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789A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789A
KR20200119789A KR1020207021638A KR20207021638A KR20200119789A KR 20200119789 A KR20200119789 A KR 20200119789A KR 1020207021638 A KR1020207021638 A KR 1020207021638A KR 20207021638 A KR20207021638 A KR 20207021638A KR 20200119789 A KR20200119789 A KR 2020011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mmunication device
data fram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스가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데이터 수신 중인 장치의 존재를 주위의 장치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측의 통신 장치의 무선 송신 처리부는, 송신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하,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을 간헐적으로 마련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무선 LAN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본 기술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수신 중인 장치의 존재를 주위의 장치에 통지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LAN 시스템에서는, 전송로의 이용을 파악한 경우, MAC 헤더의 Duration 부분에 기재된 값으로부터, 네트워크 얼로케이션 벡터(NAV)를 설정하여, 주위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송신을 대기하는 제어가 행해져 왔다.
NAV를 사용한 통신 방식에서는, 데이터 송신측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Request to Send(RTS) 프레임과, 데이터 수신측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Clear to Send(CTS) 프레임을 수신한 주위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MAC 헤더의 Duration 부분에 기재되어 있는 시간에 걸쳐 전송로가 이용되는 것을 파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 전송로가 이용 중임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비지 톤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비지 톤 신호를 사용한 방법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가 인접하여 존재하는 환경 등에서, 주위의 액세스 포인트의 관리 하에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자기의 액세스 포인트 내에 있어서의 통신이 성립되지 않게 되는 상태를, 비지 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방지하는 방법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가 인접하여 존재하고 있는 환경에서,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소정의 톤 채널을 사용하여 비지 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용 중임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54319호 공보
종래의 NAV 설정 방법에서는, R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와,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의 양쪽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수신측의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로부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비지 톤 신호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비지 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블록을 통신 장치에 준비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데이터 수신 중인 장치의 존재를 주위의 장치에 통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통신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구축부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중에, 소정 기간 송신을 중단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통신 장치는,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통신 장치는,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이용 중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에 있어서는, 데이터 프레임이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중에, 소정 기간 송신을 중단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에 있어서는,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고,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가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에 있어서는,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이용 중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 송신이 제어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중인 장치의 존재를 주위의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기술의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무선 LAN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의 무선 네트워크의 간섭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의 무선 네트워크의 문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수신측에서 CTS 프레임을 송신한 경우의 주위의 통신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무선 LAN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에, 수신 에러가 생기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기술에 의한 이용 중 신호를 사용한 통신 제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기술을 적용한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모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A-MPDU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기술에서 사용되는 A-MPDU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이용 중 신호의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End Signal의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L-SIG 및 Using Signal 파라미터의 데이터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프리앰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L-SIG 필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A-MPDU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하나의 MPDU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MPDU 딜리미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MPDU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패딩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송신측의 통신 장치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주위의 통신 장치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예>
도 1은, 무선 LAN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무선 LAN 시스템에서는, 통신 장치(1-0) 내지 통신 장치(1-4)가 동일한 주파수 채널에서 동작을 하고 있다. 이하, 통신 장치(1-0) 내지 통신 장치(1-4)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통신 장치(1)라고 칭한다.
도 1의 무선 LAN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로서 접속되는 제1 베이직 서비스 세트(BSS1)와 제2 베이직 서비스 세트(BSS2)로 구성되어 있다. BSS1과 BSS2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서 존재하지만,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구성된 BSS이며, 일부가 오버랩되는 공간 상에 구성되어 있다.
BSS는 무선 네트워크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 A씨 집의 무선 네트워크 그룹, B씨 집의 무선 네트워크 그룹이라고 하는 식으로, 각각의 통신 장치가 속하는 그룹이 패스워드 등에 의해 제한된다.
BSS1은, 통신 장치(1-0)와 통신 장치(1-1)로 구성된다. BSS2는, 통신 장치(1-2), 통신 장치(1-3) 및 통신 장치(1-4)로 구성된다.
일점쇄선의 원 #0 내지 원 #4는, 각각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의, 통신 장치(1-0 내지 1-4)의 전파 도달 범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원 #0 내지 원 #4의 각각의 크기가 동일한 크기인 것은,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됨을 나타내고 있다. 외곽선 화살표는, 데이터의 송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이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BSS1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0)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지고, BSS2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2)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BSS2의 통신 장치(1-2)의 전파 도달 범위에 통신 장치(1-1)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BSS1의 통신 장치(1-1)가, BSS2의 통신 장치(1-2)가 송신하는 신호를 검출해 버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의 무선 네트워크의 간섭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 #0 및 원 #1은, 각각 통신 장치(1-0) 및 통신 장치(1-1)의 전파 도달 범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원 #0 및 원 #1이 도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는 것은, 통신 장치(1-0) 및 통신 장치(1-1)가,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 #2에 대해서는, 참고로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도 2에서는, 통신 장치(1-2)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 #2가, 통신 장치(1-2)의 전파 도달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BSS1의 통신 장치(1-0)와 통신 장치(1-1)가 송신 전력 제어를 서로 실시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다. NAV를 사용한 통신 방식에서는, 통신 장치(1-0)가 RTS 프레임을 송신하고, 통신 장치(1-1)가 CTS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주위의 통신 장치(1-2)는, 그 중 어느 쪽을 받음으로써, 통신 장치(1-0)와 통신 장치(1-1)의 송수신을 알 수 있다.
그러나, BSS2의 통신 장치(1-2)는, BSS1의 통신 장치(1-1)의 전파 도달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BSS2의 통신 장치(1-2)는, BSS1의 통신 장치(1-0)로부터 통신 장치(1-1)를 향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통신 장치(1-1)가 수신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없다.
이 경우, 통신 장치(1-2)는, 전송로가 빈 상태라고 판단해 버려,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통신 장치(1-4)를 향하여 데이터를 송신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통신 장치(1-0)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1-1)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2)가 통신 장치(1-4)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가 중복 수신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1)에서는, 통신 장치(1-0)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수신에 에러가 생겨 버려,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도 3은,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의 무선 네트워크의 문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 #2 및 원 #3은, 통신 장치(1-2) 및 통신 장치(1-3)의 전파 도달 범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원 #2 및 원 #3이 도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는 것은, 통신 장치(1-2) 및 통신 장치(1-3)가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BSS1의 통신 장치(1-0)와 통신 장치(1-1)가 송신 전력 제어를 서로 실시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고, BSS2의 통신 장치(1-2)와 통신 장치(1-3)가 송신 전력 제어를 서로 실시하여 송신 전력을 억제한 통신을 행하고 있다. BSS2의 통신 장치(1-4)는, 통신 장치(1-2)의 전파 도달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통신 장치(1-4)는, 통신 장치(1-2)가 송신하는 신호를 검출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BSS2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에 지장을 초래해 버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다른 BSS의 사이에서는, 동일 정도의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해 버리면, 원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범위의 통신 장치와의 통신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을 제어하지 않고 최대 송신 전력으로 통신을 실시해야만 한다.
