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592A - 유체 제품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유체 제품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592A
KR20200115592A KR1020207024662A KR20207024662A KR20200115592A KR 20200115592 A KR20200115592 A KR 20200115592A KR 1020207024662 A KR1020207024662 A KR 1020207024662A KR 20207024662 A KR20207024662 A KR 20207024662A KR 20200115592 A KR20200115592 A KR 2020011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reservoir
assembly
fluid
assembl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랭 드꼬띠늬
알랭 라포쓰
쟈끼 베르나르
Original Assignee
아프타르 프랑스 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타르 프랑스 사 filed Critical 아프타르 프랑스 사
Publication of KR2020011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2Burettes; Pipettes mounted within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8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e.g. this latter being surrounded by an enclosure, or the means for deform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8Specific optical properties, e.g. reflect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7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fluid pressure, pneuma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제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 유체(P)와 공기(A)를 담고 있고, 조립 개구(11)를 형성하는 저장소(R), - 저장소(R)와 연통하는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도관(12), 및 - 디스펜서 도관(13)에 유체(P)를 공급하기 위하여 장착 개구(11)에 결합되는 작동 부재(2)를 포함하고, 작동 부재(2)가 플런저(24)를 형성하는 외측면(231), 및 디스펜서 도관(12)이 저장소(R)의 유체(P)와 접촉하고 있을 때, 저장소(R)의 공기(A)와 접촉하는 내측면(232)을 한정하는 변형 가능한 막(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제품 디스펜서
본 발명은, 저장소, 디스펜서 도관, 및 저장소로부터 나오는 유체를 디스펜서 도관에 공급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서 도관은 중력에 의해 도관으로부터 떨어지는 유체의 방울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디스펜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펜서는 점적기 디스펜서와 같은 것이다. 전적으로 일반적인 방식에 있어서, 이 종류의 디스펜서는 다양한 점성의 유체를 분배하는 향수, 미용, 및 제약 분야에서 사용된다.
통상적인 점적기(dropper) 디스펜서는 도관(cannula) 및 도관으로 유체를 빨아들인 다음 이를 도관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도관의 끝을 유체 저장소 안으로 담그는 것이 필요하다. 종종, 점적기 디스펜서는 유체 저장소 상에서, 조립된 상태로, 가령, 나사-체결되어 포장된다. 점적기 디스펜서는 단독으로는 유체가 분배되게 할 수 없고, 단지 공기를 빨아들여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점적기 디스펜서는 도관에 구비된 단순한 짤 수 있는 구상부(bulb)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문헌 FR 2 978 431은 이미 알려져 있고, 이는 유체 저장소, 및 펌프 바디와 액추에이터 로드를 포함하고 그들 사이에 기결정된 최대 용적을 갖는 펌프 챔버를 정의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를 기술한다. 로드는 바디 안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펌프 챔버의 용적이 달라지게 한다. 디스펜서는 액추에이터 로드 상에 장착되고 중력에 의해 도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유체의 방울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디스펜서 단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도관을 더 포함한다. 펌프 챔버의 최대 용적은 디스펜서 헤드에서 분배되는 유체의 방울의 용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유체 디스펜서를 단순화하고, 또한 다른, 특히 그의 구조 및 구성요소들과 관련하여 단순화하지만, 새로운 문제, 특히 디스펜서를 조립하는 동안에 문제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추구한다. 보다 특히, 디스펜서를 조립하는 것은 우발적인 분배 또는 유체가 압력 하에 놓이도록 이끌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분배의 질과 정확성에 손상을 주지 않고, 더 낮은 비용으로 점적기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적은 개수의 부품을 갖는 디스펜서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디스펜서, 특히 점적기 유형의 유체 디스펜서로서:
저장소와 연통하는 유체 디스펜서 도관으로서, 도관은 유리하게는 중력에 의해 디스펜서 단부로부터 떨어지는 유체의 방울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디스펜서 단부를 형성하는, 유체 디스펜서 도관; 및
저장소로부터 나오는 유체를 디스펜서 도관에 공급하기 위한, 조립 개구에 맞물리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작동 부재는, 푸셔를 형성하는 외측 면과, 디스펜서 도관이 저장소의 유체와 접촉할 때, 저장소의 공기와 접촉하는 내측 면을 한정하는 변형 가능한 막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령, 손가락이나 엄지로, 푸셔에 압력이 가해지면, 막의 내부 면은 공기를 이동시키고, 공기는 저장소 안에서 압력을 받는다. 압력 하의 공기는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 상에 작용하고, 그리고 이 유체의 일 부분(일회 분량)은 디스펜서 도관을 통과하여 추진된다. 유체는 도관의 디스펜서 단부를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방울의 형태로 떠난다. 사용자가 푸셔 위에 압력을 풀면, 막은 탄성적으로 그의 시작 위치 또는 안정 위치로 되돌아 간다. 그러면 저장소 안에서 흡입은 구축되어, 그로 인해 도관이 흡입되어 비게 되고(저장소로 되돌아 가고), 그리고 외측 공기는 도관을 통해 저장소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저장소는 결국 약간 더 적은 유체와 약간 더 많은 공기를 담게 된다.
