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549A - 자전거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549A
KR20200118549A KR1020190040582A KR20190040582A KR20200118549A KR 20200118549 A KR20200118549 A KR 20200118549A KR 1020190040582 A KR1020190040582 A KR 1020190040582A KR 20190040582 A KR20190040582 A KR 20190040582A KR 20200118549 A KR20200118549 A KR 2020011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ember
frame
fixed
bicycle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647B1 (ko
Inventor
서명진
Original Assignee
서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진 filed Critical 서명진
Priority to KR102019004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47B1/ko
Priority to PCT/KR2019/017727 priority patent/WO2020209473A1/ko
Priority to DE112019007168.8T priority patent/DE112019007168T5/de
Publication of KR2020011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0Joints between frame members welded, soldered, or bra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0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 B62K19/08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made from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2Steer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6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saddle pillars, e.g. adjustable during 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6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steer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Abstract

전륜이 설치되는 전방파트;
상기 전방파트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후륜이 설치되는 후방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파트는,
조향핸들이 장착되는 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 포스트가 삽입고정되는 홀들이 형성되며 상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상부패널파트 및 하부패널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파트는,
상기 상하부패널파트와 용접고정되며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 후륜측 패널부재 및 제2 후륜측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가 높으며 용접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프레임{A frame for a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하며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한 자전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면서 레저 및 스포츠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의 초기 디자인은 삼각형상의 앞부분 프레임과 삼각형상의 뒷부분 프레임이 단일 프레임을 이루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앞부분 프레임은 헤드 튜브, 탑 튜브, 다운 튜브, 시트 튜브 및 바텀 브래킷 셀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 튜브에는 자전거의 조향핸들과 앞 바퀴 결합을 위한 포크가 설치되며, 상기 탑 튜브는 상기 헤드 튜브와 상기 시트 튜브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 튜브는 상기 헤드 튜브와 바텀 브래킷을 연결하는 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시트 튜브는 상기 탑 튜브와 상기 바텀 브래킷을 연결하는 부재로 사용되는 구조이다. 이 시트 튜브에는 실질적으로 시트가 장착되는 시트 포스트가 삽입된다. 상기 튜브들은 대부분 둥근 형태의 금속재 파이프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파이프 부재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구조는 잔류 열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접에 따른 불량 등에 의해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10-1556384호에서 이와 같이 초기 자전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10-1556384호에서는, 프레임 본체를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으로 분리하여 성형하고, 이들 좌우측 프레임을 용접하여 단일체로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중간에서 분기되어 일정 길이만큼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을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또한 좌우측 프레임에는 각각 헤드부를 성형함과 동시에 시트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보강판을 제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과 상기 우측 프레임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강판은 각각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으로 분할형성하여, 상기 제1 보강판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64586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에 의해 제작되는 자전거용 프레임은, 좌우측으로 분리 성형된 프레임에는 헤드부와 시트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데, 이들 헤드부와 시트부는 좌우측 프레임으로부터 반원형의 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좌우측 프레임 본체부분은 직선용접이 행하여지는데 반하여 헤드부나 시트부 용접은 곡선용접이 행하여지게 되므로 용접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용접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한 공정에서 행하여지는 용접공정 라인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우측 프레임의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전거의 핸들이 장착되는 헤드부와 자전거의 안장이 장착되는 시트부간의 정렬이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류의 일체형 프레임은 프레스 성형작업시에 성형의 깊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디자인 구현에 있어서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자전거용 프레임은,
전륜이 설치되는 전방파트;
상기 전방파트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후륜이 설치되는 후방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파트는,
조향핸들이 장착되는 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 포스트가 삽입고정되는 홀들이 형성되며 상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상부패널파트 및 하부패널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파트는,
상기 상하부패널파트와 용접고정되며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 후륜측 패널부재 및 제2 후륜측 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패널파트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상부패널부재;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의 하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제2 상부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패널파트의 우측단부는,
상기 제2 상부패널부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패널부재;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의 하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제2 하부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후륜측 패널부재는,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상부좌측패널부재;
상기 제1,2 하부패널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하부좌측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후륜측 패널부재는,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2 상부좌측패널부재;
상기 제1,2 하부패널부재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2 하부좌측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 아래측으로 제2 상부패널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접고정된다.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 아래측으로 제2 하부패널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접고정된다.
