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496A -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496A
KR20090070496A KR1020070138522A KR20070138522A KR20090070496A KR 20090070496 A KR20090070496 A KR 20090070496A KR 1020070138522 A KR1020070138522 A KR 1020070138522A KR 20070138522 A KR20070138522 A KR 20070138522A KR 20090070496 A KR20090070496 A KR 2009007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inish
foam plastic
ceiling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범규
이윤식
윤성봉
신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Priority to KR102007013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496A/ko
Publication of KR2009007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은,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 보레이트계, 저융점프리트, 열경화성수지, 접착보조제, 발수제, 경화제, 무기질 분체 중 선택된 1 종 이상과 발포플라스틱을 혼합 및 코팅하거나, 이미 성형된 발포플라스틱의 내부에 주입하여 제조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준비한 다음, 거푸집을 제작하고, 그 하부 지지부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 상부에 준비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스페이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철근 배근한 다음, 상기의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후, 지지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뿜칠마감재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난연과 단열의 마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인 내부 마감이 없도록 하는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천장슬래브, 마감재, 단열, 난연, 발포플라스틱

Description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HE CEILING SLAB, WHICH USE THE FOAMED PLASTIC FINISHING MATERIAL HAVING INFLAME AND ADIABETIC ABILITY}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장슬래브 단열재는 먼저 거푸집을 형성하고 단열재를 그 위에 설치한 후 스페이서 및 철근 배근을 하고나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과 하부 서포트를 제거하고, 마감용 보드나 난연 및 단열 뿜칠 피복재로 마감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거푸집을 제거할 때 기존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치로폼 등의 유기질 단열재는 표면이 유기질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를 충분히 양생하더라도 접착력 부족으로 거푸집 제거 시 부분적으로 탈락되거나 부서지는 현상과 그 자체의 연화점과 용융점이 낮아 화재에 취약하고 불을 확산시키며 유독가스를 배출시키는 문제 점들에 의해 노출면을 불연 보드 등으로 추가 마감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아파트나 대형건물의 지하주차장의 천장부에 사용되는 뿜칠마감재의 경우 그 구성 성분이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어, 천장부에 이미 시공된 유기질 단열재의 하면에 뿜칠시 접착상태가 좋지 않아 탈락과 같은 시공 불량이 발생하며, 뿜칠이라는 그 자체의 추가 작업에 의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단열성을 갖는 불연성보드로 시공하거나, 일반 발포플라스틱의 양면 또는 한면에 불연성보드로 2차 가공한 제품을 사용하여 난연성을 갖도록하여 추가적인 천장의 마감을 하지 않는 방법과 외부에 가공된 불연성보드를 거푸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이 많이 나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 역시 추가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단열성을 갖도록 제작된 불연성보드는 높은 밀도에 의해 건축물의 하중이 증가하고, 자재비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 시공시 쉽게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 발포플라스틱에 불연성보드를 부착시킨 경우는 추가적인 부착공정에 의해 가공비 및 제조원가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보드와 발포플라스틱을 붙이기 위해 유기접착제를 사용하고, 발포플라스틱이 난연성을 갖고 있지 않아 화염발생시 내부 발포플라스틱이 인화 및 용융되어, 외부에 부착된 불연성 무기질 보드가 떨어져 내리는 위험성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장슬래브 시공에 사용되는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무기질과의 접착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거푸집 제거 후 추가적인 천장마감을 하지 않도록 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아파트나 대형건물의 천장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난연 및 단열성 마감재의 뿜칠을 하지 않고 시공을 끝내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공 시 칼등에 의해 손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이 가능한 마감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은,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 보레이트계, 저융점프리트, 열경화성수지, 접착보조제, 발수제, 경화제, 무기질 분체 중 선택된 1 종 이상과 발포플라스틱을 혼합 및 코팅하거나, 이미 성형된 발포플라스틱의 내부에 주입하여 제조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준비한 다음, 거푸집을 제작하고, 그 하부 지지부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 상부에 준비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스페이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철근 배근한 다음, 상기의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 생시켜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후, 지지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의 천장슬래브 시공시 거푸집 상부에 마감재를 넣어 콘크리트 시공을 완료한 후, 하부 지지부 또는 거푸집 제거 후 추가적인 외부 마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천장면 노출부에 뿜칠마감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결합력을 높이고, 난연성 부여로 인해 뿜칠마감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뿜칠마감재 시공시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pH 10 이상에서 경화반응을 일으키는 실리케이트염 또는 졸계화합물이 포함된 난연성 및 단열성 마감재를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의 한쪽 노출면에는 무기질 보드나 금속성 시트가 미리 부착 가공되거나, 외장을 목적으로 하는 뿜칠 또는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 제조시 색상을 혼합하여 추가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시 거푸집 상부에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넣어 콘크리트 시공을 완료한 후, 하부 지지부와 거푸집 제거 후 외장 목적으로 추가적으로 하부 노출면에 뿜칠마감재를 2 ~ 8 ㎜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일반 발포플라스틱 단열재와 달리 천장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 이고, 천장마감재로 사용되는 뿜칠재와도 결합력을 상승시켜 탈락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 단열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한다.
