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999A -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999A
KR20200114999A KR1020190121724A KR20190121724A KR20200114999A KR 20200114999 A KR20200114999 A KR 20200114999A KR 1020190121724 A KR1020190121724 A KR 1020190121724A KR 20190121724 A KR20190121724 A KR 20190121724A KR 20200114999 A KR20200114999 A KR 20200114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enclosure
concrete floor
emergency evacuatio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983B1 (ko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이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362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083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이승열 filed Critical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2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9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999A/ko
Priority to KR1020210113483A priority patent/KR102429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83B1/ko
Priority to KR1020220095636A priority patent/KR10251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비상 피난 구조물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 및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체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는 주거 문화에서 많은 고층 건물의 등장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고층 건물은 화재 또는 기타의 위급한 상황 발생 시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의 대피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일정 층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위난 시 탈출할 수 있는 비상 탈출 수단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고층 건물에는 피난자가 비상 상황에서 구조되기까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비상 대피 공간, 및 피난자가 건물에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비상 탈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최근에, 보다 안전하고 실효성있는 비상 탈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상술한 비상 대피 공간 및 비상 탈출 수단을 제공하는 다양한 비상 피난 구조물 및 비상 피난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7500호(2013.07.19.)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피난자에게 대피 공간 및 피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비상 피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 및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체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이 제공된다.
외부 프레임은 콘크리트 바닥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 피난 구조물은 콘크리트 바닥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바닥체의 하면으로부터 건물의 외벽으로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물끊기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함체는,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상부 함체, 및 상부 함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피난 통로를 연장시키는 하부 함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 및 함체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상 피난 구조물은 함체에 결합되어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피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 피난 구조물은 외부 프레임 및 콘크리트 바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외부 프레임에 공간부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거푸집판을 결합하는 단계,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 외부 프레임, 거푸집판 및 함체의 결합체를 인양하여 건물의 외벽에 결합하는 단계,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는 단계, 콘크리트 바닥체를 양생하는 단계, 및 거푸집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함체 내부에는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피난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비상 피난 구조물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콘크리트 바닥체 외면에 마감재가 결합되도록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마감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피난자에게 대피 공간 및 피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110),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120), 및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100)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피난자에게 대피 공간 및 피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110)은 콘크리트 바닥체(130) 및 함체(120)가 배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재질의 판 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0)의 상단부는 공간부 측으로 절곡되어 콘크리트 바닥체(130)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의 하단부는 후술할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면에 형성되는 물끊기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곡된 외부 프레임(110)의 상단부는 콘크리트 바닥체(130)에 묻히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바닥체(130)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110)은 상하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건물 외벽과 맞닿는 면을 포함하여 상술한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의 상하면에는 콘크리트 바닥체(13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함체(120)의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상하부는 외부로 노출되므로, 비 등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상면에 흡수되는 수분은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면으로 배출 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은 상측이 각 모서리가 접하는 부분 및 일정 길이 이상의 모서리의 사이에 한점을 제외하고 하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 꼭지점 부분은 본 실시예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난간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외부 프레임(110)과 콘크리트 바닥체(13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은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프레임은 각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파이프의 모서리가 겹치는 부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단위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100)은 복수의 단위 프레임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외하고 콘크리트 바닥체(1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 외부 프레임(110)은 공간부의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은 측면에 배치되는 단위 프레임이 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들여져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에 배치되는 단위 프레임의 외측으로 후술할 마감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4,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체(130)는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체(130)는 외부 프레임(110)과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함체(1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 하면을 커버하는 거푸집판(140)이 외부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이 복수의 단위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 프레임(110)의 측면을 커버하는 거푸집판(140)이 설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체(130)는 본 실시예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건물의 외벽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건물의 슬라브 및 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는 건물의 슬라브 및 외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철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철근과 함께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정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끊기 홈(132)은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면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면으로부터 건물의 외벽으로 물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끊기 홈(132)은 일면이 돌출된 거푸집판(140) 및 외부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공간부 측으로 절곡되는 면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면 가장자리를 둘러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의 외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물끊기 홈(132)에 의해 더 이상 건물의 외벽으로 흐르지 못하고 물끊기 홈(132)에 맺혀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4,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의 하면보다 콘크리트 바닥체(130) 또는 마감재(150)가 상측에 시공되는 경우 별도의 물끊기 홈(132)을 형성하지 않아도 외부 프레임(110)의 하면과 콘크리트 바닥체(130) 또는 마감재(150) 사이에서 외면을 따라 물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20)는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함체(120)의 배치는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서 일정한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상부 함체(122), 및 상부 함체(122)의 하측에 결합되며 피난 통로를 연장시키는 하부 함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바닥체(130)와 결합될 수 있다.
