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82B1 -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82B1
KR102128382B1 KR1020180133173A KR20180133173A KR102128382B1 KR 102128382 B1 KR102128382 B1 KR 102128382B1 KR 1020180133173 A KR1020180133173 A KR 1020180133173A KR 20180133173 A KR20180133173 A KR 20180133173A KR 102128382 B1 KR102128382 B1 KR 10212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vity
patient
mandible
space forming
ai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295A (ko
Inventor
곽지영
배병수
Original Assignee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3Composition of exhalation
    • A61M2230/432Composition of exhalation partial CO2 pressure (P-C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3Composition of exhalation
    • A61M2230/435Composition of exhalation partial O2 pressure (P-O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도가 확보되도록 도와주는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무호흡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환자의 호흡 및 기타 생리작용을 모티터링하기 위한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호흡, 체온을 포함한 기타 생리작용이 적절한가 자동으로 체크하여 환자 보호자와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피로가 감소되며,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ORAL AIRWAY,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OF AND RESPIRA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모니터링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장착자의 입안에 삽입된 구강용 기도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도가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장착자의 무호흡 상황을 의료진 또는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상태의 환자는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이 맞물리며 입을 다물게 되고, 그에 따라 기도가 확 보되지 않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환자의 보호자는 이러한 응급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긴장 상태로 환자를 모니터링하게 되어 피로가 가중되는 고통이 있었다.
또한, 미숙 신생아 무호흡증이 있는데, 이는 뇌의 호흡 중추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미숙 신생아의 경우 무호흡의 빈도가 증가하여 성장이 더딘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의 호흡을 모니터링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의료진이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비상상황 발생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 환자의 기도확보가 어려워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70024196 (2017. 03.07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도가 확보되도록 만들어주는 상태에서 환자의 호흡을 모니터링하여 무호흡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보호자와 의료진의 매번 환자의 곁에서 직접 확인후 조치 해야되는 피로가 감소되며, 응급상황에서 빠르고 바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유지장치는 반타원형, 반원형 및 아치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며,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하악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이 구강 안쪽으로 가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공간형성부를 상악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공간형성부를 구강 내부로 가이딩하는 가이딩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가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상기 공간형성부는 하악의 치아배열에 기초한 치아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악의 치아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부는 구강 내로 흡입되거나 구강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부분이 중심이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간형성부에서 돌출부로 갈수록 선형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구강 내부로 쉽게 가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최대 높이는 4.5 내지 5,2mm이며,
상기 가이딩부의 최대 높이는 4.3 내지 5.1mm이며, 최소 높이는 0.1 내지 0.2mm일 수 있다.
또한,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상악의 절치가 고정되도록 턱이 형성되되, 상기 상악의 절치와 맞닿는 턱의 일면은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은 접선의 기울기가 점차 줄어드는 포물선 형상이거나,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다 줄어드는 포물선 형상일 수 있다.
또한,상기 제2 고정부의 내면과 공간형성부의 상면이 만나는 부분의 기울기는 28~35°이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높이는 0.3~0.6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유지부는 아치형 또는 반타원형이며,대중소 3가지 타입으로 제작되고 대 타입의 공간유지부의 짧은지름(md)은 6.8~7.3cm이며, 긴 반지름(MD)은 5.5~5.9cm이고, 중 타입의 공간유지부(10)의 짧은지름(md)은 4.8~5.3cm이며, 긴 반지름(MD)은 3.9~4.2cm이며, 소 타입의 공간유지부의 짧은지름(md)은 2.7~3.3cm이며, 긴 반지름(MD)은 2.1~2.6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유지장치 모델링 방법은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구강이 열린 상태에서 하악의 치아를 스캔하여 하악의 치아 형상 및 배열에 대한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스캔단계;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악 치아의 모델인 제1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되고 교합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의 치아를 스캔하여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악 및 하악 치아의 형상, 배열 및 하악이 돌출된 정도에 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스캔단계; 상기 획득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델인 제2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델과 제2 모델에 기초하여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되고 교합된 상태에서 구강으로 흡입되고 배출되는 공기량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공기량이 소정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델과 제2 모델에 기초하여 삽입된 기도유지장치를 수정하는 수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도유지장치는 반타원형, 반원형 및 아치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며,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하악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간형성부를 구강 내부로 가이딩하는 가이딩부, 상기 공간형성부가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부분이 중심이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간형성부에서 돌출부로 갈수록 선형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구강 내부로 쉽게 가이딩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하악의 치아배열에 기초한 치아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악의 치아가 삽입되며, 구강 내로 흡입되거나 