발포폴리스티렌은 내부에 독립기포 구조를 형성하고, 그 내부가 전체 체적의 95 % 이상의 공기로 구성되어 열이나 소음, 습기에 대한 차단효과가 좋아 보온, 단열재 등으로 쓰인다.
그러나, 발포폴리스티렌 자체가 유기질이며, 표면이 매끄러워 무기질인 콘크리트나 뿜칠재와의 접착능력이 떨어져 탈락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단열성이 부여된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는,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 보레이트계, 저융점프리트, 열경화성수지, 접착보조제, 발수제, 경화제, 무기질 분체 중 선택된 1 종 이상과 발포플라스틱을 혼합 및 코팅하여 제조된 난연성 및 단열성이 부여된 발포플라스틱 마감재이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는,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 보레이트계, 저융점프리트, 열경화성수지, 접착보조제, 발수제, 경화제, 무기질 분체 중 선택된 1 종 이상을 이미 성형된 발포플라스틱의 내부에 주입하여 제조된 난연성 및 단열성이 부여된 발포플라스틱 마감재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플라스틱은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에틸렌, 발 포폴리프로필렌 등과, 오픈 셀인 삼화원 망목상의 다공질 구조를 갖는 발포폴리우레탄, 페놀폼 등과, 섬유 형태로 뽑아 시트나 패드 형상으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실리케이트염은 M2O·nSiO2·xH2O로 표기되는 화합물로서, 'M'은 주기율표 제 1A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을 나타내고 'n'과 'x'는 정수이다.
1A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의 구체적인 예로는 리튬, 나트륨 및 칼륨 등이 있다.
또, 졸계화합물은 실리카졸, 알루미나졸 등이 있으며, 보레이트계는 붕사 붕산, 퍼보레이트, 메타보레이트, 보로하이드리드, 보레이트 등이 있으며, 저융점프리트에는 저융점 글래스 프리트(PbO-SiO2-B2O계) 및 그 유도체 등을 말한다.
또,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 실리콘폴리머, 에폭시, 변성에폭시, 멜라민, 페놀, 폴리에스테르, 요소, 반응성 아크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습기경화형 접착제, 이소시아네이트 및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고분자 등을 사용한다.
또, 접착보조제는 계면활성제, 실란 커플링제, PVA(Poly Vinyl Alcohol), PVAc(Poly Vinyl Acetate), EVA(Ethylene Vinyl Alcohol), EVAc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VAE(Vinyl Acetate Emulsion), 셀룰로오스접착제, 지방족 아민,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화합물, 케톤, 산 등을 사용한다.
또, 발수제는 실리콘계, 불소계, 파라핀계 등을 사용한다.
또, 경화제는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 성형체 제조시 사용되는 화합물들을 경화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자면 실리케이트염에는 pH7 이하의 성질을 갖는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토금속, 염산, 황산 등의 산류, 알콜, 에테르 등이 있고, 열경화성수지에서 에폭시를 보면 아민경화를 일으키는 페놀, 크레졸 등과 산경화를 일으키는 벤질메틸아민 등 사용되는 화합물 대비 그 종류가 많아 본 발명에서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질 분체는 한정되지 않고 종래에 공지된 통상적인 무기질 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질 분체는 난연성 향상과 필러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 무기질 분체에 의해 발포플라스틱 표면이 개질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제조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는 일반 단열성 발포플라스틱과의 차이점을 갖게 된다.
