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252A -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252A
KR20200116252A KR1020190037784A KR20190037784A KR20200116252A KR 20200116252 A KR20200116252 A KR 20200116252A KR 1020190037784 A KR1020190037784 A KR 1020190037784A KR 20190037784 A KR20190037784 A KR 20190037784A KR 20200116252 A KR20200116252 A KR 20200116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ream
skin
lotio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158B1 (ko
Inventor
이준환
박신호
Original Assignee
박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호 filed Critical 박신호
Priority to KR102019003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1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천연 오일인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여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탄력 개선으로 주름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에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hitening and skin wrinkle comprising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seed oil}
본 발명은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천연 오일인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여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탄력 개선으로 주름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노화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기본적으로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노화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연구 방법을 상호 조합하여 노화의 몇몇 기전들을 밝혀나가고 있으며, 노화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가설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크게 자유라디칼설, 가교설, 축적설 등을 포함하는 비 유전자설 (소모설)과 체세포 돌연변이설, 프로그램설의 유전자설로 대별된다. 이중 '자유라디칼설'은 1956년 Harm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활성산소들에 의하여 생체구성 성분인 지방, 단백질, 핵산 등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손상들이 축적되면 노화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의 항산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노화방지 부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피부의 대표적인 탄력 섬유인 콜라겐(collagen)은 엘라스틴(elastin)과 함께 망상으로 조직되어, 진피층을 이루는 기능으로 약 1,500개 정도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독특한 삼중나선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들 섬유아조직 아미노산은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탄력섬유에 지질 과산화가 일어나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및 사슬절단이 발생하게 되므로 표면적 노화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즉, 피부의 주름은 콜라겐의 합성과 분해의 불균형에 기인하며 특히, 산화된 피부의 경우 콜라겐 합성 능력이 감소하고 분해효소의 활성이 증가되는 특성이 있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의 멜라노좀 내에서 생성되며, 이들은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표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이동되어 피부의 색을 나타낸다. 인체 내에서 합성된 멜라닌은 자외선 또는 외부 자극 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기능이 있으나, 과도한 색소 침착은 기미, 주근깨 그리고 노인 반점 등을 일으키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는 등의 부정적인 기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오미자 나무과(Schizandraceae)에 속하는 낙엽성 목본인 덩굴식물로 붉은색상을 띄며, 생약재 및 식품원료로 이용하는 약용식물이다. 오미자 나무과에 속하는 오미자는 2속 3종이 국내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약리작용이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오미자는 시고, 달고, 쓰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가지고 있는 생약으로 예로부터 거담, 진해, 정천 (가쁜 숨을 바로잡음), 철혈 (피를 맑게 함), 검한 (식은 땀을 거두게 함), 생전지갈 (갈증을 없앰) 등 여러 가지의 약효가 있고 다섯 가지의 맛이 각각 인체에서 다르게 작용하는데 신맛은 간을 보호하고, 쓴맛은 심장을 보호하며, 단맛은 비위를 좋게 하고, 매운맛은 폐를 보호하며, 짠맛은 신장 및 자궁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오미자씨 오일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오미자씨 오일과 각종 기능성 화장료 원료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능이 뛰어나고,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제형 안정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21호 (발명의 명칭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출원인 : 한국 한의학 연구원, 등록일자 : 2018.10.08.)
Jae-Chan Yang,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 29, No. 2, June, 2012, 231~237 김한나, 구기자와 오미자씨 오일의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오미자씨 오일에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닐알코올,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쉐어버터,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메치콘,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스쿠알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트로메타민, 1,2-헥산디올,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판테놀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하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씨 오일은 오미자씨를 파쇄한 후 헥산(hexane)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오미자씨 오일 0.01 내지 0.5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1 내지 1중량%, 베헤닐알코올 0.1 내지 2중량%,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2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1 내지 2중량%, 쉐어버터 1 내지 3중량%,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2 내지 4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내지 4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 내지 3중량%,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3 내지 5중량%, 스쿠알란 2 내지 4중량%, 글리세린 8 내지 10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4 내지 6중량%, 베타인 1 내지 3중량%, 트로메타민 1 내지 3중량%, 1,2-헥산디올 0.1 내지 1중량%,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5중량%,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01 내지 0.5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내지 0.5중량%, 판테놀 0.01 내지 0.5 중량% 및 정제수 50 내지 70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이 추가로 첨가되어 제조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20 내지 100℃에서 1분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마스크팩,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크림,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오미자씨 오일은 건조시킨 오미자를 초파기로 파쇄한 후 물로 세척하고 오미자씨와 껍질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오미자씨를 파쇄하여 0.1~1.0㎜ 크기로 처리한 후 파쇄된 원료에 헥산(hexane) 용매를 가하고 교반하여 1~5일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잔류용매인 헥산을 0.1ppm 이하로 제거하여 오미자씨 오일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미자씨 오일에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닐알코올,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쉐어버터,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메치콘,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스쿠알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트로메타민, 1,2-헥산디올,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판테놀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1㎏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의 추출 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면서 마스크팩,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크림,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화장료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형에는 부형제로서 트레할로스, 호모베타-글루칸, 다이메틸설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부틸렌글라이콜,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비스-피이지-18 메칠에틸디메칠실란, 디메치콘, 향료,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에칠헥실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징크설페이트, 레티닐팔미테이드 또는 해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며, 또한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에 대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크림 조성물의 제조
먼저 건조시킨 오미자를 초파기로 파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비수용성 부분인 씨와 껍질부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씨를 파쇄하여 0.5㎜ 이하로 처리한 후 파쇄된 원료에 헥산(hexane) 용매를 가하고 교반하여 3일간 추출하였으며, 이를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최후 감압 증류를 반복함으로써 잔류용매인 헥산을 0.1ppm 이하로 제거하여 이를 통해 순수한 오미자씨 오일을 획득하였다.
