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818A -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818A
KR20200112818A KR1020207018607A KR20207018607A KR20200112818A KR 20200112818 A KR20200112818 A KR 20200112818A KR 1020207018607 A KR1020207018607 A KR 1020207018607A KR 20207018607 A KR20207018607 A KR 20207018607A KR 20200112818 A KR20200112818 A KR 2020011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oral interface
adjustable oral
shield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102B1 (ko
Inventor
청 추 첸
퉁 밍 유
인 루에이 첸
Original Assignee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e.g. during ex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2016/0661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with customised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쉴드; 쉴드와 결합된 음압 전달부; 및 음압 전달부 및 음압 발생원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로서, 음압 전달부가 상부 개구의 윤곽에 맞게 사용자의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구강의 전방 및 후방에 음압 전달부를 통하여 음압을 전달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오랄 음압 치료 시스템, 특히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OSA), 저 호흡, 및 상부기도 저항 증후군(UARS)은 수면, 마취 또는 마취 후, OSA, 저 호흡 및 수면 중 완전 또는 부분 상부기도 폐쇄의 에피소드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공지된 장애들 중 하나이다. UARS는 잠재적으로 심각한 옥시헤모글로빈 불포화의 결과로 수면 중 간헐적 환기 중단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OSA, 저 호흡 및/또는 UARS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산소 부족에 반응하여 수면에서 자주 반복되는 수면을 경험한다. 각성으로 인해 수면 단편화와 수면 연속성이 좋지 않다.
이러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강에 음압을 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을 치료하기 위한 기구는 OSA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의 구강 구조의 일부를 재배치하기 위해 장치에 진공이 지속적으로 흡입되는 환자의 입에 보유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확한 호흡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혀의 연구개 및/또는 후방 부분을 인두로부터 멀어 지도록 진공을 흡입할 수 있다. 구강 내에서 음압을 전달하기 위해 환자의 입에 들어있는 이러한 장치에서, 장치가 환자의 구강 구조에 완벽하게 맞지 않아 치료의 효능 또는 편안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의 구강 구조에 적응하고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조절식 구강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구강 음압 치료 시스템에 의해서 발생된 음압을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쉴드; 쉴드와 결합된 음압 전달부; 및 음압 전달부 및 음압 발생원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하는 튜브;를 포함하며, 음압 전달부는 상부 개구의 윤곽에 맞게 사용자의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구강의 전방 및 후방에 음압 전달부를 통하여 음압을 전달한다.
일 양태에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쉴드, 쉴드와 결합된 음압 전달부, 음압 전달부 및 음압 발생원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하는 튜브, 및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쉴드와 결합되고 튜브 및 음압 전달부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된 바디 커넥터를 포함한다. 바디 커넥터는 바디 커넥터와 음압 전달부를 선회하게 조립되도록 축을 구비한다. 음압 전달부는 상부 개구의 윤곽에 맞게 사용자의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구강의 전방 및 후방에 음압 전달부를 통하여 음압을 전달한다. 또한, 음압 전달부는 상이한 크기, 직경,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상이한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분리 및 탈착 가능하다.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될 쉴드는 밀봉부로서 기능한다. 추가적으로, 쉴드는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서 탈착 및 교체될 수 있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부품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탈착 및 교체되고 쉽게 청소 및/또는 교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쉴드, 쉴드와 결합된 음압 전달부, 음압 전달부 및 음압 발생원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하는 튜브, 및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쉴드와 결합되고 튜브 및 음압 전달부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된 바디 커넥터를 포함한다. 바디 커넥터는 바디 커넥터와 음압 전달부를 선회하게 조립되도록 축을 구비한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바디 커넥터의 축에 선회하게 조립된 혀 보호기구를 더 포함한다. 음압 전달부는 상부 개구의 윤곽에 맞게 사용자의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구강의 전방 및 후방에 음압 전달부를 통하여 음압을 전달한다. 또한, 음압 전달부는 상이한 크기, 직경,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탈착 및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술과 앞니 사이에 위치될 쉴드는 밀봉부로서 기능한다. 쉴드는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탈착 및 상호 교환될 수 있다. 혀 보호기구는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탈착 및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부품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탈착 및 교체되고 쉽게 청소 및/또는 교환될 수 있다. 바디 커넥터는 다른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축 및 상하 치아 정렬의 앵커 역할을 한다.
쉴드는 앞니의 압축을 통해 재-형 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해부학적 특징에 맞는 구성을 형성할 수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음압 전달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압축은 성형되어 혀와 상부 입천장 사이의 공간을 윤곽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몰딩 효과를 갖는 열가소성 물질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약칭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약칭 EVA), 등일 수 있다. 또한, 음압 전달부는 음압 전달부를 통한 음압 유동을 허용하는 탄성 다공성(elastic porous)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음압 전달부는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 효율에 유리한 음압 전달부의 면적 비율을 차지한다. 일 구현 예에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등척 패턴으로 상부 표면에 배열된다. 일 구현 예에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축과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예에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축과 수직이다. 일 구현 예에서, 음압 전달부는 유선형, 타원형, 및 물방울의 형태이다. 일 구현 예에서, 음압 전달부는 사용자의 혀 및 경개구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맞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예에서, 음압 전달부는 사용자의 연개구 근처에 후단 및 사용자의 혀끝 근처에 전단을 가지며, 후단의 두께는 전단의 두께보다 두껍다.