도 4는, 데이터의 수신측에서 CTS 프레임을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한 경우의 주위의 통신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 #0은, 통신 장치(1-0)의 전파 도달 범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원 #0이 도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는 것은, 통신 장치(1-0)가,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통신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 #1과 원 #2에 대해서는, 참고로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도 4에서는, 통신 장치(1-1) 및 통신 장치(1-2)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 #1과 원 #2가, 통신 장치(1-1) 및 통신 장치(1-2)의 전파 도달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1)가 수신을 실시하는 동작으로서, CTS 프레임을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통신 장치(1-1)가 송신한 CTS 프레임은 주위의 BSS2의 통신 장치(1-2)에 의해 수신되고, 통신 장치(1-2)에 있어서, NAV가 설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통신 장치(1-2)는, 통신 장치(1-3)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는 하지만, NAV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ACK 등의 프레임을 통신 장치(1-3)에 송신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통신 장치(1-1)가 수신을 실시하고, 주위에 통지하는 동작으로서,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이 있지만,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으로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에는 전부 대응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의 NAV 설정 방법에서는, RTS 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CTS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양쪽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데이터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로부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버렸다.
따라서, CTS 프레임 이외의 방법으로, 송신 전력 제어가 실시되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1)가, 전송로를 이용 중임을 주위의 통신 장치(1)에 알리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기술에 있어서는, 송신측에서,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신측에서,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됨과 함께,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이용 중 신호(Using Signal)의 송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측의 통신 장치(1)가, 간헐적으로 설정된 기간을 사용하여,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한 주위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1)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아도, 전송로가 이용 중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위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1)는,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행하고 있는 통신 장치(1)와 이용 중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는 통신 장치(1) 이외의, 후자의 통신 장치(1)의 근방의 통신 장치(1)이다.
<본 기술의 무선 LAN 시스템의 구성예>
도 5는, 본 기술의 무선 LAN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무선 LAN 시스템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의 그룹인 BSS1과 BSS2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생략한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 #1 내지 원 #6은, 통신 장치(1-1) 내지 통신 장치(1-6)의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의 전파 도달 범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 #1 내지 원 #6은, 통신 장치(1-1) 내지 통신 장치(1-6)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최대 송신 전력에 의한 전파 도달 범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통신 장치(1-2)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한 통신이 행해진다. 통신 장치(1-5)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한 통신이 행해진다. 통신 장치(1-1) 내지 통신 장치(1-6)에서는, 적절하게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한 통신 또는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최대 송신 전력에 의한 통신 중 어느 쪽의 통신이 행해진다.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BSS1의 통신 장치(1-0)가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 장치(1-1)는, 수신을 실시하는 동작으로서, 본 기술에 의한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BSS2에 속하는 통신 장치(1-2)는, 통신 장치(1-1)에 있어서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송신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일점쇄선의 원 #1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1-1)가 송신 전력의 제어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 통신 장치(1-0), 통신 장치(1-2) 내지 통신 장치(1-4)는, 통신 장치(1-1)가 송신하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1-1)에 의해 전송로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 중임을 파악한다.
통신 장치(1-5)는, 통신 장치(1-1)가 송신하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점쇄선의 원 #2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1-2)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만, 그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1-1)의 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 장치(1-5)는, 통신 장치(1-2)가 통신 장치(1-1)로부터의 ACK 프레임과 같은 응답의 수신에 영향이 없도록, 파선의 원 #5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신호 송신 시에,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통신 장치(1-5)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일점쇄선의 원 #5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통신 장치(1-2)로부터 통신 장치(1-4)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일점쇄선의 원 #4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1-4)로부터의 ACK 프레임과 같은 응답의 송신에 의해, 통신 장치(1-1) 및 통신 장치(1-2)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억제된다.
<종래의 통신 제어의 예>
도 6은,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경우에, 수신 에러가 생기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에서부터 차례로, 송신측 장치, 수신측 장치, 주위 OBSS 송신측 장치, 주위 OBSS 수신측 장치의 송신 또는 수신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횡방향은 시간을 나타낸다.
송신측 장치는,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이며, 도 1의 통신 장치(1-0)에 상당한다. 수신측 장치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이며, 도 1의 통신 장치(1-1)에 상당한다. OBSS 송신측 장치는, 주위의 OBSS에 존재하는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이며, 도 1의 통신 장치(1-2)에 상당한다. OBSS 송신측 장치는, BSS에 존재하는 수신측 장치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주위 OBSS 수신측 장치는, 주위의 OBSS에 존재하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이며, 도 1의 통신 장치(1-3)에 상당한다. 또한, OBSS는, 송신측 장치와 수신측 장치의 BSS에 오버랩된 BSS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송신측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수신측 장치에 대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주위 OBSS 송신측 장치가, 주위 OBSS 수신측 장치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지 않고 최대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실선은,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내고, 파선은,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낸다.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각의 높이는 전력(송신 전력 또는 수신 전력)의 레벨을 나타낸다.
최상단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는, 프리앰블(P), 헤더 정보(HR), MPDU(MAC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1, MPDU-2, MPDU-3, MPDU-4를 차례로 송신한다. MPDU-1, MPDU-2, MPDU-3, MPDU-4 애그리게이션(연결)된 데이터 프레임이다.
이때, 송신측 장치의 송신 전력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부터 3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위 OBSS 송신측 장치는, 송신측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검출할 수 없어, 전송로가 빈 상태라고 오판단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해 버린다.
즉,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가 실시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중에,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주위 OBSS 송신측 장치가, 프리앰블(P), 헤더 정보(HR), MPDU-1, MPDU-2, MPDU-3, MPDU-4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때, 위에서부터 2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 수신측 장치는, 주위 OBSS 송신 장치가 근처에 존재 하고, 또한 수신 전계 강도가 높으므로, 주위 OBSS 송신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 프레임까지 수신해 버린다.
그 결과, 수신측 장치에서는, 수신 에러가 발생해 버린다. 수신측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 프리앰블(P)과 ACK 프레임(BA: 블록 애크)을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ACK 프레임(NG)은,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낸다.
한편, 위에서부터 4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위 OBSS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만을 수신하고 있는 주위 OBSS 수신측 장치는, BSS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 프리앰블과 ACK 프레임을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ACK 프레임(OK)은,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측 장치가 수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위 OBSS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전계 강도가 높기 때문에, 수신측 장치에 있어서 수신 에러가 생겨 버렸다.
또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실패한 수신측 장치는 NG를 나타내는 ACK 프레임을 송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성공한 주위 OBSS 수신측 장치는 OK를 나타내는 ACK 프레임을 송신한다. 수신측 장치의 ACK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과, 주위 OBSS 수신측 장치의 ACK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이 겹쳐 버리면, 주위 OBSS 송신측 장치에서는, 주위 OBSS 수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ACK 프레임의 수신을 실패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한 장치와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장치의 양쪽의 통신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본 기술에 의한 이용 중 신호를 사용한 통신 제어의 예>
도 7은, 본 기술에 의한 이용 중 신호를 사용한 통신 제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에서부터 차례로, 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 수신측 장치, 송신측 장치, 송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 수신측 원방 주위 장치의 송신 또는 수신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는, 수신측 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주위의 통신 장치(1)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0)에 상당한다. 수신측 장치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1)에 상당한다. 송신측 장치는,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2)에 상당한다. 송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는, 수신측 장치의 근방이고, 송신측 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주위의 통신 장치(1)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3)에 상당한다. 수신측 원방 주위 장치는, 수신측의 원방이고, 송신측의 근방에 존재하는 주위의 통신 장치(1)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4)에 상당한다.