함체(120)는 콘크리트 바닥체(130)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발생하는 측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 이상을 가진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함체(122)와 하부 함체(124)를 포함하는 함체(120)는 함체(120)의 측면에 작용하는 콘크리트 측압을 분산시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함체(122)의 하단부와 하부 함체(124)의 상단부는 각각 함체(120)의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각각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닿아 볼트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함체(122)의 상단부와 하부 함체(124)의 하단부는 각각 함체(120)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함체(122) 및 하부 함체(124)의 절곡된 단부는 상술한 외부 프레임(110)의 경우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체(130)에 묻혀 콘크리트 바닥체(130)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유닛(126)은 함체(120)에 결합되어 피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난 유닛(126)은 함체(1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피난 사다리 등의 비상 피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150)는 외부 프레임(110) 및 콘크리트 바닥체(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마감재(15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부 프레임(110) 및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방수, 방염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색상 및 무늬를 포함하는 마감재(150)를 사용하여 건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100)의 각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며, 도 1에서 거푸집 판(140)은 하면의 외부 프레임(110)의 하면에 배치되며, 도 2에서 거푸집 판(140)은 하면의 절곡된 외부 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된다는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바닥체(130)와 하면에 배치된 외부 프레임(11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도 3에서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 거푸집 판(140)을 제거한 후, 하면의 절곡된 외부 프레임(110) 사이에 마감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배치된 외부 프레임(110)이 각 꼭지점 부분을 제외하고 하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절곡되지 않은 상측 외부 프레임(110)은 외부 프레임(110) 상측에 설치되는 난간의 결합이 용이 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은 비상 피난 구조물(100)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양 유닛 예를 들어, 아이 볼트가 결합될 수 있으며, 시공이 끝면 아이 볼트이 제거되고 난간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할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비교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10)은 공간부의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공간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공간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110)의 상측에 마감재(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마감재(150)의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바닥체(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을 시공하면 하면에 별도의 거푸집 판(140)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5 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110)이 공간부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오프셋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 외부 프레임(110)의 외면에 마감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외부 프레임(110)은 마감재(150)에 의해 외부로 나타나지 않아 마감재(150)에 의해 일관된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110)을 외부의 환경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푸집 판(140)은 도 11과 같이 하부의 외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3과 같이 하부의 외부 프레임(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과 같이 거푸집 판(140)이 하부의 외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면, 하부의 외부 프레임(110) 사이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프레임(110)과 콘크리트가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3에서 거푸집 판(140)대신에 마감재(150)로 대체되어 시공될 수 있으며, 거푸집 판(140)을 제거하는 공정 없지 본 실시예의 비상 피난 구조물(100)을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피난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110)을 제공하는 단계(S110), 외부 프레임(110)에 공간부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거푸집판(140)을 결합하는 단계(S120),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120)를 배치하는 단계(S130), 외부 프레임(110), 거푸집판(140) 및 함체(120)의 결합체를 인양하여 건물의 외벽에 결합하는 단계(S140),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형성하는 단계(S160),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양생하는 단계(S170), 및 거푸집판(140)을 제거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100) 시공 방법이 제시된다.
먼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110)을 제공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외부 프레임(110)에 공간부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거푸집판(140)을 결합할 수 있다(S120).
여기서, 거푸집판(140)과 외부 프레임(110)은 결합 홀이 형성되어 결합 핀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120)를 배치할 수 있다(S130).
함체(120)는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 내에서 배치된 상태의 함체(12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함체(120)의 하단은 거푸집판(14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프레임(110), 거푸집판(140) 및 함체(120)의 결합체를 인양하여 건물의 외벽에 결합할 수 있다(S140).
