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377A -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 - Google Patents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377A
KR20200118377A KR1020200040929A KR20200040929A KR20200118377A KR 20200118377 A KR20200118377 A KR 20200118377A KR 1020200040929 A KR1020200040929 A KR 1020200040929A KR 20200040929 A KR20200040929 A KR 20200040929A KR 20200118377 A KR20200118377 A KR 20200118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layer
adhesive
compound layer
adhesiv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526B1 (ko
Inventor
니엘스 크제르보네이티스
케르스틴 괴츠
유르겐 도스탈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20011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4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flying splic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6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플라이 상에서 롤(R, B) 상에 권취된 플랫 웹 물질(RB)을 교체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K)로서, 제1 표면(K31) 및 제1 표면(K31)의 반대편에 있는 제2 표면(K32)을 갖는 캐리어 층(K3); 캐리어 층(K3)의 제1 표면(K31) 상의, 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배치된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 캐리어 층(K3)의 제2 표면(K32)의 적어도 한 면 영역 상에 간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및 접착 테이프(K)를 평면 방식으로 분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파괴면을 가지며, 여기서, 소정의 파괴면은 캐리어 층(K3)과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사이에 분할 시스템(K4)의 일부로서 구성되며, 분할 후 접착 테이프(K)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4)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K4)의 그러한 부분(K4b)의 찢김력을 증가시키는 강화 층(VS1)이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과 분할 시스템(K4) 사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이다.

Description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ADHESIVE TAPE AND FLAT WEB MATERIAL HAVING AN ADHESIVE TAPE OF THIS TYPE}
본 발명은 플라이(fly) 상에서 롤 상에 권취된 플랫 웹 물질(flat web material)을 교체하기 위한, 제1 표면 및 제1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2 표면을 갖는 캐리어 층; 캐리어 층의 제1 표면 위의 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접착제 화합물 층; 캐리어 층 아래의 제2 표면의 적어도 하위-영역 상에 간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및 평면 방식(planar manner)으로 접착 테이프를 분할시키기 위한 소정의 파괴면(breaking face)을 가지며, 여기서, 소정의 파괴면은 분할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성된,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분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인장 하에서 접착 테이프의 면에 대해 수직으로 분리되고, 캐리어 층에 대한 및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에 대한 상기 층의 접착력은 층 내의 응집력보다 더 높은 하나의 층, 또는 사이에 인장 하에서 접착 테이프의 면에 대해 수직으로 분할하는 제3 층이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층을 포함한다. 분할 시스템은 또한, 표면 코팅이 제공된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층에 대한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의 접착력 및 표면 코팅에 대한 상기 층의 접착력은 캐리어 층에 대한 표면 코팅의 접착력보다 더 높고/거나, 표면 코팅 내의 응집력보다 더 높다. 또한, 본 발명은 롤 상에 권취되어 있고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플랫 웹 물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상의 롤을 교체하기 위한 접착 분할 테이프(adhesive splicing tape)는, 예를 들어, EP 1 022 245 B1호, EP 1 104 795 B1호, DE 10 2008 059 381 A1호, 및 DE 10 2015 214 193 A1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플라이 상에서 롤의 교체는 고속-진행 기계를 중지시키지 않으면서 페이퍼 밀(paper mill)에서, 페이퍼 프린팅에서 및 필름 프린팅 섹션에서 플랫 웹 물질의 이전의 거의 소모된 롤을 새로운 롤로 대체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원에서 접착 분할 테이프는 롤 상에 권취되어 있는 플랫 웹 물질의 선두 영역(leading region)에 적용되며, 여기서, 상기 접착 분할 테이프는 이의 제1 및 제2 접착제 화합물을 이용하여 플랫 웹 물질에 접착 결합된다. 그 위에 플랫 웹 물질이 거의 완전히 소모된 이전 롤을 대체하도록 의도되는 새로운 롤의 플랫 웹 물질의 풀림(unwinding)은 진행하는 플랫 웹 물질에서 일어날 때, "플라이 상에서 롤을 교체하는 것"으로서 지칭된다. 본원에서 새로운 롤의 플랫 웹 물질에 연결된 접착 테이프는, 제1 접착제 화합물 층 및 캐리어 층이 플랫 웹 물질의 제1 영역 상에 잔류하며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및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에 연결된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이 롤 권취의 외부 측면 상의 플랫 웹 물질의 제2 영역 상에 잔류하도록, 분할 시스템의 영역에서 분할되며,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롤 권취에 의해 제1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새로운 롤의 플랫 웹 물질의 제1 영역은 제1 접착제 화합물 층을 단지 일부 덮으며, 새로운 롤의 플랫 웹 물질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제1 접착제 화합물 층의 그러한 영역은 이전 롤의 플랫 웹 물질에 대한 연결을 확립시킨다. 분할 후에,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은 노출된 접착제 화합물로 인해 웹 인열(web tearing)의 어떠한 위험도 피하기 위해 완전히 덮혀져야 한다. 2개의 서로 마주하는 접착제 화합물 층을 갖는 접착 테이프의 특별한 구조는, 롤 교체 전에 새로운 롤의 플랫 웹 물질의 풀림이 일어나지 않으며 새로운 롤의 플랫 웹 물질의 완벽한 풀림(flawless unwinding)을 보장하기 위해 롤의 교체 시에 제어되고 규정된 방식으로 접착 테이프의 소정의 파괴면이 개방되는 것을 보장한다.
