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091A -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091A
KR20200115091A KR1020200016354A KR20200016354A KR20200115091A KR 20200115091 A KR20200115091 A KR 20200115091A KR 1020200016354 A KR1020200016354 A KR 1020200016354A KR 20200016354 A KR20200016354 A KR 20200016354A KR 20200115091 A KR20200115091 A KR 2020011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black matrix
protective layer
entir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겸
이경모
이태형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39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04430A1/ko
Priority to JP2021558598A priority patent/JP7270061B2/ja
Priority to US17/599,296 priority patent/US20220171100A1/en
Priority to CN202020406735.5U priority patent/CN212312931U/zh
Priority to CN202010225521.2A priority patent/CN111746058A/zh
Publication of KR2020011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데코 필름은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보호층, 그리고 보호층의 전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단일 층의 유기막으로 구성되며 표시부 영역과 경계에 단일 단차의 테이퍼부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Deco Film, Window Film and Laminate therewith,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코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랙 매트릭스를 갖는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그리고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코 필름은 빛을 차단하면서 장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데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나 소재, 예를들어 유연디스플레이용 윈도우(초박형 글라스 윈도우, 필름 윈도우 등), 층간 삽입 필름(충격 흡수층, 비산 방지층 등), 터치센서, 편광층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데코 필름이 터치센서에 사용되는 예를 보면, 터치 센서는 감지셀로 구성되어 빛이 투과하는 중앙의 표시부 영역(View Area)과 배선부가 배치되고 빛이 차단되는 가장자리의 베젤 영역(Bezel Area)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베젤 영역에는 데코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데코 필름은 빛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에 이용된 선행기술로서 한국특허공개 제2018-0107347호(데코필름 일체형 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내용을 보면, 데코 필름부의 하부면을 덮는 은나노 파이버층을 포함하고, 은나노 파이버층에 터치센서의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한국특허공개 제2018-0107347호는 블랙 매트릭스의 단차 제거를 위한 UV 글루층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터치센서에 적용된 종래기술의 데코 필름은 여전히 블랙 매트릭스의 단차 및 은나노 파이버층의 후막성으로 인해 데코 필름이 두껍고, 표시부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 영역의 경계에서 빛이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특허문헌] 한국특허공개 제2018-010734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데코 필름의 두께를 더 줄일 수 있고,
둘째, 표시부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의 경계에서 빛이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코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보호층, 블랙 매트릭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호층은 유기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보호층의 전면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단일 층의 유기막으로 구성할 수 있고, 표시부 영역과 경계에 단일 단차의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분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층은 보호층의 하부에 결합하고 유기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보호층 및 블랙 매스릭스의 전면에 형성되고 투명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평탄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에서, 평탄화층은 오버코팅층으로 구성되고, 1 내지 2.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은 보호층 및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 형성되고, 두께를 1 내지 50㎛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에서, 블랙 매트릭스는 표시부 영역부터 0.5 내지 2㎛ 선폭 범위 내에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에서, 블랙 매트릭스는 슬로프 이후 영역에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 필름에서, 블랙 매트릭스는 슬로프 이후 영역에서의 두께를 1.2 내지 2.0㎛, 광학밀도를 5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위에서 설명한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의 분리층 후면에 결합하는 접착층, 그리고 접착층에 결합하는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에서, 기능층은 투명 필름, 편광판, 터치 센서층, 방습 필름, 초박형 글라스일 수 있다. 여기서, 초박형 글라스는 25 내지 50㎛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에서,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ether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테르술폰산(polyether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therket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아라미드(Aramide), 에프알피(FR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에서, 투명 필름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무색 폴리이미드(polyimide)의 적층체, 또는 하드코팅을 포함하는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적층체는 위에서 설명한 윈도우 필름, 그리고 윈도우 필름 상에 적층되는 터치 센서 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은, 캐리어 기판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분리층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층의 전면에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노광, 현상하여 단일 층 및 단일 단차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블랙 매트릭스를 후 열처리하는 단계, 보호층에서 분리층과 캐리어 기판을 분리하여 데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은, 캐리어 기판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분리층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층의 전면에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노광, 현상하여 단일 층 및 단일 단차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블랙 매트릭스를 후 열처리하는 단계, 분리층에서 캐리어 기판을 분리하여 데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은 보호층 및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 