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914A -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914A
KR20200113914A KR1020190034792A KR20190034792A KR20200113914A KR 20200113914 A KR20200113914 A KR 20200113914A KR 1020190034792 A KR1020190034792 A KR 1020190034792A KR 20190034792 A KR20190034792 A KR 20190034792A KR 20200113914 A KR20200113914 A KR 2020011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picker
lead
transfer rail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875B1 (ko
Inventor
김종은
Original Assignee
삼일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테크(주) filed Critical 삼일테크(주)
Priority to KR102019003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이 리드프레임들 사이의 간지가 적층되는 적층부가 형성된 공급유닛과, 적층된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홀딩하는 픽커 및 상기 픽커에 의해 운반된 리드프레임과 간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 움직임이 가능한 이송레일로 이루어져, 간지는 별도로 수거하고 리드프레임만 로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 로딩장치{LEADFRAME LOADING MACHINE}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이 리드프레임들 사이의 간지가 적층되는 적층부가 형성된 공급유닛과, 적층된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홀딩하는 픽커 및 상기 픽커에 의해 운반된 리드프레임과 간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 움직임이 가능한 이송레일로 이루어져, 간지는 별도로 수거하고 리드프레임만 로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프레임(Lead frame)은 트랜지스터나 IC의 팰릿 조립에 사용되는 금속프레임으로서, 금속박막을 적당한 패턴으로 포토에칭 혹은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며, 보통 복수개의 패턴이 연속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리드프레임의 긁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리드프레임들 사이에 간지를 삽입하고, 이들은 소위 트레이(Tray)와 같은 보관수단에 적층 및 탑재되어 보관, 운반된다. 그리고 다음 공정으로 가기 위하여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송된다.
일반적인 리드프레임 이송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커(Picker)와 같은 흡착 수단을 가지며, 그 픽커는 진공에 의해 상기 리드프레임의 성형 부분을 흡착하여 전술한 다음 공정에 리드프레임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1217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C자 형상의 반원판 형태이고 두 개 이상이 평행하게 배열된 가이드와 이 가이드의 외주변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두 개 이상의 가이드를 평행하게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봉과 가이드의 중심부에 가이드가 배열된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한 회전축 및 이 회전축에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고정되어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하는 푸시로드를 포함하며, 가이드의 일측으로 리드프레임이 투입되고, 푸시로드의 회동에 의하여 리드프레임이 가이드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개로 적층된 리드프레임을 연속적으로 흡착하여 하나씩 로딩시키는 장치로서, 리드프레임에 형성된 공의 위치에 따라 흡착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고, 리드프레임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사이에 간지를 끼워넣는 경우에는 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해야하며, 간지가 없음에 따라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18265호 "리드프레임 로딩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체의 고유진동특성을 이용한 직진 수송용 전자식 리니어 피더와; 다수개의 리드프레임을 삽입하고 리니어 피더의 진동을 전달하여 리드프레임을 전방으로 직진 수송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전방으로 직진 수송되는 리드프레임의 맞은편에서 공급부의 리드프레임을 자기력으로 끌어당겨 수송하는 리드프레임 수송부와; 상기 수송부에 의해 수송되는 리드프레임의 수송 경로를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리드프레임을 수송부로부터 강제 탈착시켜 하방향의 가이드레일에 낙하시키는 플레이트와; 상기 수송부 및 플레이트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가이드레일로 낙하하면 리드프레임을 이송하는 평형 개폐형 에어척 그립퍼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인력부재(41)를 통하여 리드프레임을 하나씩 빼어 로딩하는 장치로서, 이 또한 앞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간지가 있는 경우에는 간지를 분리해낼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리드프레임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208481호 "반도체 리드프레임 로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픽-업 홀더의 하면에 방향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리드프레임 핸들러와 픽-업 홀더 사이에 스텝모타를 설치하여, 스택 매거진에 적재되어 있는 리드프레임 중에 반대방향으로 적재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방향감지센서로 감지하고, 이동중에 스텝모타로 픽-업 홀더를 180ㅀ회전하여 리드프레임을 워크 홀더로 이동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리드프레임이 반대로 공급되어 후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리드프레임의 이동중에 180ㅀ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작업을 멈추는 경우가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흡착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리드프레임에 타공된 공의 위치 등에 의하여 흡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199379호 "탄성조절부를 구비한 리드프레임 및 간지의 로딩언로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픽커(500)들을 다수로 배열한 픽커지지대(1)가 승강 가이드 포스트(2, 3)에 의해서 승강되며, 상기 픽커(500)들은 진공에 의해 리드프레임의 성형 부분을 흡착하여 다음 공정으로 상기 리드프레임을 이송하는 탄성조절부를 구비하되, 각각의 픽커(500)들에서 리드프레임들과 간지의 종류 변경에 따른 좌우방향(d)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스프링(510)과 