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85A -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85A
KR20200117485A KR1020190039641A KR20190039641A KR20200117485A KR 20200117485 A KR20200117485 A KR 20200117485A KR 1020190039641 A KR1020190039641 A KR 1020190039641A KR 20190039641 A KR20190039641 A KR 20190039641A KR 20200117485 A KR20200117485 A KR 2020011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ckpit
decor
air v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978B1 (ko
Inventor
오석준
연동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78B1/ko
Priority to CN202020471966.4U priority patent/CN212373109U/zh
Publication of KR2020011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칵핏 및 도어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감 있는 데코부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는 차량 실내 전면에 위치하는 칵핏, 칵핏의 적어도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도어, 칵핏 및 도어를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데코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는, 상기 칵핏에 위치하는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데코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분리선이 에어벤트 노브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Decoration for Interior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차량의 인테리어에 위치하는 칵핏과 상기 칵핏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따라 형성되는 데코부를 제공하는바, 다수의 데코라인으로 구성되는 데코부가 연속적으로 형서되는 실내 구조를 제공하고자 데코라인이 서로 인접하여 발생하는 분리선이 차량의 실내로 노출되지 않도록 에어벤트 노브를 제공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합니다.
종래에 있어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는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사용자의 설정 온도에 맞는 바람을 송풍하도록 구성되고, 토출되는 바람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 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자동차 에어벤트 장치에 있어서는 풍향조절 노브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각 제 1윙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므로 에어벤트홀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조절되고, 풍향조절 노브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각 제 2윙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므로 에어벤트홀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는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어벤트홀을 따라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을 제공하여 차량 실내에 통일감을 제공하기 위한 인테리어가 적용되는바, 에어벤트홀에 위치하는 에어벤트 노브와 데코부간의 체결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전기자동차의 등장 및 자동주행 차량의 경우 슬림 에어벤트홀을 포함하도록 설계되고 있어 상기 에어벤트홀과 데코부간의 관계가 실내 인테리어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10-2012-00213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 상에 고정된 데코부를 통해 심미적인 안정성을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데코부를 구성하는 데코라인간에 위치하는 분리선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에어벤트 노브를 제공하여 일체감 있는 데코라인을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는 차량 실내 전면에 위치하고 에어벤트 장치를 포함하는 칵핏; 칵핏의 적어도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도어; 칵핏 및 도어를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데코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는, 상기 칵핏에 위치하는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데코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분리선이 에어벤트 노브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 노브는, 상기 데코부를 포함하도록 위치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데코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곡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는 칵핏과 도어가 마주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 노브는 제 1윙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는 에어벤트 장치의 제 1윙의 최외각 단면보다 얇은 단면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데코라인은 차량의 칵핏을 따라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데코라인의 단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는 차량의 클러스터 상부를 따라 상기 클러스터를 감싸듯이 위치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칵핏 상에 위치하는 데코라인은 상기 칵핏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윙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 노브와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고정된 형상의 데코부를 제공하는바, 차량의 탑승자에게 심미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칵핏과 도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데코부를 제공하는바, 차량의 실내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벤트 장치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벤트 장치를 따라 형성되는 데코라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벤트 노브와 데코라인이 체결되는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벤트 노브와 데코라인이 체결되는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장치", "...어셈블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윙" 및 "제 2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론트"는 차량의 전면을 의미하고, "리어"는 차량의 후면을 의미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에어벤트홀 "내측", "내측면"은 차량의 전면과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외측", "외측면"은 차량의 후면과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분리선"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데코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된 일정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최외각면"은 차량의 실내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제 1윙 또는 제 2윙의 일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실내 전면에 위치하는 칵핏(200)과 상기 칵핏(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300)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데코부(150)를 형성하는 장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를 도시하는바, 데코부(150)는 칵핏(200)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칵핏 데코라인(151)과 상기 칵핏 데코라인(151)을 따라 연장되고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도어(300)에 위치하는 도어 데코라인(152)으로 구성된다.