상기 오미자씨 오일과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닐알코올,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쉐어버터,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메치콘,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스쿠알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트로메타민, 1,2-헥산디올,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판테놀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하기 표 1의 중량 단위는 (g)임.
원료시료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오미자씨 오일 0.10 0.30 0.01 0.50 0.40
스테아릭애씨드 0.50 1.00 0.10 0.30 0.80
베헤닐알코올 1.00 0.50 2.00 1.30 0.9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0 0.50 0.10 0.40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0.50 2.00 0.80 1.50
쉐어버터 2.00 1.00 3.00 1.70 2.90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3.00 4.00 2.00 2.60 3.20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0 4.00 2.00 3.50 2.50
사이클로메치콘 2.00 1.00 3.00 1.50 2.70
C14-22 알코올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4.00 4.00 5.00 3.40 4.70
스쿠알란 3.00 4.00 2.00 3.80 2.40
글리세린 9.00 8.00 10.00 8.20 9.30
디프로필렌글리콜 5.00 4.00 6.00 5.50 4.40
베타인 2.00 3.00 1.00 1.30 2.60
트로메타민 2.00 3.00 1.00 1.50 1.50
1,2-헥산디올 0.50 0.80 1.00 0.10 0.2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10 0.50 0.01 0.04 0.30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03 0.50 0.01 0.20 0.08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20 0.10 0.50 0.30 0.40
판테놀 0.12 0.50 0.01 0.30 0.40
정제수 60.45 58.80 59.26 62.76 56.82
총중량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비교예 1. 비교 조건 크림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원료시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비교대상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하기 표 2의 중량 단위는 (g)임.
원료시료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오미자씨 오일 0.40 0.005 0.00 0.20 0.70
스테아릭애씨드 0.01 0.50 3.00 0.10 0.00
베헤닐알코올 0.01 1.00 0.10 3.00 0.01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00 3.00 0.01 0.10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쉐어버터 2.00 2.00 2.00 2.00 2.00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0.00 5.00 2.00 0.50 4.00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2.00 4.00 3.00 5.00
사이클로메치콘 0.50 0.00 2.00 4.00 1.00
C14-22 알코올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2.00 2.80 5.60 0.00 1.50
스쿠알란 2.00 1.00 4.00 3.00 0.00
글리세린 8.00 10.00 15.00 9.00 2.00
디프로필렌글리콜 4.00 5.00 3.00 6.00 5.00
베타인 0.50 0.00 1.00 5.00 3.00
트로메타민 2.00 2.00 2.00 2.00 2.00
1,2-헥산디올 0.01 0.10 4.00 0.00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10 0.60 0.00 0.40 0.50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03 0.03 0.03 0.03 0.03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70 0.20 0.00 0.05 0.01
판테놀 0.12 0.12 0.12 0.12 0.12
정제수 73.62 63.645 51.14 60.50 69.13
총중량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험예 1. 크림 조성물에 대한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크림 조성물을 준비한 후, 이를 각각 무작위로 선별된 20~40대 여성 실험자 10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크림 조성물을 제공하고, 4주 동안 매일 2회씩 얼굴에 각 크림을 균일하게 분할하여 바르고 실험기간 4주가 종료된 후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한 평가 기준은 피부색의 밝기가 밝아질수록 점수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에 관능평가 점수는 매우 효과있다(10점), 효과있다(7점), 보통이다(5점), 미비하다(3점), 매우 미미하다(1점)로 평가한 후 평균을 내었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미백 효과
실시예 1-1 9.2
실시예 1-2 8.5
실시예 1-3 8.5
실시예 1-4 8.7
실시예 1-5 8.3
비교예 1-1 5.2
비교예 1-2 5.4
비교예 1-3 5.1
비교예 1-4 4.9
비교예 1-5 5.3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1 내지 1-5의 크림 조성물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가 비교예 1-1 내지 1-5의 크림 조성물보다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실시예 1-1 내지 1-5의 크림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크림 조성물의 탄력 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1의 크림을 피험자들에게 4주 동안 매일 눈가 및 안면에 바르게 한 후에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탄력 측정은 눈가에서 3cm 떨어진 부위에 Cutometer(MPA 58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는 3회 실시하였으며, 3개의 값에 대한 평균을 사용하였다. 변수로는 R2값을 선정하였으며, 값이 높아질수록 피부 탄력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이번 시험에서는 변수 R2에 관하여 제품 사용 전(0주)과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에 값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계수는 arbitrary unit(A.U.)이다. 또한 이렇게 얻은 결과를 탄력개선율(%)로 계산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시험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크림을 4주 동안 바르는 동안 피부 탄력도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조건 4주 후의 피부 탄력 개선율(%)
실시예 1-1 크림 조성물 15.1
실시예 1-2 크림 조성물 13.2
실시예 1-3 크림 조성물 13.5
실시예 1-4 크림 조성물 13.0
실시예 1-5 크림 조성물 14.3
비교예 1-1 크림 조성물 3.6
비교예 1-2 크림 조성물 2.7
비교예 1-3 크림 조성물 4.3
비교예 1-4 크림 조성물 2.9
