 항체 또는 다른 절제제를 포함할 것이다. 다양한 수성 담체, 예를 들면, 완충된 식염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용액은 무균이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이 없다. 이들 조성물은 전통적인, 널리 공지된 살균 기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조성물은 생리학적 상태에 근접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 물질, 예컨대 pH 조정제 및 완충제, 독성 조정제 등, 예를 들면,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유산나트륨 등을 내포할 수 있다. 이들 제제에서 활성제의 농도는 폭넓게 변할 수 있고, 그리고 선택된 특정 투여 방식 및 환자의 요구에 따라서, 유체 체적, 점성, 체중 등에 일차적으로 기초하여 선별될 것이다 (예를 들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 1980) 및 Goodman & Gillma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Hardman et al., eds., 1996)).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고, 그리고 바람직한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부형제를 의미하고, 그리고 수의학적 용도뿐만 아니라 인간 제약학적 용도를 위해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이런 부형제는 고체, 액체, 반고체,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경우에, 가스일 수 있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에스테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고 원하는 약리학적 성질을 갖는 염과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이런 염은 화합물 내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할 수 있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는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무기 염은 알칼리 금속, 예컨대 나트륨 및 칼륨, 마그네슘, 칼슘, 그리고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유기 염은 유기 염기, 예컨대 아민 염기, 예를 들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N 메틸글루카민 등으로 형성된 것들을 포함한다. 이런 염은 또한, 무기 산 (예를 들면, 염화수소산 및 브롬화수소산) 및 유기 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 구연산, 말레산, 그리고 알칸- 및 아렌-술폰산, 예컨대 메탄술폰산 및 벤젠술폰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는 화합물, 예컨대 C1-6 알킬 에스테르 내에 존재하는 카르복시, 술포닐옥시 및 포스포노옥시 기로부터 형성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2개의 산성 기가 존재할 때,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는 모노-산-모노-염 또는 에스테르, 또는 디-염 또는 에스테르일 수 있다; 그리고 유사하게, 2개 이상의 산성 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런 기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는 염화 또는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명된 화합물은 비염화 또는 비에스테르화 형태, 또는 염화 및/또는 에스테르화 형태에서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이런 화합물의 명명은 본래 (비염화와 비에스테르화) 화합물 및 이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에스테르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명명된 일정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입체이성질체 형태에서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이런 화합물의 명명은 모든 단일 입체이성질체 및 이런 입체이성질체의 모든 혼합물 (라세미인지 또는 다른 것인 지에 상관없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생리학적으로 내약성" 및 이들의 문법적 변이체는 이들이 조성물, 담체, 희석제 및 시약을 지칭할 때 교체가능하게 이용되고, 그리고 이들 물질이 조성물의 투여를 금지시킬 정도까지 바람직하지 않은 생리학적 효과의 발생 없이 인간에게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키트
활성제, 예를 들면, 항-CD47 항체 및 임의적으로, 추가 작용제, 그리고 이들의 제제, 그리고 사용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다. 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시약, 예를 들면, 항-CD20 작용제, 예컨대 리툭시맙을 더욱 내포할 수 있다. 키트는 전형적으로, 키트의 내용물의 의도된 용도를 지시하는 표지를 포함한다. 용어 표지는 키트 상에 또는 키트와 함께 공급되거나, 또는 만약 그렇지 않으면, 키트에 동반되는 임의의 서면 또는 기록된 자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방법에서 이용을 위한 키트 역시 제공된다. 요지 키트는 프라이머 작용제 및 항-CD47 작용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키트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프라이머 작용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키트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항-CD47 작용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라이머 작용제는 한 가지 약형 (예를 들면, 초회감작 약형)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라이머 작용제는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약형 (예를 들면,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초회감작 약형)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는 한 가지 약형 (예를 들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약형)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항-CD47 작용제는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약형 (예를 들면,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약형)에서 제공된다. 키트의 맥락에서, 프라이머 작용제 및/또는 항-CD47 작용제는 임의의 편의한 포장 (예를 들면, 스틱 팩, 투약 팩 등)에 담긴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성분에 더하여, 요지 키트는 요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사용설명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구체예에서). 이들 사용설명서는 요지 키트 내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이 상기 키트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사용설명서가 존재할 수 있는 한 가지 형태는 키트의 포장, 포장 삽입물 등에서 적절한 매체 또는 기판, 예를 들면, 정보가 인쇄된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종이 상에 인쇄된 정보로서 이다. 이들 사용설명서의 또 다른 형태는 정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면, 디스켓, 콤팩트 디스크 (CD), 플래시 드라이브 등이다. 존재할 수 있는 이들 사용설명서의 또 다른 형태는 인터넷을 통해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이다.
서열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본원에서 설명된 서열을 갖는 항체; 예를 들면, 본원에서 설명된 중쇄, 경쇄 및/또는 CDR 서열의 투여를 포함한다. 투여된 항체의 서열은 예를 들면, 본원에서 설명된 서열과 적어도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할 수 있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핵산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의 맥락에서, 용어 "동일성" 퍼센트는 아래에 설명된 서열 비교 알고리즘 (예를 들면, BLASTP 및 BLASTN 또는 당업자에게 가용한 다른 알고리즘) 중에서 한 가지를 이용한 계측에 의해 또는 시각적 검사에 의해 비교되고 최대 상응하도록 정렬될 때, 동일한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잔기의 특정된 백분율을 갖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서열 또는 하위서열을 지칭한다. 적용에 따라서, "동일성" 퍼센트는 예를 들면, 기능적 도메인에 걸쳐 비교되는 서열의 영역에 걸쳐 존재하거나, 또는 대안으로, 비교되는 두 서열의 전장에 걸쳐 존재할 수 있다.
서열 비교를 위해, 전형적으로 한 서열은 검사 서열이 비교되는 참조 서열로서 행동한다. 서열 비교 알고리즘을 이용할 때, 검사 서열 및 참조 서열은 컴퓨터 내로 입력되고, 필요하면, 하위서열 좌표가 지정되고, 그리고 서열 알고리즘 프로그램 파라미터가 지정된다. 서열 비교 알고리즘은 이후, 지정된 프로그램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참조 서열에 비하여 검사 서열(들)에 대한 서열 동일성 퍼센트를 계산한다.
비교를 위한 서열의 최적 정렬은 예를 들면, Smith & Waterman, Adv. Appl. Math. 2:482 (1981)의 국부 상동성 알고리즘에 의해, Needleman & Wunsch, J. Mol. Biol. 48:443 (1970)의 상동성 정렬 알고리즘에 의해, Pearson & Lipman, Proc. Nat'l. Acad. Sci. USA 85:2444 (1988)의 유사성에 대한 검색 방법에 의해, 이들 알고리즘의 컴퓨터화 실행 (Wisconsin Genetics Software Package, Genetics Computer Group, 575 Science Dr., Madison, Wis.에서 GAP, BESTFIT, FASTA 및 TFASTA)에 의해, 또는 시각적 검사 (참조: 일반적으로 Ausubel et al., 하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열 동일성과 서열 유사성 퍼센트를 결정하는데 적합한 알고리즘의 한 가지 실례는 BLAST 알고리즘인데, 이것은 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410 (1990)에서 설명된다. BLAST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미국 국립 생물공학 정보 센터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www.ncbi.nlm.nih.gov/>)를 통해 공개적으로 가용하다.
실시예
아래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한 구체예의 실례이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용된 숫자 (예를 들면, 양, 온도 등)에 대하여 정확도를 담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일부 실험 오차와 편차가 당연히 허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는 별도로 지시되지 않으면, 당해 분야의 기술 내에 단백질 화학, 생화학, 재조합 DNA 기술 및 약리학의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할 것이다. 이런 기술은 기존 문헌에서 충분히 설명된다. 참조: 예를 들면, T.E. Creighton, Proteins: Structures and Molecular Properties (W.H. Freeman and Company, 1993); A.L. Lehninger, Biochemistry (Worth Publishers, Inc., current addition);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1989); Methods In Enzymology (S. Colowick and N. Kaplan eds., Academic Press, Inc.);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Easton, Pennsylvania: Mack Publishing Company, 1990); Carey and Sundberg Advanced Organic Chemistry 3 rd Ed. (Plenum Press) Vols A and B(1992).
실시예 1: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인간 환자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
도입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미국과 유럽에서 가장 흔한 암 중에서 한 가지인데, 매년 각각 70,000건 이상 및 93,000건 이상의 새로운 사례가 진단된다. 미만성 큰 B-세포 림프종 (DLBCL)은 높은 재발률 및 불량한 장기 생존을 갖는, NHL의 공격적 아형이다. 이에 더하여, 재발했거나 또는 리툭시맙에 불응성인 무통성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 대해 극소수의 치료 옵션만이 가용하다. 이들 시급하지만 아직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신규하고 효과적인 요법이 요구된다. Hu5F9-G4는 항포식 세포 표면 단백질인 CD47을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비임상 연구는 이러한 항체를 통한 CD47 신호전달의 차단이 대식세포에 의한 식균작용을 조장하는 것을 통해, NHL을 비롯한 인간 종양 세포를 제거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추가 비임상 연구는 항-CD47 항체가 리툭시맙을 비롯한 Fc 수용체-활성화 항암 항체와 협력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Hu5F9-G4 및 리툭시맙 (항-CD20 단일클론 항체)으로 복합 요법은 NHL의 비임상 모형에서 어느 한 쪽 작용제 단독과 비교하여 상승적 항암 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임상 1b/2상 단계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NHL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안전성과 내약성 및 투약 전략을 확립한다. Hu5F9-G4 및 리툭시맙은 둘 모두 정맥내 투여되었다. 초기에, 이러한 임상 시험은 완전 용량의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감소된 시작 용량의 Hu5F9-G4를 활용하였다. 차후 용량 코호트는 Hu5F9-G4의 용량이 확대되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항체 조합으로 예비적 항암 활성이 조사되었다.
환자 적격
포함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1. 성인 ≥ 18 세
2. 오직 임상 1b상 단계: 면역조직화학 (IHC) 또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CD20을 발현하는 B-세포 NHL, 적어도 2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
3. DLBCL 임상 2상 단계 코호트: IHC 또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CD20을 발현하는 조직학적으로 확증된 데노보 또는 변환된 DLBCL, 최전선 요법에 불응성; 또는 이선 구난 섭생 또는 자가 조혈 세포 이식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
4. 무통성 림프종 임상 2상 단계 코호트: IHC 또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CD20을 발현하는 조직학적으로 확증된 변연대 또는 여포성 림프종 (등급 1-3a), 적어도 2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
5. 동부 종양학 협력 그룹 (ECOG) 점수 0-2
6. 림프종에 대한 루가노 분류에 따라서 반응에 대해 계측가능한 또는 사정가능한 질환
7. 실험실 계측, 혈구 수치:
○ 헤모글로빈 ≥ 9.5 g/dL
○ 절대 호중구 수치 (ANC) ≥ 1.0 x 109/mL
○ 혈소판 ≥ 50 x 109/mL
8. 실험실 계측, 간 기능:
○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 (AST)/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 (ALT) < 5 x 정상치 상한 (ULN)
○ 빌리루빈 ≤ 1.5 x 또는 3.0 x ULN, 그리고 만약 환자가 길버트 증후군 또는 유전적 등가물의 문서화된 이력을 가지면, 주로 결합되지 않음
9. 실험실 계측, 신장 기능:
○ 혈청 크레아티닌 ≤ 1.5 x ULN 또는 계산된 사구체 여과율 (GFR) > 40 mL/분/1.73 m2
10.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 등록 전 30 일 이내 및 Hu5F9-G4의 첫 번째 투여 전 72 시간 이내에 음성 소변 또는 혈청 임신 검사.
11.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연구 동안, 그리고 리툭시맙의 최종 투약 후 12 개월 또는 Hu5F9-G4의 최종 투약 후 4 개월 (어느 쪽이든 뒤에 발생하는 것) 동안 1가지 고도로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이용할 용의가 있어야 한다.
12. 남성은 만약 파트너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라면, 연구 동안, 그리고 리툭시맙의 최종 투약 후 12 개월 또는 Hu5F9-G4의 최종 투약 후 4 개월 (어느 쪽이든 뒤에 발생하는 것) 동안 1가지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이용할 용의가 있어야 한다.
13. 개체는 사전 동의서를 제공하였다.
14. 연구 프로토콜에서 개설된 진료소 방문과 절차를 준수할 용의가 있고 준수할 수 있어야 한다.