디스펜서의 구조는 매우 단순하고 그의 작동은, 거의 전적으로 손재간의 문제이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매우 정밀하다. 사용자는 디스펜서를 그의 도관이 아래를 향하게 유지하여 유체가 곧장 디스펜서 도관에 전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즉시 이해한다. 또한, 관찰해야 하는 것은 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저장소에 담긴 공기에 적용되고, 공기는 원래 압축 가능하다. 그 결과, 공압 댐핑이 생성되고, 그로써 막이 가한 압력은 일정량의 공압 댐핑을 갖고서 유체에 적용되고, 이는 유체가 갑작스레 분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분배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사용자가 제어하기에 더 쉽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성에 따르면, 작동 부재는, 조립하는 동안,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밀봉식으로 삽입되는 조립 슬리브를 포함한다. 조립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그의 최종 밀봉 조립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한 번의 밀봉된 축방향 조립 스트로크를 수행하고, 밀봉된 축방향 스트로크는 스트로크 용적(Vc)을 정의한다. 또한, 변형 가능한 막은 안정 위치와 완전히 눌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여, 이들 두 위치 사이에서, 조립 슬리브의 스트로크 용적(Vc)보다 크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동 용적(Va): Va ≥ Vc을 정의하게 한다. 이 관계의 결과로서, 증가된 압력 하에 있지 않고, 이상적으론 대기 압력에 있는 것을 보장하면서 디스펜서를 포장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아래에서 디스펜서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할 때 확인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디스펜서는 밀봉식으로 디스펜서 도관의 디스펜서 단부를 닫는 폐쇄 수단을 구비한 보호 캡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펜서는 캡이 미리-조립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고, Va
Figure pct00001
Vc일 경우,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가 거의 대기 압력에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측면에 있어서, 저장소 및 디스펜서 도관은, 유리하게는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진 단일체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작동 부재는 또한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Va ≥ Vc를 갖는 디스펜서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을 정의하고,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작동 부재가 없는 조립 개구를 통해 저장소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단계;
b)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작동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조립 슬리브가 저장소의 조립 개구와 밀봉되게 접촉할 때 변형 가능한 막이 완전히 눌린 위치에 있는, 결합하는 단계; 및
c) 조립 슬리브가 저장소의 조립 개구와 밀봉되게 접촉하고 있는 동안, 변형 가능한 막을 풀어 주어서, 그에 따라 그의 안정 위치로 돌아오는, 풀어 주는 단계.
이 방식으로, 디스펜서가 일단 완전히 조립되면 디스펜서에 압력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조립 방법은 다음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b1) 변형 가능한 막을 완전히 눌린 위치로 변형시키는 단계;
b2) 조립 슬리브가 저장소의 조립 개구와 밀봉 접촉할 때까지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작동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c1) 변형 가능한 막이 그의 안정 위치로 돌아오도록 변형 가능한 막을 풀어 주는 단계; 및
c2) 조립 슬리브가 그의 최종 밀봉 조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밀봉식으로 조립 개구에서 미끄러지도록,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
따라서, 막이 풀어질 때, 흡입이 디스펜서에 생성되고, 그리고 흡입의 일부 또는 전부는 조립 슬리브가 조립 개구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러짐으로써 보충된다.
