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398A -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398A
KR20200117398A KR1020190039434A KR20190039434A KR20200117398A KR 20200117398 A KR20200117398 A KR 20200117398A KR 1020190039434 A KR1020190039434 A KR 1020190039434A KR 20190039434 A KR20190039434 A KR 20190039434A KR 20200117398 A KR20200117398 A KR 2020011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tire
helmholtz
absorbing member
sound
helmholtz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131B1 (ko
Inventor
김일식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1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60C17/065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made-up of foam inser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7Resonators
    • G10K2210/32272Helmholtz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름홀쯔 공명기를 이용하여 공명소음(Cavity Resonance Noise)을 저감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부재(500); 및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reduced cavity resonance noise by Helmholtz resonator}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름홀쯔 공명기를 적용하여 타이어 내부의 공명소음(Cavity Resonance Noise)을 저감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와 휠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에서 타이어 진행 시 외부 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진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를 공명소음(Cavity Resonance Noise)라하고 타이어 내부에서의 공진주파수는 f = c/lt(c는 음속, lt는 타이어와 휠이 구성하는 튜브 면적의 가운데를 잇는 원주 방향 길이)로 계산된다(보통 200~250Hz 주파수 영역에서 발생). 도 1은 타이어(t)와 휠(60)이 구성하는 튜브 면적의 가운데를 잇는 원주 방향 길이(lt)를 나타내는 바퀴의 단면도이다. 즉, 노면에 의한 가진력이 타이어를 통해 내부 공기를 가진하여 공명소음이 발생하고, 공명소음 및 공명소음에 의한 진동 성분이 차축으로 전달되어 실내 소음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음은 운전자에게 큰 불쾌감을 안겨 주어 자동차 회사에서도 앞 다투어 이러한 공명소음을 없애려 애를 쓰고 있다. 최근 들어 저소음(Silent) 타이어 기술이 급부상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진소음 저감 타이어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9879호의 림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타이어의 회전 시 일단부는 상기 림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림과 상기 타이어 사이의 공간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여 공진소음을 감소시키는 '타이어 공명소음 저감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7930호의 숄더부에 대응하는 타이어 내부의 이너라이너에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좌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에지 연결고무들에 의해 양단이 보유 지지되도록 브리지 고무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공명소음을 감소시키는 '공명소음을 저감한 래디알 타이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흡음재를 이용한 공진소음 저감 타이어로는 유럽 특허 EP 1253025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과 같이, 타이어의 내부에 차단부 또는 브리지 고무 등의 차음막을 설치하는 것은 지지구조가 없어, 이너라이너에 부착하는 것이 어려워 제조 및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이어의 내부 전체 영역에 차음막 또는 흡음재를 설치하는 경우, 차음막 또는 흡음재의 탄성에 의해 제조과정에서 길이가 변하되어 끝단의 위치를 일정하게 맞추기가 어렵게 되어 차음막 또는 흡음재를 타이어 내부 전체에 부착 설치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98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7930호 유럽 특허 EP 1253025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내부 공명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헬름홀쯔 공명기가 내장되고 장착이 용이한 흡음부재가 설치되어, 공명소음을 저감시키면서도 공명소음 저감 타이어의 가공성을 개선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부재(500); 및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측면에서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500)들의 전체 부피는 타이어의 내부 영역의 부피의 20% 이하인 부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530)는 다공성 발포부재일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530)는 폴리우레탄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동(610); 및 상기 헬름홀쯔 공동(610)으로부터 휠(60)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흡음부재(500)의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넥(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넥(52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지지관(6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명소음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헬름홀쯔 공진주파수
Figure pat00001
에 의해 크기가 가변되며, 여기서, 상기 fH는 헬름홀쯔 공진주파수, 상기 c는 음속, 상기 A는 개구 단면적, 상기 l은 넥의 길이, 상기 V는 헬름홀쯔 공명 공동(610)의 체적일 수 있다.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와 상기 흡음부재(500)의 경계면에는 공기차단막(6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이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 공명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헬름홀쯔 공명기가 내장되고 장착이 용이한 흡음부재가 설치되어, 공명소음을 저감시키면서도 공명소음 저감 타이어의 가공성을 개선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타이어(t)와 휠(60)이 구성하는 튜브 면적의 가운데를 잇는 원주 방향 길이(lt)를 나타내는 바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1)의 단면도.
도 3은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는 흡음부재(500)의 평면도.
도 4는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는 흡음부재(500)의 측단면도.