상기 제1,2 후륜측 패널부재들은, 상기 시트포스트를 지나는 상태로 앞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 및 제1,2 하부패널부재와 교차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1,2 상하부 패널부재들은 대략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후륜측 패널부재는 내측에 보강부재가 고정된다.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와 제2 하부패널부재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는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베어링을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프레임은, 전방파트의 구성요소가 상하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프레스 성형시 성형의 깊이를 깊게할 수 있어 디자인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전방파트의 구성요소가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에서는 전기자전거의 경우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배터리 외장형인 경우에도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또한 자전거의 프레임이 전방파트와 후방파트가 독립적으로 성형된 후에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전방파트의 구성요소와 후방파트의 구성요소의 패널소재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디자인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향핸들이 장착되는 헤드튜브부분과 시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부분이 같은 패널부재에 형성되기 때문에 위치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헤드튜브가 패널 자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정원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 헤드튜브 부분에 직접적으로 용접작업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용접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이 적용된 자전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헤드부 결합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시트부 결합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전방파트와 후방파트가 결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아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부" 또는 "...수단"이라고 지칭하는 구성요소는 특정한 작동이나 기능을 위하여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구성요소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를 포함한다."라는 의미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는 작동의 설명이 필요치 않은 구성요소나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술적 구성이나 수단들에 대해서는 생략을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에 설치된 자전거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자전거의 전륜(2), 후륜(4)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전륜(2)은 포크(6)를 통하여 조향핸들(8)과 연결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10)을 통하여 전륜(2)과 후륜(4)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안장(12)이 시트포스트(14)를 통하여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전방파트(F)와 후방파트(R)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파트(F)는 상부패널 파트(16)와 하부패널 파트(18)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파트(R)는 좌측패널 파트(20)와 우측패널 파트(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패널 파트(16)는 도면에서 보아 우측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포개어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 파트(16)와 하부패널 파트(18)는 도면에서 보아 좌측단부가 상기 후방파트(R)의 좌측패널 파트(20) 및 우측패널 파트(22)와 각각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상부패널 파트(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부패널부재(24)와 제2 상부패널부재(26)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제1,2 패널부재(24)(2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24)(26)는 일측단부에 상기 조향핸들(8)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조향 축(미도시)이 관통하는 홀(28)(30)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1 상부패널부재(2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32), 제2 경사부(34) 및 제3 경사부(36)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 1,2,3 경사부(32)(34)(36)는 2군데의 밴딩영역에 의해 각각 다른 경사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경사부들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파트(R)와 연결이 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24)의 아래측에 포개어지는 상태로 고정되는 상기 제2 상부패널부재(26)도 제1 상부패널부재(2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경사각도로 굽혀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경사부(32)에 형성되는 홀(28)과 유사한 구조로 제3 경사부(36)에도 홀(38)이 형성된다. 이 홀(38)에는 상기 시트 포스트(14)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패널부재(26)에는, 상기 제1 경사부(32)에 형성된 홀(38)과 하측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홀(40)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 포스트(14)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하부패널 파트(18)도 상기 상부패널 파트(16)와 유사하게 제1 하부패널부재(42)와 제2 하부패널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42)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24)와 유사하게 경사부들을 형성함으로서 후방파트(R)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하부패널부재(42)(4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도면에서 보아 좌측부분에 상기 조향축(미도시)이 관통하는 홀(46)(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패널 파트(18)의 제1 상부패널부재(42)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상부패널 파트(16)의 제1,2 상부패널부재(24)(26)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홀들(38)(40)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5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42)는 홀(50)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2 하부패널부재(44)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터리 등을 외장할 수 있는 평탄부(P)가 형성된다. 이 평탄부 내측으로 배터리 등을 내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24)(26)와 제1,2 하부패널부재(42)(44)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좌,우면 중에서 3면이 굽혀진 형상이거나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28)(30)(38)(40)(46)(48)(50)들은 버링(Burring) 가공을 통하여 조향행들(8)과 시트포스트(14)가 장착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으로 가공된다.
한편 상기 후방파트(R)는 상기 상부패널파트(16)와 상기 하부패널파트(18)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파트(R)는, 상기 후륜(4)을 장착하기 위한 포크부재(52)가 부착되며 후륜 허브부(54)(56)가 일체로 형성된 제1,2 후륜측 패널부재(58)(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후륜측 패널부재(58)는, 상기 후륜 허브부(54)로부터 전방쪽(도면에서 보아 우측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하로 나뉘어 연장되는 제1 상부좌측 패널부재(62)와 제1 하부좌측 패널부재(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후륜측 패널부재(60)는, 상기 제1 후륜측 패널부재(58)와 동일하게 전방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하로 나뉘어 연장되는 제2 상부우측 패널부재(66)와 제2 하부우측 패널부재(68)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후륜측 패널부재(58)(60)가 전방쪽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나뉘어 연장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상기 전방파트(F)의 상부패널파트(16)와 하부패널파트(18)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5 및 도 6은, 상기 상부패널 파트(16)의 제1 상부패널 부재(24)와 제2 상부패널 부재(26)는 홀(28)과 다른 홀(30)이 일치하는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보여 준다. 이들 제1 상부패널 부재(24)의 내측으로 제2 상부패널부재(26)이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접이 행하여진다.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24)에 형성된 홀(28)의 내측에는 베어링(70)이 위치하여 상기 조향핸들(8)의 원활한 조향작용이 행하여 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7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홀(28)에는 지지부재(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패널 부재(42)와 제2 하부패널 부재(44)도 상기 홀(46)(48)이 일치하는 상태로 위치하여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되어 일체화 된다.