음압 전달부는 음압 전달부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유체로 연통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가진다.
일 양태에서, -10 내지 -150mmHg인 음압을 전달하도록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음압은 -20 내지 -100mmHg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압은 -30 내지 -60mmHg이다.
일 양태에서, 10ml/min 내지 800ml/min의 유량인 음압을 전달하도록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량은 30ml/min 내지 600ml/min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량은 50ml/min 내지 300ml/min이다.
일 양태에서, 바디 커넥터는 경질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약칭 PC), 폴리프로필렌(약칭 PP)) 또는 다른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쉴드, 음압 전달부, 튜브 및 혀 보호기구는 연질 폴리머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특히, 연질 폴리머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약칭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약칭 EVA), 실리콘 또는 다른 연성 및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음압을 전달하도록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식 구강 인터페이스는 선택한 부품과 적절한 압력 및 유량으로 구성된 옵션 제품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b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측 단면도이며; 도 2c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b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측면도이며; 도 3c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2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제2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를 통한 음압 전달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b는 제2 실시 예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를 통한 음압 전달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혀 보호기구 및 음압 전달부의 위치 조절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측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혀 보호기구가 사용자의 하악(lower mandible)의 전방 운동을 어떻게 제어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위치가 다른 사용자의 오랄 구조에 맞도록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c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길이가 다른 사용자의 오랄 구조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d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음압 전달부의 후단의 두께는 전단의 두께보다 두껍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음압 전달 경로를 도시하며, 음압 전달부의 후단의 두께는 전단의 두께보다 두껍다.
도 8a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음압 전달부의 후단의 두께는 전단의 두께보다 두껍다; 도 8b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음압 전달부의 후단의 폭은 전단의 폭보다 넓다.
도 9a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변형 예를 도시하며, 상부 도면은 음압 전달부의 평면도이며, 하부 도면은 음압 전달부의 후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하며, 상부 도면은 음압 전달부의 평면도이며, 하부 도면은 음압 전달부의 후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몇몇 변형 예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혀 보호기구의 몇몇 변형 예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쉴드(shield)의 몇몇 변형 예를 도시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횡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 예의 목적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 및 첨부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유사한 구조 특징이 해당 분야에서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임의의 구조는 본 발명에 기술된 구조 특징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며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변형 예는 반드시 실제 구조의 크기 및 치수 비율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는 특정 구성 요소의 세부 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은 명확성을 위해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어진 장치의 각 부품 및/또는 부분 및/또는 상세한 구조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2a, 2b,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압 치료 시스템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 횡 단면도,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는 쉴드(100), 바디 커넥터(110), 혀 보호기구(120), 및 음압 전달부(130)를 포함한다. 쉴드(100)는 사용자의 입술과 앞니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쉴드(10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된 관통 구멍(101)이 사용자의 입술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쉴드(100)의 중앙 영역은 관통 구멍(101)이 통과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바디 커넥터(110)는 중공 튜브(111), 결합 조각(112), 축(113)을 포함한다. 바디 커넥터(110)의 중공 튜브(11)의 전단(111a)은 쉴드(100)의 관통 구멍(101)을 기밀하게(air-rightly) 통과하고, 음압 발생원 및 중공 튜브(111) 사이에서 유체 연통하도록 설계된 유체 도관(미도시)과 유체로 연결된다. 바디 커넥터(110)의 결합 조각(112)는 쉴드(10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결합되고, 중공 튜브(111)의 전단(111a) 맞은편의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은 쉴드(100)의 후면에 위치된다.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은 결합 조각(112) 뒤에 위치된 상부-개방형 유체 채널로 형성된다. 바디 커넥터(110)의 축(113)은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에 배치되고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에서 상부-개방형 유체 채널의 두 개의 마주하는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며, 축(113)은 중공 튜브(111)에 수직한다. 혀 보호기구(120)는 한 쌍의 행잉-이어(hanging-ears)(122a, 122b)를 포함한다. 행잉-이어(122a, 122b)는 바디 커넥터(110)의 축(113)을 선회하게 통과하고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에서 상부-개방형 유체 채널의 두 개의 마주하는 측벽의 외부 측면에 저항하여, 혀 보호기구(120)는 바디 커넥터(11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조립된다. 