투명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오버코팅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평탄화층 형성 단계는 포토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은 보호층 및 블랙 매스릭스의 전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후 열처리(Post Bake) 단계는 190~250℃에서 10~30분 열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데코 필름에 의하면, 블랙 매트릭스를 포토 공정을 통해 단일 층 및 단일 단차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를 2.0㎛ 이하로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랙 매트릭스 상부에 적층되는 평탄화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데코 필름의 전체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코 필름에 의하면, 블랙 매트릭스를 표시부 영역에서 적어도 2㎛ 이격된 지점부터 5 이상의 광학 밀도가 되게 함으로써, 표시부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 영역의 경계에서 빛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에서 블랙 매트릭스의 형상을 보여주는 확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제2 실시예의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은 보호층(110), 블랙 매트릭스(120), 평탄화층(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호층(110)은 블랙 매트릭스(120)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공정에서 보호층(110)에서 분리층(140)과 캐리어 기판(200)에서 분리할 때 블랙 매트릭스(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층(110)은 수산기, 카르복실기 및 아마이드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보호층(110)의 전면에 패터닝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는 차광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표시부 영역, 즉 표시부를 둘러싸는 베젤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박막의 단일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단일 단차의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흑색 수지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흑색 수지 조성물은 흑색 안료 입자가 분산된 수지, 바인더 수지,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나 흑색 안료를 포함하여 흑색을 띠는 광경화(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광학 밀도가 1㎛당 3.8 이상을 갖는 선택적 패터닝이 가능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흑색 안료는 카본 블랙, 흑연, 금속 산화물 등일 수 있다. 흑색 안료는 유기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유기 블랙 안료는 아닐린 블랙, 락탐 블랙 또는 페릴렌 블랙 계열 등일 수 있다.
첨가제는 밀착 촉진제, 광가교 증감제, 경화 촉진제, 계면 활성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열중합 방지제, 레벨링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박막 구성을 위해 포토 공정(Photolithography)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포토 공정은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보호층(110)에 도포한 후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노광 및 현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노광 광원으로는 파장이 250~450㎚의 광을 발산하는 수은 증기 아크, 탄소 아크, Xe 아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탄화층(130)은 보호층(110)과 블랙 매트릭스(120)의 전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블랙 매트릭스(120)의 표면 단차 보정, 평탄화, 굴절률 제어, 보호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평탄화층(130)은 유기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무기막, 유무기 하이브리드 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유기막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라잔, 실리카, 또는 광투과율이 확보된 무기막, 금속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막에는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필러는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형 나노입자일 수 있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막은 실록산, 실세스퀴옥산 등의 분산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평탄화층(130)은 오버코팅(over coating) 층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평탄화층(130)은 두께를 1~2.5㎛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오버코팅 평탄화층(130)을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대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점착층은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조성물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하거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은 두께를 1~50㎛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에서 블랙 매트릭스의 형상을 보여주는 확대 사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120)는 포토 공정을 통해 박막의 단일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광학 밀도가 두께 1㎛ 당 3.8 이상인 유기물, 예를들어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5.0 이상의 광학 밀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두께(H)를 1.0~2.0㎛, 바람직하게는 1.2~2.0㎛로 구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단일 단차의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다. 테이퍼부는 슬로프(S)를 가질 수 있다. 슬로프(S)는 포토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는 하측에 테일(tail)을 가질 수 있는데, 테일은 후 열처리(post bake)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후 열처리 공정은 190~250℃에서 10~30분 동안 열처리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테이퍼부의 폭(T), 즉 표시부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120)의 최고 두께(H) 지점까지의 폭을 2㎛ 이내로 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표시부 영역에서 2㎛ 이격된 지점부터 광학밀도를 5 이상,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두께(H)를 예를들어 1.2~2.0㎛로 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표시부 영역에서 0.5㎛ 이후부터는 광학밀도를 3.0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표시부 영역부터 0.5 내지 2㎛의 폭 범위 내에 슬로프(S)를 형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0)는 슬로프(S) 이후 영역에서는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블랙 매트릭스(120)는 표시부 영역의 경계에서 광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제2 실시예의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데코 필름은 보호층(110)의 하부에 분리층(14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분리층(140)은 전면에 형성되는 보호층(110)과 블랙 매트릭스(120)를 지지 보호하는 것으로, 제조 공정에서 보호층(110) 또는 캐리어 기판(200)과 분리될 수 있다.