즉, 상기 제1 하부패널 부재(42)의 외측으로 상기 제2 하부패널 부재(44)가 겹쳐지는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용접된다.
상기 제2 상부패널 부재(26)의 홀(30)주위와 상기 제1 하부패널 부재(42)의 홀(46) 부위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 후륜측 패널부재(58)와 제2 후륜측 패널부재(60)의 내측면에는 각각 보강부재(74)(76)가 고정되어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2 하부패널 부재(44)의 홀(48)에도 베어링(73)이 장착되어 조향핸들(8)의 원활한 조향작용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2 후륜측 패널부재(58)(60)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접이 행하여져 일체화된 제1,2 후륜측 패널부재를 이루게 되고, 일체화된 제1,2 후륜측 패널부재는 상기 전방파트(F)의 부재들과 도 2,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이 이루어져 일체화 된다.
상기 전방파트(F)의 제1,2 상부패널부재(24)(26)는 후방파트(R)의 제1 상부 좌측패널 부재(62) 및 제2 상부우측 패널부재(66)와 용접되어 일체화 된다.
그리고 전방파트(F)의 제1,2 하부패널 부재(42)(44)는 후방파트(R)의 제1 하부좌측 패널 부재(64) 및 제2 하부우측 패널부재(68)와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도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상부좌측패널부재(62)와 제2 상부우측패널부재(66)의 윗 부분에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24)가 용접고정된다.
그리고 제1 상부좌측패널부재(62)와 제2 상부우측패널부재(66)는 각각 제2 상부패널부재(26)의 좌우측에 용접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좌측패널부재(64)와 제2 하부우측패널부재(68)는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42)의 홀(5) 주위에 용접고정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파트(R)의 구성요소는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포스트(14)를 중심으로 전방파트(F)의 구성요소와 교차한 상태로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방파트(R)의 제1 상하부 좌측패널부재(62)(64), 제2 상하부 우측패널부재(66)(68)는 시트 포스트(14)를 지나 전방쪽으로 더욱 연장되어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24)(26), 제1,2 하부패널부재(42)(44)와 용접된다.
이러한 구조는 프레임의 강성을 더욱 높일게 될 것이다.
상기 조향핸들(8)이 위치하는 홀들(28)(30)(46)(48)이 중심이 일치하는 상태가 되고, 또 시트포스트(14)가 위치하는 홀들(38)(40)(50)도 중심이 일치하는 상태가 된 상태에서 시트 포스트(14)가 삽입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프레임은, 전방파트(F)에 형성되는 홀(28)(48)에 지지부재(72)를 압입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 조향핸들(8)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패널과 헤드셋트를 위한 용접작업이 불필요하다.
8; 조향핸들
10; 프레임
14; 시트 포스트
16; 상부패널파트
18; 하부패널파트
20; 좌측패널파트
22; 우측패널파트
24; 제1 상부패널부재
26; 제2 상부패널부재
28,30,38,40,46,48,50; 홀
32,34,36; 제1,2,3 경사부
42; 제1 하부패널부재
44; 제2 하부패널부재
58; 제1 후륜측 패널부재
60; 제2 후륜측 패널부재
62; 제1 상부좌측패널부재
64; 제1 하부좌측패널부재
66; 제2 상부우측패널부재
68; 제2 하부우측패널부재

Claims (13)

  1. 전륜이 설치되는 전방파트;
    상기 전방파트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후륜이 설치되는 후방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파트는,
    조향핸들이 장착되는 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 포스트가 삽입고정되는 홀들이 형성되며 상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상부패널파트 및 하부패널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파트는,
    상기 상하부패널파트와 용접고정되며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 후륜측 패널부재 및 제2 후륜측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파트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상부패널부재;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의 하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제2 상부패널부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파트의 우측단부는,
    상기 제2 상부패널부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패널부재;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의 하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제2 하부패널부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륜측 패널부재는,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상부좌측패널부재;
    상기 제1,2 하부패널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하부좌측패널부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륜측 패널부재는,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2 상부좌측패널부재;
    상기 제1,2 하부패널부재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2 하부좌측패널부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프레임.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 아래측으로 제2 상부패널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접고정되는 자전거용 프레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 아래측으로 제2 하부패널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접고정되는 자전거용 프레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후륜측 패널부재들은, 상기 시트포스트를 지나는 상태로 앞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2 상부패널부재 및 제1,2 하부패널부재와 교차하는 상태로 결합되는 자전거용 프레임.
