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162A -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62A
KR20200119162A KR1020190041640A KR20190041640A KR20200119162A KR 20200119162 A KR20200119162 A KR 20200119162A KR 1020190041640 A KR1020190041640 A KR 1020190041640A KR 20190041640 A KR20190041640 A KR 20190041640A KR 20200119162 A KR20200119162 A KR 2020011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peration start
user terminal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707B1 (ko
Inventor
기예지
김주현
유가희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4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아래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을 통해 타 사용자와 함께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게임이다.
롤플레잉 게임(role-playing game)은 게임 이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한 인물의 역할을 맡아 직접 수행하는 형식으로 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롤플레잉 게임 플레이어는 게임 관리자가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모험과 상상의 세계를 여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므로 마치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된 듯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온라인게임은 컴퓨터 게임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온라인 게임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타인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가상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에서 여러 가지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게임 진행과정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다른 플레이어들과 소통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연결된 다른 플레이어와의 소통을 위한 기술은 다양한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의 행위를 제2 사용자와 공유하여 제1 사용자는 상기 행위와 관련된 감정을 상기 제2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상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작 시작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의 행위를 제2 사용자와 공유하여 제1 사용자는 상기 행위와 관련된 감정을 상기 제2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제1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Smart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로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플레이 데이터 -게임 소프트웨어 자체의 데이터 및 타 게이머들의 게임 플레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 를 제공한다.
서버(200)는 제어요청을 획득하고 제어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1 프로세서(110), 제1 통신모듈(120), 입출력모듈(13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을 구성하는 제1 프로세서(110), 제1 통신모듈(120), 입출력모듈(13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통신모듈(1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ⅰ) 동작 시작 요청 생성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의 계정은 제2 사용자임을 증명 또는 제2 사용자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 대화명, ID(identity 또는 identification) 또는 별명 등일 수 있으나,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한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ⅱ) 동작위치가 포함된 동작 시작 요청 생성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 또는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가 포함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 또는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가 포함된 동작 시작 제어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와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제1 사용자의 입력 후 1분)이 지나면 동작 시작 요청이 소멸되도록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통신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20)은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동작 시작 권한을 얻은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인 제2 사용자로부터 동작 시작 권한(예컨대, 동작 시작 수락 신호)을 얻은 경우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아이템 강화 시간) 동안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작되는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을 화면 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에 평소와는 다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그래픽 요소 이외에도 텍스트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입출력모듈(130)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례로,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이 획득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이 획득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입력 중” 이라는 글자를 표시)를 화면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모듈(130)은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동작 시작 거부” 라는 글자를 표시)를 화면 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이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은 하나의 화면이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외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화면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2개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
입출력모듈(130)은 제2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발생한 이벤트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입력의 시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화면 상의 버튼 터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음성(예컨대, 제1 사용자가 “입력”이라고 말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텍스트(예컨대, 제1 사용자가 채팅창에 “입력”이라고 타이핑함)일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의 시작을 인식한 후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
입출력모듈(130)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모듈(130)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을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그룹핑(grouping)은 복수의 객체 중 일부가 선택되어지는 동작(예컨대, 하나의 선으로 객체들을 연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폐곡면은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드래그는 화면의 전부를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드래그는 화면의 전부를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드래그는 그룹핑(grouping)이 수행된 화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다른 화면을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드래그는 폐곡면을 형성한 화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다른 화면을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모듈(1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일 수 있으나, 입출력모듈(1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모듈(1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일 수 있으나, 입출력모듈(1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요청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2 프로세서(210), 제2 통신모듈(2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30)을 포함한다.
서버(200)를 구성하는 제2 프로세서(210), 제2 통신모듈(2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에 대한 정보나 서버(20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서버(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통신모듈(2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ⅰ) 동작 시작 요청 선택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통신모듈(220)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을 획득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중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복수개인 경우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복수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첫 번째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중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없는 동작 시작 명령은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ⅱ) 동작 시작 요청 분석
제2 프로세서(210)는 선택한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 및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ⅲ) 동작 시작 명령 생성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동작 시작 수락 신호가 전송된 경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동작 시작 수락 신호가 전송된 경우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동작 시작 수락 신호가 전송된 경우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필요한 시간)이 지나면 동작 시작 명령이 소멸하도록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와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됨을 알리기 위한 신호(예컨대, 화면에 “동작 시작”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가 포함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 순서에 따라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와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가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와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가 순차적으로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 또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가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 화면의 우측 하단)가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한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ⅳ) 동작 시작 명령 확인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확인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의 대상(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을 확인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의 실현 가능 여부(예컨대, 특수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여부)를 확인한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수정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이 수정 불가능한 경우,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된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전송한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전송한다.
제2 통신모듈(2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통신모듈(220)이 획득한 동작 시작 요청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분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3 프로세서(310), 제3 통신모듈(320),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40)을 포함한다.
제2 사용자 단말(300)을 구성하는 제3 프로세서(310), 제3 통신모듈(320),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제3 사용자 단말(3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통신모듈(3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획득하고, 획득한 동작 시작 명령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을 제어한다.
