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143A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43A
KR20200119143A KR1020190041606A KR20190041606A KR20200119143A KR 20200119143 A KR20200119143 A KR 20200119143A KR 1020190041606 A KR1020190041606 A KR 1020190041606A KR 20190041606 A KR20190041606 A KR 20190041606A KR 20200119143 A KR20200119143 A KR 20200119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frequency
display update
touch sensor
synchronization sig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훈
고봉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143A/ko
Priority to PCT/KR2020/003272 priority patent/WO2020209506A1/ko
Priority to EP20786918.1A priority patent/EP3940512A4/en
Publication of KR2020011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43A/ko
Priority to US17/492,049 priority patent/US2022001933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DDI(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및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터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SENSOR INCLUDED IN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짐에 따라, 터치 회로가 내장된 전자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터치 회로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 및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표시 장치에 포함된 DDI는 터치 회로에 포함된 터치 센서 IC에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로부터의 간섭으로 인하여 노이즈가 발생하는 구간을 회피하도록 터치 센서를 구동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서 정지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또는 AOD(always on display)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업데이트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서 정지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또는 AOD(always on display)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입력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입력될 가능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터치 센서의 구동 방식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터치 센서 IC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보다 낮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로부터 수신될 때와는 상이한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에 인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DDI(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및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터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는 동작; 및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 IC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보다 낮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로부터 수신될 때와는 상이한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에 인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의 변화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가 변화하므로, 터치 센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도시한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구동 상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구동 상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2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2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2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400a)을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400b)을 도시한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400c)을 도시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동작(300)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동작(300)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 (160))에 포함된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 (160))에 포함된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253))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터치 센서(251) 및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하는 터치 회로(250)가 디스플레이(21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회로(250)는 디스플레이(210)와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60Hz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신호는 수직동기신호(Vsync) 및 수평동기신호(Hsyn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신호는 DE(data enable) 신호 또는 TE(tearing effect)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터치 센서(25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TSP로 표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제1 구간(410a)에서, 제1 구간(410a)에서의 구동 신호(TSP)인 제1 구동 신호가 터치 센서(251)에 인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구동 신호는 제1 구간(410a)에서의 동기 신호(Vsync 및 Hsync)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한 신호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제1 구간(410b)에서, 구동 신호(TSP)의 펄스는 동기 신호(Vsync 및 Hsync)의 펄스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구간(410a)에서 수직동기신호(Vsync)의 펄스 사이의 구간(431)동안, 터치 스크린 패널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TSP AFE)에 의하여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는, 커패시터, 스위치, 저항, 증폭기, 샘플링 앤드 홀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의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에 대응하는 전압은 샘플링 앤드 홀더에 의하여 샘플링 된 후 일정 기간 홀드 될 수 있으며, ADC는 샘플링 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DSP)가 수행될 수 있다. TSP AFE에 의한 디지털 변환 및 DSP가 수행되는 구간(431)동안,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low drop regulator(LDO), 기준 클럭을 제공하는 oscillator(OSC), 1/2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virtual ground generator(VGND)가 동작할 수 있다.