평와셔(520)와 고무판(523)을 하면에 부착한 고무붙이 와셔(521) 및 볼트(590)로 이루어져 있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므로써, 장치 변경 세팅 시간 단축과 장비 운행 중 발생되는 오작동 현상을 제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앞서 제시한 3개의 종래기술과는 달리, 간지가 사용됨에 따라 간지와 리드프레임을 분류할 수는 있으나, 리드프레임 또한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홀딩함에 따라 리드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착하는 픽커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나, 이 또한 리드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간격을 맞춰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수용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된 간지와 리드프레임을 언로딩 및 로딩시키는 픽커 및 이송레일을 통하여, 간지를 통해 리드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리드프레임만 로딩시킬 수 있는 로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커에는 흡착판과 그립퍼가 모두 구비되어, 흡착판이 간지를 흡착하여 이송하고, 그립퍼가 리드프레임을 고정하여 이송함에 따라, 흡착판에 의해 흡착되지 않는 리드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이송레일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임으로서, 간지는 언로딩하고 리드프레임만 로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유닛에는 적층된 리드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체인을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체인이 움직이면서 리드프레임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적층된 리드프레임들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픽커가 리드프레임 및 간지 전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송할 수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수용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상승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공급유닛;
상기 적층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흡착판과, 상기 적층부의 리드프레임을 홀딩하는 그립퍼가 구비되어, 간지 또는 리드프레임을 이송하는 픽커;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픽커에 의해 이송된 간지와 리드프레임이 안착되는 이송레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픽커가 적층부의 리드프레임을 이송레일에 안착시키면 상기 이송레일이 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픽커가 적층부의 간지를 이송레일에 안착시키면, 상기 이송레일이 역방향으로 움직여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분리하여 리드프레임만 로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이 적층되는 공급유닛과 적층된 리드프레임을 로딩시키기 위하여 이송레일로 이송시키는 픽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들 사이에 간지를 구비하고, 이 간지와 리드프레임을 분류하여 언로딩 및 로딩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간지에 의해 리드프레임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간지는 상기 픽커의 흡착판을 통해 고정하여 이송레일로 이송하고, 리드프레임은 그립퍼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간지와 리드프레임을 고정하여 이송레일에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공급유닛에는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 각각의 후단을 지지하는 돌기가 구비된 체인을 더 구비함에 따라, 체인의 움직임을 통하여 리드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상승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리드프레임들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픽커가 리드프레임의 전면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리드프레임을 이송레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가 장착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픽커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동작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실시도
도 7은 본 바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실시사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픽커의 확대사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D)는 도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닛(10), 픽커(20), 이송레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로딩장치는 리드프레임(LF)의 정렬하는 장치(도1 참조)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유닛(10)은 상기 리드프레임(LF)을 로딩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리드프레임(LF), 보다 정확하게는 적층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LF) 한 세트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적층부(131)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드프레임 세트(S)는 복수개의 리드프레임(LF)과, 이 리드프레임(LF)들 사이에 구비되어 리드프레임(LF)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간지(P)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다시, 상기 공급유닛(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적층부(131)가 형성된 홀더(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그 상면에 홀더(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홀더(13)에 적층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적층부(131)에 안착되는 리드프레임 세트(S)를 정렬하기 위하여, 별도의 얼라이너(11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측부에는 보관부가 형성되어 얼라이너(113)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얼라이너(113)는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가 적층부(131)에 안착되면, 작업자가 상기 얼라이너(113)를 리드프레임 세트(S) 전단을 가압하여 복수개의 리드프레임(LF)이 서로 평행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정렬하게 된다.
