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761B1 - 제연 댐퍼 - Google Patents

제연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761B1
KR102077761B1 KR1020180058315A KR20180058315A KR102077761B1 KR 102077761 B1 KR102077761 B1 KR 102077761B1 KR 1020180058315 A KR1020180058315 A KR 1020180058315A KR 20180058315 A KR20180058315 A KR 20180058315A KR 102077761 B1 KR102077761 B1 KR 10207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connecting rod
damper
bla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414A (ko
Inventor
유병규
Original Assignee
유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규 filed Critical 유병규
Priority to KR102018005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2Fire-dampers with provision for the removal of an obstacle, e.g. rails, conveyors, before closing th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연 댐퍼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댐퍼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스위치 레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연 댐퍼{DAMPER}
본 발명은 제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가 대피 구역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대피 구역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제연 댐퍼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의 화재 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 화염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와 유지 및 안전관리에 의한 법률(소방 시설법)」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경우 제연설비를 갖추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제연'은 희석(dilution), 배출(exhaust), 차단(confinement)의 조합을 통해 화재 시 건물 내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출하고, 연기가 유동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화재 구역(fire area)의 연기와 유독가스를 직접적으로 배출시키거나 피난 및 소화 활동을 위하여 배출시킨 배기량만큼의 급기를 실시하는 것이다.
한편, 고층 아파트에 있어서는 실내로 통하는 출입문과 방화문 사이에 공간인 전실에는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설치되며, 화재 시 실내에서 발생 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가 출입문을 통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연 설비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전실을 제연구역이라 한다.
이때, 제연 설비는 설치되는 건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컨대, 화재 발생시 벽이나 문 등으로 연기를 밀폐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을 막아 제연하는 밀폐 제연방식, 화재시 발생되는 온도 상승에 따른 부력 또는 외부 공기의 흡출효과를 이용하여 실내에 설치된 창 또는 전용 배연구로부터 연기를 옥외로 배출하는 자연 제연방식,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한 온도상승에 따른 건물 내부, 외부의 온도차 제연설비의 꼭대기에 설치된 루프 모니터 등의 외부 공기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하여 제연하는 스모크 타워 제연방식, 화재 발생지역, 복도, 계단, 거실 등의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기계 제연방식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실에 구비되는 제연 설비는 건물의 지하 송풍기실에서 옥상층까지 연결되는 급기덕트와 이어지는 급기구가 마련되고, 급기구가 평소에는 닫힘 상태로 있다가 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지하의 송풍기로 발생된 외부 공기가 급기덕트를 통해 전실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외부 공기에 의해 전실의 공기압이 회재가 발생한 실내의 공기압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출입문을 통해 전실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전실에 화재 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된 덧창, 즉 루바(rouver)가 설치되며, 루바 후방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로 개폐 작동되는 개폐날개로 된 제연 댐퍼를 설치하여 급기구를 구성한다. 이러한 제연 댐퍼는 평소에는 닫혀 있으나 화재 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급기덕트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전실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제연 댐퍼에는 일단부는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블레이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위치레버를 포함한다. 이때, 스위치 레버는 구동부에 의해 원운동되지만, 스위치 레버와 연결된 블레이드는 원운동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타원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스위치 레버와 블레이드의 운동 방향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블레이드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부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또한 블레이드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구동부에 더욱더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화재 발생시에 제연 댐퍼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39353호 (발명의 명칭: 제연 댐퍼, 공개일: 2015.12.11.)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회동시 구동부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부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고장을 방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미작동이나 오작동 없이 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연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댐퍼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스위치 레버; 를 포함하는 제연 댐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로드의 작동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회동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단부가 일정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는 타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슬롯 형상 또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회동 작동시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단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궤적을 추종하도록 상기 스위치 