구강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단계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긴반지름 또는 짧은반지름의 수치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공간형성부의 두께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치아삽입홈의 너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돌출부와 가이딩부의 높이를 수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보가 가능한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반타원형, 반원형 및 아치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며,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공간형성부와 상기 공간형성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하악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이 구강 안쪽으로 가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공간형성부를 상악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기도유지장치와, 상기 공간형성부 상면에 설치되고, 환자의 구강 내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 산소포화도,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받은 센싱정보와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온도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온도가 미리 설정한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온도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압력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맥박과 산소포화도의 관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결과가 미리 설정한 맥박과 산소포화도와의 관계를 벗어나는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도 확보가 가능한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상기 환자의 연령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연령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환자의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연령정보부터 상기 환자의 연령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연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변화의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의 주기를 조합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구강 내 온도 변화의 주기,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의 주기, 압력 변화의 주기 중 하나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1 위험단계, 그 중 두 개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2 위험단계, 그 중 세 개 이상이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3 위험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기도확보가 가능한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위험단계인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로 전달하고,상기 제2 위험단계인 경우, 제1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의 보호자의 휴대용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3 위험단계인 경우, 제2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의 보호자와 의료진의 휴대용 단말로 전달하되, 상기 제1 호출신호와 상기 제2 호출신호에 따라 전달되는 휴대용 단말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도 확보가 가능한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또는 RF를 통해 센싱부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판단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도가 확보되도록 만들어주는 상태에서 환자의 호흡을 모니터링하여 무호흡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보호자와 의료진의 피로가 감소되며,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하악의 치아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아치형 구강용 기도유지장치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치아삽입홈이 형성된 아치형 구강용 기도유지장치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아치형 구강용 기도유지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반타원형 구강용 기도유지장치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기도유지장치를 구강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고정부의 일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환자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도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미숙아나 환자의 경우에, 기도확보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착자의 호흡이나 체온을 모니터링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보가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 센싱부(110), 통신부(120),연령정보부(130), 판단부(140), 알람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면은 구강의 바깥쪽 면을 의미하며, 내면은 구강의 안쪽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는 공간형성부(10), 제1 고정부(20), 제2 고정부(30), 손잡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아치형상의 공간형성부(10)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반타원형의 공간형성부(10)를 도시한 것이다.
공간형성부(10)는 도 1에 도시된 하악의 교합면 위에 안착된다. 즉 공간형성부(10)는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악과 하악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공간형성부(10)는 치열의 배열과 유사한 형태인 반타원형, 반원형, 아치형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이를 보호할 수 있다. 탄성재질의 예로는 실리콘, 무독성 폴리우레탄, 에코플렉스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형성부(10)의 두께는 1~3mm일 수 있다. 공간형성부(10)의 두께가 1mm 이하인 경우에는 빈 공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효과가 없고, 3mm 이상인 경우에는 환자의 불편함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부(10)는 구강 내로 흡입기되거나 구강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통공(10a)이 형성될 수 있다.
누워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 내 입천장의 목젖이 힘이 빠지면서 기도를 막게 된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도유지장치(100)에 제1 고정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0)는 목젖의 조직들이 기도를 막지 않도록 하악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기도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 고정부(20)는 공간형성부(10) 하면에 형성되어, 공간형성부(10)를 고정시키고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하악의 절치(8,9) 외면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0)는 공간형성부(10)를 구강 내부로 가이딩하는 가이딩부(22)와 공간형성부(10)가 하악의 절치(8,9) 외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22)는 공간형성부(10)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부분이 중심이되도록 설치되고, 공간형성부(10)에서 돌출부(21)로 갈수록 선형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공간형성부(10)를 구강 내부로 쉽게 가이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는 하악의 교합면 위에 공간형성부(10)가 안착되어 유치되도록 하악의 절치(8,9) 부분에 턱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돌출된 턱으로 인해 하악이 돌출되면서 상기도가 열린다.