변형례에 있어서, 조립 방법은 다음의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b1) 변형 가능한 막을 그의 완전히 눌린 위치로 변형시키는 단계;
b2) 조립 슬리브가 저장소의 조립 개구와 밀봉 접촉할 때까지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작동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c12) 조립 슬리브가 조립 개구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변형 가능한 막이 그의 안정 위치로 돌아오도록 변형 가능한 막을 점차적으로 풀어 주는 단계, 안정 위치 및 최종 밀봉 조립된 위치는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도달된다.
이 변형례에서, 두 용적 Va와 Vc가 동시에 그리고 반대로 또는 상보적인 방식으로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면 디스펜서에 압력은 실질적으로 대기 압력으로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변형 가능한 막을 그의 안정 위치에서 그의 최종 밀봉 조립된 위치로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축방향 힘은 최종 밀봉 조립된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밀봉되어 미끄러지는 동안에 조립 슬리브와 조립 개구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슬리브가 개구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막을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서 도관의 디스펜서 단부는 조립 방법 동안 밀봉식으로 닫힌다. 따라서 디스펜서는 유체가 분배되지 않고 압력 또는 흡입 하에 놓일 수 있다. Va
Figure pct00002
Vc이면, 디스펜서는 설령 조립되는 동안 흡입 또는 압력을 받게 되더라도, 결국 대기 압력이 된다. 사용자는 유체 상에 어떠한 수고 없이 보호 캡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되고, 도면은 비-제한적인 예시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를 관통해서 수직으로 자른 사시도로서, 정지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도시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분배하는 동안을 보여준다;
도 3은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결합하는 작동 부재의 크게 확대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세부(D)의 더 크게 확대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가능한 변형을 갖는, 디스펜서를 조립하는 다양한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의 구조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는 점적기 디스펜서의 형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점적기 디스펜서로만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른 종류의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3가지 구성요소, 즉 주 본체(1), 작동 부재(2), 및 보호 캡(3)을 포함한다. 일부 환경에선, 캡(3)은 선택적일 수 있다.
주 본체(1)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어느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주 본체(1)는 단일체로, 즉 일체형 부품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별개 부품들을 함께 조립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오버-몰딩 또는 이중-사출 방법을 사용하여 주 본체(1)를 만드는 것을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 본체(1)는 실린더(10)를 포함하고, 이 실시 형태에서, 실린더는 일정한 단면, 특히 원통형을 나타낸다. 그의 상단부에서, 실린더(10)는,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작동 부재(2)가 맞물리는 조립 개구를 포함한다. 그 반대편 단부에서, 주 본체(1)는 내부적으로 배출 덕트(14)를 정의하는 디스펜서 도관(12)을 형성한다. 디스펜서 도관(12)은 중력에 의해 디스펜서 단부(13)로부터 떨어지는 유체의 방울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디스펜서 단부(13)를 형성한다. 유체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울이 자신의 무게가 디스펜서로부터 분리되어 방울의 형태로 떨어지기에 충분히 클 때까지, 디스펜서 단부(13)의 배출구에서 축적된다. 디스펜서 단부(13)의 특정 구성은, 다른 것들보다도, 디스펜서가 점적기 디스펜서라고 언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린더(10)와 디스펜서 도관(12)의 사이에, 주 본체(1)는 절두 원추형 상호 연결부(17)를 통해 도관(12)으로 연결되는 목부(16)가 연장하는 어께부(15)를 형성한다. 실린더(10)와 도관(12) 사이의 주 본체(1)의 특정 모양은 본 발명에서 결정적인 것은 아니며, 그래서 다른 실시 형태들이 가능하다.
