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586A - 분무 가능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무 가능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586A
KR20200115586A KR1020207024623A KR20207024623A KR20200115586A KR 20200115586 A KR20200115586 A KR 20200115586A KR 1020207024623 A KR1020207024623 A KR 1020207024623A KR 20207024623 A KR20207024623 A KR 20207024623A KR 20200115586 A KR20200115586 A KR 2020011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ester
alcoho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코 미즈노
카즈히코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20011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d) 1종 이상의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 (e) 1종 이상의 오일; 및 (f)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호한 분무성 및 안정성을 갖고,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무 가능한 조성물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O/W 에멀션의 형태인 분무 가능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킨케어 화장료 분야에서 분무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액체 화장료(손으로 직접 적용)와 비교하여, 분무 제품은 미스트가 분무된 후 보다 상쾌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에멀션(예를 들면, 유액) 조성물을 분무하기 위해 스프레이 용기를 사용할 경우, 이하의 과제가 있다.
첫째로, 고점성 에멀션은 미세 미스트로서 분출할 수 없다. 둘째로, 미세 미스트를 실현하기 위해, 고점성 에멀션의 점도를 분무용으로 낮춘 경우, 에멀션의 안정성이 악화되어, 분리, 크리밍 등이 관찰된다. 셋째로, 에멀션은 일반적으로 점착성 감촉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은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어느 정도 함유하고, 따라서, 이러한 점착성 감촉으로 인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사용 동안 미스트 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상쾌감이 손상된다.
따라서, 사용시(특히, 적용 중) 양호한 분무성(분무 후의 상쾌한 감촉을 갖는 미세 미스트), 양호한 안정성(분리 없음)을,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부드러운 피부 마무리)과 함께 갖는 분무 가능한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분무성 및 안정성을 갖고,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d) 1종 이상의 상기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
(e) 1종 이상의 오일; 및
(f) 물
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입자의 형태일 수 있고, 입자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평균 입경을 바람직하게는 갖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섬유의 형태일 수 있고,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2∼5nm의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다.
조성물 중의 (a)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내지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중량%일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i)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Figure 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각각 C18∼C44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는 모노불포화이다;
ii) 식 (B)의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
Figure pct00002
식 중,
R3 및 R4는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C18∼C44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n은 2 내지 6 사이의 정수이다; 및
iii) 1종 이상의 C10∼C30 지방 알코올
을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R1 및 R2가 각각 C18∼C30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가 모노불포화인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와; R3 및 R4가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C20∼C34 지방 사슬을 나타내는 식 (B)의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와; 세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14∼C22 지방산과 폴리글리세롤과의 디에스테르, 및/또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호호바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 및 세틸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조성물 중의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3중량%일 수 있다.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는 식 (I) 화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R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2∼C22 알킬 라디칼이며, x는 1 내지 5의 범위이며, G는 글루코오스, 덱스트로스, 사카로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오스, 셀로비오스, 만노오스, 리보오스, 덱스트란, 탈로오스, 알로오스, 자일로오스, 레보글루칸, 셀룰로오스 및 전분의 군에서 선택되는 당 잔기이며; 바람직하게는, G는 글루코오스이다.
조성물 중의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내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일 수 있다.
(d) 다당 친수성 겔화제는 잔탄 검, 캐롭 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조성물 중의 (d) 다당 친수성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5중량%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8중량% 내지 0.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0.1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 중의 (e)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 중의 (f)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55중량%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8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g) 1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중의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내지 0.2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킨케어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심히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양호한 분무성 및 안정성을 갖고, 부드러운 피부의 마무리를 부여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d) 1종 이상의 상기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
(e) 1종 이상의 오일; 및
(f) 물
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분무 가능하며, 분무시에 미세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용 후 상쾌한 감촉, 특히 적용 직후의 상쾌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쾌한 감각은 사용 처음부터 시작하여, 사용 중에 지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부드러운 피부의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균질하고, 조성물 중의 성분 분리, 예를 들면 오일상과 수성상의 상분리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도록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성물]
(미결정 셀룰로오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a) 미결정 셀룰로오스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입자의 형태일 수 있고, 입자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평균 입경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평균 입경은 체적 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입자 형태의 (a) 미결정 셀룰로오스로서 Avicel® PC 611(FMC Corporation사)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섬유의 형태일 수 있고,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2∼5nm의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다. 평균 섬유 직경은 체적 평균 섬유 직경을 의미한다. 섬유 형태의 (a) 미결정 셀룰로오스로서 RHEOCRYSTA® C-2SP(DKS Co. Ltd.사)를 사용할 수 있다.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콜로이드형(즉, 가용성 친수콜로이드로 공-처리된) 또는 비콜로이드형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목재 펄프 유래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분리된 결정 부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1㎛ 미만의 입자 직경을 갖는 콜로이드형 형태, 즉 막대 모양 입자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초기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wt% 분산체로서 30 내지 150cps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또한 0.1중량% 이하의 +60메쉬 및 75중량% 이하의 +325메쉬 체 분율을 갖는다.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단독으로 또는 공-처리 미결정 셀룰로오스로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a)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미결정 셀룰로오스와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셀룰로오스 검)을 85/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제품 Avicel® PC 611(FMC Corporation사), 또는 RHEOCRYSTA® C-2SP(DKS Co. Ltd.사)(2중량%의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수성 분산체)에 포함되는 것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내지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중량%일 수 있다.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및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i)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Figure pct00004
식 중,
R1 및 R2는 각각 C18∼C44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는 모노불포화이다;
ii) 식 (B)의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
Figure pct00005
식 중,
R3 및 R4는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C18∼C44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n은 2 내지 6 사이의 정수이다; 및
iii) 1종 이상의 C10∼C30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식 (A) 중, R1 및 R2는 각각 C18∼C40 지방 사슬, 보다 바람직하게는 C18∼C30 지방 사슬을 나타낸다.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는 모노불포화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 (A) 중, R1-C(O)기는 지방산의 잔기에 해당한다. R1은 선형 또는 모노불포화일 수 있고, 적어도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불포화산으로서 올레산(C18:1), 가돌레산(C20:1), 에루크산(C22:1), 헥사코네노산(C26:1)까지를 언급할 수 있다. R1-C(O)기는 또한 게르베산이라고도 불리는, 적어도 18개의 탄소 원자의 분지형 및 포화 산에서 유래할 수 있다. R2-O-기는 적어도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불포화 선형 지방 알코올에서 유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옥타데세놀, 에이코세놀, 도코세놀 및 헥사코세놀을 언급할 수 있다. 알코올의 탄소 사슬은 또한 분지형 및 포화일 수 있고, 적어도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알코올은 게르베 알코올이라고도 불린다.
바람직하게는, 식 (A)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는 그 구조 중에 다양한 길이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모노불포화 에스테르는 실온에서 액체이다.