비교예 1-5 크림 조성물 3.8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실시예 1-1 내지 1-5 크림 조성물은 4주 후의 피부 탄력 개선율이 약 13% 이상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비교예 1-1 내지 1-5 크림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율이 5% 이하를 나타내기에 실시예 1-1 내지 1-5 크림 조성물이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탄력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보관조건에 따른 제형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크림 조성물을 10℃, 25℃ 및 40℃에 6개월간 보관하여 1, 3, 6개월 단위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크림 조성물에 대해 제형 안정성의 불량 조건은 층분리, 침전물 생성, 성상 변화 현상 등이 보이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 보관상태 표시 - 양호 : ◎, 불량 : ×
Figure pat00002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실시예 1-1 내지 1-5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은 적어도 실온 또는 실온 이하 조건에서는 6개월 이상 장기보관하기에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1 내지 1-5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은 크림 제형 상태로써 안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1 내지 1-5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은 3개월 이상 보관할 시 제형 안정성이 보다 양호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으며, 1개월 보관 시에도 상태가 나쁜 것을 통해 실시예 1-1 내지 1-5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이 보다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2.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이 추가된 크림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되,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1g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은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을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이를 70%(v/v)의 에탄올 수용액을 10배 중량을 가하고 4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 및 농축하여 얻은 것이다.
이렇게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이 추가된 크림 조성물에 대해 피부 탄력 개선율 실험 및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 대신 오미자씨 오일을 같은 양으로 하여 실험하여도 피부 탄력 개선율이 15% 정도로 오미자씨 오일이 증가된 양에 비해 크게 증가되지 않는 반면, 피부 탄력 개선율은 2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제형 안정성 또한 실온 또는 실온 이상에서 6개월 이상 층분리나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아 안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에 대한 미백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미자씨 오일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와 같은 양의 오미자씨 오일에 대해 멜라닌 생합성 저해 측정을 실시하여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오미자씨 오일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는 0.1:1:1:1:1로 혼합하여 총 중량이 1.1g이고, 또한 같은 중량의 오미자씨 오일 1.1g을 본 실험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Dubl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배지에서 배양된 B16F10 세포를 100mm culture dish에 2 × 106 cells/dish가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시료를 배지에 포함된 최종 농도가 10, 50, 100ng/㎖가 되도록 DMSO에 녹여 배지에 첨가 후 2일째에 인산완충액(pH 7.4)으로 세척하였다. 0.25M trypsin-EDTA 용액으로 세포를 탈착한 후 수확한 세포를 1 × 106 세포 당 1㎖의 5% TCA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2500rpm으로 2회 원심분리한 후 분리된 멜라닌을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한 뒤 ether : EtOH (1:3) 1㎖를 가하여 2회 원심분리하고 ether 1㎖로 세척한 뒤 건조시켰다. 건조된 멜라닌에 1N NaOH를 가하여 56℃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10 ng/㎖ 50 ng/㎖ 100 ng/㎖
오미자씨 오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 56.8±5.4% 68.2±4.7% 75.2±6.6%
오미자씨 오일 29.7±6.0% 38.0±6.3% 47.4±5.9%
상기 표 6을 참고하면, 오미자씨 오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의 흡광도 감소율이 56.8±5.4%, 68.2±4.7%, 75.2±6.6%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형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반면, 오미자씨 오일 또한 멜라닌 생합성이 저해되기는 하나 상기 오미자씨 오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보다 낮아 효과가 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미자씨 오일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와 같은 양의 오미자씨 오일에 대해 콜라겐 합성 실험을 실시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오미자씨 오일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는 0.1:1:1:1:1로 혼합하여 총 중량이 1.1g이고, 또한 같은 중량의 오미자씨 오일 1.1g을 본 실험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V79-4 세포(Chinese Hamster, CCL of lung tissue fibroblast)를 배양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Hyclone), 3%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이 첨가된 DMEM 배지를 넣고 37℃에서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48-well plate에 well 당 5 × 104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10%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상기 시료(세포 최종 처리 농도 5 ng/㎖) 및 새로운 배지를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취하여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콜라겐 합성능
오미자씨 오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 37.9%
오미자씨 오일 13.1%
