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882A - 김치속넣기 장치 - Google Patents

김치속넣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882A
KR20200116882A KR1020200126108A KR20200126108A KR20200116882A KR 20200116882 A KR20200116882 A KR 20200116882A KR 1020200126108 A KR1020200126108 A KR 1020200126108A KR 20200126108 A KR20200126108 A KR 20200126108A KR 20200116882 A KR20200116882 A KR 2020011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kimchi
pipe
transfer
ej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386B1 (ko
Inventor
이동윤
김인재
박경택
송일규
오지영
이가영
임희정
정찬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0012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3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 상기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통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사기구; 상기 이송관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관보다 상류에서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이젝팅관; 상기 이젝팅관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팅밸브; 및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이젝팅관으로 유체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김치속넣기 장치{A DEVICE FOR FILLING KIMCHI SEASONING INTO KOREAN CABBAGES}
본 발명은 김치속넣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기구에 의해 일정량의 양념이 일정 위치에 주기적으로 분사되고 작업자는 양념이 분사되는 위치에 배추를 위치시킨 후 분사되는 주기에 맞춰 배추잎을 벌리기만 하면 되도록 마련되어, 김치속넣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김치 시장은 핵가족화에 따른 외식문화의 확대, 학교급식의 확대 등으로 매년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김치의 수요는 계속 증대되고 소비자 기호 또한 다양한 형태로 요구되고 있다.
김치산업은 제조원가 중 노무비 비율이 높다. 특히, 김치 제조공정 중 양념 속 넣기 공정은 자동화로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수작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내 수공업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김치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김치 속 넣기 공정의 개선이 시급하다. 김치제조공정 중 양념 속 넣기 공정을 기계화한다면 김치 제조원가를 감소시켜 김치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김치 가공공정의 개선을 통해 품질이 균일화되고 제품생산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김치속양념은 건더기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김치속양념을 채우는 배추의 크기 또한 균일하지 못하여 김치 속 넣기 공정의 전면적인 기계화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김치 속 넣기 공정의 특성을 고려하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김치속넣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김치 속 넣기 공정에서 김치속양념을 배추에 채워주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김치속넣기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김치속넣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김치를 담아서 운송하는 이동식탱크에서 김치속양념이 저장되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양념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덤핑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 상기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통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사기구; 상기 이송관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관보다 상류에서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이젝팅관; 상기 이젝팅관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팅밸브; 및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이젝팅관으로 유체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분사기구에 의해 일정량의 양념이 일정 위치에 주기적으로 분사되고 작업자는 양념이 분사되는 위치에 배추를 위치시킨 후 분사되는 주기에 맞춰 배추잎을 벌리기만 하면 되므로, 김치속넣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 가능하고, 양념의 분사주기 및 분사주기당 분사량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사기구를 조작하며 김치속넣기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환경에 따라 분사기구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일정한 품질의 김치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셋째, 덤핑 리프터를 이용해 이동식탱크를 승강 및 회전시키려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양념을 공급할 수 있어, 노동력을 저감하고 능률적으로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덤핑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덤핑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포장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분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사기구의 일부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전(Front), 후(Rear)"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와는 다르게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전(Front), 후(Rear)"가 정의될 수도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 양념이송펌프(130), 호퍼(140), 및 분사기구(150)를 포함한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김치속양념을 저장한다.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131)으로 공급한다.
호퍼(140)는 이송관(131)에서 분기되는 분기관(133)을 통해, 이송관(131)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한다.