15. 오직 임상 2상 단계: 만약 시험자에 의해 실현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이유는 생검을 위한 접근가능한 종양 조직의 결여 및 환자 안전성 문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가 아니라면, 1번의 의무적인 치료전 종양 생검 및 1번의 치료중 종양 생검에 동의할 용의가 있음
배제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1. 활성 뇌 전이를 앓는 환자. (적어도 3 주 동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을 중단하는, 안정된 치료된 중추신경계 [CNS] 병변을 앓는 환자는 활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2. Hu5F9-G4 투약 (최대 4 주까지)에 앞서 2 주 이내에 또는 적어도 4 반감기 이내에 (어느 쪽이든 더욱 긴 것) 화학요법, 호르몬 요법, 또는 치료 시험약을 포함하는 이전 항암 요법. 모든 상황에서, 최대로 필요한 체외배출 기간은 Hu5F9-G4로 첫 번째 치료의 일자에 앞서 4 주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낮은 용량 스테로이드 (하루에 경구 프레드니손 또는 등가물 ≤ 20 mg), 국부화된 비-CNS 방사선요법, 전립선암을 위한 LHRH 효현제로 기존의 호르몬 요법, 그리고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RANKL 저해제로 치료는 배제 기준이 아니다.
3. 공지된 활성 또는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 감염 또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4. 선별검사에 앞서 4-주 기간 동안 2 단위 이상의 RBC 수혈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규정된 적혈구 (RBC) 수혈 의존. 헤모글로빈 포함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RBC 수혈은 선별검사 동안 및 등록에 앞서 허용된다.
5. 최근 3 개월 내에 용혈성 빈혈 또는 이반 증후군의 이력.
6. 양성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 (DAT).
7. CD47 또는 신호 조절 단백질 알파 (SIRPα) 표적화 작용제로 이전 치료.
8. 치료된 기저 세포 또는 국부화된 편평상피 피부 암종, 국부화된 전립선암, 또는 환자가 배제 기준 2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활성 항암 요법을 받고 있지 않은 다른 악성종양을 제외하고, 이차성 악성종양.
9. 활성 물질, 뮤린 단백질, 또는 하기에서 열거된 리툭시맙의 다른 부형제 중에서 어느 것에 대한 과민성: RITUXAN® (리툭시맙) 처방 정보 http://www.gene.com/download/pdf/rituxan_prescribing.pdf; MabThera® (리툭시맙) 처방 정보 http://www.ema.europa.eu/docs/en_GB/document_library/EPAR_-_Product_Information/human/000165/WC500025821.pdf. 각 연결은 2017년 4월 27일까지의 것이다.
10. 연구에 참가할 때의 위험 편익 비율을 실제적으로 증가시킬 시험자 및 후원자에 의해 사정된, 유의미한 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 이것은 최근 6 개월 이내에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 협심증, 통제되지 않는 진성 당뇨병, 유의미한 활성 감염, 심하게 면역손상된 상태, 그리고 울혈성 심부전 뉴욕 심장 학회 (NYHA) 부류 II-IV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프로토콜 요건을 준수하거나 또는 사전 동의서를 제공하는 능력을 간섭할 가능성이 높은 정신 질환 또는 약물 남용의 이력.
12. 임신 또는 능동성 모유 영양.
연구 목적
일차 목적
(1)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안전성과 내약성의 조사, 그리고 이것에 대한 임상 2상 단계 투약의 정의.
(2) 임상 2상 단계에서, 전체 반응률 (ORR)에 의해 계측될 때 무통성 림프종 및 DLBCL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효능의 평가.
이차 목적
(1) 임상 1b상 및 2상 단계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약동학적 (PK) 프로필의 평가.
(2) 임상 1b상 및 2상 단계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면역원성의 평가.
(3) 임상 2상 단계에서, 반응의 지속 기간, 최고 전체 반응, 진행 없는 생존, 그리고 전체 생존에 의해 계측될 때 무통성 림프종 및 DLBCL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효능의 평가.
(4) 림프종에 대한 LYRIC 기준에 따른 반응률의 평가.
탐구 목적
(1)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면역 세포 효능 및 종양 침투의 생물마커의 사정.
(2) NHL의 분자 아형에서 효능의 사정.
종결점
일차
(1) NCI CTCAE, 버전 4.03에 따른 용량 제한 독성 (DLTs) (오직 임상 1b상 단계) 및 부작용 (AEs).
(2) 임상 2상 단계: 림프종에 대한 루가노 분류에 따른 객관적인 반응.
이차
(1) 임상 1b상 및 2상 단계: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에 대한 농도 대 시간 계측, 그리고 최대 혈장 농도 (C최대), 최고 농도까지 시간 (T최대), 종말 반감기 (t1/2), 곡선 아래 면적 (AUC), 소실 (CL) 및 종말 단계 동안 분포 용적 (Vz)을 포함하는 PK 파라미터.
(2) 임상 1b상 및 2상 단계: Hu5F9-G4 및 리툭시맙에 대한 항약물 항체.
(3) 임상 2상 단계: 반응의 지속 기간 (DOR), 최고 전체 반응 (BOR), 진행 없는 생존 (PFS), 그리고 전체 생존 (OS).
(4) 림프종에 대한 LYRIC 기준에 따른 객관적인 반응.
탐구
(1) 적용가능한 경우에, 말초 RBCs 및 백혈구 (WBCs), 그리고 림프종 세포 상에서 CD47 수용체 점유.
(2) 순환하는 사이토킨 프로필, 순환하는 T 세포 상에서 T-세포 수용체 염기서열결정, 순환하는 백혈구의 질량 세포계산 (CyTOF)/유세포분석법, 그리고 T-세포 활성화 연구를 잠재적으로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Hu5F9-G4 생물학적 활성의 약력학적 마커.
(3) 종양 생검을 겪는 환자에서, 종양 세포의 Hu5F9-G4 포화, 그리고 대식세포 및 T-세포 종양 침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종양 미세환경에서 변화.
(4) 종양 생검을 겪는 환자에서, DLBCL에서 기원 세포 및 BCL2, BCL6과 MYC 돌연변이/발현 상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NHL의 분자 아형에 항암 반응의 상관.
개입 및 전달 방식
Hu5F9-G4는 CD47에 대항하는 인간화 단일클론 항체이고, 그리고 리툭시맙은 CD20에 대항하는 키메라 단일클론 항체이다. 양쪽 약물은 정맥내 투여되었다. Hu5F9-G4는 모든 임상 1b상 단계 주기 동안 1, 8, 15 및 22 일자에서 투여되었고, 반면 리툭시맙은 첫 번째 주기 동안 8, 15 및 22 일자, 그 이후에 2-6번째 주기 동안 1 일자에서 투여되었다.
개입의 지속 기간 및 평가
임상 1b/2상 단계: 본 연구의 임상 1b상 단계 부분집합의 경우에, 환자는 표준 3+3 용량 증가 설계에서 Hu5F9-G4 및 리툭시맙으로 치료되었다. 최대 내성 용량 (MTD)의 결정에 이용되는 DLT 안전성 평가는 첫 4 주 이내에 일어났다. 반응 사정은 질환 진행 때까지 2회 주기 (8 주)마다 일어났다. 리툭시맙은 총 6회 주기 동안 투여되었거나 또는 투여되고, 반면 Hu5F9-G4 치료는 질환 진행을 갖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에 6회 주기를 뛰어넘어 연장되었거나 또는 연장된다.
환자의 숫자
임상 1b상 단계: 총 9명 내지 18명의 환자
용량 수준마다:
수준 1: 3-6명
수준 2: 3-6명
수준 3: 3-6명
임상 2상 단계: 48명의 환자 (무통성 림프종의 경우에 24명의 환자; DLBCL의 경우에 24명의 환자)
연구 총계: 57-66명의 환자 (임상 2상 단계의 시기 2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가정)
통계학적 방법
효능 분석 세트 (EAS)가 임상 2상 단계에서 일차 효능 종결점의 분석에 이용될 것이다. DLT 분석 세트가 MTD를 결정하기 위해 임상 1b상 단계에서 이용되었다. 전항목 분석 세트 (FAS)가 임상 2상 단계에서 OS, PFS 및 안전성 분석에 이용될 것이다. 계획서 순응 (PP) 세트 및 PK 분석 세트 (PAS)가 추가 분석에 이용되었거나 또는 이용될 것이다. PAS가 PK 농도 데이터 및 PK 파라미터의 요약에 이용되었거나 또는 이용될 것이다. 임상 1b상 단계 및 임상 2상 단계로부터 데이터는 별개로 요약되거나 또는 요약될 것이다. 임상 2상 단계에서, 무통성 림프종 및 DLBCL에 대한 데이터는 별개로 요약될 것이다.
표본 크기 계산
임상 1b상 단계: 표본 크기는 평가된 용량 수준의 숫자 및 나타나는 연구 약물-관련된 독성에 근거하여 결정되었다. 이러한 단계는 18명까지의 환자를 포함한다.
임상 2상 단계: Simon 2-시기 Minimax 설계
무통성 림프종: 참 반응률이 20%인 귀무 가설이 단측 대립가설에 대하여 검사될 것이다. 20%의 귀무 가설은 이전에 치료되고 리툭시맙에 불응성인 환자에서 단일 작용제 리툭시맙 활성에 근거된다.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는 적어도 40%의 전체 반응률 (ORR)을 유발할 것으로 가정된다. 첫 번째 시기에서, 14명의 환자가 발생될 것이다. 만약 적어도 8 주의 연구 참여 후 이들 14명의 환자에서 2 또는 그 이하의 반응이 있으면, 이 부분집합 (arm)으로 등록이 중지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총 28명에 대해 10명의 추가 환자가 발생될 것이다. 만약 8 또는 그 이상의 반응이 24명의 환자에서 관찰되면, 상기 귀무 가설은 거부될 것이다. 이러한 설계는 참 반응률이 40%일 때, 0.10의 1종 오류 비율 및 0.80의 파워를 산출한다.
DLBCL: 참 반응률이 20%인 귀무 가설이 단측 대립가설에 대하여 검사될 것이다. 20%의 귀무 가설은 적어도 2가지 이전 라인의 리툭시맙-내포 요법을 제공받는 환자에서 단일 작용제 리툭시맙 활성에 근거된다.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는 적어도 40%의 ORR을 유발할 것으로 가정된다. 첫 번째 시기에서, 14명의 환자가 발생될 것이다. 만약 적어도 8 주의 연구 참여 후 이들 14명의 환자에서 2 또는 그 이하의 반응이 있으면, 이 부분집합 (arm)으로 등록이 중지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총 24명에 대해 10명의 추가 환자가 발생될 것이다. 만약 8 또는 그 이상의 반응이 24명의 환자에서 관찰되면, 상기 귀무 가설은 거부될 것이다. 이러한 설계는 참 반응률이 40%일 때, 0.10의 1종 오류 비율 및 0.80의 파워를 산출한다.
연구 설계 개요 및 요약
도 1은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임상 1b/2상 단계에 대한 연구 설계 개요를 도시한다.
적격인 환자는 적어도 2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에 재발성/불응성인 CD20-발현 B-세포 림프종, 0-2의 동부 종양학 협력 그룹 (ECOG) (Oken MM, Creech RH, Tormey DC, et al. Toxicity and response criteria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Am J Clin Oncol 1982;5:649-55.) 수행 상태 점수 (5-포인트 척도, 여기서 더욱 높은 숫자는 더욱 큰 장애를 반영한다), 헤모글로빈 ≥ 9.5 g/dL, 절대적 호중구 수치 ≥ 1 x 109/mL 및 혈소판 ≥ 50 x 109/mL를 가졌다.
임상 1b상 단계 연구는 모든 용량 수준에 대해 코호트당 최소한 3명의 환자를 등록하는, 3+3 설계를 이용한 3가지 용량 증가 코호트를 가졌는데, 안전성 프로필이 그 다음 코호트에 대한 용량 증가를 알려주었다 (Le Tourneau C, Lee JJ, Siu LL. Dose escalation methods in phase I cancer clinical trials. J Natl Cancer Inst 2009;101:708-20.). 용량 제한 독성이 첫 28 일 동안 사정되었다. 모든 환자는 1 mg/kg의 5F9 초회감작 용량을 정맥내 제공받았고, 1 주 후 10, 20 또는 30 mg/kg의 증가하는 유지 용량을 주 1회 제공받았다. 30 mg/kg 코호트에서, 추가 30 mg/kg 용량이 11 일자에서 제공되었다. 모든 코호트에 대해, 리툭시맙은 2 주차에서 시작하여 1번째 주기에서 주 1회, 그리고 이후, 2-6번째 주기까지 월 1회 375 mg/m2 용량에서 정맥내 제공되었다. 5F9는 질환 진행, 임상적 유익성의 결여 또는 받아들일 수 없는 독성 때까지 투여되었다. 일차 목적은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5F9의 안전성, 내약성을 평가하고, 그리고 이것의 권장된 임상 2상 단계 용량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차 목적은 5F9의 효능, 그리고 약동학적 (PK) 및 면역원성 프로필을 평가하였다.
