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61A -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61A
KR20200113661A KR1020190034173A KR20190034173A KR20200113661A KR 20200113661 A KR20200113661 A KR 20200113661A KR 1020190034173 A KR1020190034173 A KR 1020190034173A KR 20190034173 A KR20190034173 A KR 20190034173A KR 20200113661 A KR20200113661 A KR 2020011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rotating drum
fixed
drum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548B1 (ko
Inventor
박병완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 남양피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남양피엠아이 filed Critical (주) 남양피엠아이
Priority to KR102019003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28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rot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는 버(burr)를 비롯하여 고무성형물에 불필요하게 형성되거나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대량의 고무성형물에 대한 이물질 분리제거 작업이 최소화된 관리인원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separation and removal machine of foreign material on rubber goods}
본 발명은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버(burr)를 비롯하여 고무성형물에 불필요하게 형성되거나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대량의 고무성형물에 대한 이물질 분리제거 작업이 최소화된 관리인원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고무성형장치에서 제조되는 고무성형물에는 버(burr)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버를 제거함으로써 완성된 고무성형물을 획득하게 된다. 고무성형물의 버는 종래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제거되었는데, 이는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저하한를 야기함에 따라, 버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무 사상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 사상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안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8364호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등록번호 제10-1904345호 "고무 사상기"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 사상기는 이물질의 분리제거 효율이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대량의 고무성형물에 대한 동시적인 이물질 분리제거 작업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8364호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04345호 "고무 사상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회전하는 회전 드럼 내부에 배치된 에어 분사용 바로부터 고압 에어가 분사되면서 고무성형물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버(burr)를 비롯하여 고무성형물에 불필요하게 형성되거나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대량의 고무성형물에 대한 이물질 분리제거 작업이 최소화된 관리인원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100);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측에 x축 기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고, 고무성형물이 삽입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221)을 가지며, 좌우측벽(210a)(210b)을 연결시키는 원통형 메쉬망(220)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회전 드럼(200); 상기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에 베어링(211)을 매개로 삽입고정되고, 수평하게 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 드럼(200)의 내부 수용공간(221)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하게 되는 에어 분사용 바(300);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일측 측벽(210b)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드럼(200)의 x축 기준 회전운동을 유도하는 구동모터(400); 설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통과하여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에어 분사용 바(300)의 끝단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분사용 바(300)로 고압 에어를 공급하게 되는 공기압축기(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에서 상기 회전 드럼(200)은, 상기 원통형 메쉬망(220)의 설정영역이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출입용 개방면(230);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에 대응하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의 상단 라인에 핀결합되어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의 개폐시키는 메쉬망 도어(240);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의 하단 라인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망 도어(240)에 대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하는 잠금쇠(2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에서 상기 에어 분사용 바(300)는, 길이방향 양단부위가 상기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를 관통하게 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내부 수용공간(221)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지지대(310); 상기 수평 지지대(310)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T형 분기관(320); 상기 T형 분기관(320)의 하단 부위에 연결되어 고압 에어를 분사시키게 되는 에어호스(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설정높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관통한 상기 수평 지지대(310)의 끝단 부위가 관통 삽입되는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310)의 수나사가공된 끝단 부위에 이격되게 끼워져 볼트-너트 체결구조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수평 지지대(310)가 움직임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고정너트(1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1200)가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지지대(310)의 회전각도를 변경시킨 후, 한쌍의 고정너트(1200)를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수평 지지대(310)에 연결된 에어호스(330)가 배치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는 상기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회전축 고정플랜지(600); 각 회전축 고정플랜지(6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드럼 회전축(700);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설정높이로 고정되고, 상기 드럼 회전축(700)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회전축 고정베어링(800); 일측 드럼 회전축(700)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로킷(900); 상기 구동모터(400)와 구동 스프로킷(900)을 연결시키는 체인(10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에 의하면, 버(burr)를 비롯한 이물질의 분리제거 효율이 증대되고, 대량의 고무성형물에 대한 이물질 분리제거 작업이 최소화된 관리인원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의 회전 드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의 에어 분사용 바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의 에어 분사용 바 고정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고무성형물, 버(burr), 고무사상기, 회전 드럼, 메쉬방, 에어 분사 구조, 구동모터, 공기압축기, 잠금쇠, T형 분기관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1)는 도 1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100), 회전 드럼(200), 에어 분사용 바(300), 구동모터(400), 공기압축기(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프레임(100)은 설정높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드럼(200), 에어 분사용 바(300), 구동모터(400)가 몸체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프레임(100)은 저면에 고정되는 이동바퀴(110)를 구비하여 몸체프레임(100)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드럼(200)은 몸체프레임(100) 상측에 x축 기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고무성형물이 삽입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221)을 가지며, 좌우측벽(210a)(210b)을 연결시키는 원통형 메쉬망(220)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부 수용공간(221)을 설정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 대량의 고무성형물이 한꺼번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드럼(200)은 도 2에서와 같이 출입용 개방면(230), 메쉬망 도어(240), 잠금쇠(250)를 구비한다.