분할 공정에서, 소정 위치에서 접착되는 분할 시스템의 부분을 갖는, 분할되는 부분, 특히,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이 새로운 웹에 접착 결합되지 않고 또한 처음부터 후자의 전체 면을 가로질러 새로운 웹에 결합되지 않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할되는,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을 갖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은 접착 결합이 없는 영역에서 해어지고(fray) 심지어 인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분할되는 부분은 캐리어 층으로부터 방출되지 않으며, 분할 시스템은 접착 테이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방되지 않고, 접착 결합이 없는 영역에서 닫혀진 채로 잔류된다. 분할되지 않고 여전히 접착 결합되어 있는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을 갖는 분할 시스템의 영역은 캐리어 층 상에 잔류하며, 상기 영역은 이후에, 파쇄물(shreds)로서 방출되고 잠재적으로 디바이스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기계의 청소 측면에서 복잡성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을 교체할 때 기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디자인 구체예 및 개선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분할 후에 접착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길이방향의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의 찢김력(tear-off force)을 증가시키는 강화 층이 제2 접착제 화합물 층과 분할 시스템 사이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분할 후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은 대개, 매우 낮은 찢김력을 갖는다. 물질의 찢김력은 초기 상태의 물질의 웹 폭에 대한, 인열 시에 물질의 인장력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강화 층으로 인해 증가되는 찢김력은 새로운 웹의 전체 면 상이 아닌 접착 결합의 경우에서도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이 해어지고(fraying) 또한 찢어지게 되는 것(tearing apart)을 방지할 수 있다. 해어짐 및 찢어짐은 특히, 예를 들어, 파쇄물(shred) 형태로 요망되지 않는 오염을 야기시킨다. 이는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분할 후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고 새로운 롤에 접착 결합되지 않은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에 또한 흡수되는 강화 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증가된 찢김력으로 인하여, 접착 결합되지 않은 부분은 이에 의해, 또한, 어떠한 해어짐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분할 절차에서 주변 영역에 의해 신뢰성 있게 공동으로 개방된다.
찢김력은 웹 폭, 대개 15 mm 당 뉴턴(Newton)으로 기술된다. 찢김력을 결정하기 위한 인장 시험은 금속성 물질에 대해 DIN EN ISO 6892-1에 따라 수행되며, 이러한 측정 자체는 DIN EN ISO 527-1/-2/-3에 따른 플라스틱 물질의 인장 성질의 결정, DIN EN ISO 1924-2에 따른 페이퍼 및 페이퍼보드의 인장 하중 하에서의 성질의 결정, 또는 DIN EN ISO 13934-1에 따른 텍스타일 평면 형성물(textile planar formation)의 인장 성질의 결정 각각에 따라 수행된다. 측정을 위해 재분류되는 표준(standard)은 분할 시스템의 특징에 의존적이다.
강화 층은 바람직하게, 상기 강화 층이 분할 후에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을 특히 긍정적으로 안정화시키도록, 제2 접착제 화합물 층과 직접 접촉하기 위해, 분할 시스템의 방향을 향하는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의 그러한 표면에 적용된다. 또한, 제2 접착제 화합물은 직접 접촉으로 인해 분할 시스템 상에 더 잘 고정되며, 이는 적합한 분할 시스템의 선택을 확대시킨다.