부작용이 국립 암 연구소 이상 반응 공통 용어 기준, 버전 4.03 (Services USDoHaH. 이상 반응 공통 용어 기준 (CTCAE). 버전 4.03. 2010)에 의해 연구 내내 및 마지막 연구 약물 투약 후 30 일까지 사정되었다. 치료 발현성 부작용은 치료의 개시 이후에 발생하거나, 또는 강도 또는 빈도에서 더욱 악화된 부작용 (인과성과 상관없이)으로서 규정되었다. 치료-관련된 부작용은 시험자에 의해 사정될 때, 연구 약물 (5F9 및/또는 리툭시맙 중에서 어느 한 가지)에 관련되는, 전술된 바와 같은 부작용으로서 규정되었다. 환자는 전산화 단층촬영술 및 18F-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오스-위치-방출 단층촬영술로 8 주마다 효능에 대해 평가되었다. 시험자-사정된 효능은 루가노 기준 (Cheson BD, Fisher RI, Barrington SF, et al. Recommendations for initial evaluation, staging, and response assessment of Hodgkin and non-Hodgkin lymphoma: the Lugano classification. J Clin Oncol 2014;32:3059-68)에 의해 평가되었다. 만약 질환 침범이 선별검사에서 존재하면, 완전한 반응을 확증하기 위한 골수 생검이 필요하였다. 리툭시맙-불응성 상태는 임의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 (단일요법, 또는 화학요법과의 조합)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이내에 진행으로서 규정되었다 (Sehn LH, Chua N, Mayer J, et al. Obinutuzumab plus bendamustine versus bendamustine monotherapy in patients with rituximab-refractory indolent non-Hodgkin lymphoma (GADOLIN): a randomised, controlled, open-label, multicentre, phase 3 trial. The lancet oncology 2016;17:1081-93.).
검증된 ELISA 검정을 이용하여 5F9 혈청 수준이 계측되었다. 검증된 전기화학발광 검정을 이용한 단계별 (선별검사, 확증 및 역가) 접근법을 이용하여 항약물 항체가 계측되었다. 유세포분석법-기초된 검정을 이용하여 표적 세포 상에서 CD47 수용체 점유가 평가되었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계측된 항인간 IgG4 항체를 이용하여 5F9 항체 종양 침투가 검출되었다.
실시예 2: 인간 결과
Hu5F9-G4의 안전성
표 A는 Hu5F9-G4가 단일요법 세팅에서 안전하고 충분히 내약성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1
적혈구 조사 결과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그리고 독점 초회감작 용량 전략에 의해 쉽게 관리되었다. 높은 또는 연장된 노출에서 어떤 일관된 AEs도 관찰되지 않았고, 그리고 항종양 항체와의 어떤 중첩 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45 mg/kg까지 용량 증가에서 MTD가 도달되지 않았고, 그리고 >130명의 환자가 치료되었다. 환자는 >72 주 치료 동안 안전성 신호에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빈혈
도 2a는 보상성 망상적혈구증가증을 동반한 빈혈을 보여준다. 초기 초회감작 용량은 아마도 노화된 RBCs의 소실을 통해, 헤모글로빈 수준에서 초기, 일시적이고 경미한 하락을 유발한다. 헤모글로빈 수준은 심지어 훨씬 높은 용량에서 (예를 들면, 30 mg/kg까지) 5F9로 지속된 치료에서도 기준선으로 복귀한다.
빈혈: Hgb는 1.5-2 g/dL 하락하고, 그리고 이후 점진적으로 해결된다. 1차 투약의 7-10 일 이내에 시작되는 등급 1-2 빈혈이 관찰되었다. 이들 조사 결과는 NHP 독성학 연구와 일치한다. 연관된 가역성 망상적혈구증가증이 투약 기간 동안 관찰되고 해결되었다. 현재까지 (2018년 1월까지) 단지 1명의 종양 환자 (고형 종양)만 수혈을 필요로 하였다 (n >58명 환자).
B 세포 NHL에서 Hu5F9-G4 + 리툭시맙의 검사 및 안전성
표 B는 B 세포 NHL에서 Hu5F9-G4 + 리툭시맙의 내약성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2
도 2b는 5F9 및/또는 리툭시맙에 대한 치료-관련된 부작용을 보여준다. 5F9+리툭시맙은 충분히 내약성이었다. 통상적인 치료-관련된 AEs는 오한, 두통, 빈혈 및 열병이었다. 이들 모두 3가지 G3 AEs (오한, 열병, 빈혈)을 제외하고 등급 1-2이었다. 초회감작/유지 5F9 투약은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주로 첫 번째 투약 효과인 온 표적 빈혈을 유의미하게 경감하였다. 단지 2명의 환자만 1회 수혈을 필요로 하였다. 3가지 별개의 DLTs가 10, 20 mg/kg 및 30 mg/kg 용량 수준의 전역에서 관찰되었다. 어떤 자가면역 AEs도 목격되지 않았고, 최소한의 등급 3/4 독성이 관찰되었다. AE에 기인한 치료 중단은 2018년 4월까지 22명의 환자 중에서 단지 1명 (4.5%)에서만 일어났다. 환자들은 어떤 유의미한 후기 안전성 신호도 없이 장기간 (18+ 개월까지) 치료되었다. 주 1회 30 mg/kg의 5F9 투약까지 최대 내성 용량 (MTD)이 도달되지 않았다.
5F9는 리툭시맙과의 조합에서 충분히 내약성이고, 현재까지 MTD가 달성되지 않았다. 온 표적 빈혈은 일시적이고, 그리고 초회감작/유지 투약 섭생의 이용에 의해 유의미하게 경감된다.
도 2c는 코호트의 전역에서 치료된 22명 환자의 임상 1B상 단계 용량 증가를 도시한다.
Hu5F9-G4는 임상적 용량에서 목표 PK 수준을 달성한다
도 3은 Hu5F9-G4 약물동력학을 도시한다.
Hu5F9-G4는 10 mg/kg 또는 그 이상에서 비선형 CD47 조직 항원 싱크를 극복한다. 포화후 항체 반감기는 ~14 일이었다. 자유 혈장 약물 수준은 임상전 활성 역치 (>100 내지 250 μg/ml)를 초과하였다.
CD47 수용체 점유 및 5F9 종양 침투
도 4a는 말초혈에서 WBCs 상에서 CD47 수용체 점유를 도시한다. 높은 CD47 표적 수용체 점유가 용량 수준의 전역에서 신속하게 관찰되었다; CD47 수용체 점유 (RO)는 >90% 포화를 나타내고, 순환하는 WBCs 상에서 거의 100% 포화에 근접한다. 이에 더하여, 5F9 종양 침투가 DLBCL 환자에서 치료의 36 일자에서 종양 환경에서 관찰되었다 (데이터 제시되지 않음; 20 mg/kg 5F9 유지 용량이 제공된 쇄골상 림프절 상에서 5F9를 검출하는데 항-IgG4 염색이 이용되었다).
항종양 활성 및 지속 기간
표 C1은 2018년 1월까지 R/R-NHL에서 Hu5F9와 리툭시맙 조합으로 관찰된 항종양 활성의 요약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3
표 C2는 2018년 4월까지 R/R-NHL에서 Hu5F9와 리툭시맙 조합으로 관찰된 항종양 활성의 요약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4
평가가능한 반응 환자 (DLBCL 및 FL) 중에서 90% (9/10)는 계속 치료를 받았는데, 이것은 내구성을 암시한다; 치료는 9-54+ 주 사이에 있었고, 그리고 계속 진행 중이다 (데이터 제시되지 않음).
2018년 1월까지, 13+ 개월 동안 계속 반응한 1명의 환자를 비롯하여, 반응 환자 중에서 90%는 계속 반응하였다 (4.4 개월 중앙 추적 기간). 2018년 4월까지, ORR은 50%이고, 36%가 CR을 달성하였다. %ORR/CR은 각각, DLBCL에서 40/33 및 FL에서 71/43이었다. 환자 중에서 90% 이상은 DLBCL의 경우에 6.2 개월 및 FL의 경우에 8.1 개월의 중앙 추적 기간으로, 계속 반응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컷오프에서 가장 오래 반응하는 환자는 14.8 개월이고 계속 진행 중이었다.
도 4b는 2018년 4월까지 재발성 또는 불응성 NHL에서 5F9 및 리툭시맙으로 관찰된 항종양 활성을 도시한다. 복수의 CRs가 DLBCL과 FL 임상 1b상 단계 개체군 둘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반응까지 중위 시간이 첫 2 개월 이내로 신속한다. 효능이 리툭시맙-불응성 환자에서 관찰된다.
도 4c는 2018년 4월까지 임상 1b상 단계 DLBCL과 FL 환자에서 지속적 반응을 도시한다. 11명의 반응 환자 중에서 1명은 6 개월 이상의 중앙 추적 기간을 갖는 질환 진행을 나타냈다. 1명의 DLBCL 환자는 2 개월 시점에 PR로부터 4 개월 시점에 CR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계속 진행 중). 반응의 중앙 지속 기간이 어떤 코호트에서도 도달되지 않았고, CR에서 최장 환자는 14 개월 이상이었다.
임상 1b상 단계에 대한 NHL 환자 인구통계
표 D1은 2018년 1월까지 임상 1b상 단계에 대한 NHL 환자 인구통계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05
표 D2는 2018년 4월까지 임상 1b상 단계에 대한 NHL 환자 인구통계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06
유의: 리툭시맙 불응성 (임의의 섭생)은 임의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을 의미한다 (Sehn et al., 2016: GADOLIN trial: Obinutuzumab approval in FL); 리툭시맙 불응성 (최후 섭생)은 최후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을 의미한다.
환자 개체군은 4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의 중위수를 갖는 고도로 사전 치료된 개체군이었는데, 일부 환자는 9 또는 10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을 받았다. 검사된 모든 FL 환자는 이전 리툭시맙과 알킬레이터 요법을 제공받았다. 환자 중에서 90% 이상이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불응하였다.
Hu5F9-G4 + 리툭시맙은 2명의 심한 불응성 환자에서 질환을 제거한다
도 5는 Hu5F9-G4 + 리툭시맙으로 치료를 통해 모든 암이 제거된, 심한 불응성 질환을 앓는 환자의 2가지 실례를 도시한다. 여포성 림프종 및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환자 둘 모두 Hu5F9-G4 + 리툭시맙 요법에서 암의 완전한 제거를 달성하였다.
Hu5F9-G4 + 리툭시맙은 추가의 심한 불응성 환자에서 질환을 제거한다
도 6a는 Hu5F9-G4 + 리툭시맙으로 치료를 통해 모든 암이 제거된, 심한 불응성 질환을 앓는 환자의 추가 실례를 도시한다.
상기 환자는 연구 참여에 앞서 급속한 질환 진행으로 4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을 받은, DLBCL, 리툭시맙-불응성, 거대 질환을 앓는 58 세 여성이었다. 8 주 시점에서 치료는 모든 림프종 병변 및 골수 질환의 제거를 포함하는 CR을 달성하였다. 일상 생활 활동에서 실제적인 향상과 함께, B 증상 (열병, 체중 감소)의 해결이 수 주 내에 보고되거나/관찰되었다.
도 6b는 원발성 불응성 DLBCL, 2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 거대 질환을 갖는 56 세 남성의 실례를 도시한다. CR이 8 주 시점에서 달성되었다.
NHL 하위군 효능 분석
2018년 1월까지,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NHL)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용량 증가 임상 1b상 단계 부분집합에서 치료된 모든 환자에 대한 환자 인구통계 (표 D) 및 효능 분석 (표 E)이 도시된다. 반응 데이터의 예비적 지속 기간은 표 F에서 제시된다. 1번째 주기 동안 주 1회 및 2-6번째 주기로부터 월 1회 리툭시맙 375 mg/m2 투약이 1 일자에서 Hu5F9-G4의 1 mg/kg 초회감작 용량 및 차후 주 1회 Hu5F9-G4 유지 용량의 10 mg/kg으로부터 30 mg/kg으로의 용량 증가와 조합으로 활용되었다.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및 여포성 림프종 (FL) 환자 둘 모두 임상 1b상 단계 부분집합에 등록되었다. 환자가 적어도 2가지 이전 라인의 요법에 적어도 재발성 또는 불응성이긴 하지만, 등록된 이들 환자는 일반적으로 훨씬 고도로 사전 치료된 개체군이었는데, 여기서 대다수의 환자는 2가지 임상적 정의에 의해 리툭시맙에 불응하였다 (표 D). 이에 더하여, 등록된 환자 중에서 대부분은 유의미하게 진행된 질환으로 인해 요법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광범위한 사전 치료 및 대부분이 이전 리툭시맙 요법에 불응성임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한 비율의 환자가 객관적인 반응을 경험하였다.