음압 전달부(130)는 바디(132) 및 한 쌍의 이어(ear)(132a, 13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이어(132a, 132b)는 바디(132)의 전방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축(113)에 저항하는 혀 보호기구(120)의 한 쌍의 행잉-이어(122a, 122b)를 바디 커넥터(110)의 축(113)의 두 개의 마주하는 단부와 개별적으로 선회하게 조립되어서, 혀 보호기구(120)는 음압 전달부(130) 아래에 조립되고, 음압 전달부(130)는 바디 커넥터(110)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쉴드(100), 혀 보호기구(120), 및 음압 전달부(130)와 같은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의 구성부품은 바디 커넥터(110)에 의해서 함께 조립된다. 혀 보호기구(110) 및 음압 전달부(130)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최적의 위치로 적응되도록 축(113) 주위로 조절될 수 있다. 쉴드(100), 혀 보호기구(120), 및 음압 전달부(130)는 개별적으로 분리 및 상호-교환될 수 있으며, 쉽게 청소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이러한 구성부품들은 다시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도 2c 및 도 3a-3c를 참조하면, 음압 전달부(130)의 상부 표면에는 바디(132)의 전단에서 종축 방향으로 후단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트렌치-형상의(trench-shaped)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이 제공된다.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은 바디 커넥터(110)의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에 형성된 상부-개방형 유체 채널과 유체 연통한다.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은 음압 전달부(130)의 바디(132)의 상부 표면 상에 서로 평행하고 등척(isometric) 패턴으로 배열된다. 음압 전딜부(130)의 상부 표면은 바디(132)의 좌측으로부터 횡축 방향에 우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트렌치-형상의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를 더 포함한다.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는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과 교차되고 유체로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은 등척 패턴으로 배열되고 음압 전달부(130)의 바디(132)의 상부 표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며, 이들이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과 수직이다. 음압 전달부(130)는 바디(132)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326)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1326)는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를 개별적으로 통과하며, 바디(132)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유체로 연통한다. 선택적으로, 관통 구멍(1326)은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미도시)을 통과하며, 바디(132)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유체로 연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가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될 때, 쉴드(100)는 사용자의 입술(500) 및 앞니(502) 사이에 위치되어, 바디 커넥터(110)의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은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연장되며, 음압 전달부(130)는 사용자의 상부 개구 윤곽에 맞도록 사용자의 혀(504) 및 상부 개구(506) 사이의 공간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위치되며, 사용자의 혀(504)의 끝은 혀 보호기구(120)의 내부 표면에 저항한다. 바디 커넥터(110)의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에서 상부-개방형 유체 채널은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 및 관통 구멍(1326) 및 음압 전달부(130)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와 유체로 연통한다. 음압 발생원(미도시)는 바디 커넥터(110)의 중공 튜브(111)의 전단(111a)에 연결된 유체 도관을 경유하여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로부터 진공을 흡입하여, 화살표로 유동 방향이 나타나는 음압 전달 경로가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구강에서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상부 개구 및 음압 전달부(130) 사이의 구강의 전단부터 후단까지의 공간에서 공기가 음압 전달부(130)의 상부 표면 상에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 및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를 통하여 음압 전달부(130)의 전단에 전달된다. 구강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혀(504) 및 음압 전달부(130) 사이의 공기는 음압 전달부(130)의 관통 구멍(1326)을 경유하여 음압 전달부(130)의 상부 표면으로 전달되며, 이어서 음압 전달부의 상부 표면 상에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2) 및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1324)을 경유하여 음압 전달부(130)의 전단으로 전달된다. 음압 전달부(130)의 전단으로 전달되는 구강 내의 공기는 혀와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바디 커넥터(110)의 중공 튜브(111)의 후단(111b)에서 상부-개방형 유체 채널을 통하여 구강 밖으로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음압은 음압 전달부(130)를 통해 구강의 압뒤 영역으로 전달된다. 구강 전방의 음압은 혀(504)의 후방 부분이 상부 기도의 후방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혀(504)의 팁을 위족으로 들어 올리고, 구강의 후방에서 음압은 연개구(508)을 당겨서 혀(504)의 후방 부분에 맞물려 연개구(508)이 상부 기도의 후방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상부 기도의 개통성이 달성되고 유지된다.
사용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의 쉴드(100)는 사용자의 구강에서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부(seal)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쉴드(100)는 기밀 효과를 얻기 위해 입술의 내부 표면 및 사용자의 앞니의 외부 표면의 윤곽에 유연하게 맞춰질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서, 쉴드(100)는 얇은 조각으로 구성되며, 특히 쉴드(100)의 형상은 입술 내부 표면과 사용자의 앞니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맞춰지도록 설계된다. 다른 구현 예에서, 쉴드(100)의 길이는 좌측에서 우측까지 10mm 내지 120mm이다. 여기서, 쉴드(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은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가 사용될 때 사용자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으로 치아 배열 방향을 따른다. 다른 구현 예에서, 쉴드(100)는 앞니 상에 압축을 통해 재-성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해부학적 특징에 맞는 구성을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b를 참조하면, 음압 전달부(130)는 축(113)에 대하여 그 위치를 조절 및 변경하도록 바디 커넥터(110)의 축(113) 주위로 선회될 수 있어서, 음압 전달부(130)는 사용자의 상부 개구의 윤관에 순응할 수 있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의 혀 보호기구(120)는 또한 축(113)에 대한 위치를 변경 및 조절하도록 바디 커넥터(110)의 축(113) 주위로 선회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에 맞춰진다. 즉,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의 음압 조절부(130) 및 혀 보호기구(120)의 위치 조절 메커니즘은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1)가 사용자 불편함을 방지하도록 다른 사용자들의 구강에 맞도록 한다.