출입용 개방면(230)은 원통형 메쉬망(220)의 설정영역이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메쉬망 도어(240)는 출입용 개방면(230)에 대응하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출입용 개방면(230)의 상단 라인에 핀결합되어 회전이동하면서 출입용 개방면(230)의 개폐시키게 된다. 잠금쇠(250)는 출입용 개방면(230)의 하단 라인 하측에 형성되어 메쉬망 도어(240)에 대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에어 분사용 바(300)는 설정길이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에 베어링(211)을 매개로 삽입고정되는 것으로, 수평하게 선형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에어 분사용 바(300)는 회전 드럼(200)의 내부 수용공간(221)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용 바(300)는 도 3에서와 같이 수평 지지대(310), 복수의 T형 분기관(320), 에어호스(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평 지지대(310)는 길이방향 양단부위가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를 관통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 드럼(200)의 내부 수용공간(221)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지지대(310)는 베어링(211)을 매개로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회전 드럼(200)의 회전시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수평 지지대(310)의 일단 부위는 구동모터(400)와 연결되는 회전 드럼(200)의 일측 측벽(210b)에 베어링(211)을 매개로 고정되고, 수평 지지대(310)의 타단 부위는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통과하여 타측 측벽(210a)의 외측에서 공기압축기(500)와 연결된다.
복수의 T형 분기관(320)은 수평 지지대(310)에 이격 배치되는 것이고, 에어호스(330)는 T형 분기관(320)의 하단 부위에 연결되어 고압 에어를 분사시키게 된다.
구동모터(400)는 몸체프레임(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것으로, 회전 드럼(200)의 일측 측벽(210b)과 연결되어 회전 드럼(200)의 x축 기준 회전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1)는 한쌍의 회전축 고정플랜지(600), 한쌍의 드럼 회전축(700), 한쌍의 회전축 고정베어링(800), 구동 스프로킷(900), 체인(10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회전축 고정플랜지(600)는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는 원형 플랜지로서, 회전 드럼(20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쌍의 드럼 회전축(700)은 각 회전축 고정플랜지(6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으로서, 회전축 고정플랜지(600)와 드럼 회전축(700)은 일체로 이루면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공기압축기(500)와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310)의 타단 부위는 드럼 회전축(7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드럼 회전축(700)의 내부에는 드럼회전축 배치 베어링(340)이 배치되어 수평 지지대(310)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드럼 회전축(700)의 회전시 수평 지지대(31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쌍의 회전축 고정베어링(800)은 몸체프레임(100)의 폭방향(w) 양단부위에 설정높이로 고정되는 것으로, 드럼 회전축(700)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다.
구동 스프로킷(900)은 일측 드럼 회전축(700)에 결합되는 것이고, 체인(1000)은 구동모터(400)와 구동 스프로킷(900)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400)의 회전력이 체인(1000), 구동 스프로킷(900), 일측 드럼 회전축(700), 일측 회전축 고정플랜지(600)를 통해 회전 드럼(200)으로 전달되면서 회전 드럼(200)의 회전이 유도된다.
공기압축기(500)는 설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통과하여 외측에 배치되는 에어 분사용 바(300)의 끝단 부위에 연결되어 에어 분사용 바(300)로 고압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1)는 공기압축기(500)에 연결된 공압 배관(510)의 끝단부위에 배치된 개폐밸브(520)에 에어 분사용 바(300)의 수평 지지대(310)가 결합되도록 한다.
