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053A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053A
KR20020013053A KR1020000046410A KR20000046410A KR20020013053A KR 20020013053 A KR20020013053 A KR 20020013053A KR 1020000046410 A KR1020000046410 A KR 1020000046410A KR 20000046410 A KR20000046410 A KR 20000046410A KR 20020013053 A KR20020013053 A KR 2002001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s
movable member
rear axle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우
Original Assignee
류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현우 filed Critical 류현우
Priority to KR102000004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3053A/ko
Publication of KR2002001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의 뒷축 부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므로서,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후의 안정감도 확보할 수 있게 한 기능성 신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구두를 신는 경우 발뒤꿈치에 걸려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구두뒷축의 상단부위를 별도의 가동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가동부재가 구두본체의 일정 지점을 축으로 상하 회전 변위되도록 하므로서 결과적으로 뒷축의 상단부위가 구두 뒷축에서 출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구두를 신는 경우에는 상기 가동부재를 하향 위치시켜 용이하게 구두를 신을 수 있게 하며, 신은 다음에는 이를 상향으로 복귀시켜 발의 뒤꿈치를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상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
본 발명은 착용의 편의성을 개선한 기능성 신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뒷축 부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므로서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착용후의 안정감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신발은 인류역사의 시작과 더불어 인간이 애용하여온 필수품으로서 주거나 의류와 함께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산업분야에 속한다.
전통적인 산업분야에서의 일반적인 경향이긴하나 특히 신발은 그 구조적 형태나 기능상의 한계 때문에 별다른 기술적 변화가 없으며 이는 중세시대의 가죽 구두나 현재의 신사화가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도 실감된다.
물론 그 동안 신소재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갖는 여려형태의 신발들이 출현되었고 특히 요즘에는 발이 신체 건강에 미치는 중요성 때문에 건강위생적인 측면에서 여러 기능성 제품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나 기본적인 신발의 착용 기능이나 구조형태면에서는 여전히 별다른 진전을 보이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구두는 구두의 뒷축부분이 발뒤꿈치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단면 원호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부위(A)가 발뒤꿈치의 요부(B)와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다소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는 구두를 착용한 상태에서 동작중 발이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필연적인 구성으로서 운동화든 신사화든 거의 모든 신발은 이러한 구조적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 구두를 신는 경우 발의 뒤꿈치 부분이 구두뒷축의 상단부위(A)에 걸리게 되므로 일일히 구두끈을 풀어 구두를 신은 다음 다시 구두끈을 묶는 수고를 하거나 아니면 구두주걱등을 뒷축의 상단 부위에 대고 구두를 신게 된다.
그러나 일일히 구두끈을 풀고 매는 것은 물론이고 구두주걱을 매번 사용함도 번거로울뿐 아니라 더욱이 구두주걱(또는 대용품)이 없는 경우에는 통상 그대로 발을 신발에 무리하게 들여 밀어 넣으므로서 이 부분(A)이 쉽게 변형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신발착용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신발의 기본적인 구조형태를 개선하므로서 착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착용후에 있어서도 안락감과 안정감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획기적인 신발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종래신발(구두)의 구조 및 착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 원리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타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발의 신체적 특징과 신발의 구조기능적 특성이 고려되었다. 즉,
- 발의 뒤꿈치 부분은 전체적으로 단면원호상(특히 길이방향의 종단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 부분은 보행등 동작시 별다른 형체상의 변화가 없다.
- 또한 발의 뒤꿈치 부분을 수용하는 구두의 뒷축부분 역시 대응된 형태의 단면원호상을 이루고 있고, 폭방향의 종단면상으로 볼때는 좌우대칭으로서 비교적 안정된 형상일뿐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되어 구두뒷축의 견고하고 안정된 형체는 본 발명이 추구하는 구조적 수단을 적용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이루고 있다.
