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515A - 착용이 용이한 신발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7515A KR20200117515A KR1020190039714A KR20190039714A KR20200117515A KR 20200117515 A KR20200117515 A KR 20200117515A KR 1020190039714 A KR1020190039714 A KR 1020190039714A KR 20190039714 A KR20190039714 A KR 20190039714A KR 20200117515 A KR20200117515 A KR 202001175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stand
- heel support
- sole
- h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수평대(220)와 수직대(240)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200)를 구비하고, 신발입구(120)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200)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신발입구(120)가 확장된 상태에서, 신발입구(120)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220)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2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신발입구(120)가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도록 하여 신발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수평대(220)와 수직대(240)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200)를 구비하고, 신발입구(120)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200)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신발입구(120)가 확장된 상태에서, 신발입구(120)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220)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2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신발입구(120)가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도록 하여 신발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쉽게 신발을 쉽게 신을 수 있게 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을 견고하게 감싸야 하므로 입구가 발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신고 벗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데, 신발을 신을 때에는 구둣주걱을 이용하거나 허리를 숙여 손가락으로 뒤꿈치 부분을 잡고 신게 되고, 벗을 때는 뒤꿈치 부분을 손이나 발로 누른 상태에서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가 개선된 신발이 제안된 바 있다. 아래 특허문헌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발입구에 신축밴드를 형성하여 신발을 신고 벗는 과정에서 신축밴드가 늘었다 줄었다 하면서 입구가 확장되는 구조를 통해 좀 더 쉽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신축밴드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부여된 상태이므로, 신발의 입구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뒤꿈치를 손으로 잡고 계속 당기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신발을 보다 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신을 때 신발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는 신발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대와 수직대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를 구비하고, 신발입구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신발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신발입구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신발입구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되도록 하여 신발을 신게 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입구를 충분히 확장시킨 상태에서 손을 대지 않고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므로 착용이 용이하다. 나아가 신발을 벗을 때에도 뒤꿈치 쪽 갑피를 당겨줌으로써 신발입구를 쉽게 확장시켜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신고 벗기가 용이한 신발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뒤축지지대와 밑창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 4는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뒤축지지대의 수평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밑창에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뒤축지지대와 밑창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 4는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뒤축지지대의 수평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밑창에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신발을 보다 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신을 때 신발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쉽게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평대와 수직대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를 구비하고, 신발입구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신발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신발입구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신발입구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되도록 하여 신발을 신게 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뒤축지지대와 밑창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착용이 용이한 신발은 신발(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발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 되는 뒤축지지대(200)를 구비하고, 신발입구(120)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된다.
뒤축지지대(200)는 일정 면적으로 되는 판 형상의 수평대(220) 일단에 수직대(240)가 세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이룬다. 수평대(220)와 수직대(240)가 이어지는 지점, 즉 모서리 부분은 완만한 곡선형을 이루어 뒤꿈치를 감싸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수직대(240)는 신발(100) 뒤꿈치 갑피에 매립되고 수평대(220)는 밑창에 지지되면서 깔창 아래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뒤축지지대(200)는 상기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대(24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모서리 부분이 신발 밑창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을 하며 수평대(220) 선단이 들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대(240)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대(280)가 형성되고, 측면대(280) 선단에는 회동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대(280)는 앞꿈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그 길이는 신발(100)에 형성되는 설포(140)의 중심지점에 이르지 못하는 길이로 되는데, 이는 회동대(3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형성되는 길이이다.
회동대(300)는 측면대(280) 선단에 축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발등을 감싸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대(300)에서 발등에 위치되는 부분은 신발(100)에서 설포(140)에 연결되는데, 별도의 조임식 버튼으로 설포(14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회동대(300)는 크기가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등에 위치되는 부분에서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로 분할되어 일정 길이만큼 포개지는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는 발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구멍이 천공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구멍에 버튼을 관통시켜 조이게 되면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딱 맞게 회동대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게 된다.