레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에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스위치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하우징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장착홈에 끼워지는 장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돌기는 파손에 취약한 모서리 부분들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하우징의 좌우 양측에는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댐퍼 하우징의 양측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회동될 때 상기 장착돌기를 제외한 상기 블레이드의 다른 부분이 상기 댐퍼 하우징의 양측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하우징은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제1 공간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연 댐퍼는,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결합된 커넥팅 로드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스위치 레버에 커넥팅 로드의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마련하여 커넥팅 로드의 작동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동부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고장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미작동이나 오작동 없이 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연 댐퍼는, 댐퍼 하우징에 형성된 장착홈에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회동되되, 블레이드의 양측에 장착홈에 끼워지는 장착돌기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어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의 장착돌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블레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연 댐퍼는, 댐퍼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서 댐퍼 하우징과 블레이드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가 외부 충격이나 마모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화재 발생시 블레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연 댐퍼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연 댐퍼의 배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스위치 레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스위치 레버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제연 댐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한 구동부, 스위치 레버 및 커넥팅 로드의 구동을 나타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제연 댐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구동부, 스위치 레버, 커넥팅 로드의 구동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를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급기 댐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배연 댐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급기 댐퍼는 화재 발생시 실외의 맑은 공기를 건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고, 배연 댐퍼는 화재가 발생된 건물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댐퍼 하우징(110), 댐퍼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5), 댐퍼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30),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129) 및 일단부가 구동부(1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에 전달하는 스위치 레버(122)를 포함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댐퍼 하우징(110)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댐퍼 하우징(110)의 건물의 벽면에 삽입되어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댐퍼 하우징(110)은 건물에 설치되는 공기 흡입구(미도시)와 연통되어 후술할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열림 상태가 되면 공기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건물의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댐퍼 하우징(110)은 구획 플레이트(115)에 의해 제1 공간(111) 및 제2 공간(116)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제1 공간(111)은 구획 플레이트(115)를 기준으로 상측 공간을 의미하고, 제2 공간(116)은 구획 플레이트(115)를 기준으로 하측 공간을 의미한다. 댐퍼 하우징(110)의 제1 공간(111)에는 컨트롤러(118) 등이 위치되고, 댐퍼 하우징(110)의 제2 공간(116)에는 구동부(130), 블레이드(125)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댐퍼 하우징(110)의 제1 공간(111)은 하우징 도어(112)에 의해서 개폐되고, 제2 공간(116)은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에 의해서 개폐된다.
여기서, 하우징 도어(112)는 일측 부분만 댐퍼 하우징(110)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하우징 도어(112)의 전면에는 투명창(113)이 마련되고, 투명창(113)을 통해 컨트롤러(118)가 보여지게 된다. 컨트롤러(118)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후술할 구동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러(118)는 외부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부(130)를 구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참고로, 컨트롤러(118)에는 제연 댐퍼(100)의 온(ON) 또는 오프(OFF)의 상태나 구동부(130)에 걸리는 부하가 수치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제연 댐퍼(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125)는 댐퍼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개로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5)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외부 공기를 건물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25)는 구동부(130)에 의해 회동된다. 구동부(130)는 댐퍼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참고로, 구동부(130)는 컨트롤러(118)에 의해 구동되며, 일종의 전기 모터(electronic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댐퍼 하우징(110)의 제2 공간(116)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부(130)는 댐퍼 하우징(110)의 제1 공간(111) 및 제2 공간(116)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115)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130)에는 후술할 스위치 레버(122)가 직렬로 연결되고, 스위치 레버(122)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와 결합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를 일체로 회동되도록 커넥팅 로드(129)와 연결된다.