- 그리고 구두를 신는 경우 뒷축의 상단부위(A)는 대략 뒷축 높이와 뒷축 종단길이의 약 1/3정도가 발의 뒤꿈치에 걸려 변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두를 신는 경우 발의 뒤꿈치에 걸려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뒷축의 상단부위(A)를 인위적으로 하향변위시켜 장애를 제거후 복귀시키는 메카니즘을 채용하여 이를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 메카니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뒷축의 단면 호형에 대응하는 호형 궤적이 일정지점(3)을 축으로 회전 변위되면 그 거리(구두의 개구면에 해당)가 축소(S1) 또는 확대(S2)되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이러한 메카니즘을 본 발명의 구두에 적용한 실시예를 각기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지점(3)을 축으로 단순회전 변위하는 가동부재(1)에 의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1)의 개방된 단부가 본체(2)의 일정축지점(3)에 축설되어 있어 그 반대편의 단면호형상의 단부는 회전 변위시 발뒤꿈치 또는 구두뒷축(4)의 단면원호와 대응하는 궤적을 그리면서 변위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부재(1)가 점선표시와 같이 하향변위된 상태에서는 구두의 개구면이 확대(S2) 되므로 용이하게 구두를 신을 수 있게 되며, 일단 구두를 신은 다음 가동부재(1)를 상향 복귀시키면 실선표시와 같이 개구면이 축소(S1) 되면서 가동부재(1)가 발뒤꿈치의 요입부(B)에 밀착 보지되므로 안정된 자세에서 보행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구두뒷축(4)의 높이는 일반구두의 절반 또는 그 보다 약간 높게 형성하고 가동부재(1)의 후측하단부가 그 상단부와 일부 중첩된 상태에서 복귀가 종료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부재(1)의 복귀는(상향위치) 부재(1)에 적절한 당김부를 형성하여 이를 잡고 수동으로 끌어올리거나 또는 가동부재(1)가 축설되는 지점(3)에 통상의 스프링과 같은 탄지수단을 구비시켜 자동 복귀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때 가동부재(1)는 구두 뒷축에서 필요이상 이탈되거나 보행동작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수동작동시) 적절한 이탈방지 수단이나 마찰을 강화하는 억제수단을 설계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가동부재(1)와 구두뒷축(4)간에 접속부재(1a)를 개재시켜접속부재(1a)가 접히거나 말리면서 본체의 뒷축(4)내로 밀려들어 가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본 실시예 역시 개방단부지점(3)을 중심점으로 가동부재(1)가 회전변위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메카니즘을 이룬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재(1)의 하단주연부에 접속부재(1a)의 상단주연부를 접합 연설하고 있으며, 이들 부재 각각 특히 접속부재(1a)는 뒷축쪽으로 확개된 부채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접속부재(1a)의 하단주연부는 다시 뒷축(4)의 상단주연부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1)를 하방으로 누르면 접속부재(1a)가 구두뒷축(4)내외로 접히거나 말려들어 가면서 가동부재(1a)도 같이 밀려들어 가게 되며(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으로 들어가는 경우를 도시한 것임), 이때 접속부재(1a)의 후단쪽 변위가 단부지점(3) 보다 크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가동부재(1)는 지점(3)을 중심으로 회전변위를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부재(1a)가 본체의 뒷축(4) 위로 대부분 노출되어 있으나 가동부재에 접합되는 접속부재의 상측 접합선을 가동부재의 하단주연선보다 높은 위치에 접합하고 뒷축에 접합되는 접속부재의 하측 접합선은 뒷축(4)의 상단내주면에서 하향위치시켜 가급적 접속부재(1a)의 노출을 줄이고 가동부재(1)의 폭을 상대적으로 키울수도 있다.