음압 발생원으로부터의 음압은 음압 치료 기간 동안에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경 및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압 발생원으로부터 음압은 -10 내지 -150mmHg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압은 -20 내지 -100mmHg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압은 -30 내지 -60mmHg이다.
쉴드(100), 혀 보호기구(120), 음압 전달부(130)는 연질 중합체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약칭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약칭 EVA), 실리콘, 등) 또는 다른 연성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 커넥터(110)는 경질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약칭 PC), 폴리프로필렌(약칭 PP), 등) 또는 다른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의 분해 사시도이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는 쉴드(400), 바디 커넥터(410), 혀 보호기구(420), 피봇핀(430), 및 음압 전달부(440)를 포함한다. 쉴드(400)는 쉴드(40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된 관통 구멍(401)이 사용자의 입술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도록 사용자의 앞니와 입술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쉴드(400)의 중앙 영역은 관통 구멍(401)이 통과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바디 커넥터(410)는 중공 튜브(411), 결합 부재(412), 및 피봇핀(430)이 통과하는 한 쌍의 구멍(413a, 413b)를 포함한다. 바디 커넥터(410)의 중공 튜브(411)의 전단(411a)은 관통 구멍(401)을 기밀하게 통과하고 유체 도관(미도시)와 유체로 연결되도록 쉴드(400)의 밖으로 연장된다. 유체 도관은 음압 발생원 및 중공 튜브(411)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한다. 중공 튜브(411)의 후단(411b)은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조각(412) 뒤에 하부-개방형 유체 채널로 형성된다. 바디 커넥터(410)의 구멍(413a, 413b)은 중공 튜브(411)의 후단(411b)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혀 보호기구(420)의 전단은 한 쌍의 행잉-이어(422a, 422b)를 구비한다. 음압 전달부(440)는 바디(422) 및 한 쌍의 이어(444a, 444b)를 포함한다. 이어(444a, 444b)는 바디(442)의 전단에 마주보게 형성된다. 피봇핀(430)은 연속적으로 구멍(413a), 혀 보호기구(420)의 행잉-이어(422a), 음압 전달부(440)의 이어(444a, 444b), 및 바디 커넥터(410)의 구멍(413b)을 통과하여, 혀 보호기구(420) 및 음압 전달부(440)를 바디 커넥터(410)와 조립하며, 혀 호보기구(420)는 음압 전달부(440) 아래에 있다. 일 구현 예에서, 피봇핀(430)의 두 개의 단부 각각은 탄성 결합 블록(미도시)을 구비하여, 일단 피봇핀(430)이 구멍들(413a, 413b)을 통과하면 피봇핀(430)은 바디 커넥터(4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로부터 혀 보호기구(420) 및 음압 전달부(440)를 분리하길 원한다면 사용자는 결합 블록을 파괴해야 한다. 일단 혀 보호기구(420) 및 음압 전달부(440)가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에 조립되면, 혀 보호기구(420) 및 음압 전달부(440)가 통과하기 위해 손상되지 않은 피봇핏(430)이 필요하다. 혀 보호기구(420) 및 음압 전달부(440) 모두 다른 사용자의 구강에 적합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해(예를 들어, 도 6a 및 6b에 도시된 것처럼) 피봇핀(430) 주위로 선회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의 구강에 맞춰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음압 전달부(440)의 상부 표면은 복수의 트렌치-형상의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을 구비하며, 바디(442)의 후측의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이들 각각은,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가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될 때, 경개구의 후단으로부터 앞으로 경개구의 1/4 내지 1/3부분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바디(442)의 후측에 개방 단부 및 바디(442)의 후측으로부터 떨어진 폐쇄 단부를 가진 루프를 구성하도록 바디(442)의 후측의 반대편 위치까지 역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은 등척 패턴으로 서로 평행하게 음압 전달부(440)의 바디(442)의 상부 표면에 배열된다. 음압 전달부(440)의 상부 표면은, 예를 들어, 횡축 방향을 따라 바디(442)의 좌측으로부터 바디(442)의 우측까지 연장하는 많은 트렌치-형상의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를 더 포함한다.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는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와 유체로 연통되게 상호 교차된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은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에 수직하고 음압 전달부(440)의 바디(442)의 상부 표면에 배열된다. 음압 전달부(440)는 바디(442)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4426)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4426)은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의 폐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바디(442)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유체로 연통하게 개방 유체 채널(4422)을 통과한다. 음압 전달부(440)의 바디(442)의 하부 표면은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8), 트렌치-형상의 루프 유체 채널(4430) 및 트렌치-형상의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32)을 더 포함한다. 루프 유체 채널(4430)은 동심 및 등척 패턴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관통 구멍(4426)은 한 쌍의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 및 서로 상응하는 루프 유체 채널(4430)을 통과한다.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32)는 횡축 방향을 따라 바디(442)의 우측 및 좌측 사이에 바디(442)의 하부 표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32)는 루프 유체 채널(4430)과 유체로 연통하게 서로 맞물린다.