물론, 상기 리드프레임(LF)들이 서로 평행하게 안착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체인(114)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적층부(131) 후단에는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를 전방으로 밀어올리기 위한 푸셔(1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푸셔(115)는 앞서 간단히 언급한 체인(114)에 연결되어 함께 연동 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리드프레임(LF)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리드프레임(LF)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타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LF1)가 리드프레임(LF)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LF)들을 적층 배열하면, 상기 돌출부(LF1)의 형상에 의해 리드프레임(LF)이 일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이렇게 리드프레임(LF)이 치우치게 되면, 후술하는 픽커(20)가 리드프레임(LF)을 홀딩하는 과정에서 홀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개가 적층 배열되는 리드프레임(LF)들을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기 위하여 체인(114)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 체인(114)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공급유닛(10)의 홀더(13)는 상기 본체(11)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실린더, 피스톤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10)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이 아니라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적층부(131)에 정렬되는 리드프레임(LF)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수평면과 경사를 형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에 의해 1차적으로 리드프레임(LF)들이 적층될 때 일측으로 치우치는 문제를 해결하고, 2차적으로 체인(114)을 통하여 이를 극복하고 있다.
상기 본체(11)에는 체인(1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114)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114A)가 형성되며, 상기 체인(114)은 상기 본체(11)내에서 별도의 구동모터 등을 통하여 궤도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 궤도운동의 방향은 리드프레임(LF)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13)의 적층부(131) 저면에는 별도의 노출공(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출공(133)을 통하여 상기 체인(114)의 돌기(114A)가 적층부(131)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도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가 리드프레임(LF) 로딩을 위하여 상기 적층부(131)에 리드프레임 세트(S)를 안착시키게 되는데(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적층부(131)에 구비되는 푸셔(115) 전방에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 때 홀더(13)는 상기 본체(11)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체인(114)의 돌기(114A)가 상기 적층부(131)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를 보다 손쉽게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층부(131)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13)에는 회전에 의해 적층부(131)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는 별도의 도어(13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가 안착되면 작업자는 얼라이너(113)를 통하여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의 전방을 가압하여 복수개의 리드프레임(LF)을 정렬시키게 되고, 이렇게 정렬 한 후 상기 홀더(13)가 하강하여 정렬된 리드프레임(LF)들 사이사이에 상기 체인(114)의 돌기(114A)가 인입되어 리드프레임(LF)의 후단(보다 정확하게는 리드프레임(LF) 후단에 밀착 배열된 간지(P)의 후단을 말한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도5참고)
물론 이 경우, 상기 얼라이너(113)를 다시 본체(11)의 수용부에 보관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 후 후술하는 픽커(20)에 의해 상기 리드프레임 세트(S) 전단의 리드프레임(LF)이 로딩되면, 상기 체인(114)이 구동하여 푸셔(115)와 리드프레임(LF)들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로딩 및 언로딩이 연속적으로 진행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푸셔(115)는 상기 체인(114)과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푸셔(115)와 체인(114)의 연동을 위하여 상기 푸셔(115) 하단에는 연동부(115A)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연동부(115A)는 상기 홀더(13)가 하강하여 상기 체인(114)의 돌기(114A)가 적층부(131) 저면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연동부(115A)에 걸려 푸셔(115)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체인(114)을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동부(115A)는 상기 체인(114)의 돌기(114A)가 인입될 수 있는 별도의 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셔(115)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115)의 움직임을 위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즉 모터, 실린더 등의 장치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체인(114)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동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체인(114)에만 동력장치가 구비되어 푸셔(115)를 연동시킬 수 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LF)을 이송레일(30)로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픽커(20)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 픽커(20)는 상기 적층부(131)에 적층된 리드프레임 세트(S) 중 최전단의 리드프레임(LF) 및 간지(P)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픽커(20)는 정렬장치에 고정된 회전암(21)과, 이 회전암(21) 단부에 구비되어 리드프레임(LF) 및 간지(P)를 고정하는 헤드(23)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회전암(21)은 공급유닛(10)의 리드프레임(LF) 및 간지(P)를 이송레일(30)로 운반하기 위한 운동반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헤드(23)에는 상기 리드프레임(LF)을 고정하기 위한 그립퍼(233)와, 상기 간지(P)를 고정하기 위한 흡착판(231)이 구비되게 된다.