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580A -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580A
KR20200112580A KR1020190068941A KR20190068941A KR20200112580A KR 20200112580 A KR20200112580 A KR 20200112580A KR 1020190068941 A KR1020190068941 A KR 1020190068941A KR 20190068941 A KR20190068941 A KR 20190068941A KR 20200112580 A KR20200112580 A KR 2020011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ring
arm
elastic str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563B1 (ko
Inventor
박장호
Original Assignee
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호 filed Critical 박장호
Publication of KR2020011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 보행 중 자연스럽게 팔 운동을 가능케 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행되는 기구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웨빙벨트와, 상기 웨빙벨트에 앞뒤로 결합되고 탄성을 갖으며 팔의 전후 이동에 따른 이완과 수축 움직임에 따라 상완의 후면 근육에 운동효과를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탄성 스트링과, 상기 탄성 스트링에 결체되어 탄성 스트링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상완의 전면부(상완 이두근: Biceps contracts) 근육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핸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을 갖는 웨이스트 스트링으로 구성되어 탄성 스트링과 웨이스트 스트링이 핸들의 상하에서 연결됨으로써, 보행에 따른 팔을 뒤로 이동할 때(extension) 뿐 아니라 앞으로 이동할 때(flexion)에도 상완의 전후 근육(상완 이두근 및 상완삼두근) 모두에 장력을 인가하여 운동효과를 발생시켜 운동효과를 극대화한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Wearable Arm Wal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일상 보행 중 자연스럽게 팔 운동을 가능케 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행되는 기구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웨빙벨트와, 상기 웨빙벨트에 앞뒤로 결합되고 탄성을 갖으며 팔의 전후 이동에 따른 이완과 수축 움직임에 따라 상완의 후면 근육에 운동효과를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탄성 스트링과, 상기 탄성 스트링에 결체되어 탄성 스트링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상완의 전면부(상완 이두근: Biceps contracts) 근육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핸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을 갖는 웨이스트 스트링으로 구성되어 탄성 스트링과 웨이스트 스트링이 핸들의 상하에서 연결됨으로써, 보행에 따른 팔을 뒤로 이동할 때(extension) 뿐 아니라 앞으로 이동할 때(flexion)에도 상완의 전후 근육(상완 이두근 및 상완삼두근) 모두에 장력을 인가하여 운동효과를 발생시켜 운동효과를 극대화한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걷기 운동은 건강을 위해 많은 사람이 즐겨 하는 운동으로, 별다른 도구가 필요 없고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쉽게 할 수 있으며, 생활 속에서도 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운동이다.
한편, 직립동물인 인간은 네발로 보행하는 기타 동물과 달리 보행운동 중 팔은 흔들리는 이외의 별도의 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지와 하지운동의 불균형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상지의 퇴행과 위축이라는 결과를 일으키며 오십견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지의 균형있는 발달을 위하여 엎드려서 네발로 걷는 호보운동 및 빠른 걸음으로 걸으면서 팔을 직각으로 굽혀 앞뒤로 크게 흔들면서 걷는 파워 워킹이나 아령을 들고 걷는 방법, 그리고 최근에 국내외 많은 동아리가 형성되며 대대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폴(Pole)을 갖고 걷는 노르딕 폴 워킹과 같은 운동 등이 넓게 시도되고 있다.
운동 중 일반 실내자전거 타기운동이 전신근육의 30~40%의 근육만을 사용하며, 조깅이나 워킹이 전신근육의 50~60%의 근육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노르딕 폴 워킹은 90%이상의 전신근육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노르딕 폴 워킹은 이러한 뛰어난 운동효율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단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노르딕 폴 워킹의 단점들로는 휴대성(potability), 실내 사용성(Indoor usability), 강도조절(Intensity control), 주행 중 손목충격(Wrist Shock), 빠른속도의 주행곤란(Fast Running), 포장도로주행 장애(Usability on Pavement), 하체운동량의 감소(Reduction of Leg exercise),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의 부재(Variety of exercise), 런닝머신에서의 사용불가(Usability on tredmill), 팔 앞쪽 근육 운동(Exercise effect of Biceps Brachii) 불가 등을 들 수 있다.