분사기구(150)는 호퍼(140)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분사기구(150)는 온(ON) 및 오프(OFF)가 가능하고,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종래에는 김치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수작업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 생산성을 일정 이상 향상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배추에 김치속양념을 넣는 공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배추잎을 벌리고 김치속양념을 넣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화 장치가 부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일정량의 김치속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는 분사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작업자가 배추잎을 벌리는 작업만 수행하고 김치속양념을 분사하는 것은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기구를 포함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10)를 승강 및 덤핑시켜,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양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덤핑 리프터(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탱크(10)는 아래쪽에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식탱크(10)는 박스 형상의 양념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덤핑 리프터(110)는 이동식탱크(10)를 일정 높이 승강시킨 후, 이동식탱크(10) 내의 양념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쏟아지도록 이동식탱크(10)를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양념투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아래쪽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념이송펌프(130)로 양념이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수용된 양념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양념탱크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덤핑 리프터(11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이동식탱크(10)를 승강 및 덤핑시키도록 설정되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자동으로 양념이 추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13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양념은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 내의 양념의 자중에 의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서 양념이송펌프(130)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양념이송펌프(130)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들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이송펌프(130)는 마소사인 펌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소사인펌프는 용적식 펌프로서, 사인파형 형태의 로터를 구비하여, 로터와 펌프바디에 의해 복수의 챔버가 펌프 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챔버 각각은 서로 밀폐된 채로 물질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소사인펌프는 맥동이 거의 없으며 덩어리들이 포함된 유체도 효과적으로 펌핑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불균일하게 덩어리들이 포함된 양념을 이송하는데 적합하다.
이송관(131)은 양념이송펌프(130)에서 배출되는 양념이 호퍼(140)로 공급되도록 공급 유로를 형성할 수 잇다. 분기관(133)은 이송관(131)의 복수의 지점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분기관(133)들을 개폐하기 위한 분기관 밸브(134)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관 밸브(134)들은 이송관(131)에서 호퍼(140)로 양념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다.
호퍼(140)는 분기관(133)을 통해, 이송관(131)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호퍼(140)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분기관(133)으로부터 양념이 투입될 수 있다. 호퍼(140)는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구가 호퍼(140)의 하단보다 넓게 구비되어, 분기관(133)에서 호퍼(140)로 양념의 공급이 유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호퍼(140)에 수용된 양념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호퍼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퍼 감지부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념이송펌프(130)는, 호퍼(140)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호퍼(140)로 양념이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분사기구(150)는 호퍼(140)의 단부에 설치되어, 호퍼(140)로부터 공급받은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배추(B)를 올려놓기 위한 김치속넣기작업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김치속넣기작업대(160)는 분사기구(150)로부터 양념이 분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분사기구(150)는 김치속넣기작업대(160)를 향하여 양념이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단일의 배추유입컨베이어를 포함하거나, 셋 이상의 다수의 배치유입컨베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김치속넣기작업대(160)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P)가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에 의해 공급되는 배추(B)를 김치속넣기작업대(160)에 올려 김치속넣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분사기구(150)는 분사기구(150)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는 분사기구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사용자(P)가 김치속넣기작업대(160) 앞의 작업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P)가 작업 위치에서 편리하게 분사기구(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P)가 분사기구(150)의 분사주기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 분사기구(150)를 오프 시키고자 할 경우, 분사기구 스위치(151)로 작업 위치에서 간단하게 분사기구(150)를 오프 시킨 후 분사기구(150)를 조정하고 다시 분사기구(150)를 온 시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분사기구(150)는 양념의 분사량과 분사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이송관(131)으로 공급된 양념을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회수하기 위한 양념회수펌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념회수펌프(180)는 이송관(131)의, 양념이송펌프(130)와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회수펌프(180)는 용적식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양념회수펌프(180)는 호스식 펌프로 구성되어, 펌프의 구동시 진공이 되는 부분이 생성되며 양념이 효과적으로 회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양념회수펌프(180)로 양념이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회수밸브(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밸브(136)는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는 동안은 폐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양념회수펌프(180)는 분기관 밸브(134)가 폐쇄되고 회수밸브(136)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회수펌프(180)가 구동되며 양념이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회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념회수펌프(180)에 의한 펌프압이 분기관(133)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관(131)에 효과적으로 가해지도록 하여,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양념이 효과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피그볼을 이용하여 이송관(131)의 내부에 잔류하는 양념을 회수하기 위해, 이송관(131)의, 양념이송펌프(130)와 연결되는 일단에는 피그볼투입구(138)가 구비되고, 이송관(131)의,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는 피그볼배출구(139)가 구비될 수 있다.
