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954A -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954A
KR20190114954A KR1020197012830A KR20197012830A KR20190114954A KR 20190114954 A KR20190114954 A KR 20190114954A KR 1020197012830 A KR1020197012830 A KR 1020197012830A KR 20197012830 A KR20197012830 A KR 20197012830A KR 20190114954 A KR20190114954 A KR 2019011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user
extraoral
airwa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일 앤더슨
크리스토퍼 패트릭 하트
앤소니 이그나시오
조란 미리자세빅
Original Assignee
오벤투스 메디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690416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6904167A0/en
Application filed by 오벤투스 메디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벤투스 메디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61M16/0672Nasal cannula assemblies for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66Passive resis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75Connectin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45Devices for humidifying or heating the inspired gas by using recovered moisture or heat from the expir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8Non-controlled one-way valves, e.g. exhalation, check, pop-off non-rebreath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6Devices to humidify the respiration air
    • A61M16/161Devices to humidify the respiration air with means for measuring the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2016/0661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with customised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25Carbon oxides, e.g.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2Reducin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2Po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a)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로서, 상기 본체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를 형성하는, 구강 기구; 및 b)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즉 i)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ⅱ)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본 출원은 2016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구강 기구(oral appliance)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breathing assist system)"인 호주 가특허출원 제2016904167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 그 전체로서 참조 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호흡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 예에서는 구강 기구, 및 양성 기도 압력(positive airway pressure)(PAP) 장치에 연결되는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종래 공보(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알려진 임의의 사항에 대한 지칭은, 상기 종래 공보(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알려진 사항이 본 명세서와 관련된 노력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일반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정이나 승인 또는 임의의 형태의 제안이 아니며, 또한 이로서 간주되어서도 안 된다.
품질이 나쁘거나 비효율적인 호흡이 문제가 되며, 이는 사람들이 깨어 있을 동안 및/또는 사람들이 잠들어 있을 때, 그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의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깨어 있을 동안에는, 이는 스포츠와 같은 활동이나 심지어 일상적인 과업을 수행할 동안에도 최적의 능력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잠들어 있을 동안에는, 호흡 장애(breathing disorder)가 코골이(snoring) 및/또는 수면 무호흡증(sleep apnoea)으로 이어질 수 있다.
코골이는 개인의 호흡 경로 내에서 연조직(soft tissue)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전형적으로는 잠들어 있을 동안 호흡 중 공기 이동이 방해되어 발생한다. 코골이는 막혀진 부비강(sinuses)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 원인의 범위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수면 중 상부 목구멍(throat)의 근육이 이완될 때 발생한다.
코골이는, 상부 기도(upper airway)의 막힘에 의해 유발되어 정상적인 수면 중 반복적인 호흡 정지로 나타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oea)(OSA)과 관련될 수도 있다. OSA 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심각한 수준의 수면 장애와 관련된 주간 졸림증(daytime sleepiness) 및 피로로 자주 고통을 받으며, 관련의 코골이에 의해 파트너의 수면 패턴이 종종 방해될 수도 있다.
OSA 의 치료를 위한 현재의 요법으로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기도를 증가시키는 구강 또는 비강 장치와 같은 기계적 장치의 사용, 수면 중 기도를 확장시키고 안정화시키기 위한 외과적 수술, 및 지속적이거나 가변적인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은 심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면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PAP 장치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갖지만, 이들은 장시간 착용하기가 불편하고, 고가이며, 또한 종종 시끄러울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추가적인 수면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술 및 PAP 치료는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 시 제한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코골이에 적절한 치료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연속적인 가변 양성 기도(continuous variable positive airway)(CPAP) 장치의 사용자의 약 30-50%는, 그 치료 시작 후 2년 동안에는 순응적이지 않은 사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CPAP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형적으로 입 및 코 위에 착용하는 마스크에 공기 흐름을 전달한다. CPAP 마스크는 누출 및 불쾌감을 포함하여 몇 가지의 단점으로 인해 고통을 받으며, 또한 마스크를 착용할 동안에 사용자는 종종 폐쇄공포증(claustrophobia)을 경험한다.
또한, CPAP 시스템은 공기를, 기도를 유지하고 또한 공압 부목(pneumatic splint)으로서 동작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공급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비교적 높은 압력이 요구된다. 또한, 마스크는 흡기(inhalation) 중에는 사용자에게 모든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높은 유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높은 압력 및 흐름을 달성하기 위해, 송풍기와 같은 비교적 크고 시끄러운 펌프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소음, 진동, 및 펌프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또한 안락감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PAP 압력 및/또는 공기 유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광범위한 제1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a)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로서, 상기 본체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intra-oral opening)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extra-oral opening)를 형성하는, 구강 기구; 및
b)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i)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ⅱ)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커넥터 시스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는, 상기 기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은 관형(tubular)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형성하는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추가로 형성하고, 각각의 채널은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고,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기도(airway)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pharyngeal space)을 복제(replicate)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PAP 로부터의 공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a) 사용자의 코;
b)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c) 상기 코, 및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호흡 포트(breathing port)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호흡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구(ven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호흡 포트 및 상기 통기구 중 적어도 하나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또는 일방향 밸브(one-way val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각 측부 상의 상기 채널은, 제1 및 제2 기도를 형성하도록 구획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상기 본체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을 형성한다.
a) 상기 제1 기도를 통해 제1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1 구강 외 개구; 및
b) 상기 제2 기도를 통해 제2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구강 외 개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제1 기도를 통해 상기 기구 내로 지향되도록, 상기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된다.
a) 자연스러운 호흡; 및
b) 호기(exhal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된다.
a) 사용자의 상악(maxillary)과 하악(mandibular)의 치아 사이; 및
b)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압력 및/또는 흐름은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기도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와, 사용자의 기구 및/또는 코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를 통해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입구의 하류에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밸브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구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입구 밸브가 제공되고, 또한 공기를 사용자의 코 내로 지향시키는 비강 연결 부분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입구 밸브의 하류에 제2 입구 밸브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PAP 장치로부터 기구 내로 공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2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출구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강 캐뉼러(nasal prong)가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강 필로우(nasal pillow)가 상기 비강 캐뉼러 내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상기 비강 캐뉼러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기 포트가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PAP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는 배터리로 작동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는 다이어프램 공기 펌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는,
a) 입의 전방에 있는 커넥터 시스템 상에;
b) 구강 기구 상에;
c) 사용자의 팔, 헤드, 목, 또는 가슴 상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에, 또는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제공된다.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mo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는, 상기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및/또는 호기 포트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은,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 밸브/제한기(restrictor); 및
b) 열 및 습기 교환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a)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의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및
b) 상기 센서 데이터가 모니터링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되게 하기 위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는 원격 데이터 저장소(store)에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는 결정된 센서 데이터에 따른 유로에서 상기 PAP 장치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아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기구의 구강 외 부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b)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어댑터;
c)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nasal tube holder); 및
d) 상기 비강 튜브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PAP 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비강 튜브.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튜브 홀더는 상기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그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튜브 홀더의 호흡 포트 중 하나의 뒤에 일방향 밸브 및/또는 열 및 습기 교환기가 위치된다.
광범위한 제2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태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a)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
b)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구강 내 개구; 및
c)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고,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상기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도는 제1 구강 외 개구와 제1 구강 내 개구 사이에 제공되고, 제2 기도는 제2 구강 외 개구와 제2 구강 내 개구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1 기도는 상기 제2 기도와는 구획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강을 따라 통과하며, 상기 제2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한다.
a)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및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 및 제2 기도는, 제1 기도가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도록 구획된다.
a) 상기 제2 기도 위; 및
b) 상기 제2 기도의 횡방향 외측.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흡기 중 사용되고, 상기 제2 기도는 호기 중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공급부에 연결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는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입구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연결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강 외 개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연결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강 외 개구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 센서 하우징에 연결 가능하다.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고 또한 일반적으로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장치의 구강 외 부분에 제공된다.