SR 송신측 장치는, 주파수 리소스의 공간 재이용을 촉진하는 공간 재이용 기술(Spatial Reuse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5)에 상당한다. SR 수신측 장치는, 공간 재이용 기술을 이용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이며, 도 5의 통신 장치(1-6)에 상당한다.
공간 재이용 기술은, 누군가가 채널을 이미 사용하고 있는 상태라도, 선행하는 송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여기에 중첩되는 형태로의 송수신을 허용하는 기술이다.
위에서부터 3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는, 소정의 프리앰블(P)과 헤더 정보(HR)를 송신한다.
위에서부터 2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가 송신한 P와 HR을 수신한 수신측 장치는, 이용 중 신호(US: Using Signal)를 간헐적으로 송신한다. 헤더 정보에 수신처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던 수신처 장치는, 이용 중 신호를 바로 회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최상단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용 중 신호만을 수신한 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는, 소정 시간에 걸쳐,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는 통신 장치(수신측 장치)가 주위에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다. 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에서는,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는 통신 장치의 존재의 파악에 의해,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금지할 수 있다.
위에서부터 4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와, 수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이용 중 신호의 양쪽을 수신한 송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는, 양쪽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신측 장치와 송신측 장치가 근방에 존재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위에서부터 5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만을 수신하고, 수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수신측 원방 주위 장치는, 자기의 주위에,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수신측 장치)가 존재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검출해도, 수신측 장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수신측 장치의 수신에 영향이 적기 때문에, 수신측 원방 주위 장치는, 공간 재이용 기술(SR)을 이용한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부터 3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는, 소정의 프리앰블(P)과 헤더 정보(HR) 후, GAP인 기간에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고, 그 후, 최초의 데이터 유닛(MPDU-1)을 송신한다. GAP이란,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을 말한다. 최초의 데이터 유닛의 송신이 종료된 경우, GAP이 마련된다.
위에서부터 2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신측 장치는, GAP인 동안에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MPDU-1 후의 이용 중 신호에 계속해서 송신측 장치로부터 다음 데이터 유닛(MPDU-2 내지 MPDU-3)이 송신되고, 각 데이터 유닛의 말미가 도래한 경우에도, GAP이 간헐적으로 각각 마련되며, GAP인 동안에, 수신측 장치로부터 이용 중 신호(US)가 간헐적으로 각각 송신된다.
이용 중 신호에 계속해서 송신측 장치로부터 최후의 데이터 유닛(MPDU-4)이 송신된 후, 위에서부터 2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신측 장치로부터 종료 신호(ES)가 송신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종료 신호(ES)가 송신된 후, 수신측 장치로부터 송신측 장치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블록 ACK 프레임이 반송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위에서부터 6단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간 재이용 기술을 이용한 송신을 행하는 SR 송신측 장치도, 소정의 프리앰블(P)과 헤더 정보(HR) 후, GAP을 마련하고, 그 후, 최초의 데이터 유닛(MPDU-1)을 송신한다.
위에서부터 7단째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간 재이용 기술을 이용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SR 수신측 장치도, SR 송신측 장치에 의한 GAP 동안,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한다. SR 수신측 장치도, 종료 신호(ES)가 송신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블록 ACK 프레임이 반송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기술의 통신 장치의 구성예>
도 8은, 본 기술을 적용한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통신 장치(1)를, 무선 LAN 시스템을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통신 디바이스 중 어느 쪽으로서도 동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지만, 각각의 동작에 불필요한 부분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통신 장치(1)는, 인터넷 접속 모듈(11), 정보 입력 모듈(12), 기기 제어부(13), 정보 출력 모듈(14) 및 무선 통신 모듈(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접속 모듈(11)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경우, 인터넷망에 유선에 의해 접속되는 어댑터로서 기능한다.
정보 입력 모듈(12)은, 유저가 요구하는 동작이 입력된 경우에 수취하는 부이며,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이나, 유저의 음성에 의해, 그 입력을 판정한다.
기기 제어부(13)는, 통신 장치(1)의 동작의 제어를 일원적으로 관리하고,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OS 및 애플리케이션에 상당하는 기능이 저장되어 있다.
정보 출력 모듈(14)은, 예를 들어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부이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원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모듈(15)은, 실제로 무선 통신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서 동작한다.
<무선 통신 모듈의 기능 구성예>
도 9는, 도 8의 무선 통신 모듈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모듈(15)은, 인터페이스(101), 송신 버퍼(102), 네트워크 관리부(103),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 무선 통신 제어부(105), 헤더 정보 생성부(106) 및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모듈(15)은,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 송신 전력 제어부(109), 무선 송신 처리부(110), 안테나 제어부(111), 안테나(111-1A) 및 안테나(111-1B), 무선 수신 처리부(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5)은, 검출 역치 제어부(113),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 헤더 정보 해석부(116),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 및 수신 버퍼(1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중앙의 파선의 프레임으로 둘러싸이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 헤더 정보 생성부(106),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 헤더 정보 해석부(116)는, 통신 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다.
하단의 파선으로 둘러싸이는, 송신 전력 제어부(109), 무선 송신 처리부(110), 안테나 제어부(111), 안테나(111-1A), 안테나(111-1B), 무선 수신 처리부(112), 검출 역치 제어부(113)는, 실제의 통신 처리나 전력 제어에 관한 부분이다.
인터페이스(101)는, 도 8의 기기 제어부(13)와의 인터페이스부이다. 인터페이스(101)는, 기기 제어부(13)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를 송신 버퍼(102)에 공급하고, 수신 버퍼(118)에 축적된 데이터를 기기 제어부(13)에 공급한다. 인터페이스(101)는, 기기 제어부(13)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하고, 네트워크 관리부(103)가 관리하는 주위의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기기 제어부(13)에 공급한다.
송신 버퍼(102)는, 기기 제어부(13)로부터 공급되는, 무선 송신을 위해 MPDU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 버퍼(102)는, 소정의 타이밍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나 인터페이스(101)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위의 통신 장치(1)와의 사이에서 자기의 BSS와 오버랩되는 주위의 무선 네트워크인 OBSS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 등의 속성 정보를 관리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관리하는 BSS의 속성 정보를, 필요에 따라,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 무선 통신 제어부(105), 인터페이스(101) 및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에 공급한다.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는, 송신 버퍼(102)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해 소정의 애그리게이션 단위로 무선 통신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통신 프레임을, 헤더 정보 생성부(106) 및 무선 송신 처리부(110)에 공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네트워크 관리부(103),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 헤더 정보 해석부(116)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전송로 상에 있어서 액세스 통신 제어를 실시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송신 전력 제어부(109)를 제어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시키고, 검출 역치 제어부(113)를 제어하여, 수신 전력을 취득하는 등, 통신에 관한 전력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액세스 통신 제어의 결과 얻어진 정보를, 헤더 정보 생성부(106),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한다.