돌출부(21)는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간형성부(10)를 고정할 수 있게 돌출부(21)의 최대 높이는 4.5 내지 5.2mm일 수 있다.
가이딩부(22)의 최대 높이는 돌출부(21)보다 낮으며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5.1mm일 수 있다. 또한, 최소 높이는 0.1 내지 0.2mm일 수 있다.
도 4, 도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도유지장치(100)는 제2 고정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0)는 공간형성부(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악의 절치 외면이 구강 안쪽으로 가도록 고정함으로써, 공간유지부(10)를 상악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정부(30)는 상악의 절치가 걸려 고정되도록 턱이 형성되되, 상악의 절치와 맞닿는 턱은 직선이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치아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접선의 기울기가 점점 줄어드는 완만한 포물선 형태이거나, 도 7의 (b)와 같이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다 다시 줄어드는 형태의 포물선으로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다 줄어드는 지점에 상악의 절치가 걸릴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30)의 내면과 공간형성부(10)의 상면이 만나는 부분의 기울기는 28~35°로 비스듬하다. 이 기울기가 28°보다 작으면 상악의 절치를 고정하기 어렵고, 35°보다 크면, 장착자가 이물감을 크게 느끼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정부(30)의 높이는 0.3~0.6cm일 수 있다. 이 높이가 3cm보다 작으면 상악의 절치를 고정하기 어렵고, 0.6cm 보다 크면, 장착자가 이물감을 크게 느끼는 불편함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형성부(10)는 하악의 치아배열에 기초한 치아삽입홈(1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삽입홈(10b)은 치아의 배열과 유사하게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하악의 치아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치아삽입홈(10b)에 하악의 치아가 삽입되어 공간형성부(10)가 치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싱부(110)는 돌출부(21)의 외면에 설치되어, 환자의 호흡이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는 환자의 구강 내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 산소포화도,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이 센싱정보를 판단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에서 전달받은 센싱정보와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호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 및 산소포화도는 호기와 흡기에 따라 특정 주기로 변한다, 판단부(140)는 이러한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를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140)는 구강 내 온도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1실시예로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에서 전달된 구강 내 온도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온도가 미리 설정한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40)는 구강 내 온도가 미리 설정한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 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구강 내 온도가 38도가 넘어가면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 온도가 35.5도 이하로 떨어지면 저체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실시예로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에서 전달된 구강 내 온도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3실시예로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에서 전달된 구강 내 압력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4실시예로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에서 전달된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5실시예로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에서 전달된 맥박과 산소포화도의 관계를 연산하고, 이 연산 결과에 따라 환자의 응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응급실에서는 맥박산소측정기를 손가락이 끼어 환자의 산소포화도와 맥박을 측정하였으나, 장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영아의 손가락에 제대로 장착되지 않아 산소포화도와 맥박을 측정할 수 없었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은 기도확보를 한 상태에서 영아의 산소포화도과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판단부(140)는 맥박과 산소포화도의 관계를 연산할 수 있다. 맥박과 산소포화도와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고, 이 설정 결과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맥박이 빠르게 뛰고 있음에도 산소포화도가 그에 미치지 못하게 낮은 경우에 환자가 제대로 호흡을 하지 못 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6실시예로, 본 발명은 환자의 연령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된 연령정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센싱부(110)로부터 환자의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를 전달받고, 연령정보부(130)로터 환자의 연령정보를 전달받아,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를 연산하고, 이를 조합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40)에는 연령정보에 따른 정상상태의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이렇게 설정된 범위와 연산된 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부(140)는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를 조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40)는 조합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 중 하나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1 위험단계, 그 중 두 개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2 위험단계, 그 중 세 개 이상이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3 위험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이러한 단계에 따라 제1 위험단계인 경우에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알람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전달된 알람신호에 기초하여 알람용 빛이나 경고음을 생성하여 의료진이나 보호자에게 환자의 응급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판단부(140)는 제2 위험단계인 경우에 환자의 보호자를 호출하는 제1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환자의 보호자의 휴대용 