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454B1 -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454B1
KR101394454B1 KR1020120076141A KR20120076141A KR101394454B1 KR 101394454 B1 KR101394454 B1 KR 101394454B1 KR 1020120076141 A KR1020120076141 A KR 1020120076141A KR 20120076141 A KR20120076141 A KR 20120076141A KR 101394454 B1 KR101394454 B1 KR 10139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anchor
mol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701A (ko
Inventor
노유선
백인관
노영곤
Original Assignee
노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유선 filed Critical 노유선
Priority to KR102012007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4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의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단에 결속부(101)가 형성된 상부본체(100); 상기 상부본체(1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분리수단(300)으로 결합된 하부본체(200);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본체구멍(202)에 설치된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확개되어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앵커(500); 상기 거푸집(F)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구멍(701) 및 하부구멍(702)이 형성된 박스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부구멍 아래에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하부구멍(702)에는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는 케이스(700); 상기 케이스(700)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가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를 위로 상승시키는 상승수단(600); 및, 일단(401)은 상기 분리수단(300)에 연결되고 타단(402)은 상기 하부본체(200) 하단으로 노출되어 타단을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F)의 거푸집구멍(F1)에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어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무게중심의 편심에 의해 상기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속부(101)는 경량성형재(V)를 결속하거나 상기 경량성형재(V)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는 철근(R1)에 결속되어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400)를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One Touch Separating Type Device For Preventing Buoyance In Hollow Core Slab}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재 거푸집에 설치되는 경량성형재의 부상방지를 위한 것으로, 종래 중공슬래브 구조에서 복잡하고 불편하고 위험하게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량성형재 부력방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원터치식으로 미숙련공도 간단히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휨을 받는 부재에 있어 단면의 중앙부분은 역학적인 기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중앙부분을 제거해도 구조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오히려 그 만큼 경량화 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유리하며 이러한 개념을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한 것이 ‘골판지'이다.
중공슬래브 또한 같은 개념에서 개발된 것으로, 슬래브 단면의 중앙부분에 대하여 콘크리트를 채우는 대신 중공화하여 경량화 함으로서 구조적인 부담을 경감하여 장스팬 구조를 가능하게 한 구조이다.
특히 최근 중공슬래브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에 효과적인 것이 입증되어 일본의 경우 장스팬 구조가 필수적인 장수명 주택에 최적인 구조로 보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구조적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가장 효과적인 중공슬래브 구조는 슬래브 단면의 중앙에 중공재를 설치하여 공동화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시공 중 중공재를 효과적으로 공중에 띄워 놓는 것이 중공슬래브 공법의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경량인 중공재가 콘크리트가 액체상태인 타설 시에는 부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력방지대책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일반적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특허 제10-1019588와 같이 중공재를 고정시키는 장치를 거푸집에 고정하는 것인데, 부력에 대하여 충분한 내력을 갖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천공하여 장치를 삽입한 후 거푸집 하부에서 장치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 경화 후 거푸집 해체 시에는 상기 고정이 장애가 되기 때문에 거푸집 하부에서 고정을 해제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중공슬래브 공법을 위해서는 중공재 설치 및 거푸집 해체를 위하여 거푸집 하부에서 2회 이상의 작업을 하여야 하며, 슬래브의 높이는 보통 2.5m 이상 되므로 사다리와 같은 보조기구를 사용하여야 되나 거푸집을 받치기 위한 동바리 등 많은 장애물이 있어 작업이 불편하고 위험하다.