피그볼은 관내에 삽입되어 공기 등의 압력에 의해 관을 따라 이동하며 관내에 잔류하는 유체를 배출시키거나 관내를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 내부에 밀착되는 크기의 피그볼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은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호퍼(140)와, 분사기구(150)와, 김치속넣기작업대(160)를 김치속넣기 유닛이라고 할 때, 복수의 김치속넣기 유닛들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복수의 김치속넣기 유닛들이 배치되는 전후 방향으로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에 의해 배추가 각각의 김치속넣기 유닛들을 향하여 이송될 수 있다.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는 제1 및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171b)가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양념이 분사된 김치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김치배출컨베이어(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김치배출컨베이어(173)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제1 및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171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김치배출컨베이어(173)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작업 시, 작업자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를 통하여 유입되는 배추(B)를 김치속넣기작업대(160)로 이동시켜 김치속양념이 배추(B)에 분사되도록 하고, 양념이 분사된 배추인 김치(K)를 김치배출컨베이어(173)로 올려 이송되도록 한다. 김치배출컨베이어(173)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김치를 김치속넣기작업대(160)에서 김치배출컨베이어(173)로 이동시키기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김치배출컨베이어(173)가 마련되는 내측의 반대측인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김치속넣기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사용자가 무릎으로 닿을 수 있는 높이로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외측에 설치되어, 작업 도중에도 사용자(P)가 편리하게 스위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작이 간단하게 마련될 수 있는 스위치라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분사기구 스위치(151)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누름 조작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푸쉬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당김 및 밈 조작에 의해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레버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유닛은 제1 배추유입컨베이어(17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김치속넣기 유닛들과,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171b)의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인접한 제1 김치속넣기 유닛들의 사이에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서로 중첩되는 영역보다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더 넓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3a을 참조하면, 분사기구(150)를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유닛들 각각은 설치를 위해 일정 공간이 필요로 한다.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을, 좌우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또는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보다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더 넓도록,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김치속넣기 장치(100)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하고 구성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김치속넣기 유닛들은 양념이송펌프(130)로부터 가까운 호퍼(140)부터 먼 호퍼(140)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 밸브(134)들은 폐쇄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양념공급순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념이송펌프(130)로부터 가까운 호퍼(140)부터 먼 호퍼(140)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모든 호퍼(140)에 양념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모든 호퍼(140)가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김치속넣기 장치(100)의 구성들 전반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덤핑 리프터(110), 양념이송펌프(130), 분기관 밸브(134)들, 분사기구(150)들,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들, 김치배출컨베이어(173), 회수밸브(136), 및 양념회수펌프(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양념탱크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식탱크(10)를 승강 및 덤핑시키도록 덤핑 리프터(1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131)으로 양념을 공급하기 위해,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기관(133)을 통하여 호퍼(140)로 양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도록, 분기관 밸브(134)와 양념이송펌프(13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양념이송펌프(130)로부터 가까운 호퍼(140)부터 먼 호퍼(140)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분기관 밸브(134)들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 밸브(134)들은 폐쇄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이 공급되도록, 분기관 밸브(134)들과 양념이송펌프(13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사기구 스위치(151)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분사기구(150)가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사기구(150)가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이 주기적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기구(15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와 김치배출컨베이어(173)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사기구(150)가 온 되었을 시,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와 김치배출컨베이어(173)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며 호퍼(140)로 양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회수밸브(136)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송관(131) 내의 양념을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회수하기 위해, 분기관 밸브(134)들이 폐쇄되고 회수밸브(136)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회수펌프(18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덤핑 리프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덤핑 리프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덤핑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덤핑 리프터(110)는 이동식탱크(10)와 결합되게 마련되는 도킹부재(111)와, 도킹부재(111)와 결합되고 도킹부재(11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타워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탱크(10)는 덤핑 리프터(110)의 도킹부재(111)와 결합하는 이동식탱크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부재(113)는 바닥과의 접촉면이 마련되는 베이스(1131)와, 도킹부재(11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34)와, 베이스(11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구동부(1134)의 구동력을 도킹부재(11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미도시)를 수용하는 수직연장부(1132)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되, 수직연장부(1132)를 기준으로 도킹부재(111)와 이동식탱크(10)가 결합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제1 방향은 이동식탱크(10)가 도킹부재(111)와 결합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1131)는 덤핑 리프터(110)가 일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덤핑 리프터(110)는 작동 시 이동식탱크(10)를 일정 높이 승강시키고 회전시키는데,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덤핑 리프터(11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고, 베이스(1131)는 덤핑 리프터(110) 및 이동식탱크(10)의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134)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134)는 수직연장부(11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를 회전시켜 이동식탱크(10)의 승강 및 회전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통해, 구동 모터가 동력전달부재인 체인을 끌어올리며 이동식탱크(10)를 상승 및 회전시키는데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직연장부(1132)는 베이스(11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동력전달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수직연장부(1132)에는 가이드레일(113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33)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굴곡져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33)은 상하로 연장된 부분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만나는 굴곡부가 라운드 처리되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도킹부재(111)는 이동식탱크(10)와 결합하는 도킹부(1111)와,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는 구동암(1112)과,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암(1112)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암(1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부(1111)는 이동식탱크 도킹부와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식탱크(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암(1112)은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여 이동식탱크(10)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암(1112)은 구동부(113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타워부재(113)에는 구동암(111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암(1113)은 가이드레일(1133)에 일부 삽입되어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덤핑 리프터(110)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킹부재(111)가 이동범위의 최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식탱크(10)가 도킹부재(111)에 결합된다.