회동대(300)는 설포(140)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측면대(280)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을 이루게 된다. 그로 인해 뒤축지지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되면 측면대(280)의 선단이 들리면서 회동대(300)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측면대(280)와 회동대(300)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설포(140)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신발입구(120)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는 바, 주름부(122)가 형성됨으로써 주름부(122)가 펼쳐지면서 신발입구가 확장되고 반대로 주름부(122)가 오므라지면 원래의 크기로 돌아가게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부(122)는 신발(100)을 신었을 때 양쪽 복사뼈가 위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설포(140)가 신발입구(120)에 연결되는 지점에도 주름부(122)가 형성되어 설포(140)가 밀려 올라갈 때 펼쳐지면서 신발입구(120)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122)는 일 실시예로서, 신발입구(120) 일 지점이 절개되어 절개지점에 탄성을 가진 밴드가 형성되는 구성과 같이 신발입구(120)가 필요에 따라 확장될 수 있게 되는 구성으로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뒤축지지대(200)는 신발을 신었을 때 회동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에 의해 달성되는바,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대(220)를 밑창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대(22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2)와 밑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62)을 따라 왕복되는 슬라이딩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162)은 신발 앞뒤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슬라이딩판(250)이 돌출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밑창(160) 자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형태의 유지 및 슬라이딩판(250)의 작동시 수평대(220) 및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케이스를 구비하여 밑창에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판(250)은 일정한 면적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대(22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2)가 관통하는 걸림공(252)이 형성된다. 걸림돌기(222)는 하단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구조, 예를 들면 단면이 화살표 형상을 이루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공(252)을 통과한 다음 슬라이딩판(250)이 뒤꿈치 쪽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공(252)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슬라이딩판(250)은 작동링크(260)에 의해 수평대(220)와 연동되게 연결된다. 작동링크(260)는 슬라이딩판(250) 선단과 수평대(220) 선단을 이어주는 것으로, 슬라이딩판(250) 선단과 수평대(220)에 각각 축 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게 형성되고, 뒤꿈치에서 앞꿈치 쪽으로 일정한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작동링크(260)는 지지링크(270)에 의해 지지되는바, 지지링크(270)는 일단은 슬라이딩홈(162) 바닥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은 작동링크(260) 중심부근에 축 고정된다. 도면상 작동링크(260) 우측에서 축 고정되는 것이다.
도 3, 4는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뒤축지지대의 수평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밑창에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뒤축지지대(200)는 수평대(220)와 수직대(240)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수평대(220) 저면에 축돌기(22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밑창에는 축돌기(224)가 안착되는 축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돌기(224)가 축홈(164)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을 하게 되므로, 뒤축지지대(200)가 상기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축돌기(224)를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뒤축지지대(200)가 앞뒤로 밀리지 않고 회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뒤축지지대(20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고정수단은 수평대(220)를 밑창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수평대(220)와 슬라이딩판(250)의 연동에 의해 달성된다.
즉, 뒤축지지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평대(220) 선단이 들리면 지지링크(27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링크(26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판(250) 선단을 앞꿈치 쪽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판(250)이 앞꿈치 쪽으로 당겨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평대(220)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2)는 걸림공(252)에서 빠져나와 상승을 하게 되고, 회동대(3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설포(140)를 위쪽으로 밀어주면서 주름부(122)가 늘어나 신발입구가 확장된다. 따라서 신발입구가 충분히 확장된 상태이므로 발을 신발() 내부로 밀어넣기가 용이하다.
이후 신발입구로 발을 밀어넣어 신발(100)을 착용하게 되면 수평대(220)가 발바닥에 의해 눌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들려 있던 수평대(22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지지링크()에 지지되고 있는 작동링크(2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판(250)의 선단을 뒤꿈치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걸림돌기(222)가 다시 걸림공(252)에 박히게 되고, 완전히 박히면 단면이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222) 끝단이 걸림공(252)에 걸리게 된다. 이때 회동대(30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주름부(122)가 오므라지며 신발입구는 다시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진 상태가 되어 신발()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충분한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슬라이딩판(250)이 다시 작동되지 않게 되는바, 뒤축지지대(2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즉, 신발(100)을 신고 있는 동안 뒤축지지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와 같은 뒤축지지대(200)의 작동에 의해 확장되어 있던 신발입구가 신발(100)을 신는 동작만으로 다시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게 되므로 신발(100)을 편하게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뒤축지지대(200)의 회동에 따라 수평대(22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수평대(22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2)와 밑창에 형성되어 걸림돌기(222)가 끼워져 걸리게 되는 걸림공(25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22)는 하단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걸림공(252)은 밑창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입구에 탄성적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걸림공(252)을 구비하고 있는 판을 설치하여서 형성된다. 걸림공(252)이 형성되는 판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입구가 탄성적으로 확장됨으로써 걸림돌기(222)가 통과하여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걸림돌기(222)가 끝단이 분할되어 탄성적으로 지름이 줄어들게 형성되고 걸림공(252)은 견고한 재질의 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걸림돌기(222)가 걸림공(252)을 통과할 때 지름이 줄어들었다가 완전히 통과한 이후 원래 대로 확장됨으로써 걸림돌기(222)가 걸림공(25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는 앞서 도시한 형상의 신발(100)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신발(10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운동화, 구두뿐만 아니라 등산화를 포함한 특수 목적에 의한 신발(100)에도 뒤축지지대(200) 신발입구 및 설포(140)에 형성되는 주름부(122)를 능히 적용함으로써 신발(100)을 쉽고 편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신발, 120 : 신발입구,
122 : 주름부, 140 : 설포,
160 : 밑창, 162 : 슬라이딩홈,
164 : 축홈,
200 : 뒤축지지대, 220 : 수평대,
222 : 걸림돌기, 224 : 축돌기,
240 : 수직대,
250 : 슬라이딩판, 252 : 걸림공,
260 : 작동링크, 270 : 지지링크,
280 : 측면대,
300 : 회동대.
122 : 주름부, 140 : 설포,
160 : 밑창, 162 : 슬라이딩홈,
164 : 축홈,
200 : 뒤축지지대, 220 : 수평대,
222 : 걸림돌기, 224 : 축돌기,
240 : 수직대,
250 : 슬라이딩판, 252 : 걸림공,
260 : 작동링크, 270 : 지지링크,
280 : 측면대,
300 : 회동대.