광범위한 제3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강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 가능한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와,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와 사용자의 코 중 적어도 하나 내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입구의 하류에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밸브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입구 밸브는 상기 기구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도록 제공되고, 제2 입구 밸브는 사용자의 코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는 비강 연결 부분 내로의 압력 및/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입구 밸브의 하류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기구 내로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2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출구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는 비강 캐뉼러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강 필로우가 상기 비강 캐뉼러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상기 비강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기 포트는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기구 및/또는 코로 또는 상기 기구 및/또는 코로부터의 압력 및/또는 공기 흐름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3D 프린팅 또는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부품형(multi-part) 본체를 갖는다.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상기 기구의 구강 외 부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b)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어댑터;
c)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 및
d) 상기 비강 튜브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PAP 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비강 튜브.
광범위한 제4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a)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 및
b) 상기 구강 기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외 커넥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i) 기도를 수정;
ⅱ) 기도를 제공; 및
ⅲ) 기도를 모니터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수용한다.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 호기 중,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밸브/제한기; 및
b) 열 및 습기 교환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밸브는,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구의 본체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추가로 형성하고, 각각의 채널은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며,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상기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비강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콧구멍(nostril) 내로의 삽입을 위해,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 한쌍의 비강 필로우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하나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끼워진다.
a) 열가소성 재료를 열 세팅하는 단계(heat setting);
b) 가요성 배관(tubing)의 굴곡 단계(bend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배관은 연성 금속 스트립 또는 코일에 의해 보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상기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고, 또한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및/또는 산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및/또는 산소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a) 사용자의 코;
b)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및
c) 상기 코, 및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및/또는 산소를 지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상기 입 및/또는 코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구의 각 측부 상의 상기 채널은, 분기 기도(split airway)를 형성하도록 구획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기 기도의 제1 부분은 PAP 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분기 기도의 제2 부분은 자연스러운 호흡을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커넥터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상기 기구의 구강 외 부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b)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어댑터;
c)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 및
d) 상기 비강 튜브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PAP 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비강 튜브.
본 발명의 광범위한 형태 및 그 각각의 특징은 함께, 호환 가능하게, 및/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광범위한 형태에 대한 참조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1a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1 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1 예의 개략적인 사시 후측면도이다.
도 1c 는 도 1a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강 기구의 제1 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구강 기구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e는 도 1d의 섹션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f는 도 1c의 구강 기구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g는 도 1f의 섹션 B-B를 통해 취한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1h는 도 1f의 섹션 C-C를 통해 취한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2 예를 갖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2 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3 예를 갖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3 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4 예를 갖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4 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d는 기구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 4a의 시스템에 사용된 구강 기구의 제2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e는 하우징이 제거된, 도 4d의 구강 기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f는 도 4e의 섹션 D-D를 통해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5 예를 갖는 호흡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제5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5b는 구강 기구의 제3 예의 기도 구성을 나타내는, 도 5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섹션 E-E를 통해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제5 예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6 예를 갖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제6 예의 개략적인 사시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시스템의 하부측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강 기구의 제4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e는 도 6d에 도시된 기구의 제4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f는 도 6e의 섹션 G-G를 통해 취한 구강 기구의 제4 예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6g는 도 6a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제6 예의 개략적인 사시 배면도이다.
도 6h는 도 6a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공기 입구 챔버를 통해 취한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6i는 도 6a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공기 출구 챔버를 통해 취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7 예를 갖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7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시스템에 사용된 구강 기구의 제5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d는 도 7a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제7 예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7e는 도 7a의 커넥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비강 필로우를 구비한 비강 연결 부분의 개략적인 사시 정면도이다.
도 8은 구강 기구를 착용하고 그리고 CPAP 가 실행되었을 때, 사용자의 구인두(oropharynx)로의/구인두로부터의 공기 흐름 및 압력을 나타내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a는 커넥터 시스템의 제8 예를 갖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8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비강 튜브가 제거된, 도 9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c는 비강 튜브가 제거된, 기구 및 커넥터 시스템의 중심을 통해 취한, 도 9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d는 도 9a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9e는 도 9a의 시스템의 비강 튜브 홀더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9f는 도 9a의 시스템의 어댑터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9g는 도 9a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이제,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가 도 1a 내지 도 1h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시스템(10)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110)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1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121)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111)를 형성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구(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구강(111)에 연결되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또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및/또는 산소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200)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기구(100)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시스템(200)은 상기 기구(10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1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강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111)를 가지며, 상기 제1 구강 외 개구는 입술을 지나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입술을 적어도 떨어지게 하여 그 사이로 공기 흐름을 허용한다. 공기는 채널에 의해 형성된 기도를 통과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121)를 통해 입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된다. 연속적인 양성 기도 압력(CPAP) 기계와 같은 PAP 장치를 커넥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구강 기구에 연결함으로써, 압력 및/또는 흐름이 구인두에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골이 및 무호흡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코, 연구개(soft palate), 및 혀로부터의 장애물을 우회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차단된 기도를 개방하는 데 충분한 압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전형적인 CPAP/마스크 조합보다 훨씬 낮은 압력으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PAP 장치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보조하기 위해 압력원 및/또는 흐름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를 위해 실질적으로 전체 공기 흐름을 제공해야만 하는 전형적인 CPAP/마스크 조합에 비해, PAP 장치로부터 더 낮은 공기 흐름이 요구된다. 표준 CPAP 기계는 휴지 시 호흡을 위해 약 70 리터/분을 전달할 수 있더라도, 전술한 구강 기구와 함께 사용되는 PAP 장치에는 4~12 리터/분의 유량이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전술한 시스템에서는, PAP 장치의 압력 및 흐름 요건이 현재의 전형적인 CPAP/마스크 시스템의 경우보다 훨씬 낮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환자의 안락감 및 순응성의 증가로 이어지는 소음도 감소시키는, 더욱 소형이고 에너지 집중도가 적은 펌프로, 더 소형의 PAP 장치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PAP 장치는 배터리로도 작동될 수 있어, 이들을 휴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양성 기도 압력으로 치료되고 및/또는 보조 공기 및/또는 산소를 수용할 것이 요구되는, 모든 중증 환자의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더 낮은 압력 및 요구되는 공기 흐름은, 마스크로 경험하는 누설에 대한 문제도 극복하며, 상기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마스크가 없으며, 이는 안락감(예를 들어, 밀실 공포증이 없음) 및 순응성의 증가로 이어진다.
다른 배열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호흡을 위해,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위치, 온도, 공기 흐름,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는, 상기 구강 기구를 통한 흡기 및 호기 상의 유량 및 압력뿐만 아니라, 본체 또는 헤드 위치, 공기 온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데이터는, 압력 및/또는 흐름이 필요에 따라서만 제공될 수 있도록, 일 예에서는 PAP 장치를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할 수 있는 피드백 제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많은 추가적인 가능한 특징들이 기재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111)는,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100)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이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을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200)은 전형적으로 구강 기구(10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212)를 형성하는 본체(211)를 갖는 커넥터(210)를 포함할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PAP 장치로부터 공기 및/또는 보조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 커넥터(210)와 구강 기구 사이에 유체 통로가 생성된다.
구강 기구(100)의 본체(110)는 적어도 2개의 채널(115)을 추가로 형성하며, 각각의 채널(115)은 구강 내 개구(121)를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구강(111)에 연결하고, 각각의 채널(11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해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하나의 채널 배열은 공동 계류 중인 특허출원 PCT/AU2012/000565호 및 PCT/AU2015/05014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 인용되었다.
PAP 로부터의 공기는 사용자의 코,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및 상기 기도를 통한 코 및 구강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코에 공기를 전달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PAP 로부터의 공기는 상기 구강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보조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는, 사용자는 PAP 로부터 수용된 공기로부터 상기 기구를 통해서만 호흡할 수 있다.