언급될 수 있는 바람직한 모노불포화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통상 호호바 오일(또는, 호호바 에스테르)로 불리는 제품이며, 그 액체의 성질은 모노불포화 사슬의 존재에 기인한다. 이 오일은 특히 C18:1(바람직하게는, 소수), C20:1 및 C22:1(바람직하게는, C20:1>C22:1로 다수)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를, C20:1, C22:1 및 C24:1 불포화지방 알코올과 함께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식 (B) 중, R3-C(O)-기는 C18∼C44 지방산의 잔기에 해당하고, 상기 산은 일반적으로 선형 및 포화이며, 바람직하게는 선형 및 포화의 C20∼C34 지방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것에는 에이코사노산(또는 아라키드산)(C20), 도코사노산(또는 베헨산)(C22), 테트라코사노산(또는 리그노세르산)(C24) 및 헥사코사노산(또는 세로트산)(C26)이 포함된다. R4기는 알코올의 탄화수소 사슬에 해당하고, 상기 알코올은 일반적으로 포화 및 선형이며, C18∼C44 사슬, 바람직하게는 C20∼C34 사슬을 갖는다. n은 2 내지 6 사이,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사이의 정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의 존재 하에서의 고체 왁스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왁스는 복합 조성을 갖는다. 이들은 산 모노에스테르 및 매우 긴 사슬의 지방 알코올, 예를 들면 C10∼C30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을 함유한다는 공통의 특징을 갖는다.
왁스 공급원에 따라, 모노에스테르의 혼합물은 또한 어느 특정 비율의 히드록시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히드록시팔미트산 또는 히드록시스테아르산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즈 왁스가 이 경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에이코사놀, 도코사놀 또는 테트라코사놀이다. 비즈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델리라 왁스, 쌀겨 왁스, 해바라기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쉘락 왁스 및 사탕수수 왁스는 천연 고체 왁스의 예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왁스는 비즈 왁스이다.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를 얻는데 적합한 고체 왁스는 50 내지 90℃의 사이의 융점을 갖는다. 이들은 식 R1-C(O)-O-R2를 갖는 모노에스테르를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에 해당하며, 식 중, R1-C(O)-기는 지방산의 잔기에 해당하고, 상기 산은 일반적으로 선형 및 포화이며, 적어도 18개, 특히 20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44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4개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것에는 에이코사노산(또는 아라키드산)(C20), 도코사노산(또는 베헨산)(C22), 테트라코사노산(또는 리그노세르산)(C24) 및 헥사코사노산(또는 세로트산)(C26)이 포함된다. 왁스 공급원에 따라, 모노에스테르의 혼합물은 또한 어느 특정 비율의 히드록시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히드록시팔미트산 또는 히드록시스테아르산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즈 왁스가 이 경우이다. R2기는 알코올의 탄화수소 사슬에 해당하고, 상기 알코올은 일반적으로 포화 및 선형이며, 적어도 18개, 특히 20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44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4개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에이코사놀, 도코사놀 또는 테트라코사놀이다. 비즈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델리라 왁스, 쌀겨 왁스, 해바라기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쉘락 왁스 및 사탕수수 왁스는 천연 고체 왁스의 예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반응에 적합한 고체 왁스는 비즈 왁스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2-메틸 프로판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옥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및 폴리글리세롤(즉, 글리세롤 단위의 폴리머)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폴리글리세롤이며, 2 내지 6 사이, 바람직하게는 3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폴리글리세롤-3이다.
바람직하게는,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임의적으로 1종 이상의 촉매의 존재 하에서 1종 이상의 고체 왁스와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를 함께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왁스 유도체이다. 그러한 경우, 다양한 화학적 구성체 사이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일어나고, 왁스 유도체를 생성한다.
바람직한 촉매는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혹은 알칼리토금속 알콕사이드, 수산화칼슘, 탄산칼륨 혹은 탄산나트륨, 또는 주석 혹은 티타늄계의 촉매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왁스는 유리하게는 카나우바 왁스, 칸델리라 왁스, 쌀겨 왁스, 해바라기 왁스, 사탕수수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비즈 왁스 및 셀락 왁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왁스 유도체는 호호바 오일(호호바 왁스라고도 불린다), 비즈 왁스 및 폴리글리세롤, 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롤-3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실제로,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20℃의 사이, 유리하게는 150℃ 내지 200℃의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불포화 에스테르/고체 왁스의 질량비는 5/95 내지 95/5 사이, 유리하게는 30/70 내지 75/25 사이에서 변화한다. 식 (A) 및 (B)의 에스테르/폴리올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99 내지 99/1 사이, 유리하게는 95/5 내지 50/50 사이에서 변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폴리올의 비율은 혼합물의 0.5 내지 50중량% 사이이며, 에스테르화 지방산의 비율은 혼합물의 20 내지 60중량% 사이이고, 에스테르화 지방 알코올의 비율은 혼합물의 20 내지 60중량% 사이이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14∼C22 지방산과 폴리글리세롤과의 디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C14∼C22 지방산은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베헨산, 에루크산 및 아라키드산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은 글리세롤 단위의 폴리머이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사이, 바람직하게는 6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 폴리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에스테르는 디스테아르산과 헥사글리세롤과의 디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이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지방 알코올의 예로서, 합성 기원 혹은 천연 기원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 알코올, 예를 들어, 식물 재료(코코넛, 팜커넬, 팜 등) 또는 동물 재료(탤로우 등)를 기원으로 하는 알코올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보다 우선적으로는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방 알코올의 특정 예로서, 특히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세틸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의 혼합물), 베헤닐 알코올, 에루실 알코올 및 아라키딜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R1 및 R2가 각각 C18∼C30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가 모노불포화인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와; R3 및 R4가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C20∼C34 지방 사슬을 나타내는 식 (B)의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와; 세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고체 왁스와 폴리올과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얻어진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과의 지방산 디에스테르, 호호바 왁스(바람직하게는, 호호바 왁스 에스테르) 및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는 비이온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와, 세틸 알코올 및 호호바 왁스와의 혼합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특히 바람직한 혼합물 중에서, 호호바 왁스, 세틸 알코올,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를 포함하는, Gattefosse사에서 상품명 Emulium® Mellifera으로 판매하는 제품(INCI명: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및) 호호바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 (및) 세틸 알코올)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호호바 왁스와; 3 내지 15중량%의 세틸 알코올과; 적어도 50중량%의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와; 3 내지 15중량%의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를 포함한다.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호호바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 및 세틸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3중량%일 수 있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알킬폴리글리코시드"라는 용어는 알킬단당(중합도 1) 또는 알킬다당(중합도 1 초과)을 의미하는 것을 의도한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단독으로 또는 여러 종류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는 식 (I) 화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식 중, R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2∼C22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12∼C20 알킬 라디칼이며, G는 당 잔기이며, x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2.5, 보다 우선적으로는 1.1 내지 2의 범위이다.
당 잔기는 글루코오스, 덱스트로스, 사카로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오스, 셀로비오스, 만노오스, 리보오스, 덱스트란, 탈로오스, 알로오스, 자일로오스, 레보글루칸, 셀룰로오스 및 전분의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우선적으로는 당 잔기는 글루코오스를 나타낸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다당 부분의 각 단위는 α 또는 β 이성질체형, L 또는 D형일 수 있고, 당 잔기의 입체 배치는 푸라노시드 또는 피라노시드형일 수 있는 것에도 유의해야 한다.