이와 같이 취약한 작업환경과 복잡한 공정이 중공슬래브의 보급을 막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장에서 처음부터 중공재를 슬래브에 선설치하여 거푸집(슬래브) 하부에서의 작업을 생략한 Half-PC 슬래브공법이 개발되어, 일본 등지에서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운반 및 양중의 부담과 PC 구조에 대한 불신으로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재 거푸집에 적용하여 설치 시에는 거푸집 상부에서 원터치 작업만으로 가능하고 해체 시에는 슬래브 하부에서 간단히 분리되어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부품의 일부는 재사용이 가능한 경제적인 방안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재래식 거푸집에 적용 가능한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거푸집의 상부에서 원터치식으로 작업가능하므로 미숙련공도 간편하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중공 슬래브는 물론 조이스트 슬래브와 와플 슬래브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거푸집의 하부에서 원터치식으로 작업가능하므로 미숙련공도 간편하면서 안전하게 일부 부재를 분리 해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모든 중공슬래브의 두께에 대응 가능한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의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단에 결속부(101)가 형성된 상부본체(100); 상기 상부본체(1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분리수단(300)으로 결합된 하부본체(200);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본체구멍(202)에 설치된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확개되어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앵커(500); 상기 거푸집(F)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구멍(701) 및 하부구멍(702)이 형성된 박스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부구멍 아래에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하부구멍(702)에는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는 케이스(700); 상기 케이스(700)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가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를 위로 상승시키는 상승수단(600); 및, 일단(401)은 상기 분리수단(300)에 연결되고 타단(402)은 상기 하부본체(200) 하단으로 노출되어 타단을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F)의 거푸집구멍(F1)에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어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무게중심의 편심에 의해 상기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속부(101)는 경량성형재(V)를 결속하거나 상기 경량성형재(V)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는 철근(R1)에 결속되어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400)를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종래의 재래식 거푸집에 적용 가능한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거푸집의 상부에서 원터치식으로 작업가능하므로 미숙련공도 간편하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셋째, 중공 슬래브는 물론 조이스트 슬래브와 와플 슬래브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넷째, 거푸집의 하부에서 원터치식으로 작업가능하므로 미숙련공도 간편하면서 안전하게 일부 부재를 분리 해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다섯째, 모든 중공슬래브의 두께에 대응 가능한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의 작동예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이 중공슬래브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는 중공슬래브의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단에 결속부(101)가 형성된 상부본체(100); 상기 상부본체(1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분리수단(300)으로 결합된 하부본체(200);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본체구멍(202)에 설치된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확개되어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앵커(500); 상기 거푸집(F)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구멍(701) 및 하부구멍(702)이 형성된 박스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부구멍 아래에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하부구멍(702)에는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는 케이스(700); 상기 케이스(700)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가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를 위로 상승시키는 상승수단(600); 및, 일단(401)은 상기 분리수단(300)에 연결되고 타단(402)은 상기 하부본체(200) 하단으로 노출되어 타단을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F)의 거푸집구멍(F1)에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어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무게중심의 편심에 의해 상기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속부(101)는 경량성형재(V)를 결속하거나 상기 경량성형재(V)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는 철근(R1)에 결속되어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400)를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본체(100)는 상단에 경량성형재(V)를 결속하거나 상기 경량성형재(V)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는 철근(R1)에 결속되어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는 결속부(101)가 형성되며, 결속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나 철근(R1)의 형상에 대응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부본체(200)는 상기 상부본체(1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분리수단(300)으로 결합되며, 통상적으로 상기 상부본체(100)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500)는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본체구멍(202)에 설치된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확개되어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으로, 통상적인 체결수단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500)는 다수개의 토글(501, 502)로 구성되고, 상기 토글(501, 502)의 끝단이 핀(503)에 의해 결속된 형태로 되어 상기 토글(501, 502)이 무게중심의 편심에 의해 상기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확개되어 상기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0)는 상기 거푸집(F)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구멍(701) 및 하부구멍(702)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박스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부구멍(701) 아래에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하부구멍(702)에는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수단(600)은 상기 케이스(700)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가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를 위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스프링 또는 고무줄 등 통상적인 탄성을 지닌 상승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수단(600)은 상승스프링(601)과 핀(602)으로 구성되어, 상기 핀(602)은 상기 상부본체(100)에 형성된 핀구멍(103)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상승스프링(60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핀(602)의 양단 및 상기 케이스(700)의 상부에 탄성을 가지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0)는 일단(401)은 상기 분리수단(300)에 연결되고 타단(402)은 상기 하부본체(200) 하단으로 노출되어, 타단을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수단(300)은 단턱(301)과 손잡이구멍(302)이 형성된 본체와 분리스프링(303)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는 분리스프링(303)이 끼워진 채로 상기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구멍(201) 및 상기 상부본체(100)에 형성된 구멍(102)에 상기 손잡이구멍(302)이 반대쪽으로 노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400)의 일단(401)은 하부본체(200)의 구멍(203)을 빠져나와 상기 손잡이구멍(302)에 끼워지고 중단의 중공부(403)에는 상기 핀(503)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본체(100)에 상승스프링(601)을 관통설치하고, 하부본체(200)를 상부본체(100)에 각각의 구멍(102, 201)이 일치하도록 삽입한다. 분리스프링(303)에 단턱(301)과 손잡이구멍(302)이 형성된 분리수단(300)의 본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본체(100, 200)에 가공된 각각의 구멍(102, 201)을 관통시켜 일체화시킨다.