그러나 종종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는,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호흡 포트를 형성한다. 일 예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커넥터를 통해 기구로 또는 기구로부터 자연스러운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호흡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호흡 포트 및 상기 통기구 중 적어도 하나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또는 일방향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사용자의 호기를 제어하면서 공기의 용이한 흡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각 측부 상의 상기 채널은 제1 및 제2 기도를 형성하도록 구획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본체는 제1 기도를 통해 제1 구강 내 구강과 유체 연통하는 제1 구강 외 개구, 및 제2 기도를 통해 제2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구강 외 개구를 형성한다. 기도의 구획은,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 압력 및 흐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 및 호기의 증가된 제어를 허용한다.
전형적으로, 커넥터 본체는,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가 제1 기도를 통해 기구 내로 지향되도록, 상기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된다. 그 후, 예를 들어 호기에 대한 노력을 줄이고 안락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기도는 자연스러운 호흡(흡기 및 호기) 또는 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제1 기도는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기도는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및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된다. 이런 방식으로, 기구 기도(appliance airway)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고, 이에 따라 코, 연구개, 및 혀로부터의 장애물을 우회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압력 및/또는 흐름은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따라 각각의 제1 및 제2 기도에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와, 공기를 기구 및/또는 사용자의 코로 지향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는 커넥터 본체의 일부이거나, 또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연결된 별도의 입구 챔버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밸브는 커넥터를 통해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입구의 하류에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제1 입구 밸브는 기구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도록 제공되고, 제2 입구 밸브는 공기를 사용자의 코 내로 지향시키는 비강 연결 부분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입구 밸브의 하류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압력 및/또는 유량을 상기 기구 및/또는 코로 지향시키도록 구성 가능하고 및/또는 제어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상기 커넥터 본체는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를 기구 내로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출구를 포함한다. 특별한 예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한쌍의 이격된 제1 구강 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기구의 대향 측부 상의 기도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기 위해, 이와의 연결을 위한 한쌍의 대응하는 제1 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2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공기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통기될 수 있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은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가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출구에 연결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는 한쌍의 비강 캐뉼러가 연결된다.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는,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 비강 캐뉼러가 특정 사용자를 위해 적절히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비강 필로우가 상기 비강 캐뉼러 내로 삽입된다. 상기 비강 필로우는, 요구되지는 않더라도, 특정 개인에 대한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비강 캐뉼러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비강 필로우는 전형적으로 특정 환자에 적합하도록 맞춤형 열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다. 비강 필로우가 열 세팅되어 형상 굴곡된 후, 이들은 길이로 절단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비강 필로우는 환자의 콧구멍 내로 삽입되었을 때, 최적의 안락감과 쿠션을 제공하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강 필로우는 필요에 따라 굴곡되어 성형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가요성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배관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배관의 벽 구조는, 쉽게 굴곡될 수는 있지만 그러나 배관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는, 연성 금속 스트립 또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로부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호기 포트가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커넥터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에 의해 이에 연결되는 PAP 장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낮은 압력 및 공기 흐름 요건으로 인해, 상기 PAP 장치는 충분히 소형일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 구강 기구 또는 헤드, 목 또는 가슴의 전방에 있는 커넥터 시스템 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PAP 장치는 "마이크로-팹(micro-PAP)"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낮은 압력 및 공기 흐름 요건으로 인해, PAP 장치는 송풍기 대신에 크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다이어프램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PAP 장치는 배터리로 작동될 수도 있어서, 전기에 연결되는 CPAP 기계보다 휴대를 더욱 편리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자연스러운 호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열/습기를 호기된 공기와 교환함으로써 흡기된 공기의 수분 및 온도 콘텐츠를 제어하는, 밸브/제한기 및/또는 열 및 습기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기구를 통해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이는 구강 내 개구로부터 구강 외 개구로의 공기 유출을 저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호흡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더 느린 호기를 보장하면서 급속한 호기를 허용하며, 이에 따라 기도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과호흡 증후군(hyperventilation)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스템 내에 최소한의 압력을 유지하며 또한 폐 내에서의 가스 교환을 최적화시킨다. 상기 밸브는 볼 밸브(ball valve), 엄브렐러 밸브(umbrella valve)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으며, 흐름 제어 수준이 사용자에게 적절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조절 가능하거나 적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본체 또는 헤드 위치, 공기 압력, 공기 유량, 온도, 습기,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신체 또는 헤드 위치, 공기 압력, 공기 흐름, 온도, 습기,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상기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에 또는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는,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및/또는 호기 포트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결정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가 모니터링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되게 하기 위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예를 들어 원격 서버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반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는 결정된 센서 데이터에 따라 PAP 장치 및 유로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광범위한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구강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 가능한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와,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 및 사용자의 코 중 적어도 하나 내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의 본체는 전형적으로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성형되거나 제조된다.
다른 광범위한 형태에 있어서,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구강 내 개구, 및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구강 내 개구를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고, 또한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강을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과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한다.
전형적으로, 제1 기도는 제1 구강 외 개구와 제1 구강 내 개구 사이에 제공되고, 제2 기도는 제2 구강 외 개구와 제2 구강 내 개구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1 기도는 제2 기도와는 구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양측에 기도를 구획하는 것은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압력 및/또는 흐름뿐만 아니라, 흡기 및 호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제1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통과하며, 상기 제2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 및 제2 기도는 제1 기도가 제2 기도의 위에, 그리고 상기 제2 기도의 횡방향 외측에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도록 구획되지만, 임의의 적절한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흡기 중에 사용되고, 제2 기도는 호기 중에 사용된다. 이는 호기 시 최소한의 노력만으로 호기가 적절한 내압을 유지하도록, 호기가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전형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공급부에 연결 가능하다. 일 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는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입구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커넥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연결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강 외 개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강 외 개구는 헤드 또는 본체 위치, 공기 압력, 공기 유량, 온도, 습기,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 센서 하우징에 연결 가능하다.
