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10A - 제연 댐퍼 - Google Patents

제연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10A
KR20200117410A KR1020190039470A KR20190039470A KR20200117410A KR 20200117410 A KR20200117410 A KR 20200117410A KR 1020190039470 A KR1020190039470 A KR 1020190039470A KR 20190039470 A KR20190039470 A KR 20190039470A KR 20200117410 A KR20200117410 A KR 2020011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rol panel
closing
spac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275B1 (ko
Inventor
유병규
Original Assignee
유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규 filed Critical 유병규
Priority to KR102019003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제연 댐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연 댐퍼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함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개폐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개폐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 및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함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연 댐퍼{DAMPER}
본 발명은 제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가 대피 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 구역으로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제연 댐퍼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의 화재 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 화염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와 유지 및 안전관리에 의한 법률(소방 시설법)」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경우 제연설비를 갖추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제연'은 희석(dilution), 배출(exhaust), 차단(confinement)의 조합을 통해 화재 시 건물 내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출하고, 연기가 유동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화재 구역(fire area)의 연기와 유독가스를 직접적으로 배출시키거나 피난 및 소화 활동을 위하여 배출시킨 배기량만큼의 급기를 실시하는 것이다.
한편, 고층 아파트에 있어서는 실내로 통하는 출입문과 방화문 사이에 공간인 전실에는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설치되며, 화재 시 실내에서 발생 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가 출입문을 통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연 설비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전실을 제연구역이라 한다.
이때, 제연 설비는 설치되는 건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컨대, 화재 발생시 벽이나 문 등으로 연기를 밀폐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을 막아 제연하는 밀폐 제연방식, 화재시 발생되는 온도 상승에 따른 부력 또는 외부 공기의 흡출효과를 이용하여 실내에 설치된 창 또는 전용 배연구로부터 연기를 옥외로 배출하는 자연 제연방식,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한 온도상승에 따른 건물 내부, 외부의 온도차 제연설비의 꼭대기에 설치된 루프 모니터 등의 외부 공기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하여 제연하는 스모크 타워 제연방식, 화재 발생지역, 복도, 계단, 거실 등의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기계 제연방식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실에 구비되는 제연 설비는 건물의 지하 송풍기실에서 옥상층까지 연결되는 급기덕트와 이어지는 급기구가 마련되고, 급기구가 평소에는 닫힘 상태로 있다가 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지하의 송풍기로 발생된 외부 공기가 급기덕트를 통해 전실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외부 공기에 의해 전실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한 실내의 공기압보다 높게 유지됨으로써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출입문을 통해 전실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제연 설비의 한 구성인 제연 댐퍼는 화재 발생시 계단과 같은 비난구역으로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실에 설치되어 화재시 블레이드를 개방시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피난 지역으로 유입하여 화재시 연기에 의해 질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제연 댐퍼는 함체와, 함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부 및 개폐 구동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제연 댐퍼는 함체의 내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되며, 하측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측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구동부 및 컨트롤패널이 위치된다.
여기서, 제연 댐퍼는 벽면에 설치되어 급기 덕트와 연통되고, 다른 제연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신호 등을 전달 받는다. 이를 위해, 제연 댐퍼에는 다른 제연 설비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제연 댐퍼는 함체의 상측 부분에 개폐 구동부와 컨트롤 패널이 길이 방향으로 직렬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함체의 상측 부분의 공간이 꽉차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이 건물의 제연 설비에 따라 필요한 전기적 장치 를 함체의 상측 공간에 설치하거나 제연 댐퍼와 제연 설비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배선 작업에 있어 공간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39353호 (발명의 명칭: 급기댐퍼, 공개일: 2015.12.11.)