작동 부재(2)는 열가소성 폴리머와 같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플라스틱 물질을 사출-성형하여 단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작동 부재(2)는 대체로 원통형의 모양의 조립 슬리브(21), 조립 슬리브(210의 상단부에 바깥으로 연장하는 돌출 칼라(22), 및 예를 들어, 그 바닥 단부에 근접한 곳에, 조립 슬리브(21)의 안으로 연장하는 변형 가능한 막(23)을 포함한다. 막(23)의 변형 가능한 성질은 슬리브(21)의 또는 칼라(22)의 벽 두께보다 얇은 벽 두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작동 부재(2)는 그의 안정 상태에 있고, 관찰해야 할 것은 변형 가능한 부재(23)는 위쪽으로 돔-형상이고, 즉 칼라(22) 쪽으로 볼록하다. 달리 말하면, 변형 가능한 부재(23)는 실린더(10) 안쪽으로 오목하다. 이의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 부재(2)는, 조립 슬리브(21)가 개구(11) 안에 맞물리고, 칼라(22)가 조립 개구(11)의 상단의 환형 가장자리에 맞대어 지지하면서, 주 본체(1)의 조립 개구(11) 안으로 결합된다. 변형 가능한 부재(23)는 밖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그의 안정 위치에 있다.
주 본체(1) 상에 조립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캡(3)은 디스펜서 도관(12)을 덮고 유리하게는 밀봉식으로 배출 덕트(14)를 닫는다. 이를 위하여, 보호 캡(3)은 디스펜서 단부(13)가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작은 접시(33)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시(33)는 오버몰딩 또는 이중-사출에 의해 캡(3)의 나머지에 연결되는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캡(3)이 주 본체(1) 상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어께부(15)에 대해 맞대어 지지하는 방식으로 목부(16) 둘레에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다. 또한 목부(16)와 캡(3) 사이에 해제 가능한 스냅-체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변형 가능한 부재(23)에서 디스펜서 도관(12)의 입구로 연장하는 유체 저장소(R)를 정의한다. 저장소(R)는 실린더(1)에 의해 주로 정의되고: 이 역시 목부(16)로 그리고 절두 원추형 상호 연결부(17)로 연장한다. 따라서 저장소(R)에 저장된 유체(P)는 디스펜서 덕트(14)와 직접 연통한다. 변형례에 있어서, 디스펜서(12)의 입구에 2-방향 밸브를 제공하여 저장소(R)와 디스펜서 덕트(14) 사이의 수두 손실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관찰해야 할 것은 저장소(R)는 유체(P)의 메니스커스(M) 위에 공기(A)도 담고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펜서 도관(12)이 아래를 가리키고 있을 때, 공기(A)는 실린더(10) 안에서 변형 가능한 부재(23)와 메니스커스(M) 사이에 자리한다. 따라서 유체(P)는 디스펜서 덕트(14)와 직접 연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부재(23)는 도 3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면(231)과 내측 면(232)을 정의한다. 외측 면(231)은 사용자가 그 위를 손가락 또는 엄지로 누를 수 있는 푸셔(24)를 형성하여, 변형 가능한 부재(23)를 실린더(10)의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보호 캡(3)을 구비하고, 푸셔(24) 위를 누르는 것은 저장소(R) 안에 갇혀 있는 공기(A)를 압축시키는 것 외엔 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유체(P)는 실제론 압력을 받지만, 디스펜서 덕트(14)가 접시(33)로 막혀있기 때문에, 유체가 분배되지 않는다. 반대로, 캡(3)이 도 2와 같이 제거되면, 화살표(F1)의 방향으로 푸셔(24) 위를 누르는 것은 막(23)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히 눌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변형되는 것을 야기한다. 따라서, 저장소에 갇힌 공기(A)는 압력 하에 놓이고 결과적인 힘(F2)은 그 메니스커스(M)에서 유체(P) 상에 가해진다. 이에 반응하여, 유체(P)는 디스펜서 덕트(14)를 통과해 추진되고 임계 크기에 도달하자마자 도관(12)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크기가 증가하는 방울의 형태로 디스펜서 단부(12)에서 축적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다.