걷기에서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 빠른 걸음으로 걸으면서 팔을 직각으로 굽히되 앞뒤로 크게 흔들면서 걷는 걸음을 일명 파워 워킹이라 하는데, 이러한 파워워킹과 같이 팔을 직각으로 구부려 걷게 되는 운동 형식은 주관절(팔굼치 관절)이 펴지지 않으므로 노르딕 폴 워킹과 같은 상완의 이완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파워 워킹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조기구 중에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20-1982-0000736호 "전신 운동구"는 팔과 다리 등 몸 전체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모든 구성이 고정형으로 구성되고 스프링이 달려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신체의 전면방향으로만 장력을 발생시키게 구성되어 신체의 전후면에서 동시에 장력을 발생시키지 못하고, 의복 안에 착용이 불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능력이나 피로도에 따라 강도의 조절이 필요하지만 운동강도의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4898호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는 인체에 착용하여 고정하는 고정벨트와, 상기 고정벨트에 연결된 밴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운동이나 전신운동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보행자의 팔이 운동함에 있어서 상하근육에 장력이 인가되지 못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0636호 "전신운동기구"는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는 것만으로 전신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사용자가 핸들에 가하는 힘에 의해 발생된 장력이 신체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배분될 수 없어 운동효과가 떨어지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6428호 "파워 워킹 보조기"는 빠른 걸음을 하면서 앞뒤로 반복적으로 흔드는 팔에 저항을 주어 운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운동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였으나, 본체와 탄력밴드가 각각 별개로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력밴드의 길이와 장력조절을 위해서는 등 부분에 설치된 별도의 장치를 활용하여야 하므로 본체를 벗지 않고 착용한 상태에서는 운동 강도 조절이 불가능하며, 등에서의 좌우 탄력밴드의 연결구조가 편향성으로 좌우 구조가 분리되어 있어 일측의 밴드를 당겼을 때 반대측 밴드에 장력을 전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후 두 가닥의 밴드를 동시에 잡고 앞뒤로 당기게 되는 구조로 팔을 전후로 운동하는 도중에 팔에 일정한 장력을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편향된 구조로 이루어져 밴드를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구조물 전체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의 목적은 노르딕 폴 워킹과 같이 주관절을 펴주며 팔을 최대한 뒤쪽으로 신전시킴과 동시에 전후의 탄성스트링에 동량의 장력을 발생시키는 것과 달리 전면의 스트링에만 제한적으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KR 20-1982-0000736 (공고번호) 1982.04.23 KR 10-2009-0124898 (공개번호) 2009.12.03 KR 10-0660636 (등록번호) 2006.12.15 KR 10-1316428 (등록번호) 2013.10.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행되는 웨빙벨트와, 상기 웨빙벨트에 앞 뒤로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탈부착형 탄성 스트링과 상기 탄성 스트링을 당겨서 앞뒤 양측의 탄성 스트링에 동시 장력을 발생시키는 탈 부착형 핸들을 기본 구조로 하며, 팔을 앞으로 이동하여 굴곡(flexion) 시켰을 때 상완의 전면부 근육(상완 이두근)에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핸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을 갖는 웨이스트 스트링을 구비하여 탄성 스트링과 웨이스트 스트링이 핸들의 상하에서 각각 연결됨으로써, 보행에 따라 팔을 신전(extension) 할 때(뒤로 이동) 뿐 아니라 굴곡할 때(앞으로 이동)에도 상완의 근육에 스트링의 장력을 인가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한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스트링과 핸들 사이에서 팔의 전후 이동에 따른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마찰방지장치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마찰을 방지하고 탄성스트링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하게 하여 탄성스트링을 당겨서 앞뒤 양측 탄성스트링에 동시에 동량의 장력을 발생시켜 탄성스트링의 마모를 최소화한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 중 어깨관절이 움직일 때 팔의 전후운동과 상하운동에 의해 견관절 부위를 둘러싼 전후 근육에 장력을 인가하여 운동효과를 발생시켜 어깨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어깨부위의 질환을 예방하며 개선하기 위한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 중에 상체를 운동함에 있어, 어깨의 상하에서 연장되는 탄성 스트링에 결합된 핸들에 손을 넣어서 움직이므로 손에 미치는 힘이 어깨의 상하로 분산되므로 팔의 상하부 양쪽에 균형있는 힘이 전달되어 상완이두근과 삼각근, 상완삼두근에 동시에 작용하게 되고, 팔을 신체의 앞으로 뻗을 때와 신체의 뒤로 움직일 때 모두 장력 운동이 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수단을 탄성 스트링의 중간부위 즉,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핸들을 당겼을 때 신체 전면과 후면의 탄성 스트링에 가해지는 장력이 동일하게 배분되고, 핸들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고리에 인체후면(요부 또는 둔부)을 경유하는 별개의 탄성 스트링, 즉 웨이스트 스트링를 연결함으로써, 팔이 후하방에서 전상방으로 운동할 때 상완의 전면과 어깨전면의 근육에 장력을 발생시켜 운동효과를 높이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등에서 X자로 교차되는 웨빙벨트와, 상기 웨빙벨트에 결합되는 탄성을 갖는 탄성 스트링과, 상기 탄성 스트링에 결체되는 핸들과의 조합을 기본구조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핸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링을 포함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상기 탄성 스트링을 양쪽 어깨의 웨빙벨트에 결합하여 착용한 후 보행 중 핸들을 반복적으로 당겨 줌으로써, 다리의 운동과 더불어 지속적인 상체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스트링의 좌우 양측이 웨빙벨트로 연결되므로 우측의 핸들을 당겼을 때 좌측의 탄성 스트링에 장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팔을 앞뒤로 흔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양팔 모두에 균형잡힌 운동량을 부가하게 되고, 핸들을 아래로 당겨서 일정 장력을 형성한 후 전후로 운동하게 되므로 운동과정 중 일정이상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팔에 전달하여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효과를 가지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시 몸에 밀착할 수 있어 정장이나 일반 운동복 복장으로 착용할 수 있어 일을 하는 도중에 잠시의 시간으로 운동을 할 수 있고, 출퇴근이나 산책을 하면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을 다양한 방향으로 당겨 다양한 근육에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워킹, 조깅 등의 보행 운동 중 착용하여 자연스럽게 상체(상지 및 어깨 주변의 근육)의 운동을 가능케 하며, 상, 하체 근육의 균형있는 발달을 기대함으로써, 어깨부터 주관절을 지나 손목에 이르는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차되는 웨빙벨트(110)와; 상기 웨빙벨트(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고리(113) 및 제2연결고리(114)로 상기 웨빙벨트(110)에 결합되어 웨빙벨트(1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과;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미끄러지도록 원호형상을 갖고, 항시 탄성스트링(120)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시키는 마찰방지장치(150)와;