접속부재(1a)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강인한 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며 뒷축과의 접합은 재질에 따라 봉착 또는 용ㆍ접착 모두 가능하고 가동부재(1)의 복귀를 위하여 당김수단을 형성함도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전단지점(3)은 도 3에서와 같이 축지점(3)으로 대체 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두의 착용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을 경우 발뒤꿈치에 걸려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신발의 뒷축 상단부위(A)를 회전 변위할 수 있는 별도의 가동부재(1)로 구성하여 가동부재(1)를 하향 변위시킨 상태 즉 신발의 개구면이 넓혀진 상태에서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므로서 구두주걱과 같은 보조수단이 없어도 용이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을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뒷축의 상단부위(A)가 무리하게 훼손 변형되지 않아 신발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동부재(1)가 하향변위된 상태에서도 구두뒷축(4) 부분이 종래구두 뒷축의 절반정도의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실내외에서의 간단한 보행동작시 또는 운전시에는 하향변위된 상태 그대로 신발을 착용하고 있어도 아무런 지장없이 어느정도 안정된 상태에서 행동할 수 있다.
또한 본격적인 보행동작을 위해서는 가동부재(1)을 상향으로 변위시키면 가동부재(1)의 후상단부가 발의 요입부(B)에 밀접된 상태로 되어 발을 확실하게 보지하게 되므로 안정되고 안락한 상태에서 보행동작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신발의 뒷축 상단부위(A)를 별도의 가동부재(1)로 하여 상기 가동부재(1)가 본체(2)의 일정지점(3)을 중심으로 회전변위 하므로서 구두뒷축(4)에서 출몰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1)가 지점(3)에 축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1)와 구두뒷축(4)을 접속부재(1a)로 연결 접합시켜 접속부재(1a)가 뒷축(4)내외로 접히거나 말려들어감에 따라 함께 가동부재(1)도 말려들어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1a)는 뒷쪽단이 확개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000046410A 2000-08-10 2000-08-10 기능성 신발 KR20020013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10A KR20020013053A (ko) 2000-08-10 2000-08-10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10A KR20020013053A (ko) 2000-08-10 2000-08-10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053A true KR20020013053A (ko) 2002-02-20

Family

ID=1968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410A KR20020013053A (ko) 2000-08-10 2000-08-10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30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07U (ko) * 2019-05-23 2020-12-02 서동신 착용이 간편한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801U (ja) * 1983-11-28 1985-06-18 竹本 信義 サンダル
JPS61113602U (ko) * 1984-12-27 1986-07-18
JPH0720802U (ja) * 1993-10-01 1995-04-18 晃一 吉村 サンダル兼用シューズ
JPH10151001A (ja) * 1996-11-25 1998-06-09 Anyuu Kikaku:Kk 履 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801U (ja) * 1983-11-28 1985-06-18 竹本 信義 サンダル
JPS61113602U (ko) * 1984-12-27 1986-07-18
JPH0720802U (ja) * 1993-10-01 1995-04-18 晃一 吉村 サンダル兼用シューズ
JPH10151001A (ja) * 1996-11-25 1998-06-09 Anyuu Kikaku:Kk 履 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07U (ko) * 2019-05-23 2020-12-02 서동신 착용이 간편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46626C (en)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US6035554A (en) Asymmetrical reversible article of footwear
US5778500A (en) Knot securing device
US3142910A (en) Footwear with heel-follower
ES2143619T3 (es) Zapato provisto de tubos para los cordones.
JPH0751083B2 (ja)
JP5211330B2 (ja) 履物の緊締構造
JP2007529642A (ja) 踵プロテクタ
KR20020013053A (ko) 기능성 신발
JPH07313629A (ja) 水泳用ひれ
KR940005633B1 (ko) 운동화
US20180084839A1 (en) Non-slip, Reinforced Heel Sock, Device and Element for the Same
CN110913717B (zh)
KR20050082552A (ko) 다이어트용 신발 및 그 사용방법
KR102623983B1 (ko)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KR200225749Y1 (ko) 신발용 갑피의 구조
CN218605334U (zh) 一种防褶皱休闲鞋
US1068089A (en) Shank-piece for boots and shoes.
FR2568455A1 (fr) Chaussure perfectionnee notamment pour la pratique d'un sport.
US106030A (en) Improvement in boots and shoes
KR200242103Y1 (ko) 신발용 체결구
JPS6236401Y2 (ko)
US1469853A (en) Heel lining for boots and shoes
US241121A (en) Half to gaednee c
JPS5952902U (ja) 運動靴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