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연 댐퍼의 함체의 상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개폐 구동부, 컨트롤 패널 및 별도의 전기적 장치를 설치하는데에 공간상의 제약을 없앨 수 있는 제연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함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개폐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개폐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 및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함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연 댐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개폐 구동부의 앞쪽에 위치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수용부에는 상기 개폐 구동부의 돌출된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에 대해 상기 개폐 구동부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에서 노출되어 형성된 연결단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에 매립되되 일부가 돌출된 연결단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상기 건물의 제연 구역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은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건물의 제연구역 내의 압력을 감지하되, 상기 함체의 제2 공간에는 상기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을 상기 함체의 제2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동부는, 개폐 모터와, 일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개폐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전달하는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는 간섭방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개폐 작동시 상기 스위치 레버가 회동될 때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스위치 레버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연 댐퍼는, 컨트롤 패널과 개폐 구동부가 함체의 상측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함체의 상측 공간에 개폐 구동부, 컨트롤 패널과 제연 설비와의 설치하는데에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함체의 상측 공간에 필요시에 배기 조작함, 중계기 등의 추가적인 제연 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연 댐퍼는, 컨트롤 패널과 개폐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전기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폐 구동부와 컨트롤 패널을 더욱 컴팩트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함체의 상측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컨트롤 패널과 개폐 구동부의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컨트롤 패널과 개폐 구동부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컨트롤 패널과 개폐 구동부의 배치 상태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연 댐퍼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연 댐퍼의 블레이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를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급기 댐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배기 댐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급기 댐퍼는 건물의 화재 발생으로 인해 압력이 높아진 건물의 제연구역으로 실외의 맑은 공기를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고, 배기 댐퍼는 화재가 발생된 건물 내부의 연기, 매연 등의 좋지 못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건물의 벽면(미도시)에 설치되는 함체(110), 함체(1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 함체(110)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개폐 구동부(120)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개폐 구동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3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함체(110)는 제연 댐퍼(100)의 케이스(case)에 해당되는 것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다. 이때, 함체(110)는 건물의 벽면에 삽입된 상태로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한편, 함체(110)는 구획 플레이트(113)에 의해 제1 공간(113a) 및 제2 공간(113b)으로 구획된다. 제1 공간(113a)은 구획 플레이트(113)를 기준으로 상측 공간을 의미하고, 제2 공간(113b)은 구획 플레이트(113)를 기준으로 하측 공간을 의미한다.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는 후술할 개폐 구동부(120) 및 컨트롤 패널(130)이 위치되고, 또한 건물의 제연 설비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함체(110)의 제2 공간(113b)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가 위치된다.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은 함체 도어(112)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제2 공간(113b)은 복수개의 블레이드(140)가 회동됨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이러한 함체 도어(112)는 함체(110)에 결합되는데, 이때 함체 도어(112)의 양측 중 어느 일측이 함체(1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함체 도어(112)는 함체(110)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되어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또한, 함체 도어(112)에는 투명창(111)이 마련되고, 투명창(111)을 통해 함체(110)의 내부, 즉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30)이 함체(110)의 외부에서 보여지게 된다.
여기서,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마련되는 개폐 구동부(120)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는 함체(110)의 전면에 끼워져서 개폐 구동부(120)의 구동력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화재가 발생되면 개폐 구동부(120)의 구동력에 의해 블레이드(140)는 개방되고, 블레이드(140)의 개방에 따라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개폐 구동부(120)는 개폐 모터(122)와, 개폐 모터(122) 및 스위치 레버(124)를 포함한다.
개폐 모터(122)는 개폐 모터(122)는 일종의 전기 모터로서, 감속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개폐 모터(122)가 감속모터로 제공됨에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40)의 열림 또는 닫힘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개폐 모터(122)에는 스위치 레버(124)가 직렬로 연결된다. 스위치 레버(124)는 그 일단부가 복수개의 블레이드(140)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142)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폐 모터(122)와 연결되어 개폐 모터(122)의 구동력을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로 전달한다.