전형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고 또한 일반적으로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상기 장치의 구강 외 부분에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는 PAP 커넥터 및/또는 하우징(예를 들어, 센서 하우징)과의 단순한 연결 및 분리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연결 부분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광범위한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 및 기도를 변형시키고, 기도를 제공하고, 기도를 모니터링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구강 기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에 대한 PAP 연결은 선택적이며, 또한 일부 형태에서는 구강 기구가 기도를 제공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구강 외 커넥터는 비강 커넥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강 기구는 비강 커넥터를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간단히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커넥터는 비강 PAP 를 제공하기 위해 PAP 장치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비강 커넥터는 호기 시 저항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PAP 없이) 개방된 기도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내압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밸브/제한기 메커니즘(열 및 습기 교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는)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제어, 수면 테스트, 순응성 분석 등에 사용하기 위해, 헤드 또는 본체 위치, 공기 압력, 공기 유량, 온도, 습기,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로의/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로부터의 공기 흐름 및 압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호기를 제한하는 밸브는 호기 압력을 통해 기도를 유지하거나 지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입 및/또는 코로부터의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센서 및/또는 호기 밸브가 기도를 제공하는 구강 기구 없이 시스템에 통합될 수는 있지만, 전형적으로 상기 구강 기구의 본체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구강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추가로 형성하고, 각각의 채널은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며,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상기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고, 또한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및/또는 산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강 외 커넥터의 구조 및 구성에 따라,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및/또는 산소는 사용자의 코,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그리고 기도를 통한 코 및 구강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기구 기도를 통해 PAP 를 전달하는 것은, 코, 연구개, 및 혀로부터의 장애물을 우회하는 기구 기도의 결과로서, 압력이 구인두에 도달하기에는 낮은 저항 경로로 인해, PAP 로부터의 압력 요건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시스템에서의 압력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 일부 예에서는 밸브/제한기 및/또는 열 습기 교환(heat moisture exchange)(HME) 스펀지를 사용함으로써, 기구 기도 및/또는 코를 통해 호기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의 호기 제한은 내압이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구인두로의 개방된 기도를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압력이 시스템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흐름 및 압력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 8에 제공되어 있으며, 도 8에서는 P-Crit 이 구인두로의 기도를 지지하는 데 요구되는 임계 내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공기 및/또는 산소를 PAP 장치로부터 커넥터를 통해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 중 적어도 하나로 지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입 및/또는 코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기구는 예를 들어 비강 연결 부분에, 또는 상기 기구의 전방으로부터 돌출하는 커넥터의 구강 연장 부분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강 기구는 예를 들어 공동 계류 중인 특허출원 PCT/AU2012/000565호 및 PCT/AU2015/0501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중 기도(dual airway)를 가질 수 있지만, 구강 기구의 각 측부 상의 상기 채널(또는 기도)은 PAP 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채널, 및 자연스러운 호흡을 위해 사용되는 제2 채널을 갖는 분기 기도를 형성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분기 기도의 구성은, 기구를 통하는 압력 및 흐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a 내지 도 1h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이 보다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구(100)는 커넥터 시스템(200)과의 연결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구(100)의 전방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이격된 제1 구강 외 개구(111)를 갖는다. 제2 구강 외 개구(112)는 자연스러운 호흡 및/또는 호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전방에 제공된다. 각각의 제1 구강 외 개구(111)는, 예를 들어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강 내 개구(121)에 제1 기도(115)를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공기를 지향시킨다. 상기 제2 구강 외 개구(112)는 제2 구강 내 개구(122)에 제2 기도(116)를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공기를 지향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기도(115, 116)는 제1 기도(115)가 제2 기도(122) 위에 배치되도록, 구획부(partition)(124)에 의해 분리된다. 사용 시, 제1 기도(115)는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기도(116)는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및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200)은 구강 기구(100)로의 연결을 위해 본체(211)를 포함하는 마우스 커넥터(mouth connector)(210)를 포함한다. PAP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기의 흐름(F)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221)를 갖는 입구 챔버(220)는, 상기 마우스 커넥터(210)에 연결된다. 마우스 커넥터(210)는 제1 구강 외 개구(111)의 쌍에 연결되는 한쌍의 출구(212)를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는 제1 구강 외 개구(111)를 통해 구강 기구(100) 내로 지향될 수 있다. 그 후, PAP 로부터의 공기는, 제1 기도(115)를 따라, 구인두에 근접한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된 제1 구강 내 개구(121)로 지향된다.
상기 입구 챔버(220)는 커넥터(210) 내로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입구 밸브(2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 커넥터(210)는 비강 입구 챔버(230)의 제한기/밸브를 통해 비강 연결 부분(240)에 추가로 연결된다. 상기 비강 연결 부분(240)은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가 사용자의 코 내로 전달될 수 있는 한쌍의 출구(242)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코 내로의 삽입을 위해, 비강 필로우 등이 비강 출구(24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10)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전달될 필요가 있는 공기 흐름을 최소화하는 기구(100)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보조하도록, 공기 흐름 및/또는 압력이 PAP 장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또한, PAP 로부터의 공기가 코, 연구개, 및 혀로부터의 장애물을 우회함으로써 구인두에 직접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전형적인 CPAP/마스크 조합에 비해 기도 유지에 필요한 압력이 더 적다.
또한, 기구에서의 구획된 기도는, 분리된 기도가 호기를 위해 제공될 수 있게 하며, 이는 호기 시의 노력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안락감을 증가시킨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1)의 제2 예가 이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1)은 커넥터 시스템(300)에 연결된 전술한 바와 같은 구강 기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300)은 연결 시스템(200)과 유사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대응의 특징부를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붙여진다. 커넥터 시스템(300)은 비강 연결 부분(340) 내로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조정 가능한 비강 입구 챔버(330)에 밸브(332)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비강 연결 부분(340)은, 구강 기구(100)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그 코로 호흡할 수 있게 하는 한쌍의 호기 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2)의 제3 예가 이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2)은 커넥터 시스템(400)에 연결된 전술한 바와 같은 구강 기구(100)를 포함한다. 이런 예에서의 커넥터 시스템(400)은, 일반적으로 직각 관형 부재인 다수의 출구 챔버(410, 413) 내로 흐름을 향하게 하는 입구(421)를 통해, 공기를 PAP 장치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입구 챔버(420)를 포함한다. 한쌍의 출구 챔버(410)는, 공기를 PAP 장치로부터 구강 기구(100) 내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기구(110)의 각각의 제1 구강 외 개구(111)에 연결되는 출구(412)를 각각 갖는다. 기구(100) 내로의 흐름은, 출구 챔버(410, 413) 내로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입구(421)의 하류에 위치된 입구 밸브(42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중심에 배치된 비강 입구 챔버(413)는, 상기 비강 입구 챔버(413)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비강 출구(416)를 포함하는 일체형 비강 연결 부분(414)에서 종료되는, 직각 관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비강 연결 부분(414)은 코로부터의 호기 및/또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한쌍의 호기 포트 또는 통기구(418)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기구의 전방에 있는 제2 구강 내 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호흡할 수 있다.
비강 입구 챔버(413) 내로의 공기 흐름은, 상기 입구 밸브(422)의 하류에 위치된 비강 입구 밸브(432)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비강 입구 밸브(432)가 폐쇄되었다면, PAP 장치로부터의 모든 흐름은 구강 기구(100)에 연결된 출구 챔버(410) 내로 지향된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3)의 제4 예가 이제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시스템(10.3)은 전술한 기구(100)와 유사한 구성의 본체(110.1)를 갖는 구강 기구(100.1)를 포함한다. 그러나 구강 기구(100.1)는 기구의 전방에 구강 외 개구의 대안적인 배열을 갖는다. 이런 배열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1)는 기구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사용 시에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구강 외 부분(102.1)을 포함한다. 상기 구강 외 부분(102.1)은 전면(104.1)을 가지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111.1, 112.1)가 연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기구(100.1)는 커넥터 시스템(500)으로의 연결을 촉진시키는 원통형 커넥터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한쌍의 이격된 제1 구강 외 개구(111.1)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100.1)는 예를 들어 하우징(20)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커넥터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구강 외 개구(112.1)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제2 구강 내 개구(112.1)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는 통기구 형태의 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열 및 습기를 호기된 공기와 교환함으로써, 흡기되는 공기의 수분 및 온도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호기 및/또는 열 및 습기 교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제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배열에 있어서, 구강 기구를 통한 흡기 시 및 호기 시의 유량 및 압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공기 흐름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500)은 전술한 커넥터 시스템(400)과 유사하며, 전술한 대응의 특징부를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붙여질 것이다. 주요 차이점으로는, 커넥터 시스템(500)은 조정 가능한 비강 캐뉼러(516)가 삽입되는 한쌍의 대향 출구를 갖는 티-섹션(Tee-section) 비강 연결 부분(514)에서 종료되는 출구 챔버(513)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상기 비강 캐뉼러(516)는, 비강 연결부가 특정 사용자에 대해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비강 연결 부분(514)의 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된다. 비강 입구 밸브(532)가 개방되었을 때,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출구 챔버(513) 내로, 그리고 비강 캐뉼러(516)를 통해 사용자의 비강 내로 흐를 수 있다.