참고로, 종래 제연 댐퍼의 경우에도 댐퍼 하우징이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제연 댐퍼(100)와는 다르게 구동부가 댐퍼 하우징의 제2 공간이 아니라 제1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제연 댐퍼에서 구동부의 스위치 레버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커넥팅 로드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구획 플레이트에 별도로 커넥팅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만약, 커넥팅 로드가 구부러지거나 관통홀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커넥팅 로드가 관통홀에 끼여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커넥팅 로드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서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더라도 구동부는 계속적으로 회전을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부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이 멈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구동부(130)가 구획 플레이트(115)로 구획되는 댐퍼 하우징(110)의 제2 공간(116), 특히 구획 플레이트(115)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인하여 커넥팅 로드(129)가 구획 플레이트(115)를 관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커넥팅 로드(129)가 휘어지더라도 커넥팅 로드(129)가 회동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더욱이, 커넥팅 로드(129)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구동부(130)의 적은 힘으로도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를 열거나 닫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25)는 댐퍼 하우징(110)의 양측에 끼워져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25)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126)가 형성된다. 이때 장착 돌기(126)는 댐퍼 하우징(110)의 제2 공간(116)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19)에 끼워진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홈(119)은 원형의 홀과 원형의 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5)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장착 돌기(126)가 장착홈(119)에 끼워짐에 따라 블레이드(125)가 일방향 및 타방향 중에서 어느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댐퍼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블레이드(125)의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25)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 돌기(126)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블레이드(125)의 장착 돌기(126)의 모서리를 곡면 처리함에 따라 블레이드(125)의 반복되는 회동 및 댐퍼 하우징(110)의 장착홈(119)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장착 돌기(12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장착 돌기(126)가 라운딩 처리 되지 않고 모서리가 직선면으로 형성할 경우 블레이드(125)의 크기에 비해 장착 돌기(126)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작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될 위험이 있고, 그에 따라 화재 발생시 블레이드(125)를 정상적으로 개방하여 외부 공기가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블레이드(125)는 가로 길이, 즉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5)가 장착 돌기(126)에 의해 댐퍼 하우징(110)에 끼워지기 때문에 댐퍼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블레이드(125)는 댐퍼 하우징(110)의 전체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그 형상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25)는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125)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는 겹쳐진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블레이드(125)의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블레이드(125)의 하부 및 상부와 겹쳐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125)의 중앙부 만이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블레이드(125) 들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 공기가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25)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 댐퍼 하우징(110)과 블레이드(125)의 양측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114)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댐퍼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단차부(117)가 형성되는데, 블레이드(125)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 댐퍼 하우징(110)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117)와 블레이드(125)의 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1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25)와 댐퍼 하우징(110)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블레이드(125)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블레이드(125)와 댐퍼 하우징(110) 사이의 이격 공간(114)에 의하여 블레이드(125)가 정상적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만약, 블레이드(125)와 댐퍼 하우징(11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물질이나 블레이드(125)의 변형에 의해 블레이드(125)가 정상적으로 회동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블레이드(125)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에 걸리는 부하가 커져서 제연 댐퍼(10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125)는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128)가 형성된다. 걸이부(128)는 블레이드(125)를 가공하거나 도장할 때 블레이드(125)의 가공의 편의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걸이부(128)는 반드시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며, 블레이드(125)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로든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는 하나의 커넥팅 로드(129)와 수직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커넥팅 로드(129)에 의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와 결합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 참고로, 커넥팅 로드(129)는 프레임(frame) 또는 막대(stick) 형태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29)의 일측은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와 결합되고, 타측은 구동부(130)와 연결된 스위치 레버(122)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스위치 레버(122)는 일단부가 구동부(1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커넥팅 로드(129)에 연결되어 구동부(130)의 구동력을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에 전달한다.