이 때 손잡이(400)의 일단(401)을 하부본체(200)내에 삽입하여 구멍(203)을 통해 하부본체(200)의 외부로 나오게 해서 상기 손잡이구멍(302)에 상기 일단(401)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즉, 손잡이(400)의 타단(402)이나 중공부(403)를 잡아당기면 상기 일단(401)이 손잡이구멍(302)에서 이탈되어 분리수단(300)이 분리스프링(303)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본체(100, 200)의 구멍(102, 201)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상하본체(100, 200)가 분리되게 되는 구조이다.
하부본체(200)의 하단에는 앵커(5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핀(503)으로 고정한다. 이 때 핀(503)을 손잡이(400)의 중공부(403) 내에 설치하는 것이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가 분리되었을 때 손잡이(400)와 하부본체(200)가 같이 거동하여 수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케이스(700)는 결합된 상하부본체(100, 200)를 상하구멍(701, 702)에 관통시키며 분리수단(300)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도록 밀폐하여 조립한다.
이때 하부구멍(702)에는 앵커(500)가 하부본체(200)를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앵커(500)의 일부가 하부구멍(702)내에 걸치도록 한다.
상승스프링(601)에 소정의 압축력이 작용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핀(602)을 상부본체(100)의 구멍(103)에 관통하여 조립하면, 본 발명의 중공재 부력방지장치(A)는 완성된다.
케이스(700)와 손잡이(400)는 가공성 및 기능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등의 소재나 강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손잡이(400)는 밝은 색이나 형광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거푸집(F) 하부의 어두운 환경에서 눈에 잘 뛰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부력방지장치(A)는 상부본체(100)의 길이나 결속부(10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두께나 형태의 중공슬래브구조에 대응가능하다. 즉 상부본체(100) 이외의 다른 소재는 단일 규격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실시예의 작동예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이 중공슬래브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의 실시예의 설치방법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가공된 거푸집구멍(F1)에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의 손잡이(400)의 타단(402)부터 넣어 케이스(700) 하부에 돌출된 하부본체(200)의 앵커(500)까지 삽입한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를 상부에서 밀어 앵커(500)가 완전히 거푸집(F)의 하부로 돌출되게 하면, 중력의 영향으로 앵커(500)가 확개되어 벌어지며 '역T'자 형태로 되어 거푸집구멍(F1)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를 놓으면 상승수단(600)의 탄성력으로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가 상부로 인양되며 거푸집(F)을 앵커(500)와 케이스(700)가 샌드위치형태로 압착하여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는 거푸집(F)에 고정된다.
본 발명을 중공슬래브에서 콘크리트(C)를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F)을 해체 할 경우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의 해제방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F)을 받치던 동바리 및 장선 멍에 등을 철거한 후, 거푸집 하부에서 손이나 갈고리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손잡이(400)의 중공부(403)에 걸어 잡아당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0)가 하강하면서 일단(401)이 분리수단(300)의 손잡이구멍(302)에서 빠짐으로서 분리수단(300)이 분리스프링(303)의 탄성력에 의해 구멍(102, 201)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상하본체(100, 200)가 분리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본체(100, 200)가 분리됨으로서 슬래브콘크리트(C)와 거푸집(F)과의 연결이 해제되어 거푸집 해체가 가능해져 중공슬래브가 완성된다.