Claims (6)
- 수평대(220)와 수직대(240)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200)를 구비하고, 신발입구(120)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200)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신발입구(120)가 확장된 상태에서, 신발입구(120)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220)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2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신발입구(120)가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도록 하여 신발을 신게 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입구(120)에는 주름부(122)가 형성되어 주름부(122)가 펼쳐지면서 신발입구가 확장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뒤축지지대(200)는 수평대(220)를 밑창(16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발바닥에 의해 눌리면 회동되지 않게 위치가 고정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대(22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2)와 밑창에 형성되어 걸림돌기(222)가 끼워져 걸리게 되는 걸림공(252)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돌기(222)가 걸림공(252)에 끼워져 빠지지 않게 걸림으로써 뒤축지지대(200)가 회동되지 않게 위치가 고정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평대(22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2)와, 밑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62)을 따라 왕복되되 걸림공(252)이 천공되고 선단이 수평대(220) 선단 내측에 이르는 위치의 범위에서 왕복되는 슬라이딩판(250)과, 슬라이딩판(250) 선단과 수평대(220) 선단을 이어주는 작동링크(260) 및 슬라이딩홈(162) 바닥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링크(260) 중심부근에 축 고정되는 지지링크(270)를 포함하여,
상기 뒤축지지대(200)가 회동하여 수평대(220) 선단이 들리면 슬라이딩판(250)이 앞꿈치 쪽으로 이동하고, 뒤축지지대(200)가 발바닥에 의해 눌리면 걸림돌기(222)가 걸림공(252)을 통과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250)이 뒤꿈치 쪽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222)가 걸림공(25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 제1 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240) 양측 가장자리에서 앞꿈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면대(280) 및 상기 측면대(280) 선단에 축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발등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어 설포(140)에 연결되는 회동대(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뒤축지지대(200)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수직대(240)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측면대(280)의 선단이 회동대(300)를 위로 밀어올려 설포(140)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신발입구를 확장하게 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9714A KR102184764B1 (ko) | 2019-04-04 | 2019-04-04 | 착용이 용이한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9714A KR102184764B1 (ko) | 2019-04-04 | 2019-04-04 | 착용이 용이한 신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515A true KR20200117515A (ko) | 2020-10-14 |
KR102184764B1 KR102184764B1 (ko) | 2020-12-03 |
Family
ID=7284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9714A KR102184764B1 (ko) | 2019-04-04 | 2019-04-04 | 착용이 용이한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476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5550A (ko) * | 2000-05-16 | 2001-11-29 | 백린석 | 착화가 간편한 신발 |
WO2007080205A1 (es) * | 2006-01-13 | 2007-07-19 | Francis Raluy | Calzado con dispositivo automático de cierre en el empeine |
KR200470361Y1 (ko) | 2013-09-05 | 2013-12-10 | 이준규 |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
-
2019
- 2019-04-04 KR KR1020190039714A patent/KR102184764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5550A (ko) * | 2000-05-16 | 2001-11-29 | 백린석 | 착화가 간편한 신발 |
WO2007080205A1 (es) * | 2006-01-13 | 2007-07-19 | Francis Raluy | Calzado con dispositivo automático de cierre en el empeine |
KR200470361Y1 (ko) | 2013-09-05 | 2013-12-10 | 이준규 |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4764B1 (ko) | 202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853694S1 (en) | Shoe | |
CA2777091C (en) | Slip-on footwear with fit features | |
KR101826077B1 (ko) | 슬리퍼 기능용 신발 | |
JP2021058670A (ja) | 適応可能な靴 | |
KR101293203B1 (ko) | 스키 부츠 | |
EP1803363A2 (en) | Inner boot, particularly for a sports shoe | |
JP2006212429A (ja) | 舌革が設けられている靴のための伸縮性有するバンドつき覆い部 | |
KR102184764B1 (ko) | 착용이 용이한 신발 | |
KR200441705Y1 (ko) | 슬리퍼 변형 신발 | |
KR200493016Y1 (ko) | 착용이 간편한 신발 | |
JP6638957B2 (ja) | フットカバー | |
KR100954343B1 (ko) |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 |
EP2471397A1 (en) | Ski boot | |
EP1454545A1 (en) | Baby shoe | |
US12108833B2 (en) | Pull-on boot | |
JP3153220U (ja) | 靴 | |
KR102058517B1 (ko) | 패션 액세서리용 부츠 샤프트 | |
KR20180055769A (ko) |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 |
JP7439351B2 (ja) | フットカバー | |
JP2019198415A (ja) | 履物セット | |
JP7371875B2 (ja) | フットカバー | |
JP2010063642A (ja) | 靴 | |
KR102004225B1 (ko) | 리바운딩 기능을 갖는 신발 | |
US9888801B2 (en) | Foot entry-assisting topside shoe tab | |
JP6894117B2 (ja) | インソール、当該インソールを用いた履物、及び履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