스위치 레버(122)는 구동부(130)의 구동력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블레이드(125)를 열림 또는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레버(122)는 양면이 평평한 플레이트(plate)의 형태로 제공된다. 더욱이, 스위치 레버(122)는 폭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스위치 레버(122)에는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결합부(123)는 스위치 레버(122)가 구동부(13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결합부(123)는 구동부(130)의 구동축(미도시)과 축결합되도록 홀(hole)의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구동부(130)는 스위치 레버(122)에 형성된 결합부(123)와 볼트(blot)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스위치 레버(122)에 형성된 결합부(123)를 통해 구동부(130)가 결합됨에 따라 스위치 레버(122)는 구동부(13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스위치 레버(122)에는 커넥팅 로드(129)의 작동 시 구동부(130)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24)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안내부(124)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의 회동 작동 시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가 일정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커넥팅 로드(129)가 연결되는 타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로 제공된다. 참고로, 커넥팅 로드(129)는 볼트(blot) 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안내부(124)에 결합된다. 이때, 커넥팅 로드(129)는 안내부(124)와 완전히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안내부(124)를 따라 커넥팅 로드(129)가 이동될 수 있도록 스위치 레버(122)와 커넥팅 로드(129)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안내부(124)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5) 회동 작동시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가 구동부(130)의 회전 궤적을 무리없이 그대로 추종하도록 스위치 레버(124)에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 레버(122)는 구동부(130)의 구동축(미도시)가 결합되어 구동부(13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원형의 회전 궤적을 갖는다. 이때, 커넥팅 로드(129)도 스위치 레버(122)에 형성된 안내부(124)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뿐, 동일하게 원형의 회전 궤적을 가진다. 여기서, 블레이드(125)는 커넥팅 로드(129)가 안내부(124)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체로 닫히거나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 회동 작동시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가 구동부(130)의 회전 궤적을 무리없이 그대로 추종하게 됨에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25) 회동 작동시 커넥팅 로드(129)에 의해 구동부(130)에 걸리는 부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24)가 슬롯(slot)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24a)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안내부(124)(124a)의 길이는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가 안내부(124)를 따라 이동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안내부(124)(124a)의 길이가 도 7 내지 도 9에 형성된 것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거나 커넥팅 로드(129)가 안내부(124)(124a)를 따라 이동되는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경우, 안내부(124)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및 타측이 모두 폐쇄된 슬롯(slot)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안내부(124a)로부터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가 이탈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안내부(124a)로부터 커넥팅 로드(129)가 이탈되면 화재 발생시에 정상적으로 블레이드(125)를 열림 상태로 회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130)가 블레이드(125)를 열림 상태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계속 회전되어 블레이드(125)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므로 구동부(130)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되고 결국 구동부(13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안내부(124)(124a)의 길이를 적어도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가 안내부(124)(124a)를 따라 이동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스위치 레버(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 돌기(122a)(122b)가 마련된다. 누름 돌기(122a)(122b)는 스위치 레버(12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누름 돌기(122a)(122b)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스위치 레버(122)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 돌기(122a)(122b)는 구동부(130)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눌러서 구동부(130)와 함께 회전되는 스위치 레버(12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 레버(122)의 상측에 형성된 누름 돌기(122a)(122b)를 제1 누름 돌기(122a)라 하고, 스위치 레버(122)의 하측에 형성된 누름 돌기(122a)(122b)를 제2 누름돌기(122b)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닫힘 상태로 회동되어 스위치 레버(122)의 제1 누름돌기(122a)가 구동부(130)의 제1 위치(131)에 위치되면, 제1 누름돌기(122a)가 구동부(130)의 제1 위치(131)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구동부(13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그와 동시에 스위치 레버(122)의 회전도 멈추게 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열림 상태로 회동되어 스위치 레버(122)의 제2 누름돌기(122b)가 구동부(130)의 제2 위치(132)에 위치되면, 제2 누름돌기(122b)가 구동부(130)의 제2 위치(132)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구동부(13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그와 동시에 스위치 레버(122)의 회전도 멈추게 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의 열림 상태가 유지된다.
즉,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어느 정도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가 되면 스위치 레버(122)의 제1 누름돌기(122a) 및 제2 누름돌기(122b)가 구동부(130)의 제1 위치(131) 및 제2 위치(132)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름으로써 구동부(130)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구동부(130)에 걸리는 불필요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만약, 스위치 레버(122)에 제1 누름돌기(122a) 및 제2 누름돌기(122b) 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가 된 후에도 구동부(130)는 작동을 멈추지 않고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130)는 계속적으로 회전되므로 많은 부하가 걸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구동부(130)가 작동이 멈추는 등의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더 나아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제연 댐퍼(10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서 연기나 유독가스에 의해 인명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연 댐퍼(100)의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는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만약,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18)에 의해 제연 댐퍼(100)의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열림 상태로 회동된다.