작동 시,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구강 내 개구(121.1)에 기도(115.1)를 형성하는 채널을 따라 제1 구강 외 개구(111.1) 내로 지향되며, 이에 따라 공기는 구인두에 근접한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된다. 예를 들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도(116.1)를 제2 구강 내 개구(122.1)에 형성하는 채널을 따라 흐름이 지향되는 제2 구강 외 개구(112.1)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이 허용된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4)의 제5 예가, 이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시스템(10.4)은 구강 기구(100.1)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강 외 개구(111.2, 112.2)의 배열을 갖는 구강 기구(100.2)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1 구강 외 개구(111.2)는 제1 기도(115.1)를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구강 내 개구(121.2)와 유체 연통한다. 제2 구강 외 개구(112.2)는 제2 기도(122.2)를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구강 내 개구(122.2)와 유체 연통한다. 기구(100.2)의 각각의 측부 상의 기도(121.2, 122.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124.2)에 의해 구획된다. 이런 구획의 결과로서, 사용 시에는, 제1 기도(115.2)가 사용자의 비강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기도(116.2)가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아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600)은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621)를 갖는 입구 챔버(620)를 포함한다. 공기는 제2 구강 외 개구(112.2)에 연결되는 출구(612)에서 종료되는 본체를 갖는 커넥터(610) 내로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입구 밸브(622)를 통해 지향된다. 상기 커넥터(610)의 본체의 옆에는, 제1 구강 외 개구(111.2)의 쌍에 연결되는 개구(613.1)를 갖는 한쌍의 원통형 출구 챔버(613)가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비강 부착부들(nasal attachments)이 이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커넥터 본체로부터 직립하는 비강 입구 커넥터(614)를 추가로 갖는다(이것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작동 시,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구강 내 개구(122.2)로의 제2 기도(116.2)를 따라 제2 구강 외 개구(112.2) 내로 지향되며, 이에 따라 공기는 구인두에 근접한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된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이 제1 기도(115.2)를 따라 제1 구강 내 개구(121.2)로 또는 제1 구강 내 개구(121.2)로부터 지향되는 제1 구강 외 개구(111.2)의 쌍을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 및/또는 호기가 허용된다. 따라서 기구의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의 기능은 전술한 예와는 반대임을 인식해야 한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5)의 제6 예가, 이제 도 6a 내지 도 6i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5)은 전술한 기구(100.2)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구강 기구(100.3)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구(100.3)에 있어서, 제1 구강 외 개구(111.3)의 쌍은,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외 부분(102.3)의 프로필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직선형 내벽 및 아치형이나 타원형 외벽에 의해 형성되는 섹션을 갖는 커넥터 부분의 일부이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700)은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621)를 갖는 입구 챔버(720)를 포함한다. 공기는, 제2 구강 외 개구(112.3)에 연결된 출구(712)(도 6g 참조)에서 종료되는 본체를 갖는 L 형 커넥터(710) 내로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입구 밸브(722)를 통해 지향된다. 상기 제1 구강 외 개구(111.3)의 쌍에 연결되는 개구(711.1)를 갖는 한쌍의 L 형 출구 챔버(711)는, 커넥터(710)의 본체와 일체이고 또한 상기 본체의 옆에 위치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이전의 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강 캐뉼러가 이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직립하는 비강 연결 부분(714)을 추가로 갖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코 내로 들어가기 위한 비강 필로우는, 비강 캐뉼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비강 필로우는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비강 캐뉼러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비강 필로우는 회전 가능하고 및/또는 미끄럼 가능한 비강 캐뉼러 대신에, 또는 비강 캐뉼러와 함께, 임의의 원하는 방위로 굴곡되고/보편적으로 조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700)은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자연스러운 호흡/호기 포트를 제공한다. 이런 예에서는, 각각의 비강 캐뉼러가 호기 포트 또는 통기구(718)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그들의 코로부터 공기를 통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출구 챔버(711)는 포트 또는 통기구(711.1)에서 종료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강 기구(100.3)로부터 자연스럽게 호흡하거나 호기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통기구(711.2)는 통기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용이한 자연스러운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출구 챔버(711)의 하부 부분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런 커넥터 시스템에는, 제2 구강 외 개구(112.2)에 연결된 개구 또는 출구(712)에 근접하여 다른 통기구(712.1, 712.2)가 제공된다. 상기 통기구(712.1, 712.2)는 서로의 위에 이격되어 있고, 사용 시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일부 공기가 커넥터 시스템(700)으로부터 통기될 수 있게 하며, 또한 대안적으로 커넥터 시스템(700)으로 또한 커넥터 시스템(700)으로부터의 추가적인 공기 흡입을 허용하여, 그 후 기구(100.3) 및/또는 사용자의 코 내로 지향될 수 있다.
작동 시,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구강 내 개구(122.3)로의 제2 기도(116.3)를 따라 제2 구강 외 개구(112.3) 내로 지향되며, 이에 따라 공기는 구인두에 근접한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된다. 예를 들어 도 6f 및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이 제1 기도(115.3)를 따라 제1 구강 내 개구(121.3)로 또는 제1 구강 내 개구(121.3)로부터 지향되는 제1 구강 외 개구(111.3)의 쌍을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 및/또는 호기가 허용된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6)의 제7 예가, 이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시스템(10.6)은, 동시 계류 중인 호주 특허출원 제201690117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공기 흐름을 구강의 후방 영역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이중 기도를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각각의 구강 내 개구(120.4)와 유체 연통하는 단일의 구강 외 개구(111.4)를 형성하는 본체(110.4)를 갖는 구강 기구(100.4)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사용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치아 사이로 연장된다.
커넥터 시스템(800)은 이에 연결하기 위해 기구(100.4)의 구강 외 개구(111.4)의 프로필과는 상보적인 개구(812)를 구비한 타원형 섹션의 본체를 갖는 커넥터(810)를 포함한다. PAP 장치로부터 입구 챔버(820) 내로 공기를 허용하기 위한 입구(821)를 갖는 입구 챔버(820)가, 본체(810)로부터 하향으로 현수되어 있다. 상기 입구 챔버(820)는 커넥터 본체(810)를 통해 연장되고, 또한 상기 본체(810)로부터 돌출하는 비강 입구 챔버(813) 내로 천이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상기 비강 입구 챔버(813)는 커넥터 본체(810)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비강 연결 부분(840)은 상기 비강 입구 챔버(813)에 연결되며, 상기 비강 연결 부분(840)은 PAP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비강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기 위해 한쌍의 출구(842)를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810)의 말단 단부에는, 공기의 용이한 흡입 및 기구(100.4)를 통한 제어된 호기를 허용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밸브를 갖는 호흡 포트 또는 통기구(802)가 있다. 열 및 습기를 호기된 공기와 교환함으로써, 흡기되는 공기의 수분 및 온도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열 및 습기 교환기(HME)(805)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열 및 습기 교환기는 일방향 밸브로도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상기 열 및 습기 교환기는 통기구(802)에 근접한 커넥터 본체(810) 내측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재료의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환자가 숨을 들이마심에 따라, 상기 플랩은 통기구(802)로부터 피봇되어, 기구(100.4) 내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한다. 사용자가 호기했을 때, 상기 플랩은 통기구를 향해 뒤로 피봇되어, 실질적으로 유로를 폐쇄하며, 이에 따라 호기에 따른 저항력을 생성한다. 호기에 대한 저항 레벨은, 호기된 공기를 위한 유로를 제공하기 위해, HME 재료의 플랩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HME 재료로 형성된 일방향 밸브는 전술한 예들 중 어느 예로도 실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통기구(802)로부터(밸브 및/또는 HME 를 통해) 커넥터 본체(810)를 통해 기구(100.4) 내로, 그 후 구강 외 개구(111.4)를 통해 그리고 구강의 후방 영역으로 지향되는 구강 내 구강 개구(120.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갖는 기구(100.4)를 통해 자연스럽게 호흡할 수 있다. 반면에, 비강 PAP 는 커넥터 본체를 통해 연장되는 배관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PAP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코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런 예에서는 PAP 가 구강 기구(100.4)를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비강으로만 전달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810)는 비강 PAP 커넥터 시스템을 구강 기구(100.4)에 고정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도 7e에는 사용자의 콧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한쌍의 비강 필로우(850)를 갖는 비강 연결 부분(84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강 필로우(850)는 전형적으로 특정 환자에 적합하도록 맞춤형 열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다. 비강 필로우(850)가 열 세팅되어 형상 굴곡된 후, 이들은 적절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비강 필로우(850)는 사용자의 콧구멍 내로 삽입되었을 때, 최적의 안락감 및 쿠션을 제공하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필요에 따라 굴곡되어 성형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가요성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배관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배관의 벽 구조는 쉽게 굴곡되지만 그러나 배관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는 연성 금속 스트립 또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강 필로우(850)는 도 7a에 도시된 출구(842) 위에 슬리브될 수 있다. 상기 비강 연결 부분(840)은 비강 입구 챔버(813)와의 결합을 위해 어댑터 부분(844)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비강 연결 부분(840)의 본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846)가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7)의 제8 예가, 이제 도 9a 내지 도 9g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7)은, 국제 특허출원 PCT/AU2017/05027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공기 흐름을 구강의 후방 영역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이중 기도를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각각의 구강 내 개구(120.5)와 유체 연통하는 단일의 구강 외 개구(111.5)를 형성하는 본체(110.4)를 갖는 구강 기구(100.5)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사용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치아 사이로 연장된다.