이때 상부본체(100)와 케이스(700)는 슬래브콘크리트(C)에 매입되고,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는 손잡이(400)와 함께 분리 수거되어 재사용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승수단(600)이 생략되고, 상기 상부본체(100)에는 돌기(10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700)의 상부구멍(701)에는 상기 돌기(104)와 대응하는 홈가공부(701a)가 더 형성되고 상부구멍(701)의 외주면에는 경사부(701b)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돌기(104)가 상기 홈가공부(701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확개되고, 상기 돌기(104)가 상기 홈가공부(701a)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를 상부로 움직인 후, 상기 케이스(700)를 회전시켜 상기 돌기(104)가 경사부(701b)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이다.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방법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가공된 거푸집구멍(F1)에 본 발명의 부력방지장치(A)의 손잡이(400)의 타단(402)부터 넣어 케이스(700) 하부에 돌출된 하부본체(200)의 앵커(500)까지 삽입한 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의 돌기(104)와 케이스(700)의 상부구멍(701)의 홈가공부(701a)를 맞추고 상부본체(100)를 상부에서 밀어 앵커(500)가 완전히 거푸집(F)의 하부로 돌출되게 하면, 중력의 영향으로 앵커(500)가 확개되어 벌어지며 '역T'자 형태로 되어 거푸집구멍(F1)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를 잡아당겨 돌기(104)가 케이스(700) 상부로 나오게 하면서 거푸집(F)을 앵커(500)와 케이스(700)가 샌드위치형태로 압착한 상태를 유지하며 케이스(700)를 회전시키면 부력방지장치(A)는 거푸집에 고정된다. 이때 돌기(104)와 접하는 케이스의 면을 경사면(701b)으로 경사지게 하면 회전에 따라 돌기(104)를 위로 올려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중공슬래브에서 콘크리트(C)를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F)을 해체 할 경우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의 다른 실시예의 해제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의 중공재 부력방지장치(A)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한 것으로,
케이스(700)의 하부구멍(702)에 암나사산 가공을 하여, 케이스(700)를 중공슬래브 하부에서 천정마감이나 설비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행거(H)설치를 위한 슬래브 내부에 설치되는 인서트(Insert)로 기능하게 한 경우이다.
케이스(700)의 하부구멍(702)은 슬래브 시공 시에는 하부본체(200)가 관통하여 본 발명의 부력방지장치(A)의 고정을 위한 기능을 하지만, 슬래브가 완성되면 케이스(700)는 슬래브콘크리트(C)에 매입된 상태로 하부본체(200)가 분리되며 슬래브 저면에 노출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부력방지장치(A)는 일정한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천정마감이나 설비배관을 위한 행거(H)의 위치로서 적절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면 별도로 천정마감이나 설비배관 고정을 위한 앵커작업이 효과적으로 줄어들어 공기절감 및 공비절감 등에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A: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V: 중공재
R1: 철근
R2, R3: 상부철근
C: 슬래브콘크리트
H: 행거
F: 거푸집
F1: 거푸집구멍
100: 상부본체
101: 결속부
102: 구멍
103: 핀구멍
104: 돌기
200: 하부본체
201, 203: 구멍
202: 하부본체구멍
300: 분리수단
301: 단턱
302: 손잡이구멍
303: 분리스프링
400: 손잡이
401: 일단
402: 타단
403: 중공부
500: 앵커
501, 502: 토글
503: 핀
600: 상승수단
601: 상승스프링
602: 핀
700: 케이스
701: 상부구멍
701a: 홈가공부
701b: 경사부
702: 하부구멍

Claims (7)

  1. 중공슬래브의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단에 결속부(101)가 형성된 상부본체(100);
    상기 상부본체(1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분리수단(300)으로 결합된 하부본체(200);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본체구멍(202)에 설치된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확개되어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앵커(500);
    상기 거푸집(F)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구멍(701) 및 하부구멍(702)이 형성된 박스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부구멍 아래에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하부구멍(702)에는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는 케이스(700);
    상기 케이스(700)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가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를 위로 상승시키는 상승수단(600); 및,
    일단(401)은 상기 분리수단(300)에 연결되고 타단(402)은 상기 하부본체(200) 하단으로 노출되어 타단을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F)의 거푸집구멍(F1)에 상기 하부본체(200)의 하단 및 상기 앵커(500)가 일부 노출되어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무게중심의 편심에 의해 상기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속부(101)는 경량성형재(V)를 결속하거나 상기 경량성형재(V)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는 철근(R1)에 결속되어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경량성형재(V)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400)를 당기면 상기 분리수단(300)이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의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본체(200) 및 앵커(500)가 상기 거푸집(F)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2. 제1항에서,
    상기 앵커(500)는 다수개의 토글(501, 502)로 구성되고,