당연히, 알킬 다당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포함된 알킬 단위의 성질 및/또는 포함하는 다당 사슬의 성질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 알코올과, 그 알킬 부분이 선택된 지방 알코올의 알킬 부분과 동일한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정의되는 지방 알코올/알킬폴리글리코시드 유화 혼합물은 특히 특허출원 WO 92/06778, WO 95/13863 및 WO 98/47610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지방 알코올/알킬폴리글리코시드 혼합물 중에서, SEPPIC사에서 상품명 Montanov®로 판매하는 제품, 예를 들면 다음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 세틸스테아릴 알코올/코코일 글루코시드(Montanov 82®),
- 아라키딜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시드(Montanov 802®),
- 미리스틸 알코올/미리스틸 글루코시드(Montanov 14®),
- 세틸스테아릴 알코올/세틸스테아릴 글루코시드(Montanov 68®),
- C14∼C22 알코올/C12∼C20 알킬 글루코시드(Montanov L®),
- 코코일 알코올/코코일 글루코시드(Montanov S®) 및
- 이소스테아릴 알코올/이소스테아릴 글루코시드(Montanov WO 18®).
특정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C12∼C20 글루코시드이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C14∼C22 알코올과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일 구체예에 따르면, C14∼C22 알코올/C12∼C20 알킬 글루코시드 혼합물, 예를 들면 약 20%의 C12∼C20 알킬 글루코시드와 약 80%의 C14∼C22 알코올로 구성되는, SEPPIC사에서 상품명 Montanov 68®로 판매하는 제품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내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일 수 있다.
(친수성 겔화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결정 셀룰로오스 이외의 (d) 1종 이상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를 사용할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당 친수성 겔화제는 글루칸, 변성 및 비변성 전분(예를 들면, 소맥, 옥수수 또는 쌀 등의 곡물, 편두 등의 채소, 감자 또는 카사바 등의 근채에서 얻어지는 것),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글리코겐, 덱스트란,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만난, 자일란, 리그닌, 아라반, 갈락탄, 갈락트로난, 키틴, 키토산, 글루쿠로노자일란, 아라비녹실란, 자일로글루칸, 글루코만난, 펙틴산 및 펙틴, 알긴산 및 알긴산염, 아라비노갈락탄, 카라기난, 한천, 글리코사미노글루칸, 아라비아 검, 트래거캔스 검, 가티 검, 카라야 검, 캐롭 검, 갈락토만난, 예를 들면 구아 검 및 이들의 비이온성 유도체(히드록시프로필구아) 및 잔탄 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은 특히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Kirk-Othmer, 제3판, 1982년, 제3권, pp.896∼900 및 제15권, pp.439∼58, Polymers in Nature, E. A. MacGregor 및 C. T. Greenwood 저, John Wiley & Sons, 제6장, pp.240∼328, 1980년 및 Industrial Gums--poly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Roy L. Whistler 편저, 제2판, Academic Press Inc.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서 선택되고, 이들 3개 서적의 내용은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특허출원에 포함된다.
(d) 다당 친수성 겔화제는 잔탄 검, 캐롭 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캐롭 검이다.
(d) 다당 친수성 겔화제는 잔탄 검 및 캐롭 검의 혼합물, 예를 들면 잔탄 검과 세라토니아 실리쿠아(캐롭) 검을 50/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NOMCORT® CG(Nisshin Oillio Group, Ltd.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다당 친수성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8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다당 친수성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다당 친수성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5중량%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8중량% 내지 0.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0.1중량%일 수 있다.
(오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e)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오일을 사용할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은 대기압(760mmHg)하 실온(25℃)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비고체) 형태인 지방 화합물 또는 물질을 의미한다. 오일로서, 화장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오일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다.
오일은 비극성 오일, 예를 들면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 등; 극성 오일, 예를 들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및 에스테르 오일 또는 에테르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오일은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오일,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의 예로서 예를 들면, 아마씨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넛 오일, 옥수수유, 밍크 오일, 올리브유, 아보카도 오일, 산다화유, 피마자유, 홍화유,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유, 아몬드 오일, 유채씨유, 참오일, 대두유, 낙화생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동물성 오일의 예로는 예를 들면, 스쿠알렌 및 스쿠알란을 언급할 수 있다.
합성 오일의 예로는, 알칸 오일, 예를 들면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 에스테르 오일, 에테르 오일 및 인공 트리글리세리드를 언급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선형 또는 분지형인 C1∼C26 지방족 1가산 또는 다가산과, 포화 또는 불포화의, 선형 또는 분지형인 C1∼C26 지방족 모노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의 액체 에스테르이며, 에스테르의 탄소 원자의 총합은 1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알코올의 에스테르에 대해, 본 발명의 에스테르가 유래하는 알코올 및 산 중 하나 이상은 분지형이다.
1가산 및 모노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중, 에틸 팔미테이트, 에틸 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카프릴일 카보네이트, 알킬 미리스테이트,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에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C4∼C22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과 C1∼C22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과 비당 C4∼C26 디히드록시, 트리히드록시, 테트라히드록시, 또는 펜타히드록시 알코올의 에스테르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디에틸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비스(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n-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이소스테아릴 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말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릴 시트레이트, 글리세릴 트리락테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트리옥틸도데실 시트레이트, 트리올레일 시트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로는, C6∼C30, 바람직하게는 C12∼C22 지방산의 당 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당"이라는 용어는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고, 몇 가지의 알코올 관능기를 함유하며, 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산소 함유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된다. 이들 당은 단당, 올리고당 또는 다당일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바람직한 당의 예에는, 수크로오스(또는 사카로오스),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푸코오스, 말토오스, 프럭토오스, 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및 락토오스, 및 이들의 유도체, 특히 알킬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글루코오스가 포함된다.
지방산의 당 에스테르는 특히, 상기 기재한 당과,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C6∼C30, 바람직하게는 C12∼C22 지방산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이 불포화인 경우, 이들 화합물은 1내지 3개의 공액 또는 비공액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이 변형 형태에 따른 에스테르는 또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올레에이트, 라우레이트, 팔미테이트, 미리스테이트, 베헤네이트, 코코에이트, 스테아레이트, 리놀레에이트, 리놀레네이트, 카프레이트 및 아라키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면 특히 올레오팔미테이트, 올레오스테아레이트 및 팔미토스테아레이트의 혼합 에스테르, 또한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에틸 헥사노에이트일 수 있다.
보다 특히,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특히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의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디올레에이트, 스테아레이트, 베헤네이트, 올레오팔미테이트, 리놀레에이트, 리놀레네이트, 및 올레오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된다.
언급할 수 있는 예는 Amerchol사에서 상품명 Glucate® DO로 판매하는 제품이며, 이는 메틸글루코오스 디올레에이트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오일의 예로는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2-에틸헥실 헥사노에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세틸 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옥타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미리스틸 프로피오네이트, 2-에틸헥실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에틸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카프릴일 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헥실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인공 트리글리세리드의 예로서, 예를 들면, 카프릴 카프릴일 글리세리드,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트리팔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리놀레네이트, 글리세릴 트리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리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카프리레이트)(INCI명: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카프리레이트/리놀레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예로서, 예를 들면, 선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INCI명: 디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은 액체 폴리디알킬실록산, 특히 액체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하나 이상의 아릴기를 포함하는 액체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서 선택된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또한, 유기수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유기수식 실리콘은 상기 정의한 실리콘 오일이며, 탄화수소계 기를 개재하여 부착된 하나 이상의 유기관능기를 그 구조 중에 포함한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Walter Noll의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 (1968), Academic Press에 보다 상세하게 정의되어 있다. 이들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다.