도 7은 NHL 하위군 효능 분석을 도시한다.
표 E1: 2018년 1월까지 임상 1b상 단계 용량 증가 개체군에서 평가가능한 환자에 대한 효능 데이터.
Figure pct00007
표 E2: 2018년 4월까지 임상 1b상 단계 DLBCL 부분집합에서 평가가능한 환자에 대한 효능 데이터
Figure pct00008
표 F: 개별 환자에 의한 반응 지속 기간.
Figure pct00009
1리툭시맙-불응성 - 임의의 섭생: 임의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 (단일요법, 또는 화학요법과의 조합)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이내에 진행으로서 규정됨 (Sehn et al. Lancet Oncol: GADOLIN trial 2016).
2리툭시맙-불응성 - 최후 섭생: 최후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 (단일요법, 또는 화학요법과의 조합)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이내에 진행으로서 규정됨.
3최후 섭생에 불응성: 최후의 이전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치료 투약의 6 개월 이내에 진행으로서 규정됨. 독성으로 인해 최후의 이전 요법을 중단하는 환자는 최후 섭생에 불응성인 것으로 계수되지 않는다.
4림프성 신생물에 대한 WHO 분류에 따른 MYC 및 BCL2 및/또는 BCL6 재배열을 갖는 높은 등급 B-세포 림프종으로서 규정된 이중 히트 림프종 (Swerdlow et al., Blood 2016).
5최고 반응이 도시된다
6반응의 지속 기간은 초기 문서화된 객관적인 반응으로부터, 문서화된 진행의 시간 또는 만약 진행의 증거가 없으면 2018년 1월 22일의 데이터 컷오프 일자까지의 시간으로서 규정된다. *환자는 CR에서 동종이계 줄기 세포 이식으로 진행하였고, 반응 지속 기간이 연구 방문의 종결 시점에 감시되었다.
+데이터 컷오프의 시점에서 계속 진행 중인 반응을 의미한다.
효능과의 양성 용량 반응 상관이 관찰되었다. 리툭시맙-불응성 환자에서 효능은 모든 환자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ABC, GCB 둘 모두, 그리고 이중 히트 림프종 DLBCL 아형에서 효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시험에서, 데노보 (비-변환된) DLBCL 환자 (2/8, 25%)와 비교하여 변환된 DLBCL 환자 (4/7, 57%)에서 더욱 높은 객관적인 반응률이 관찰되었다 (도 10). 변환된 DLBCL을 앓는 환자는 선행하는 무통성 림프종 (다시 말하면, 여포성 림프종, 변연대 림프종 또는 소형 림프성 림프종)을 앓고, 이것이 이후, 공격적 DLBCL 표현형으로 변환한다. 종종 변환된 DLBCL 환자는 무통성 및 공격적 B 세포 림프종의 혼합된 특질을 갖는다. 변환된 DLBCL에서 목격되는 증가된 객관적인 반응은 무통성 질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5F9+리툭시맙의 능력에 기인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FL에서 초기 반응률이 71%이었기 때문이다 (도 4B).
요약 및 결론
재발성/불응성 DLBCL 또는 FL을 앓는 22명의 환자가 2016년 11월 및 2017년 10월 사이에 3가지 용량 코호트의 전역에서 등록되었다. 2018년 4월까지의 데이터가 제공된다. 5F9는 리툭시맙과의 조합에서 충분히 내약성이고, 현재까지 MTD가 달성되지 않았다. 온 표적 빈혈은 일시적이고, 그리고 초회감작/유지 투약 섭생의 이용에 의해 유의미하게 경감되었다. 2018년 4월까지 항종양 활성은 DLBCL 및 FL에서 각각, 33% 및 43% CR 비율로 관찰되었다. 6.2-8.1 개월 추적 기간으로, 반응의 중앙 지속 기간이 도달되지 않았다.
기준선 환자 특징은 59 세의 중위 연령 (범위 44-82 세), 0 또는 1의 ECOG 수행 상태를 갖는 21명의 환자 (95%), 그리고 이전 자가 줄기 세포 이식을 갖는 4명의 환자 (18%)를 포함하였다. 이전 라인의 요법의 중위수는 4 (범위 2-10)이었는데, 21명 (95%)의 환자가 이전 리툭시맙에 불응성인 종양을 앓았고, 그리고 14명 (64%)의 환자가 그들의 최후 치료 섭생에 불응성인 종양을 앓았다. 다양한 DLBCL 분자 표현형을 갖는 DLBCL 환자가 등록되었다.
중앙 치료 지속 기간은 22 주 (범위 1.7 내지 71.1 주, 그리고 계속 진행 중)이었다. 22명의 환자 모두 5F9 및 리툭시맙을 제공받았는데, 1명의 환자는 대략 2 주 시점에 부작용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에 기인한 연구 약물 중단으로 인해 효능의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이 환자는 효능 사정에서 분모 (무반응자로서)에 추가되었다. 전체적으로, 3명의 환자가 사망하였는데, 이들 모두 질환 진행에 기인하였다 (14%의 전 원인 사망률).
안전성
대다수의 치료 발현성 부작용은 등급 1과 2이었다. 가장 흔한 치료-관련된 부작용은 오한 (41%), 두통 (41%), 빈혈 (41%), 그리고 주입-관련된 반응 (36%)이었다 (도 S3A). 대다수의 치료-관련된 부작용은 첫 몇 주 내에 일어났고 어떤 장기간 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심각한 부작용은 전술된다. 3가지 용량 제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코호트 2에서, 등급 3 폐색전증이 목격되었다. 이 환자는 5F9 주입 동안 호흡기 증상을 경험하였고, 그리고 이후에, 아마도 폐색전증의 근원인 림프종으로부터 혈관 압박의 결과로서 잠재성 심부 정맥 혈전증을 앓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환자는 항응고제 치료로 증상이 해결되었고, 그리고 수 주 후 질환 진행 때까지 계속 치료를 받았다. 이러한 독성은 6명의 환자까지 코호트 확대를 야기하였고, 추가 용량 제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코호트 3은 초기에 6명의 환자를 등록하였고, 어떤 용량 제한 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코호트는 추가 PK 및 약력학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13명의 환자로 확대되었다. 2명의 추가 환자가 용량 제한 독성을 나타냈다: 1명은 등급 4 호중구감소증을 앓았고, 그리고 1명은 등급 3 특발성 혈소판감소증 자반병을 앓았다. 등급 4 호중구감소증을 앓는 환자는 G-CSF 지원으로 해결되었고, 그리고 추가 성장 인자 지원 없이 호중구감소증이 완전히 해결되어 연구에 계속 참여하였다. 등급 3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을 앓는 환자는 치료를 중단하고, 그리고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치료를 제공받아 혈소판감소증이 해결되었다. 코호트 3에 대한 용량 제한 독성 빈도는 최대 내성 용량 역치를 초과할 33% 비율보다 낮은 15%이었다. 따라서, 최대 내성 용량이 도달되지 않았다. 순환성 세포 상에서 CD47 결합의 포화를 문서화하는 약동학적 데이터 및 약력학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30 mg/kg 5F9 유지 용량이 추가 연구를 위한 권장된 임상 2상 단계 용량으로서 확립되었다.
빈혈은 CD47을 차단할 때 예상되는 온 표적 약력학적 효과이다. CD47 차단은 노화된 RBCs 상에서 포식촉진 신호의 정체를 드러내는 것에 부차적으로, 노화된 적혈구 (RBCs)의 제거를 가속화할 수 있다. RBCs는 노화됨에 따라서, CD47 발현을 상실하고 항상성 소실을 야기하는 포식촉진 신호의 발현을 획득한다 (Oldenborg PA, Zheleznyak A, Fang YF, Lagenaur CF, Gresham HD, Lindberg FP. Role of CD47 as a marker of self on red blood cells. Science 2000;288:2051-4.). 이러한 온 표적 빈혈을 경감하기 위해, 포식촉진 신호를 결여하는 더욱 어린 RBCs를 보호하면서 노화된 RBCs를 선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1 mg/kg의 초회감작 용량의 5F9가 투여되었다. 이러한 초회감작 용량은 일시적인 경미한 빈혈, 그 이후에 RBCs의 연령을 노화된 RBCs로부터 어린 것들로 이동시키는 보상성 망상적혈구증가증을 야기하였다. 차후 더욱 높은 유지 용량이 이후, 투여되어 빈혈이 재발 없이 해결될 수 있었다. 이러한 초회감작/유지 용량 전략은 비인간 영장류에서 5F9의 정액 연구에 근거하여, 온 표적 빈혈을 실제적으로 경감하였다 (Liu J, Wang L, Zhao F, et al. Pre-Clinical Development of a Humanized Anti-CD47 Antibody with Anti-Cancer Therapeutic Potential. PLoS One 2015;10:e0137345.). 이러한 관찰과 일관하게, 림프종 환자에서 관찰되는 치료-관련된 빈혈은 주로 등급 1과 2이었고, 그리고 주로 첫 주에 발생하였다. 용혈의 최소한의 증거가 관찰되었는데, 초기 일시적인 빈혈과 상관하는 간접적인 빌리루빈이 경미하게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정상 범위 미만으로 합토글로빈의 일시적인 감소가 첫 2 주의 치료 후 정규화된 환자 중에서 3/22 (14%)에서 관찰되었다. 평균 치료전 헤모글로빈은 12.1 g/dL이었다. 모든 5F9 용량의 전역에서 평균 헤모글로빈 하락은 0.91 g/dL (2.4 g/dL의 최대 하락)이었다. 3명의 환자는 연구 동안 RBC 수혈을 필요로 하였다; 2명의 환자는 단지 1번의 수혈 (2 단위)을 제공받았고, 반면 세 번째 환자는 4번의 수혈 (8 단위)을 제공받았다. 모든 수혈은 성공적으로 투여되었고, 수혈후 헤모글로빈이 예상대로 증가하였다.
약물동력학, 약력학 및 항약물 항체
10 내지 30 mg/kg의 용량에서, CD47 항원 싱크의 포화를 지시하는 용량 비례 약동학적 프로필이 네 번째 유지 용량 후 관찰되었다. 일단 포화가 달성되면, 5F9의 겉보기 종말 반감기는 대략 13 일이었다. 기준선에서 및 5F9 치료의 시작 후 1명의 개체 (4.5%)로부터 혈청 표본이 항-5F9 항체에 대해 양성으로 검사되었다. 이 환자에서 약물동력학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CD47 수용체 점유가 약력학적 종결점으로서 계측되었다. 1 mg/kg 5F9 초회감작 용량, 그 이후에 30 mg/kg 유지 용량 투약에서, 순환하는 RBCs와 WBCs 상에서 거의 100% CD47 수용체 점유가 관찰되었다. 5F9로 치료된 DLBCL 환자에서 5F9 항체 종양 침투가 관찰되었다.
효능
치료 의도 분석에서, 모든 환자에 대한 전체 반응률은 50%이었고, 36%가 완전한 반응을 달성하였다. DLBCL에서, 반응률은 6/15 (40%)이었고, 5/15 (33%)가 완전한 반응을 달성하였다. FL에서, 반응률은 5/7 (71%)이었고, 3/7 (43%)이 완전한 반응을 달성하였다. 반응까지 중위 시간은 1.7 개월 (범위 1.6 - 6.6 개월)이었다. 반응의 중앙 지속 기간은 각각, 6.2 및 8.1 개월의 중앙 추적 기간으로 DLBCL 또는 FL 환자 중에서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도달되지 않았다. 11명의 반응 환자 중에서 10명 (91%)은 데이터-컷오프의 시점에서 진행 중인 반응을 유지하였다. 거대 질환 및 골수 침윤으로 자가 줄기 세포 이식을 받고 3 개월 이내에 재발한 1명의 고도로 사전 치료된 DLBCL 환자는 연구 동안 완전한 반응을 달성하였다. 이 환자는 이후, 정합된 관련된 공여자와의 동종이계 줄기 세포 이식이 진행되었고, 그리고 데이터 컷오프의 시점에서 7 개월 이상 동안 진행 중인 완전한 반응을 계속 유지하였다. 연구 중인 2명의 DLBCL 환자는 시간의 추이에서 요법에 대한 그들의 반응이 향상되었다. 한 환자는 안정된 질환으로부터 6 개월 시점에 완전한 반응으로 향상되었고, 그리고 다른 환자는 2 개월 시점에 부분적인 반응으로부터 4 개월 시점에 완전한 반응으로 향상되었다. 양쪽 환자는 데이터 컷오프의 시점에서 완전한 반응을 계속 유지하였다. 완전한 반응은 거대 질환을 앓는 환자에서도 목격되었다. 반응은 또한, 복수의 DLBCL 아형의 전역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4가지 이전 요법 (범위 2-10)의 중위수를 갖는 22명의 [15명의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및 7명의 여포성 림프종 (FL)] 환자가 등록되었다; 95%는 리툭시맙 불응성이었다. 부작용은 주로 등급 1/2이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빈혈 및 주입 반응이었다. 빈혈 (예상된 온 표적 효과)은 5F9 초회감작/유지 용량 투약에 의해 경감되었다. 어떤 용량 제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30 mg/kg의 선별된 임상 2상 단계 5F9 용량은 순환하는 백혈구와 적혈구 상에서 ~100% CD47 수용체 점유를 달성하였다. 환자의 50 퍼센트가 객관적인 반응을 나타냈고, 36%가 완전한 반응을 나타냈다. 반응/완전한 반응은 DLBCL에서 40%/33% 및 FL에서 71%/43%이었다. DLBCL의 경우에 6.2 개월 및 FL의 경우에 8.1 개월의 중앙 추적 기간에서, 반응의 91%가 계속 진행 중이다.