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8)은 바디(442)의 하부 표면의 전단으로부터 최외각 루프 유체 채널(4430)까지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최외각 루프 유체 채널(4430) 및 바디 커넥터(410)의 후단(411b)에 하부-개방형 유체 채널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한다(도 4b 및 도 5b 참조). 음압 전달부(440)의 하부 표면에서 동심 패턴으로 배열된 트렌치-형상의 루프 유체 채널(4430)은,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가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혀끝에 인접하게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8)의 후단에 위치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가 사용될 때, 쉴드(400)는 사용자의 입술(500`)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되며, 바디 커넥터(410)의 중공 튜브(411)의 후단(411b)에서 바닥-개방형 유체 채널은 구강에서 연장하며, 음압 전달부(440)는 혀(504`) 및 상부 개구(506`) 사이에 조절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부 개구의 윤곽에 맞춰지며, 혀(504`)의 팁은 혀 보호기구(420)의 내부 표면에 저항한다. 바디 커넥터(410)의 중공 튜브(411)의 후단(411b)에 하부-개방형 유체 채널은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8), 루프 유체 채널(4430), 음압 전달부(440)의 하부 표면에서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32), 관통 구멍(4426),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 및 음압 전달부(440)의 상부 표면에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와 유체로 연통하여, 음압이 음압 전달부(440)의 상부 표면에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 및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를 통하여 경개구로 전달되며, 음압이 음압 전달부(440)의 하부 표면에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32) 및 루프 유체 채널(4430)을 통하여 혀 조직으로 전달된다. 음압 발생원(미도시)은 바디 커넥터(410)의 중공 튜브(411)의 전단(411a)에 연결된 유체 도관을 통하여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로부터 진공을 흡입하여, 화살표로 표시된 유동 경로와 같이 음압 전달 경로가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구강에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상부 개구 및 음압 전달부(440) 사이의 구강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공간에서의 공기가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을 통하여 음압 전달부(440)의 전단, 음압 전달부(440)의 상부 표면에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 관통 구멍(4426), 및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8)로 전달된다. 구강의 전방부터 후방까지 음압 전달부(440) 및 혀(504`) 사이의 공기는 음압 전달부(440)의 전단으로 전달된다. 음압 전달부(440)의 전단에 전달된 공기는 혀와 상부 개구 사이의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바디 커넥터(410)의 중공 튜브(411)의 후단(411b)에 하부-개방형 유체 채널을 통하여 구강으로부터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음압은 음압 전달부(440)를 통해 구강의 전후 영역으로 전달된다. 구강의 전방에 음압은 혀(504`)의 끝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혀(504`)의 후방 부분이 상부 기도의 후방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며, 구강의 후방에 음압은 혀(504`)의 후방 부분에 맞물리게 연개구(508`)를 당겨서 연개구(508`)가 상부 기도의 후방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상부 기도의 개통성이 달성되고 유지된다.
또한, 음압은 혀, 상부 개구, 및 연개구 사이에 균등하게 분배하고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는 음압을 바디 커넥터(410), 개방 루프 유체 채널(4422) 및 음압 전달부(440)의 상부 표면에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4), 관통 구멍(4426),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4428), 루프 유체 채널(4430), 및 음압 전달부(440)의 하부 표면에서 횡방향 개방 융체 채널(4432)을 통하여 전달하여, 혀 조직 및 연개구가 사용자의 기도 개통성을 유지하도록 단단히 안정화된다.
사용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의 쉴드(400)는 사용자의 구강이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부로서 기능한다. 일 구현에서, 쉴드(400)는 앞니의 압축을 통해 재-성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해부학적 특징에 맞는 구성을 형 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할 때,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의 음압 전달부(440)는 피봇핀(430)에 대하여 그 위치를 변경 및 조절하도록 바디 커넥터(410)의 피봇핀(430) 주위로 선회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춰져, 음압 전달부(440)는 사용자의 상부 개구의 윤곽에 부합될 수 있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의 혀 보호기구(420)는 또한 피봇핀(430)에 대하여 그 위치를 변경 및 조절하도록 바디 커넥터(410)의 피봇핀(430) 주위로 선회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춰진다. 즉, 음압 전달부(440)의 위치 조절 메커니즘 및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의 혀 보호기구(420)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가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호돌 ㄱ다른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4)의 사용에 따라, 음압 발생원으로부터의 음압은 음압 치료 기간 동안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경 및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압 발생원으로부터 음압은 -10 내지 -150mmHg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압은 -20 내지 -100mmHg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압은 -30 내지 -60mmHg이다.