공기압축기(500)는 몸체프레임(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몸체프레임(100)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1)는 도 4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 한쌍의 고정너트(1200)를 구비하여 에어 분사용 바(300)의 에어호스(330)의 배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은 몸체프레임(100)의 폭방향(w) 끝단부위에 설정높이로 고정되는 것으로,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관통한 수평 지지대(310)의 끝단 부위가 관통 삽입된다.
한쌍의 고정너트(1200)는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수평 지지대(310)의 수나사가공된 끝단 부위에 이격되게 끼워져 볼트-너트 체결구조로 이동하여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수평 지지대(310)가 움직임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너트(1200)가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 지지대(310)의 회전각도를 변경시킨 후, 한쌍의 고정너트(1200)를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프로세스를 통해 수평 지지대(310)에 연결된 에어호스(330)가 배치각도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1)는 회전하는 회전 드럼(200)의 내부에 배치된 에어 분사용 바(300)로부터 고압 에어가 분사되면서 고무성형물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버(burr)를 비롯하여 고무성형물에 불필요하게 형성되거나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되고, 대량의 고무성형물에 대한 이물질 분리제거 작업이 최소화된 관리인원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100 : 몸체프레임
110 : 이동바퀴
200 : 회전 드럼
210a, 210b : 측벽
211 : 베어링
220 : 원통형 메쉬망
221 : 내부 수용공간
230 : 출입용 개방면
240 : 메쉬망 도어
250 : 잠금쇠
300 : 에어 분사용 바
310 : 수평 지지대
320 : T형 분기관
330 : 에어 호스
340 : 드럼회전축 배치 베어링
400 : 구동모터
500 : 공기압축기
510 : 공압 배관
520 : 개폐밸브
600 : 회전축 고정플랜지
700 : 드럼 회전축
800 : 회전축 고정베어링
900 : 구동 스프로킷
1000 : 체인
1100 : 수평지지대 고정단
1200 : 고정너트

Claims (5)

  1. 설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100);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측에 x축 기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고, 고무성형물이 삽입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221)을 가지며, 좌우측벽(210a)(210b)을 연결시키는 원통형 메쉬망(220)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회전 드럼(200);
    상기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에 베어링(211)을 매개로 삽입고정되고, 수평하게 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 드럼(200)의 내부 수용공간(221)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하게 되는 에어 분사용 바(300);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일측 측벽(210b)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드럼(200)의 x축 기준 회전운동을 유도하는 구동모터(400);
    설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통과하여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에어 분사용 바(300)의 끝단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분사용 바(300)로 고압 에어를 공급하게 되는 공기압축기(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200)은,
    상기 원통형 메쉬망(220)의 설정영역이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출입용 개방면(230);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에 대응하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의 상단 라인에 핀결합되어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의 개폐시키는 메쉬망 도어(240);
    상기 출입용 개방면(230)의 하단 라인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망 도어(240)에 대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하는 잠금쇠(2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용 바(300)는,
    길이방향 양단부위가 상기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중심 부위를 관통하게 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내부 수용공간(221)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지지대(310);
    상기 수평 지지대(310)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T형 분기관(320);
    상기 T형 분기관(320)의 하단 부위에 연결되어 고압 에어를 분사시키게 되는 에어호스(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설정높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 드럼(200)의 타측 측벽(210a)을 관통한 상기 수평 지지대(310)의 끝단 부위가 관통 삽입되는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310)의 수나사가공된 끝단 부위에 이격되게 끼워져 볼트-너트 체결구조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수평 지지대(310)가 움직임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고정너트(1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1200)가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지지대(310)의 회전각도를 변경시킨 후, 한쌍의 고정너트(1200)를 상기 수평지지대 고정단(110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수평 지지대(310)에 연결된 에어호스(330)가 배치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200)의 좌우측벽(210a)(210b)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회전축 고정플랜지(600);
    각 회전축 고정플랜지(6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드럼 회전축(700);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설정높이로 고정되고, 상기 드럼 회전축(700)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회전축 고정베어링(800);