상기 마찰방지장치(15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이 그립되는 핸들(130);을 구비함으로서 보행중 팔을 앞에서 뒤로 이동(extension)할 때에 상기 핸들(130)을 당겨 탄성 스트링(120)을 신장시키고 상완 삼두근을 수축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에 결합되는 상기 핸들(130)의 타측과 양 끝단이 제3연결고리(132)에 탈부착 연결되어 허리 또는 둔부 부위를 감싸고 지나가는 탄성을 갖는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더 포함하여 보행 중 팔을 뒤에서 앞으로 이동(flexion)할 때에 상기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신장시켜 상완 이두근을 수축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핸들(130)와 상기 마찰방지장치(150) 사이에는 핸들(130)과 마찰방지장치(150)를 양쪽에서 체결하는 핸들결합체(131)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결합체(131)는 상기 마찰방지장치(150)의 양쪽에 끼워지는 탄성스트링(120)에 동량의 장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웨빙벨트(110)에는 길이조절과, 분리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11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 스트링(120)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스트링(120)을 감싸 탄성 스트링(120)이 끊어질 때 탄성 스트링(120)의 자체 탄성으로 끊어진 탄성 스트링(120)이 튀어올라 사용자에게 부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마찰방지장치(150)는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지며 상기 핸들(130)의 이동시에 탄성스트링(120)이 슬립 이동되는 스트링지지체(154)와, 상기 핸들결합체(131)와 결합되는 손잡이고정구(1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웨빙벨트(110)와 한쌍의 탄성스트링(120)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웨빙벨트(110), 탄성 스트링(120) 및 웨이스트 스트링(140)은 핸들(130)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두번째 폐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링지지체(154)는 내부가 패인 형상으로, 상기 스트링지지체(154)의 중간에 홀(152)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행되는 웨빙벨트와, 상기 웨빙벨트에 앞뒤로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탈부착 가능한 탄성을 갖는 탄성 스트링과, 상기 탄성 스트링에 결체되어 장력을 발생시키는 탈부착 가능한 핸들을 기본구조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완의 전면부 근육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핸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링으로 구성되어 탄성 스트링과 웨이스트 스트링이 핸들의 상하에서 각각 연결됨으로써, 보행에 따라 팔을 신전(extension) 시킬 때 뿐 아니라 굴곡(flexion) 시킬 때에도 견관절 주위의 근육에 장력을 발생시켜 운동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탄성스트링과 핸들 사이에서 팔의 전후 이동에 따른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마찰방지장치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마찰을 방지하고 탄성스트링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하게 하여 탄성스트링을 당겨서 앞뒤 양측 탄성스트링에 동시에 동량의 장력을 발생시켜 탄성스트링의 마소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보행 중 어깨관절이 움직일 때 팔의 전후운동과 상하운동에 의해 견관절 부위를 둘러싼 전후 근육에 장력을 인가하여 운동효과를 발생시켜 어깨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어깨부위의 질환을 예방하며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보행 중에 상체를 운동함에 있어, 어깨의 상하에서 연장된 탄성 스트링에 결합된 핸들에 손을 넣어서 움직이므로 탄성 스트링에 가해지는 장력이 어깨 전후로 분산되므로 어깨에 고정시키는 웨빙벨트에 가해지는 장력 또한 전후로 동량으로 배분됨으로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보행 운동 중 탄성 스트링의 지속적인 움직임에도 웨빙벨트가 어깨에 안정감 있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팔이 뒤쪽으로 향하는 신전(extension)운동 시 탄성 스트링을 아래로 당겨 주게 됨으로써, 상완의 뒤쪽 근육의 운동(상완삼두근의 수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팔이 후하방에서 전상방으로 이동하는 굴곡(flexion)시 웨이스트 스트링의 장력으로 인하여 상완 전면의 근육(상완 이두근)과 어깨 전면의 근육(삼각근 및 극상근 기점)까지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등에서 X자로 교차되는 웨빙벨트와, 상기 웨빙벨트에 결합되는 탄성 스트링과, 상기 탄성 스트링에 결체되는 탈부착 가능한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링를 포함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구조물을 어깨에 끼워 착용한 후 보행 중 걸음에 맞춰 자연스럽게 핸들을 반복적으로 당겨 줌으로써, 다리의 운동과 더불어 지속적인 상체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탄성 스트링의 좌우 양측이 웨빙벨트로 연결되어 등 부위에서 X자로 교행하게 됨으로 우측의 핸들을 당겼을 때 좌측의 탄성 스트링에 장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반복적인 팔의 신전과 굴곡운동에서 자연스럽게 양팔 모두에 동량의 균형 잡힌 운동량을 동시에 부가하게 되고, 핸들을 아래로 당겨서 일정 장력을 형성한 후 전후로 운동하게 되면 운동과정 중 일정이상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팔에 전달하는 지구력 증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시 몸에 밀착할 수 있어 정장이나 일반 운동복 복장으로 상시 착용할 수 있어 일을 하는 도중에 잠시의 시간으로 운동을 할 수 있고, 출퇴근이나 산책을 하면서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워킹, 조깅 등의 보행 운동 중 착용하여 자연스럽게 상체(상지 및 어깨 주변의 근육)의 운동을 가능케 하며, 상, 하체 근육의 균형있는 발달을 기대함으로써, 어깨부터 주관절과 손목에 이르는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가슴 전면에서 길이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지는 탄성 스트링을 덮개수단을 이용해 분리하여 탄성 스트링과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을 갖는 탄성 스트링이 마모되거나 외부 충격으로 끊어 질 때 발생하는 탄성 스트링의 자체 탄성으로 발생하는 탄성 스트링에 의한 충격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찰방지장치가 적용된 측면도이고,
도 7와 도8은 마찰방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9 (a)은 팔을 뒤로 후진(extension) 시킬 때 팔 뒤쪽 근육의 운동효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팔을 앞으로 굴곡(flexion) 시킬 때 팔 전면 근육의 운동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보행 중 다리의 움직임과 더불어 양팔의 운동을 자연스럽게 가능하게 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로서,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차되도록 구조물을 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11)에 결합되는 웨빙벨트(110)와,
사용자의 가슴과 등에서 상기 웨빙벨트(110)에 연결되는 탈부착형 제1연결고리(113)와 제2연결고리(114)에 각각 제1연결수단(121) 및 제2연결수단(122)으로 각각 어깨의 상부와 하부를 지나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지며 상기 웨빙벨트(1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과,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미끄러지도록 원호형상을 갖져 마찰을 방지하며 항시 탄성스트링(120)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시키며 탄성스트링(120)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마찰방지장치(150)와;
상기 마찰방지장치(15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130);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보행중 팔을 앞에서 뒤로 이동(extension)할 때에 상기 핸들(130)을 당겨 탄성 스트링(120)을 신장시키고 상완 삼두근을 수축시키며 주관절을 신전시킨다.