구동부(1134)가 구동되며, 이동식탱크(10)와 함께 도킹부재(111)가 상승된다.
도킹부재(111)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면,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가이드암(1113)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와 동시에 구동암(1112)은 상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암(1113)은 수평 방향을 주 성분으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암(1112)은 수직 방향을 주 성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킹부재(111)가 회전되게 되고, 도킹부재(111)와 결합된 이동식탱크(10) 또한 도킹부재(111)와 함께 회전되게 된다.
구동암(1112)이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면,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암(1113)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덤핑 리프터(110)가 작동되면서, 이동식탱크(10)는 원래의 위치를 기준으로 90도 이상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식탱크(10) 내에 저장된 양념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덤핑 리프터(110)가 작동되며 이동식탱크(10)의 양념을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공급할 때, 양념이 누설되지 않고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덤핑 리프터(110)가 설계되어야 한다.
덤핑 리프터(110)에 이동식탱크(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식탱크(10)와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의 수평 거리(L1)를 고려하여, 도킹부재(111)의 가이드암(1113)과 구동암(1112) 사이의 상하 거리(L2) 및 가이드레일(1133)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3)가 설계되어야 한다.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덤핑 리프터(110)가 동작하는 동안 이동식탱크(10)는 상승하고 소정 거리 제1 방향으로 전진하며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면, 수평 거리(L1)가 50cm인 경우, 덤핑 리프터(110)의 작동 시 이동식탱크(10)가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50cm이상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이드레일(1133)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3)가 50cm보다 크게 설계되고, 가이드암(1113) 또한 50cm보다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즉, 상기 L1, L2, 및 L3가 서로 비례관계를 가지도록 덤핑 리프터(110)가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식탱크(10)가 하강할 때는 전술한 상승 과정이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포장기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포장기구의 사시도이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김치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기구(190)는 깔때기 모양의 가이딩부재(191)와, 가이딩부재(191)의 일단에 끼워지는 포장지를 가이딩부재(191)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그리핑부재(19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핑부재(192)는, 가이딩부재(191)를 향해 접근하거나 가이딩부재(191)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핑부재(19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이딩부재(191)를 향해 접근하거나 가이딩부재(191)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핑부재(192)의 포장지와 닿게 되는 부분에는, 포장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그리핑부재(192)의 포장지와 닿게 되는 부분은 가이딩부재(19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포장지를 잡고 배추를 포장지에 넣어 포장하기 위해서는, 포장지를 잡는 사람과 포장지에 배추를 넣는 사람인,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포장의 능률일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구(190)를 김치속넣기 장치(100)에 구비함으로써, 1인의 작업자가 김치의 포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분사기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분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사기구의 일부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사기구(150)는 바디부(1501),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 이송부(1503) 및 배출밸브(150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501)는 양념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단(1501-1)과,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단(1501-2)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단(1501-1)은 호퍼(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양념의 자중에 의해 호퍼(140)에서 바디부(1501)로 양념이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1501)는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마련하고, 원통의 중심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는 일단이 바디부(1501)와 연통되고, 피스톤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바디부(1501)로부터 양념을 흡입하고 흡입한 양념을 다시 바디부(1501)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1503)는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배출단(1501-2)으로 이송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1503)는, 바디부(1501) 내에 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1503-1)와, 스크류(1503-1)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크류구동부재(1503-2, 150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1503-1)는 바디부(1501)의 개구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바디부(15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1503-1)는 바디부(1501)의 내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501)의 스크류(1503-1)와 접촉 가능한 부분은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501)는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매끄럽게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501)는 스크류(1503-1)와 접촉 가능한 내측면에 마찰력 저감을 위한 부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스크류구동부재(1503-2, 1503-3)는 구동로드(1503-2)와 이송 실린더(150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로드(1503-2)는 일단이 스크류(1503-1)의, 바디부(150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연결되고, 이송 실린더(1503-3)는 구동로드(1503-2)를 직선 