도 5은 헬름홀쯔 공명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험예의 헬름홀쯔 공명기가 내장된 흡음부재가 장착된 종래의 타이어에서의 공명소음의 공진주파수 분리 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는 흡음부재(50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는 흡음부재(5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부(100), 내측벽이 이너라이너(400)로 되는 사이드월부(200), 비드부(300), 상기 공기입 타이어(1) 내부의 상기 트레드부(100) 내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부재(500) 및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명기(Helmholtz resonator)(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타이어(1)의 내부 영역의 공명소음 제거를 위해 탄성을 가지는 다공성 발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발포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흡음부재(600)는 블록 형태로서 제작되어,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 측면에서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의 형태는 육면체,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에는 제약이 없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500)는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명소음의 흡수 효율과 타이어에 의한 주행 마찰력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어의 내부 영역 부피의 20% 이하인 부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동(610) 및 상기 헬름홀쯔 공동(610)으로부터 휠(60)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흡음부재(500)의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넥(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넥(530)의 내주면에는 공기의 출입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면이 매끄러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지지관(6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는 흡음부재(5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세로 수직선으로 따라 절단한 후, 내부를 헬름홀쯔 공명기(600)의 형상이 되도록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헬름홀쯔 공동(610) 및 넥(620)의 영역을 형성하고, 헬름홀쯔 공동(610) 및 넥(620)의 내주면에 얇은 막을 설치한 후 서로 결합하여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헬름홀쯔 공명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헬름홀쯔 공동(610)의 체적(V), 상기 넥(620)의 길이(l) 및 개구부 단면적(A)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헬름홀쯔 공동(61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여 공명을 일으키며, 이때 발생되는 공명에 따른 헬름홀쯔 공진주파수(fH)는
Figure pat00002
으로 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름홀쯔 공동(610)의 내부의 공기가 넥(620)을 통해 출입하면서 헬름홀쯔 공명기(600)의 내벽면과의 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음이 행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타이어 특유의 공명소음 주파수에 대응하는 헬름홀쯔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상기 헬름홀쯔 공동(610)의 크기, 상기 넥(620)의 길이 및 단면적이 가변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헬름홀쯔 공명기(600)의 내벽면과 유입되는 공기와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헬름홀쯔 공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헬름홀쯔 공동(610) 및 넥(620)과 흡음부재(500) 사이에서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흡음부재(500)와의 경계면인 헬름홀쯔 공동(610) 및 넥(6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차단막(6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차단막(630)은 공기가 이동되지 않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의 얇은 막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헬름홀쯔 공진기(600)는 특정 타이어의 공명소음의 공진 주파수 영역대의 주파수로 헬름헬쯔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타이어의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헬름홀쯔 공명기(600)의 공명 현상에 의해, 공명소음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분리한 후 세기를 낮추어 공명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날카롭게 들리는 특정 소음 주파수 대역을 타겟으로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설계하는 경우 해당 특정 주파수를 분리하여 세기를 낮춤으로써 사람의 불쾌감을 보다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실험예>
예로써, 사이드월 높이(SH: sidewall height) 225mm x 0.45 = 101.25mm, 타이어 단면적 중심의 원주 길이 (SH+17mm x 25.4)/2 = 266.5mm인 265/45R17 규격의 종래의 타이어에, 넥의 길이(l) 20mm, 넥의 단면의 반지름을 20mm, 헬름홀쯔 공동의 가로, 셀로 및 높이를 각각 300mm, 200mm 및 50mm인 헬름홀쯔 공명기(600)가 내장된 흡음부재(500)를 내장시킨 후 공명소음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상기 종래타이어의 공명소음 주파수는 (340 x 100)/(266.5 x 2π)로 약 205 Hz 이다.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진주파수는
Figure pat00003
로 약 210 Hz이다.
도 6은 실험예의 헬름홀쯔 공명기가 내장된 흡음부재가 장착된 종래의 타이어에서의 공명소음의 공진주파수 분리 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과 같이, 공명소음의 피크 주파수(H)가 분리된 후 크기가 낮아졌다.