강화 층은 코팅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것은 제2 접착제 화합물 층의 면을 가로질러 볼 때 특히 일정한 두께를 갖는 특히 균일한 적용을 보장한다. 코팅은 예를 들어, 물질이 압출기에서 용합되거나 후속하여 경화하기 위해 용액으로서 분할 시스템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강화 층의 물질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코팅은 분무, 주입, 사출-성형, 커튼 코팅, 살포에 의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노즐, 브러시, 스퀴지(squeegee), 또는 롤러에 의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강화 층은 예를 들어, 고온-라미네이팅 또는 저온-라미네이팅에 의해, 예를 들어, 프레스에 의해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된 강화 층은 복수의 단(tier)을 포함하여야 하며, 상기 단은 또한, 결합제에 의해 함께 유지될 수 있다.
폴리머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PET, PVC는 강화 층을 위한 물질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머 물질은 바람직하게, 상술된 코팅 방법에 의해 적용된다. 강화 층은 또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할 후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은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강화 층은 이러한 경우에, 유리하게 호일로서 라미네이션된다. 알루미늄이 유도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고 호일로서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알루미늄은 바람직한 금속이다. 알루미늄 이외에, 강화 층을 위해 매우 적합한 다른 금속들이 또한 인식 가능하다. 페이퍼는 강화 층을 위한 추가 물질로서 적합하다. 페이퍼의 선택은 비교적 높은 인열 강도, 접착 테이프의 전체 두께, 및 낮은 굴곡 강도에 관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수행된다. 페이퍼의 하나의 장점은 페이퍼가 특히 용이하게 손으로 찢어질 수 있고 또한 재펄프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접착 테이프의 강화 층은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에서 낮은 굴곡 강도를 갖는다.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서의 낮은 굴곡 강도는 접착 테이프의 단순한 조작을 보장하며,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에서의 낮은 굴곡 강도는 분할된 웹이 기계를 통해 매끄럽게 진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접착 테이프의 용이한 적용을 고려하여, 강화 층은 바람직하게,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손으로 찢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강화 층은 유리하게,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의 찢김력이 접착 화합물 층의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10 N/15 mm,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N/15 mm,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30 N/15 mm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치수화된 찢김력의 경우에, 분할 후 제2 접착제 화합물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의 해어짐(fraying) 및/또는 인열(tearing)은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구체예에서, 분할되지 않고 캐리어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을 강화시키는 추가 강화 층은 캐리어 층과 분할 시스템 사이에 제공된다. 추가 강화 층은 분할되지 않고 캐리어 층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의 그러한 부분에서 힘의 균일한 흡수를 보장하고, 이러한 이유로, 특히 신뢰성 있는 분할을 보장한다. 추가 강화 층은 제2 접착제 화합물 층과 분할 시스템 사이에 적용된 제1 강화 층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목적은 롤 상에 권취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개선된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플라이 상의 롤 교체를 위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개선된 접착 테이프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개선시키는 추가의 수단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디자인 구체예의 설명과 함께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예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에서 분할 시스템을 갖는 접착 테이프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체예에서 분할 시스템을 갖는 접착 테이프의 추가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구체예에서 분할 시스템을 갖는 접착 테이프의 추가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플라이 상에서 롤 교체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웹 물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
도 1 내지 도 3은 각 경우에,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되고 구체적으로 분할 시스템(K4)의 3가지 상이한 구체예에 의해 롤(R, B) 상에 권취된 플랫 웹 물질(RB)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K)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은 항상, 캐리어 층(K3)의 제1 표면(K31)에 적용되며, 상기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은 이형 커버(K5)에 의해 덮혀진다. 추가 강화 층(VS2)은 캐리어 층(K3)의 면의 부분 상에서 반대편 제2 표면(K32)에 적용되며, 서로 위에 놓여 있는 복수의 층은 상기 추가 강화 층(VS2)에 인접하여 있다. 추가 강화 층(VS2)은 적합한 접착제 화합물에 의해 제2 표면(K32)에 연결된다. 추가 강화 층(VS2)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분할 시스템(K4)은 적합한 접착제 화합물에 의해 제2 표면(K32)에 연결된다. 분할 시스템(K4), 강화 층(VS1), 및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은 추가 강화 층(VS2) 이후에 제2 표면(K32)의 면의 부분에 인접한다. 선두 시스템(K4)은 캐리어 층(K3)으로부터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을 분리시킨다. 본원에서 강화 층(VS1)은 분할 후에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K4)의 그러한 부분(K4b)을 강화시키며, 추가 강화 층(VS2)은 캐리어 층(K3)의 면의 부분을 강화시킨다.