참고로, 화재가 발생한 후 화재 진압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5)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회동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스위치 레버(122)의 제1 누름돌기(122a)는 구동부(130)의 제1 위치(131)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구동부(130)는 제1 위치(131)에 형성된 리미트 위치(미도시)를 누르고 있는 제1 누름돌기(122a)에 의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다른 신호가 없을 때 까지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는 계속적으로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118)에 의해 구동부(130)가 작동된다. 그러면, 구동부(130)의 회전에 따라 구동부(13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위치 레버(122)도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시 말해서, 화재가 발생되어 컨트롤러(118)에 의해 구동부(130)가 작동되면 스위치 레버(122)가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어느 정도 회동되면 스위치 레버(122)의 제2 누름돌기(122b)가 구동부(130)의 제2 위치(132)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130)는 제2 위치(132)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는 제2 누름돌기(122b)에 의해서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여기서, 복수개의 블레이드(125)는 다른 신호가 없을 때까지는 계속적으로 열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100)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5)와 결합된 커넥팅 로드(129)와 구동부(130)를 연결하는 스위치 레버(122)에 커넥팅 로드(129)의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24)를 마련하여 커넥팅 로드(129)의 작동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동부(130)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고장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미작동이나 오작동 없이 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연 댐퍼
110: 댐퍼 하우징 111: 제1 공간
112: 하우징 도어 113: 투명창
114: 이격 공간 115: 구획 플레이트
116: 제2 공간 117: 단차부
119: 장착홈 122: 스위치 레버
122a: 제1 누름 돌기 122b: 제2 누름 돌기
123: 결합부 124: 안내부
125: 블레이드 126: 장착 돌기
128: 걸이부 129: 연결 프레임
130: 구동부 131: 제1 위치
132: 제2 위치

Claims (9)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댐퍼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댐퍼 하우징의 좌우 측면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외부 충격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정상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댐퍼 하우징의 내부를 상측 공간인 제1 공간과 하측 공간인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넥팅 로드가 상기 구획 플레이트를 관통할 필요가 없도록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로드의 작동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회동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단부가 일정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는 타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슬롯 형상 또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회동 작동시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단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궤적을 추종하도록 상기 스위치 레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에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스위치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하우징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장착홈에 끼워지는 장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돌기는 파손에 취약한 모서리 부분들이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8. 삭제
  9. 삭제
KR1020180058315A 2018-05-23 2018-05-23 제연 댐퍼 KR10207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315A KR102077761B1 (ko) 2018-05-23 2018-05-23 제연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315A KR102077761B1 (ko) 2018-05-23 2018-05-23 제연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14A KR20190133414A (ko) 2019-12-03
KR102077761B1 true KR102077761B1 (ko) 2020-02-14

Family

ID=6883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315A KR102077761B1 (ko) 2018-05-23 2018-05-23 제연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084A (ko) 2020-06-05 2021-12-15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제연 댐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80B1 (ko) * 1996-08-2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37361Y1 (ko) * 2006-10-31 2007-11-26 유병규 급기 댐퍼
JP2009174813A (ja) * 2008-01-25 2009-08-06 Kyoritsu Air Tech Inc 防火用ダンパ装置
CN204100522U (zh) * 2014-07-11 2015-01-1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摆风叶片组件、出风组件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5U (ja) * 1991-07-02 1993-01-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ベンチレ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80B1 (ko) * 1996-08-2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37361Y1 (ko) * 2006-10-31 2007-11-26 유병규 급기 댐퍼
JP2009174813A (ja) * 2008-01-25 2009-08-06 Kyoritsu Air Tech Inc 防火用ダンパ装置
CN204100522U (zh) * 2014-07-11 2015-01-1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摆风叶片组件、出风组件和空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084A (ko) 2020-06-05 2021-12-15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제연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14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327B2 (ja) 可動ガラ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消火対象区画の消火システム
KR100724062B1 (ko)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EP2216608B1 (en) Air conditioner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KR102077761B1 (ko) 제연 댐퍼
KR101932622B1 (ko) 방화문
KR102070807B1 (ko) 지하 주차장의 내열용 환풍팬 및 온도감지용 퓨즈가 부가된 점검레버를 구비한 댐퍼 개폐장치
KR100748960B1 (ko) 공기조화기
JP2011027317A (ja) 空気調和機
KR200390377Y1 (ko)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102394431B1 (ko) 제연 댐퍼
JP2006239647A5 (ko)
KR200409039Y1 (ko) 급기댐퍼의 자동개폐장치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KR102224275B1 (ko) 제연 댐퍼
KR101607390B1 (ko) 엘리베이터 홀도어의 디스플레이용 환기장치
CN210860000U (zh) 用于排烟防火阀的远控执行机构及其排烟防火阀
KR200353393Y1 (ko) 다기능 댐퍼
KR20030031733A (ko)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20070044299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102100855B1 (ko) 제연 댐퍼
JP2016152627A (ja) ファンユニット
KR200164753Y1 (ko) 환기창의개폐장치
KR20090007980A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