부가적으로 상완전면근육(상완 이두근) 운동을 위하여 양(한 쌍) 핸들(130)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결합체(13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3연결고리(132)에 웨이스트결합체(141)로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링(140)를 포함한다. 이때 웨이스트 스트링(140)은 탄성력을 갖는 긴 스트링으로 그 양 끝단에 웨이스트결합체(141)가 연결되어 핸들(130)과 결합된다. 상기 핸들결합체(131)와 웨이스트결합체(141)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도1 내지 7과 사용자가 가압하면 일측이 이동하여 삽입공간이 발생하고 힘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이동하여 체결된 고리가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핸들결합체(131)와 웨이스트결합체(141)는 이외에도 탈부착이 가능한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후술하는 제1연결수단(121) 및 제2연결수단(122)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 스트링(120)과 핸들(130)은 양 손으로 사용하므로 가슴을 중심으로 각각 1개씩 2개가 설치된다.
견관절(肩關節, shoulder joint)은 어깨관절로 빗장뼈(鎖骨, clavicle)와 어깨뼈(肩胛骨, scapula), 그리고 위팔뼈(上腕骨, humerus)의 세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와 관련된 근육(筋肉, muscle), 인대(靭帶, ligament), 힘줄(腱, tendon)로 이루어져 있다. 좁은 의미로서 어깨관절은 빗장뼈와 어깨뼈가 위팔뼈와 만나서 이루는 관절을 의미하나 넓은 의미로는 이 세 개의 뼈가 만나서 이루는 모든 관절을 의미한다. 이 견관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세안, 목욕 등의 일상생활과 함께 팔로 하는 모든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보행 중 팔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을 갖는 탄성 스트링(120)에 장력을 발생하게 되어 본 장력이 어깨주변의 근육에 전달되고 팔의 반복적인 신전과 굴곡운동에 따라 어깨주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여 근 유연성을 강화시키고 체액 순환을 증진시키며 어깨 관절의 운동성을 회복하여 어깨부위의 질환을 예방하여 통증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빙(webbing)벨트(110)는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자 형태로 교차되는 강도가 우수하고 강한 충격에도 늘어나지 않는 띠로 이루어지고, X자로 교차시켜 교차된 부분이 사용자의 등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탄성 스트링(12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양 어깨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웨빙벨트(110)는 사용자가 착용 후 상기 웨빙벨트(110)에 상하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탄성 스트링(120)에 결합되는 탈부착 가능한 좌우의 핸들(130)을 각각 잡아당겼을 때 팔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탄성 스트링(120)이 늘어나며 긴장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웨빙벨트(110)는 등 부분에서 X형태로 교차되도록 구조물을 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1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111)은 세 방향 또는 네 방향 등 복수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홈이 형성되어 웨빙벨트(110)가 교차되어 삽입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111)은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남성용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성용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남성용과 여성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세 방향에 형성될 경우 제1고정홈, 제2고정홈, 제3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실시예에 따라 네 방향에 형성될 경우 제1고정홈, 제2고정홈, 제3고정홈, 4고정홈(111a, 111b, 111c, 111d)으로 이루어진다.
남성용 고정수단(111)은 고정수단(111)의 상부측의 폭이 하부측보다 넓게 구비되어 어깨가 넓은 성인 남성을 위해 상기 웨빙벨트(110)가 결속되는 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여성용 고정수단(111)은 원형의 고정수단(111)에서 네 방향으로 제1고정홈, 제2고정홈, 제3고정홈, 제4고정홈(111a, 111b, 111c, 111d)이 동일한 형태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웨빙벨트(110)에는 웨빙벨트(110)의 길이조절과 탈부착이 가능한 암, 수 버클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112)이 장착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를 착용한 후 벗지 않고도 결합수단(112)을 이용해 길이를 조절하거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112)은 상기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를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앞 가슴 부위에서 양측 어깨에 배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에도 쉽게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112)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일측이 암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반대측이 수결합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암결합수단 및 수결합수단을 서로 결합시 상기 웨빙벨트(110)를 연결하고, 분리시 상기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웨빙벨트(110)는 상기 웨빙벨트(110)가 등에서 X자로 교차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111)이 장착 구비되어 상기 웨빙벨트(110)를 좌우로 분리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빙벨트(110)에는 양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고리(113)와 제2연결고리(114)에 각각 제1연결수단(121) 및 제2연결수단(122)이 장착되어 탄성 스트링(120)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 스트링(120)에는 스트링의 하부에 장착되어 운동에 따라 미끄러짐으로서 마찰을 방지하며 항시 스트링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하게하는 마찰방지장치(150)와 핸들결합체(131)를 이용해 핸들(130)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연결고리(113)와 제2연결고리(114)는 폐쇄된 고리로 이루어지고, 제1연결수단(121) 및 제2연결수단(122)은 열리고 닫히는 형태의 고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고리(113)와 제2연결고리(114)에 제1연결수단(121) 및 제2연결수단(122)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웨빙벨트(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부분에 웨빙벨트(110)와의 마찰을 줄이고 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유연성을 구비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어깨패드(115)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스트링(120)은 양단에 탈착 가능한 고리형태의 제1연결수단(121), 제2연결수단(122)이 각각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성 스트링(120)을 감싸는 덮개수단(123)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수단(123)은 도면과 같이 1개로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수도 있다.