도 1에서 분할 시스템(K4)은, 인장 하에서 분할 시스템(K4)이 접착 테이프(K)의 면에 대해 수직으로 분리하도록 내부 응집력이 분할 시스템(K4)과 인접한 층 사이의 접착력보다 더 낮은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분할 시스템(K4)의 하나의 부분(K4a)은 캐리어 층(K3)의 표면(K32) 상에 잔류하며, 분할 시스템(K4)의 다른 부분(K4b)은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고,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의 상응하는 부분을 덮는다. 분할 시스템(K4)의 소정의 파괴점(predetermined breaking point)은 예를 들어, 페이퍼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분할 시스템(K4)은 분할이 일어나는 내부 분할 층(S)을 갖는 2개의 층을 포함한다. 내부 분할 층(S)은 분할되는 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주변 층들의 물질은 주변 강화 층들(VS1 및 VS2) 상에서 작용하는 상기 물질의 접착력, 및 상기 물질의 내부 응집력이 내부 분할 층(S)보다 더 높은 정도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분할 시스템(K4)은 표면 코팅(OB)이 제공된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표면 코팅(OB)은 그 위에 놓여 있는 강화 층(VS2)에 대해 접착력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하여 분할 시스템(K4)은 표면 코팅(OB)과 강화 층(VS2)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캐리어 층(K3)의 제1 표면(K31)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은 또한, 캐리어 층(K3)과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층,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K)를 검출하기 위한 것과 같은 기능성 층, 라커 층, 금속 층, 특히,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층, 또는 다른 기능성 첨가제, 예를 들어, 염료, 금속 분말, 게터 물질을 갖는 층, 추가의 접착제 화합물 층, 호일 층, 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물질로부터의 층이 제공될 때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은 캐리어 층(K3)의 제1 표면(K31)의 전체 면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면의 부분을 가로지르는 처분이 또한 고려될 것이다.
접착 테이프(K)의 길이방향에 슬롯(K5S)을 갖는, 이형 커버(K5), 예를 들어, 실리콘-처리된 페이퍼 또는 실리콘-처리된 필름/호일은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에 부착되며, 상기 슬롯(K5S)은 이형 커버(K5)를 두 부분(K51, K52)으로 분리시킨다. 천공은 동일한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은 분할 시스템(K4)이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캐리어 층(K3)의 제2 표면(K32) 상에 간접적으로 배치된다. 분할 시스템(K4) 및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은 캐리어 층(K3)의 제2 표면(K32)의 하위-영역 상에 배치된다. 분할 시스템(K4)은 평면 방식으로 접착 테이프(K)를 분할시키기 위한 소정의 파괴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소정의 파괴면은 위에 분할 시스템(K4)이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과 공동으로 배치되는 그러한 하위-영역에 해당한다.
접착 테이프(K)는 분할 시스템(K4)에서 또는 분할 시스템(K4)과 캐리어 층(K3) 사이에서 분할하지만, 캐리어 층(K3) 내에서 분할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캐리어 층(K3)의 물질의 선택에 있어서 이러한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면 코팅에 의해, 강화 층(VS2)에 대해 충분히 낮은 접착력을 갖거나, 충분히 낮은 내부 응집력을 갖거나, 내부에서, 분할 시스템(K4) 상에서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의 접착력이 임의의 경우에, 임의의 상술된 힘보다 더 높도록 추가적인 분할 층을 갖는 분할 시스템(K4)이 캐리어 층(K3)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전제조건일 뿐이다.