임상 2상 단계 투약 섭생
도 8은 임상 시험을 위한 임상 2상 단계 투약 세트를 도시한다.
독점 초회감작 용량 전략은 온 표적 적혈구 효과를 경감한다.
1번째 주기, 주 1회: 항원 싱크를 신속하게 포화시킨다.
2번째 주기 및 그 이상, 2 주마다.
실시예 3: 항-CD47 항체는 리툭시맙-저항성 림프종 세포주에서 리툭시맙과 조합될 때 시험관내에서 종양 세포 식균작용을 증강한다
Hu5F9-G4 및 리툭시맙의 조합은 리툭시맙의 Fc 수용체에 의한 항체-의존성 세포 식균작용을 통한 포식촉진 신호의 증강과 함께 항포식 CD47 신호의 동시적 차단을 통해 식균 상승작용의 고유한 MOA를 갖는다. 임상전 모형에서, 이러한 신규한 MOA는 리툭시맙-불응성/저항성 세팅에서 항종양 효능을 야기하였다.
생쥐 골수-유래된 대식세포가 리툭시맙 민감성 또는 저항성 Raji 림프종 세포의 존재에서 이들 지시된 항체와 함께 배양되었다. 리툭시맙은 민감성 세포주와 비교하여 저항성 세포주에서 훨씬 낮은 식균작용을 유도하였다. 하지만, 항-CD47 + 리툭시맙은 리툭시맙 민감성과 저항성 세팅 둘 모두에서 견실한 식균작용을 유도하였다. 리툭시맙에 저항성인 클론을 선별하기 위해, Raji 세포가 복수의 계대에 걸쳐 리툭시맙 및 대식세포와 함께 연속으로 배양되었다.
항-CD47 항체 + 리툭시맙 조합은 리툭시맙에 저항성인 림프종 세포주에서 시험관내에서 증강된 식균작용을 야기하였다 (도 9). 항-CD47 항체 + 리툭시맙의 조합 활성은 저항성 세포주에서, 민감성 세포주와 유사하게 여전히 관찰되었다.
이들 데이터는 리툭시맙 불응성 NHL 환자에서 Hu5F9-G4 + 리툭시맙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한다.
실시예 4: NHL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리툭시맙과 조합으로 초회감작, 부하, 유지 용량 전략에서 30 또는 45 mg/kg Hu5F9-G4 용량의 활용
CD47은 대다수의 정상적인 조직에서 발현되고, 그리고 따라서, CD47은 큰 조직 항원 싱크를 나타낸다. 이런 이유로, 높은 용량의 Hu5F9-G4가 이러한 정상적인 항원 싱크를 극복하고, 그리고 종양 내로 항체 침투를 야기하여 항암 효능을 달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Hu5F9-G4가 초회감작, 부하 및 유지 용량 일정에서 투약되었는데, 여기서 초기 낮은 (초회감작) 용량이 온 표적 빈혈을 경감하기 위해 제공되고, 그 이후에 2 주차에서 추가 부하 용량과 함께 유지 용량이 제공되고, 그리고 2번째 주기까지 주 1회 유지 투약이 계속되었다 (표 G). Hu5F9-G4가 이후, 3번째 주기에서 시작되고 이를 뛰어넘어 Q2 주 투약된다. 추가 부하 용량 패러다임과 함께 주 1회 유지는 CD47 정상 항원 싱크를 신속하게 포화시켜, 항체 종양 침투를 야기하도록 설계되는데, 여기서 선형 약물동력학이 포화 후 관찰된다. 실제로, 첫 2회 주기 (수개월) 동안 추가 2 주차 부하 용량과 함께 주 1회 5F9 투약은 첫 번째 주기에서만 주 1회 5F9 투약과 비교하여 더욱 높은 5F9 농도를 야기하였다 (도 12). 포화 약물 농도를 신속하게 달성하는 것에 더하여, 더욱 높은 용량의 5F9는 또한, 치료 효능을 증강할 수 있다. 전술된 임상 1b상 단계에서, 효능을 나타내는 양성 용량 반응이 안정기의 달성 없이, 10, 20 및 30 mg/kg의 범위에서 변하는 5F9 용량에서 관찰되었다. 이런 이유로, 30 mg/kg보다 높은 용량이 증강된 효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5F9는 30 mg/kg 투약 섭생에 더하여, 45 mg/kg 투약 섭생 (표 G)에서 검사되고, 그리고 효능을 나타낸다.
표 G: NHL 환자에서 5F9 + 리툭시맙 투약 섭생
Figure pct00010
실시예 5: CD47 발현-기초된 환자 선별
DLBCL 환자는 유의미한 예후적 및 치료적 함의를 야기하는, 배 중심 B 세포 (GCB) 및 활성화된 B 세포 (ABC)의 유전자 발현 패턴에 근거하여 기원 세포 범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상기 임상 1b/2상 단계에서 작은 표본 크기에서, ABC 표현형을 갖는 3명의 DLBCL 환자 중에서 2명 (67%)이 객관적인 반응을 나타냈고, 반면 6명의 GCB 환자 중에서 1명 (17%)이 반응을 나타냈다 (도 10). 임상적 반응에서 이러한 차이는 GCB 환자를 배제함으로써, ABC 표현형을 갖는 환자의 효능 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D47 발현 수준은 ABC 환자 및 GCB 환자 사이에 잠재적인 차별적 효능에서 결정인자일 수 있다. 흥미롭게도, 정상적인 건강한 환자 편도가 인간 CD47 발현에 대해 염색될 때, 배 중심은 CD47 발현에 대해 음성이었다 (도 11). 이들 관찰 결과는 GCB DLBCL 환자가 부재하거나 또는 감소된 CD47 발현으로 인해, 5F9를 투약할 때 더욱 낮은, 상대적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발견은 5F9 (+/- 리툭시맙)의 임상 효능이 림프종 조직에서 CD47 발현을 평가하는 것을 통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도 13은 NHL 환자에서 Hu5F9-G4 +/- 리툭시맙 치료를 위한 환자 선별 전략으로서 CD47 발현의 이용을 위한 설계 개요를 도시한다.
실시예 6: B-세포 NHL 환자에서 5F9+ 베네토클락스 +/- 리툭시맙 치료적 조합
단백질의 Bcl-2 패밀리는 아폽토시스성 경로의 핵심 매개체이다. 특이적 단백질, Bcl-2는 세포 생존을 증진하는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이다. 여러 NHL 아형이 빈번하게, 복수의 방식 (BCL2를 수반하는 전위, 염색체 18q21 증폭, 그리고 Bcl-2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에서 변경)으로 Bcl-2를 과다발현한다. 이들 림프종에서 Bcl-2의 과다발현은 증가된 세포 증식을 야기한다. Bcl-2 기능을 저해하고, 따라서 림프종 세포의 아폽토시스 및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복수의 작용제가 개발 중에 있다. 예를 들면, FDA-승인된 경구 Bcl-2 저해제인 베네토클락스는 Bcl-2 단백질에 직접적으로 결합하고 카스파제 활성화를 촉발함으로써 아폽토시스를 복원한다. Bcl-2 저해제, 예컨대 베네토클락스 및 나비토클락스가 아폽토시스를 유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작용제는 또한, 아폽토시스를 야기하는 포식촉진 신호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에 비추어, CD47 차단은 항포식 신호 CD47의 차단과 연계된, 림프종 세포에 대한 포식촉진 신호의 유도를 통해 Bcl-2 저해와 협력 작용할 수 있다. 이들 상보성 기전은 이후, CD47 차단이 Bcl-2 저해와 조합될 때 증강된 식균작용을 야기할 것이다. 예를 들면, 5F9의 베네토클락스와의 조합은 어느 한 쪽 작용제 단독과 비교하여 NHL 환자에서 증강된 항-림프종 활성을 야기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5F9의 항-CD20 항체 및 베네토클락스와의 삼중항 조합 역시 2가지 방식으로 림프종 세포 상에서 포식촉진 신호의 전달을 통해 잠재적인 증강된 효능을 갖는다: Bcl-2 저해에 의한 유도, 그리고 Fc 수용체 포용을 통한 리툭시맙에 의한 외부 포식촉진 신호의 전달. 이에 더하여, NHL 환자에서 5F9+리툭시맙 및 베네토클락스 + 리툭시맙으로 임상적 활성. 5F9+리툭시맙의 경우에, 통합된 DLBCL과 FL 환자의 임상 1b상 단계에서 50% ORR이 관찰되었다. 리툭시맙+베네토클락스의 경우에, 만성 림프성 백혈병 환자에서 86% ORR (Seymour JF, Kipps TJ, Eichhorst B, et al. Venetoclax-Rituximab in Relapsed or Refractory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N Engl J Med 2018;378:1107-20) 및 FL 환자에서 33% ORR (Zinzani PL TM, Yuen S, Rusconi C, Fleury I, Pro B, Gritti G, Crump M, Hsu W, Punnoose E, Hilger J, Mobasher M, Hiddermann W. Phase 2 Study of Venetoclax Plus Rituximab or Randomized Ven Plus Bendamustine+Rituximab (BR) Versus BR in Patients with Relapsed/Refractory Follicular Lymphoma: Interim Data. Blood ASH abstract 2016;128:617.)이 관찰되었다. 이들 임상 데이터 및 과학적인 이론적 근거의 조합은 5F9+베네토클락스의 이중항 조합 또는 5F9+베네토클락스+리툭시맙의 삼중항 조합에 대한 강한 이론적 근거를 이끌어낸다.
베네토클락스의 분자식은 C45H50ClN7O7S이다.
예시적인 치료 섭생(들)은 하기와 같다:
1. 7 일 동안 베네토클락스 20 mg PO, 그 이후에 400 mg의 권장된 일일량까지 주 1회 램프업 투약 일정
2. 베네토클락스 20 mg PO x 1 주, 50 mg PO x 1 주, 100 mg PO x 1 주, 이후 200 mg PO x 1 주, 그리고 200 mg 일일 투약 계속
3. 베네토클락스 20 mg PO x 1 주, 50 mg PO x 1 주, 100 mg PO x 1 주, 이후 200 mg PO x 1 주, 400 mg PO x 1 주, 이후 400 mg 주 1회 투약
4. 베네토클락스 50 mg PO x 1 주, 100 mg PO x 1 주, 200 mg PO x 1 주, 이후 400 mg PO x 1 주, 그리고 400 mg 일일 투약 계속
5. 베네토클락스 100 mg PO x 1 주, 200 mg PO x 1 주, 400 mg PO x 1 주, 이후 800 mg PO x 1 주, 그리고 800 mg 일일 투약 계속
실시예 7: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과 조합으로 Hu5F9-G4
아래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과 조합으로 Hu5F9-G4를 사정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개념 및 이론적 근거: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미국과 유럽에서 가장 흔한 암 중에서 한 가지인데, 매년 각각 70,000건 이상 및 93,000건 이상의 새로운 사례가 진단된다 (Ferlay J, Soerjomataram I, Dikshit R, et 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sources, methods and major patterns in GLOBOCAN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Journal international du cancer 2015;136:E359-86). 미만성 큰 B-세포 림프종 (DLBCL)은 높은 재발률 및 불량한 장기 생존을 갖는, NHL의 공격적 아형이다. 이에 더하여, 재발했거나 또는 리툭시맙에 불응성인 무통성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 대해 극소수의 치료 옵션만이 가용하다. 이들 시급하지만 아직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신규하고 효과적인 요법이 요구된다.