하기에서는, 개폐 모터(122), 스위치 레버(124), 블레이드(140)및 커넥팅 로드(142)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는 함체(110)의 전면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블레이드(140)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장착 돌기는 함체(110)의 제2 공간(113b)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15)에 끼워진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착홈(115)은 원형의 홀과 원형의 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롯(slot) 형태 또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4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장착 돌기가 장착홈(115)에 끼워짐에 따라 블레이드(14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블레이드(140)가 일방향 및 타방향 중에서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함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블레이드(14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장착 돌기는 그 모서리가 곡면처리되어, 블레이드(140)의 반복된 회동이나 장착홈(115)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장착 돌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0)는 가로 길이, 즉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40)가 장착 돌기에 의해 함체(110)에 끼워지기 때문에 함체(1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블레이드(140)는 함체(110)의 전체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그 형상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블레이드(140)는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겹쳐진 상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블레이드(140)의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블레이드(140)의 상부 및 하부와 겹쳐지게 된다. 즉, 블레이드(140)의 중앙부 만이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 공기가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함체(110)와 블레이드(140)의 양측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40)가 함체(110)에 대해 회동되더라도 블레이드(140)과 함체(110)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블레이드(140)가 변형되더라도 블레이드(140)가 정상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는 하나의 커넥팅 로드(142)와 수직 결합된다. 커넥팅 로드(142)는 프레임(frame) 또는 막대(stick)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커넥팅 로드(142)는 그 일단부는 개폐 구동부(120)와 연결된 스위치 레버(124)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와 결합된다. 컨트롤 패널(130)로부터 개폐 구동부(120)로 신호가 전달되면, 개폐 구동부(120)의 구동력에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스위치 레버(124)는 개폐 구동부(120)의 구동력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블레이드(140)를 열림 또는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레버(124)는 양면이 평평한 플레이트(plate)의 형태로 제공되며, 폭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3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개폐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 패널(130)은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형성된 외부 전원연결부(118)를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개폐 구동부(120), 즉 개폐 모터(122)를 구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블레이드(14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130)에는 제연 댐퍼(100)의 동작 여부, 제연 댐퍼(100)의 에러(error) 여부 및 제연 댐퍼(100)를 ON/OFF 시킬 수 있는 작동 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사용자나 제연 댐퍼(100)의 작업자가 육안으로도 제연 댐퍼(1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는 개폐 구동부(120), 컨트롤 패널(130)은 물론, 건물의 제연 댐퍼(100)의 종류 및 제연 댐퍼(100)가 설치되는 현장 등에 따라 배기 조작함(미도시), 중계기(미도시) 등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은 개폐 구동부(120), 컨트롤 패널(130), 배기 조작함 및 중계기 등의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하기에는 공간이 한정적이다. 또한, 한정적인 공간 때문에 제1 공간(113a)에 개폐 구동부(120), 컨트롤 패널(130), 배기 조작함, 중계기 등을 설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작동을 위하여 전기 배선을 작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제연 설비를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130)과 개폐 구동부(120)를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컨트롤 패널(130)과 개폐 구동부(120)를 마치 일체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130)과 개폐 구동부(120)은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 패널(130)에 개폐 구동부(120)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설치된다. 이때, 컨트롤 패널(130)에는 개폐 구동부(120)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 수용부(134)가 형성된다.
결합 수용부(134)는 컨트롤 패널(130)의 일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groov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수용부(134)의 형태는 개폐 구동부(120)가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결합 수용부(134)와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크기 또는 큰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패널(130)의 결합 수용부(134)에는 개폐 구동부(120)의 돌출된 일부분이 수용된다.
한편, 컨트롤 패널(130)의 결합 수용부(134)에 개폐 구동부(120)를 수용되도록 한 후에, 결합 수용부(134)에 대해 컨트롤 패널(130)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컨트롤 패널(130) 및 개폐 구동부(12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제1 결합부(119a,138a) 및 제2 결합부(119b,138b)가 형성되고, 컨트롤 패널(130)과 개폐 구동부(120)는 볼트(blot)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함체(110)에 대해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결합수단은 컨트롤 패널(13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138a)를 관통한 후에 개폐 구동부(120)의 제1 결합부(119a)에 체결되어 함체(110)의 상측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수단은 컨트롤 패널(130)의 하측에 형성된 제2 결합부(138b)를 관통한 후에 개폐 구동부(120)의 제2 결합부(119b)에 체결되어 함체(110)의 하측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개폐 구동부(120)는 컨트롤 패널(130)와 단단히 결합되며, 개폐 구동부(120)가 수용된 컨트롤 패널(130)은 함체(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개폐 구동부(120)와 컨트롤 패널(1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개폐 구동부(120)는 컨트롤 패널(130)로부터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신호를 전달 받고, 그 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킨다. 이때, 컨트롤 패널(130)은 건물에 설치되는 제연 설비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와, 감지된 건물의 옥내 압력 및 제연구역 압력 등을 근거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개폐 구동부(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개폐 구동부(120)는 연결단자(128)를 통해 컨트롤 패널(130)의 접속단자(136)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개폐 구동부(120)에 형성된 연결단자(128)의 위치에 따라 컨트롤 패널(130)의 접속단자(136)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개폐 구동부(120)의 연결단자(128)는 개폐 구동부(12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컨트롤 패널(130)에는 개폐 구동부(120)의 연결단자(128)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컨트롤 패널(130)의 상부, 즉 컨트롤 패널(130)의 내면 상측 부분에 접속단자(13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 구동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단자(128)는 컨트롤 패널(130)의 내면 상측에 형성된 접속단자(136)와 상호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개폐 구동부(120-1)의 연결단자(128-1)는 개폐 구동부(120-1)에 매립되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30)에는 개폐 구동부(120-1)의 연결단자(128-1)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컨트롤 패널(130)의 하부, 즉 컨트롤 패널(130)의 내면 하측 부분에 접속단자(136)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 구동부(120-1) 및 개폐 모터(122-1)는 컨트롤 패널(130)의 내면의 결합 수용부(134)를 통해 결합되되, 개폐 구동부(120-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단자(128-1)는 컨트롤 패널(130)의 내면 상측에 형성된 접속단자(136)와 상호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개폐 구동부(120-1)의 연결단자(128-1)는 컨트롤 패널(130)과 결합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폐 구동부(120-1)와 컨트롤 패널(130)의 결합이 더욱 컴팩트(compact)하게 됨으로써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을 더욱 여유롭게 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30)은 건물의 옥내 압력 및 제연구역의 압력을 감지하고 그 압력에 따라 개폐 구동부(120)로 신호를 전달하여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킨다.