이런 예에 도시된 기구(100.5)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하악의 위치가 상악의 위치에 대해 조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 기구이다. 이런 예에 도시된 본체(110.5)는 조정 가능한 기구의 상부 본체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부 본체가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본체는 도시되지 않았음을(기도가 상부 본체에만 제공되기 때문에) 인식해야 한다. 한쌍의 날개(130.5)는 사용 시 상기 본체(110.5)로부터 하부 본체를 향해 하향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블록이 하부 본체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블록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며, 사용 시 상기 날개(130.5)는 상기 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이에 따라 하악 치아를 상악 치아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진시킨다.
이런 예에서는, 커넥터 시스템(900)이 구강 기구(100.5)에 부착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900)은, 사용자의 코에 PAP 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기구(100.5)를 통해 구강 호흡을 허용하는 다부품형 조립체이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900)은 기구(100.5)의 구강 외 부분(102.5)[즉, 덕빌(duckbill)]에 장착되는 기구 인터페이스(910)를 포함한다. 그 후, 어댑터(920)가 인터페이스(910)의 전방에 플러깅되며, 비강 튜브(950)를 지지하기 위한 비강 튜브 홀더(930)가 상기 어댑터(920)의 전방에 플러깅된다.
비강 튜브(950)를 위한 지지체(935)의 제공과 함께, 상기 비강 튜브 홀더(930)는 기구(100.5)의 구강 외 개구(111.5)와 유체 연통하는 그 전면에 개구(932, 933)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커넥터 시스템(900)을 통한 구강 호흡을 허용한다. 이런 예에서는, 일방향 밸브(940)가 비강 튜브 홀더(930)의 개구(932) 뒤에도 위치되어, 용이한 흡기 및 제어된 호기를 허용함으로써 구강 호흡을 제어한다. 상기 어댑터(920)는, 공기를 통기하기 위해 및/또는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이동 센서, 온도 센서, 및 습기 센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구 모니터링 장치가 유로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그 상면에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 또는 통기구(9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강 튜브(950)는 PAP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입구(951)를 갖는 입구 챔버(952)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 챔버(952)는 사용자의 콧구멍 내에 삽입되는 필로우(955)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출구로 이어지는 2개의 튜브(953, 954)로 분기된다. 이런 방식으로, 공기 또는 산소의 공급원을 제공하여 호흡을 보조하도록, 비강 PAP 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강 튜브(950)는 어댑터(920) 및 인터페이스(910) 부재를 통해 구강 기구(100.5)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930)에 의해 편리하게 지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비강 튜브 지지체(935)는 전형적으로 비강 튜브 홀더(930)의 본체(931)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35)는 비강 튜브(950)의 각각의 튜브(953, 954)의 둘레로 클립되는, 탄성 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는 클립의 형태를 취한다.
이제 도 9c를 참조하면, 구강 호흡 중 커넥터(900)를 통한 흐름(F)을 도시하는 시스템(10.7)의 중심을 통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흡기 중에는, 공기가 비강 튜브 홀더(930)의 개구(932, 933)를 통해 흐른다. 밸브(940)는 개구(932)로부터 피봇되어, 공기의 용이한 흡입을 허용한다. 그 후, 공기는 어댑터(920)의 공동을 통해 그리고 상기 덕빌(102.5)에 제공된 구강 외 개구(111.5)를 통해 기구(100.5) 내로 흐른다. 그 후, 공기는 기구(100.5)의 채널(116.5)을 따라 흐르며, 그리고 구강 내 개구(120.5)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빠져나간다. 호기 중에는, 공기가 반대의 경로를 따르지만, 그러나 일방향 밸브(940)가 개구(932)를 향해 피봇되고, 이에 따라 호기에 따른 저항을 생성하도록 개구(93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할 것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940)는 비강 튜브 홀더(930)의 상면을 통해 제공된 슬롯(934) 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섹션(942)을 포함한다. 하부 섹션 또는 플랩(944)은, 상부 섹션(942)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고, 또한 상부 섹션(942)에 대해 힌지되거나 피봇되도록 구성된다. 호기 시 원하는 흐름 차단을 얻기 위해, 상기 플랩(944)은, 호흡 중 플랩(944)이 개구(932) 뒤에 실질적으로 수직의 방식으로 배향되도록, 전형적으로 상기 상부 섹션(934)에 대해 후향으로 경사진다.
전술한 커넥터 시스템(900)의 조립체가 이제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먼저, 인터페이스 부재(910)가 구강 기구(100.5)의 덕빌(102.5) 위에 결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910)는 덕빌(102.5)의 외면의 둘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내면(931)을 포함하는 타원 형상의 본체(911)를 갖는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910)의 후면(914)이 기구(100.5)의 본체(110.5)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상기 덕빌(102.5) 상으로 가압된다. 상기 인터페이스(910)는 전형적으로 내면(913)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탄성 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태브(tab)(915, 916)를 통해 상기 덕빌(102.5)에 결합된다. 상기 태브(915, 916)는, 인터페이스(910)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해, 상기 덕빌(102.5)에 제공된 대응의 틈새(도시되지 않음) 내로 스냅된다.
상기 어댑터(920)는 인터페이스(910) 내로 플러깅되며, 또한 어댑터(920)의 본체(921)의 후면(923)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910)의 전면(912)에 형성된 대응의 틈새 또는 슬롯(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되는 다수의 태브(924, 925)를 통해 제 위치에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비강 튜브 홀더(930)는 어댑터(920)의 내면(928)에 배치된 대응의 틈새(926, 927)에 수용되는, 본체(931)의 후방의 오목한 부분(937)의 둘레에 위치된 다수의 태브(938, 939)를 통해 상기 어댑터(920) 내로 플러깅된다. 연결되었을 때, 상기 비강 튜브 홀더(930)의 후면(936)은, 어댑터(920)의 전면(922)과 인접한다.
