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704A - 압출기 - Google Patents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704A
KR20200119704A KR1020197024220A KR20197024220A KR20200119704A KR 20200119704 A KR20200119704 A KR 20200119704A KR 1020197024220 A KR1020197024220 A KR 1020197024220A KR 20197024220 A KR20197024220 A KR 20197024220A KR 20200119704 A KR20200119704 A KR 2020011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ember
extruder
support structure
extrusion ram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277B1 (ko
Inventor
야스히코 사사키
성윤 홍
고우키 와카마츠
고다이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 C10B33/08Pushers, e.g. rams
    • C10B33/10Pushers, e.g. rams for horizontal cha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압출기는, 코크스로의 탄화실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출입되는 압출램(54)을 갖는 압출기로서, 압출램(54)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구조(20)를 구비한다. 제1 지지구조(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는 경사 빔부재(2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출기
본 발명은, 코크스로의 탄화실 내의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로의 탄화실 내의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압출램을 탄화실에 밀어넣어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압출기는, 복수의 탄화실의 노구(爐口)를 따르면서 탄화실 내에 하나씩 코크스압출용 램을 밀어넣어, 노구의 반대측에 설치된 가이드차를 향하여 코크스를 압출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51609호
압출기에는 경량화의 요청이 있다. 효율적으로 코크스를 압출하기 위하여, 탄화실 내의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램에 강한 압출력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 압출램을 압출하면, 압출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는 그 압출력과 반대방향으로 큰 반발력을 받는다. 큰 반발력을 받으면, 지지구조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 지지구조는 강풍이나 지진 시의 수평력(水平力)에도 견디는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발력이나 지진 시의 수평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지지구조에 보강부재를 추가하면, 압출기가 무거워져, 경량화의 요청에 반한다. 또, 압출기가 무거워지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들로부터, 종래의 압출기에는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개선해야 할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압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압출기는, 코크스로의 탄화실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출입되는 압출램을 지지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출기로서, 압출램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구조를 구비한다. 제1 지지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는 경사 빔부재를 포함한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압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압출기를 적용한 코크스로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출기의 제1 지지구조의 주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출기의 제2 지지구조의 주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히 확대, 축소되어 나타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또, 제1, 제2 등의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지만, 이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이 용어에 의하여 구성요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평행", "수직"은, 완전한 평행, 수직만이 아니라, 오차의 범위에서 평행, 수직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약"은, 대략의 범위라는 의미이다.
또, 제1, 제2 등의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지만, 이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이 용어에 의하여 구성요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출기(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압출기(10)를 적용한 코크스로설비(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만, 이 명세서에서는, 압출기(10)의 설치면을 수평면으로 하여, 수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의 시점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을 "평면도"라고 한다.
이하, 주로 XYZ 직교좌표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X축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지면좌우방향에 대응한다. Y축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지면상하방향에 대응한다. Z축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응한다. Y축방향 및 Z축방향은 각각 X축방향에 직교한다. X축, Y축, Z축의 각각의 정(正)의 방향은, 각 도면에 있어서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규정되며, 부(負)의 방향은, 화살표와 역방향의 방향으로 규정된다. 또, X축의 정방향측을 "우측", X축의 부방향측을 "좌측"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 Z축의 정방향측을 "전측", Z축의 부방향측을 "후측", Y축의 정방향측을 "상측", Y축의 부방향측을 "하측"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방향의 표기는 압출기(10)의 사용자세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압출기(10)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자세로 사용될 수 있다.
(코크스로설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크스로설비(100)는, 압출기(10)와, 코크스로(50)와, 가이드차(70)와, 레일(56)을 주로 포함한다. 코크스로(50)는, 제2 방향으로서 예시되는 Z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화실(52)을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Z축방향은 복수의 탄화실(52)의 배열방향에 일치한다. 다만, 제2 방향은 수평면 내의 방향이어도 된다. 레일(56)은, 복수의 탄화실(52)을 따라 Z축방향으로 뻗어 마련된다. 압출기(10)는, 탄화실(52)에서 건류(乾溜)하여 생성된 코크스(80)를 압출하기 위하여, 코크스로(50)의 노구(51)측에 마련된다. 압출기(10)는, 레일(56) 상을 Z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탄화실(52)로부터 코크스를 압출할 수 있다.