쉴드(400), 혀 보호기구(420), 음압 전달부(440)는 연질 중합체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약칭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약칭 EVA), 실리콘, 등) 또는 다른 연성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 커넥터(410)는 경질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약칭 PC), 폴리프로필렌(약칭 PP), 등) 또는 다른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혀 보호기구는 또한 사용자의 하악의 앞뒤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축이 혀 보호기구(420)의 이어(422a, 422b) 또는 혀 보호기구(120)의 이어(122a, 122b)에 구비될 수 있다. 바디 커넥터(110)의 축(113)은 보조 축과 함께 작동하거나, 바디 커넥터(410)의 피봇핀(430)과 함께 작동하며, 보조 축은 혀 보호기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하악을 사용자의 아래쪽 치과용 침대의 기울기에 맞게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가 사용자의 다른 구강 구조에 맞게 그 위치를 조절되도록 바디 커넥터의 축(예를 들어, 바디 커넥터(100)의 축(113) 또는 바디 커넥터(410)의 피봇핀(430))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는, 음압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강 내에 연조직 및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목젖 근처에 연개구부 및 상부 치어 사이의 거리와 맞는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후단의 두께는 음압 전달부의 전단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음압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강 내에 연조직 영역을 증가시키며, 또한 음압 전달 효율을 증가 및 음압 전달 차를 감소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얇고 좁은 전단 및 두껍고 넓은 후단을 가진 음압 전달부를 구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때 연개구 및 혀의 움직임 및 구강 내에 공기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음압 전달부의 얇고 좁은 전단은 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유리하다. 경개구 근처의 음압 전달부의 넓은 후단 및 연개구는 음압에 의해서 흡수된 연개구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얇고 좁은 전단 및 두껍고 넓은 후단이 있는 음압 전달부를 도시한다.
도 9a 및 9b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 및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의 음압 전달 경로는 공기가 원하는 압력 전달 경로를 보장하도록 자유롭게 유동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구강 내에 액체를 방출한다. 또한, 개방 유체 채널들은 음압 전달부의 면적 비율을 차지하고, 이는 음압 전달 효율에 유리하다.
도 10a는 제1 실시 예의 음압 전달부(130)의 변형 예를 도시한다. 도 10b, 10c, 10d 및 10e는 제2 실시 예의 음압 전달부(440)의 변형 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 예의 음압 전달부(130)의 다른 변형 예는 도 10f에 도시된다. 도 10f에 도시된 음압 전달부는 실질적으로 메쉬-형상의 패턴으로 많은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한 그 상부 표면에 많은 돌출부(1001a)를 구비한다. 음압 전달부의 하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메쉬-형상의 패턴으로 많은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한 많은 돌출부(1001b)를 구비한다. 도 10f에 도시된 것처럼, 음압 전달부는 음압 전달부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사이에서 윤체로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002)을 포함한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음압 전달부는 상이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크기, 상이한 직경, 및 상이한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분리 및 교체 가능하며, 쉽게 청소 및/또는 대체될 수 있다.
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혀 보호기구는 상이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11b, 11c, 11d 및 11e는 혀 보호기구의 일부 변형을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혀 보호기구는 혀끝은 민감하지만 사용자의 송곳니는 혀끝은 자극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도 11c에 도시된 혀 보호기구는 상부 및 하부 앞니가 더 똑바른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도 11d에 도시된 혀 보호기구는 혀끝의 측면에 민감하지만 앞니의 곡률이 적은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의 쉴드는, 예를 들어 도 12a, 12b 및 1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변형과 같은 다른 사용자들의 구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a의 쉴드는 하부 전방 이보다 상부 전방 이가 있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도 12b의 쉴드는 직립한 앞니를 가진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도 12c의 쉴드는 더 큰 경사를 가지는 상부 및 하부 앞니를 가진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압 치료 시스템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6)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6)는 쉴드(600), 음압 전달부(610), 및 혀 보호기구(도 13a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6)가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될 때, 쉴드(600)는 사용자의 앞니 및 입술 사이에 위치된다. 쉴드(600)는 앞니의 압축을 통해 재-성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해부학적 특징에 맞는 구성을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쉴드(600)는 또한 사용자의 구강이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부로서 기능한다. 쉴드(600)는 사용자 구강으로부터 돌출되어 유체 도관(미도시)에 연결되는 전방 연장 유체 채널(600a)을 갖는다. 쉴드(600)는 개방 유체 채널의 형태의 후단(600b)을 갖는다. 음압 전달부(610)는 압축성을 통해 재-성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혀와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의 윤곽에 맞는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재-성형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음압 전달부(610)의 바디는 제1 실시 예의 음압 전달부(130)의 바디(132)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음압 전달부(610)는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612), 횡방향 개방 유체 채널(614), 및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통과하는 관통 구멍(616)을 포함한다. 종방향 개방 유체 채널(612)은 쉴드(600)의 후단(600b)과 유체로 연통한다. 혀 보호기구는 음압 전달부(610) 아래에 위치되고 쉴드(600)와 결합된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압 치료 시스템의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7)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7)는 쉴드(700), 음압 전달부(710), 및 혀 보호기구(720)을 포함한다.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7)가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될 때, 쉴드(700)는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된다. 쉴드(700)는 앞니의 압축을 통해 재-성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해부학 적 특징에 맞는 구성을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쉴드(700)는 또한 사용자의 구강이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부로서 기능한다. 쉴드(700)는 사용자 구강으로부터 돌출되어 유체 도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전방 연장 유체 채널(700a)을 갖는다. 쉴드(700)는 전방 연장 유체 채널(700a)과 유체 연통되는 유체 채널 형태의 후단(700b)을 갖는다. 음압 전달부(710)는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져서 음압 전달부(71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통한 유체 흐름에 유리하여 음압을 전달할 수 있다. 음압 전달부(710)의 전방은 쉴드(700)의 후단(700b)과 유체 연통 결합된다. 음압 전달부(710)의 후단은 사용자의 개구 근처에 있다. 혀 보호기구(720)는 쉴드 (700)의 후단(700b)과 결합되어 음압 전달부(710) 아래에 위치된다.