원칙적으로, 페이퍼, 필름/호일,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하는 필름/호일, 상술된 성분들로부터의 라미네이트, 및 부직포는 캐리어 층(K3)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 및/또는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은 자가-접착제 화합물일 수 있다. 특히, 임의적으로, 접착제 수지와 같은 추가의 성분들을 적합하게 첨가함으로써 적용 온도에서(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실온에서) 영구적으로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고 영구적으로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고 접촉 시에 특히 바로, 복수의 표면에, 본원에서 특히, 플랫 웹 물질에 접착하는(그리고, "점착성(tacky)", 즉, 끈적임 또는 터치에 대한 끈적임을 나타내는) 이러한 폴리머 접착제 화합물은 자가-접착제 화합물 또는 PSA(감압 접착제)로서 지칭된다. 상기 자가-접착제 화합물은, 충분한 상호작용이 용매 또는 열에 의한 어떠한 활성화 없이 그러나 대개 다소 높은 압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적용 온도에서 이미 접착제 화합물과 기판 사이에 접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도록, 기판을 접착 결합되도록 충분히 습윤화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높은 점착도(degree of tackiness)를 갖게 하기 위해 선택되며, 고전단 강도를 갖는 (자가-)접착제 화합물은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을 위해 유리하게 사용된다. 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한 시스템은 자가-접착제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코폴리머를 기초로 하거나 혼합물을 기초로 한 시스템이 접착제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뿐만 아니라 비수용성 아크릴레이트, 특히 유리하게, 수 중에서 중합된 아크릴레이트(수계 시스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천연 고무 화합물, 합성 고무 화합물, 실리콘-기반 접착제 화합물 뿐만 아니라 상술된 화학적 화합물의 분산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타입의 접착제 화합물들의 혼합물, 임의적으로, 다중상 혼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화합물과 고무-기반 접착제 화합물(천연 고무 및/또는 합성 고무)의 혼합물 또는 천연 고무와 합성 고무의 혼합물이 또한, 매우 적합하다. 고무-기반 시스템(천연 고무 및/또는 합성 고무)의 실리콘 접착제 화합물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성분들로부터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접착 연결을 위해 적합한 모든 기본 타입의 접착제 화합물이 고려될 수 있다. 재펄프화 가능하고 플랫 웹 물질, 특히, 페이퍼의 재가공에서 펄프 내에, 이에 따라, 수중에 각각 용해되거나 현탁된 페이퍼 또는 섬유상 펄프 내에 거의 또는 완전히 도입될 수 있는 접착제 화합물이 유리하다.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및 이에 따라, 또한, 분할 시스템(K4)은 스트립 형태로 적용되며, 여기서,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은 접착 테이프(K)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캐리어 층(K3)의 에지 영역에 대해 및 이러한 에지 영역으로부터의 간격(L)으로 평행하도록 연장한다. 오목한 곳으로서 구성된 간격(L)은 10 mm 이하, 바람직하게, 대략 2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파괴면을 완전히 분할시키기 위해 적용되어야 하는 분할 작업은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및 분할 시스템(K4)의 폭의 선택에 의해 주요 캐리어(K3)의 폭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파괴면이 접착 테이프(K)의 폭을 가로질러 전체 면 상에서 연장한다는 점에서 그러한 시스템과 비교하여 장점이다.
분할되는 부분 또는 부분(K4b) 각각의 찢김 강도(tear-off strength)가 접착 테이프(K)의 길이 방향에서 증가하게 하기 위해(도 4d 및 도 4e 참조), 강화 층(VS1)은 접착제 화합물 층(K2)과 분할 시스템(K4) 사이에 배치된다. 강화 층(VS1)은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직접적으로, 및 또한, 분할 시스템(K4) 상에 직접적으로 지닌다. 분할되는 부분(K4b)의 안정성은, 분할되는 부분(K4b)이 떨어지거나(tearing apart) 또는 찢어지는 것(tearing off) 방지하기 위해, 강화 층(VS1)에 의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강화 층(VS1)은 각 경우에, 강화가 분할되는 부분의 전체 면을 가로질러 달성될 수 있도록 접착제 화합물 층(K2) 및 분할 시스템(K4)의 전체 길이 및 폭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강화 층(VS1)이 없고 분할 후에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K4)의 부분(K4b)에 대한 찢김력은, 완료된 분할 공정 후에 통상적으로, 비-균질한 성질을 갖는 이러한 패턴이 1 N/15 mm 미만의 게스(guess)에서, 미세한 찢김력을 갖기 때문에,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다.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서 찢김력에 대한 측정된 결과는 분할 후에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는 그러한 부분(K4b)에 대해 이용 가능하며, 상기 부분(K4b)은 알루미늄의 강화 층(VS1)을 갖는 본질적으로 분할하는 페이퍼(K4)이다:
1. 9 ㎛ 알루미늄 호일로 강화됨: 23 N/15 mm;
2. 12 ㎛ 알루미늄 호일로 강화됨: 32 N/15 mm.