이들이 휘발성인 경우, 실리콘은 보다 특히, 끓는점이 60℃ 내지 260℃의 사이인 것에서, 더욱 특히, 하기에서 선택된다:
(i) 3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개의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디알킬실록산. 이들은, 예를 들면, 특히 Union Carbide사에서 상품명 Volatile Silicone® 7207로, 또는 Rhodia사에서 상품명 Silbione® 70045 V2로 판매하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Union Carbide사에서 상품명 Volatile Silicone® 7158로, Rhodia사에서 상품명 Silbione® 70045 V5로 판매하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사에서 상품명 Silsoft 1217로 판매하는 도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다음 식의 디메틸실록산/메틸알킬실록산과 같은 유형의 시클로코폴리머, 예를 들면 Union Carbide사에서 판매하는 Silicone Volatile® FZ 3109도 언급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7
고리형 폴리디알킬실록산과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과의 혼합물, 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테트라트리메틸실릴펜타에리트리톨(50/50)의 혼합물 및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옥시-1,1'-비스(2,2,2',2',3,3'-헥사트리메틸실릴옥시)네오펜탄의 혼합물도 언급할 수 있다; 및
(ii) 2 내지 9개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고, 점도가 25℃에서 5×10-6㎡/s 이하인 선형 휘발성 폴리디알킬실록산. 예는 특히 Toray Silicone사에서 상품명 SH 200으로 판매하는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이다. 이 분류에 속하는 실리콘은 또한, Cosmetics and Toiletries에서 출판된 논문 Vol.91, Jan. 76, pp.27-32, Todd & Byers, Volatile Silicone Fluids for Cosmetics에 기재되어 있다. 실리콘의 점도는 ASTM 규격 445 부록 C에 따라 25℃에서 측정된다.
비휘발성 폴리디알킬실록산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비휘발성 실리콘은 보다 특히, 폴리디알킬실록산에서 선택되며, 그 중에서 주로, 트리메틸실릴 말단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 폴리디알킬실록산 중, 비제한적으로, 하기의 시판 제품을 언급할 수 있다:
- Rhodia사에서 판매하는 47 및 70 047 시리즈의 Silbione® 오일 또는 Mirasil® 오일, 예를 들면 오일 70 047 V 500 000;
- Rhodia사에서 판매하는 Mirasil® 시리즈의 오일;
- Dow Corning사 제조의 200 시리즈의 오일, 예를 들면 점도가 60000㎟/s인 DC200; 및
- General Electric사 제조의 Viscasil® 오일 및 General Electric사 제조의 SF시리즈의 일부 오일(SF 96, SF 18).
디메티콘올(CTFA)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는 디메틸실라놀 말단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예를 들면 Rhodia사 제조의 48 시리즈의 오일도 언급할 수 있다.
아릴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중, 폴리디아릴실록산, 특히 폴리디페닐실록산 및 폴리알킬아릴실록산, 예를 들면 페닐 실리콘 오일을 언급할 수 있다.
페닐 실리콘 오일은 하기 식의 페닐 실리콘에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식 중,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선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의 C1∼C30 탄화수소계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1∼C12 탄화수소계 라디칼,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6 탄화수소계 라디칼,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라디칼이고,
m, n,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의 정수이며,
단, n+m+q 합은 0이 아니다.
언급할 수 있는 예에는, 하기 명칭으로 판매하는 제품을 포함한다:
- Rhodia사 제조 70 641 시리즈의 Silbione® 오일;
- Rhodia사 제조 Rhodorsil® 70 633 및 763 시리즈의 오일;
- Dow Corning사 제조 오일 Dow Corning 556 Cosmetic Grade Fluid;
- Bayer사 제조 PK 시리즈의 실리콘, 예를 들면 제품 PK20;
- General Electric사 제조 SF 시리즈의 일부 오일, 예를 들면 SF 1023, SF 1154, SF 1250 및 SF 1265.
페닐 실리콘 오일로서, 페닐 트리메티콘(상기 식 중, R1 내지 R10은 메틸이고; p, q 및 n=0이며; m=1이다)이 바람직하다.
유기수식된 액체 실리콘은 특히, 폴리에틸렌옥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 기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Shin-Etsu사 제조 실리콘 KF-6017, 및 Union Carbide사 제조 오일 Silwet® L722 및 L77을 언급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하기에서 선택할 수 있다:
- 선형 또는 분지형의, 임의로 고리형인 C6∼C16 저급 알칸. 언급될 수 있는 예는, 헥산,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및 이소파라핀, 예를 들면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데칸을 포함한다; 및
- 16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액체 페트롤레움 젤리, 폴리데센 및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예를 들면 Parleam®, 및 스쿠알란.
탄화수소 오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면,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예를 들면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또는 페트롤라툼, 나프탈렌 등;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이소에이코산 및 데센/부텐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 중의 "지방"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다수 탄소 원자의 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은 지방 알코올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지방 알코올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구조 R-OH(식 중, R은 4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및 불포화의, 선형 및 분지형 라디칼에서 선택된다)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는, R은 C12∼C20 알킬 및 C12∼C20 알케닐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R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의 예로서, 라우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운데실레닐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리놀레일 알코올, 팔미트올레일 알코올, 아라키도닐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 알코올은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C6∼C30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6∼C30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12∼C20 알코올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포화 지방 알코올"이라는 용어는 긴 지방족 포화 탄소 사슬을 갖는 알코올을 의미한다. 포화 지방 알코올은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6∼C30 지방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6∼C30 지방 알코올 중,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12∼C20 지방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16∼C20 지방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C16∼C20 지방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포화 지방 알코올의 예로서, 라우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운데실레닐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는, 옥틸도데칸올 및 헥실데칸올이 포화 지방 알코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서 사용되는 지방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e)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e)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e)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f)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f)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f)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9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f)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55중량%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85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이 O/W형, 특히 O/W 에멀션의 형태일 경우, (f) 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수성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g) 1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2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하게는 식물 기원의 단백질 또는 실크 단백질의 음이온성 유도체, 포스페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 카르복실레이트, 술포숙시네이트, 아미노산 유도체,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술포네이트, 이세티오네이트, 타우레이트,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폴리펩티드,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1) 식물 기원의 단백질의 음이온성 유도체는 소수성 기를 포함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며, 상기 소수성 기는 단백질 내에 본래 존재하는 것이거나 또는 단백질 및/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소수성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단백질은 식물 기원의 단백질이거나 또는 실크로부터 유도되며, 소수성 기는 특히 지방 사슬, 예를 들어 10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사슬일 수 있다. 식물 기원의 단백질의 음이온성 유도체로서, 더욱 특별하게는 10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사슬을 함유하는, 사과, 밀, 대두 또는 귀리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그들의 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사슬은 특히 라우릴 사슬일 수 있으며, 염은 나트륨, 칼륨 및/또는 암모늄 염일 수 있다.