전술한 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예에 있어서, 센서는 본체 또는 헤드 위치, 공기 압력, 공기 유량, 온도, 습기, 및 움직임과 같은 파라미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시스템 및/또는 하우징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코 및 구강 기구로부터의 흡기 및/또는 호기 시 이들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흐름 및 압력 센서는, 커넥터 시스템에 제공된 통기부 또는 자연스러운 호흡 포트에 근접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공기 흐름 및/또는 압력 센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전용의 공기 흐름 칩(air flow chip)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흐름 및/또는 압력 센서에 대한 배선은 중앙처리장치(CPU)/전원 공급부로의 PAP 호스의 둘레에 매립되거나 코일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결정하고, 또한 결정된 센서 데이터에 따른 유로에서 상기 PAP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된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것이다. 상기 구강 기구가 자연스럽게 호흡하기 위한 기도를 갖기 때문에, 공기 흐름 및 압력이 충분하다면, 보조 공기 흐름 및/또는 압력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PAP 장치가 꺼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PAP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추가로 배터리 전원을 절약하고(배터리 작동식 장치인 경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는, 센서 데이터가 원격 서버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 또는 스마트이나 또는 태블릿과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직접 또는 점 대 점(point-to-point) 연결을 통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네트워크,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 인터넷, LAN, WAN 등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선형이나 무선형 연결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는 준수 모니터링(compliance monitoring)과 같은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장치와 같은 원격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일 예에 있어서, 여기에 기재된 시스템, 구강 기구, 및 커넥터 시스템은 전형적인 CPAP/마스크 시스템보다 훨씬 낮은 공기 흐름 및 압력을 갖는 PAP 장치를 사용하여,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사용자에게 PAP 처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코, 연구개, 및 혀로부터의 장애물을 우회함으로써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가 구인두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PAP 장치가 자연스러운 호흡을 보조하기 위한 압력 및/또는 흐름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런 이유로, PAP 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사용자가 호흡을 위해 상기 PAP 시스템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PAP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훨씬 더 적다. 이는 결과적으로 소음을 감소시켜 환자의 안락감과 순응성을 향상시키는 소형 및 저 에너지 집약형 펌프로, 소형 PAP 장치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PAP 장치는 배터리로도 작동될 수 있어, 휴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게 한다. 이런 시스템은 또한 본질적으로 마스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전형적인 시스템에 비해 증가된 안락감 및 순응성으로 이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에 있어서, PAP 연결이 없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흡기/호기를 제어하기 위해 구강 기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밸브/제한기 메커니즘(열 및 습기 교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는)을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브는 정상적인 또는 더욱 용이한 흡기를 허용할 수 있으면서, 호흡을 돕기 위해 내압을 증가시키고 또한 기도의 유지 및/또는 안정화를 돕는 호기 시의 저항을 생성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어, 수면 테스트, 순응성 등에 사용하기 위해 환자의 입 및/또는 코로 또는 환자의 입 및/또는 코로부터의 유량 및 압력뿐만 아니라, 본체 또는 헤드 위치, 공기 온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위치, 온도, 공기 흐름,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통합한다.
문맥 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포함하다(comprise)"라는 용어, 및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그 파생어는, 명시된 정수(integer) 또는 정수 그룹 또는 단계의 포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지만,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명백해질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지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은, 기재되기 전에 본 발명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정신 및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83)

1)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로서, 상기 본체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를 형성하는, 구강 기구; 및
b)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제공 시스템.
i)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ⅱ)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는, 상기 기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시스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은 관형인, 시스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구강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형성하는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추가로 형성하고, 각각의 채널은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고,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하는, 시스템.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AP 로부터의 공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시스템.
a) 사용자의 코;
b)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c) 상기 코, 및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호흡 포트를 형성하는, 시스템.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호흡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호흡 포트 및 상기 통기구 중 적어도 하나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또는 일방향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각 측부 상의 상기 채널은 제1 및 제2 기도를 형성하도록 구획되는, 시스템.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상기 본체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을 형성하는, 시스템.
a) 상기 제1 기도를 통해 제1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1 구강 외 개구; 및
b) 상기 제2 기도를 통해 제2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구강 외 개구.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제1 기도를 통해 상기 기구 내로 지향되도록, 상기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시스템.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a) 자연스러운 호흡; 및
b) 호기.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되는, 시스템.
a)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및
b) 사용자의 구강을 따라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공기 압력 및/또는 흐름은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기도에 전달될 수 있는, 시스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와, 사용자의 기구 및/또는 코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16에 있어서,
커넥터를 통해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입구의 하류에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밸브가 제공되는, 시스템.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기구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입구 밸브가 제공되고, 또한 공기를 사용자의 코 내로 지향시키는 비강 연결 부분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입구 밸브의 하류에 제2 입구 밸브가 제공되는, 시스템.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PAP 장치로부터 기구 내로 공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출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2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출구에 연결되는, 시스템.
청구항 22에 있어서,
비강 캐뉼러가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 연결되는, 시스템.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시스템.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비강 필로우가 상기 비강 캐뉼러 내로 삽입되는, 시스템.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상기 비강 캐뉼러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기 포트가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에 제공되는, 시스템.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AP 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시스템.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는 다이어프램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는,
a) 입의 전방에 있는 커넥터 시스템 상에;
b) 구강 기구 상에;
c) 사용자의 팔, 헤드, 목, 또는 가슴 상에;
장착되는, 시스템.
청구항 27에 있어서,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에, 또는 상기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제공되는, 시스템.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는, 상기 커넥터 본체 및/또는 비강 연결 부분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및/또는 호기 포트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시스템.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은,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a) 밸브/제한기; 및
b) 열 및 습기 교환기.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청구항 32 내지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a)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의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및
b) 상기 센서 데이터가 모니터링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되게 하기 위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는 원격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는, 시스템.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처리 장치는 결정된 센서 데이터에 따른 유로에서 상기 PAP 장치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아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기구의 구강 외 부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b)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어댑터;
c)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 및
d) 상기 비강 튜브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PAP 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비강 튜브.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비강 튜브 홀더는 상기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그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비강 튜브 홀더의 호흡 포트 중 하나의 뒤에 일방향 밸브 및/또는 열 및 습기 교환기가 위치되는, 시스템.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a)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
b)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구강 내 개구; 및
c)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고,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상기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청구항 42에 있어서,
제1 기도는 제1 구강 외 개구와 제1 구강 내 개구 사이에 제공되고, 제2 기도는 제2 구강 외 개구와 제2 구강 내 개구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1 기도는 상기 제2 기도와는 구획되는, 장치.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강을 따라 통과하고, 상기 제2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장치.
a)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아 사이; 및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아 사이.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 및 제2 기도는, 상기 제1 기도가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도록 구획되는, 장치.
a) 제2 기도 위; 및
b) 제2 기도의 횡방향 외측.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도는 흡기 중 사용되고, 상기 제2 기도는 호기 중 사용되는, 장치.
청구항 42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공급부에 연결 가능한, 장치.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입구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장치.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강 외 개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연결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허용하는, 장치.
청구항 42 내지 청구항 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강 외 개구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 센서 하우징에 연결 가능한, 장치.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청구항 42 내지 청구항 5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구강 외 개구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고 또한 일반적으로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장치의 구강 외 부분에 제공되는, 장치.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강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 가능한 본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와,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구강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와 사용자의 코 중 적어도 하나 내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입구의 하류에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밸브가 제공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3에 있어서,
제1 입구 밸브는 상기 기구 내로의 압력 및/또는 흐름을 조절하도록 제공되고, 제2 입구 밸브는 사용자의 코 내로 공기를 지향시키는 비강 연결 부분 내로의 압력 및/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입구 밸브의 하류에 제공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2 내지 청구항 5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상기 기구 내로 공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1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출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의 제2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흡 포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4 내지 청구항 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출구에 연결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 비강 캐뉼러가 연결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중 적어도 하나인,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9 또는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비강 캐뉼러 내에 비강 필로우가 삽입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상기 비강 캐뉼러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9 내지 청구항 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 연결 부분 및/또는 비강 캐뉼러에 호기 포트가 제공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2 내지 청구항 6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및/또는 코로 또는 상기 기구 및/또는 코로부터의 압력 및/또는 공기 흐름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2 내지 청구항 6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3D 프린팅 또는 성형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부품형 본체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상기 기구의 구강 외 부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b)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어댑터;
c)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 및
d) 상기 비강 튜브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PAP 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비강 튜브.