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구동로드(1503-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스크류(1503-1)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밸브(1504)는 배출단(1501-2)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배출밸브(1504)는 밸브캡과 밸브캡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사기구(150)는 양념의 분사량 및 양념의 분사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의 전후 슬라이딩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분사기구(150)에 의해 주기당 분사되는 양념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 이송 실린더(1503-3) 및 밸브구동 실린더의 작동 속도를 높여서 양념의 분사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은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10)가 양념이송펌프(130)와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된다는 점, 양념 이송 초기에 김치속양념이 이송관(131)으로 효과적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이젝터(220) 및 이젝팅관(221)을 포함하는 점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2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100)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35본 실시예에서,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덤핑 리프터(110) 없이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10)와 양념이송펌프(130)가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탱크(10)와 양념이송펌프(130)는 이동식탱크 연결관(210)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직접 연결 방식의 경우 김치속양념의 점도로 인하여 이동식탱크(10)로부터 출발한 김치속양념이 양념이송펌프(130)에 자율적으로 도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양념이송펌프(130) 및 이송관(131)과 연결되는 이젝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220)는 이송관(131) 및 이동식탱크 연결관(2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관 내부의 에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식탱크(10)로부터 출발한 김치속양념은 효과적으로 양념이송펌프(130)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젝터(220)는 진공이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젝터(220), 이젝팅관(221), 및 이젝팅밸브(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팅관(221)은 이송관(131)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분기관(133)보다 상류에서 이송관(131)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이젝팅밸브(222)는 이젝팅관(221)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젝터(220)는 이송관(131)으로부터 이젝팅관(221)으로 유체(예를 들면, 공기, 김치속양념 등)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송관(131)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이송관(131)의, 이젝팅관(221)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하류에 설치되는 이송관밸브(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송관(131)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이송관(131)의, 이젝팅관(221)이 분기되는 지점 또는 이젝팅관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상류 지점에 설치되어 양념을 감지하는 양념감지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양념감지부(224)는 이송관(131) 상에 마련되며, 제1 자동밸브, 제2 자동밸브 및 양념이송펌프(13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감지센서의 위치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념감지부(224)는 김치속양념이 감지되면 이젝터(220),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또는 양념이송펌프(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양념감지부(224)는 김치속양념이 감지되면 이젝터(220),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또는 양념이송펌프(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양념감지부(224)는 전술한 김치속양념이 양념이송펌프(130)를 지나 양념감지부(224)의 센싱 지역까지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센싱 지역까지 김치속양념이 포함한 경우에는 이젝터(220),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또는 양념이송펌프(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념감지부(224)는 제어부(미도시)에 센싱 데이터를 전달하고, 제어부(미도시)는 김치속넣기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념감지부(224)는 이송관(131)의 내부에서 양념이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이젝팅관(221)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상류에 설치되는 투명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젝팅밸브(222) 및 이송관밸브(223)의 제어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동으로 이루어질 경우 육안에 의해 양념감지부(224)의 투명관에 양념이 확인될 시 이젝팅밸브(222)를 폐쇄하고 이송관밸브(223)를 개방하여, 호퍼(140)로 김치속양념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양념감지부(224)의 투명관에는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가 설치되어, 투명관으로 김치속양념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광부에서 빛이 일정량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양념에 의해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가로막힌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젝팅밸브(222)가 폐쇄되고 이송관밸브(223)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젝팅밸브(222)가 폐쇄될 때 이젝터(220)는 정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는 양념감지부(224)에서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및 이젝터(220)로 제공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양념감지부(224)에서 제어부(미도시)로 제공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서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및 이젝터(220)로 제공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김치속넣기 장치(200)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이동식탱크(10)가 이동식탱크 연결관(210)과 연결되고 이젝팅밸브(222)가 개방되고 이송관밸브(2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젝터(220)가 구동됨에 따라, 이동식탱크(10)로부터 이젝팅관(221)으로 이송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도가 높은 김치속양념이 이동식탱크(10)로부터 양념이송펌프(130)까지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젝터(220)가 구동될 때 양념이송펌프(130)도 함께 구동되며 김치속양념이 이송관(131)으로 이송되도록 펌핑할 수 있다.