일 구현 예에서, 본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5mm-80mm, 바람직하게는 10mm-7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60mm이지만, 이러한 길이 치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구현 예들에서, 본 음압 전달부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부의 0%-100%의 면적 비율, 바람직하게는 5%-95%의 면적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의 면적 비율을 차지한다. 개방 유체 채널이 음압 전달부의 0%의 면적 비율을 차지할 때, 음압 전달부에 유체 채널이 없거나 유체 채널이 음압 전달부의 매우 작은 영역을 차지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음압 전달부는 도 13b의 음압 전달부(710)로 구현된다. 개방 유체 채널이 음압 전달부의 100%의 면적 비율을 차지할 때, 개방 유체 채널이 음압 전달부의 넓은 영역을 차지함을 의미하고, 음압 전달부는 U 자형 탱크 몸체(미도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U자형 탱크 몸체는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치수를 따라 2 개의 대향 측면의 얇은 벽을 가질 수 있고, 쉴드와 결합된 U자형 탱크 몸체의 한 쪽 끝은 혀 뒤쪽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상기 개시에 따라 음압 전달부의 개시된 구성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에 개시된 형상, 구조, 특징 또는 원리에 따른 동일 범주의 변경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25)

  1. 사용자의 입술 및 앞니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쉴드;
    쉴드와 결합된 음압 전달부; 및
    음압 전달부 및 음압 발생원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로서,
    음압 전달부가 상부 개구의 윤곽에 맞게 사용자의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혀 및 상부 개구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구강의 전방 및 후방에 음압 전달부를 통하여 음압을 전달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쉴드는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쉴드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쉴드는 얇은 조각인 오랄 인터페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쉴드는 앞니의 외부 표면 및 사용자의 입술의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맞도록 형성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쉴드는 쉴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까지 10mm 내지 120mm의 길이를 가지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쉴드는 밀봉부로서 기능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쉴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탄성 다공성(elastic porous) 물질로 제조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을 가지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등척 패턴으로 구성된 많은 개방 유체 채널을 가지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 효율에 유리한 음압 전달부의 면적 비율을 차지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부의 면적 비율이 0 내지 100%를 차지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축과 평행하도록 구성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6.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개방 유체 채널은 음압 전달부의 종방향 축과 수직인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음압 전달부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유체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8. 제 2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상이한 크기, 직경,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쉴드와 결합되고 튜브 및 음압 전달부 사이에서 유체로 연통된 바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바디 커넥터는 바디 커넥터와 음압 전달부를 선회하게 조립되도록 축을 구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음압 전달부는 사용자의 연개구 근처에 후단 및 사용자의 혀끝 근처에 전단을 가지며, 후단의 폭은 전단의 폭보다 큰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1. 제 19 항에 있어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는 바디 커넥터의 축에 선회하게 조립된 혀 보호기구를 더 포함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혀 보호기구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혀 보호기구는 상이한 크기, 직경,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4. 제 21 항에 있어서,
    혀 보호기구는 사용자의 하악(lower mandible)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을 제어하도록 바디 커넥터의 축과 함께 작동할 수 있는 보조 축을 더 포함하는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25. 제 19 항에 있어서,
    바디 커넥터는 경질 재료로 제조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KR1020207018607A 2017-11-27 2018-11-27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KR102503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0663P 2017-11-27 2017-11-27
US62/590,663 2017-11-27
PCT/CN2018/117689 WO2019101213A1 (zh) 2017-11-27 2018-11-27 负压治疗系统的可调整式口部接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818A true KR20200112818A (ko) 2020-10-05
KR102503102B1 KR102503102B1 (ko) 2023-02-23

Family

ID=6663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07A KR102503102B1 (ko) 2017-11-27 2018-11-27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12363B2 (ko)
EP (1) EP3718518B1 (ko)
KR (1) KR102503102B1 (ko)
CN (1) CN111971003B (ko)
AU (1) AU2018371935B2 (ko)
ES (1) ES2968430T3 (ko)
TW (1) TWI678199B (ko)
WO (1) WO2019101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9545B2 (en) 2019-06-20 2021-11-30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3175946A1 (en) * 2020-05-21 2021-11-25 Good News Medical Co., Ltd. Device for allevi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TWI790597B (zh) 2020-05-21 2023-01-21 佳音醫療器材股份有限公司 用於改善睡眠呼吸阻塞的裝置