(도3 및 도8 참고)
우선, 상기 흡착판(231)은 공기를 석션하여 간지(P)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23)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암(21)이 이동하여 헤드(23)를 상기 리드프레임(LF) 전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흡착판(231)이 돌출되면, 간지(P)가 최전단에 있는 경우에는 간지(P)를 흡착하여 이송레일(30)로 운반하며,
이 때 리드프레임(LF)이 최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립퍼(233)가 리드프레임(LF)을 고정하여 이송레일(30)로 운반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헤드(23)에는 상기 간지(P) 및 리드프레임(LF)의 하단부를 흡착하는 보조흡착판(235)이 더 구비되며, 이 보조흡착판(235)이 먼저 상기 간지(P) 또는 그립퍼(233)를 고정한 후 상기 흡착판(231)이 돌출되어 간지(P)를 흡착하거나, 상기 그립퍼(233)가 오므라들면서 리드프레임(LF)을 고정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리드프레임(LF)이 적층부(131) 최전단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픽커(20)의 헤드(23)에서 보조흡착판(235)이 돌출되고, 상기 보조흡착판(235)이 리드프레임(LF)에 밀착되면, 상기 체인(114)이 구동하여 리드프레임(LF)을 전진시키고, 전진이 완료된 후 상기 그립퍼(233)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리드프레임(LF)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픽커(20)가 리드프레임(LF)을 이송레일(30)로 이송시키면, 간지(P)가 적층부(131) 최전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간지(P)는 보조흡착판(235)에 의해 선 흡착된 후, 상기 흡착판(231)이 돌출되어 간지(P)를 흡착하여 이송레일(30)로 운반하게 된다.
다시, 두 번째 리드프레임(LF)을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23)에서는 마찬가지로 보조흡착판(235)이 선돌출되고, 상기 그립퍼(233)에 리드프레임(LF)이 위치하도록 체인(114)이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동작을 통해 리드프레임(LF)을 고정하여 이송레일(30)로 이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픽커(20) 및 흡착판(231)은 헤드(23)로부터 2개가 한 쌍으로 돌출되어 리드프레임(LF)과 간지(P)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픽커(20)는 돌출 된 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리드프레임(LF)을 홀딩하여 운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동작은 이송레일(30)의 움직임과도 연동이 되게 되는데, 상기 그립퍼(233) 리드프레임(LF)을 고정하게 되면, 상기 이송레일(30)은 정방향으로 움직여 리드프레임(LF)을 로딩시키게 되며, 흡착판(231)에 의해 간지(P)가 픽커(20)에 고정되면, 상기 이송레일(30)은 역방향으로 움직여 간지(P)를 언로딩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속적으로 간지(P)와 리드프레임(LF)을 서로 분류하여 리드프레임(LF)만 로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7참고)
물론,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치에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로딩장치(D)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1) 측부에 형성된 얼라이너(113)를 보관함에 있어, 상기 얼라이너(113)를 보다 상기 보관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록킹수단(40)에 관한 것이다.
우선, 상기 록킹수단(40)은 상기 보관부에 구비되는 제1록킹부재(41)와, 상기 얼라이너(113)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부재(41)가 안착되는 제2록킹부재(42) 및 상기 제1록킹부재(41)와 제2록킹부재(42)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록킹부재(41)에 구비되는 고정바(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제2록킹부재(42)는 얼라이너(113)가 리드프레임(LF)을 정렬함에 있어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측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록킹부재(41)는 상기 보관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기둥부(411)와, 상기 기둥부(411) 단부에 구비되는 록킹볼(4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록킹부재(42)는 상기 얼라이너(113)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삽입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421) 상부, 즉 상기 제2록킹부재(42)의 내측에는 공간부(42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421)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422)의 상부에는 승강부(4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423)와 상기 삽입부(421)는 연통부(424)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부(423) 상부에는 노출부(425)가 더 구비되게 되며, 상기 삽입부(421), 공간부(422), 연통부(424), 승강부(423) 및 노출부(425)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44)가 구비된다.