헤더 정보 생성부(106)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의 제어 하,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가 생성한 데이터 프레임의 선두 부분에 부가하는 소정의 프리앰블 및 헤더 정보를 생성한다. 헤더 정보 생성부(106)는, 생성된 소정의 프리앰블 및 헤더 정보를,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에 공급한다. 헤더 정보 생성부(106)는, 생성된 소정의 프리앰블 및 헤더 정보를,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로부터의 데이터 프레임에 부가하여, 무선 송신 처리부(110)에 공급한다.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 헤더 정보 생성부(106), 검출 역치 제어부(113)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중이고, 전송로를 이용 중임을 주위에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생성한다.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는, 생성된 이용 중 신호를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 및 무선 송신 처리부(110)에 공급한다.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는,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및 송신 전력 제어부(109)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송신 처리부(110)가 데이터 프레임이나 이용 중 신호를 전송로 상에 송신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송신 전력 제어부(109)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 및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의 제어 하, 송신처의 통신 장치를 향하여, 무선 송신 처리부(110)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프레임의 송신 전력을 필요에 따라 제어한다.
무선 송신 처리부(110)는, 헤더 정보 생성부(106)가 생성한 헤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프레임,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가 생성한 데이터 프레임,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가 생성한 이용 중 신호, 송신 프레임을 소정의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켜 변조 처리와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무선 송신 처리부(110)는,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에 의해 제어된 타이밍에, 송신 전력 제어부(109)에 의해 제어된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신호 처리 후의 기저 대역 신호를 안테나 제어부(111)에 공급한다.
안테나 제어부(111)는, 복수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안테나(111-1A) 및 안테나(111-1B)를 제어하고, 전송로로부터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안테나(111-1A) 및 안테나(111-1B)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무선 송신 처리부(110)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로에 송신한다. 안테나(111-1A) 및 안테나(111-1B)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무선 수신 처리부(112)에 공급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2)는, 소정의 포맷으로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안테나(111-A) 또는 안테나(111-1B)를 통하여 수신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2)는,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검출 역치 제어부(113),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헤더 정보 해석부(116) 및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에 공급한다.
검출 역치 제어부(113)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프리앰블 및 미드앰블을 검출하는 역치를 설정하고, 설정한 역치보다 큰 수신 전력의 신호(데이터 프레임)를 검출한다. 검출된 수신 전력의 정보는,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및 무선 수신 처리부(112)에 공급된다.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는, 검출 역치 제어부(113)로부터의 수신 전력의 정보,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가 검출한 이용 중 신호의 파라미터, 헤더 정보 해석부(116)가 해석한 헤더 정보 등에 기초하여, 무선 수신 처리부(112)가, 데이터 프레임이나 삽입되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는, 데이터 프레임이나 삽입되는 이용 중 신호의 수신 타이밍의 정보를,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에 공급한다.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는, 헤더 정보 해석부(116)가 해석한 헤더 정보로부터,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전송로의 이용을 파악하고,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되는 파라미터를 해석하고, 해석한 파라미터를,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및 무선 통신 제어부(105)에 공급한다.
헤더 정보 해석부(116)는, 프레임의 선두에 부가되는 프리앰블을 검출함으로써,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헤더 정보의 내용을 해석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용 중 신호도 기존의 프리앰블과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헤더 정보로서 추출된다. 헤더 정보 해석부(116)는, 헤더 정보 및 헤더 정보의 해석 결과 등을, 수신 타이밍 제어부(114),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 및 무선 통신 제어부(105)에 공급한다.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는, 네트워크 관리부(103)가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관리 정보, 및 헤더 정보 해석부(116)가 해석한 헤더 정보의 해석 결과 등에 기초하여, 무선 수신 처리부(112)가 수신한 애그리게이션된 수신 프레임을 소정의 단위로 수신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 버퍼(118)에 축적한다.
수신 버퍼(118)는,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가 생성한 MPDU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수신 버퍼(118)는, 소정의 타이밍에 판독하여,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기기 제어부(13)에 공급한다.
또한, 도 9의 예에 있어서는, 이용 중 신호가 기존의 프리앰블과 호환성을 갖기 때문에,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가, 헤더 정보 해석부(116)로부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를,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직접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프레임의 구성예>
도 10은, 종래의 애그리게이션된 MPDU(A-MPDU)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A-MPDU 프레임은, 소정의 프리앰블(Preamble), PLCP 헤더(Header) 및 MAC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으로 구성된다.
프리앰블은, 레거시 숏 트레이닝 필드(L-STF),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L-LTF) 및 레거시 시그널(L-SIG)에 의해 구성된다.
L-STF는, 프레임의 선두를 나타낸다. L-LTF는, 타이밍이나 주파수 오차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L-SIG는, 이후에 계속되는 데이터 부분의 변조 방식ㆍ부호화율의 설정이나 신호 지속 시간을 나타낸다.
PLCP 헤더는, 하이 스루풋 시그널(HT-SIG), 하이 스루풋 숏 트레이닝 필드(HT-STF) 및 하이 스루풋 롱 트레이닝 필드(HT-STF) 등으로 구성된다.
HT-SIG와 HT-STF는, 프리앰블의 일부로서 인식되며, 일반적으로 새롭게 확장된 기능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HT-STF는, 채널 추정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들 프리앰블 등에 계속해서, 데이터 페이로드로서, MPDU가 구성된다. MPDU에는, 복수의 MPDU의 서브프레임을 애그리게이트하여, 하나의 버스트로서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MPDU-1 내지 MPDU-4의 4개의 서브프레임을 애그리게이션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MPDU 서브프레임은, 길이 정보 등이 기재된 딜리미터(Delimiter)의 실제의 데이터 부분(MPDU)에,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가 부가되고, 필요에 따라 패딩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MPDU 서브프레임의 상세한 구성은, 도 20에 후술된다.
도 11은, 본 기술에서 사용되는 A-MPDU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도 10의 MAC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프레임은, MPDU의 경계선에 G로 나타나는 GAP으로 되는 구간이 삽입되어 있고, GAP의 타이밍에 수신측의 통신 장치(1)가 이용 중 신호를 반송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GAP은, 이용 중 신호를 반송할 수 있는 시간 간격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GAP은, 소정의 인터프레임 스페이스의 시간 간격을 포함하여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GAP은, 송수신 동작의 전환 시간에, 이용 중 신호 프레임의 정보 길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A-MPDU의 선두에는, MPDU-0 헤더가 설정된다. MPDU-0 헤더는, 프레임 형식을 나타내는 Type, 타깃으로 되는 통신 장치(1)의 어드레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정보, 각종 파라미터 정보 및 오류 검출의 CRC 등으로 구성된다.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측의 통신 장치(1)는, 타깃으로 되는 통신 장치(1)의 어드레스 정보로서, 자기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재되어 있던 경우, 이용 중 신호의 송신을 준비해 두고, GAP의 타이밍이 도래한 경우에, 바로 송신할 수 있는 태세로 정돈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PDU에는, GAP에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한 각 MPDU의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도 11의 MPDU는, MPDU-1 내지 MPDU-4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1의 MPDU는 각각 소정의 길이로 프래그먼트화되고, MAC층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는, 이용 중 신호(Using Signal)의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Using Signal 프레임은, L-STF, L-LTF, L-SIG에 추가하여, 본 기술의 특징인, Using Signal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된다.