압출기(10)는, 각각의 탄화실(52)의 앞을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레일(56) 상에 배치된다. 압출기(10)는, 복수의 탄화실(52)의 노구(51)로부터 탄화실(52) 내에 코크스압출용 압출램(54)을 출입시킨다. 압출기(10)는, 압출램(54)을 밀어, 코크스(80)를 노구(51)의 반대측에 설치된 배출구(53)로부터 가이드차(70)를 향하여 압출한다. 압출된 코크스(80)는 가이드차(70)의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반송되어, 버킷 대차(臺車)(78c)에 재치된 버킷(78b)에 수용된다. 압출램(54)은, X축방향으로 연신하는 램빔(54b)과, 램빔(54b)의 탄화실(52)측의 단부에 마련되는 램헤드(54c)를 구비한다. 압출램(54)은,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동력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도시하지 않음)가 램빔(54b)에 마련된 랙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림으로써, X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X축방향은 코크스(80)의 압출방향에 일치한다.
(압출기)
압출기(10)는, 복수의 차륜유닛(18)과, 복수의 다리부재(12)와, 제1 바닥구조(30)와, 제1 지지구조(20)와, 제2 바닥구조(32)와, 제2 지지구조(40)를 포함한다. 제1 지지구조(20)는 제1 바닥구조(3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압출기(10)에 있어서, 설명함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그 외의 구조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차륜유닛(18)은, 레일(56) 상을 주행하는 복수의 차륜을 포함하며, 압출기(10)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복수의 다리부재(12) 각각은, 복수의 차륜유닛(18)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뻗는 세로기둥으로서 기능한다. 제1 바닥구조(30) 및 제2 바닥구조(32)는, 각각 평면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지지하는 구조이며, 제2 바닥구조(32)는, 제1 바닥구조(30)의 계상(階上)에 마련된다. 즉, 제2 바닥구조(32)는, 제1 지지구조(20)의 상측에 이간되어 마련된다. 복수의 다리부재(12)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연신하여 제1 지지구조(20) 및 제2 바닥구조(32)에 연결된다. 환언하면, 제1 지지구조(20) 및 제2 바닥구조(32)는, 복수의 다리부재(12)에 지지된다.
(제1 지지구조)
도 2는, 압출기(10)의 제1 지지구조(20)의 주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2의 예에서는, 제1 지지구조(20)는 제1 바닥구조(3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지지구조(20)는, 압출램(54)을 평면적으로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제1 지지구조(2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H형강 등의 형강으로 형성되며, 각각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제1 지지구조(20)는, 압출램(54)을 제1 방향으로서 예시되는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강용 프레임조립으로서 기능한다. 제1 지지구조(20)는 복수의 다리부재(12)에 연결된다. 다만, 제1 방향은 수평면 내의 방향이어도 된다.
제1 지지구조(20)는, 압출램(54)의 램빔(54b)을 사이에 두고 Z축방향으로 이간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지지구조(20b, 20c)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지지구조(20b, 20c)는, 램빔(54b)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하, 램빔(54b)의 Z축방향 범위의 이등분선을 통과하는 X축방향의 직선을 중심선(La)이라고 한다. 한 쌍의 제1 지지구조(20b, 20c)는, 중심선(La)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한 쌍의 제1 지지구조(20b, 20c)는, 램빔(54b)의 이동공간을 피한 영역에서 별도 부재에 의하여 접속되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제1 지지구조(20b, 20c) 각각은, 제1 빔부재(22)와, 제2 빔부재(24)와, 가설(架設) 빔부재(26)와, 경사 빔부재(28)를 포함한다. 제1 빔부재(22), 제2 빔부재(24), 가설 빔부재(26) 및 경사 빔부재(28)를 총칭할 때는 간단히 빔부재라고 한다. 빔부재는, 각 연신방향으로 가늘고 긴 프레임부재로서 기능한다.
제1 빔부재(22)는, 압출램(54)의 근방에 있어서 X축방향으로 뻗는다. 제2 빔부재(24)는, 제1 빔부재(22)로부터 X축방향에 있어서 압출램(54)과는 반대측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X축방향으로 뻗는다. 즉, 제1 빔부재(22)와 제2 빔부재(24)는 서로 이간되어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가설 빔부재(26)는, Z축방향으로 뻗어 제1 빔부재(22)와 제2 빔부재(24)의 사이에 가설된다.
