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16Y1 - 착용이 간편한 신발 - Google Patents

착용이 간편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16Y1
KR200493016Y1 KR2020190002095U KR20190002095U KR200493016Y1 KR 200493016 Y1 KR200493016 Y1 KR 200493016Y1 KR 2020190002095 U KR2020190002095 U KR 2020190002095U KR 20190002095 U KR20190002095 U KR 20190002095U KR 200493016 Y1 KR200493016 Y1 KR 200493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hoe
wire
coupled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607U (ko
Inventor
서동신
서수경
Original Assignee
서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경 filed Critical 서수경
Priority to KR2020190002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1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7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resilient mea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착용이 간편한 신발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신발은 신발의 본체, 상기 본체를 구성하고 상부에 절삭부를 가지는 뒷축 하단부,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절삭부에 의해 상기 뒷축 하단부와 분리되는 신발의 뒷축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복원력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뒷축 상단부는 상기 신발의 착용시에는 발의 힘에 의하여 상기 뒤축 상단부가 상기 뒷축 상단부와 결합된 와이어와 연동되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신발을 착용한 다음에는 상기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뒷축 상단부가 위로 올라가서 내려가기 전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착용이 간편한 신발{Easy-to-Wear Shoes}
본 고안은 착용이 간편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의 본체를 구성하는 뒷축 상단부를 절개하여 신발을 신을 때 하강하고 신발을 신고 난 후에는 상승하여 손가락이나 구두주걱과 같은 수단없이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착용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불편이 발생하기도 한다. 신발을 제대로 착용하기 위해서는, 손이나 구두 주걱과 같은 도구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손이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컨대, 일반화의 경우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 신발 뒷축이 안으로 꺽여서 접어지면 손으로 신발뒤축부분을 펴서 신발을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작업화의 경우 손을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시 부득이 하게 신발을 꺽어(접어)서 신고 작업을 지속하는 경우가 있는데 신발이 벗겨지는 불편과 작업중에 미끄러지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신발 착용의 불편함 때문에 신발 뒷축을 구겨 신기 때문에, 신발이 빨리 마모되는 문제 및 미끄러지거나 넘어지기 쉬운 위험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용이 편한 신발에 대한 발명이나 고안이 제안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5550호는 뒷굽부분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나, 신발의 외피 양측에 구비되는 신축부의 수축과 팽창에 의함으로서 신발을 신을 때와 신은 다음에 탄력회복성이 약하고 외관상으로 신축부가 보여 미관을 해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2479호는 신발의 뒤축 상단부가 뒤쪽(바깥쪽)으로 젖혀짐으로서 신을 때 편의성이 높아지지만, 신발을 신은상태로 걷고 작업을 할 때 의도하지 않게 신발의 뒷축 상단부가 뒤로 젖혀져 안전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5550호(공개일자: 2001년11월29일) 한국등록특허 제10-0695684호(등록일자: 2007년03월09일) 한국등록특허 제10-1212479호(등록일자: 2012년12월10일)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신발 착용시, 손가락이나 구두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간편한 신발은 신발의 본체; 상기 본체를 구성하고 상부에 절삭부를 가지는 뒷축 하단부;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절삭부에 의해 상기 뒷축 하단부와 분리되는 신발의 뒷축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복원력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뒷축 상단부는 상기 신발의 착용시에는 발의 힘에 의하여 상기 뒤축 상단부가 상기 뒷축 상단부와 결합된 와이어와 연동되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신발을 착용한 다음에는 상기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뒷축 상단부가 위로 올라가서 내려가기 전 상태로 복원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뒷축 하단부는 상기 뒷축 하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부; 상기 뒷축 하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뒷축 상단부는 하강시 상기 삽입 공간 속으로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뒷축 상단부는 하강시 상기 뒷축 하단부의 안쪽으로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와이어는, 상기 뒷축 상단부와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파트; 상기 뒷축 하단부 또는 상기 신발의 밑창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2 파트; 상기 본체의 일 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3 파트; 및 상기 본체의 반대쪽 일 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가락이나 구두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 뒷축이 꺾이지 않게 하여 신발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을 하는 상황이나 빈번하게 신발을 신고벗는 경우에 안전과 편리함이 향상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뒷축 상단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신발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신발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뒷축 상단부의 움직임을 뒷면에서 나타내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뒷축 상단부의 움직임을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뒷축 상단부(6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은 본체(20)와 뒷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뒷축부(30)는 신발의 본체(20)를 구성하고 상부에 절삭부(50)를 가지는 뒷축 하단부(40), 및 절삭부(50)에 의해 뒷축 하단부(40)와 분리되는 뒷축 상단부(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신발(10)을 구성하는 뒷축 상단부(60)와 뒷축 하단부(40) 사이에 절삭부(50)를 구성하고, 뒷축 하단부(40)는 고정되어 있되, 뒷축 상단부(60)는 고정되지 않고 하강 및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뒷축 상단부(60)의 일부, 예컨대, 양 끝단(63, 64)은 뒷축 하단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뒷축 하단부(40)와 뒷축 상단부(60)의 양 끝단(63, 64)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뒷축 하단부(40)와 뒷축 상단부(60)의 양 끝단(63, 64)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양 끝단(63, 64) 사이에서는 절삭부(50)에 의해 뒷축 하단부(40)와 뒷축 상단부(60)가 분리됨으로써, 뒷축 상단부(60)가 하강했다가 다시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은 또한, 상기 뒷축 상단부(60) 및 상기 본체(20)와 결합되고, 복원력을 가지는 와이어(70)를 포함한다.