즉, 노출된 표면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투입된 바인더나 무기질 분체에 의해 표면이 개질되는 것이다.
도 1에서 A는 일반 발포플라스틱을, B는 본 발명의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의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확대한 것이다.
일반 발포플라스틱의 경우는 독립기포 형태의 매끄러운 표면을 갖고 있으나, 본 발명의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에는 무기질 분체를 포함한 난연성분이 발포플라스틱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발생된 돌출부 및 불균일한 틈과 무기질의 영향으로 콘크리트 타설시나 뿜칠재 시공시, 콘크리트나 뿜칠재에 함유된 시멘트와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계면간 에너지 편차를 줄여 분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콘크리트나 뿜칠재와의 접착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제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뿜칠재는 시멘트에 의해 그 물성이 pH 10 이상인 강알칼리 상태를 갖고 있다.
이를 이용해 본 발명에서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코팅되는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들이 강알칼리 또는 pH 10 이상의 수용액과 접촉시 일부 용해되도록 성형체를 제조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접촉되는 부위의 실리케이트가 콘크리트용 골조에 용해되어 강한 경화반응을 일으켜 더욱 견고한 접착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시멘트와의 경화반응은 아래와 같다.
[Na2OnSiO2 + CaSO4 + mH2O -> CaOnSiO2mH2O + Na2SO4]
둘째로, 본 발명은 결합력 증진과 더불어 성형체 자체가 갖는 난연 이상의 성능에 의해 천장 노출면에 불연성 보드의 마감이나 무기질 뿜칠재 등의 작업을 추가적으로 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 건축물의 자재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노출면에 미려한 장식이나 모양을 목적으로, 무기질 불연성 보드나, 외부 코팅이 된 금속성 시트, 난연 성능을 갖는 유기질 시트를 붙여 추가적인 가공을 할 수 있다.
또는 노출면에 단열 흡음 마감 등의 뿜칠 피복재를 얇게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앞에서 미리 서술한 바와 같이 무기질 뿜칠 피복재 등의 마감재와 접착성이 좋으므로 탈락이 없이 강한 결합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 장식이 가능하며, 일반 발포플라스틱 단열재에 뿜칠하는 경우는 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두께 이상을 뿌려야 하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경우 외관의 모습만 확보하는 수준으로 시공을 하므로 비용절감이 크다.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시에는 외장 목적으로 추가적으로 하부 노출면에 뿜칠마감재를 2 ~ 8 ㎜ 도포할 수 있다.
특히 노출면에 미리 접착제를 이용하여 여러 색상을 갖는 세라믹 그레뉼을 뿌려 장식하거나, 현장에서 뿜칠하여 장식할 수도 있다.
또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제조할 때 난연성능을 발휘하는 바인더에 원하는 임의의 색상을 혼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제조시 발포플라스틱 내부는 독립된 기포를 갖고있어 외부에만 그 색상이 발현되고 내부는 발포플라스틱의 색을 나타내게 되어, 절단면 또는 가공면에 불규칙적인 다각구조를 나타내게 되어 노출면을 꾸밀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천장슬래브 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뿜칠마감재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난연과 단열의 마감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천장면 노출부에 뿜칠마감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난연성 부여로 인해 뿜칠마감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거푸집 제거 후 추가적 인 천장마감을 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아파트나 대형건물의 천장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난연성 및 단열성 마감재의 뿜칠을 하지 않도록 하는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 시 칼등에 의해 손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이 가능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대해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멍에(24)에 장선(25)을 각각 평행하게 교차하여 슬래브 상판(23)이 설치된 거푸집을 제작하고, 그 하부에 서포트(26)에 의해 지지하도록 설치한다.
거푸집 위에 난연 단열 발포플라스틱(10)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일정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22)를 일정간격 배치하고 그 위에 철근(21) 배근을 한다.
이렇게 설치된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20)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콘크리트(20)를 경화시킨 뒤 서포트(26)와 거푸집을 제거하여, 난연 단열 발포플라스틱 위로 철근을 포함한 콘크리트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천장슬래브를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천장슬래브의 단열재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니다.