따라서, 소수성 기를 함유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서, 예를 들어 단백질이 라우르산에 의해 수식된 실크 단백질인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염, 예를 들어 Kawaken사에서 상품명 Kawa Silk로 판매하는 제품; 단백질이 라우르산에 의해 수식된 밀 단백질인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염, 예를 들어 Croda사에서 상품명 Aminofoam W OR로 판매하는 칼륨 염(CTFA명: 포타슘 라우로일 밀 아미노산) 및 Seppic사에서 상품명 Proteol LW 30로 판매하는 나트륨 염(CTFA명: 소듐 라우로일 밀 아미노산); 단백질이 10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귀리 단백질인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염, 더욱 특별하게는 단백질이 라우르산에 의해 수식된 귀리 단백질인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염, 예를 들어 Seppic사에서 상품명 Proteol OAT(30% 수성 용액)로 판매하는 나트륨 염(CTFA명: 소듐 라우로일 귀리 아미노산); 또는 10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사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염, 예를 들어 Seppic사에서 상품명 Proteol APL(30% 수성/글리콜 용액)로 판매하는 나트륨 염(CTFA명: 소듐 코코일 사과 아미노산)을 언급할 수 있다. 또한, Seppic사에서 상품명 Proteol SAV 50 S로 판매하는 소듐 N-메틸글리시네이트로 중화된 라우로일 아미노산들(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알라닌)의 혼합물(CTFA명: 소듐 코코일 아미노산)을 언급할 수 있다.
2) 포스페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서, 예를 들어 모노알킬 포스페이트 및 디알킬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Kao Chemicals사에서 상품명 MAP 20®로 판매하는 라우릴 모노포스페이트, 도데실 포스페이트의 칼륨 염, Cognis사에서 상품명 Crafol AP-31®로 판매하는 모노- 및 디에스테르(주로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Cognis사에서 상품명 Crafol AP-20®로 판매하는 옥틸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Condea사에서 상품명 Isofol 12 7 EO-Phosphate Ester®로 판매하는 에톡실화(7몰의 EO) 2-부틸옥틸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Uniqema사에서 상품명 Arlatone MAP 230K-40® 및 Arlatone MAP 230T-60®로 판매하는 모노(C12-C13)알킬 포스페이트의 칼륨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염, Rhodia Chimie사에서 상품명 Dermalcare MAP XC-99/09®로 판매하는 포타슘 라우릴 포스페이트 및 DSM NUTRITIONAL PRODUCTS사에서 상품명 AMPHISOL K로 판매하는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3) 카르복실레이트로서 하기의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AEC), 예를 들어 Kao Chemicals사에서 상품명 Akypo Foam 30®로 판매하는 소듐 라우릴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3 EO);
- 폴리옥시에틸렌화 카르복실산 염, 예를 들어 Kao Chemicals사에서 상품명 Akypo Soft 45 NV®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6 EO) 소듐 라우릴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65/25/10 C12-C14-C16), Biologia E Tecnologia사에서 상품명 Olivem 400®로 판매하는 올리브유로부터 기원하는 폴리옥시에틸렌화 및 카르복시메틸화 지방산, 또는 Nikkol사에서 상품명 Nikkol ECTD-6NEX®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6 EO) 소듐 트리데실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 유기 또는 무기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라이신 및 아르기닌으로 중화되는 C6∼C22 알킬 사슬을 갖는 지방산의 염(비누).
4) 특별하게는,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아미노산의 알칼리 염, 예를 들어 하기의 것을 언급할 수 있다:
- 사르코시네이트, 예를 들어 Ciba사에서 상품명 Sarkosyl NL 97®로 판매하거나 또는 Seppic사에서 상품명 Oramix L 30®로 판매하는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Nikkol사에서 상품명 Nikkol Sarcosinate MN®로 판매하는 소듐 미리스토일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Nikkol사에서 상품명 Nikkol Sarcosinate PN®로 판매하는 소듐 팔미토일 사르코시네이트;
- 알라니네이트, 예를 들어 Nikkol사에서 상품명 Sodium Nikkol Alaninate LN 30®로 판매하거나, 또는 Kawaken사에서 상품명 Alanone ALE®로 판매하는 소듐 N-라우로일-N-메틸아미도프로피오네이트, 또는 Kawaken사에서 상품명 Alanone ALTA®로 판매하는 트리에탄올아민 N-라우로일-N-메틸알라닌;
- 글루타메이트, 예를 들어 Ajinomoto사에서 상품명 Acylglutamate CT-12®로 판매하는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코코일 글루타메이트, Ajinomoto사에서 상품명 Acylglutamate LT-12®로 판매하는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 아스파르테이트, 예를 들어 Mitsubishi사에서 상품명 Asparack®로 판매하는 트리에탄올아민 N-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 N-미리스토일 아스파르테이트의 혼합물;
- 글리신 유도체(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Ajinomoto사에서 상품명 Amilite GCS-12® 및 Amilite GCK 12로 판매하는 소듐 N-코코일 글리시네이트;
- 시트레이트, 예를 들어 Goldschmidt사에서 상품명 Witconol EC 1129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9mol) 코코 알코올의 시트릭 모노에스테르; 및
- 갈락투로네이트, 예를 들어 Soliance사에서 판매하는 소듐 도데실 D-갈락토시드 우로네이트.
5) 술포숙시네이트로서, 예를 들어 Witco사에서 상품명 Setacin 103 Special® 및 Rewopol SB-FA 30K 4®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3 EO) 라우릴(70/30 C12/C14) 알코올 모노술포숙시네이트, Zschimmer Schwarz사에서 상품명 Setacin F Special Paste®로 판매하는 C12∼C14 알코올의 헤미술포숙시네이트의 이나트륨 염, Cognis사에서 상품명 Standapol SH 135®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2 EO) 디소듐 올레아미도술포숙시네이트, Sanyo사에서 상품명 Lebon A-5000®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5 EO) 라우르아미드 모노술포숙시네이트, Witco사에서 상품명 Rewopol SB CS 50®로 판매하는 옥시에틸렌화(10 EO) 라우릴 시트레이트 모노술포숙시네이트의 이나트륨 염, 또는 Witco사에서 상품명 Rewoderm S 1333®로 판매하는 리시놀레익 모노에탄올아미드 모노술포숙시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폴리디메틸실록산 술포숙시네이트, 예를 들어 MacIntyre사에서 상품명 Mackanate-DC 30로 판매하는 디소듐 PEG-12 디메티콘 술포숙시네이트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6) 알킬 설페이트로서,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CTFA명: TEA 라우릴 설페이트), 예를 들어 Huntsman사에서 상품명 Empicol TL40 FL로 판매하는 제품 또는 Cognis사에서 상품명 Texapon T42로 판매하는, 수성 용액 중 40%로 존재하는 제품을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CTFA명: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예를 들어 Huntsman사에서 상품명 Empicol AL 30FL로 판매하는, 수성 용액 중 30%로 존재하는 제품을 언급할 수 있다.