  9.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하부 패널부재들은 대략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프레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후륜측 패널부재는 내측에 보강부재가 고정되는 자전거용 프레임.
  11.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와 제2 하부패널부재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는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베어링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자전거용 프레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패널부재는 경사각도가 서로 다른 제1,2,3 경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상부패널부재는 제1 상부패널부재와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밴딩되어 제1 상부패널부재와 고정되는 자전거용 프레임.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패널부재는 제2 하부패널부재보다 더 길게형성되어 배터리를 외장하거나 내장할 수 있는 평탄부를 형성하고 있는 자전거용 프레임.
KR1020190040582A 2019-04-08 2019-04-08 자전거용 프레임 KR10232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82A KR102328647B1 (ko) 2019-04-08 2019-04-08 자전거용 프레임
PCT/KR2019/017727 WO2020209473A1 (ko) 2019-04-08 2019-12-13 자전거용 프레임
DE112019007168.8T DE112019007168T5 (de) 2019-04-08 2019-12-13 Fahrradrahm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82A KR102328647B1 (ko) 2019-04-08 2019-04-08 자전거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549A true KR20200118549A (ko) 2020-10-16
KR102328647B1 KR102328647B1 (ko) 2021-11-17

Family

ID=7275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82A KR102328647B1 (ko) 2019-04-08 2019-04-08 자전거용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28647B1 (ko)
DE (1) DE112019007168T5 (ko)
WO (1) WO202020947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25U (ko) * 2009-07-15 2011-01-21 주식회사 파워라이드 프레임 일체형 힌지 구조를 구비한 자전거
JP2011230610A (ja) * 2010-04-26 2011-11-1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CN202896771U (zh) * 2012-11-29 2013-04-24 平湖米家儿童用品有限公司 助载自行车车架结构
KR20160064586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명지 일체형 자전거 프레임
KR20160143447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한국 에이씨엠 자전거 프레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384B1 (ko) 2014-05-12 2015-09-30 주식회사 명지 강도 보강용 자전거 프레임
EP3265372B1 (en) * 2015-05-17 2019-08-21 Trek Bicycle Corporation Adjustable compliance bicy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25U (ko) * 2009-07-15 2011-01-21 주식회사 파워라이드 프레임 일체형 힌지 구조를 구비한 자전거
JP2011230610A (ja) * 2010-04-26 2011-11-1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CN202896771U (zh) * 2012-11-29 2013-04-24 平湖米家儿童用品有限公司 助载自行车车架结构
KR20160064586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명지 일체형 자전거 프레임
KR20160143447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한국 에이씨엠 자전거 프레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73A1 (ko) 2020-10-15
KR102328647B1 (ko) 2021-11-17
DE112019007168T5 (de)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2341B1 (en) Bicycle frame and front fork assembly
GB2419574A (en) Bicycle frame
KR101628310B1 (ko) 일체형 자전거 프레임
AU2016200638B2 (en) Vehicle body frame of saddle-ride-type vehicle
US6805373B2 (en) Bicycle frame
KR101361372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조립 장치
JP2008230416A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構造
JP2011230610A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CN109689488B (zh) 机动二轮车的车身框架
KR20200118549A (ko) 자전거용 프레임
JP5779476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JP6190304B2 (ja) 鞍乗型車両の車体フレーム
JP6231929B2 (ja) 鞍乗型車両のフレーム
US10689057B2 (en) Bicycle frame having lug
JPWO2019017102A1 (ja) 車体フレーム構造
US5259636A (en) Bicycle frame having triangular reinforcement
TWI702166B (zh) 跨坐型車輛用之把手及跨坐型車輛
JP6222852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4692955B2 (ja) 新規な自転車車体及びこの自転車車体を有する自転車
JPS6092178A (ja) 自動二、三輪車のカバ−類の取付構造
WO2011052684A1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JP2018062235A (ja)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支持方法
KR20070009121A (ko)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JP6651554B2 (ja) 自動二輪車用車体フレーム
KR102538476B1 (ko) 자전거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