외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인양을 위한 견인 고리 예를 들어, 아이 볼트(eye bolt)를 결합하여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외부 프레임(110), 거푸집판(140) 및 함체(120)의 결합체를 인양할 수 있다. 인양한 외부 프레임(110), 거푸집판(140) 및 함체(120)의 결합체는 별도의 결합 유닛을 통하여 건물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형성할 수 있다(S160).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콘크리트 바닥체(130)의 양생이 끝나면 거푸집판(140)을 제거하기 위해 거푸집판(140)에는 박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양생하고(S170), 거푸집판(140)을 제거할 수 있다(S180).
선택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콘크리트 바닥체(130) 외면에 마감재(150)가 결합되도록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마감재(150)를 배치할 수 있다(S150).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된 마감재(15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바닥체(130)를 형성하면서 콘크리트 바닥체(130)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체(120) 내부에는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피난 유닛(126)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단계는 함체(120)를 외부 프레임(110)의 공간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외부 프레임(110), 거푸집판(140) 및 함체(120)의 결합체가 건물의 외벽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시공 과정에 따라 언제든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의 시공 방법과 같이 진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시공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비상 피난 구조물
110: 외부 프레임
120: 함체
122: 상부 함체
124: 하부 함체
126: 피난 유닛
130: 콘크리트 바닥체
132: 물끊기 홈
140: 거푸집판
150: 마감재

Claims (10)

  1.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 및
    상기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체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물끊기 홈을 더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한 상기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상부 함체; 및
    상기 상부 함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피난 통로를 연장시키는 하부 함체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함체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비상 피난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 결합되어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피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8.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외부 프레임에 공간부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거푸집판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프레임, 상기 거푸집판 및 상기 함체의 결합체를 인양하여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를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부에는 피난 통로를 제공하는 피난 유닛이 설치되는, 비상 피난 구조물 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콘크리트 바닥체 외면에 마감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의 공간부에 상기 마감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상 피난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90121724A 2019-03-28 2019-10-01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9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24A KR102296983B1 (ko) 2019-03-28 2019-10-01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210113483A KR102429884B1 (ko) 2019-10-01 2021-08-26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220095636A KR102519022B1 (ko) 2019-10-01 2022-08-01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249A KR102030832B1 (ko) 2019-03-28 2019-03-28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190121724A KR102296983B1 (ko) 2019-03-28 2019-10-01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249A Division KR102030832B1 (ko) 2019-03-28 2019-03-28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483A Division KR102429884B1 (ko) 2019-10-01 2021-08-26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999A true KR20200114999A (ko) 2020-10-07
KR102296983B1 KR102296983B1 (ko) 2021-09-01

Family

ID=7288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724A KR102296983B1 (ko) 2019-03-28 2019-10-01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9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496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KR101118163B1 (ko) * 2011-10-12 2012-03-16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지수판이 구비된 함체 구조
KR20120120607A (ko) *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엘원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287500B1 (ko) 2013-01-15 2013-07-19 주식회사 그린택지티에스 하향식 피난 사다리 구조물용 보관부재
KR101703533B1 (ko) * 2016-02-11 2017-02-08 최승수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496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KR20120120607A (ko) *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엘원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118163B1 (ko) * 2011-10-12 2012-03-16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지수판이 구비된 함체 구조
KR101287500B1 (ko) 2013-01-15 2013-07-19 주식회사 그린택지티에스 하향식 피난 사다리 구조물용 보관부재
KR101703533B1 (ko) * 2016-02-11 2017-02-08 최승수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983B1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022B1 (ko)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30832B1 (ko)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00038841A (ja)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支持装置
KR101309564B1 (ko) 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KR20200114999A (ko)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9981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0573515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JP4449875B2 (ja) 大断面のトンネル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939110B1 (ko) 피난사다리용 외곽케이스의 조립구조
KR20210028361A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설치를 위한 바닥 개구부 형성용 거푸집 프레임
JP2011132721A (ja) ポンプ設置マンホール用中間スラブ
KR101879291B1 (ko)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KR101459236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거푸집 시스템
KR20190068404A (ko)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KR102484229B1 (ko) 비상 피난용 모듈화 구조물
ES2962654T3 (es) Bastidor de refuerzo y diseño de losa
KR20220090968A (ko)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KR101069022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박스폼
KR101394454B1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KR101045097B1 (ko) 고소 안전 작업대
KR200385987Y1 (ko) 개구부 덮개
JP2009275355A (ja) 住宅の床着脱構造及び住宅の改装方法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4445366B2 (ja) タワークレーン架台設置部の補強方法
JP7349402B2 (ja) 支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