7)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로서,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CTFA명: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예를 들어 Cognis사에서 상품명 Texapon N40 및 Texapon AOS 225 UP로 판매하는 것, 또는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CTFA명: 암모늄 라우레트 설페이트), 예를 들어 Cognis사에서 상품명 Standapol EA-2로 판매하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8) 술포네이트로서, 예를 들어 α-올레핀술포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α-올레핀술포네이트(C14∼C16)로서, Stepan사에서 상품명 Bio-Terge AS-40®로 판매하는 것, Witco사에서 상품명 Witconate AOS Protege® 및 Sulframine AOS PH 12®로 판매하는 것, 또는 Stepan사에서 상품명 Bio-Terge AS-40 CG®로 판매하는 것, Clariant사에서 상품명 Hostapur SAS 30®로 판매하는 2차 소듐 올레핀술포네이트; 또는 선형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예를 들어 Manro사에서 상품명 Manrosol SXS30®, Manrosol SXS40® 및 Manrosol SXS93®로 판매하는 소듐 자일렌술포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9) 이세티오네이트로서,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예를 들어 Jordan사에서 상품명 Jordapon CI P®로 판매하는 제품을 언급할 수 있다.
10) 타우레이트로서, Clariant사에서 상품명 Hostapon CT Pate®로 판매하는 팜핵유 메틸타우레이트의 나트륨 염; N-아실-N-메틸타우레이트, 예를 들어 Clariant사에서 상품명 Hostapon LT-SF®로 판매하거나, 또는 Nikkol사에서 상품명 Nikkol CMT-30-T®로 판매하는 소듐 N-코코일-N-메틸타우레이트, 상품명 Nikkol SMT®로 판매하는 소듐 메틸 스테아로일 타우레이트, 또는 Nikkol사에서 상품명 Nikkol PMT®로 판매하는 소듐 팔미토일 메틸타우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11)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는 특별하게는 알킬 폴리글루코시드로부터 수득되는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술포숙시네이트, 카보네이트 및 글리세롤 에테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esalpinia사에서 상품명 Eucarol AGE-ET®로 판매하는 코코일폴리글루코시드(1,4) 타르타르산 에스테르의 나트륨 염, Seppic사에서 상품명 Essai 512 MP®로 판매하는 코코일폴리글루코시드(1,4)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의 이나트륨 염, 또는 Cesalpinia사에서 상품명 Eucarol AGE-EC®로 판매하는 코코일폴리글루코시드(1,4) 시트르산 에스테르의 나트륨 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유도체에 대해, 이들은 아실 글리신 유도체 또는 글리신 유도체, 특별하게는 아실 글리신 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 글리신 유도체 또는 글리신 유도체는 아실 글리신 염(또는 아실 글리시네이트) 또는 글리신 염(또는 글리시네이트), 특별하게는 하기의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i) 식 (I)의 아실 글리시네이트:
Figure pct00009
식 중,
- R은 아실기 R'C=O를 나타내고, 식 중, R'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사슬을 나타내고,
- X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Na, Li 또는 K, 바람직하게는 Na 또는 K의 이온,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어 Mg의 이온, 암모늄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을 나타낸다.
아실기는 특별하게는 라우로일, 미리스토일, 베헤노일, 팔미토일, 스테아로일, 이소스테아로일, 올리보일, 코코일 또는 올레일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이 코코일기이다.
ii) 하기 식 (II)의 글리시네이트:
Figure pct00010
식 중:
- R1은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사슬을 나타내고; R1은 유리하게는 라우릴, 미리스틸, 팔미틸, 스테아릴, 세틸, 세테아릴 또는 올레일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릴 및 올레일기로부터 선택되고,
- R2 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OH 기를 나타내며, R"은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다.
상기 식 (I)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INCI명이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인 화합물, 예를 들어 Ajinomoto사에서 판매하는 Amilite GCS-12, 또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Ajinomoto사에서 판매하는 Amilite GCK-12를 언급할 수 있다.
식 (II)의 화합물로서, 디히드록시에틸 올레일 글리시네이트 또는 디히드록시에틸 스테아릴 글리시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누가 아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올레핀 술포네이트; 및 아실이세티오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트 설페이트, 디소듐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디암모늄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디에틸헥실 소듐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올레일 숙신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메틸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릴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레트-5 카르복실레이트, 라우릴 에테르 카르복실산,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틸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틸아민 라우레트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트 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레트 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라우레트 설페이트, 라우릭 모노글리세리드 소듐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포타슘 라우릴 설페이트, 포타슘 라우레트 설페이트, 암모늄 코코일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로일 설페이트, 소듐 코코일 설페이트, 소듐 라우로일 설페이트, 포타슘 코코일 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코코일 설페이트, 소듐 트리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소듐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소듐 C14∼C16 올레핀 술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스테아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포타슘 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알라니에이트, TEA-코코일 알라니네이트,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내지 0.2중량%일 수 있다.
(다른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1종 이상의 임의의 또는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또는 추가의 성분의 양은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임의의 또는 추가의 성분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머;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유기 또는 무기 UV 차폐제; 펩타이드 및 그 유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팽윤제 및 침투제; 탈모에 대항하기 위한 약제; 비듬방지제; 천연 또는 합성 증점제; 현탁화제; 금속 이온 봉쇄제; 유백제; 염료; 자외선 차단제; 비타민 또는 프로비타민; 향료; 보존제, 공-보존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더욱 안정화한 O/W 에멀션을 제공하기 위한 1종 또는 여러 종류의 고체 지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지방 물질은 대기압(760mmHg) 하 실온(25℃)에서 고체의 형태인 지방 화합물 또는 물질을 의미한다. 고체 지방 물질은 지방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선형 및 포화의 고급 알코올, 특히 선형 및 포화의 C14∼C22 지방 알코올, 예를 들면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종 또는 여러 종류의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알코올, 특히 1가 알코올, 예를 들면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 다른 폴리올, 예를 들면 글리세롤, 당 및 당 알코올; 및 에테르,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 에테르, 및 부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 에테르일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용매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10중량%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H는 제어될 수 있다. pH는 예를 들면 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일 수 있다. pH는 1종 이상의 산성화제 및/또는 1종 이상의 염기성화제를 사용하여,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산성화제는, 예를 들면 무기산 또는 유기산, 예를 들면 염산, 오르토인산,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및 락트산 또는 술폰산일 수 있다.