본원에서 강화 층(VS1)을 갖는 분할 시스템(K4)의 부분(K4b)에 대한 측정은 접착제 화합물 층(K2) 없이 수행되었다. 접착제 화합물 층(K2)이 찢김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 화합물 층(K2)과 함께 이의 없이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K4)의 그러한 부분(K4b)에 대해 측정되는 지의 여부는 관련이 없다.
플라이 상에서의 롤 교체는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플랫 웹 물질(RB)의 새로운 롤(R)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K)에 의해 최상부 권취를 형성하는 새로운 롤(R)의 플랫 웹 부분(R1)이 제2 권취를 형성하는 새로운 롤(R)의 플랫 웹 부분(R2)에 접착 결합되도록 제조된다. 접착 테이프(K)의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은 이후에 단지 일부 노출된다. 이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화합물 층(K1)의 접착제 부분(K11) 및 비-접착제(덮혀졌기 때문) 부분(K12)이 존재하도록, 이형 커버(K51)의 단지 부분이 스트립핑되어 일어날 수 있다. 플랫 웹 부분(R1)은 접착제 영역(K11)에 접착 결합된다. 이로 인해, R1은 R2에 연결된다.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에 접착 결합되는 플랫 웹 부분(R1)의 돌출 플랩(R3)은 이후에, 점선 방식으로 예시된 라인의 영역에서 길이로 절단되며, 이에 따라, 이후에 생성된 플랫 웹 물질(RB)의 단부는 접착 테이프(K)의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의 잔류하는 이형 커버(K52)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한다. 이후에, 이형 커버(K5)의 여전히 존재하는 부분(K52)은, 폴려지는 이전 플랫 웹(B)에 접착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드러난 접착제 화합물 표면(K12)이 존재하도록, 스트립핑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b).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제조된 롤(R)은 후속하여, 대체되는 거의 완전히 소모된 이전 롤(B)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이전 롤(B)와 후속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속도로 가속된다. 이후에, 상기 롤(R)은 예를 들어, 접촉 압력 실린더(A)의 도움으로, 이전 롤(B)의 플랫 웹 물질에 대해 가압되며, 여기서, 접착 테이프(K)의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의 나타난 면 영역(K12)은 롤(R, B)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이전 롤(B)의 플랫 웹 물질에 접착 결합된다.
이전 롤(B)의 플랫 웹 물질에 대한 접착 결합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접착 테이프(K)는 새로운 롤(R)이 접착 결합되는, 이전 롤(B)의 플랫 웹 물질에 의해 새로운 롤(R)의 플랫 웹 물질(RB)이 도 4e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정 내에 쓰레딩될 수 있도록, 도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파괴면에서 열린다. 이로 인하여, 연속 공정 순서는 플라이 상에 롤 교체의 경우에 보장될 수 있다.
분할 후 분할 시스템(K4)의 분할 잔류물(split-off remnant)(K4b)은 접착 결합이 기계를 통해 추가 진행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을 완전히 덮혀진다. 분할 시스템(K4)의 다른 부분(K4a)은 캐리어 층(K3)의 제2 표면(K32) 상에 잔류한다.
본 발명은 이의 구체예와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디자인 구체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기본적으로 상이한 구체예의 경우에서도, 예시된 솔루션을 이용하는 수많은 변형이 고려될 수 있다. 청구범위, 설명, 또는 도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세부사항, 공간적 배열, 및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모든 특징 및/또는 장점은 개별적으로 뿐만 아니라 가장 변형된 조합 둘 모두에서 본 발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Claims (13)

  1. 플라이(fly) 상에서 롤(R, B) 상에 권취된 플랫 웹 물질(flat web material)(RB)을 교체하기 위한,
    제1 표면(K31) 및 상기 제1 표면(K31)의 반대편에 있는 제2 표면(K32)을 갖는 캐리어 층(K3);
    상기 캐리어 층(K3)의 상기 제1 표면(K31) 상의, 면(face)의 적어도 일부 상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배치된 제1 접착제 화합물 층(K1);
    상기 캐리어 층(K3)의 상기 제2 표면(K32)의 적어도 한 면 영역(face region) 상에 간접적으로 배치된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및
    접착 테이프(K)를 평면 방식(planar manner)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파괴면(breaking face)을 갖는, 접착 테이프(K)로서,
    상기 소정의 파괴면은 상기 캐리어 층(K3)과 상기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사이의 분할 시스템(K4)의 일부로서 구성되며,
    분할 후에 상기 접착 테이프(K)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는 상기 분할 시스템(K4)의 그러한 부분(K4b)의 찢김력(tear-off force)을 증가시키는 강화 층(reinforcement layer)(VS1)이 상기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과 상기 분할 시스템(K4) 사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2. 제1항에 있어서, 강화 층(VS1)이 압출 방법에 의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3. 제1항에 있어서, 강화 층(VS1)이 그 위에 라미네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층(VS1)이 폴리머 물질로부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층(VS1)이 페이퍼로부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층(VS1)이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7. 제6항에 있어서, 금속이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층(VS1)이 낮은 굴곡 강도(flexural rigidit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K)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손으로 찢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강화 층(VS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접착제 화합물 층(K2) 상에 잔류하는 분할 시스템(K4)의 그러한 부분(K4b)의 찢김력이 접착 테이프(K)의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10 N/15 mm,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N/15 mm,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30 N/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K3)과 분할 시스템(K4) 사이에 추가 강화 층(VS2)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12. 롤(R, B) 상에 권취된 플랫 웹 물질(flat web material)(RB)로서, 상기 플랫 웹 물질(RB)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K)를 갖는 플랫 웹 물질(RB).