따라서 타이어의 공명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진주파수 분리와 흡음부재의 흡음에 의해 외부 가진에 의해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진소음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기입 타이어
100: 트레드부
200: 사이드월부
300: 비드부
400: 이너라이너
500): 흡음부재
600: 헬름홀쯔 공명기
610: 헬름홀쯔 공동
620: 넥
630: 공기차단막
640: 지지관
l: 넥길이
A: 개구 면적
V: 헬름홀쯔 공명 공동의 체적
f: 타이어 공동 공진주파수
fH: 헬름홀쯔 공진주파수
c: 음속

Claims (9)

  1.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흡음부재(500); 및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명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측면에서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500)들의 전체 부피는 타이어의 내부 영역의 부피의 20% 이하인 부피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530)는 다공성 발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530)는 폴리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흡음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헬름홀쯔 공동(610); 및
    상기 헬름홀쯔 공동(610)으로부터 휠(60)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흡음부재(500)의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넥(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넥(52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지지관(6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는,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명소음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헬름홀쯔 공진주파수
    Figure pat00004
    에 의해 크기가 가변되며, 여기서, 상기 fH는 헬름홀쯔 공진주파수, 상기 c는 음속, 상기 A는 개구 단면적, 상기 l은 넥의 길이, 상기 V는 헬름홀쯔 공명 공동(610)의 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600)와 상기 흡음부재(500)의 경계면에는 공기차단막(6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90039434A 2019-04-04 2019-04-04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KR10221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434A KR102218131B1 (ko) 2019-04-04 2019-04-04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434A KR102218131B1 (ko) 2019-04-04 2019-04-04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98A true KR20200117398A (ko) 2020-10-14
KR102218131B1 KR102218131B1 (ko) 2021-02-23

Family

ID=7284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434A KR102218131B1 (ko) 2019-04-04 2019-04-04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0683A (zh) * 2020-11-11 2022-05-27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吸声器单元和具有吸声装置的车轮
KR20220163052A (ko) 2021-06-02 2022-12-0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53025A2 (en) 2001-04-16 2002-10-3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noise reducing system
KR20090010938A (ko) * 2007-07-24 2009-01-3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저소음 공기입 타이어
KR20100048068A (ko) * 2008-10-30 2010-05-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명 차단 방법과 공명 차단 흡음재
KR101327930B1 (ko) 2011-09-27 2013-11-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소음을 저감한 래디알 타이어
JP2014169060A (ja) * 2013-03-05 2014-09-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へのデバイス取付方法
KR101779879B1 (ko) 2016-03-22 2017-09-1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공명소음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53025A2 (en) 2001-04-16 2002-10-3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noise reducing system
KR20090010938A (ko) * 2007-07-24 2009-01-3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저소음 공기입 타이어
KR20100048068A (ko) * 2008-10-30 2010-05-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명 차단 방법과 공명 차단 흡음재
KR101327930B1 (ko) 2011-09-27 2013-11-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소음을 저감한 래디알 타이어
JP2014169060A (ja) * 2013-03-05 2014-09-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へのデバイス取付方法
KR101779879B1 (ko) 2016-03-22 2017-09-1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공명소음 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0683A (zh) * 2020-11-11 2022-05-27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吸声器单元和具有吸声装置的车轮
CN114550683B (zh) * 2020-11-11 2024-05-14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吸声器单元和具有吸声装置的车轮
KR20220163052A (ko) 2021-06-02 2022-12-0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131B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8627B (zh) 充气轮胎
CA2444207C (en) Device for attenuating cavity noise in a tire and wheel
US20090151836A1 (en) Tire wheel assembly
US20100012244A1 (en) Tire noise reduction device and pneumatic tire
KR102218131B1 (ko) 헬름홀쯔 공명기 적용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US11491828B2 (en) Tire noise reduction device
JPWO2005058616A1 (ja) 低騒音空気入りタイヤ
US7013940B2 (en) Device for attenuating cavity noise in a tire and wheel
KR102127660B1 (ko) 흡음재와 차음막을 이용한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JP6336553B2 (ja) 共鳴音低減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4888B1 (ko) 공명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공기입 타이어
KR102080393B1 (ko) 공기입타이어
JP2005212577A (ja) タイヤ空洞共鳴抑制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2069271B1 (ko) 타이어 소음 저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KR20090018418A (ko) 공기입 타이어
JP200730207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51304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0727671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182280A (ja)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JP5002826B2 (ja) タイヤ騒音低減装置
CN109050175A (zh) 基于声子晶体降噪理论的抑制汽车胎内空腔共振的结构
JP7416957B2 (ja) 空気式タイヤ用の改良された音響発泡体の特性
KR101516714B1 (ko) 타이어 비드부 고정장치
KR101506458B1 (ko) 공명 저감용 타이어
KR0128421Y1 (ko) 타이어 발생 소음을 감소시킨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