32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휴면 구간 동안에는 제2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일 때의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60Hz인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1Hz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터치 센서(25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동일한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내에서의 복수의 상이한 영역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상에 복수의 윈도우가 표시되는 경우, 구동 신호는 각 윈도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상에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가 표시되고, 제1 윈도우상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제2 윈도우상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제1 윈도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윈도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고, 제2 어플리케이션이 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2 윈도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제1 윈도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예를 들어, 2배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상에 복수의 윈도우가 표시되는 경우, 구동 신호는 각 윈도우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상에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가 표시되고, 제1 윈도우가 활성화되고, 제2 윈도우는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제1 윈도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제2 윈도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상에 팝업 영역이 표시되는 경우, 팝업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중 팝업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상에 AOD가 표시되고, AOD 내에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0이 아니고,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는 0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제2 구간(420a) 중 지정된 활성 구간(432, 433)동안, 제2 구간(420a)에서의 구동 신호(TSP)인 제2 구동 신호가 터치 센서(251)에 인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활성 구간(432, 433)에서 디지털 변환 및 DSP가 수행될 수 있고, 그 동안 LDO, OSC, 및 VGND가 동작할 수 있다. 휴면 구간(434)에서는 디지털 변환 및 DSP가 수행되지 않고, LDO, OSC, VGND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구간(410a)에서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펄스 사이의 구간(431) 전체에서 LDO, OSC, 및 VGND가 동작하는 반면, 제2 구간(420a)에서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펄스 사이의 구간 중 활성 구간(432, 433)에서만 LDO, OSC, 및 VGND가 동작하고, 휴면 구간(434)에서는 LDO, OSC, VGND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제2 구간(420a)에서의 소모 전력은 제1 구간(410a)에서의 소모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활성 구간(432, 433)에서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을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구간(410a)에서의 구동 신호(TSP)의 인접한 펄스 사이 시간 간격보다, 제2 구간(420b)의 활성 구간(432, 433)에서 구동 신호(TSP)의 인접한 펄스 사이 시간 간격이 더 짧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제1 구간(410b)에서의 구동 신호(TSP)의 인접한 펄스 사이 시간 간격보다, 제2 구간(420b)에서 구동 신호(TSP)의 인접한 펄스 사이 시간 간격이 더 짧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구간(420a)에서 디지털 변환 및 DSP가 수행되지 않는 휴면 구간(434)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구간(420a) 중 활성 구간(432, 433)에서의 구동 신호(TSP)의 주파수가 제1 구간(410a)에서보다 높으므로, 터치 센서(251)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253)는 320 동작 이전에, 동기 신호(Vsync 및 Hsync)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동기 신호로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IC(253)에 동기 신호(Vsync 및 Hsync)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동기 신호로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는 Noti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c에는 터치 센서 IC(253)가 N번째 프레임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N-2번째 프레임(410c) 및 N-1번째 프레임(420c)에서는 Noti 신호가 0이고, N번째 프레임(430c)에서 0이 아닌 Noti 신호인 제1 신호가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그 후, N+1번째 프레임(440c)에서 제2 구동 신호가 구동 신호(TSP)로서 터치 센서(251)에 인가될 수 있다. 도 4c에서, N+1번째 프레임(440c)에서 구동 신호(TSP)의 주파수는 N-2번째 프레임(410c) 내지 N번째 프레임(430c)에서의 구동 신호(TSP)의 주파수보다 높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신호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라고 확인한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터치 센서 IC(253)에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신호는 프로세서(120)로부터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DDI(230)에 의하여 터치 센서 IC(253)에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253)는 DDI(230)로부터 수신된 동기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253)는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후 다음 프레임부터 제2 구동 신호를 구동 신호로서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500)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60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 직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반면, 도 5 및 도 6은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 직후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을 거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는 예시를 도시한다.
5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 (160))에 포함된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253))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510 동작에 관한 상세 사항은 31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52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1 순열에 대응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DDI(230)로부터 수신하고,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제3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순열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의 약수이면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정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하는 순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인 경우, 제1 순열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하는 제1 정수인 60의 약수이면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인 1보다 큰 정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하는 순열, 예를 들어, 30, 20, 12, 10, 6, 5, 3, 2 또는 30, 20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이며, 제1 순열이 30, 20인 경우인 예시에서의 동기 신호(Vsync 및 Hsync), 및 구동 신호(TSP)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또한, 동기 신호(Vsync 및 Hsync)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동기 신호로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Noti)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30Hz, 20Hz이다. 도 6에서, 동기 신호(Vsync 및 Hsync)는 제1 구간(610)에서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60Hz에 대응되고, 제3 구간(620)의 제1 프레임(621) 및 제2 프레임(622)에서 동기 신호(Vsync 및 Hsync)는 각각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30Hz, 20Hz에 대응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Vsync 및 Hsync)가 수신되는 제3 구간(620)동안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터치 센서(25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TSP)인 제3 구동 신호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구간(610)에서의 구동 신호(TSP)의 인접한 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제3 구간(620)의 제1 프레임(621) 및 제2 프레임(622)에서의 구동 신호(TSP)의 인접한 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과 동일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53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제2 구간(630) 중,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에 인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휴면 구간에서는 제2 구동 신호의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 530 동작에 관한 상세 사항은 32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IC(253)는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230)로부터 수신되기 전에, 동기 신호(Vsync 및 Hsync)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동기 신호로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Noti)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센서 IC(253)는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음 프레임부터 제2 구동 신호를 구동 신호로서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바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를 거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화면의 깜박임을 덜 느낄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00)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구동 상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8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 직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반면, 도 7 및 도 8은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 직후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을 거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는 예시를 도시한다.