즉, L-STF, L-LTF, L-SIG는, 종래 방식의 프리앰블과 호환성이 있는 파라미터 배치로 되어 있고, 기존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도, Using Signal 프레임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3은, End Signal의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End Signal 프레임은, L-STF, L-LTF, L-SIG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End Signal 프레임에서는, A-MPDU 프레임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해, L-SIG에 기재된 파라미터는, 모두 0이 기재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4는, L-SIG 및 Using Signal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L-SIG는, 기존 제품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RATE 필드(4비트), R 비트(1비트), LENGTH 필드(12비트), 패리티 P 비트(1비트), Tail 비트의 필드(6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RATE 필드는, 데이터 부분의 변조 방식ㆍ부호화율을 나타낸다. R 비트는, 본 기술의 L-SIG임을 나타낸다. LENGTH 필드는, 데이터 부분의 나머지 정보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ENGTH 필드에는, 데이터 프레임에 부가된 데이터 프레임의 지속 시간을 기재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신 지속 시간이 기재된다.
Using Signal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2 OFDM 심볼의 길이로 구성되어 있지만, 정보량에 따라, 이것을 1 OFDM 심볼의 길이로 구성하거나, 3 OFDM 심볼 이상의 길이로 구성하거나 해도 된다.
Using Signal 파라미터는, Type(2비트), RSI(4비트), BSS Color 정보(6비트), AID12 정보(12비트), ACK 비트맵 정보(Sequence)(12비트), TPC 정보(2비트), CRC(4비트), Tail 비트의 필드(6비트)의 각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Type은, 프레임의 형식을 나타낸다. RSI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 얻어지는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이다. BSS Color는, BSS(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AID12는, 통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어소시에이션 식별자이고, TPC 정보는,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할 때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이다. TPC 정보는,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정보에 부가되어 있던 정보여도 된다. Using Signal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해 온 통신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도 포함되어도 된다.
근년, OBSS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규격화가 진행되고 있는 공간 재이용 기술을 적용하기 때문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면 전송로의 이용을 판단할 수 없었다.
즉, OBSS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1)로부터는 BSS color 정보가 기재된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또한 수신측의 통신 장치(1)는 수신 중에 신호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수신에 간섭하는 레벨의 신호가, 공간 재이용 기술에 의해 송신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해, Using Signal 파라미터에, BSS Color 정보를 넣도록 하였으므로,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한 주위의 통신 장치(1)는, 데이터 수신 중인 통신 장치(1)가 어느 BSS에 속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버랩되는 BSS(OBSS)에 대하여, 자기의 BSS 내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고 있음을 알리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의 신호에, BSS Color 정보 등의 파라미터가 기재되어 공간 재이용 기술이 정의되어 있지만, 수신측의 통신 장치(1)에 있어서, 수신이 필요한 레벨을 파악한 후, 그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공간 재이용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비해, Using Signal 파라미터에, TPC 정보를 기재하도록 하였으므로,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한 통신 장치(1)는, 수신이 필요한 레벨을 파악한 후, 그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공간 재이용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파라미터는 예시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가감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4에서는 잠정적으로 파라미터를 배치하였지만, 이 순번으로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되는 순번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 있어도 된다.
<OFDM 신호의 구성과 GAP 시간의 예>
다음에, OFDM 신호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하면서, GAP의 시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0MHz의 대역폭에서는, 1OFDM 심볼은 5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그 중, 4개가, 도면 중 P로 나타나는 파일럿 서브캐리어로 된다. 즉, 1OFDM 심볼 48개가, 도면 중 D로 나타나는 데이터 서브캐리어로서 이용된다.
도 15에는, 중심 주파수 0을 DC의 널(null) 캐리어로 하여, +/-26개(합계 5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서브캐리어 -21, -7, +7, -21의 4개가 파일럿 서브캐리어로서 이용된다.
도 16은,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는, 변조 방식 BPSK, 부호화율 R=1/2, 1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48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24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6Mb/s(20MHz의 채널 공간), 3Mb/s(10MHz의 채널 공간), 1.5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BPSK, 부호화율 R=3/4, 1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48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36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9Mb/s(20MHz의 채널 공간), 4.5Mb/s(10MHz의 채널 공간), 2.25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QPSK, 부호화율 R=1/2, 2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96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48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12Mb/s(20MHz의 채널 공간), 6Mb/s(10MHz의 채널 공간), 3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QPSK, 부호화율 R=3/4, 2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96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72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18Mb/s(20MHz의 채널 공간), 9Mb/s(10MHz의 채널 공간), 4.5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16-QAM, 부호화율 R=1/2, 4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192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96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24Mb/s(20MHz의 채널 공간), 12Mb/s(10MHz의 채널 공간), 6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16-QAM, 부호화율 R=3/4, 4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192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144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36Mb/s(20MHz의 채널 공간), 18Mb/s(10MHz의 채널 공간), 9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64-QAM, 부호화율 R=2/3, 6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288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192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48Mb/s(20MHz의 채널 공간), 24Mb/s(10MHz의 채널 공간), 12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조 방식 64-QAM, 부호화율 R=3/4, 6서브캐리어마다의 부호화의 경우, 10FDM 심볼로 288비트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고, 216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레이트는 54Mb/s(20MHz의 채널 공간), 27Mb/s(10MHz의 채널 공간), 13.5Mb/s(5MHz의 채널 공간)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무선 LAN 시스템에서는, 이용하는 변조 방식(Modulation)과 부호화율(Coding Rate)에 따라, 10FDM 심볼당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이 바뀐다.
도 16의 예로부터 대표하여, 예를 들어 변조 방식 BPSK, 부호화율 R=1/2의 경우, 10FDM 심볼로 24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변조 방식 64-QAM, 부호화율 R=3/4의 경우, 10FDM 심볼로 216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7은, 프리앰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는, 도 9에서 도시된 프리앰블 부분의 상세한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프리앰블은,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의 선두에 부가되는 트레이닝 시퀀스로서, 신호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결정된 형식으로, 소정의 파라미터값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7의 프리앰블은,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심볼의 2배의 길이(8+8=16μs)이며, 짧은 동기 신호(t1 내지 t10)가 10회 반복되는 STF와, 채널 추정 등에 이용되는 긴 LTF의 2부로 구성되어 있다. STF와 LTF는, 가드 인터벌(GI)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STF에서는, t1 내지 t7에서, 신호 검출, AGC, 다이버시티 선택이 행해지고, t8 내지 t10에서, 러프한 주파수 오프셋 평가나 타이밍 동기가 행해진다. LTF에서는, 채널과 미세한 주파수 오프셋 평가가 행해진다.