우선, 상기 탈착부재(44)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탈착부재(44)는 몸체(441)와, 상기 삽입부(421)에서 하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441) 하측단에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록킹부(442A)를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편(442)과, 상기 몸체(441)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돌기(443) 및 상기 걸림돌기(443)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푸쉬돌기(4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441)는 상기 연통부(424)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443)는 상기 승강부(423)에 구비되며, 상기 푸쉬돌기(444)는 상기 노출부(425)를 통하여 상기 제2록킹부재(42)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442)과 몸체(441) 일부는 상기 공간부(422)에 구비되고, 이 때 상기 탄성편(442)의 단부는 상기 삽입부(421)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탈착부재(44)가 승하강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편(442)은 'U'자 형태의 개구부(442B)를 갖으며,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록킹볼(413)이 개구부(442B)를 통해 인입되어 록킹부(442A)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록킹부재(41)에 상기 제2록킹부재(42)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록킹볼(413)이 상기 탄성편(442)의 개구부(442B)를 통해 록킹부(442A)에 인입되고,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탈착부재(44)가 상승하여 제1록킹부재(41)와 제2록킹부재(42)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돌기(444)는 상기 노출부(425)를 통하여 제2록킹부재(42) 상부에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록킹볼(413)이 탄성편(442)의 록킹부(442A)에 결합됨으로서 고정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이러한 구성만으로는 고정뿐만 아니라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422)에 고정바(45)를 더 구비하여 상기 록킹볼(413)이 상기 록킹부(442A) 내에서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상기 고정바(4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바(45)는 상기 공간부(422)의 양측 탄성편(442)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고정바(4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바(45)는 회전축(451)에 의해 상기 제2록킹부재(4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45)의 일단에는 힌지축(452A)을 기준으로 지지바(452)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이 지지바(452)와 공간부(422) 내벽면 사이에는 스프링(453)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452)를 바깥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도 9[A]은 제1록킹부재(41)와 제2록킹부재(42)가 결합되기 전 형상으로, 상기 고정바(45)는 상기 탄성편(442) 외측에 밀착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하며, 이 때 상기 스프링(453)은 늘어난 상태로서, 상기 스프링(453)에 의해 상기 지지바(452)는 바깥쪽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즉, 엄밀하게 말하면, 상기 도 9[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푸쉬돌기(444)를 눌러 인위적으로 상기 탈착부재(44)를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고정바(45)를 수직상태로 유지해야하며, 이러한 동작은 상기 제1록킹부재(41)에 제2록킹부재(42)를 고정할 때, 작업자가 푸쉬돌기(444)를 누르는 동작을 선행해야 한다는 뜻이 된다.
이렇게 상기 탈착부재(44)가 하강하여, 상기 록킹볼(413)이 탄성편(442) 사이에 끼워지고, 작업자가 상기 제2록킹부재(42)를 더 누르게 되면, 상기 탈착부재(44)는 도 9[B]과 같이 상승하여 푸쉬돌기(444)가 제2록킹부재(42)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453)에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지지바(452)가 바깥쪽으로 수평이동하면서, 고정바(45)는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바(45)가 선회하면, 상기 고정바(45)의 단부는 상기 탄성편(442)의 외측을 내측으로 밀게 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탄성편(442)의 단부를 밀어 개구부(442B)의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구부(442B)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록킹볼(413)은 상기 록킹부(442A) 내에서 쉽게 이탈이 되지 않아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별도의 외부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제1록킹부재(41)와 제2록킹부재(42)가 분리되는 일은 없게 된다.