이때, 컨트롤 패널(130)의 일측에는 옥내압력 감지관(131) 및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이 마련된다. 옥내압력 감지관(131)은 건물의 옥내 압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컨트롤 패널(130)에 입력되는 기준압이 된다. 또한,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은 건물의 제연구역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제연구역에서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개방시켜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컨트롤 패널(130)에 의해 감지된 제연구역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를 다시 폐쇄시키거나, 복수개의 블레이드(140)가 개방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블레이드(140)가 동작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옥내 압력 감지관(131) 및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은 얇은 관(tub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옥내 압력 감지관(131) 및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은 속이 보이는 투명한 얇은 관의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옥내 압력 감지관(131) 및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은 각각 함체(110)에 고정된다. 옥내 압력 감지관(131)은 그 일단부가 컨트롤 패널(130)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의 벽면에 마련된 제1 연결부(117a)를 통해 건물의 옥내 압력을 감지한다.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은 그 일단부가 컨트롤 패널(130)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의 벽면에 마련된 제2 연결부(117b)를 관통하되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서 제2 공간(113b)으로 이동되어 함체(110)의 하측에 제3 연결부(116)를 통해 고정된 상태로 제연구역의 압력을 감지한다.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서 제2 공간(113b)으로 이동된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은 함체(1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함체의 좌우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고정홈부(110a)가 마련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홈부(110a)는 함체(110)의 측면부 중 어느 한 부분에만 마련되어 제2 연결부(117b)를 통과하여 제1 공간(113a)에서 제2 공간(113b)으로 이동된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을 함체(110)에 대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홈부(110a)는 홈 형태로 마련되며, 고정홈부(110a)의 폭은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로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고정홈부(110a)는 함체(110)의 측면에 홈 형태로 마련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132)을 함체(11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30)의 일측에는 간섭방지부(137)가 마련될 수 있다. 간섭방지부(137)는 컨트롤 패널(130)의 측면에 인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간섭방지부(137)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40)의 개폐 작동시 스위치 레버(124)가 일방향으로 회동될 때, 컨트롤 패널(130)에 의해 스위치 레버(124)의 회동 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40)를 원하는 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30)의 동작에 따라 개폐 구동부(120)가 구동되면, 개폐 구동부(120)와 직결된 스위치 레버(124)가 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먼약, 컨트롤 패널(130)에 간섭방지부(137)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레이드(140)를 완전히 개방시키고자 하더라도 스위치 레버(124)가 어느 정도 회동되면 스위치 레버(124)가 컨트롤 패널(130)의 측면 부분에 걸릴 수 있고, 그에 따라 스위치 레버(124)가 완전히 회동되지 못해서 블레이드(140)를 필요한 만큼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간섭방지부(137)는 스위치 레버(124)가 설치되는 위치 및 그 형태에 따라 컨트롤 패널(130)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컨트롤 패널(130)과 개폐 구동부(120)가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개폐 구동부(120), 컨트롤 패널(130)과 같은 제연 설비와의 설치하는 데에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에 컨트롤 패널(130) 및 개폐 구동부(120)를 설치하고서도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기 때문에, 필요 시에 배기 조작함, 중계기 등의 추가적인 제연 설비를 공간 상의 제약 없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연 댐퍼(100)는, 컨트롤 패널(130)과 개폐 구동부(120)를 전기적으로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전기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폐 구동부(120)와 컨트롤 패널(130)을 더욱 컴팩트(compact)하게 상호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함체(110)의 제1 공간(113a)을 더욱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연 댐퍼
110: 함체
110a: 고정홈부
113: 구획 플레이트
113a: 제1 공간
113b: 제2 공간
120, 120-1: 개폐 구동부
122, 122-1: 개폐 모터
124: 스위치 레버
128,128-1: 연결단자
130: 컨트롤 패널
131: 옥내 압력 감지관
132: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
134: 결합 수용부
136: 접속 단자
137: 간섭방지부