공기(A)가 압축 가능한 것임을 고려하면, 누름 힘(F1)은 유체(P)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반대로, 공기(A)에 의해 댐핑되어서, 전달되는 힘(F2)은 누름 힘(F1)보다 작다. 이 방식으로, 유체의 갑작스런 분배는 회피되고, 이는 일련의 연속적인 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주 본체(1)의 조립 개구(11) 안에 맞물리는 작동 부재(2)를 보여준다. 조립 슬리브(21)는 조립 개구(11)의 내벽과 맞물리고, 돌출 칼라(22)는 개구(11)의 상단의 환형 가장자리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변형 가능한 막(23)은 그의 안정 위치가 실선으로 그려지고, 그의 완전히 눌린 위치가 점선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구동 용적(Va)은 두 극단 위치들 사이에서 정의된다. 용적(Va)은 도 3에 빗금 영역으로 표시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가 푸셔(24)를 눌러서 변형 가능한 벽(23)을 그의 완전히 눌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누르면, 구동 용적(Va)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유체(P)의 양은 디스펜서 도관(12)을 통해 분배된다. 실제로, 분배되는 유체의 양은 저장소(R)에 갇힌 공기(A)의 압축성 때문에, 구동 용적(Va)보다 약간 적다.
그의 최종 조립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2)는 조립 개구(1)에 맞물리고, 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의 밀봉된 축방향 스트로크(S)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눌린다. 예를 들면, 조립 슬리브(21)의 외벽은 조립 개구(11)의 안쪽에 형성된 밀봉 리브(111)와 접촉할 수 있다. 일단 개구(11)에 맞물리면, 슬리브(21)는 밀봉 리브(111)와 밀봉되어 접촉하고, 그 후, 이 순간부터, 슬리브(21)는 밀봉되는 축방향 스트로크(S)에 대응하는 축방향 높이에 걸쳐, 밀봉 리브(111)에 대해 밀봉식으로 미끄러져서, 최종적으론 칼라(22)가 개구(11)의 상단의 환형 가장자리에 대해 지지하게 되는 그의 최종 조립된 위치에 도달한다. 리브(111) 둘레에 또는 아래에 슬리브(21)에 대한 스냅-체결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밀봉되는 축방향 스트로크(S)는 스트로크 용적(Vc)을 정의하고, 이는 단순히 스트로크(S)를 개구(11)의 내직경과 곱한 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 용적(Va)은 스트로크 용적(Vc)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용적(Va)은 스트로크 용적(Vc)보다 매우 조금 더 크거나, 상기 스트로크 용적(Vc)과 실질적으로 같다. 이하에서, 디스펜서의 조립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두 용적(Va 및 Vc) 사이의 이 관계가 어떠한 이점을 취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소(R) 안에 저장된 유체(P)는 대기 압력으로 있어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보호 캡(3)을 제거했을 때, 어떤 유체도 갑작스레 분배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작동 부재(2)가 용적(Vc)의 한 번의 밀봉된 축방향 스트로크를 따라서 주행함으로써 조립 개구(1)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저장소에 유체가 채워진 후에, 메니스커스(M) 위에 자리한 공기(A)는, 일반적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공기가 압력하에 놓이는 것은 막(23)을 변형시키고 보관하는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이와 같이 계속 늘어난채 남아있게 한다.
저장소 안의 유체의 압력에 어떠한 증가도 회피하기 위하여, 또는 막(23)의 어떠한 늘어나는 변형도 회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하는 특정 조립 방법을 정의한다:
a) 저장소(R)에 작동 부재(2)가 없는 그의 조립 개구(11)를 통해 유체(P)를 채우는 단계;
b)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 작동 부재(2)를 결합하는 단계, 변형 가능한 막(23)은,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와 밀봉 접촉할 때, 그의 완전히 눌린 위치에 유지되고; 및
c)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와 밀봉 접촉하는 동안, 변형 가능한 막(23)을, 그의 안정 위치로 돌아가도록, 풀어 주는 단계.