(제2단계) 양념감지부(224)에서 김치속양념이 감지되면, 이젝터(220)의 구동이 정지되고, 이젝팅밸브(222)가 폐쇄되고, 이송관밸브(223)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을 이송관(131)을 따라 호퍼(14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젝터(220)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의 회전속도(rpm)를 제1 회전속도라고 할 때, 이젝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는 제1 회전속도보다 높은 제2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전속도는 20rp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회전속도는 40rp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념이송펌프(130)의 회전속도를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 달리 설정함으로써, 제1단계에서 이젝터(220)로 양념이 유입되어 이젝터(2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는 김치속양념이 양념감지부(224)의 센싱 위치까지만 도달하면 족하므로, 제2단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저 rpm으로 구동하며 이젝터(22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단계에서는 김치속양념을 이송관(13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호퍼(140)들까지 이송하여야 하므로, 양념이송펌프(130)의 회전속도를 고 rpm으로 설정하여 김치속양념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양념회수관(231) 및 양념회수밸브(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념회수관(231)은 이송관(131)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양념회수밸브(232)는 양념회수관(231)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양념회수관(231) 및 양념회수밸브(232)을 더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념회수 시 이송관밸브(223) 및 복수의 분기관 밸브(134)들이 폐쇄되고 양념회수밸브(232)가 개방되어 이송관(131)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양념회수탱크(180)가 구동되며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으로 김치속양념을 회수할 수 있다.
한편,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송관(131)을 통하여 이송되는 김치속양념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송관(131) 상에 설치되는 투명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관(240)은 이송관(131)의 일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마련되어 육안으로 투명관(240)을 통과하는 김치속양념을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이동식탱크
20 : 김치속양념회수탱크
100 : 김치속넣기 장치
105 : 김치속양념저장탱크
110 : 덤핑 리프터
111 : 도킹부재
1111 : 도킹부
1112 : 구동암
1113 : 가이드암
113 : 타워부재
1131 : 베이스
1132 : 수직연장부
1133 : 가이드레일
1133-1 : 가이드레일 수직부
1133-2 : 가이드레일 수평부
1134 : 구동부
1135 : 보호바
120 : 김치속양념저장탱크
125 : 양념탱크 감지부
130 : 양념이송펌프
131 : 이송관
133 : 분기관
134 : 분기관 밸브
136 : 회수밸브
138 : 피그볼투입구
139 : 피그볼배출구
140(140a, 140b) : 호퍼
145(145a, 145b) : 호퍼 감지부
150(150a, 150b) : 분사기구
1501 : 바디부
1501-1 : 유입단
1501-2 : 배출단
1502 : 양념량조절 실린더
1503 : 이송부
1503-1 : 스크류
1503-2 : 구동로드
1503-3 : 이송 실린더
1504 : 배출밸브
151(151a, 151b) : 분사기구 스위치
160(160a, 160b) : 김치속넣기작업대
171a, 171b : 배추유입컨베이어
173 : 김치배출컨베이어
180 : 양념회수펌프
190 : 포장기구
191 : 가이딩부재
193 : 그리핑부재
210 : 이동식탱크 연결관
220 : 이젝터
221 : 이젝팅관
222 : 이젝팅밸브
223 : 이송관밸브
224 : 양념감지부
231 : 양념회수관
232 : 양념회수밸브
240 : 투명관

Claims (4)

  1. 김치속양념저장탱크;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
    상기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통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사기구;
    상기 이송관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관보다 상류에서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이젝팅관;
    상기 이젝팅관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팅밸브; 및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이젝팅관으로 유체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구는, 온(ON) 또는 오프(OFF)가 가능하고,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관의, 상기 이젝팅관이 분기되는 지점 또는 상기 이젝팅관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상류 지점에 설치되어 양념을 감지하는 양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념감지부에서 양념이 감지되면, 상기 이젝팅관이 폐쇄되도록 상기 이젝팅밸브가 작동되고, 상기 이젝터가 정지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념이송펌프는,