상기 덮개수단(123)은 탄성 스트링(120)의 신전과 수축 시 인체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동시에 탄성 스트링(120)이 끊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탄성을 갖는 탄성 스트링(120)의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인체부위에 충격을 주어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덮개수단이 있을 경우 끊어진 탄성 스트링(120)은 일차적으로 덮개수단(123) 내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므로 인체에 가해지는 위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수단(123)은 내부가 중공인 관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탄성 스트링(120)이 자유롭게 왕복 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갖는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스트링(120)은 운동 강도에 따라 하나 혹은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네 개의 줄로 이루어질 경우 네 개의 줄에 걸리는 큰 고리(미도시)와 두 개의 줄에 걸리는 작은 고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스트링(120)은 웨빙벨트(110)와 양단이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어 웨빙벨트(110)와 좌우측(한 쌍) 탄성스트링(120)은 각각 폐루프를 형성하여 탄성 스트링(120)의 어느 한곳에서 힘이 발생하면 탄성 스트링(120)의 전체에서 장력이 발생되고, 탄성 스트링(120)의 중간 일측에서 장력이 발생하면 장력이 발생한 곳을 중심으로 장력이 분리되며 웨빙벨트(110)의 제1연결고리와 제2연결고리가 당겨져 긴장된다. 따라서, 팔을 흔들어 상부로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의하여 손과 결합된 핸들(130)이 이동하면 핸들(130)을 중심으로 핸들(130)과 결합된 핸들결합체(131)에서 힘을 받게 되어 탄성 스트링(120)이 어깨 전면와 어깨 후면에서 각각 신장된다. 한편, 탄성스트링(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핸들(130)의 운동에 따라 미끄러짐으로서 스트링과의 마찰을 방지하며 항시 스트링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하게 하는 마찰방지장치(150)는 탄성 스트링(120)과 핸들결합체(131)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핸들을 탄성스트링을 따라 최저점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핸들(130)에 의하여 탄성 스트링(120) 전후에 동량의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마찰방지장치(150)의 양쪽에 결합되는 탄성스트링(120)의 양쪽(전후)에 동량의 장력이 발생한다.
상기 핸들(130)은 탄성 스트링(120)에서 덮개수단(123)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고리형태의 핸들결합체(131)로 연결된다.
상기 핸들(130)은 상기 핸들결합체(131)를 탄성 스트링(120)의 중간부위 즉, 탄성스트링의 최하부에 장착되어 운동에 따라 탄성스트링이 슬립되도록 하여 마찰을 방지하며 항시 탄성스트링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하게 하는 마찰방지장치(150)와 결합되어 어깨 아래(겨드랑이) 부위에 연결함으로써 핸들(130)을 사용자가 당겼을 때 신체 전면과 후면에 연장형성되는 탄성 스트링(120)에 가해지는 장력이 동일하게 배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핸들(130)의 핸들결합체(131)가 탄성 스트링(120)의 중간부위인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에서 연결되어 상기 핸들(130)이 탄성 스트링(120)의 최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핸들(130)은 상부가 핸들결합체(131)로 탄성 스트링(120)과 연결되고, 하부에 구비되는 제3연결고리(132)에 웨이스트 스트링(140)이 웨이스트결합체(141)로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 양측이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사용자 신체에서 좌우 양측 핸들(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연결고리(132)에는 인체후면(요부 또는 둔부)을 경유하는, 탄성 스트링(120)과 별개의 탄성 스트링으로 구비되는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연결하여 팔이 후하방에서 전상방으로 운동할 때 상완의 전면과 어깨전면의 근육에 강한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즉, 핸들(130)도 탄성 스트링(120)과 웨이스트 스트링(140)의 양쪽에서 결합되어 두번째 폐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탄성 스트링(120)과 핸들(130)의 일측이 개방되지 않는 폐루프 형태를 취하므로 주관절을 중심으로 신전 굴곡을 반복(또는 전후로 이동)할 때에 팔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힘이 가해지게 되며, 보행시 팔의 이동을 유도한다.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팔을 뒤에서 앞으로 움직여 팔의 주관절을 굴곡(flexion)할 때는, 웨이스트 스트링(140)이 신장되면서 장력이 발생하여 상완 전면의 근육(상완 이두근 : Biceps contracts)과, 어깨 전면의 근육(삼각근 및 극상근)을 수축하게 되며,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을 앞에서 뒤로 신전(extension)할 때는, 상기 덮개수단(123)에 삽입된 탄성 스트링(120)이 신장되면서 장력이 발생하여 상완의 뒤쪽 근육(상완삼두근 : Triceps contracts)이 수축하게 된다. 이러한 굴곡과 이완은 발의 이동에 따라 팔의 움직임으로 팔의 움직임을 유도하면서 운동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상기 웨이스트 스트링(140)은 양측에 웨이스트결합체(141)가 설치된 탄력을 가지는 탄성 스트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리 또는 둔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3연결고리(132)는 폐쇄된 삼각형의 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스트결합체(141)는 열리고 닫히는 형태의 플라스틱 고리로 이루어져 상기 웨이스트결합체(141)를 이용하여 제3연결고리(132)에 착탈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웨이스트 스트링(140)은 상기 탄력 스트링(120)과 마찬가지로 덮개수단으로 덮여져 마찰 방지기능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웨이스트 스트링(140)은 정장바지에서 벨트가 삽입되는 고리에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핸들(130)은 상기 탄성 스트링(120)과 웨이스트 스트링(14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뒤에서 앞으로, 앞에서 뒤로,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잡아당겼을 때 모두 팔에서 강한 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운동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보행과 동시에 이동하는 팔의 앞 및 뒤로의 이동시에 모두 운동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핸들(130)을 위에서 아래로 내릴 때는 상완 뒤쪽의 삼두근에 강한 자극을 받게 되고, 아래에서 위로 올릴 때는 상완의 전면인 이두근과 삼각근까지 강한 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130)은 사용자가 핸들후면(130b) 부위를 잡았을 때 손등을 감쌀 수 있도록 핸들 전면(130a)에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패드로 구비되고, 그 속으로 