이 예에서는, 가설 빔부재(26)는, X축방향으로 이간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가설 빔부재(26b, 26c)를 포함한다. 가설 빔부재(26b)는, 제1 빔부재(22) 및 제2 빔부재(24)의 탄화실(52)측의 단부에 가설된다. 가설 빔부재(26c)는, 제1 빔부재(22) 및 제2 빔부재(24)의 탄화실(52)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가설된다. 제1 빔부재(22), 제2 빔부재(24), 가설 빔부재(26b), 및 가설 빔부재(26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연결된다. 제2 빔부재(24)와 가설 빔부재(26b)의 연결부, 제2 빔부재(24)와 가설 빔부재(26c)의 연결부는, 각각 하측으로부터 다리부재(1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경사 빔부재)
경사 빔부재(28)는, 제1 빔부재(22) 및 가설 빔부재(26)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된다. 이 예에서는, 경사 빔부재(28)는, 제1 빔부재(22)와, 제2 빔부재(24)와 가설 빔부재(26c)의 연결부의 사이에 가설된다. 경사 빔부재(28)는, 제1 빔부재(22)와 제2 빔부재(24)의 사이에 가설되어도 된다. 또, 경사 빔부재(28)는, 제1 빔부재(22)와 가설 빔부재(26c)의 사이에 가설되어도 된다. 경사 빔부재(28)는, 제1 빔부재(22), 제2 빔부재(24) 및 한 쌍의 가설 빔부재(26b, 26c)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프레임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삼각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지지구조(20b)의 경사 빔부재(28)와 제1 지지구조(20c)의 경사 빔부재(28)의 사이의 Z축방향의 거리는, 탄화실(5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진다. 이 Z축방향의 거리는, 탄화실(52)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바닥구조(32)와 제2 지지구조(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압출기(10)의 제2 지지구조(40)의 주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이 도면은, 도 2의 A-A선 및 B-B선에서 본 제1 지지구조(20) 및 제2 바닥구조(32)를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설명에 중요하지 않은 빔이나 프레임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닥구조(32)는, 제1 지지구조(20)의 상측에 이간되어 마련되어, 평면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제2 바닥구조(32)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H형강 등의 형강으로 형성되며, 각각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제2 바닥구조(32)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빔 및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다리부재(12)에 접속된다.
(제2 지지구조)
제2 지지구조(40)는, 제1 지지구조(20)와 제2 바닥구조(32)를 측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제2 지지구조(4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H형강 등의 형강으로 형성되며, 각각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제2 지지구조(40)는, 제2 경사 빔부재(42)와, 제3 경사 빔부재(46)를 포함한다. 제2 경사 빔부재(4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X축방향 및 상하방향(Y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고, 제1 지지구조(20)와 다리부재(12)를 연결하는 빔부재로서 기능한다. 제3 경사 빔부재(4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X축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고, 제1 지지구조(20)와 제2 바닥구조(32)를 연결하는 빔부재로서 기능한다. 제3 경사 빔부재(46)는, 다리부재(12)와 제2 바닥구조(32)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제2 경사 빔부재(42)는, 복수의 제2 경사 빔부재(42b)를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제2 경사 빔부재(42b)의 경사방향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3 경사 빔부재(46)는, 복수의 제3 경사 빔부재(46b)를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제3 경사 빔부재(46b)의 경사방향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도 3의 예에서는, 제3 경사 빔부재(46)는, 경사방향이 다른 2종류의 제3 경사 빔부재(46b)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3 경사 빔부재(46b)는 상하역방향의 V자형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압출기(10)가 고강도를 발휘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력원이 회전하면, 압출램(54)은, 동력원의 피니언기어 및 압출램(54)의 랙기어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X축방향의 압출력을 받는다. 압출램(54)이 압출력을 받으면, 제1 지지구조(20)에는 압출력의 반발력(F)이 입력된다. 도 2, 도 3의 예에서는, 제1 지지구조(20)에는, 부호 E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 탄화실(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반발력(F)이 입력된다. 부호 E로 나타내는 영역은, 압출반발력을 받는 대좌(臺座)가 제1 지지구조에 고정되는 영역이다. 압출반발력을 받는 대좌는, 예를 들면 피니언 가대(架臺)이다. 도 2의 예에서는, 반발력(F)은, 제1 빔부재(22)와 가설 빔부재(26c)와 경사 빔부재(28)로 구성되는 삼각구조의, 제1 빔부재(22)와 경사 빔부재(28)와의 정점의 근방에 입력된다. 이 경우, 이들 빔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은 주로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이며, 이들 빔부재는 압출반발력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도 3의 예에서는, 반발력(F)은, 제2 빔부재(24)와 다리부재(12)와 제2 경사 빔부재(42b)로 구성되는 삼각구조의, 제2 빔부재(24)와 제2 경사 빔부재(42b)와의 X축방향에 대한 정점의 근방에 입력된다. 이 경우, 이들 빔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은 주로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이며, 이들 빔부재는 압출반발력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이들 빔부재는, 강풍이나 지진 시의 수평력에 대해서도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또, 도 3의 예에서는, 제3 경사 빔부재(46b)는, 다리부재(12) 및 제2 바닥구조(32)와 삼각구조를 구성하여, 강풍이나 지진 시의 수평력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압출기는, 코크스로의 탄화실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출입되는 압출램을 지지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출기로서, 압출램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구조를 구비한다. 제1 지지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는 경사 빔부재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지지구조가 경사 빔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경사 빔부재가 압출램의 압출반발력이나, 강풍, 지진 시의 수평력에 대항하여 압출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압출기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지지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압출램의 근방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빔부재와, 제1 빔부재로부터 압출램과는 반대측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제2 빔부재와, 제2 방향으로 뻗어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의 사이에 가설되는 가설 빔부재를 포함하며, 경사 빔부재는, 제1 빔부재, 제2 빔부재 및 가설 빔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도 된다. 