천장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점에서 단열재를 하부에 삽입하지 않고 거푸집 상판위에 스페이서와 철근 배근을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에 노출된 슬래브 면에 설치된 반자틀 사이로 단열재를 접착제로 눌러 붙인 후 천장판을 그 아래로 설치하거나 뿜칠재로 마감하는 경우나, 경량금속 반자틀을 사용하여 상부 천장 슬래브면에 행거등으로 고정하여 단열재를 설치하고 천장판을 그 아래로 설치하거나 뿜칠재로 마감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시공하여 그 하부에 별도로 천장판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뿜칠재로 마감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상태 및 일반적인 시공방법을 도면을 통하여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10)를 깔고 콘크리트(20) 타설 및 양생후의 천장슬래브 형태이며, 도 4는 도 3과 동일 조건으로 시공을 하되 하부 노출면에 미려함을 위해 뿜칠마감재(30)를 2 ~ 4 mm 도포한 상태이다.
반면, 도 5는 천장슬래브 콘크리트(20) 하면에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40)를 사용하여 석고보드(50)로 내부 마감을 한 경우이며, 도 6은 도 5에서 석고보드로 마감을 하지 않고 뿜칠마감재(30)로 마감을 한 경우이다.
또한, 도 7은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의 난연성 바인더에 색상을 혼합하여 절단면에 불규칙적인 다각구조의 형상으로 제조한 모습(A)과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의 절단면(B)의 비교 모습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시공된 도 3을 보면 천장 내부로 추가적인 불연보드의 마감을 하지 않아, 도 5나 도 6에 비해 시공비 및 공기가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반드시 해야 하는 작업이 아니나 외형의 미려함을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특히, 도 4와 도 6을 비교해보면 도 6의 경우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40) 위에 뿜칠마감재(30)를 시공함에 있어,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40) 표면에 뿜칠하게 되면 소수성의 유기질로 구성된 면과의 부착력이 떨어져 시공 중이나 시공 후 탈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에 반해 도 4의 경우 뿜칠재와 결합력에 의해 탈락됨이 없이 손쉽게 시공 가능하고, 난연성을 갖을 수 있는 두께만큼 시공을 해야하므로 비용이 상승된다.
도 5에 시공된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40)의 경우 열분해 온도가 230 ~ 280 ℃이며 발화점이 490 ℃ 이다.
따라서, 외부가 불연성 보드로 마감되었다고 하나 화재 발생시 화염의 열기가 보드를 통해 내부에 시공된 스치로폼이 녹아 부착되어 있는 보드가 떨어져 내리는 문제점과 화염을 전파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도 3처럼 본 발명에 미려함을 위해 외부에 장식하더라도 탈락되거나 화염이 전파되지 않는 이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 발포플라스틱과 본 발명의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 표면의 광학현미경 사진.
A : 일반 발포플라스틱 B :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도 2는 본 발명의 천장슬래브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구조단면도.
도 3은 도 2에 의해 시공된 천장슬래브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추가적으로 뿜칠마감을 한 경우의 단면도.
도 5는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를 사용하여 천장에 불연성 석고보드로 추가 마감을 한 경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불연성 석고보드 대신 뿜칠마감재로 마감을 한 경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에 불규칙적인 다각형의 모양을 낸 형상과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를 비교한 광학현미경사진.
A :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의 노출면 사진 .