Hu5F9-G4는 대식세포 관문으로서 역할을 하는 항포식 세포 표면 단백질인 CD47을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비임상 연구는 이러한 항체를 통한 CD47 신호전달의 차단이 대식세포에 의한 식균작용을 조장하는 것을 통해, NHL을 비롯한 인간 종양 세포를 제거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추가 비임상 연구는 항-CD47 항체가 항체-의존성 세포 식균작용 (ADCP)을 야기하는 강력한 포식촉진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리툭시맙을 비롯한 Fc 수용체-활성화 항암 항체와 협력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Hu5F9-G4 및 리툭시맙 (항-CD20 단일클론 항체)으로 복합 요법은 NHL의 비임상 모형에서 어느 한 쪽 작용제 단독과 비교하여 상승적 항암 반응을 나타냈다. 재발성/난치성 DLBCL 환자에서 Hu5F9-G4 및 리툭시맙의 임상 1b/2상 단계는 충분히 내약성이었고 고무적인 임상적 활성을 나타냈다. 임상 1b상 단계 용량 증가 코호트에서, 고도로 사전 치료된 DLBCL 환자 중에서, CR을 달성하는 33%를 비롯한 40% (6/15)가 객관적인 반응을 달성하였다 (Advani R FI, Popplewell L, Forero A, Bartlett N, Ghosh N, Kline J, Tran T, Lynn J, Chen J, Agoram B, Huang J, Takimoto C, Chao MP, Smith S. Activity and tolerabilty of the first-in-class anti-CD47 antibody Hu5F9-G4 with rituximab tolerated in relapsed/refractory non-Hodgkin lymphoma: Initial phase 1b/2 results. J Clin Oncol 2018;36:suppl; abstr 7504).
Hu5F9-G4 및 리툭시맙의 임상적 활성은 T-세포 관문 저해제, 예컨대 아테졸리주맙의 추가를 통해 더욱 증강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적 증강은 3가지 라인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 첫 번째, Hu5F9-G4가 T 세포에 종양 항원의 대식세포-매개된 교차 제시를 통해 항종양 T 세포 반응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seng D, Volkmer JP, Willingham SB, et al. Anti-CD47 antibody-mediated phagocytosis of cancer by macrophages primes an effective antitumor T-cell response. Proc Natl Acad Sci U S A 2013;110:11103-8.). 이러한 항종양 T 세포 효과는 아벨루맙을 통한 PD-L1/PD-1의 차단을 통해 더욱 증강될 수 있다. 두 번째, 최근 데이터에서 리툭시맙으로 치료된 DLBCL 환자의 유의미한 부분집합이 골수성 면역 세포 상에서 높은 PD-L1 발현을 갖고 (McCord R BC, Koeppen H, Kadel E, Fingerle-Rowson G, Oestergaard M, Venstrom J. High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 Correlates with Macrophage Gene Expression and Is Associated with Prolonge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in Patients (pts) with First-Line (1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nnual Meeting Abstracts 2017), 추가 치료제에 의한 ADCP, 예컨대 아테졸리주맙에 의한 PD-L1/PD-1 차단 및 Hu5F9-G4에 의한 CD47 차단에 대해 초회감작될 수 있는 고갈된 대식세포를 잠재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 대식세포 상에서 PD-1 발현이 Hu5F9-G4와 조합으로 PD-1/PD-L1 저해제에 의해 치료적으로 표적화되는 추가 항포식 신호인 것으로 밝혀졌다 (Gordon SR, Maute RL, Dulken BW, et al. PD-1 expression by tumour-associated macrophages inhibits phagocytosis and tumour immunity. Nature 2017;545:495-9). 이들 3가지 라인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ADCP를 가능하게 하는 아테졸리주맙 및 Hu5F9-G4에 의한 PD-L1 차단과 리툭시맙의 조합은 잠재적인 증강된 임상적 유익성을 야기하는 복수의 양상을 통한 대식세포에 의한 증강된 종양 식균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Hu5F9-G4, 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의 삼중항 조합은 DLBCL에서 잠재적인 증강된 임상적 활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Hu5F9-G4 및 리툭시맙에 아테졸리주맙의 추가는 충분히 내약성일 것으로 예상된다. 아테졸리주맙이 충분히 문서화되고 관리가능한 면역-매개된 독성을 갖긴 하지만, Hu5F9-G4 및 리툭시맙은 유의미한 면역-매개된 독성을 갖지 않고, 어떤 중첩 독성도 예상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Hu5F9-G4+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항-CD20 항체의 양쪽 이중항은 DLBCL 환자에서 충분히 내약성이었다. 상기 임상 시험은 재발성/난치성 DLBCL 환자에서 Hu5F9-G4 + 리툭시맙 + 아테졸리주맙의 삼중항 조합의 안전성 및 초기 효능을 평가할 것이다.
환자 적격:
포함 기준:
성인 ≥ 18 세
ㆍ 안전성 런인 코호트: 면역조직화학 (IHC) 또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해 CD20을 발현하는 B-세포 NHL, 적어도 한 가지 이전 섭생 전신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
ㆍ DLBCL 코호트: 림프성 신생물의 세계 보건 기구 2016 분류 (Swerdlow 2016)에 따라서, 데노보 또는 변환된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별도로 지정되지 않으면, 원발성 종격 큰 B-세포 림프종, MYC 및 BCL2 및/또는 BCL6 재배열을 갖는 높은 등급 B-세포 림프종, 원발성 피부 DLBCL-레그 유형, 적어도 한 가지 이전 전신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
ㆍ 동부 종양학 협력 그룹 (ECOG) 점수 0-2
ㆍ 림프종에 대한 루가노 분류에 따라서 반응에 대해 계측가능한 또는 사정가능한 질환
ㆍ 실험실 계측, 혈구 수치:
○ 헤모글로빈 > 9.5 g/dL
○ 절대적 호중구 수치 (ANC) > 1.0x109/mL
○ 혈소판 > 75x109/mL
ㆍ 실험실 계측, 간 기능:
○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 (AST)/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 (ALT) < 5x 정상치 상한 (ULN)
○ 빌리루빈 < 1.5 x 또는 3.0 x ULN, 그리고 만약 환자가 길버트 증후군 또는 유전적 등가물의 문서화된 이력을 가지면, 주로 결합되지 않음
ㆍ 실험실 계측, 신장 기능:
○ 혈청 크레아티닌 < 1.5x ULN 또는 계산된 사구체 여과율 (GFR) < 40 mL/분/1.73 m2
ㆍ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 Hu5F9-G4의 투여 전 30 일 이내에 음성 소변 또는 혈청 임신 검사.
ㆍ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연구 동안, 그리고 리툭시맙의 최종 투약 후 12 개월 또는 Hu5F9의 최종 투약 후 4 개월 (어느 쪽이든 뒤에 발생하는 것) 동안 2가지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이용할 용의가 있어야 한다.
ㆍ 남성은 만약 파트너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라면, 연구 동안, 그리고 리툭시맙의 최종 투약 후 12 개월 또는 Hu5F9의 최종 투약 후 4 개월 (어느 쪽이든 뒤에 발생하는 것) 동안 1가지 고도로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이용할 용의가 있어야 한다.
ㆍ 개체는 사전 동의서를 제공하였다.
ㆍ 연구 프로토콜에서 개설된 진료소 방문과 절차를 준수할 용의가 있고 준수할 수 있어야 한다.
ㆍ 만약 시험자에 의해 실현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이유는 생검을 위한 접근가능한 종양 조직의 결여 및 환자 안전성 문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가 아니라면, 1번의 의무적인 치료전 종양 생검 및 1번의 치료중 종양 생검에 동의할 용의가 있음
배제 기준:
ㆍ 활성 뇌 전이를 앓는 환자 (적어도 3 주 동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을 중단하는, 안정된 치료된 중추신경계 [CNS] 병변을 앓는 환자는 활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ㆍ 이전 동종이계 조혈 세포 이식 (자가 이식은 허용됨)
ㆍ Hu5F9-G4 투약 (최대 4 주까지)에 앞서 2 주 이내에 또는 적어도 4 반감기 이내에 (어느 쪽이든 더욱 긴 것) 화학요법, 호르몬 요법, 또는 치료 시험약을 포함하는 이전 항암 요법. 낮은 용량 스테로이드 (하루에 경구 프레드니손 또는 등가물 ≤ 10 mg) 및 국부화된 비-CNS 방사선요법은 배제 기준이 아니다.
ㆍ 공지된 활성 또는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 감염 또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ㆍ 선별검사에 앞서 4-주 기간 동안 2 단위 이상의 RBC 수혈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규정된 적혈구 (RBC) 수혈 의존. 헤모글로빈 포함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RBC 수혈은 선별검사 동안 및 등록에 앞서 허용된다.
ㆍ 최근 3 개월 내에 용혈성 빈혈 또는 이반 증후군의 이력.
ㆍ CD47 또는 신호 조절 단백질 알파 (SIRPα) 표적화 작용제로 이전 치료.
ㆍ T-세포 관문 저해제 작용제로 이전 치료
ㆍ 특발성 폐섬유증, 기질화 폐렴 (예를 들면, 폐색성 세기관지염), 약물 유발된 폐렴, 또는 특발성 폐렴의 이력
ㆍ 자가면역 질환의 이력
갑상선 대체의 안정된 용량을 제공받는, 자가면역-관련된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이력이 있는 환자는 본 연구에 적격일 수 있다.
안정된 인슐린 섭생을 제공받는 제어된 1형 진성 당뇨병을 앓는 환자는 본 연구에 적격일 수 있다.
단지 피부학적으로만 현성된 습진, 건선, 만성 단순성 태선 또는 백반증을 앓는 환자 (예를 들면, 건선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는 배제된다)는 하기 조건이 모두 부합되면, 본 연구에 적격이다:
- 발진이 체표면적의 <10%를 커버해야 한다.
- 질환이 기준선에서 잘 제어되고, 그리고 단지 낮은 효능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만을 필요로 한다.
이전 12 개월 이내에 소랄렌 플러스 자외선 A 방사선, 메토트렉사트, 레티노이드, 생물학적 제제, 경구 칼시뉴린 저해제, 또는 고효능 또는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필요로 하는 기저 질환의 급성 악화가 발생하지 않음.
ㆍ 1번째 주기의 1 일자의 6 주 이내에 면역억제 요법 (아자티오프린,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메토트렉사트, 그리고 항종양 괴사 인자 [항TNF] 작용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ㆍ 1번째 주기의 1 일자에 앞서 2 주 이내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제외하고, 매일 > 10 mg 프레드니손 또는 등가물)에 대한 매일 요구
ㆍ 1번째 주기의 1 일자에 앞서, 약물의 4 주 또는 5 반감기 (어느 쪽이든 더욱 긴 것) 이내에 전신 면역자극제 (인터페론 [IFN]-α 및 인터류킨 [IL]-2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로 치료
ㆍ 첫 번째 투약 전 4 주 및 아테졸리주맙의 최종 투약 후 10 주 동안 데노수맙 (또는 다른 RANKL 저해제)으로 치료
데노수맙 요법을 제공받는 환자는 연구 치료를 제공받는 동안,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받을 용의가 있어야 한다.
ㆍ 1번째 주기의 1 일자의 4 주 이내에 살아있는, 약독화 백신의 투여, 또는 이런 살아있는, 약독화 백신이 연구 동안 필요할 것이라는 예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 시즌 (북반구에서 대략 10월 내지 5월, 그리고 남반구에서 대략 4월 내지 9월) 동안에만 제공되어야 한다. 환자는 무작위배정에 앞서 28 일 이내에, 치료 동안, 또는 아테졸리주맙의 최종 투약 이후에 5 개월 이내에 살아있는, 약독화 백신 (예를 들면, FluMist®)을 제공받지 않는 데 동의해야 한다.
ㆍ 치료된 기저 세포 또는 국부화된 편평상피 피부 암종, 또는 최소 3 년 전에 치료가 완결되었고 재발의 증거가 없는 다른 악성종양을 제외하고, 이차성 악성종양
ㆍ 연구에 참가할 때의 위험 편익 비율을 실제적으로 증가시킬 시험자 및 후원자에 의해 사정된, 유의미한 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 이것은 최근 6 개월 이내에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 협심증, 통제되지 않는 진성 당뇨병, 유의미한 활성 감염, 심하게 면역손상된 상태, 그리고 울혈성 심부전 뉴욕 심장 학회 (NYHA) 부류 II-IV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ㆍ 프로토콜 요건을 준수하거나 또는 사전 동의서를 제공하는 능력을 간섭할 가능성이 높은 정신 질환 또는 약물 남용의 이력.
ㆍ 임신 또는 능동성 모유 영양
연구 종결점:
일차 종결점:
ㆍ NCI CTCAE, 버전 4.03에 따른 용량 제한 독성 (DLTs) 및 부작용 (AEs).