위에서 단계 b)는 두 개의 하위-단계들로 세분될 수 있다:
b1) 변형 가능한 막(23)을 그의 완전히 눌린 위치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b2)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와 밀봉 접촉할 때까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 작동 부재(2)를 결합하는 단계.
위에서 단계 c)는 어느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는 두 개의 하위-단계들로 세분될 수 있다:
c1) 변형 가능한 막(23)을 그의 안정 위치로 돌아가도록 풀어 주는 단계; 및
c2) 조립 슬리브(21)가 그의 최종 밀봉된 조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조립 개구(11)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러지도록,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서 작동 부재(2)를 이동시키는 단계. 두 하위-단계 c1 및 c2의 중재는 도 5에 도시된다.
변형례에 있어서, 단계 c)는 하나의 단계 c1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동안 변형 가능한 막(23)은 점진적으로 풀려서 조립 슬리브(21)가 조립 개구(11)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러지는 동안 그의 안정 위치로 돌아가게 하고, 안정 위치 및 최종 밀봉된 조립 위치는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도달된다. 이 상황에서, 용적 Va 및 Vc는 동시에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저장소(R)에서 증가된 압력이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의 하위-단계들 사의 선택이 가능하다:
c1, 이후 c2, 순간적으로 증가된 압력이 생성됨;
c2, 이후 c1, 순간적으로 흡입이 생성됨; 또는
c12, 압력에 변동이 생성되지 않음.
또한 유리한 것은, 변형 가능한 막(23)을 그의 안정 위치에서 그의 최종 밀봉 조립된 위치로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축방향 힘은 최종 밀봉된 조립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밀봉되어 미끄러지는 동안 조립 슬리브(21)와 조립 개구(11)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는 점이다. 따라서, 먼저 막을 그의 완전히 눌리는 위치로 가져가기 위하여 막 위를 직접 누른 다음에, 슬리브(21)가 개구(11)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장소는 완전히 채워지지 않아서, 작동 부재가 저장소의 조립 개구에 맞물릴 때 저장소에는 공기가 존재하고, 때문에 단계 b) 및 c) 동안 저장소에 갇혀 있는 공기를 압축하고 팽창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모든 변형례들에 있어서, 그리고 특히 하위 단계들 c1 및 c2에서, 디스펜서 덕트(14)를 닫아 두기 위하여, 보호 캡(3)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심지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어떠한 유체도 밖으로 흘러 나가거나 또는 어떠한 바깥 공기도 흘러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캡(3)을 제자리에 두는 사전 또는 초기 단계는 도 5의 흐름도에서 블록 i)로 표시된다. 캡(3)은 조립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동안 어느 다른 폐쇄 수단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하기에 직관적이고 매우 정밀한 매우 간단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조립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동안 디스펜서가 대기 압력에 있는 것을 보장한다.

Claims (11)

  1. 특히 점적기 유형의, 유체 디스펜서로서,
    · 유체(P)와 공기(A)를 담고 있고, 조립 개구(11)를 형성하는, 저장소(R);
    · 상기 저장소(R)와 연통하고, 유리하게는 중력에 의해 디스펜서 단부(13)로부터 떨어지는 유체의 방울을 형성할 수 있는 디스펜서 단부(13)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도관(12); 및
    · 상기 디스펜서 도관(12)에 상기 저장소(R)로부터 나오는 유체(P)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 개구(11)에 결합되는 작동 부재(2);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작동 부재(2)가 변형 가능한 막(23)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은 푸셔(24)를 형성하는 외측 면(231)과, 상기 디스펜서 도관(12)이 상기 저장소(R)의 유체(P)와 접촉할 때, 상기 저장소(R)의 공기(A)와 접촉하는 내측 면(232)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2)는 상기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 밀봉식으로 삽입되는 조립 슬리브(21)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슬리브(21)는 최종 밀봉 조립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서 한 번의 밀봉된 축방향 스트로크를 수행하고, 상기 밀봉된 축방향 스트로크는 스트로크 용적(Vc)을 한정하는,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은 안정 위치와 완전히 눌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여서, 상기 두 위치 사이에서, 상기 조립 슬리브(21)의 스트로크 용적(Vc)보다 큰, 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동 용적(Va)을 한정하는, 디스펜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도관(12)의 디스펜서 단부(13)를 밀봉식으로 닫기 위한 폐쇄 수단(33)을 구비하는 보호 캡(3)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5) 및 디스펜서 도관(12)은, 유리하게는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단일체(1)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디스펜서.