이 경우, 경사 빔부재가 제1 빔부재, 제2 빔부재 및 가설 빔부재와 삼각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압출램의 압출반발력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경사 빔부재는, 압출램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으로 이간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경사 빔부재를 포함하며, 한 쌍의 경사 빔부재의 사이의 거리는, 탄화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크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압출램의 압출반발력을 받았을 때에, 경사 빔부재(28)로부터 다리부재(12), 다리부재(12)로부터 지면의 순서로 원활하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하방향으로 연신하여 제1 지지구조에 연결되는 다리부재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고, 제1 지지구조와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제2 경사 빔부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경사 빔부재는 제1 지지구조 및 다리부재와 삼각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압출램의 압출반발력에 대한 장치측면의 강도가 향상된다.
제1 지지구조의 상측에 이간되어 마련되는 바닥구조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고, 바닥구조와 제1 지지구조를 연결하는 제3 경사 빔부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제3 경사 빔부재는 바닥구조 및 제1 지지구조와 삼각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압출램의 압출반발력에 대한 압출기측면의 강도가 향상된다.
복수의 제1 지지구조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압출램의 압출반발력을 복수의 제1 지지구조에서 나누어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강도가 더 향상된다.
복수의 제1 지지구조는, 압출램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지지구조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1 지지구조는 압출램을 대칭으로 지지하므로, 비대칭으로 지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불필요한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점, 또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기술 및 도면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예증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고,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변형예)
실시형태에서는, 압출기(10)가 레일(56) 상을 주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출기는 타이어나 무한궤도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압출기(10)는, 필요에 따라 다른 프레임부재나 빔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경사 빔부재(28), 제2 경사 빔부재(42) 및 제3 경사 빔부재(46)는 교차구조를 가져도 된다.
이들 변형예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용하다. 조합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실시형태는, 조합되는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10…압출기
12…다리부재
18…차륜유닛
20…제1 지지구조
22…제1 빔부재
24…제2 빔부재
26…가설 빔부재
28…경사 빔부재
30…제1 바닥구조
32…제2 바닥구조
40…제2 지지구조
42…제2 경사 빔부재
46…제3 경사 빔부재
50…코크스로
51…노구
52…탄화실
54…압출램
56…레일
80…코크스
100…코크스로설비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코크스로의 탄화실 내의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코크스로의 탄화실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출입되는 압출램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출기로서,
    상기 압출램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는 경사 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압출램의 근방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빔부재와, 상기 제1 빔부재로부터 상기 압출램과는 반대측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제2 빔부재와, 제2 방향으로 뻗어 상기 제1 빔부재와 상기 제2 빔부재의 사이에 가설되는 가설 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빔부재는, 상기 제1 빔부재, 상기 제2 빔부재 및 상기 가설 빔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빔부재는, 상기 압출램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으로 이간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경사 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 빔부재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탄화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신하여 상기 제1 지지구조에 연결되는 다리부재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구조와 상기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제2 경사 빔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구조의 상측에 이간되어 마련되는 바닥구조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마련되고, 상기 바닥구조와 상기 제1 지지구조를 연결하는 제3 경사 빔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지지구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지지구조는, 상기 압출램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KR1020197024220A 2018-02-09 2019-02-07 압출기 KR102611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1685A JP6530091B1 (ja) 2018-02-09 2018-02-09 押出機
JPJP-P-2018-021685 2018-02-09
PCT/JP2019/004372 WO2019156149A1 (ja) 2018-02-09 2019-02-07 押出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704A true KR20200119704A (ko) 2020-10-20
KR102611277B1 KR102611277B1 (ko) 2023-12-06

Family

ID=6682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220A KR102611277B1 (ko) 2018-02-09 2019-02-07 압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30091B1 (ko)
KR (1) KR102611277B1 (ko)
CN (1) CN111655819A (ko)
WO (1) WO2019156149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1224A (en) * 1919-10-20 1920-08-31 Koppers Co Inc Pusher-ram-changing station
US1830951A (en) * 1927-04-12 1931-11-10 Koppers Co Inc Pusher ram for coke ovens
JPS4622744B1 (ko) * 1968-11-21 1971-06-29
US3784034A (en) * 1972-04-04 1974-01-08 B Thompson Coke oven pushing and charging machine and method
JPS5765774A (en) * 1980-10-09 1982-04-21 Nippon Steel Corp Replacement of ram beam of extruder
US20020095903A1 (en) * 1999-05-28 2002-07-25 Takeshi Kawasaki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14051609A (ja) 2012-09-07 2014-03-20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詰まりコークス掻出装置
KR101819362B1 (ko) * 2016-08-24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침하 방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053A (en) * 1899-04-26 1900-02-27 Alexander E Brown Coke-pusher.