ㆍ Hu5F9-G4, 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에 대한 권장된 임상 2상 단계 투약 섭생
ㆍ 림프종에 대한 루가노 분류에 따라서 시험자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객관적인 반응.
이차 종결점:
ㆍ PK 프로필: Hu5F9-G4 및 아테졸리주맙 농도 대 시간 계측, 그리고 최대 혈장 농도 (C최대), 최고 농도까지 시간 (T최대), 종말 반감기 (t1/2), 곡선 아래 면적 (AUC)을 포함하는, Hu5F9-G4 및 아테졸리주맙의 PK 파라미터
ㆍ Hu5F9-G4 및 아테졸리주맙에 대한 항약물 항체
ㆍ 반응의 지속 기간 (DOR), 최고 전체 반응 (BOR), 진행 없는 생존 (PFS), 그리고 전체 생존 (OS).
탐구적인 종결점:
ㆍ T-세포, 대식세포 및 다른 면역 세포 부분집합 빈도와 활성화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말초혈 및 종양 미세환경에서 면역 세포 부분집합의 조정
ㆍ 면역 세포 및/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PD-L1, CD47, SIRPα, CD20 발현의 평가
ㆍ 순환 종양 DNA의 평가 및 임상적 반응에 상관
ㆍ 순환하는 사이토킨 프로필, 순환하는 T 세포 상에서 T-세포 수용체 염기서열결정, 순환하는 백혈구의 질량 세포계산 (CyTOF)/유세포분석법, 그리고 T-세포 활성화 연구를 잠재적으로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Hu5F9-G4와 아테졸리주맙 생물학적 활성의 약력학적 마커.
ㆍ 유전자 염기서열결정을 통한 DLBCL에서 기원 세포, 종양 돌연변이 부담, BCL2, BCL6과 MYC 돌연변이/발현 상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NHL의 분자 아형에 항암 반응의 상관.
개입 및 전달 방식:
Hu5F9-G4는 CD47에 대항하는 인간화 단일클론 차단 항체이고, 리툭시맙은 CD20에 대항하는 키메라 단일클론 항체이고, 그리고 아테졸리주맙은 PD-L1에 대항하는 인간화 단일클론 차단 항체이다. 모든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요법은 받아들일 수 없는 독성 또는 임상적 유익성의 상실 때까지 지속될 것이다. 3가지 항체 모두의 투약 일정은 아래에 설명된다.
Figure pct00011
개입의 지속 기간 및 평가
안전성 런인: 임상시험 운영위원회 (CTSC)에 의해 확대 단계로 진행하라는 결정이 내려지면, 총 부작용 프로필에 근거하여, B-세포 NHL 환자에서 상기 삼중항 조합의 안전성과 내약성이 평가될 것이다. 상기 삼중항 조합의 30 mg/kg의 Hu5F9-G4 유지 용량으로의 용량 축소는 총 안전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CTSC에 의해 결정될 때 발생할 수 있다.
확대: DLBCL 환자는 이후, 권장된 용량에서 상기 삼중항 조합으로 치료될 것이다.
환자의 숫자: 35명
안전성 런인 코호트: 10명
확대 코호트: 25명
도 14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에서 리툭시맙 및 아테졸리주맙과 조합으로 Hu5F9-G4의 임상 1b상 단계에 대한 연구 설계 개요를 도시한다.
본 발명이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 및 다양한 대체 구체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긴 하지만,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와 상세에서 다양한 변화가 그 안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중심부 내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허여된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본원에서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편입된다.
<110> FORTY SEVEN, INC. <120> ANTI-CD47 AGENT-BASED TREATMENT OF CD20-POSITIVE CANCER <130> 32458-42491/WO <150> 62/743,875 <151> 2018-10-10 <150> 62/743,060 <151> 2018-10-09 <150> 62/678,468 <151> 2018-05-31 <150> 62/629,340 <151> 2018-02-12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44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te="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n Tyr 20 25 30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Arg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hr Ile Tyr Pro Gly Asn Asp Asp Thr Ser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Val Thr Ile Thr Ala Asp Thr Ser Ala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Gly Tyr Arg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115 120 125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Gly Cys 130 135 140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45 150 155 160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165 170 175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180 185 190 Leu Gly Thr Lys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Ser Asn 195 200 205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Ser Lys Tyr Gly Pro Pro Cys Pro 210 215 220 Pro Cys Pro Ala Pro Glu Phe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225 230 235 240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245 250 255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Phe 260 265 270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275 280 285 Arg Glu Glu Gln Phe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290 295 300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305 310 315 320 Ser Asn Lys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325 330 335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Gln 340 345 350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355 360 365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370 375 380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385 390 395 400 Phe Phe Leu Tyr Ser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u 405 410 415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420 425 430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Leu Gly Lys 435 440 <210> 2 <211> 2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te="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2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Pro Gly 1 5 10 15 Glu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Ile Val Tyr Ser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Gly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Gln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Tyr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15 120 12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130 135 14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145 150 155 160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165 170 175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180 185 19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195 200 20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5 <210> 3 <211> 4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te="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3 Gln Val Gln Leu Gln Gln Pro Gly Ala Glu Leu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Met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Tyr 20 25 30 Asn Met His Trp Val Lys Gln Thr Pro Gly Arg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sp Thr Ser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Leu Thr Ala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Ser Thr Tyr Tyr Gly Gly Asp Trp Tyr Phe Asn Val Trp Gly 100 105 110 Ala Gly Thr Thr Val Thr Val Ser Ala Ala Ser Thr Lys Gly Pro Ser 115 120 125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130 135 140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145 150 155 160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165 170 175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180 185 190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195 200 205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Ala Glu Pro Lys Ser Cys 210 215 220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225 230 235 240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245 250 255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260 265 270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275 280 285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290 295 300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305 310 315 320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325 330 335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340 345 350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Leu Thr Lys Asn Gln Val Ser 355 360 365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370 375 380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385 390 395 400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405 410 415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420 425 430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435 440 445 Pro Gly Lys 450 <210> 4 <211> 2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te="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4 Gln Ile Val Leu Ser Gln Ser Pro Ala Ile Leu Ser Ala Ser Pro Gly 1 5 10 15 Glu Lys Val Thr Met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Ile 20 25 30 His Trp Phe Gln Gln Lys Pro Gly Ser Ser Pro Lys Pro Trp Ile Tyr 35 40 45 Ala Thr Ser Asn Leu Ala Ser Gly Val Pro Val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Ser Tyr Ser Leu Thr Ile Ser Arg Val Glu Ala Glu 65 70 75 80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Thr Ser Asn Pro Pro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Pro 100 105 110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115 120 125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130 135 140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145 150 155 160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165 170 175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180 185 190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195 200 205 Asn Arg Gly Glu Cys 210 <210> 5 <211> 4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te="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5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p Ser 20 25 30 Trp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rp Ile Ser Pro Tyr Gly Gly Ser Thr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la Asp Thr Ser Lys Asn Thr Ala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rg His Trp Pro Gly Gly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115 120 125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130 135 140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145 150 155 160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65 170 175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180 185 190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195 200 205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210 215 220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225 230 235 240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245 250 255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260 265 270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275 280 285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la Ser Thr Tyr Arg Val Val 290 295 300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305 310 315 320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325 330 335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340 345 350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355 360 365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370 375 380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385 390 395 400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05 410 415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420 425 430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445 <210> 6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te="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Val Ser Thr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Ser Ala Ser Phe Leu Tyr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Leu Tyr His Pro Ala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Claims (70)

  1.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를 치료하거나 또는 인간 개체에서 CD20+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항-CD47 항체를 체중의 kg당 10 mg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항체의 용량에서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b) 항-CD20 항체를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3.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개체는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0가지 이상의 이전 라인의 암 요법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인, 방법.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개체는 리툭시맙에 불응성인, 방법.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리툭시맙 불응성 상태는 임의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인, 방법.
  6.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리툭시맙 불응성 상태는 최후의 이전 리툭시맙-내포 섭생에 반응하는데 실패, 또는 이러한 섭생 동안 진행, 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약의 6 개월 내에 진행인, 방법
  7.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암은 B 세포 암인, 방법.
  8. 청구항 제 7항에 있어서, B 세포 암은 비호지킨 림프종 (NHL)인, 방법.
  9. 청구항 제 8항에 있어서, NHL은 무통성 림프종인, 방법.
  10. 청구항 제 9항에 있어서, 무통성 림프종은 여포성 림프종 (FL)인, 방법.
  11. 청구항 제 9항에 있어서, 무통성 림프종은 변연대 림프종인, 방법.
  12. 청구항 제 8항에 있어서, NHL은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인, 방법.
  13.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암은 DLBCL, 여포성 림프종, 변연대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성 백혈병/소형 림프성 백혈병,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림프구형질세포 림프종, 원발성 종격 B-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미분류 B-세포 림프종,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또는 이식후 림프구증식병 (PTLD)이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CD20+ 암은 조직병리학, 유세포분석법, 분자 분류,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동등한 검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방법
  1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암은 이중 히트 림프종 또는 myc-재배열된 림프종인, 방법.
  1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고, 그리고 적어도 2가지 이전 전신 요법을 제공받았던, 방법
  1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여포성 림프종 (FL)을 앓고, 그리고 리툭시맙-내포 섭생 후 재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섭생에 불응성인, 방법.
  1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2가지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전신 요법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큰-B 세포 림프종을 앓는, 방법
  1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최전선 요법에 불응성인 데노보 또는 변환된 큰-B 세포 림프종을 앓거나, 또는 이선 구난 섭생 또는 자가 조혈 세포 이식에 재발성 또는 불응성인, 방법.
  1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큰-B 세포 림프종을 앓고, 그리고 리툭시맙-내포 섭생을 포함하는 2가지 또는 그 이상 라인의 전신 요법 후 재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요법 후 불응성인, 방법.
  2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CD47에 결합에 대해 Hu5F9-G4와 경쟁하는, 방법.
  21.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은 Hu5F9-G4와 동일한 CD47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방법.
  2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IgG4 Fc를 포함하는, 방법.
  23.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Hu5F9-G4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되는, 방법.
  2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10-30, 20-30, 10, 20, 또는 30 mg 항체의 용량에서 투여되는, 방법
  2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의 투여는 90% 이상이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수용체 포화, 임의적으로 90-1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수용체 포화를 유발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수용체 포화는 유세포분석법 또는 동등한 검정을 이용하여 계측되는, 방법
  2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CD20에 결합에 대해 리툭시맙과 경쟁하는, 방법.
  2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CD20에 결합에 대해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과 경쟁하는, 방법.
  2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은 리툭시맙과 동일한 CD20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방법.
  2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과 동일한 CD20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방법.
  3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ADCC 및 ADCP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를 할 수 있는 Fc를 포함하는, 방법.
  31.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야생형 Fc에 비하여 증가된 ADCC 및/또는 ADCP 활성을 유발하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변형을 포함하는 Fc를 포함하는, 방법.
  3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에 비하여 CD20에 대한 더욱 높은 결합 친화성을 갖는, 방법.
  33.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되는, 방법.
  3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 오파투무맙, 오크렐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요오드 131 토시투무맙,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블리트지마, 리템비아, 툭셀라), 또는 우블리툭시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되는, 방법.
  3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투여되는, 방법.
  3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임의적으로, 각 유관한 시점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주 1회, 월 1회, 또는 2 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방법.
  3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항-CD20 항체는 항-CD47 항체에 앞서 투여되는, 방법.
  3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되는, 방법.
  3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정맥내 투여되는, 방법.
  4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조제되는, 방법.
  41.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정맥내 투여되는, 방법.
  4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약 20 내지 약 67.5 mg의 항체, 임의적으로 체중의 kg당 20 내지 30 mg의 항체, 임의적으로 체중의 kg당 20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30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45 mg의 항체, 체중의 kg당 60 mg의 항체, 또는 체중의 kg당 67.5 mg의 항체의 범위에서 변하는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43.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주 1회, 2 주마다 1회, 또는 3 주마다 1회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4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을 (a) 단계에 앞서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
  45. 청구항 제 44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체중의 kg당 1 mg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46. 청구항 제 44항 또는 제 45항에 있어서, 초회감작 용량은 약 3 시간 동안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4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1 일자에서 체중의 kg당 1 mg 항체의 초회감작 용량, 그 이후에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 항체의 용량을 포함하는 첫 번째 주기에서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48. 청구항 제 47항에 있어서, 첫 번째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인, 방법.
  49. 청구항 제 47항 또는 제 48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첫 번째 주기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주 1회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50. 청구항 제 47항 내지 제 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CD47 항체는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 항체의 용량을 포함하는 두 번째 주기에서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51. 청구항 제 50항에 있어서, 두 번째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인, 방법.