제3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획득하고, 획득한 동작 시작 명령을 기초로 시작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을 수락한 경우에만 제어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상기 생성한 인터페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을 거부한 경우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상기 생성한 인터페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을 수락한 경우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 여부를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 이라는 글자를 표시) 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을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 동작 제어명령을 수신한 동작 시작 명령보다 우선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3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게임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로의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일 수 있으나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결합일 수 있으나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이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은 하나의 화면이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외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화면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2개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서버(2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서버(2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장치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한다(40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의 계정은 제2 사용자임을 증명 또는 제2 사용자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 대화명, ID(identity 또는 identification) 또는 별명 등일 수 있으나,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전송한다(410).
이때, 상기 동작 시작 요청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한다(42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다(43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한다(44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명령을 확인한다(45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동작 시작 명령을 수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명령을 전송한다(460).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시작한다(47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동작이 시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 (a)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그룹핑(grouping)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b)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 (c)는 제2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은 내부에 2 개의 화면(501, 502)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위 화면(50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아래 화면(502)은 비활성화 되어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중간 화면(510)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위 화면(501)의 일부분을 상세히 디스플레이 하고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중간 화면(510)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511),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그룹핑(grouping)을 나타내는 영문 N자 형태의 연속된 선(512) 및 상기 그룹핑(grouping)에 의해 선택된 게임 캐릭터를 나타내는 숫자가 1, 2, 3(513, 514, 515)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입력인 그룹핑(grouping)은 화면 내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중간 화면(510)에 표시된 영문 N자 형태의 연속된 선(512) 이외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게임 캐릭터(들) 터치, 게임 캐릭터(들) 명칭 드래그 또는 게임 캐릭터(들) 명칭 터치 등을 이용하여 화면 내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나, 그룹핑(grouping)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위 화면(52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은 비활성화 되어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530)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중앙 우측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531)가 표시되어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531)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위 화면(5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위 화면(5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에서 끝나는 것을 나타낸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531)는 도 6 (a)에 디스플레이 된 그룹핑(grouping)(512) 된 게임 캐릭터들(513, 514, 515)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그룹핑(grouping)(512) 된 게임 캐릭터들(513, 514, 515)의 사용자들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 (c)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40) 중 위 화면(54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40) 중 아래 화면(522)에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인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40) 중 아래 화면(542)에 디스플레이 된 활성화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는 채팅방의 제목(550)이 표시되며, 상기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명칭(551)이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그룹핑(grouping) 및 수직 드래그)을 기초로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 (a)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b)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c)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은 내부에 2 개의 화면(601, 602)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 중 위 화면(60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 중 아래 화면(602)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 중 위 화면(601)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610),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화살표(611)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입력인 폐곡면 형성은 화면 내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형성된 폐곡면 내부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형성된 폐곡 면 내부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으나, 폐곡면 형성을 이용한 화면내의 객체의 선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630)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중앙 우측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가 끝나는 지점인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는 모습이 작은 화면(633)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에서 끝나는 것을 나타낸다.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는 도 7 (a)에 디스플레이 된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화살표(611)에 의해 형성된 폐곡면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화살표(611)에 의해 형성된 폐곡면의 내부에서 선택된 객체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 (c)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40) 중 위 화면(64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를 성공한 모습(65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40) 중 아래 화면(642)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사용자들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성한 채팅 내용(642)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40) 중 위 화면(641)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를 성공한 모습(650)이 작은 화면(651)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입력(폐곡면 형성 및 수직 드래그)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를 성공한 모습(650)이 사용자들이 활성화시킨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위치에 관한 동작 시작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람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1개의 화면을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제1 사용자 단말 200...서버
300...제2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상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7.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작 시작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8. 제1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상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0190041640A 2019-04-09 2019-04-09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29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40A KR102295707B1 (ko) 2019-04-09 2019-04-09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40A KR102295707B1 (ko) 2019-04-09 2019-04-09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62A true KR20200119162A (ko) 2020-10-19
KR102295707B1 KR102295707B1 (ko) 2021-08-30

Family

ID=7304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40A KR102295707B1 (ko) 2019-04-09 2019-04-09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7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612A (ja) * 2004-08-30 2006-03-09 Square Enix Co Ltd 疑似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装置、ゲームの進行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512239A (ja) * 2005-08-19 2009-03-19 任天堂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用無線ユーザネットワーク
KR101963858B1 (ko) * 2018-07-18 2019-04-01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612A (ja) * 2004-08-30 2006-03-09 Square Enix Co Ltd 疑似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装置、ゲームの進行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512239A (ja) * 2005-08-19 2009-03-19 任天堂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用無線ユーザネットワーク
KR101963858B1 (ko) * 2018-07-18 2019-04-01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서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2018.05.2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707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753B2 (en) Game control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game control method, game control system
CN113144601B (zh) 虚拟场景中的表情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KR102365201B1 (ko)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KR102295707B1 (ko)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11446579B2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character
CN115193043A (zh) 一种游戏信息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38397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46166B1 (ko) 실시간 PVP(Player VS Player) 방송 콘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실시간 PVP(Player VS Player) 방송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271323B1 (ko) 방송 효과 제공 장치 및 방법
JP6768112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775060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2557808B1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메모 공유 방법
KR20200029852A (ko)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KR102319298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제어 방법
JP2021020107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2637710B1 (ko) 가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75320B1 (ko)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302795B1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481530B1 (ko) 게임 제어 방법 및 장치
JP6781796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51096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69114B1 (ko)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KR102329749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서버, 시스템 및 방법
JP6786660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