CN112245078B (zh) * 2020-05-21 2023-02-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用于改善睡眠呼吸阻塞的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2152A1 (en) 2006-05-30 2007-12-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by using negative oral pressure to a patient
US20090120446A1 (en) 2007-11-13 2009-05-14 Apnicu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irway patency
EP2301490A1 (en) 2009-09-28 2011-03-30 Somnics, Inc. Negative pressure oral apparatus
US20110180076A1 (en) 2006-06-19 2011-07-28 Kasey K. LI Wearable tissue retention device
US20120234331A1 (en) 2012-06-01 2012-09-20 Shantha Totada 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US20130213409A1 (en) 2007-11-13 2013-08-22 Apnicure, Inc. Airway device with tongue-engaging member
US20140034064A1 (en) 2012-08-03 2014-02-06 Somnics, Inc. Oral Interfa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053851A1 (en) 2012-08-23 2014-02-27 Apnicure, Inc. Oral device for anterior advancement of the tongue
KR20150105387A (ko) * 2013-01-11 2015-09-16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구강에서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한 구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1554B2 (en) * 2004-01-30 2012-01-1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JP2008183388A (ja) 2007-01-29 2008-08-14 Masakatsu Shikura 舌部係止具
US8573223B2 (en) * 2010-07-20 2013-11-05 Apnicure, Inc. Airway device with tongue-engaging member
US20140190490A1 (en) 2007-11-18 2014-07-10 Dreamscape Medical Llc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US8127769B2 (en) 2007-11-18 2012-03-06 Dreamscape Medical Llc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FR2929107A1 (fr) * 2008-03-28 2009-10-02 Bechir Benkhamsa Dispositif pour contraindre un dormeur a respirer par le nez
JP2013531523A (ja) * 2010-06-07 2013-08-08 スレエピ,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舌保持口腔装置
EP2779968A2 (en) * 2011-11-17 2014-09-24 Armen Danielian Sleep apnea relief system
US20190151042A1 (en) * 2016-05-04 2019-05-23 Radtec Medical Devices, Inc. Intraoral positio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2152A1 (en) 2006-05-30 2007-12-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by using negative oral pressure to a patient
US20110180076A1 (en) 2006-06-19 2011-07-28 Kasey K. LI Wearable tissue retention device
US20090120446A1 (en) 2007-11-13 2009-05-14 Apnicu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irway patency
US20130213409A1 (en) 2007-11-13 2013-08-22 Apnicure, Inc. Airway device with tongue-engaging member
EP2301490A1 (en) 2009-09-28 2011-03-30 Somnics, Inc. Negative pressure oral apparatus
US20120234331A1 (en) 2012-06-01 2012-09-20 Shantha Totada 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US20140034064A1 (en) 2012-08-03 2014-02-06 Somnics, Inc. Oral Interface and Method using the Same
EP2881090A1 (en) 2012-08-03 2015-06-10 Somnics, Inc. Oral interface appliance and use method thereof
US20140053851A1 (en) 2012-08-23 2014-02-27 Apnicure, Inc. Oral device for anterior advancement of the tongue
KR20150105387A (ko) * 2013-01-11 2015-09-16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구강에서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한 구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12363B2 (en) 2023-08-01
TW201924631A (zh) 2019-07-01
CN111971003A (zh) 2020-11-20
WO2019101213A8 (zh) 2020-06-04
KR102503102B1 (ko) 2023-02-23
WO2019101213A1 (zh) 2019-05-31
EP3718518A1 (en) 2020-10-07
AU2018371935A1 (en) 2020-06-11
EP3718518B1 (en) 2023-11-15
EP3718518A4 (en) 2021-01-06
ES2968430T3 (es) 2024-05-09
US20200352776A1 (en) 2020-11-12
AU2018371935B2 (en) 2021-07-29
TWI678199B (zh) 2019-12-01
CN111971003B (zh)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102B1 (ko) 음압 치료 시스템을 위한 조절식 오랄 인터페이스
AU2014205191B2 (en) Oral device to eliminate air space in oral cavity
JP6890626B2 (ja) 呼吸装置用の患者接続器およびヘッドギア
US8025058B2 (en) Variable CPAP respiratory interface
US7798146B2 (en) Oral appliance
KR20190114954A (ko)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US10117773B2 (en) Oral device for anterior advancement of the tongue
AU2019262095B2 (en) Breathing assistance oral apparatus
KR20210008830A (ko) 구강 기구 및 밸브 배열
KR101752966B1 (ko)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101684247B1 (ko)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CN211634853U (zh) 改善呼吸暂停综合征的口内隐形药物缓释/通气装置
JP2024073406A (ja) 口腔用呼吸補助装置
CN111135438A (zh) 改善呼吸暂停综合征的口内隐形药物缓释/通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