US731252A (en) * 1902-05-21 1903-06-16 Wellman Seaver Morgan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for pushing coke from coke-ovens.
US2179635A (en) * 1939-01-17 1939-11-14 Koppers Co Inc Coke-oven operating appliance
US2391214A (en) * 1944-05-06 1945-12-18 Wilputte Coke Oven Corp Combination coke oven door-handling, pushing, and leveling machine
DE19980590D2 (de) * 1998-04-07 2000-05-11 Rag Ag Stampfeinrichtung mit Führung und Arretierung der Stampferstangen
JP3721854B2 (ja) * 1999-05-26 2005-11-3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炉内状況検査方法及び炉内状況検査装置
CN200949092Y (zh) * 2006-09-26 2007-09-19 安阳市恒威石化设备有限责任公司 焦炉推焦杆
CN201050193Y (zh) * 2007-06-01 2008-04-23 林光明 梁模板夹具
CN204509196U (zh) * 2015-04-03 2015-07-2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推焦杆支撑装置及推焦车
CN105112078A (zh) * 2015-09-18 2015-12-02 成都明日星辰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的捣固机构
CN206814693U (zh) * 2017-06-08 2017-12-29 大连一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推焦机用推焦杆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1224A (en) * 1919-10-20 1920-08-31 Koppers Co Inc Pusher-ram-changing station
US1830951A (en) * 1927-04-12 1931-11-10 Koppers Co Inc Pusher ram for coke ovens
JPS4622744B1 (ko) * 1968-11-21 1971-06-29
US3784034A (en) * 1972-04-04 1974-01-08 B Thompson Coke oven pushing and charging machine and method
JPS5765774A (en) * 1980-10-09 1982-04-21 Nippon Steel Corp Replacement of ram beam of extruder
US20020095903A1 (en) * 1999-05-28 2002-07-25 Takeshi Kawasaki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14051609A (ja) 2012-09-07 2014-03-20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詰まりコークス掻出装置
KR101819362B1 (ko) * 2016-08-24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침하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37767A (ja) 2019-08-22
WO2019156149A1 (ja) 2019-08-15
JP6530091B1 (ja) 2019-06-12
KR102611277B1 (ko) 2023-12-06
CN111655819A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750B2 (en) Vehicular frame
US8646392B2 (en) Crash module for a rail vehicle
US20170158039A1 (en) Vehicle floor structure
EP3330163A1 (en) Central part structure for vehicle
ITTO20010979A1 (it) Scocca per autoveicoli.
JP2013067461A (ja) 乗客コンベア
JP2020506846A (ja) 負荷配分素子を有し、ピボットピンを収容するための横梁
KR20200119704A (ko) 압출기
CN211442075U (zh) 轻量化车厢用底板结构
CN110573679B (zh) 用于车辆驾驶室的立柱
JP2012066937A (ja) 乗客コンベヤの主枠
JP5779255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611246B1 (ko) 가이드차
JPH10220063A (ja) 耐震壁
JP2016175740A (ja) 乗客コンベア
CN212921721U (zh) 一种轻量化货车车厢
CN113335322B (zh) 一种多折弯立柱及多折弯立柱布置承载轻量化侧墙
CN110733580A (zh) 车辆骨架的连接结构
JP4029707B2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
CN210617954U (zh) 带有一体式加强梁的车厢底板结构
CN215710921U (zh) 电梯轿底与侧梁之间的拉板连接结构
US20240208554A1 (en)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ilway Vehicle
CN210912157U (zh) 轻量化车厢底板与防护钢板的连接结构
CN217175511U (zh) 钢结构井道连接单元
CN215326314U (zh) 拼接式轿厢框架及别墅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