사용자에게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기구; 및
b) 상기 구강 기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외 커넥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시스템.
i) 기도를 수정;
ⅱ) 기도를 제공; 및
ⅲ) 기도를 모니터링.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수용하는, 시스템.
a) 본체 또는 헤드 위치;
b) 공기 압력;
c) 공기 유량;
d) 온도;
e) 습기; 및
f) 움직임.
청구항 67 또는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a) 호기 중,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밸브/제한기; 및
b) 열 및 습기 교환기.
청구항 67 내지 청구항 6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밸브는,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시스템.
청구항 67 내지 청구항 7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구의 본체는,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강 내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에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를 형성하는, 시스템.
청구항 7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은 구강 내 개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며, 각각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강을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기도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상기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동작하는, 시스템.
청구항 67 내지 청구항 7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비강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73에 있어서,
사용자의 콧구멍 내로의 삽입을 위해, 상기 비강 연결 부분에 한쌍의 비강 필로우가 결합되는, 시스템.
청구항 74에 있어서,
상기 비강 필로우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하나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끼워지는, 시스템.
a) 열가소성 재료를 열 세팅하는 단계;
b) 가요성 배관의 굴곡 단계.
청구항 75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배관은 연성 금속 스트립 또는 코일에 의해 보강되는, 시스템.
청구항 72 내지 청구항 7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상기 기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에 연결되고, 또한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로부터 공기 및/또는 산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청구항 77에 있어서,
상기 PAP 장치로부터의 공기 및/또는 산소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시스템.
a) 사용자의 코;
b)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및
c) 상기 코, 및 상기 기도를 통한 구강 기구.
청구항 7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사용자의 입 및/또는 코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및/또는 산소를 지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78 또는 청구항 7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커넥터는 상기 입 및/또는 코를 통해 자연스러운 호흡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청구항 72 내지 청구항 8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구의 각 측부 상의 상기 채널은 분기 기도를 형성하도록 구획되는, 시스템.
청구항 81에 있어서,
상기 분기 기도의 제1 부분은 PAP 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분기 기도의 제2 부분은 자연스러운 호흡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커넥터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외 개구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상기 기구의 구강 외 부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b)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어댑터;
c)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비강 튜브 홀더; 및
d) 상기 비강 튜브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PAP 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PAP 장치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비강 튜브.

KR1020197012830A 2016-10-10 2017-10-10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KR20190114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904167A AU2016904167A0 (en) 2016-10-10 A breathing assist system including an oral appliance and connector system therefor
AU2016904167 2016-10-10
PCT/AU2017/051092 WO2018068085A1 (en) 2016-10-10 2017-10-10 A breathing assist system including an oral appliance and connector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954A true KR20190114954A (ko) 2019-10-10

Family

ID=6190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830A KR20190114954A (ko) 2016-10-10 2017-10-10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240435A1 (ko)
EP (1) EP3522839A4 (ko)
JP (1) JP2019528990A (ko)
KR (1) KR20190114954A (ko)
CN (1) CN110035719A (ko)
AU (1) AU2017343672A1 (ko)
CA (1) CA3039830A1 (ko)
WO (1) WO2018068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2274B2 (en) * 2016-04-28 2020-04-28 Jeffrey Norsted CPAP mask attachment system
EP3678721B1 (en) * 2017-09-08 2024-05-15 Vapotherm, Inc. Bifurcated cannula device
WO2019173869A1 (en) * 2018-03-12 2019-09-19 Oventus Medical Limited Oral appliance and valve arrangement
KR102128382B1 (ko) * 2018-11-01 2020-06-30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TWM585155U (zh) * 2019-02-27 2019-10-21 台灣基督長老教會馬偕醫療財團法人馬偕紀念醫院 呼吸面罩
AU2020277895A1 (en) 2019-05-20 2021-12-16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Prediction and intervention of obstructive sleep apnoea
BR112021026256A2 (pt) 2019-06-28 2022-03-03 Vapotherm Inc Cânula de geometria variável
US11878115B2 (en) 2019-09-26 2024-01-23 Vapotherm, Inc. Internal cannula mounted nebulizer
USD954961S1 (en) * 2019-10-25 2022-06-14 Welsmeditech Co., Ltd. Apparatus for treatment of mouth ulcers
DE102020000503B4 (de) * 2020-01-28 2023-02-02 Drägerwerk AG & Co. KGaA Gekrümmte Verbindungseinheit zum Verbinden eines Patienten mit einem Beatmungsgerät
US11065410B1 (en) * 2021-02-01 2021-07-20 Leonard Feld Dental appliance using airway dialation for treating covi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TW202300190A (zh) * 2021-04-30 2023-01-01 紐西蘭商費雪 & 佩凱爾關心健康有限公司 患者介面
KR20240010716A (ko) * 2021-04-30 2024-01-24 피셔 앤 페이켈 핼스케어 리미티드 환자 인터페이스
US20230014838A1 (en) * 2021-07-16 2023-01-19 Spencer Miller Contactless cpa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0504A1 (en) * 2004-01-14 2005-07-14 Heeke David W.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ing sleep apnea an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US7676276B2 (en) * 2007-07-02 2010-03-09 Manuel L Karell Stimulator combined with an intranasal respiratory method and device for improved breathing
US20100163043A1 (en) * 2008-06-25 2010-07-01 Hart William T Self-contained oral ventilation device
US20100311003A1 (en) * 2009-06-04 2010-12-09 Aleksey Yuriy Kozlov Oral respiration interface and a digital container
US8607794B2 (en) * 2010-10-05 2013-12-17 Carefusion 207, Inc. Non-invasive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EP2709572B1 (en) * 2011-05-19 2018-07-25 Oventus Medical Limited Breathing assist device
US9492086B2 (en) * 2012-03-21 2016-11-15 Fresca Medical,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US20140261450A1 (en) * 2013-03-15 2014-09-18 Michael Brady Morehead Intraoral mandibular advancing positive pressure apparatus
EP2968814B1 (en) * 2013-03-15 2017-09-27 Airway Control Technologies, LLC Medical breathing apparatus
US20140290668A1 (en) * 2013-03-28 2014-10-02 W. Keith Thornton Adjustable Breathing Device
AU2015240431B2 (en) * 2014-04-01 2017-06-15 Open Airway Dental Solutions Ltd Breathing assist device
US20170319129A1 (en) * 2015-12-18 2017-11-09 Real 3D Polymers Group Llc Sleep apnea and anti-snoring monitor
US20210283359A1 (en) * 2016-10-03 2021-09-16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device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43672A1 (en) 2019-05-30
JP2019528990A (ja) 2019-10-17
EP3522839A4 (en) 2020-07-01
EP3522839A1 (en) 2019-08-14
US20190240435A1 (en) 2019-08-08
CN110035719A (zh) 2019-07-19
WO2018068085A1 (en) 2018-04-19
CA3039830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4954A (ko) 구강 기구 및 이를 위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시스템
US20210353884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non-invasive ventilation including a non-sealing ventilation interface with an entrainment port and/or pressure feature
CN110860015B (zh) 用于呼吸治疗的患者接口
CA2556016C (en) Sealing nasal cannula
US10265486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non-invasive ventilation including a non-sealing ventilation interface with an entrainment port and/or pressure feature
US7114497B2 (en) Method and system of individually controlling airway pressure of a patient's nares
US7191781B2 (en) Nasal ventilation interface and system
US9199053B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ventilation using a nasal ventilation mask with a manifold and internal compliant tube and nasal sealing cushion assembly
US20050235999A1 (en) Nasal ventilation interface and system
WO2005016407A2 (en) Nasal ventilation interface and system
JP2019501700A (ja) 呼吸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4526280A (ja) 限定された流量の呼吸療法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08830A (ko) 구강 기구 및 밸브 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