  52. 청구항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항-CD20 항체는 두 번째 주기에서 375 mg/m2 항체의 용량에서 4 주마다 1회 개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53. 청구항 제 47항 내지 제 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 임의적으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0회 이상의 추가 주기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
  54. 청구항 제 53항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의 투약 섭생은 두 번째 주기와 동일하고, 임의적으로 여기서 상기 투약 섭생의 항-CD20 항체 부분은 총 6회 주기를 완결한 후 중단되는, 방법.
  55. 청구항 제 53항 또는 제 54항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추가 주기는 지속 기간에서 4 주인, 방법.
  5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체에서 객관적인 반응 (OR)을 유발하는, 방법.
  5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체에서 질병 관리를 유발하는, 방법.
  5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체에서 부분적인 반응 (PR)을 유발하는, 방법.
  5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체에서 완전한 반응 (CR)을 유발하는, 방법.
  6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체에서 안정된 질환 (SD)을 유발하는, 방법.
  61.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준선에 비하여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여기서 기준선은 항-CD47 항체의 투여에 앞서 결정되는, 방법.
  6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리툭시맙에 불응성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리툭시맙에 불응의 반전을 유발하는, 방법.
  63.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둘 모두 의학 전문가, 임의적으로 의사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
  6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둘 모두 개체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
  6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CD20+ 암을 앓는 인간 개체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6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림프종, 임의적으로 NHL을 앓는 인간 개체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6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DLBCL을 앓는 인간 개체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6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는 무통성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69. 청구항 제 68항에 있어서, 개체는 FL을 앓는 인간 개체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70. 청구항 제 68항에 있어서, 개체는 변연대 림프종을 앓는 인간 개체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각각 4 주의 적어도 2회의 구별되는 주기 동안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첫 번째 주기는 (1) 시간 0 (T0)에서 체중의 kg당 1 mg의 항체에서 초회감작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2) 11 일자 (2 주차)에서 적어도 30 mg/kg (예를 들면, 30-50, 30, 35, 40, 45, 50 mg)의 추가 (임의적) 부하 용량과 함께, T0 후 1 주에 시작하여 주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3) 주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두 번째 주기는 (1) 2 주마다 1회 체중의 kg당 30 mg의 용량의 항-CD47 항체를 투여하고, 그리고 (2) 4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의 항-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두 번째 주기는 제한 없이, 또는 임상적 유익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실될 때까지 1회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주기로서 반복되고; 임의적으로, 6번째 주기에 도달하고 상기 주기에서 시작하고 이를 뛰어넘을 때, 항-CD20 항체가 8 주마다 1회 375 mg/m2의 용량에서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 및 항-CD20 항체는 개체가 임상적 유익성을 상실할 때까지 개체에게 투여되고; 임의적으로 항-CD47 항체는 Hu5F9-G4이고; 임의적으로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인, 방법.
KR1020207025511A 2018-02-12 2019-02-11 항-cd47 및 항-cd20 항체를 이용한 항암 섭생 KR20200119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29340P 2018-02-12 2018-02-12
US62/629,340 2018-02-12
US201862678468P 2018-05-31 2018-05-31
US62/678,468 2018-05-31
US201862743060P 2018-10-09 2018-10-09
US62/743,060 2018-10-09
US201862743875P 2018-10-10 2018-10-10
US62/743,875 2018-10-10
PCT/US2019/017466 WO2019157432A1 (en) 2018-02-12 2019-02-11 Anti-cancer regimen using anti-cd47 and anti-cd20 antibod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834A true KR20200119834A (ko) 2020-10-20

Family

ID=6571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511A KR20200119834A (ko) 2018-02-12 2019-02-11 항-cd47 및 항-cd20 항체를 이용한 항암 섭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891450B2 (ko)
EP (2) EP3752190B1 (ko)
JP (2) JP7343528B2 (ko)
KR (1) KR20200119834A (ko)
CN (1) CN111699005A (ko)
AU (1) AU2019218271A1 (ko)
CA (1) CA3090489A1 (ko)
ES (1) ES2927305T3 (ko)
PL (1) PL3752190T3 (ko)
PT (1) PT3752190T (ko)
SI (1) SI3752190T1 (ko)
WO (1) WO2019157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6552B (zh) 2016-01-11 2024-05-24 四十七公司 人源化、小鼠或嵌合抗cd47单克隆抗体
EP3529276A4 (en) 2016-10-21 2020-06-17 Arch Oncology, Inc. CD47 THERAPEUTIC ANTIBODIES
WO2019157432A1 (en) 2018-02-12 2019-08-15 Forty Seven, Inc. Anti-cancer regimen using anti-cd47 and anti-cd20 antibodies
BR112021024003A2 (pt) * 2019-05-31 2022-04-19 Alx Oncology Inc Métodos de tratamento de câncer com fusão sirp alfa-fc em combinação com um inibidor de checkpoint imunológico
WO2021046216A1 (en) * 2019-09-03 2021-03-11 Arch Oncology, Inc. Methods for identifying biomarkers to predict treatment response
PE20221045A1 (es) 2019-09-18 2022-06-22 Lamkap Bio Alpha AG Anticuerpos biespecificos contra ceacam5 y cd3
CN114599392A (zh) * 2019-10-31 2022-06-07 四十七公司 基于抗cd47和抗cd20的血癌治疗
TW202134280A (zh) * 2019-12-05 2021-09-16 美商索倫多醫療公司 包含抗cd47抗體與腫瘤靶向抗體之組合物及方法
CA3163939A1 (en) * 2020-01-09 2021-07-15 Innovent Biologics (Suzhou) Co., Ltd. Application of combination of anti-cd47 antibody and anti-cd20 antibody in preparation of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mors
EP4101468A4 (en) * 2020-02-05 2024-02-28 Carna Biosciences Inc COMPOSITION OF ANTI-CANCER AGENT
US20230174649A1 (en) * 2020-04-30 2023-06-08 I-Mab Biopharma Us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nti-cd47 antibodies
CN112578117B (zh) * 2021-02-22 2021-05-25 信纳克(北京)生化标志物检测医学研究有限责任公司 抗体组合物及其筛查移植后淋巴细胞增殖性疾病的应用
WO2024010842A1 (en) * 2022-07-07 2024-01-1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argeting cells with a combination of cxcr2 inhibition and cd47 blockad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26962A1 (en) 1998-02-16 1999-08-16 Marie Sarfati Use of binding agents to cd47 and its ligands in the treatment or the prophylaxis of various inflammatory, autoimmune and allergic diseases and in the treatment of graft rejection
GB9930706D0 (en) 1999-12-24 2000-02-16 Medical Res Counci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acrophage activity
ATE482719T1 (de) 2002-02-21 2010-10-15 Univ Duke Behandlungs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anti- cd22-antikörpern
US20050180972A1 (en) 2002-07-31 2005-08-18 Wahl Alan F. Anti-CD20 antibody-drug conjugat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disorders
CA2545166A1 (en) 2003-11-11 2005-05-19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Humanized anti-cd47 antibody
US7601355B2 (en) 2005-06-01 2009-10-13 Northwester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tering immune function
US20090191202A1 (en) 2005-09-29 2009-07-30 Jamieson Catriona Helen M Methods for manipulating phagocytosis mediated by CD47
CA2682266A1 (en) 2007-03-28 2008-10-09 Biogen Idec Inc. Treatment of hodgkins lymphoma
DK3056514T3 (da) 2008-01-15 2019-07-01 Univ Leland Stanford Junior Fremgangsmåder til at manipulere fagocytose medieret af cd47
EP3722317A1 (en) 2008-01-15 2020-10-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arkers of acute myeloid leukemia stem cells
EP2111869A1 (en) 2008-04-23 2009-10-28 Stichting Sanquin Bloedvoorzi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to enhance the immune system
SI2477648T1 (sl) 2009-09-15 2022-09-3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inergijska terapija proti CD47 za krvne rake
CN102711810B (zh) 2009-11-30 2015-04-22 詹森生物科技公司 效应子功能已消除的抗体Fc区突变体
DK2569013T3 (da) 2010-05-14 2017-02-13 Univ Leland Stanford Junior Humaniserede og kimære monoklonale antistoffer til cd47
US20140242095A1 (en) 2011-10-19 2014-08-28 University Health Network Antibodies and antibody fragments targeting sirp-alpha and their use in treating hematologic cancers
PL2804617T3 (pl) 2012-01-17 2020-11-3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Reagenty sirp-alfa o wysokim powinowactwie
DK2931752T3 (da) 2012-12-17 2019-11-18 Trillium Therapeutics Inc Behandling af cd47+ sygdomsceller med sirp-alpha-fc-fusioner
EP4137518A1 (en) 2013-02-06 2023-02-22 Inhibrx, Inc. Non-platelet depleting and non-red blood cell depleting cd47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903773A1 (en) * 2013-03-15 2014-09-2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for achieving therapeutically effective doses of anti-cd47 agents
CN103665165B (zh) 2013-08-28 2016-02-24 江苏匡亚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靶向人CD47-SIRPα信号通路的双特异性抗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ES2728668T3 (es) * 2014-01-08 2019-10-28 Univ Leland Stanford Junior Terapia dirigida para el cáncer de pulmón de células pequeñas
WO2015138600A2 (en) 2014-03-11 2015-09-1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nti sirp-alpha antibodies and bi-specific macrophage enhancing antibodies
TWI759810B (zh) 2014-08-08 2022-04-01 美商Alx腫瘤技術股份有限公司 信號調節蛋白α(signal-regulatory proteinα, SIRP-α)變體構築物及其用途
CN108350048B (zh) 2015-08-07 2024-02-09 Alx肿瘤生物技术公司 具有SIRP-α结构域或其变体的构建体
WO2017068164A1 (en) 2015-10-21 2017-04-27 Ose Immunotherapeutic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macrophage polarization into pro-inflammatory cells to treat cancer
CA3005911A1 (en) 2015-12-11 2017-06-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reatment of cancer with dual targeting of cd47 and egfr
CN114716552B (zh) 2016-01-11 2024-05-24 四十七公司 人源化、小鼠或嵌合抗cd47单克隆抗体
KR20180102628A (ko) 2016-01-21 2018-09-17 더 보드 어브 트러스티스 어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주니어 유니버시티 면역조절제의 조합물에 의한 암의 치료
US20190091290A1 (en) 2016-04-15 2019-03-28 Trillium Therapeutics Inc. Macrophage stimulation in cd47 blockade therapy
AU2017250809B2 (en) 2016-04-15 2024-02-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for determining and achieving therapeutically effective doses of anti-CD47 agents in treatment of cancer
CN106084052B (zh) 2016-06-17 2019-12-27 长春金赛药业股份有限公司 抗cd47单克隆抗体及其应用
PL3658589T3 (pl) 2017-07-26 2024-03-18 Forty Seven, Inc. Przeciwciała anty-sirp-alfa i powiązane sposoby
PL3697817T3 (pl) 2017-10-18 2023-01-23 Forty Seven, Inc. Terapia nowotworu złośliwego jajnika w oparciu o środek anty-cd47
CA3078430A1 (en) 2017-10-18 2019-04-25 Forty Seven, Inc. Treatment of ovarian cancer with anti-cd47 and anti-pd-l1
WO2019157432A1 (en) 2018-02-12 2019-08-15 Forty Seven, Inc. Anti-cancer regimen using anti-cd47 and anti-cd20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15349A (ja) 2023-08-18
ES2927305T3 (es) 2022-11-04
EP3752190B1 (en) 2022-07-06
CN111699005A (zh) 2020-09-22
EP4129336A1 (en) 2023-02-08
US20190248915A1 (en) 2019-08-15
PT3752190T (pt) 2022-11-18
WO2019157432A8 (en) 2020-06-25
PL3752190T3 (pl) 2022-11-07
CA3090489A1 (en) 2019-08-15
EP3752190A1 (en) 2020-12-23
SI3752190T1 (sl) 2022-11-30
WO2019157432A1 (en) 2019-08-15
JP2021515805A (ja) 2021-06-24
AU2019218271A1 (en) 2020-09-10
JP7343528B2 (ja) 2023-09-12
US11891450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1450B2 (en) Anti-CD47 agent-based treatment of CD20-positive cancer
AU2020202712B2 (en) Treatment of cancer with dual targeting of CD47 and EGFR
JP7308191B2 (ja) 抗cd47剤ベースの卵巣癌療法
EP3697819B1 (en) Treatment of ovarian cancer with anti-cd47 and anti-pd-l1
KR20210143896A (ko) 암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세마포린-4d 길항제
US20220119523A1 (en) Treatment of cutaneous t cell lymphoma with targeting of cd47 pat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