와이어(70)는 신발의 안쪽이나 바깥쪽에서 보이지 않도록,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20) 및 뒷축 상단부(6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20)와 뒷축 상단부(60)는 각각 외피(미도시)와 내피(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고, 와이어(70)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70)는 이중 박음질로 본체(20) 및 뒷축 상단부(60)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70)는 스테인레스 철사(이하 '스텐철사'로 함)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력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에는 발의 힘(발로 뒷축 상단부(60)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뒤축 상단부(60)가 뒷축 상단부(60)와 결합된 와이어(70)와 연동되어 아래로 내려가고,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다음에는 와이어(70)의 탄성 또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뒷축 상단부(60)가 위로 올라가서 내려가기 전 상태로 복원된다.
신발을 신을 때에는 사용자가 발 뒷꿈치로 뒷축 상단부(60)를 눌러주어 뒤축 상단부(60)가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발이 쉽게 신발의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발이 신발 내에 완전히 들어가면 발 뒷꿈치가 더 이상 뒷축 상단부(60)를 눌러주지 않으므로, 뒷축 상단부(60)가 와이어(7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위로 올라가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뒤축 상단부(60)와 뒷축 하단부(40)의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뒷축 하단부(40)의 재질은 꺽이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가죽, 실리콘, 플라스틱,또는 합성 피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뒤축 상단부(60)의 두께와 뒷축 하단부(40)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예컨대, 뒷축 하단부(40)의 두께를 뒤축 상단부(6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착화시에 저항을 줄여주기 위해, 뒤축 상단부(60)의 상부 테두리(61)는 일자형이 아니라, 반달 모양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뒤축 상단부(60)의 상부 테두리(61)는 가운데 부분에 비하여 양 끝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곡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신발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신발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와이어(70)는 다수의 파트들(71, 72, 73, 74, 75)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어서, 와이어(70)는 뒷축 상단부(60)와 결합되어 뒷축 상단부(60)와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파트(75), 뒷축 하단부(40) 및/또는 신발의 밑창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2 파트(73), 신발 본체(20)의 일 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3 파트(71) 및 신발 본체의 반대쪽 일 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4 파트(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71) 및 제4 파트(72)는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와이어(70)의 재질, 두께, 길이, 모양 등은 실시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뒷축 상단부의 움직임을 뒷면에서 나타내는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뒷축 상단부의 움직임을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뒤축 상단부(60)는 뒷축 하단부(40)의 안쪽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60a'는 뒤축 상단부(60)가 하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60b'는 뒤축 상단부(60)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뒤축 상단부(60)가 뒷축 하단부(40)보다 약간 안쪽에 위치하여, 신발을 신을 때에 뒷축 상단부(6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뒷축 하단부(40)의 안쪽으로 내려갔다가, 신발 착용 후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원 상태(즉, 하강하기 전 상태)의 뒤축 상단부(60)의 하부가 뒤축 하단부(40)의 상부에 맞닿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뒤축 상단부(60)의 하부 일부가 뒤축 하단부(4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원 상태에서 뒤축 상단부(60)의 하부 일부가 뒤축 하단부(40)의 상부 일부와 겹쳐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뒷축 하단부(40)는, 뒷축 하단부(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부(예컨대, 외피)(미도시), 뒷축 하단부(4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예컨대, 내피)(미도시)와, 뒷축 하단부의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뒷축 상단부(60)는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의 힘에 의하여 뒤축 상단부(60)가 뒷축 상단부(60)와 결합된 와이어(70)와 연동되어 아래로 내려가서 삽입 공간(미도시)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고, 신발을 착용한 다음에는 와이어(7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뒷축 상단부(60)가 위로 올라가서 내려가기 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뒤축 상단부(60)가 하강하는 정도 또는 하강 후의 형태는 와이어(70)의 두께, 강도, 신발을 신을 때의 발의 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의 뒷축 상단부(60)가 와이어(70)와 연동하여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발을 신을 때에는 뒤축 상단부(60)가 하강하여 발이 쉽게 신발 내로 들어갈 수 있고, 발이 신발 내에 완전히 들어가면 뒷축 상단부(60)가 와이어(7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손가락이나 구두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신발 뒷축이 꺾이지 않게 하여 신발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을 하는 상황이나 빈번하게 신발을 신고벗는 경우에 안전과 편리함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신발
20: 본체
30: 뒷축부
40: 뒷축 하단부
50: 절삭부
60, 60a, 60b: 뒷축 상단부
70: 와이어