프리앰블에 계속해서, PHY 파라미터가 기재된 Legacy SIGNAL(L-SIG) 필드 부분이 구성되고, 데이터 부분이 계속되어 간다. L-SIG와 데이터 부분도 각각 가드 인터벌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최초의 OFDM 심볼에는, L-SIG 필드가 반드시 배치됨으로써, 기존 방식의 프레임 구조와 호환성을 유지하여 전송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8은, L-SIG 필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는, 도 14에서 도시된 L-SIG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즉, L-SIG 필드는, 프레임의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RATE 필드와 프레임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로 구성되며, Tail 비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디코드를 종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1OFDM 심볼 시, 소정의 시간에 데이터로서 인식할 수 있는 시간(4μ초)을 단위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제의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복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실제로는, 데이터 프레임의 앞쪽에 SIGNAL 필드가 배치되고, 이것에 최초의 데이터 프레임 부분에, 16비트의 Service나 말미의 Data 부분에 Tail 비트가 배치되며, OFDM 심볼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은, Padding이 실시된다.
도 19는, A-MPDU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OFDM 신호에서는, 복수의 MPDU를 연결하여 하나의 애그리게이트된 MPDU(A-MPDU) 구성으로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도 19에서는, 서브프레임 1의 A-MPDU 내지 서브프레임 n의 A-MPDU가 애그리게이트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A-MPDU 서브프레임을 복수 통합하여 보냄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단순하게 연속해서 통합해 버리면, 절단부가 어느 곳에 있는지 알 수 없게 되므로, MPDU의 선두에, 딜리미터(Delimiter)가 부가되어, 미리 MPDU의 절단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0은, A-MPDU 중, 하나의 MPDU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PDU는, MPDU 딜리미터(4 Octets), MPDU(Octets는 가변) 및 Pad(0-3 Octets)로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PDU에서는, 개개의 MPDU의 선두에, 딜리미터가 부가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1은, MPDU 딜리미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PDU 딜리미터는, 4비트의 Reserved, 12비트의 MPDU length, b비트의 CRC, 8비트의 Delimiter Signatur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기술의 특징으로서는, MPDU 딜리미터에 기재된 MPDU의 Length에 대하여, 각 MPDU 단위로 패딩이 실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2는, MPDU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PDU의 내부는, MAC 헤더와 프레임 보디, FCS로 구성되어 있고, MAC 헤더 부분에, 송신원, 송신처의 어드레스 정보 등이 기재되어 있다.
도 22의 MAC 헤더는, 2 Octets의 Frame Control, 2 Octets의 Duration ID, 6 Octets의 Address1, 6 Octets의 Address2, 6 Octets의 Address3, 2 Octets의 시퀀스 컨트롤, 6 Octets의 Address4, 2 Octets의 QoS 컨트롤, 4 Octets의 HT 컨트롤, 0-7951 Octets의 Frame body 및 4 Octets의 FCS로 구성되어 있다.
MAC 헤더의 오류 검출은, 말미의 FCS를 디코드하지 않으면, 정오의 판단이 불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어느 장치가 이용 중 신호를 반송해야 하는지를 특정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말미의 FCS를 기다리지 않고, Target Address를 특정하고, MPDU Header에 규정해 둘 필요가 있으므로, 본 기술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DU Header를 독립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3은, 패딩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기술에 있어서는, MPDU 단위로 GAP을 삽입한다는 점에서, MPDU마다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의 개수(24비트라든가, 216비트의 단위)로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로 될 때까지, 패딩이 필요하게 된다.
즉, 송신하는 MPDU의 데이터 길이가, 1OFDM Symbol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패딩이 부가된다. 구체적으로는, BPSK, R=1/2의 경우에는, 24비트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부분에 Padding 처리된다.
도 23의 예의 경우, 위에서부터 차례로, MPDU-1은, 데이터 길이가 D15이고 패딩 처리되어 있다. MPDU-2는, 데이터 길이가 D10이고 패딩 처리되어 있다. MPDU-3은, 데이터 길이가 D13이며, 패딩 처리되지 않는다. MPDU-4는, 데이터 길이가 D12이고 패딩 처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패딩 등이 구성되는 본 기술에서는,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MPDU 헤더와 GAP을 삽입하여 프레임이 구성된다.
또한, GAP은, 소정의 이용 중 신호의 시간 길이로 되는 OFDM 심볼이 설정된다. 즉, 소정의 프리앰블(8μ초×2)에, L-SIG(4μ초), 또한 본 기술의 Using Signal 파라미터(8μ초)로 하면, 28μ초의 시간으로서 GAP이 구성되게 된다. 단, 이용 중 신호의 구성에 의해, 그 GAP의 시간은 적절하게 조정되어도 된다.
<송신측의 통신 장치의 동작예>
다음에,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측의 통신 장치(1)는, 도 7의 송신측 장치에 상당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송신 버퍼(102)와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기기 제어부(13))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취득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주위의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자기의 BSS와 오버랩되는 주위의 무선 네트워크의 그룹인 BSS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 등의 속성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스텝 S102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취득한 송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통신 방식이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는, 네트워크 관리부(103)의 제어 하, 기존의 통신 방식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는, 네트워크 관리부(103)의 제어 하,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고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생성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소정의 애그리게이션된 MPDU 구성으로 되도록, 복수의 MPDU를 통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은, 헤더 정보 생성부(106) 및 무선 송신 처리부(110)에 공급된다. 헤더 정보 생성부(106)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에 의해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로부터 공급된 프레임의 선두 부분에 부가할 소정의 프리앰블 및 헤더 정보를 생성한다. 헤더 정보에는, 송신처의 통신 장치(1)를 특정하는 정보,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 등이 기재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2)는, 전송로 신호를, 안테나(111-1B)를 통하여 수신하고, 검출 역치 제어부(113)에 의해 신호가 검출된 경우, 주위의 통신 장치(1)로부터의 소정의 포맷으로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주위의 통신 장치(1)로부터의 소정의 포맷으로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다고 무선 수신 처리부(112)에 의해 판정된 경우, 헤더 정보 해석부(116)에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이 공급된다.
헤더 정보 해석부(116)는,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프리앰블을 검출하고, 헤더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무선 통신 제어부(105)에 공급한다. 또한, 헤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헤더 정보 해석부(116)는,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에 헤더 정보를 공급한다.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는, 헤더 정보에 이용 중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는, 이용 중 신호가 기존의 프리앰블과 호환성을 갖기 때문에,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가, 헤더 정보 해석부(116)로부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를,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직접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는, 이용 중 신호가 검출된 경우, 이용 중 신호의 정보를, 무선 통신 제어부(105)에 공급하고, 전송로 상에서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 다른 통신 장치가 존재함을 파악한다. 이러한 액세스 수순이 행해진다. 또한, 액세스 수순은 일례이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스텝 S106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소정의 액세스 수순 후, 헤더 정보 해석부(116)가 해석한 해석 결과나,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가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용 중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06에 있어서, 전송로가 빈 상태이면, 즉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헤더 정보 생성부(106)를 제어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시킨다.
헤더 정보 생성부(106)는, 생성된 헤더 정보를,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에 부가하여, 무선 송신 처리부(110)에 공급한다. 무선 송신 처리부(110)는, 헤더 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헤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프레임을, 소정의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켜 변조 처리와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신호 처리 후의 기저 대역 신호를 안테나(111-1A)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때, 프레임은, 송신 전력 제어부(109)의 제어 하, 수신측의 통신 장치(1)에서 수신 가능한 최소의 송신 전력으로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레임은, 이용 중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 및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된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OBSS의 통신에 영향이 없는 송신 전력값으로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이용 중 신호가 배치되는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용 중 신호가 배치되는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7의 처리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가 배치되는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의 제어 하, GAP을 삽입한다.