단말(16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3 위험단계인 경우에 환자의 보호자와 의료진을 모두 호출하는 제2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보호자의 휴대용 단말(160) 및 의료진의 휴대용 단말(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호출신호와 제2 호출신호에 따라 전달되는 휴대용 단말(160, 170)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를 판단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부(120)는 지그비(Zigbee) 또는 RF를 통해 센싱부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판단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형성부(10)를 구강 내로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손잡이(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공간형성부(10)의 중앙에서 연장된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는 범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유지부(10)는 아치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총 3가지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편의상 대·중·소로 정의한다. 대 타입의 공간유지부의 짧은지름(md)은 6.8~7.3cm이며, 긴 반지름(MD)은 5.5~5.9cm일 수 있다. 중 타입의 공간유지부(10)의 짧은지름(md)은 4.8~5.3cm이며, 긴 반지름(MD)은 3.9~4.2cm일 수 있다. 소 타입의 공간유지부의 짧은지름(md)은 2.7~3.3cm이며, 긴 반지름(MD)은 2.1~2.6cm일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연구에 따르면 이와 같이 3가지 타입으로 제작하는 경우, 환자의 치아 배열에 따른 맞춤식이 아니더라도 큰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는 스캔 장치를 이용한 모델링 방법을 통해 맞춤식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 모델링 방법은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구강이 열린 상태에서 하악의 치아를 스캔하여 하악의 치아 형상 및 배열에 대한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스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장치는 일반적인 치과용 스캔장치로 방사선 스캔장치를 포함한다. 제1 스캔단계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악 치아의 모델인 제1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가 삽입되고 교합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의 치아를 스캔하여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상악 및 하악 치아의 형상, 배열 및 하악이 돌출된 정도에 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스캔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획득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델인 제2 모델을 생성한다. 이후, 제1 모델과 제2 모델에 기초하여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가 삽입되고 교합된 상태에서 구강으로 흡입되고 배출되는 공기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일 연산된 공기량이 소정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제1 모델과 제2 모델에 기초하여 삽입된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를 수정하는 수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는 공간형성부(10), 제1 고정부(20), 손잡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수정단계에서 공간형성부(10), 제1 고정부(20), 제2 고정부(30), 손잡이(40)의 형상, 높이, 치수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형성부(10)의 경우 짧은지름(md), 긴반지름(MD) 치수, 통공의 위치, 두께 등을 수정할 수 있다. 환자의 치아배열에 따라 짧은지름(md)과 긴반지름(MD)의 치수를 수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의 제1 대구치(1)가 소실된 경우 짧은지름(md)과 긴반지름(MD)의 치수가 짧게 수정된다. 또한, 환자의 하악이 일반인보다 짧은지름(md') 또는 긴반지름(MD')이 작거나 길 수 있는데 이에 맞게 선택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강용 기도유지장치(100)가 교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원하는 수치 이하인 경우에 공간형성부(10)의 두께를 더 두껍도록 수정하거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나 환자의 장착에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높이인 경우 두께를 더 얇도록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교합된 상태에서 공간형성부(10)가 제대로 하악의 치아에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에, 치아삽입홈(10b)의 홈 너비를 조절하여 하악의 치아가 제대로 삽입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연산된 공기량이 원하는 범위 이하인 경우, 제1 고정부(20)의 돌출부(21)와 가이딩부(22)의 높이를 높게 수정하거나, 제2 고정부(30)의 기울기를 크게 하거나, 높이를 높게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6)

  1. 반타원형, 반원형 및 아치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며,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하악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간형성부를 구강 내부로 가이딩하는 가이딩부 및상기 공간형성부가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구강이 열린 상태에서 하악의 치아를 스캔하여 하악의 치아 형상 및 배열에 대한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스캔단계;
    상기 획득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악 치아의 모델인 제1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되고 교합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의 치아를 스캔하여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악 및 하악 치아의 형상, 배열 및 하악이 돌출된 정도에 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스캔단계;
    상기 획득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델인 제2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델과 제2 모델에 기초하여 기도유지장치가 삽입되고 교합된 상태에서 구강으로 흡입되고 배출되는 공기량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공기량이 소정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델과 제2 모델에 기초하여 삽입된 기도유지장치를 수정하는 수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도유지장치는
    반타원형, 반원형 및 아치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며,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하악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간형성부를 구강 내부로 가이딩하는 가이딩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가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유지장치 모델링 방법.