염기성화제는 예를 들면 수산화암모늄,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알칼리금속 탄산염,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 및 또한 이들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및 아래 식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11
식 중,
R은 알킬렌, 예를 들어 히드록실 또는 C1∼C4 알킬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는 프로필렌을 나타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 라디칼, 또는 C1∼C4 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이는 1,3-프로판디아민 및 그 유도체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아르기닌, 요소 및 모노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산성화제 또는 염기성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O/W형, 보다 바람직하게는 O/W 에멀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O/W 겔 에멀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상 중에 분산한 유상으로 구성되는 O/W 구성 또는 구조는 외부 수성상을 갖고, 따라서, O/W 구성 또는 구조를 기초로 하는 제품은 이들이 제공할 수 있는 즉각적인 상쾌함 때문에 사용하기에 더욱 쾌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O/W형, 바람직하게는 O/W 에멀션, 보다 바람직하게는 O/W 겔 에멀션의 형태일 경우, 이것은 연속 수성상 중에 분산한 유상을 포함한다. 분산한 유상은 수성상 중의 액적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O/W형, 보다 바람직하게는 O/W 에멀션, 휠씬 더 바람직하게는 O/W 겔 에멀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O/W 미세 에멀션,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휠씬 더 바람직하게는 나노-에멀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f), 및 임의 성분 (g), 및/또는 상기에서 설명한 추가의 임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i) (f) 물;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d) 1종 이상의 상기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
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공정,
(ii) 임의적으로 공정 (i)에서 얻어진 제1 혼합물을
(g) 1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와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공정,
(iii) 공정 (i)에서 얻어진 제1 혼합물 또는 공정 (ii)에서 얻어진 제2 혼합물을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및
(e) 1종 이상의 오일
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혼합 공정은 임의의 통상의 수단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용도 및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스킨케어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저온 및 고온 하에서도 장기간의 시간 동안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미세 미스트를 분주 또는 방출하도록 분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용 후 상쾌한 감각, 특히 적용 직후의 상쾌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쾌한 감각은 사용 처음부터 시작하여, 사용 중에 지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피부는 얼굴 피부, 목 피부 및 두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점막, 예를 들면 입술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대로(국소용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섬유제의 부직포 등의 다공질 기재에 함침시켜 미용 마스크 등의 미용 제품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케라틴 물질, 예를 들면 피부 또는 입술, 바람직하게는 피부에의 적용을 의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또는 입술,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메이크업이 아니라 스킨케어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등의 피부 메이크업 제품이 아니라, 로션(특히 유액) 및 크림 등의 스킨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등의 케라틴 물질을 위한 화장 방법은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분무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분무 가능한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노즐 및 기계식 펌프를 포함하는, 미스트 생성 수단을 구비한 병, 튜브 및 베셀 등의 용기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소위 에어로졸 제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노즐 및 휘발성 탄화수소 및 디메틸에테르 등 분사제를 포함하는 미스트 생성 수단을 구비한 병, 튜브 및 베셀 등의 용기 내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에어로졸 제품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이 양호한 분무성 및 안정성을 갖도록 하고 또한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e) 오일 및 (f)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의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및
(d) 1종 이상의 상기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
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비한정적 예로서 제공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다음의 조성물을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했다.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의 양에 대한 수치는 모두 표에 나타내는 성분의 "중량%"에 기초한다.
Figure pct00012
*1 NOMCORT® CG (Nisshin Oillio Group, Ltd.사): 잔탄 검/세라토니아 실리쿠아(캐롭) 검 = 50/50(중량부)
*2 Avicel® PC 611 (FMC Corporation사): 미결정 셀룰로오스/셀룰로오스 검 = 85/15(중량부)
*3 RHEOCRYSTA® C-2SP (DKS Co. Ltd.사): 미결정 셀룰로오스/물/페녹시에탄올 = 2/97/1(중량부)
*4 MontanovTM 68 (SEPPIC사): 세테아릴 알코올/세테아릴 글루코시드 = 80/20(중량부)
*5 Emulium® Mellifera (GATTEFOSSE사):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호호바 에스테르/세틸 알코올/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 = 64/19/8.5/8.5(중량부)
[평가]
{관능 평가}
5명의 전문 패널리스트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의 "분무성" 및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평가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을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분무성)
(1) 분무 상태
각 패널리스트는 시판하는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 각각을 분무하고, 1(불량)에서 5(우수)까지 등급을 매기고, 이어서, 등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이하의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우수(5.0 내지 4.0): 분무 조성물이 노즐에서 분무되고, 우수한 미세 미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양호(3.9 내지 3.0): 분무 조성물이 노즐에서 분무되고, 미세 미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불량(2.9 내지 2.0): 분무 조성물이 노즐에서 분무될 수 있으나, 미세 미스트를 형성할 수 없다.
매우 불량(1.9 내지 1.0): 분무 조성물이 노즐에서 분무되지 못하고, 즉, 분무 조성물이 미스트를 형성할 수 없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시판하는 스프레이 용기: 스프레이어:SP-22 (ALBEA사) 및 병
(2) 분무 직후 상쾌한 감촉
각 패널리스트는 시판하는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 각각을 자신의 얼굴에 분무하고, 각 조성물에 대해 분무 직후의 상쾌한 감촉을 평가하여, 1(불량) 내지 5(우수)까지 등급을 매기고, 이어서 등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이하의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우수(5.0 내지 4.0): 분무 후에 매우 상쾌한 감촉을 느낀다.
양호(3.9 내지 3.0): 분무 후에 상쾌한 감촉을 느낀다.
불량(2.9 내지 2.0): 분무 후에 거의 상쾌한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매우 불량(1.9 내지 1.0): 분무 후에 상쾌한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시판하는 스프레이 용기: 스프레이어:SP-22 (ALBEA사) 및 병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부드러운 피부 마무리))
각 패널리스트는 시판하는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 각각을 자신의 얼굴로 분무하고, 각 조성물에 대해 적용 후의 비점착성 감촉을 평가하여, 1(불량) 내지 5(우수)까지 등급을 매기고, 이어서 등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이하의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우수(5.0 내지 4.0): 적용 후에 매우 부드러운 감촉을 느낀다.
양호(3.9 내지 3.0): 적용 후에 부드러운 감촉을 느낀다.
불량(2.9 내지 2.0): 적용 후에 거의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매우 불량(1.9 내지 1.0): 적용 후에 점착성 감촉을 느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시판하는 스프레이 용기: 스프레이어:SP-22 (ALBEA사) 및 병
{온도 안정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 각각을 4개의 유리병에 충전하고, 유리병의 각각을 각각 4℃, 25℃, 40℃ 및 45℃의 온도 조건하에서 2개월 동안 유지했다.
이어서, 각 유리병을 변화의 정도(투명도, 색상, 냄새 및 pH의 점에서)에 대해 조사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우수: 생성시와 거의 동일한 상태.
양호: 색상, 냄새 및 pH의 변화가 약간 관찰되었다. 분리 양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불량: 색상, 냄새 및 pH의 변화가 분명하게 관찰되었다. 분리 양상도 또한 분명하게 관찰되었다.