칵핏 데코라인(151)의 경우, 다수의 별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되는바, 두 개의 별물이 인접하는 위치에 분리선(153)이 형성된다. 더욱이, 분리선(153)은 에어벤트 장치(100)의 토출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에어벤트 노브(140)에 의해 분리선(15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칵핏 데코라인(15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칵핏 데코라인(151)과 연속적으고 위치되는 도어 데코라인(152)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300)의 닫힘 상태에서 차량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데코부(150)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도어 데코라인(152)의 경우, 전방 도어(300) 뿐 아니라 후방 도어(300)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칵핏 데코라인(151)의 경우, 칵핏(200) 양측면을 감싸듯이 위치될 수 있으며, 클러스터 상부를 따라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151)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분리선(153)은 에어벤트 노브(140)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실내에서 분리선(153)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의 A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에어벤트 장치(100)는 차량의 칵핏(200)에 위치하는 크래쉬패드에 인입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크래쉬패드에 에어벤트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벤트홀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차량의 실내와 마주하는 일면에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에어벤트홀 내에 차량의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차량의 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 1윙(130)을 포함하고, 에어벤트홀 내에 차량의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제 1윙(130)의 일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 2윙(120)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윙(130)은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 2윙(120)은 차량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 1윙(130)의 양단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연동되도록 고정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바, 바람직하게, 스페이서는 에어벤트홀 양측단에 위치하여 제 1윙(13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 측면에 위치하는 각각의 리어 링크부재(132)와 체결되는바, 에어벤트 노브(140)의 움직임에 따라 제 1윙(13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각각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 2윙(12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상단 또는 하단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링크부재(122)를 포함하는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동시에 좌우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벤트 노브(140)는 제 1윙(130)의 최외각면에 위치하는 체결부(141)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바, 상기 체결부(141)의 양측에는 별물로 구성되는 칵핏 데코라인(151)이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윙(130)의 체결부(141)를 기준으로 칵핏 데코라인(151)의 분리선(153)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체결부(141)를 기준으로 차량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칵핏 데코라인(151)을 포함하는바, 에어벤트 노브(140)는 상기 데코부(15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코부(150)는 칵핏(200)의 전방에 위치하여 크래쉬 패드 및 클러스터 상단을 따라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칵핏 데코라인(151)을 포함하고, 상기 칵핏 데코라인(151)과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칵핏(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300)에 위치하는 도어 데코라인(15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칵핏 데코라인(151)의 경우, 다수의 별물로 구성되고, 각각의 별물들은 에어벤트홀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되는바, 에어벤트 노브(140) 내측에 별물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분리선(153)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칵핏 데코라인(151)의 경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도어 데코라인(15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300)와 칵핏(200)에 연속성 있는 데코부(15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칵핏 데코라인(151)이 위치하는 제 1윙(130)의 최외곽면은 제 1윙(130)의 움직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 1윙(130)이 차량의 실내와 가까운 일단에 형성되는 회전축(133)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면에 가까운 타단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윙(130)의 최외곽면과 데코부(150)가 마주하는 면적이 일정하도록 상기 최외곽면은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제 1윙(130)의 일단이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윙(130)의 회전축(133)이 위치하는 일단에는 데코부(150)가 상기 제 1윙(130)의 최외곽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바, 상기 제 1윙(130)의 상하방향 회전에도 데코부(150)는 고정되는 형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데코부(150)와 제 1윙(130)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되어 데코부(150)가 제 1윙(130)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칵핏 데코라인(151)은 에어벤트홀을 포함하는 칵핏(200)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칵핏(200)의 측면을 전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도어(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칵핏(200)의 측면을 전부 감싸도록 칵핏 데코라인(151)을 구성하여,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의 실내를 둘러싸듯이 구성되는 데코부(150)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칵핏(200)상에 4개의 에어벤트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데코부(150)는 각각의 에어벤트홀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적어도 5개의 별물로 구성되는 칵핏 데코라인(151)을 제공하는바, 상기 칵핏 데코라인(151)들이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형성되는 분리선(153)은 에어벤트 노브(14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칵핏 데코라인(151)의 개수는 에어벤트 장치(100)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 많은 별물로 구성되는바, 에어벤트 노브(140) 내측으로 별물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선(153)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코부(150)는 제 1윙(130) 최외곽면을 따라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데코부(150)의 단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코부(150)는 제 1윙(130)의 최외곽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최외곽면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으로 이격된 꼭지점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데코부(150)의 단면의 높이는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데코부(150)의 경우, 제 1윙(130)의 최외곽면를 기준으로 돌출된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바,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칵핏 데코라인(151)과 체결부(141)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벤트 노브(140)와 체결되는 체결부(141)를 포함하는 제 1윙(130)을 개시하고 있으며, 체결부(141) 양측부에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칵핏 데코라인(151)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체결부(141) 양측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칵핏 데코라인(151)은 별물로 구성되는바, 서로 인접하는 영역에 분리선(153)을 형성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선(153)은 체결부(141)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141)의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에어벤트 장치(100)를 기준으로 두 개의 칵핏 데코라인(151)을 구성하는바, 에어벤트 노브(140)가 상기 두 개의 칵핏 데코라인(151)이 수형 방향으로 위치하여 형성되는 분리선(153)을 덮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도 3에 개시된 체결부(141) 및 분리선(153)은 도 2에 개시된 에어벤트 노브(140)에 의해 차량이 실내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A-A 측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벤트 노브(140)는 에어벤트홀의 토출구 외측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에어벤트 노브(14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벤트홀은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칵핏(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벤트홀 토출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벤트 노브(140)는 제 1윙(13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바, 제 1윙(130)을 감싸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함몰부(142)를 포함한다.