상기 표 7을 참고하면, 오미자씨 오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의 콜라겐 합성능은 5 ng/㎖일 때 37.9%를 나타내었으며, 오미자씨 오일은 13.1%로 보다 낮은 콜라겐 합성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오미자씨 오일,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가 보다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제예 1. 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시료 함량(g)
오미자씨 오일 0.10
스테아릭애씨드 0.50
베헤닐알코올 1.00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쉐어버터 1.00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2.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50
사이클로메치콘 1.0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3.00
스쿠알란 2.00
글리세린 8.00
디프로필렌글리콜 4.00
베타인 2.00
트로메타민 1.00
1,2-헥산디올 0.5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1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01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0
판테놀 0.10
정제수 68.68
총중량 100.00
제제예 2.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시료 함량(g)
오미자씨 오일 0.10
스테아릭애씨드 0.10
베헤닐알코올 0.10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10
쉐어버터 1.00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2.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사이클로메치콘 1.00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3.00
스쿠알란 2.00
글리세린 8.00
디프로필렌글리콜 4.00
베타인 1.00
트로메타민 1.00
1,2-헥산디올 0.1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1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01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0
판테놀 0.01
정제수 74.27
총중량 100.00

Claims (6)

  1. 오미자씨 오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닐알코올,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쉐어버터,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메치콘,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스쿠알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트로메타민, 1,2-헥산디올,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판테놀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씨 오일은 오미자씨를 파쇄한 후 헥산(hexane)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이 추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자초, 당귀, 레몬, 치자 및 백향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20 내지 100℃에서 1분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마스크팩,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크림,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7784A 2019-04-01 2019-04-01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84A KR102196158B1 (ko) 2019-04-01 2019-04-01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84A KR102196158B1 (ko) 2019-04-01 2019-04-01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52A true KR20200116252A (ko) 2020-10-12
KR102196158B1 KR102196158B1 (ko) 2020-12-29

Family

ID=7288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784A KR102196158B1 (ko) 2019-04-01 2019-04-01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587A (ko) * 2020-12-18 2022-06-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08B1 (ko) * 2006-09-07 2007-09-14 김정선 스킨로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1698A (ko) * 2016-02-29 2017-09-06 신지현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사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1907921B1 (ko) 2017-12-22 2018-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3831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더코스메디움 허브 추출물과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08B1 (ko) * 2006-09-07 2007-09-14 김정선 스킨로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1698A (ko) * 2016-02-29 2017-09-06 신지현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사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180123831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더코스메디움 허브 추출물과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7921B1 (ko) 2017-12-22 2018-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e-Chan Yang,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 29, No. 2, June, 2012, 231~237
김한나, 구기자와 오미자씨 오일의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587A (ko) * 2020-12-18 2022-06-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158B1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7879B1 (ko) 우방자 및 비자 가종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122B1 (ko)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96158B1 (ko)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07490B1 (ko) 수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34670B1 (ko) 스쿠알렌 및 달팽이알 추출물이 함유된 임신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5016B1 (ko) 복사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업사이클링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5137664B (zh) 含有黄芪肽熟化物的皮肤活力改善用化妆品组合物
KR101239516B1 (ko)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발 보호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