  12. 삭제
  13. 반타원형, 반원형 및 아치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며,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공간형성부와 상기 공간형성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를 하악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도가 확보되도록 상기 하악의 절치 외면에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기도유지장치;
    상기 공간형성부 상면에 설치되고, 환자의 구강 내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 산소포화도,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받은 센싱정보와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온도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온도가 미리 설정한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온도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온도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압력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의 주기를 연산하고, 이 연산된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 주기를 미리 설정한 구강 내 압력 변화 주기와 비교하여, 구강 내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 주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맥박과 산소포화도의 관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결과가 미리 설정한 맥박과 산소포화도와의 관계를 벗어나는 경우에 환자의 상태가 응급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환자의 연령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연령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환자의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연령정보부터 상기 환자의 연령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연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변화의 구강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분압, 압력,산소포화도의 변화 주기의 주기를 조합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구강 내 온도 변화의 주기, 이산화탄소 분압 변화의 주기, 압력 변화의 주기 중 하나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1 위험단계, 그 중 두 개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2 위험단계, 그 중 세 개 이상이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3 위험단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확보가 가능한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133173A 2018-11-01 2018-11-01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73A KR102128382B1 (ko) 2018-11-01 2018-11-01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73A KR102128382B1 (ko) 2018-11-01 2018-11-01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127A Division KR20200050443A (ko) 2020-02-19 2020-02-19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95A KR20200050295A (ko) 2020-05-11
KR102128382B1 true KR102128382B1 (ko) 2020-06-30

Family

ID=7072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73A KR102128382B1 (ko) 2018-11-01 2018-11-01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8085A1 (en) 2016-10-10 2018-04-19 Oventus Medical Limited A breathing assist system including an oral appliance and connector system therefor
WO2018098527A1 (en) * 2016-11-30 2018-06-07 Oventus Medical Limited Oral appliance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44525C (en) * 2014-04-01 2023-05-16 Oventus Medical Limited Breathing assist device
KR101725654B1 (ko) 2015-08-24 2017-04-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30015A (ko) * 2015-09-08 2017-03-16 고영석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EP3388018B1 (en) * 2015-10-22 2020-09-09 Choi, Hyun-Ji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KR20180095366A (ko) * 2017-02-17 2018-08-27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환경정보와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신생아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8085A1 (en) 2016-10-10 2018-04-19 Oventus Medical Limited A breathing assist system including an oral appliance and connector system therefor
WO2018098527A1 (en) * 2016-11-30 2018-06-07 Oventus Medical Limited Oral appliance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95A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6741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
CA2943191C (en) Cuspid and first bi-cuspid bite retainer for sleep apnea
US86840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oral applianc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CN107613913B (zh) 口腔矫治器
US20130109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lmonary monitoring and treatment
US2016009574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nitoring bruxism and/or sleep apnea and alleviating associated conditions
EP0794749B1 (en) A jaw position-regulating 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CN106456354B (zh)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口腔矫治器
JP2021511886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CN213787854U (zh) 牙科咬合套结构
KR102128382B1 (ko)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WO2022164479A1 (en) Dental appliance using airway dialation for treating covi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KR20200050443A (ko)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구강용 기도유지장치 제조방법 및,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US20220287871A1 (en)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US20230190514A1 (en) Therapeutic Oral Device
KR101932018B1 (ko) 수면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 구강장치
JP7432978B2 (ja) 下顎骨調整装置
US20240016654A1 (en) Oral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CA3232372A1 (en) Occlusion orthosis
Yamada et al. Verification of mandibular movements in the state of wearing an oral applian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Dawjee et al. A simple appliance for the management of obstructive sleep apnoea—the MEDUNSA Anti-Snoring Device (MAS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