  13. 플라이 상에서 롤 교체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접착 테이프(K)의 용도.
KR1020200040929A 2019-04-05 2020-04-03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 KR102374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4925.7 2019-04-05
DE102019204925.7A DE102019204925A1 (de) 2019-04-05 2019-04-05 Klebeband und Flachbahnmaterial mit einem derartigen Klebeb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77A true KR20200118377A (ko) 2020-10-15
KR102374526B1 KR102374526B1 (ko) 2022-03-14

Family

ID=7015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929A KR102374526B1 (ko) 2019-04-05 2020-04-03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19092B1 (ko)
KR (1) KR102374526B1 (ko)
DE (1) DE102019204925A1 (ko)
ES (1) ES2899105T3 (ko)
PL (1) PL3719092T3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433A (ja) * 2012-12-11 2014-06-26 Chung-Chin Wang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テープの構造
KR20190035559A (ko) * 2017-09-26 2019-04-03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테이프를 포함하는 플랫 웹 재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2179B4 (de) 1999-01-21 2005-04-28 Tesa Ag Klebeband und Spliceverfahren
DE19958223A1 (de) 1999-12-02 2001-07-19 Beiersdorf Ag Klebeband
DE102008059381A1 (de) * 2008-06-03 2009-12-17 Tesa Se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EP2433994B1 (en) * 2010-09-27 2013-12-25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DE102015214193A1 (de) * 2015-07-27 2017-02-02 Tesa Se Klebeband für den fliegenden Rollenwechs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433A (ja) * 2012-12-11 2014-06-26 Chung-Chin Wang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テープの構造
KR20190035559A (ko) * 2017-09-26 2019-04-03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테이프를 포함하는 플랫 웹 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04925A1 (de) 2020-10-08
EP3719092A1 (de) 2020-10-07
ES2899105T3 (es) 2022-03-10
PL3719092T3 (pl) 2021-12-27
KR102374526B1 (ko) 2022-03-14
EP3719092B1 (de)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919A (en) Adhesive tape and method of using it
JP4903353B2 (ja)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用のテープ、使用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7087278B2 (en) Adhesive tape for a continuous roll change
AU2011312554B2 (en)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JP5734551B2 (ja) 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
CA2660548C (en) Adhesive tape for roll change of flat-web materials
JP5554017B2 (ja) 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
CA2511994C (en) Adhesive tape for producing a splice
US20010003617A1 (en) Adhesive tape
JP2002338922A (ja) 接着テープ
US20050103429A1 (en) Adhesive tape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rolls
KR102374526B1 (ko)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갖는 플랫 웹 물질
BR112014017428B1 (pt) fita de emenda para mudança de rolo contínua e método de fabricação
US7255764B2 (en) Closing banding
US8545653B2 (en) Adhesive tape for producing a joint during a static reel change
JP2009030057A (ja) 耐引裂性接着テープ
JP2003193005A (ja) 粘着テープ
US20020045019A1 (en) Fixing label
CA2459828C (en) Cover strip
JP2003252534A (ja) 平らなウエッブ材料のロールの製造法
JP3852484B2 (ja) 多孔性薄葉紙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2013010615A (ja) 巻取紙自動仕立用接続テープ及び巻取紙の紙継ぎ方法
JP2003301146A (ja) 層間剥離両面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