  7. 제4항에 따른 디스펜서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a) 작동 부재(2)가 없는 저장소(R)에 조립 개구(11)를 통해 유체(P)를 채우는 단계;
    b) 상기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 작동 부재(2)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와 밀봉 접촉할 때, 변형 가능한 막(23)은 완전히 눌린 위치에 유지되는, 상기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와 밀봉 접촉하는 동안,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을 안정 위치로 돌아가도록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다음의 연속적인 단계들:
    b1)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을 완전히 눌린 위치로 변형시키는 단계;
    b2) 상기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와 밀봉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 작동 부재(2)를 결합하는 단계;
    c1) 상기 변형 가능한 막을 안정 위치로 돌아가도록 해제하는 단계;
    c2) 상기 작동 부재가 최종 밀봉 조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조립 슬리브(21)가 조립 개구(11)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러지도록, 상기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서 상기 작동 부재(2)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다음의 연속적인 단계들:
    b1)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을 완전히 눌린 위치로 변형시키는 단계;
    b2) 상기 조립 슬리브(21)가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와 밀봉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저장소(R)의 조립 개구(11)에 상기 작동 부재(2)를 결합하는 단계;
    c12) 상기 조립 슬리브(21)가 조립 개구(11)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상기 변형 가능한 막이 안정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을 점진적으로 해제하는 단계로서, 안정 위치와 최종 밀봉 조립 위치는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도달되는, 상기 점진적으로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막(23)을 안정 위치에서 최종 밀봉 조립 위치로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축방향 힘(F)은, 상기 최종 밀봉 조립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밀봉되어 미끄러지는 동안 상기 조립 슬리브(21)와 조립 개구(11)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조립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도관(12)의 디스펜서 단부(13)는 밀봉식으로 닫히는, 조립 방법.
KR1020207024662A 2018-01-26 2019-01-25 유체 제품 디스펜서 KR20200115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0642 2018-01-26
FR1850642A FR3077222B1 (fr) 2018-01-26 2018-01-26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PCT/FR2019/050166 WO2019145650A1 (fr) 2018-01-26 2019-01-25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592A true KR20200115592A (ko) 2020-10-07

Family

ID=6294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662A KR20200115592A (ko) 2018-01-26 2019-01-25 유체 제품 디스펜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3506B2 (ko)
EP (1) EP3743210B1 (ko)
KR (1) KR20200115592A (ko)
CN (1) CN111655376B (ko)
FR (1) FR3077222B1 (ko)
WO (1) WO20191456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07A1 (ko) 2020-09-09 2022-03-17 삼성전자(주)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4447A1 (en) * 2021-01-06 2023-11-15 L'oreal Dropper comprising a container and a head actionable in several dir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063A (en) * 1883-05-22 Oil-stove
FR750077A (fr) * 1932-04-27 1933-08-03 Compte-gouttes
US2208744A (en) 1936-09-30 1940-07-23 Georges Bardin Container provided with a flexible diaphragm for dispensing materials
US2281738A (en) * 1938-12-13 1942-05-05 Frank E Wolcott Dispenser
US2781063A (en) * 1955-08-17 1957-02-12 Harold W Williams Dropper bottle cap
US3145879A (en) * 1961-04-03 1964-08-25 Lumelite Corp Container with self contained dispensing means
US3379196A (en) * 1965-10-05 1968-04-23 Barmar Product Corp Three-piece medicine dropper tube with improved sealing connection
CA1211385A (en) * 1983-06-03 1986-09-16 Gerard E. Lyons Dispensing device for liquids
FR2574681A1 (fr) * 1984-12-19 1986-06-20 Verreries Tech Appliquees Compte-gouttes perfectionne
DE3719302C1 (de) * 1987-06-10 1988-12-29 Hoyer Gmbh & Co Vorrichtung zur Harnuntersuchung
CN2189974Y (zh) * 1993-09-30 1995-02-22 叶增汉 全封闭式自动滴定计
FR2816600B1 (fr) * 2000-11-13 2003-03-21 Michel Faurie Dispositif distributeur de liquides goutte a goutte
US20100108709A1 (en) * 2004-12-30 2010-05-06 Plas-Pak Industries Cartridge delivery system utilizing film bags
GB0517910D0 (en) * 2005-09-05 2005-10-12 Enigma Diagnostics Ltd Liquid transfer device
FR2903092B1 (fr) * 2006-07-03 2008-10-17 Airlessystems Soc Par Action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CH699238A2 (de) * 2008-07-24 2010-01-29 Medisize Schweiz Ag Flüssigkeitsbehälter zum tropfenweisen Spenden des Inhalts.