또한, GAP의 삽입 방법은, 송신 타이밍의 제어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 작성 시에, GAP의 부분에 빈 데이터를 넣어 두고, GAP의 부분만 신호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등의 방법도 고려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상술한 소정의 액세스 수순 후,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1로 진행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에 의해 검출된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이때,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필요에 따라, 전송로의 상황을 모니터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10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2로 진행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소정의 액세스 수순을 행하고, 이용 중 신호가 연속해서 미검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가 연속해서 미검출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재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재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재송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6으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가 연속해서 미검출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데이터 프레임의 말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데이터 프레임의 말미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7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데이터 프레임의 말미라고 판정된 경우, 송신측의 통신 장치(1)의 처리는, 종료된다. 그 후, 종래와 마찬가지로, ACK 프레임의 교환에 의해,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송신측의 통신 장치(1)에 확인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통신 방식이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108 내지 S111의 이용 중 신호에 관한 처리는 스킵된다.
<수신측의 통신 장치의 동작예>
다음에,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측의 통신 장치(1)는, 도 7의 수신측 장치에 상당한다.
도 24에서 상술한 액세스 수순이 행해지고, 스텝 S15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헤더 정보 해석부(116)가 프리앰블을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프리앰블을 검출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151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검출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52로 진행한다.
스텝 S152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헤더 정보 해석부(116)에 의해 해석된 PLCP 헤더 정보를 취득하고,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프레임이면, 데이터 프레임이 이용 중 신호에 대응하고 있음을 기억한다.
스텝 S153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검출 역치 제어부(113)로부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를 취득한다.
스텝 S154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는, 데이터 페이로드(또는, MPDU-0 헤더)를 수신하고, MPDU의 종료까지 복호를 행한다.
스텝 S155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는, MPDU의 종료까지 오류 없이 복호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55에 있어서, 오류 없이 복호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56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는, 데이터 페이로드를 취득하고, 수신 버퍼(118)에 축적한다.
스텝 S157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구축부(117)는,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ACK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ACK 정보는, 이용 중 신호에 넣어도 되고, 송신의 마지막에, 블록 ACK 프레임으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스텝 S155에 있어서, MPDU의 종료까지 오류 없이 복호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56과 스텝 S157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스텝 S158로 진행한다.
스텝 S158에 있어서,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는, 이용 중 신호의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59에 있어서,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는, 이용 중 신호 생성부(107)에 의해 생성된 이용 중 신호를 취득한다. 스텝 S160에 있어서, 무선 송신 처리부(110)는, 송신 타이밍 제어부(108)에 의해 공급된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 전력 제어부(109)는, 통상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1)에서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으로 송신한다. 한편, 송신 전력 제어부(109)는, 이용 중 신호에 대해서는, 통상의 데이터 프레임보다 큰 송신 전력으로 보내지도록 제어하고 있다.
스텝 S16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데이터 프레임 말미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애그리게이션된 MPDU가 계속되는 경우, 스텝 S161에 있어서, 데이터 프레임 말미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므로, 처리는, 스텝 S154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61에 있어서, 데이터 프레임 말미가 도래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처리는 종료된다.
<주위의 통신 장치의 동작예>
다음에,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주위의 통신 장치(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위의 통신 장치(1)는, 도 7의 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 송수신측 근방 주위 장치, 수신측 원방 주위 장치, SR 송신측 장치, SR 수신측 장치 중 적어도 어느 1대에 상당한다.
상술한 액세스 수순이 행해지며, 스텝 S20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가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이용 중 신호 검출부(115)가 검출한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취득한, 예를 들어 BSS Color 정보 등의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검출된 이용 중 신호가 OBSS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OBSS의 신호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BSS의 신호이므로, 주위의 통신 장치(1)의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OBSS의 신호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취득한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검출된 이용 중 신호가, 공간 재이용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공간 재이용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이용 중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 및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된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OBSS의 통신에 영향이 없는 송신 전력값을 산출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네트워크 관리부(103)가 관리하고 있는 정보 등을 참조하여, 자기의 BSS 내에서 데이터 프레임 송신의 예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BSS 내에서 데이터 프레임 송신의 예정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주위의 통신 장치(1)의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BSS 내에서 데이터 프레임 송신의 예정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송신 대기를 행하기 위한 백오프 시간을 설정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105)는, 설정된 백오프 시간이 만료되었다고 판정하고, 설정된 백오프 시간이 만료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설정된 백오프 시간이 만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9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부(109)는, 무선 통신 제어부(105)가 산출한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무선 송신 처리부(110)는, 헤더 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헤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프레임(또는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6에 있어서는, 송신측의 통신 장치(1), 수신측의 통신 장치(1) 및 주위의 통신 장치(1)로서 처리를 나누어 기재하였지만, 어느 처리도 통신 장치(1)가 가능한 처리이며, 3개의 처리에 사용된 각 스텝은, 필요에 따라, 어느 처리에서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스텝의 순번도 변경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있어서는, 데이터 프레임 수신측으로부터 이용 중 신호를 간헐적으로 송신하도록 하였으므로, 수신에 영향이 있는 간섭 범위의 장치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그리게이트된 A-MPDU 프레임에 있어서, MPDU 서브프레임 후에, 이용 중 신호의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데이터 프레임 수신 중인 장치의 존재를, 짧은 주기로 주위의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종래, 비지 톤을 사용한 전송로의 이용 통지 방법에서는, 비지 톤 신호를 송신하는 채널 등이 필요하게 되어 있고, 비지 톤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블록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기술에 따르면, 이용 중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톤 신호의 송수신 회로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송수신 회로인 채로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RTS/CTS 프레임의 교환에서 NAV를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RTS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었지만, CTS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었던 주위의 통신 장치(1)는, 그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데이터 프레임 수신에 영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NAV가 설정되어 버려, 송신 기회가 감소해 버렸다.
종래 기술의 NAV 설정 방법에서는, RTS 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CTS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양쪽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데이터 프레임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로부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버렸다.
즉, RTS 신호로 NAV를 설정한 후에, CTS 신호의 수신이 없으면, 그 신호의 수신처의 통신 장치(1)에 간섭을 주는 영향이 적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본 기술에 따르면, RTS/CTS의 교환을 실시하지 않고,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주위에 네트워크 얼로케이션 벡터(NAV)를 설정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가 실시되어 송신 전력이 저감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오버랩되는 BSS로부터 수신측의 통신 장치(1)의 주위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지 않고, 최대 송신 전력으로 신호가 송신되어 버리면, BSS 내의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즉,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여, BSS 내에서 송신 전력을 억제하여 통신을 실시해도, 그 송신 전력 제어가 실시되고 있음을 파악하고 있지 않은, 오버랩되는 BSS(OBSS)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를 송신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기술에 따르면, 이용 중 신호에, 데이터 수신 시의 RSSI 정보나, 데이터의 송신 전력 정보가 기재되도록 하였으므로, RSSI 정보나 송신 전력 정보의 값으로부터, 데이터 수신처의 소용 S/N비를 어림잡을 수 있어, 공간 재이용을 실시한 송신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수신에 영향이 없는 범위의 송신 전력의 설정이 가능하다.