    일측 드럼 회전축(700)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로킷(900);
    상기 구동모터(400)와 구동 스프로킷(900)을 연결시키는 체인(1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KR1020190034173A 2019-03-26 2019-03-26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KR102164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73A KR102164548B1 (ko) 2019-03-26 2019-03-26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73A KR102164548B1 (ko) 2019-03-26 2019-03-26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61A true KR20200113661A (ko) 2020-10-07
KR102164548B1 KR102164548B1 (ko) 2020-10-12

Family

ID=7284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173A KR102164548B1 (ko) 2019-03-26 2019-03-26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619A (zh) * 2021-11-22 2022-02-08 安徽柳溪智能装备有限公司 车轴自动涂装结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613A (ja) * 1996-05-20 1997-12-02 Tokai Rika Co Ltd 部品取出装置
KR20080007995A (ko) * 2006-07-19 2008-01-23 이성규 이물질 여과장치
KR100855636B1 (ko) * 2007-04-11 2008-09-03 송병호 가공물의 버제거 및 연마장치
KR20100077977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이레 축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124062A (ko) * 2009-05-18 2010-11-26 신원기계 주식회사 스윙드럼식 쇼트블라스팅 장치
KR20100138731A (ko) * 2009-06-23 2010-12-31 우정환경주식회사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JP2014121701A (ja) * 2012-11-20 2014-07-03 Okura Kazuyasu 夾雑物分離装置
KR101804978B1 (ko) * 2017-02-10 2017-12-06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협잡물이 포함된 침사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체형 침사물 분리방법 및 일체형 침사물 분리장치
KR101868364B1 (ko) 2016-06-30 2018-06-18 박병완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101904345B1 (ko) 2016-01-27 2018-10-05 박병완 고무 사상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613A (ja) * 1996-05-20 1997-12-02 Tokai Rika Co Ltd 部品取出装置
KR20080007995A (ko) * 2006-07-19 2008-01-23 이성규 이물질 여과장치
KR100855636B1 (ko) * 2007-04-11 2008-09-03 송병호 가공물의 버제거 및 연마장치
KR20100077977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이레 축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124062A (ko) * 2009-05-18 2010-11-26 신원기계 주식회사 스윙드럼식 쇼트블라스팅 장치
KR20100138731A (ko) * 2009-06-23 2010-12-31 우정환경주식회사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JP2014121701A (ja) * 2012-11-20 2014-07-03 Okura Kazuyasu 夾雑物分離装置
KR101904345B1 (ko) 2016-01-27 2018-10-05 박병완 고무 사상기
KR101868364B1 (ko) 2016-06-30 2018-06-18 박병완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101804978B1 (ko) * 2017-02-10 2017-12-06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협잡물이 포함된 침사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체형 침사물 분리방법 및 일체형 침사물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619A (zh) * 2021-11-22 2022-02-08 安徽柳溪智能装备有限公司 车轴自动涂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48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548B1 (ko) 고무성형물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US3765051A (en)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elements or the like
US9387640B1 (en) Recycling systems and methods for plastic waste
JPS618275A (ja) 内部グリツド噴射式溶接接合部清浄用装置
JP6755563B1 (ja) エアノズル
US20140329444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object by projecting shots thereon
CN107685275A (zh) 一种转盘式五工位抛光机
CN107530861A (zh) 用于抛光陶瓷物品或天然石料的头
KR20160144664A (ko) 들것 세척장치
US7264543B2 (en) Device for cutting free the colon of a slaughter animal
KR101339804B1 (ko) 파이프 세척 장치
DE102010018817A1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stabförmigen Produkten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KR101941140B1 (ko) 고압 세척기
KR200409197Y1 (ko) 고무각링 가공장치
KR101469528B1 (ko) 쇼트피닝장치
KR20170099799A (ko)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KR102231783B1 (ko) 이물질 제거장치
US9895704B2 (en) Surface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80112459A (ko) 몰드 청소장치
JP6923242B1 (ja) エアノズル
KR20190027597A (ko) 노후 강관 갱생용 자동화 장비
JP4179615B2 (ja) 埋設石綿管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10919212B1 (en) Mechanized inverter for pipe liners
CN105268704B (zh) 用于防止异物堵塞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清洁机器人
CN106079184A (zh) 模具清洗设备及清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