매우 불량: 색상, 냄새 및 pH의 변화가 현저히 인식되었다. 분리 양상이 현저히 인식되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2를 비교예 1에 대해 살펴보면, (a) 미결정 셀룰로오스가 다양한 온도 조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를 비교예 2에 대해 살펴보면,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분무 직후 상쾌한 감촉 및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 또는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 특히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를 비교예 3에 대해 살펴보면,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미세 미스트를 분무하는 것 및 분무 직후 상쾌한 감촉 및 적용 후 비점착성 감촉 또는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를 비교예 4에 대해 살펴보면, (d) 상기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분무 직후 상쾌한 감촉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표 1로부터 성분 (a) 내지 (d)가 양호한 분무성 및 안정성을 갖고, 부드러운 피부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 특히 O/W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을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8)

  1. (a) 1종 이상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b) 1종 이상의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1종 이상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
    (d) 1종 이상의 상기 성분 (a) 이외의 다당 친수성 겔화제;
    (e) 1종 이상의 오일; 및
    (f) 물
    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O/W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미결정 셀룰로오스가 입자의 형태이며, 상기 입자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평균 입경을 바람직하게 갖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a)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내지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중량%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i)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
    Figure pct00013

    식 중,
    R1 및 R2는 각각 C18∼C44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는 모노불포화이다;
    ii) 식 (B)의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
    Figure pct00014

    식 중,
    R3 및 R4는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C18∼C44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n은 2 내지 6 사이의 정수이다; 및
    iii) 1종 이상의 C10∼C30 지방 알코올
    을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R1 및 R2가 각각 C18∼C30 지방 사슬을 나타내고,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가 모노불포화인 식 (A)의 1종 이상의 모노불포화 에스테르와; R3 및 R4가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C20∼C34 지방 사슬을 나타내는 식 (B)의 1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디에스테르와; 세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C14∼C22 지방산과 폴리글리세롤과의 디에스테르, 및/또는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호호바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3 비즈 왁스 및 세틸 알코올의 혼합물인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b)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3중량%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가 식 (I)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Figure pct00015

    식 중, R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2∼C22 알킬 라디칼이며, x는 1 내지 5의 범위이며, G는 글루코오스, 덱스트로스, 사카로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오스, 셀로비오스, 만노오스, 리보오스, 덱스트란, 탈로오스, 알로오스, 자일로오스, 레보글루칸, 셀룰로오스 및 전분의 군에서 선택되는 당 잔기이며, 바람직하게는, G는 글루코오스이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c) 알킬폴리글리코시드형 계면활성제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내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인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다당 친수성 겔화제가 잔탄 검, 캐롭 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d) 다당 친수성 겔화제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5중량%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8중량% 내지 0.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0.1중량%인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e) 오일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8중량%인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f) 물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55중량%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85중량%인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 1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상기 (g)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중량% 내지 0.2중량%인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킨케어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
KR1020207024623A 2018-03-01 2019-02-26 분무 가능한 조성물 KR20200115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6344 2018-03-01
JP2018036344A JP2019151566A (ja) 2018-03-01 2018-03-01 噴霧可能な組成物
PCT/JP2019/008257 WO2019168193A1 (en) 2018-03-01 2019-02-26 Sprayable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586A true KR20200115586A (ko) 2020-10-07

Family

ID=6599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623A KR20200115586A (ko) 2018-03-01 2019-02-26 분무 가능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405591A1 (ko)
EP (1) EP3758674A1 (ko)
JP (1) JP2019151566A (ko)
KR (1) KR20200115586A (ko)
CN (1) CN111741742A (ko)
WO (1) WO2019168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5343B2 (ja) 2017-02-08 2021-03-17 エルケム・シリコーンズ・ユーエスエイ・コーポレーションElkem Silicones Usa Corp. 温度管理の改善された二次電池パック
JP7258529B2 (ja) * 2018-12-07 2023-04-17 ロレアル 2種のポリグリセリン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
FR3104949B1 (fr) * 2019-12-20 2022-07-08 Oreal Dispositif de pulverisation d’une composition biphase comprenant une phase aqueuse comprenant un ou des polyols et une phase huileuse comprenant des huiles non siliconees
WO2022004802A1 (ja) * 2020-07-01 2022-01-06 株式会社Merry Plus 化粧品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9035A1 (de) * 1990-09-13 1992-03-19 Huels Chemische Werke Ag Waschmittel
FR2668080B1 (fr) 1990-10-17 1993-08-13 Seppic Sa Compositions auto-emulsionnables a base d'alcools gra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our la realisation d'emulsions.
FR2712595B1 (fr) 1993-11-19 1995-12-22 Seppic Sa Un concentré comportant des alkylglycosides et ses utilisations.
FR2738482B1 (fr) * 1995-09-07 1997-10-24 Oreal Composition conditionnante et detergente a usage capillaire
FR2762317B1 (fr) 1997-04-21 1999-07-09 Seppic Sa Composition a base d'alkylpolyglycosides et d'alcools gras, et ses utilisations
EP1532971A4 (en) * 2002-06-07 2008-10-08 Sunstar Kk PREPARATIONS FOR THE ORAL CAVITY
JP4195447B2 (ja) * 2002-09-20 2008-12-10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ミクロ結晶性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
US20040131690A1 (en) * 2002-09-20 2004-07-08 Lynch Maurice Gerard Beads and methods of preparation
IL152486A0 (en) * 2002-10-25 2003-05-29 Meir Eini Alcohol-fre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carrier
US20080138296A1 (en) * 2002-10-25 2008-06-12 Foamix Ltd. Foam prepared from nanoemulsions and uses
DE10320435A1 (de) * 2003-05-08 2004-11-25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Sulfosuccinate
US8343467B2 (en) * 2004-12-27 2013-01-01 Beiersdorf Ag Glycopyrrolate in cosmetic preparations
GB2445832A (en) * 2007-01-04 2008-07-23 Ciba Sc Holding Ag Composition comprising organic UV absorbing agent with enhanced oil/film solubility
US20110150812A1 (en) * 2009-12-22 2011-06-23 L'oreal S.A. Natural conditioning cosmetic compositions
WO2013055774A1 (en) * 2011-10-11 2013-04-18 Fallien Cosmeceuticals, Ltd. Foamable sunscreen formulation
JP6356382B2 (ja) * 2012-12-21 2018-07-11 ロレアル 化粧品組成物
FR3002140B1 (fr) * 2013-02-21 2015-07-31 Oreal Emulsion huile-dans-eau soft-solid comprenant un melange de tensioactifs non-ioniques, un polysaccharide hydrosoluble et une cire comprenant au moins un ester
GB2548775B (en) * 2014-12-29 2020-09-02 Kimberly Clark Co Cosmetic emulsions
EP3267964B1 (en) * 2015-03-13 2021-01-27 Evonik Specialty Chemicals (Shanghai) Co., Ltd. Peg free stable low viscosity oil-in-water emulsio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1742A (zh) 2020-10-02
WO2019168193A1 (en) 2019-09-06
JP2019151566A (ja) 2019-09-12
EP3758674A1 (en) 2021-01-06
US20200405591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5586A (ko) 분무 가능한 조성물
KR102386970B1 (ko) 나노-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JP6728044B2 (ja) 油、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c−グリコシド化合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102626020B1 (ko) 2종의 폴리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4098265A1 (en) Cosmetic composition
DE10133399A1 (de) Zusammensetzung auf Wachsbasis
EP2314270B1 (de) Haarreinigungsprodukt
KR102617003B1 (ko) 발포성 조성물
JP2015196663A (ja) ナノ又は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組成物
JP2014118400A (ja) 無水化粧料組成物
KR102490687B1 (ko) 클렌징 적합 조성물
WO2016005184A1 (de) Isoparaffin-haltiges kosmetisches mittel
WO2015193497A1 (en) Multi-phase anhydrous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il, at least one polyol and non ionic surfactants, and cosmetic process thereof
DE102005013768A1 (de) Schäumbar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JP2013063959A (ja) W/o型乳化毛髪化粧料
JP7214360B2 (ja) 分解又は消失可能な顆粒又は集合体を含む、安定な組成物
CN111358713B (zh) 共聚物
JP2014118399A (ja) 無水化粧料組成物
JP2014122191A (ja) 油、非イオン界面活性剤及びジャスモン酸誘導体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7080605B2 (ja) エーテル油を含む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EP1455742A1 (de) Antitranspirant-zusammensetzung
JP2022140717A (ja) O/w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組成物
JPH03200710A (ja) 乳化型化粧料
EP3253363B1 (de) Körperreinigungs- und pflegemittel
JP2016108262A (ja) 植物抽出物を含む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