손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핸들(130)의 이와 같은 구조는 장시간 보행 운동으로 팔에 피로감이 올 경우 핸들(130)을 힘을 주어 잡지 않고 손을 걸치고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함으로서 피로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상기 웨빙벨트(110)와 탄성 스트링(120)이 연결된 형태에서 양쪽 어깨에 끼워서 착용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한 후, 사용자의 가슴 전면, 어깨와 가슴 벽에 연결된 부분의 액와 부위로 내려오는 상기 탄성 스트링(12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핸들(130)을 오른손과 왼손으로 잡은 다음 보행하며 오른쪽의 핸들(130)과 왼쪽의 핸들(130)을 번갈아가며 잡아당기면서 상체운동을 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액와 부위는 어깨와 가슴 벽에 연결된 부분의 요함처로, 겨드랑이, 액지, 격지와라고도 하며 지방이 많고 피하에 큰 한선이 있으며 중요한 신경과 혈관이 통과하고 임파절군이 있는 부위로 오십견 등의 질환에서 유착(adhesion)이 잘일어나며 운동이 어려운 부위이나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액와 부위의 림프 순환의 증대와 주변조직의 유연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운동에 따른 핸들(130)의 위치 변경으로 발생하는 핸들결합체(131)와 탄성스트링(120)의 지속적인 마찰을 줄임과 동시에 핸들(130)을 항시 스트링의 최저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체 전후의 스트링에 동량의 장력을 발생하기 하기 위하여 핸들결합체(131)와 탄성스트링(120) 사이에 마찰방지장치(15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방지장치(150)는 탄성스트링(120)의 마찰 마모를 줄여주도록 넓은 선접촉이 가능하도록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스트링지지체(153)와 상기 스트링지지체(153)와 결합되며 핸들결합체(131)가 끼움결합되는 손잡이고정구(1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링지지체(153)는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져 벗어나지 못하도록 내측으로 패인 스트링이동부(154)와, 상기 손잡이고정구(151)와 결합되는 주변에 탄성스트링(120)이 벗겨지지 않도록 외측으로 감싼 스트링고정부(154)와, 상기 스트링고정부(154)의 끝 지점에서 탄성스트링(120)이 노출되는 단턱(157)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트링지지체(153)의 중앙부는 중공의 중앙홀(156)로 되어, 탄성스트링(120)이 스트링이동부(154) 내에서 넓은 선접촉을 하면서 슬립 이동하게 된다. 한편, 스트링고정부(154)는 외측에 긴 홀(152)이 형성되어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진다..
상기 손잡이고정구(151)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형 또는 타원형 등 원호형상으로 상기 핸들결합체(131)와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고정구(151)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홀(152)를 중심으로 스트링지지체(153)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거나,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링지지체(153)의양쪽으로 하나씩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찰방지장치(150)는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지며 핸들(130)이 앞뒤로 이동할때에 탄성스트링(120)이 원호 형상의 스트링고정부(154)에서 슬립 이동되며 넓은 선접촉을 한다. 따라서 탄성스트링(120)의 한곳과 지속적인 마찰을 하는 것이 아니어서 탄성스트링(120)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끄럼 기능을 갖는 마찰방지장치(150)는 운동과정 중 스트링을 슬립시킴으로서 항시 스트링의 최저점에 핸들(130)을 위치하게 함으로써 신체를 중심으로 전후 스트링에 동량의 장력이 배분되도록 한다.
또한, 마찰방지장치(150)는 운동 중 탄성스트링(120)과 핸들결합체(131)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탄성 스트링의 제한된 탄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한다. 예를들어, 인체전면의 탄성스트링을 1 cm 당겼을 때 핸들(130)에 100 g의 장력이 발생하면, 전후의 스트링을 동시에 1cm를 당겼을 때에는 200g의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두 배의 운동량이 발생한다.
탄성스트링(120)의 길이에 따른 제한된 탄성도를 고려할 때 전후의 스트링에 동시에 동량의 장력이 발생하는 것은 운동량의 측면에서 월등히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 또는 이동이 가능하며, 언제든지 조금의 시간이 있을 경우에도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앉은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운동이 가능하다. 특히 자리에 앉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는 왼손으로 오른쪽 핸들(130)에 손을 넣고 운동할 수 있고, 오른손으로 오른쪽 핸들(130)에 손을 넣고 운동할 수도 있어 운동의 방향이 다양해져 착용자의 환경에 따라 적합한 운동으로 변화하면서 다양한 상체 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차되는 웨빙벨트(110)와, 상기 웨빙벨트(110)에 앞뒤로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탄성 스트링(120)과, 상기 탄성 스트링(120)에 결체되어 장력을 발생시키는 핸들(130)을 기본구조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완의 후부 근육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핸들(130)에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링(140)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 스트링(120)과 웨이스트 스트링(140)이 핸들(130)의 상하 두 곳에 연결됨으로써, 보행 중 어깨관절이 움직일 때 팔의 전후운동과 상하운동에 의해 견관절 부위를 둘러싼 전후 근육에 장력을 인가하여 운동효과를 발생시켜 어깨근육의 유연성을 강화하고, 어깨부위의 질환을 예방하며,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어깨 앞 탄성 스트링(120)을 아래로 당겨 줌으로써, 상완의 뒤쪽 근육(상완삼두근)의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팔을 뻗어 팔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할 때 사용되는 상완 전면의 근육(상완 이두근)과 어깨 전면의 근육(삼각근 및 극상근 기점)까지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탄성 스트링(120)의 중간부위 즉, 겨드랑이 부위에 연결하여 핸들(130)을 당겼을 때 신체 전면과 후면의 탄성 스트링(120)에 가해지는 장력이 동일하게 배분되고, 핸들(130)의 하부에 구비된 제3연결고리(132)에 인체후면(후배부 또는 둔부)을 경유하는 별개의 탄성 스트링, 즉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연결함으로써 팔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방에서 상방으로 운동할 때 상완의 전면과 어깨전면의 근육에 강약 조절이 가능한 장력을 발생시켜 운동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등에서 X자로 교차되는 웨빙벨트(110)와, 상기 웨빙벨트(110)에 결합되는 탄성 스트링(120)과, 상기 탄성 스트링(120)에 결체되는 핸들(130) 및 상기 핸들(130)에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포함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상기 