Claims (6)

  1. 신발의 본체;
    상기 본체를 구성하고 상부에 절삭부를 가지는 뒤축 하단부;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절삭부에 의해 상기 뒤축 하단부와 분리되는 신발의 뒤축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복원력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뒤축 상단부와 상기 뒤축 하단부의 양 끝단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양 끝단 사이는 상기 절삭부에 의해 상기 뒤축 상단부와 상기 뒤축 하단부가 분리되며,
    상기 뒤축 하단부는
    상기 뒤축 하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부;
    상기 뒤축 하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뒤축 상단부의 하부 일부가 상기 뒤축 하단부의 상부 일부와 겹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뒤축 상단부는 상기 신발의 착용시에는 발의 힘에 의하여 상기 뒤축 상단부가 상기 뒤축 상단부와 결합된 와이어와 연동되어 상기 삽입 공간 내에서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신발을 착용한 다음에는 상기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뒤축 상단부가 위로 올라가서 내려가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뒤축 상단부와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파트;
    상기 뒤축 하단부 또는 상기 신발의 밑창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2 파트;
    상기 본체의 일 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3 파트; 및
    상기 본체의 반대쪽 일 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착용이 간편한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축 상단부의 상부 테두리는 가운데 부분에 비하여 양 끝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곡선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뒤축 하단부의 두께는 상기 뒤축 상단부의 두께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한 신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90002095U 2019-05-23 2019-05-23 착용이 간편한 신발 KR200493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95U KR200493016Y1 (ko) 2019-05-23 2019-05-23 착용이 간편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95U KR200493016Y1 (ko) 2019-05-23 2019-05-23 착용이 간편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07U KR20200002607U (ko) 2020-12-02
KR200493016Y1 true KR200493016Y1 (ko) 2021-01-18

Family

ID=7378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95U KR200493016Y1 (ko) 2019-05-23 2019-05-23 착용이 간편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64Y1 (ko) 2021-06-20 2022-11-16 서동신 착용이 간편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778B1 (ko) 2020-10-26 2022-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동식 컵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550A (ko) 2000-05-16 2001-11-29 백린석 착화가 간편한 신발
KR20020013053A (ko) * 2000-08-10 2002-02-20 류현우 기능성 신발
WO2005029991A1 (en) 2003-09-26 2005-04-07 Park Cha Cheol Comfortable shoe
KR20090130804A (ko) * 2008-06-16 2009-12-24 심상옥 신발용 뒤축 보조구
KR101212479B1 (ko) 2011-01-28 2012-12-14 이복규 착용이 간편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64Y1 (ko) 2021-06-20 2022-11-16 서동신 착용이 간편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07U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659B2 (en) Rigid cantilevered stud
KR200493016Y1 (ko) 착용이 간편한 신발
US9532624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related methods
CN113840555B (zh) 易穿功能鞋
JP3195071U (ja) 靴べら機能付き靴
WO2008146376A1 (ja) 靴および靴の中敷
KR20110104130A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KR200483720Y1 (ko) 구두 주걱을 구비하는 신발 깔창
KR102055057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496164Y1 (ko) 착용이 간편한 신발
JP3238534U (ja) 靴ベラ不要靴
JP3168787U (ja) 鼻緒及び当該鼻緒を備えた履物
JP3149391U (ja) 靴下装着補助具
KR102175901B1 (ko) 연질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우캡 조립체
KR102310154B1 (ko) 기능성 슬리퍼
JP3206648U (ja) 履き物用前滑り防止具
KR102646870B1 (ko) 착화가 용이한 신발
KR102004225B1 (ko) 리바운딩 기능을 갖는 신발
JP5792327B2 (ja) ハイヒール
CN218898578U (zh) 一种后跟垫片及具有该后跟垫片的鞋
KR102475036B1 (ko) 신발
JP3210811U (ja) 爪先補強型耐電ゴム長靴
JP6721232B2 (ja) 中敷き、及び履物
JP3211355U (ja) 靴下
KR20220000563U (ko) 슬리퍼용 발등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