    상기 이젝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는 제1 회전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이젝터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높은 제2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KR1020200126108A 2020-09-28 2020-09-28 김치속넣기 장치 KR10217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08A KR102176386B1 (ko) 2020-09-28 2020-09-28 김치속넣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08A KR102176386B1 (ko) 2020-09-28 2020-09-28 김치속넣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67A Division KR102176374B1 (ko) 2018-09-28 2018-09-28 김치속넣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82A true KR20200116882A (ko) 2020-10-13
KR102176386B1 KR102176386B1 (ko) 2020-11-09

Family

ID=7288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108A KR102176386B1 (ko) 2020-09-28 2020-09-28 김치속넣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7474A (zh) * 2021-12-02 2022-02-11 湖南桃源辣妹子食品有限公司 一种食用小龙虾仁的腌制装置及其腌制方法
KR102548994B1 (ko) * 2022-07-25 2023-06-29 주식회사 이그린테크 김치 양념 투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386B1 (ko) * 2022-02-04 2023-12-14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고형물을 포함한 양념 자동 공급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15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생산성본부 포기김치 양념 속 넣기 혼합 자동화 장치
KR20090126758A (ko) * 2008-06-05 2009-12-09 (주)아산테크 통합형 관로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062580A (ja) * 2009-09-15 2011-03-31 Tatech Kogyo:Kk 攪拌装置
KR101163096B1 (ko) *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20128383A (ko) * 2011-05-17 2012-11-27 (주)라이스코리아 배추속넣기장치
KR20150111847A (ko) * 2014-03-26 2015-10-06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지충전 포장방법 및 봉지충전 포장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15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생산성본부 포기김치 양념 속 넣기 혼합 자동화 장치
KR20090126758A (ko) * 2008-06-05 2009-12-09 (주)아산테크 통합형 관로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062580A (ja) * 2009-09-15 2011-03-31 Tatech Kogyo:Kk 攪拌装置
KR20120128383A (ko) * 2011-05-17 2012-11-27 (주)라이스코리아 배추속넣기장치
KR101163096B1 (ko) *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50111847A (ko) * 2014-03-26 2015-10-06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지충전 포장방법 및 봉지충전 포장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7474A (zh) * 2021-12-02 2022-02-11 湖南桃源辣妹子食品有限公司 一种食用小龙虾仁的腌制装置及其腌制方法
CN114027474B (zh) * 2021-12-02 2024-03-26 湖南桃源辣妹子食品有限公司 一种食用小龙虾仁的腌制装置及其腌制方法
KR102548994B1 (ko) * 2022-07-25 2023-06-29 주식회사 이그린테크 김치 양념 투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386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386B1 (ko) 김치속넣기 장치
KR102176374B1 (ko) 김치속넣기 장치
CN207566391U (zh) 端板自动上料装置及端板自动进料和上料装置
CN105941000A (zh) 自动化育秧设备
CN106733455A (zh) 全自动点胶流水线
KR101100746B1 (ko)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KR20190004023A (ko) 자동 포대 공급장치
CN106241699A (zh) 一种灌装系统
CN210655524U (zh) 用于标签纸生产的收料装置
CN205060107U (zh) 一种全自动立体包装机
CN208915536U (zh) 罐头自动装箱机
US4062168A (en) Container filling machine
CN108928626A (zh) 一种倾斜下托式自装卸搬运装置
CN110466837A (zh) 一种插袋机构及插袋机
CN207158131U (zh) 一种烘干塔用便于移动的提升机
CN204872991U (zh) 一种纸箱提手垫片的自动选料输送装置
CN208134674U (zh) 粉末自动称重包装成套设备
CN205762120U (zh) 一种自动输料装置
CN111889471A (zh) 全自动洗瓶系统
EP18207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goods
KR101277496B1 (ko) 스태커 리크레이머용 급수장치
CN1796231A (zh) 一种提高卸箱机运行速度的方法及机构
CN219750967U (zh) 提升机及输送系统
CN209701619U (zh) 流水线的出工位装置
CN209535529U (zh) 一种全自动直列式液体灌装机的输送轨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