분리층(140)은 캐리어 기판(200), 예를들어 유리 기판에 대해 박리력이 5 N/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N/25㎜일 수 있고, 박리 후에는 표면 에너지가 30 ~70mN/m 일 수 있다. 분리층(140)은 10~1000nm 두께, 바람직하게는 50~500n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분리층(140)과 보호층(110)에 대해 박리력이 예를 들어, 8N/25mm 이상 15N/25m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N/25mm 이상일 수 있다.
분리층(140)은 고분자 유기막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고분자 유기막에는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 폴리아믹산(polyamic acid)계 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계 고분자,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고분자, 폴리스타일렌(polystylene)계 고분자,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계 고분자,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계 고분자,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계 고분자,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계 고분자,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등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유리 기판(200)을 준비할 수 있다. 유리 기판(200)은 캐리어 기판으로서, 공정 중에 쉽게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적정 강도를 갖는 것이면 어떤 재질의 것도 가능한데, 예를들어 유리 외에 석영, 실리콘 웨이퍼, 서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유리 기판(200)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분리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분리층(140)은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
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c)에서, 분리층(140)의 전면에 보호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은 수산기, 카르복실기 및 아마이드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경화, 증착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d)에서, 보호층(110)의 전면에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을 코팅할 수 있다.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은 흑색 안료 입자가 분산된 수지, 바인더 수지,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광학 밀도가 1㎛당 3.8 이상을 갖는 선택적 패터닝이 가능한 조성물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은 1.0~2.0㎛, 바람직하게는 1.2~2.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은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e)에서,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을 포토 마스크(300)를 이용하여 노광할 수 있다. 노광 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노광 전에 전 열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노광 후 현상을 통해, 블랙 매트릭스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현상은, 예를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 리튬 등의 탄산염을 1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알칼리 수용액 원액을 90~100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여, 10~50℃ 온도에서 현상기, 초음파 세정기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터닝된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은 단일 층으로 구성되고 단일 단차의 테이퍼부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f)에서, 패터닝된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120)은 후 열처리될 수 있다. 후 열처리 단계는 190~250℃에서 10~3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테이퍼부의 테일은 포토 공정 상에서 열처리 공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형상은 블랙 매트릭스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층, 예를들어 오버코팅 평탄화층, TSP 배선, 안테나 배선 등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후 열처리는 핫 플레이트, 오븐 등에서 가열하거나, 적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컨벡션 오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g-1)에서, 보호층(110)에서 분리층(140)과 유리 기판(200)을 분리하여,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110,1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g-2)와 같이, 분리층(140)에서 유리 기판(200)을 분리하여 분리층(140)을 포함하는 제2 실시예의 데코 필름(140,110,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h-1,h-2)에서, 제1 실시예의 데코 필름은 전면에 평탄화층(130)을, 후면에 접착층(400)을 매개로 기능층(510,520)을 결합할 수 있다.
평탄화층(130)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막을 사용하여 오버코팅(over coating) 층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평탄화층(130)은 두께를 1.5~2.5㎛로 구성할 수 있다. 평탄화층(130)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평탄화층(130)은 1~50㎛의 두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h-1,h-2)에서, 평탄화층(130)은 박막 형성을 위해 오버코팅층과 점착층 모두에서 포토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평탄화층(130)을 광경화, 열경화, 광경화와 열경화의 병행으로 형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h-1,h-2)에서, 접착층(400)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열경화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층(510,520)은 투명 필름, 편광판, 방습 필름, 터치센서층, 초박형 글라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무색 폴리이미드(polyimide)의 적층체, 또는 하드코팅을 포함하는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으로 구성되는 층일 수 있다.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ether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테르술폰산(polyether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therket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아라미드(Aramide), 에프알피(FR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적층체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 즉 윈도우 필름과, 윈도우 필름 상에 적층되는 터치센서, 안테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LCD-TF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0 : 보호층 120 : 블랙 매트릭스
130 : 평탄화층 140 : 분리층
200 : 유리 기판 300 : 포토 마스크
400 : 접착층 510 : 하드코팅 무색 PI 필름
520 : PET 필름 S : 슬로프(slope)
T : 테이퍼부 폭 H : 테이퍼부 최고 두께

Claims (19)

  1.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전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단일 층의 유기막으로 구성되며, 표시부 영역과 경계에 단일 단차의 테이퍼부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하부에 결합하고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분리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블랙 매스릭스의 전면에 형성되고, 투명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평탄화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은
    오버코팅층으로 구성되고, 1 내지 2.5㎛의 두께를 갖는, 데코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 형성되고, 두께가 1 내지 50㎛인 점착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표시부 영역부터 0.5 내지 2㎛의 폭 범위 내에 슬로프가 형성되는, 데코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슬로프 이후 영역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슬로프 이후 영역에서 두께를 1.2 내지 2.0㎛, 광학밀도를 5 이상으로 갖는, 데코 필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데코 필름;
    상기 데코 필름의 보호층 또는 분리층 후면에 결합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에 결합하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투명 필름, 편광판, 터치 센서층, 방습 필름, 초박형 글라스인, 윈도우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ether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테르술폰산(polyether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therket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아라미드(Aramide), 에프알피(FR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무색 폴리이미드(polyimide)의 적층체, 또는 하드코팅을 포함하는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로 구성되는, 윈도우 필름.