나아가, 보다 더 고정의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탄성편(44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바(45)의 단부에는 마그넷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45)의 단부가 상기 탄성편(442)에 밀착되어 개구부(442B) 쪽의 조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들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푸쉬돌기(444)를 강제로 눌러, 상기 탈착부재(44)를 하강시킴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9[A]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록킹볼(413)을 쉽게 이탈시켜 제1록킹부재(41)와 제2록킹부재(42)를 상호 손쉽게 분리시키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LF : 리드프레임 LF1 : 돌출부
P : 간지 S : 리드프레임 세트
10 : 공급유닛 11 : 본체
113 : 얼라이너 114 : 체인
114A : 돌기 115 : 푸셔
115A : 연동부 13 : 홀더
131 : 적층부 133 : 노출공
135 : 도어 20 : 픽커
21 : 회전암 23 : 헤드
231 : 흡착판 233 : 그립퍼
235 ; 보조흡착판 30 : 이송레일
40 : 록킹수단 41 : 제1록킹부재
411 : 기둥부 413 : 록킹볼
42 : 제2록킹부재 421 : 삽입부
422 : 공간부 423 : 승강부
424 : 연통부 425 : 노출부
44 : 탈착부재 441 : 몸체
442 : 탄성편 442A : 록킹부
442B : 개구부 443 : 걸림돌기
444 : 푸쉬돌기 45 : 고정바
451 : 회전축 452 : 지지바
452A : 힌지축 453 : 스프링

Claims (4)

  1.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수용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공급유닛;
    상기 적층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흡착판과, 상기 적층부의 리드프레임을 홀딩하는 그립퍼가 구비되어, 간지 또는 리드프레임을 이송하는 픽커;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픽커에 의해 이송된 간지와 리드프레임이 안착되는 이송레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픽커가 적층부의 리드프레임을 이송레일에 안착시키면 상기 이송레일이 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픽커가 적층부의 간지를 이송레일에 안착시키면, 상기 이송레일이 역방향으로 움직여 리드프레임과 간지를 분류하여 리드프레임만 로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적층부가 형성된 홀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적층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적층부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체인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적층부에 리드프레임 및 간지를 적층시킨 후 상기 홀더가 상기 본체방향으로 하강하면, 상기 돌기가 복수개의 리드프레임들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각각의 리드프레임들의 후단을 지지하여, 복수개의 리드프레임들을 나란하게 배열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에는 상기 체인의 돌기에 결합되는 연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푸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체인이 연동하여 상기 리드프레임 및 간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에는
    상기 리드프레임 및 간지의 하단 전면을 흡착하는 보조흡착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KR1020190034792A 2019-03-27 2019-03-27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KR10216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92A KR102165875B1 (ko) 2019-03-27 2019-03-27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92A KR102165875B1 (ko) 2019-03-27 2019-03-27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14A true KR20200113914A (ko) 2020-10-07
KR102165875B1 KR102165875B1 (ko) 2020-10-14

Family

ID=7284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792A KR102165875B1 (ko) 2019-03-27 2019-03-27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4015A (zh) * 2021-10-15 2021-11-12 四川晶辉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框架粘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486A (en) * 1976-01-16 1977-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taking contants out of box
JPH08231046A (ja) * 1995-02-24 1996-09-10 Toshiba Seiki Kk リードフレーム供給装置
JPH1084001A (ja) * 1996-09-09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の転送装置
JP2998133B2 (ja) * 1990-06-21 2000-01-11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486A (en) * 1976-01-16 1977-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taking contants out of box
JP2998133B2 (ja) * 1990-06-21 2000-01-11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供給装置
JPH08231046A (ja) * 1995-02-24 1996-09-10 Toshiba Seiki Kk リードフレーム供給装置
JPH1084001A (ja) * 1996-09-09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の転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4015A (zh) * 2021-10-15 2021-11-12 四川晶辉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框架粘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75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92559B (zh) 移印键帽设备自动输送线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436764B1 (ko) 판형 부재 이재 설비
KR101360722B1 (ko) 진공흡착 벨트 방식 웨이퍼수납장치
KR101910354B1 (ko)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자동교체장치
KR102165875B1 (ko)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CN113071887A (zh) Ic载板放板机
TWI528486B (zh) Extraction device and storage device
KR20080045027A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
CN115837358A (zh) 一种直推式晶圆分选机及其晶圆分选工艺
KR100668181B1 (ko) 백라이트유니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570159B1 (ko) 반도체 처리장치
JP2000044059A (ja) ハンドラのデバイス収納機構
KR100262270B1 (ko) 수평식 핸들러에서 테스트 트레이내로 소자를 로딩/언로딩하는방법 및 그 장치
KR101842002B1 (ko) 솔더 커팅 장치
KR100867386B1 (ko) 반도체 소자 비전 검사 시스템
KR100603029B1 (ko) 논스톱방식의 트레이 공급장치
KR100795964B1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의 보트 회수장치
KR200394149Y1 (ko) 패키지 및 트레이 소팅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비젼인스펙션 장치
JPH11227989A (ja) 板材ローダ
KR200394150Y1 (ko) 트레이 플리퍼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비젼인스펙션 장치
KR102570893B1 (ko) 콜릿 교체 장치
KR102143715B1 (ko)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KR101020669B1 (ko) 반도체 칩의 픽업 및 플레이스 장치
JPH11232421A (ja) 板材の枚数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