본 기술은, 무선 LAN 시스템을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통신 디바이스 등의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27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에 도시되는 통신 장치(3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 ROM(Read Only Memory)(302), RAM(Random Access Memory)(303)은, 버스(3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3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입력부(306), 출력부(307), 기억부(308), 통신부(309) 및 드라이브(3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306)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터치 패널, 입력 단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307)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출력 단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억부(308)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RAM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309)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3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311)를 구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장치에서는, CPU(301)가, 예를 들어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305) 및 버스(304)를 통하여, RAM(3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RAM(303)에는 또한, CPU(3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하게 기억된다.
통신 장치(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311)에 기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311)를 드라이브(3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하여, 기억부(3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프로그램은, 통신부(309)에서 수신하고, 기억부(3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이 프로그램은, ROM(302)이나 기억부(3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며,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불문한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구축부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중에, 소정 기간 송신을 중단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상기 소정 기간에,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상기 소정 기간은, 송수신 동작의 전환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가능하게 하는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생성하는 헤더 정보 생성부
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와, 상기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된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로가 빈 상태라고 판정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송로가 빈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9)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부가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지속 시간을 기재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신 지속 시간을, 상기 이용 중 신호에 부가하는 이용 중 신호 생성부
를 더 구비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이용 중 신호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정보에 부가된 송신 전력의 정보를, 상기 이용 중 신호에 부가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이 종료되었을 때,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해 온 송신원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전력보다 큰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상기 (8)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이용 중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해 온 송신원의 통신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8)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상기 이용 중 신호는, 기존 방식의 프리앰블과 호환성이 있는 파라미터 배치로 구성되는
상기 (8) 내지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5)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이용 중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6)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통신 장치.
(17)
상기 수신부가,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송신 제어부는,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상기 (15) 또는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
(18)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와, 상기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된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상기 (15)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9)
상기 송신 제어부는, 송신 대기 시간인 백오프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백오프 시간이 만료되었을 때,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 1-1 내지 1-5: 통신 장치
11: 인터넷 접속 모듈
12: 정보 입력 모듈
13: 기기 제어부
14: 정보 출력 모듈
15: 무선 통신 모듈
101: 인터페이스
102: 송신 버퍼
103: 네트워크 관리부
104: 송신 프레임 구축부
105: 무선 통신 제어부
106: 헤더 정보 생성부
107: 이용 중 신호 생성부
108: 송신 타이밍 제어부
109: 송신 전력 제어부
110: 무선 송신 처리부
111: 안테나 제어부
111-1A: 안테나
111-1B: 안테나
112: 무선 수신 처리부
113: 검출 역치 제어부
114: 수신 타이밍 제어부
115: 이용 중 신호 검출부
116: 헤더 정보 해석부
117: 수신 데이터 구축부
118: 수신 버퍼

Claims (19)

  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구축부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중에, 소정 기간 송신을 중단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상기 소정 기간에,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상기 소정 기간은, 송수신 동작의 전환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가능하게 하는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생성하는 헤더 정보 생성부
    를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와, 상기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된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이용 중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로가 빈 상태라고 판정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송로가 빈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8.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부가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지속 시간을 기재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신 지속 시간을, 상기 이용 중 신호에 부가하는 이용 중 신호 생성부
    를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중 신호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의 정보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정보에 부가된 송신 전력의 정보를, 상기 이용 중 신호에 부가하는,
    통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이 종료되었을 때,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해 온 송신원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전력보다 큰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통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중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해 온 송신원의 통신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중 신호는, 기존 방식의 프리앰블과 호환성이 있는 파라미터 배치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15.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이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기간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이용 중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송신 제어부는,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전계 강도와, 상기 이용 중 신호에 기재된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송신 대기 시간인 백오프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백오프 시간이 만료되었을 때,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KR1020207021638A 2018-02-09 2019-01-25 통신 장치 KR20200119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1661 2018-02-09
JPJP-P-2018-021661 2018-02-09
PCT/JP2019/002402 WO2019155907A1 (ja) 2018-02-09 2019-01-25 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789A true KR20200119789A (ko) 2020-10-20

Family

ID=6754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638A KR20200119789A (ko) 2018-02-09 2019-01-25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57049B2 (ko)
EP (1) EP3751894A4 (ko)
KR (1) KR20200119789A (ko)
AU (1) AU2019217730B2 (ko)
WO (1) WO2019155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15460A (es) * 2017-07-06 2020-02-24 Sony Corp Aparato y metodo de comunicacion inalambrica.
US20210367886A1 (en) * 2020-05-19 2021-11-25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preamble design
JP2022138406A (ja) * 2021-03-10 2022-09-26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4319A (ja) 2010-06-02 2011-12-15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540B1 (ko) 2003-02-03 2010-07-21 소니 주식회사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60268924A1 (en) * 2005-04-01 2006-11-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deferred transmission level and a transmission power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7792B2 (en) * 2005-05-10 2013-09-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nd radio LAN system
EP1821462A1 (en) 2006-02-20 2007-08-22 Thomson Telecom Belgium Method and device to transmit a busy medium signal to another device
JP4762007B2 (ja) * 2006-03-03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中継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1072727A1 (en) * 2009-12-16 2011-06-23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US9392618B2 (en) * 2012-03-29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system
KR102091157B1 (ko) 2012-07-02 2020-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10111135B2 (en) * 2013-08-09 2018-10-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Offloading traffic of a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session from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JP6191955B2 (ja) 2013-09-17 2017-09-0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3131215A4 (en) 2014-02-12 2017-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80263047A1 (en) 2014-12-25 2018-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nit on basis of trigger frame
WO2017023074A1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캐리어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0249570B (zh) * 2016-12-05 2022-11-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基于另一个参考信号带宽来控制极简载波上的小区特定参考信号(crs)带宽
JP7114236B2 (ja) * 2017-10-19 202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18220B1 (en) * 2017-11-28 2023-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radio access network node technolog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4319A (ja) 2010-06-02 2011-12-15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5907A1 (ja) 2019-08-15
AU2019217730B2 (en) 2024-04-04
EP3751894A1 (en) 2020-12-16
US11357049B2 (en) 2022-06-07
US20210037570A1 (en) 2021-02-04
EP3751894A4 (en) 2021-03-31
AU2019217730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9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rigger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KR1021395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469706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1600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JP2019118107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1764896B2 (en) Aggregated-MPDU,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frame thereto,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JP201907583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31191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KR20120102596A (ko) 통신 장치의 전력 절감
CN109417821B (zh) 用于空间重利用和传输机会持续时间表示的方法和装置
KR201700514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19789A (ko) 통신 장치
JP2018121095A (ja) 無線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6140179A1 (ja) 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1258058B1 (ko) 수신지의 mac 어드레스가 포함된 phy 계층 헤더를 이용하는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220104586A (ko) 동시 송수신 동작이 제한된 다중 링크 동작에서의 전송 기회 유지를 위한 채널 접근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