7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 (160))에 포함된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253))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710 동작에 관한 상세 사항은 31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72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DDI(230)로부터 수신하고,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순열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제3 정수보다 작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감소하는 순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순열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제3 정수보다 작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감소하는 순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순열은 복수의 정수의 등간격으로 감소하는 순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인 경우, 제2 순열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하는 제1 정수인 60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제3 정수보다 작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인 1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등간격으로 감소하는 순열일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제2 순열은, 58, 56, 54,...,4, 2 또는 56, 52, 48,...,8, 4일 수 있다.
도 8에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이며, 제2 순열이 56, 52, 48,...,8, 4인 경우인 예시에서의 디스플레이(210)의 구동 상태(Display) 및 터치 센서(251)의 구동 상태(TSP)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56Hz, 52Hz, 48Hz,...,8Hz, 4Hz이다. 도 8에서, 제1 구간(810)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60Hz이다. 제4 구간(820)의 제1 프레임(821) 및 제2 프레임(822)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는 각각 56Hz 및 52Hz이다. 제4 구간(820) 중 제1 프레임(821) 및 제2 프레임(822)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823)에서, 일부 구간은 도시상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되었으나, 나머지 구간(823)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가 48Hz,...,8Hz, 4Hz 순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리라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센서 IC(253)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할 수 있다. 도 8에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구간, 즉, 제4 구간(820) 전체에서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서 IC(253)가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구간의 일부 동안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예시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후술할 것이다. 터치 센서 IC(253)가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안은 터치 센서(251)와 디스플레이(210) 구동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에 인가할 수 있다. 730 동작에 관한 상세 사항은 32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터치 센서(251)의 구동 상태(TSP)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251)는 제1 구간(810)에서는 31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기 신호에 기반한 제1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Sync), 제2 구간(830)에서는 32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Non-Sync), 제4 구간(820)에서는 off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Deep Sleep).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4 구간(820) 중 적어도 일부에서 터치 센서(251)는 on 상태에 있고, 터치 센서 IC(253) 또는 프로세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 센서(251)가 on 상태에 있는 동안 터치 센서(251)에 의하여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한 신호를 좌표로 변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터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구동 상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10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은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 후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구간을 거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는 예시로서, 더 자세하게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구간의 일부 동안 터치 센서(251)가 off 상태로 구동되는 예시를 도시한다.
9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 (160))에 포함된 터치 센서 IC(예를 들어, 터치 센서 IC(253))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910 동작에 관한 상세 사항은 31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92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제1 시점 이전의 기간 동안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할 수 있다. 제2 순열에 대한 상세 사항은 72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시점은, 제1 시점 이후에는 제1 정수의 약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이고, 제1 정수가 60이고, 제2 정수가 1이고, 제2 순열이 56, 52, 48,...,8, 4인 예시에서, 4는 60의 약수이고, 8은 60의 약수가 아니므로, 제1 시점은 4Hz의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시작하는 시점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이고, 제1 정수가 60이고, 제2 정수가 1이고, 제2 순열이 56, 52, 48,...,8, 4인 예시에서는 제1 시점으로서 가능한 시점은 4Hz의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시작하는 시점이 유일하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시점으로 가능한 시점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가능한 제1 시점의 후보 중 임의의 하나의 시점이 제1 시점으로서 특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1Hz이며, 제2 순열이 56, 52, 48,...,8, 4인 경우인 예시에서의 디스플레이(210)의 구동 상태(Display) 및 터치 센서(251)의 구동 상태(TSP)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56Hz, 52Hz, 48Hz,...,8Hz, 4Hz이다. 도 10에서, 제1 구간(1010)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60Hz이다.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가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제4 구간(1020)의 제1 프레임(1021) 및 제2 프레임(1022)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는 각각 56Hz 및 52Hz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60Hz이고 제2 순열이 56, 52, 48,...,8, 4인 경우 제1 시점은 4Hz의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시작하는 시점임을 고려하면, 제4 구간(1020) 중 제1 시점 이후 구간(1024)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는 4Hz이다. 제4 구간(1020) 중 제1 프레임(1021), 제2 프레임(1022), 및 제1 시점 이후 구간(1024)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1023)에서 일부 구간은 도시상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되었으나, 나머지 구간(1023)에서 디스플레이(210)의 업데이트 빈도가 48Hz, 44Hz,...,12Hz, 8Hz 순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된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3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제1 시점 이후의 기간 동안 제4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251)에 인가할 수 있다. 제4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4 구동 신호의 인접한 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제1 구동 신호의 인접한 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940 동작에서, 터치 센서 IC(253)는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에 인가할 수 있다. 940 동작에 관한 상세 사항은 32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터치 센서(251)의 구동 상태(TSP)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251)는 제1 구간(1010)에서는 31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기 신호에 기반한 제1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Sync), 제2 구간(1030)에서는 32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Non-Sync), 제4 구간(1020) 중 제1 시점 이전(1021, 1022, 1023)에는 off 상태로 구동되고(Deep Sleep), 제4 구간(1020) 중 제1 시점 이후(1024)에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제4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4 구간(1020) 중 제1 시점 이전(1021, 1022, 1023)에 터치 센서(251)는 on 상태에 있고, 터치 센서 IC(253) 또는 프로세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 센서(251)가 on 상태에 있는 동안 터치 센서(251)에 의하여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한 신호를 좌표로 변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1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 (160))에 포함된 DDI(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가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로 변경되는 상술한 다양한 방식들 중 복수의 방식들을 지원하는 경우에,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1110 동작에서,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12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동기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하기 