EP2339421A1 (en) * 2009-12-18 2011-06-29 Anheuser-Busch InBev S.A.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pressure driv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es
FR2978431B1 (fr) 2011-07-25 2013-08-23 Valois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CA2772507C (en) * 2012-03-20 2018-12-18 Gotohti.Com Inc. Adaptive preload pump
KR200488464Y1 (ko) * 2012-12-27 2019-02-07 피티티 글로벌 케미칼 피씨엘 혼합물 또는 용액의 제조 및 전달 장치
CN203772825U (zh) * 2014-01-28 2014-08-13 李淑翠 新型滴管及其固定装置
CN106742646B (zh) * 2015-11-20 2019-04-05 阿蓓亚塑料实业(上海)有限公司 分配器及包括该分配器的容器
CN210720308U (zh) * 2019-09-25 2020-06-09 河北农业大学 一种制药工程合成实验室中专用的实验滴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07A1 (ko) 2020-09-09 2022-03-17 삼성전자(주)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6202A1 (en) 2020-11-05
EP3743210A1 (fr) 2020-12-02
EP3743210B1 (fr) 2022-12-28
US11833506B2 (en) 2023-12-05
FR3077222B1 (fr) 2023-12-01
CN111655376A (zh) 2020-09-11
FR3077222A1 (fr) 2019-08-02
WO2019145650A1 (fr) 2019-08-01
CN111655376B (zh)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2336B1 (en) Dispensing pump with cup spring
US4274560A (en) Atomizing pump dispenser
US4735347A (en) Single puff atomizing pump dispenser
US9724713B2 (en) Fluid or powdery product dispensing device
JP6825180B2 (ja) 液体用ディスペンサ
US9004317B2 (en) Product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sterile filter bottle which is equipped with a nozzle
US20050211731A1 (en) Assembly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liquid
US9682391B2 (en) Fluid or powdery product dispenser device
US20080302828A1 (en) Product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Sterile Filter Bottle Which is Equipped with a Nozzle
JPH02246976A (ja) 液体又はクリーム状の物質を小滴状に分与する分与装置及びこの分与装置を包含する分与組立体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CA2837636C (en) Pumping device for a fluid container
US8066153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CN107405638B (zh) 具有出口阀的泵分送器
JP6318311B1 (ja) 流動性物質吐出システムのための作動システム
JP7411661B2 (ja) 流体製品を吐出するための装置
KR20200115592A (ko) 유체 제품 디스펜서
US7971757B2 (en) Liquid dispenser device
US10561221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CN106999967B (zh) 计量泵
RU26851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жидкости с выпускным клапаном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сжатия
US7770759B2 (en) Liquid dispenser device
WO2014086719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by means of a pipette
US7988021B2 (en) Sliding-jacket pump
CN110167853B (zh) 包括可移动活塞和泵系统的用于包装和分配产品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