탄성 스트링(120)을 어깨에 끼워 착용한 후 보행 중 핸들(130)을 반복적으로 당겨 줌으로써, 다리의 운동과 더불어 지속적인 상체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탄성 스트링(120)의 좌우 양측이 웨빙벨트(110)로 연결되므로 우측의 핸들(130)을 당겼을 때 좌측의 탄성 스트링(120)에 장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팔을 앞뒤로 흔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양팔 모두에 동량의 균형잡힌 운동량을 동시에 부가하게 되고, 핸들(130)을 아래로 당겨서 일정 장력을 형성한 후 전후로 운동하게 되므로 운동과정 중 일정이상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팔에 전달하여 지구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시 몸에 밀착할 수 있어 정장이나 일반 운동복 복장으로 착용할 수 있어 일을 하는 도중에 잠시의 시간으로 운동을 할 수 있고, 출퇴근이나 산책을 하면서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양측의 핸들(13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 보다 많은 부위의 근육에 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워킹, 조깅 등의 보행 운동 중 착용하여 자연스럽게 상체(상지 및 어깨 주변의 근육)의 운동을 가능케 하며, 상, 하체 근육의 균형있는 발달을 기대함으로써, 어깨부터 주관절을 포함하여 손목에 이르는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가슴 전면에서 길이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지는 탄성 스트링(120)을 덮개수단(123)을 이용해 분리하여 인체와의 마찰을 방지하고 탄성 스트링(120)의 절단에 따른 충격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100)는 웨빙벨트(110)에 체결되는 탄성 스트링(120)의 굵기에 변화를 주거나 탄성 스트링(120)의 숫자를 조정함으로서 운동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100 :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110 : 웨빙벨트 111 : 고정수단
112 : 결합수단 113 : 제1연결고리
114 : 제2연결고리 115 : 어깨패드
120 : 탄성 스트링 121 : 제1연결수단
122 : 제2연결수단 123 : 덮개수단
130 : 핸들 130a : 핸들 전면
130b : 핸들 후면 131 : 핸들결합체
132 : 제3연결고리
140 : 웨이스트 스트링 141 : 웨이스트결합체
150 : 마찰방지장치 151 : 손잡이고정구
152: 홀 153 : 스트링이동부
154 : 스트링고정부 157 : 단턱

Claims (8)

  1. 사용자의 앞 가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부위를 지나 등에서 X형태로 교차되는 웨빙벨트(110)와;
    상기 웨빙벨트(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고리(113) 및 제2연결고리(114)로 상기 웨빙벨트(110)에 결합되어 웨빙벨트(110)와 폐루프를 형성하는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과;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미끄러지도록 원호형상을 갖고, 항시 탄성스트링(120)의 최저점에 핸들을 위치시키는 마찰방지장치(150)와;
    상기 마찰방지장치(15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이 그립되는 핸들(130);을 구비함으로서 보행중 팔을 앞에서 뒤로 이동(extension)할 때에 상기 핸들(130)을 당겨 탄성 스트링(120)을 신장시키고 상완 삼두근을 수축시키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트링(120)에 결합되는 상기 핸들(130)의 타측과 양 끝단이 제3연결고리(132)에 탈부착 연결되어 허리 또는 둔부 부위를 감싸고 지나가는 탄성을 갖는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더 포함하여
    보행 중 팔을 뒤에서 앞으로 이동(flexion)할 때에 상기 웨이스트 스트링(140)을 신장시켜 상완 이두근을 수축시키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30)와 상기 마찰방지장치(150) 사이에는
    핸들(130)과 마찰방지장치(150)를 양쪽에서 체결하는 핸들결합체(131)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결합체(131)는 상기 마찰방지장치(150)의 양쪽에 끼워지는 탄성스트링(120)에 동량의 장력을 발생시키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벨트(110)에는 길이조절과, 분리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112)이 구비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링(120)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스트링(120)을 감싸 탄성 스트링(120)이 끊어질 때 탄성 스트링(120)의 자체 탄성으로 끊어진 탄성 스트링(120)이 튀어올라 사용자에게 부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수단이 구비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장치(150)는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지며 상기 핸들(130)의 이동시에 탄성스트링(120)이 슬립 이동되는 스트링지지체(154)와,
    상기 핸들결합체(131)와 결합되는 손잡이고정구(151)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벨트(110)와 한쌍의 탄성스트링(120)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웨빙벨트(110), 탄성 스트링(120) 및 웨이스트 스트링(140)은 핸들(130)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두번째 폐루프를 형성하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지지체(154)는 내부가 패인 형상으로,
    상기 스트링지지체(154)의 중간에 홀(152)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트링(120)이 끼워지는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KR1020190068941A 2019-03-20 2019-06-11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KR102180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1980 2019-03-20
KR1020190031980 2019-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580A true KR20200112580A (ko) 2020-10-05
KR102180563B1 KR102180563B1 (ko) 2020-11-18

Family

ID=6850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941A KR102180563B1 (ko) 2019-03-20 2019-06-11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38386A1 (ko)
JP (1) JP6742612B1 (ko)
KR (1) KR102180563B1 (ko)
CN (1) CN111714822A (ko)
RU (1) RU270436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5333A1 (en) * 2019-06-12 2022-09-29 Jang Ho PARK Wearable during-walking arm exercise device
US11759689B2 (en) * 2021-12-08 2023-09-19 Shawn Jordan Running form train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736Y1 (ko) 1981-05-09 1982-04-23 김옥천 전신 운동구
KR100660636B1 (ko) 2004-10-05 2006-12-27 윤상근 전신운동기구
JP2009279365A (ja) * 2008-05-23 2009-12-03 Kiyoharu Himeno ウォーキングストラップ