에어벤트 노브(140)는 제 1윙(130)의 체결부(141)와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141)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두 개의 칵핏 데코라인(151)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에어벤트 노브(140)의 함몰부(142)는 칵핏 데코라인(151)의 분리선(153) 및 제 1윙(130)을 동시에 감싸듯이 위치하여, 분리선(15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함몰부(142)는 제 1윙(130) 및 데코부(15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에어벤트 노브(140)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제 1윙(130) 및 데코부(15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데코부(150)와 가까운 일단에 곡률부(1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1윙(130)은 데코부(150)와 인접한 위치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양측면에 구성되는 회전축(133)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33)은 크러쉬패드 또는 에어벤트 장치(100)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윙(130)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에어벤트 노브(140)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면과 가까운 제 1윙(130)의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 1윙(130)의 회전시 데코부(150)는 칵핏(2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1윙(130)의 움직임과 독립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제 1윙(130)의 차량 실내방향 최외곽면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제 1윙(130)의 상하방향 회전시에 데코부(150)와 마주하는 일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곡률부(143)는 에어벤트 노브(140)의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함몰부(142)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에어벤트 노브(140)의 회전 반경과 대응하여 회전되지 않는 데코부(150) 구성이 에어벤트 노브(140)의 함몰부(142) 내부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곡률부(143)는 데코부(150)의 형상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에어벤트 노브(140)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곡률부(143)는 에어벤트 노브(140)의 최고점에서의 높이와 최저점에서의 높이에 따라 데코부(150)와 에어벤트 노브(140) 내측면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바,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곡률부(143)은 상하부에 각각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에어벤트 노브(140)의 상방향 움직임과 하방향 움직임에 대응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의 에어벤트 노브(140)의 단면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윙(130)의 일단이 칵핏(200)에 위치하는 그릴유닛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메커니즘을 갖는 에어벤트 장치(100) 및 상기 에어벤트 장치(100)와 데코부(150)간의 결합관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 1윙(130)의 일단이 칵핏(200)에 고정되어 에어벤트홀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그릴유닛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바, 데코부(150)와 제 1윙(130) 사이에 위치하는 그릴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릴유닛에 고정된 일단을 회전축(133)으로 제 1윙(130)의 차량의 전면과 가까운 타단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벤트 장치(100)를 제공한다.
그릴유닛의 중심부분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분과 마주하는 제 1윙(130)의 일단은 상기 원통형상이 끼워지도록 인입부로 구성된다.
원통형상 및 인입부는 체결된 뒤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는바, 제 1윙(130)의 전단이 상기 원통형상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인입부와 원통형상이 마주하는 차량의 폭 방향의 양 측면으로 칵핏 데코라인(151)이 인접하여 위치하고, 서로 다른 별물로 구성되는 칵핏 데코라인(151)의 분리선(153)이 상기 그릴유닛의 중심부분과 인접하여 형성된다.