위한 방식(scheme)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동기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바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1 방식,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기 전에 제1 정수의 약수의 순열에 대응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그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2 방식, 또는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기 전에 등간격으로 감소하는 순열에 대응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그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3 방식을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DDI(230)의 사양에 기초하여 적용될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하기 위한 전술한 방식들 중에서, DDI(230)가 지원하는 방식을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DDI(230)가 복수의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DDI(230)가 지원하는 복수의 방식 중 하나를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될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만 동기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바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1 방식을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기 전에 등간격으로 감소하는 순열에 대응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그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3 방식을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기 전에 제1 정수의 약수의 순열에 대응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그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2 방식을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113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DDI(230) 또는 터치 센서 IC(253) 중 적어도 하나에 1120 동작에서 확인된 방식에 대응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동기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바로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1 방식이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 IC(253)가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와 상이한 프레임의 직전 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기 전에 제1 정수의 약수의 순열에 대응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그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2 방식이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 IC(253)가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프레임의 직전 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동기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기 전에 등간격으로 감소하는 순열에 대응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고, 그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제3 방식이 적용될 방식으로서 확인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 IC(253)가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할 것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와 상이한 프레임의 직전 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고, 터치 센서 IC(253)가 터치 센서(251)에 제4 구동 신호를 인가할 것을 지시하는 제3 신호를 제1 시점 직전 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고, 터치 센서 IC(253)가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가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인 프레임의 직전 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는 프로세서(120)로부터 터치 센서 IC(253)에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는 DDI(230)로부터 터치 센서 IC(253)에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10); 상기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DDI(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230); 및 터치 센서(251) 및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하는 터치 회로(250)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253)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활성 구간에서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253)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되기 전에: 제1 순열에 대응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의 약수이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정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하는 순열이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제3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3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253)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되기 전에: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상기 제3 정수보다 작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감소하는 순열이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253)는: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제1 시점 이전의 기간 동안 상기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기간 동안 제4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에 수신되는 동기 신호는 상기 제1 정수의 약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시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하기 위한 방식(scheme)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DI(230)의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IC(253)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DDI(230)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210)상에 표시되기 위한 상기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라고 확인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253)에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동기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253)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60Hz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1Hz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 IC(253)에 의하여 수행되는, 터치 센서(251)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는 동작; 및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활성 구간에서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1 순열에 대응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1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의 약수이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정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하는 순열임 -;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제3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2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상기 제3 정수보다 작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감소하는 순열임 -;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작은: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제1 시점 이전의 기간 동안 상기 터치 센서(251)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기간 동안 제4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251)에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에 수신되는 동기 신호는 상기 제1 정수의 약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시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하기 위한 방식(scheme)이 확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식은 상기 DDI(230)의 사양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식은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10)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라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253)에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동기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의 업데이트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DDI(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및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터치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고;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구간에서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기 전에:
    제1 순열에 대응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상기 DDI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의 약수이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정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하는 순열이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제3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3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DDI로부터 수신되기 전에: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상기 DDI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상기 제3 정수보다 작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감소하는 순열이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off 상태로 구동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제1 시점 이전의 기간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off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기간 동안 제4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4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에 수신되는 동기 신호는 상기 제1 정수의 약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시점인,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하기 위한 방식(scheme)을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DI의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깜박임(flicker)에 대한 민감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DDI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기 위한 상기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라고 확인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IC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60Hz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는 1Hz인,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 IC에 의하여 수행되는, 터치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는 동작; 및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활성 구간 동안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구간에서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1 순열에 대응되는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1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의 약수이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정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하는 순열임 -;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제3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2 순열에 대응되는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2 순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1 정수보다 작은 제3 정수로 시작하고, 상기 제3 정수보다 작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제2 정수보다 큰 제4 정수로 끝나는, 복수의 정수의 감소하는 순열임 -;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작은: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제1 시점 이전의 기간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 중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기간 동안 제4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에 수신되는 동기 신호는 상기 제1 정수의 약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시점인,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기 위한 화면이 정지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라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센서 IC에 송신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빈도에 대응되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41606A 2019-04-09 2019-04-09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KR20200119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06A KR20200119143A (ko) 2019-04-09 2019-04-09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PCT/KR2020/003272 WO2020209506A1 (ko) 2019-04-09 2020-03-09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EP20786918.1A EP3940512A4 (en) 2019-04-09 2020-03-09 TOUCH SENS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EN TOUCH SENSOR IN AN ELECTRONIC DEVICE
US17/492,049 US20220019332A1 (en) 2019-04-09 2021-10-0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sensor included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06A KR20200119143A (ko) 2019-04-09 2019-04-09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43A true KR20200119143A (ko) 2020-10-19

Family

ID=7275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06A KR20200119143A (ko) 2019-04-09 2019-04-09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19332A1 (ko)
EP (1) EP3940512A4 (ko)
KR (1) KR20200119143A (ko)
WO (1) WO20202095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2852B2 (en) 2021-09-08 2023-05-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39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41365A (ko) * 2021-04-12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775117B1 (en) 2022-07-07 2023-10-03 Stmicroelectronics (Beijing) R&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synchro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1416B2 (en) * 2011-03-24 2015-07-14 Seiko Epson Corporation Device,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of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head mounted display
US20130069894A1 (en) * 2011-09-16 2013-03-21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touch sensor thereof
JP2016066065A (ja) * 2014-09-05 2016-04-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549921B2 (ja) * 2015-07-06 2019-07-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102446751B1 (ko) * 2015-12-01 2022-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101766757B1 (ko) * 2015-12-18 2017-08-11 주식회사 지2터치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센서 구동 방법
US20190094590A1 (en) * 2016-03-07 2019-03-28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uilt-in touch sensor, and drive method therefor
KR102445033B1 (ko) * 2017-12-29 2022-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터치구동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CN110383219B (zh) * 2018-02-14 2023-06-16 深圳市为通博科技有限责任公司 触摸控制器、触控显示系统及触控显示同步方法
TWI675325B (zh) * 2018-10-12 2019-10-21 台灣類比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之省電掃描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2852B2 (en) 2021-09-08 2023-05-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0512A1 (en) 2022-01-19
EP3940512A4 (en) 2022-04-27
WO2020209506A1 (ko) 2020-10-15
US20220019332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50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KR102485360B1 (ko)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19143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KR102417633B1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콘텐트의 표시 위치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00628B1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KR2021010162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9257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갱신 방법
KR20220017218A (ko) 화면의 부분 영역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37762A (ko) 플리커 현상을 경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1519A (ko)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20994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IC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20481A (ko) 센서 및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8340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저장된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24794B1 (ko)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50582A (ko)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2124B1 (ko) 수평 동기화 신호에 기반하여 업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시간 구간을 확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58110A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EP3706104B1 (en)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US1196653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IC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EP41521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synchronization method based on display driving signal in electronic device
KR20210078148A (ko) 비접촉 이벤트에 기반한 반응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3994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누름의 강도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