KR20090124898A (ko) 2008-05-29 2009-12-03 이종목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
KR20120117619A (ko) * 2011-04-14 2012-10-24 김규태 파워 워킹 보조기
US20130324366A1 (en) * 2012-06-05 2013-12-05 Gary Pride Wearable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WO2018013933A1 (en) * 2016-07-14 2018-01-18 Cindy Angulo Body alignment and corr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2013A (en) * 1921-05-23 1922-10-17 Blake Frederick Herbert Exercising device
US4911439A (en) * 1989-02-07 1990-03-27 Kuhl Larry L Body supported resilient exercise apparatus
CN2128872Y (zh) * 1992-07-09 1993-03-31 任富忠 多功能体形矫正器
US5518481A (en) * 1995-02-06 1996-05-21 Darkwah; Banchie A. Body supported exercise device
US5588941A (en) * 1995-05-22 1996-12-31 Scott; Gary L. Spine theraphy and exercise device
US5683336A (en) * 1996-05-09 1997-11-04 Pape; Leslie Exercise device
JP2902368B2 (ja) * 1996-11-25 1999-06-07 優 駒崎 姿勢矯正具
US5916070A (en) * 1997-10-31 1999-06-29 Donohue; James P. Exercise device
US6287242B1 (en) * 1999-10-29 2001-09-11 Alex R. Fray Athletic trainer
US7147590B2 (en) * 2003-10-31 2006-12-12 Toven John V Runner's training aid
US20050282689A1 (en) * 2004-06-04 2005-12-22 Weinstein Alan S Exerciser vest
US7998041B1 (en) * 2005-06-17 2011-08-16 Rob Lee Johnson Rubber band musculoskeletal exercise device
US20090312163A1 (en) * 2008-06-16 2009-12-17 Hern James L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KR20110008898U (ko) * 2010-03-12 2011-09-20 박정근 걷기운동용 보조기구
US8715145B1 (en) * 2010-11-12 2014-05-06 Absrunner, LLC Exercise apparatus for activating the muscles
GB2490122A (en) * 2011-04-18 2012-10-24 Lee Morton Triceps press exerciser
US9061173B1 (en) * 2011-11-14 2015-06-23 David S. Felkel Basketball player training device
US20150306454A1 (en) * 2014-04-28 2015-10-29 James Robert Winbush Method of increasing lung capacity for enhanced oxygen exchange using upper appendage during positioning
US10207139B2 (en) * 2015-10-16 2019-02-19 Giacomo Brancato Fitness training apparatus
JP2017192719A (ja) * 2016-04-14 2017-10-26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動作補助作業着
CN206837360U (zh) * 2017-06-08 2018-01-05 山东康纳斯体育器材有限公司 晃腿摆臂甩腰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736Y1 (ko) 1981-05-09 1982-04-23 김옥천 전신 운동구
KR100660636B1 (ko) 2004-10-05 2006-12-27 윤상근 전신운동기구
JP2009279365A (ja) * 2008-05-23 2009-12-03 Kiyoharu Himeno ウォーキングストラップ
KR20090124898A (ko) 2008-05-29 2009-12-03 이종목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
KR20120117619A (ko) * 2011-04-14 2012-10-24 김규태 파워 워킹 보조기
KR101316428B1 (ko) 2011-04-14 2013-10-08 김규태 파워 워킹 보조기
US20130324366A1 (en) * 2012-06-05 2013-12-05 Gary Pride Wearable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WO2018013933A1 (en) * 2016-07-14 2018-01-18 Cindy Angulo Body alignment and corr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14822A (zh) 2020-09-29
JP6742612B1 (ja) 2020-08-19
RU2704366C1 (ru) 2019-10-28
KR102180563B1 (ko) 2020-11-18
US20200338386A1 (en) 2020-10-29
JP2020151433A (ja)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245B2 (en) Antigravity whole body exercise garments
US4728103A (en) Leg and ankle exercising device
ES2955612T3 (es) Aparato de masaje corporal
CA2775762C (en) Integrator for global elastic motion mode of human body
US7896784B2 (en) Stride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50196789A1 (en) Hamstrong prosthetic hamstring/ post chain brace
KR102180563B1 (ko)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US20080076645A1 (en) Wearable elastic upper body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US20080293550A1 (en) Stride stretcher
US20090239723A1 (en) Foot Harness to Aid Athletic Stretching Exercises
KR200395879Y1 (ko)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WO2004035146A1 (en) Aquatic exercise device
WO2020251080A1 (ko) 착용 가능한 보행 중 팔 운동기구
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JP2009279365A (ja) ウォーキングストラップ
JPH10146375A (ja) ウオーキングとジョギングや筋力トレーニングのときに5ツの健康玉リングを身体につけ全身の筋肉を刺激し健康ツボを刺激しながら、疲れを取り除き、疲れをあとに残さず全身の筋肉を鍛える5ツの健康玉リングの使用方法とその装置と製造方法
US10507350B1 (en) Strap made of soft non-stretchable material to stretch muscles, tendons, joints, capsules, ligaments of posterior and anterior lower extremities
KR101414320B1 (ko)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KR200319441Y1 (ko) 벨트착탈식 다기능 운동밴드
CA2457827A1 (en) The perfectore - a rubber or elastic body harness
US11980584B2 (en)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US20240065921A1 (en)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CZ36867U1 (cs) Zdravotní a rehabilitační cvičební pomůcka
KR200322199Y1 (ko) 스트레칭 운동 기구
UA154312U (uk) Пристрій для забезпечення можливості спортивних тренувань для людей, які не мають однієї чи двох верхніх кінців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