    상기 토글(501, 502)의 끝단이 핀(503)에 의해 결속된 형태로 되어 상기 토글(501, 502)이 무게중심의 편심에 의해 상기 핀(50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확개되어 상기 거푸집(F) 하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상승수단(600)은 상승스프링(601)과 핀(602)으로 구성되어, 상기 핀(602)은 상기 상부본체(100)에 형성된 핀구멍(103)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상승스프링(60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핀(602)의 양단 및 상기 케이스(700)의 상부에 탄성을 가지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리수단(300)은 단턱(301)과 손잡이구멍(302)이 형성된 본체와 분리스프링(303)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는 분리스프링(303)이 끼워진 채로 상기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구멍(201) 및 상기 상부본체(100)에 형성된 구멍(102)에 상기 손잡이구멍(302)이 반대쪽으로 노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400)의 일단(401)은 하부본체(200)의 구멍(203)을 빠져나와 상기 손잡이구멍(302)에 끼워지고 중단의 중공부(403)에는 상기 핀(503)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5. 제3항에서,
    상기 분리수단(300)은 단턱(301)과 손잡이구멍(302)이 형성된 본체와 분리스프링(303)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는 분리스프링(303)이 끼워진 채로 상기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구멍(201) 및 상기 상부본체(100)에 형성된 구멍(102)에 상기 손잡이구멍(302)이 반대쪽으로 노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400)의 일단(401)은 하부본체(200)의 구멍(203)을 빠져나와 상기 손잡이구멍(302)에 끼워지고 중단의 중공부(403)에는 상기 핀(503)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6. 제1항에서,
    상기 상승수단(600)이 생략되고,
    상기 상부본체(100)에는 돌기(10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700)의 상부구멍(701)에는 상기 돌기(104)와 대응하는 홈가공부(701a)가 더 형성되고 상부구멍(701)의 외주면에는 경사부(701b)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돌기(104)가 상기 홈가공부(701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확개되고, 상기 돌기(104)가 상기 홈가공부(701a)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를 상부로 움직인 후, 상기 케이스(700)를 회전시켜 상기 돌기(104)가 경사부(701b)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7. 제4항에서,
    상기 상승수단(600)이 생략되고,
    상기 상부본체(100)에는 돌기(10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700)의 상부구멍(701)에는 상기 돌기(104)와 대응하는 홈가공부(701a)가 더 형성되고 상부구멍(701)의 외주면에는 경사부(701b)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돌기(104)가 상기 홈가공부(701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가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앵커(500)가 확개되고, 상기 돌기(104)가 상기 홈가공부(701a)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를 상부로 움직인 후, 상기 케이스(700)를 회전시켜 상기 돌기(104)가 경사부(701b)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A).
KR1020120076141A 2012-07-12 2012-07-12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KR10139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41A KR101394454B1 (ko) 2012-07-12 2012-07-12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41A KR101394454B1 (ko) 2012-07-12 2012-07-12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01A KR20140009701A (ko) 2014-01-23
KR101394454B1 true KR101394454B1 (ko) 2014-05-13

Family

ID=5014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141A KR101394454B1 (ko) 2012-07-12 2012-07-12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95B1 (ko) 2020-01-22 2021-06-28 노영곤 중공슬래브의 부력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16B1 (ko) * 2014-05-30 2015-06-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2237A (ja) * 2005-07-25 2007-02-08 Kyoto Supeesaa:Kk ボイドスラブ用浮上防止金物
JP2007321420A (ja) * 2006-05-31 2007-12-13 Imoto Tekko:Kk 鉄筋保持具
JP2010248733A (ja) * 2009-04-13 2010-11-04 Wakai & Co Ltd ボイド型枠架台の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2237A (ja) * 2005-07-25 2007-02-08 Kyoto Supeesaa:Kk ボイドスラブ用浮上防止金物
JP2007321420A (ja) * 2006-05-31 2007-12-13 Imoto Tekko:Kk 鉄筋保持具
JP2010248733A (ja) * 2009-04-13 2010-11-04 Wakai & Co Ltd ボイド型枠架台の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95B1 (ko) 2020-01-22 2021-06-28 노영곤 중공슬래브의 부력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01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JP2007239301A (ja) 間詰めコンクリートを介在させ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一体化方法
KR101064181B1 (ko) 슬라브거푸집지지바 연결구조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2519022B1 (ko) 비상 피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355926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어셈블리
KR101394454B1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KR101612088B1 (ko) 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거푸집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101340773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101321917B1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200397209Y1 (ko) 슬라브 전단 보강용 강판
KR101256726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101483909B1 (ko) 앵글 브릿지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JP6387247B2 (ja) コンクリート造の梁又はスラブの構築方法及び型枠支保工
KR100789319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336034B1 (ko) 하프 pc 슬래브의 제조방법
KR101538421B1 (ko)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KR102305757B1 (ko)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KR101463924B1 (ko)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KR100640242B1 (ko) 맨홀 제작용 절첩식 거푸집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