140: 블레이드
142: 커넥팅 로드

Claims (8)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함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개폐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개폐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 및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함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개폐 구동부의 앞 쪽에 위치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수용부에는 상기 개폐 구동부의 돌출된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에 대해 상기 개폐 구동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제연 댐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개폐 구동부에서 노출되어 형성된 연결단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개폐 구동부에 매립되어 일부가 돌출된 연결단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상기 건물의 제연 구역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은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건물의 제연구역 내의 압력을 감지하되,
    상기 함체의 제2 공간에는 상기 제연구역 압력 감지관을 상기 함체의 제2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부는,
    개폐 모터와, 일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개폐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전달하는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는 간섭방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개폐 작동시 상기 스위치 레버가 회동될 때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스위치 레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KR1020190039470A 2019-04-04 2019-04-04 제연 댐퍼 KR10222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470A KR102224275B1 (ko) 2019-04-04 2019-04-04 제연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470A KR102224275B1 (ko) 2019-04-04 2019-04-04 제연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10A true KR20200117410A (ko) 2020-10-14
KR102224275B1 KR102224275B1 (ko) 2021-03-05

Family

ID=7284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470A KR102224275B1 (ko) 2019-04-04 2019-04-04 제연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27Y1 (ko) * 1999-11-04 2000-04-15 유병규 배연댐파 자동개폐기
KR20020075192A (ko) * 2001-03-22 2002-10-04 주식회사 네오센츄리 시스템 케이블 내장 고정구
KR20050003615A (ko) * 2003-07-01 2005-01-12 성주형 자동차압 급배기 수동조작함
KR200388069Y1 (ko) * 2005-03-28 2005-06-28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제연구역 내의 차압 자동조절 댐퍼
KR200437361Y1 (ko) * 2006-10-31 2007-11-26 유병규 급기 댐퍼
KR101026893B1 (ko) * 2006-04-18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장치의 스택구조
KR200469784Y1 (ko) * 2012-04-04 2013-11-12 (주)중원이앤지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27Y1 (ko) * 1999-11-04 2000-04-15 유병규 배연댐파 자동개폐기
KR20020075192A (ko) * 2001-03-22 2002-10-04 주식회사 네오센츄리 시스템 케이블 내장 고정구
KR20050003615A (ko) * 2003-07-01 2005-01-12 성주형 자동차압 급배기 수동조작함
KR200388069Y1 (ko) * 2005-03-28 2005-06-28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제연구역 내의 차압 자동조절 댐퍼
KR101026893B1 (ko) * 2006-04-18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장치의 스택구조
KR200437361Y1 (ko) * 2006-10-31 2007-11-26 유병규 급기 댐퍼
KR200469784Y1 (ko) * 2012-04-04 2013-11-12 (주)중원이앤지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75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231A (en) Smoke exhau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9353A (ko) 급기댐퍼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KR101932622B1 (ko) 방화문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KR102224275B1 (ko) 제연 댐퍼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JP2698902B2 (ja) 排煙ダクトシステム
KR102394431B1 (ko) 제연 댐퍼
KR101544525B1 (ko)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0421806B1 (ko)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200433050Y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KR10169199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제거장치
KR200353393Y1 (ko) 다기능 댐퍼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0745555B1 (ko) 주택 외벽 창호용 방화 스크린 장치
JP6829481B2 (ja) ダンパー開閉器
KR102077761B1 (ko) 제연 댐퍼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2654161B1 (ko) 소화기와 일체로 제작된 자동 개폐 가능한 전동 루버
KR102045147B1 (ko) 자동 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