에어벤트 노브(140)는 상기 중심부분과 인입부를 포함한 제 1윙(130)의 일단을 길이 방향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는바, 더 바람직하게, 에어벤트 노브(1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에어벤트 노브(14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함몰부(142)가 상기 그릴유닛의 중심부분과 제 1윙(130)의 인입부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칵핏 데코라인(151)의 분리선(153)은 에어벤트 노브(140)의 함몰부(142)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는 데코부(150)가 칵핏(200)을 따라 도어(300)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바, 칵핏(200)에 데코부(150)를 구성하는 칵핏 데코라인(151)의 분리선(153)이 에어벤트 노브(140)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분리선(153)이 차량의 실내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에어벤트 장치(100) 및 에어벤트 노브(140)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차량의 폭방향으로 구성되는 칵핏 데코라인(151)과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도어 데코라인(152)이 연속적으로 일체감 있게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10)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적 안정성과 일체감을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내 장식 구조
100: 에어벤트 장치
120: 제 2윙
122: 프론트 링크부재
130: 제 1윙
132: 리어 링크부재
133: 회전축
140: 에어벤트 노브
141: 체결부
142: 함몰부
143: 곡률부
150: 데코부
151: 칵핏 데코라인
152: 도어 데코라인
153: 분리선
200: 칵핏
300: 도어

Claims (10)

  1. 차량 실내 전면에 위치하고 에어벤트 장치를 포함하는 칵핏;
    에어벤트 장치를 따라 연장되어 칵핏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데코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는,
    상기 칵핏에 위치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분리선이 에어벤트 노브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 노브는,
    상기 데코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데코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곡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칵핏의 적어도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데코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데코라인은 상기 칵핏 데코라인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는 칵핏과 도어가 마주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 노브는 제 1윙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는 에어벤트 장치의 제 1윙의 최외각 단면보다 얇은 단면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데코라인은 차량의 칵핏을 따라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데코라인의 단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는 차량의 클러스터 상부를 따라 상기 클러스터를 감싸듯이 위치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칵핏 상에 위치하는 칵핏 데코라인은 상기 칵핏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KR1020190039641A 2019-04-04 2019-04-04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KR10229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41A KR102298978B1 (ko) 2019-04-04 2019-04-04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CN202020471966.4U CN212373109U (zh) 2019-04-04 2020-04-02 车辆的室内装饰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41A KR102298978B1 (ko) 2019-04-04 2019-04-04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85A true KR20200117485A (ko) 2020-10-14
KR102298978B1 KR102298978B1 (ko) 2021-09-06

Family

ID=7284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641A KR102298978B1 (ko) 2019-04-04 2019-04-04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8978B1 (ko)
CN (1) CN2123731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441A (ko) 2021-03-18 2022-09-27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220158906A (ko) * 2021-05-24 2022-12-02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372A (ko) 2010-07-28 2012-03-09 이창영 필름 융착장치
JP2014043220A (ja) * 2012-08-28 2014-03-13 Marusan Kinzoku:Kk 風向調節羽根及び空気吹出口
KR20160004931A (ko) * 2014-07-03 2016-01-13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배기구 어셈블리
KR20180070200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CN207657743U (zh) * 2017-12-21 2018-07-2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仪表中央装饰面板总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372A (ko) 2010-07-28 2012-03-09 이창영 필름 융착장치
JP2014043220A (ja) * 2012-08-28 2014-03-13 Marusan Kinzoku:Kk 風向調節羽根及び空気吹出口
KR20160004931A (ko) * 2014-07-03 2016-01-13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배기구 어셈블리
KR20180070200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CN207657743U (zh) * 2017-12-21 2018-07-2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仪表中央装饰面板总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441A (ko) 2021-03-18 2022-09-27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220158906A (ko) * 2021-05-24 2022-12-02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373109U (zh) 2021-01-19
KR102298978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587B1 (ko) 에어벤트 장치
CN109551991B (zh) 用于车辆的细长型通风孔
KR102274115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20200117485A (ko)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US9969336B2 (en) Flexible single piece sliding door
US10189382B2 (en) Vehicle seat assembly
KR10171356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20210059459A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20180070200A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US20150183300A1 (en) Air vent apparatus for vehicle
KR101763671B1 (ko)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차량 공기조화용 풍향조절장치
CN111791675B (zh) 通气装置
JP4562626B2 (ja) 車両のレジスタ構造
KR102588817B1 (ko)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EP3626493B1 (en) Air vent for a vehicle
US20150184440A1 (en) Multi-joint slider device
CN115362074A (zh) 出风装置
KR102498833B1 (ko)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KR102574918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JP2000318440A (ja) レジスタ
JPH0243000Y2 (ko)
KR101849040B1 (ko) 차량용 윙 타입 도어
JP2004249912A (ja) レジスタ
JP2017159861A (ja) レジスタ
JPS58199228A (ja) インストロアパ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