B : 일반 스치로폼 단열재의 노출면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 20 : 콘크리트 골조
21 : 철근 22 : 스페이서 23 : 슬래브 상판
24 : 멍에 25 : 장선 26 : 서포트
30 : 뿜칠 마감재 40 : 스치로폼 단열재 50 : 불연성 석고보드

Claims (8)

  1.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 보레이트계, 저융점프리트, 열경화성수지, 접착보조제, 발수제, 경화제, 무기질 분체 중 선택된 1 종 이상과 발포플라스틱을 혼합 및 코팅하여 제조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준비한 다음, 거푸집을 제작하고, 그 하부 지지부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 상부에 준비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스페이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철근 배근한 다음, 상기의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후, 지지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2. 천장슬래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실리케이트염과 졸계화합물, 보레이트계, 저융점프리트, 열경화성수지, 접착보조제, 발수제, 경화제, 무기질 분체 중 선택된 1 종 이상을 이미 성형된 발포플라스틱의 내부에 주입하여 제조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준비한 다음, 거푸집을 제작하고, 그 하부 지지부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 상부에 준비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스페이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철근 배근한 다음, 상기의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후, 지지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 성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 재료 중 실리케이트염은 pH 10 이상에서 경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조절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및 뿜칠마감재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특징인,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 재료 중 졸계화합물은 pH 10 이상에서 경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조절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및 뿜칠마감재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특징인,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의 한쪽 노출면에 무기질 보드와 금속성 시트 중 선택된 1종을 부착 가공하여 천장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이 특징인,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에 색상을 혼합하여 추가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천장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이 특징인,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거푸집 상부에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넣어 콘크리트 시공을 하고, 하부 지지부와 거푸집 제거 후 추가적으로 노출면에 난연마감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인,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거푸집 상부에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넣어 콘크리트 시공을 하고, 하부 지지부와 거푸집 제거 후 외장 목적으로 하부 노출면에 뿜칠마감재를 2 ~ 8 ㎜ 도포한 것이 특징인,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 천장슬래브 시공방법.
KR1020070138522A 2007-12-27 2007-12-27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KR20090070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22A KR20090070496A (ko) 2007-12-27 2007-12-27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22A KR20090070496A (ko) 2007-12-27 2007-12-27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496A true KR20090070496A (ko) 2009-07-01

Family

ID=4132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522A KR20090070496A (ko) 2007-12-27 2007-12-27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04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34B1 (ko) * 2009-09-25 2012-05-21 반희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KR102030832B1 (ko) * 2019-03-28 2019-11-08 (주)엠에스엔지니어링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114999A (ko) * 2019-03-28 2020-10-07 (주)엠에스엔지니어링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20074551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홍지 내화성 합성 라멘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34B1 (ko) * 2009-09-25 2012-05-21 반희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KR102030832B1 (ko) * 2019-03-28 2019-11-08 (주)엠에스엔지니어링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114999A (ko) * 2019-03-28 2020-10-07 (주)엠에스엔지니어링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20074551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홍지 내화성 합성 라멘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8233B (zh) 机械锚固网格加强筋无机改性泡沫保温板的外保温墙体
KR102157392B1 (ko) 건축용 외단열패널
CN102182265A (zh) 一种多功能快速建房模墙板结构体系
KR102025067B1 (ko) 준불연 기능을 갖는 단차단열재
KR20090070496A (ko) 난연성 및 단열성 발포플라스틱 마감재를 이용한천장슬래브 시공방법
CN201301531Y (zh) 带装饰面的酚醛防火保温板
CN207332173U (zh) 增强复合金属面自保温防火装饰一体化装配式墙板
CN100398763C (zh) 外墙保温装饰板及其制造方法
CN201679111U (zh) 外墙外保温现浇泡沫混凝土结构
US10738469B2 (en) Integral tile/foam building block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11005471A (zh) 一种保温墙板
CN100392030C (zh) 一种环保节能保温外墙涂料
CN214034161U (zh) 一种预制复合保温防火板
KR101932333B1 (ko) 폐석탄회를 이용한 난연보강층의 시공방법
CN220486962U (zh) 侧面带围护结构的保温装饰一体板
CN216109074U (zh) 一种蒸压砂加气保温板外墙外保温结构
CN204282590U (zh) 泡沫混凝土幕墙
CN214941303U (zh) 一种纳米陶瓷复合保温防火板外墙保温系统
CN212388885U (zh) 一种墙体用多功能保温装饰一体板
CN214246196U (zh) 一体化无机生态仿真外墙板
CN211817052U (zh) 一种保温防火外墙结构
CN207332089U (zh) 一种高强度复合发泡水泥保温砌块
CN216516590U (zh) 一种复合装饰板
CN114051491A (zh) 隔离材料及其生产方法
KR100729846B1 (ko) 단열 소재 및 단열 소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5

Effective date: 201207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51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5

Effective date: 2012071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