  13. 제9항에 따른 윈도우 필름;
    상기 윈도우 필름 상에 적층되는 터치 센서 또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14. 캐리어 기판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층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의 전면에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노광, 현상하여 단일 층 및 단일 단차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후 열처리(Post Bake)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에서 상기 분리층과 캐리어 기판을 분리하여 데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15. 캐리어 기판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층의 전면에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의 전면에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노광, 현상하여 단일 층 및 단일 단차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후 열처리(Post Bake)하는 단계;
    상기 분리층에서 상기 캐리어 기판을 분리하여 데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 투명 유기막으로 구성되는 오버코팅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 형성 단계는
    포토 공정으로 형성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블랙 매스릭스의 전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 열처리(Post Bake) 단계는
    190 내지 250℃에서 10 내지 30분 간 열처리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00016354A 2019-03-29 2020-02-11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15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935 WO2020204430A1 (ko) 2019-03-29 2020-03-23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1558598A JP7270061B2 (ja) 2019-03-29 2020-03-23 デコフィルム、これを有するウィンドウフィルム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7/599,296 US20220171100A1 (en) 2019-03-29 2020-03-23 Decorative film, window film and laminat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020406735.5U CN212312931U (zh) 2019-03-29 2020-03-26 装饰膜、具备其的窗膜和窗口层压体
CN202010225521.2A CN111746058A (zh) 2019-03-29 2020-03-26 装饰膜、具备其的窗膜和窗口层压体及装饰膜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6756 2019-03-29
KR1020190036756 2019-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091A true KR20200115091A (ko) 2020-10-07

Family

ID=7288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54A KR20200115091A (ko) 2019-03-29 2020-02-11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5091A (ko)
CN (1) CN2123129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306A1 (ko) * 2020-12-22 2022-06-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용 양면 점착 시트
WO2022145851A1 (ko) * 2020-12-28 2022-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원도우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0061B2 (ja) * 2019-03-29 2023-05-09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デコフィルム、これを有するウィンドウフィルム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306A1 (ko) * 2020-12-22 2022-06-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용 양면 점착 시트
WO2022145851A1 (ko) * 2020-12-28 2022-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원도우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312931U (zh)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54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TWI514033B (zh) 透明導電性積層體之製造方法
KR20200115091A (ko)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10031631B2 (en) Transfer film, method for producing transfer film, transparent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laminate, capacitance-type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225053B2 (ja) 感光性積層体、転写材料、パターン化された感光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並びに画像表示装置
WO2016104204A1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09025833A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機器の製造方法
WO2013088999A1 (ja) 前面板付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2469311B1 (ko)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291993B (zh) 整合有偏光板的窗基板及其制备方法
CN106773199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8351722B (zh) 薄膜触控传感器
CN108139823B (zh) 薄膜触控传感器及其制造方法
TWI534679B (zh) 觸控面板及其製法
JP2017128083A (ja) 積層体の製造方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2015118342A (ja) 液晶レンズ部付きの表示装置
US20220171100A1 (en) Decorative film, window film and laminat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230304A (ja) 液晶表示用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液晶表示用保護シート、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6717001B2 (ja) 機能層付部材の製造方法
KR20230113037A (ko) 차폐층에 의한 단차를 개선한 유연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747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12583B1 (ko) 필름 터치 센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01356211A (ja) 薄膜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007637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04179A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