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64A -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64A
KR20200112364A KR1020190032711A KR20190032711A KR20200112364A KR 20200112364 A KR20200112364 A KR 20200112364A KR 1020190032711 A KR1020190032711 A KR 1020190032711A KR 20190032711 A KR20190032711 A KR 20190032711A KR 20200112364 A KR20200112364 A KR 2020011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f
strain
bassiana
beauveria bassiana
tobacco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105B1 (ko
Inventor
김재수
백세현
김종철
김시현
이미롱
박소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105B1/ko
Priority to PCT/KR2020/003749 priority patent/WO2020197163A1/ko
Publication of KR2020011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12R1/64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Composition for controlling bemisia tabaci using Beauveria bassiana JEF-462 or Beauveria bassiana JEF-507, and method for preventing bemisia tabaci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 생산에서 흡즙해충은 다양한 농작물에 흡즙에 의해 잎 말림, 엽록소 붕괴, 고사 등의 다양한 피해를 야기하며, 2차적으로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심각한 문제해충이다. 이러한 흡즙 해충에는 진딧물, 총채벌레, 가루이, 응애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특히 최근 문제가 많이 되고 있는 종으로는 담배가루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담배가루이는 1889년 그리스에서 처음 발견되어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계통으로 나뉘는데 그 중 B 계통 과 Q 계통이 문제시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 계통의 경우 1998년 충북 진천의 장미재배 농가에서 발견되었으며 Q 계통의 경우 2005년 진주에서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담배가루이는 흡즙에 의한 피해를 일으키며, 성충은 다양한 바이러스를 매개하는데 그 중 특히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가 문제시 되고 있다. 흡즙에 의한 피해로는 작물의 생육 억제, 수량감소 잎의 퇴색위축 및 낙엽 등이 있으며, 가지와 토마토 등에서는 과실의 착색이 불규칙하게 된다. 유충은 감로를 분비하여 그을음 병을 발생시키며, 이는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 한다.
현재 담가루이의 방제는 황색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예찰과 화학적 약제 살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화학악제는 빠르고 높은 살충성을 나타내지만 해충의 항성 발달과 비 표적 생물에 대한 저항성 발달 등의 문제로 적용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미생물제제 및 식물 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화학 살충제의 연용과 남용에 따른 저항성 해충의 출현 및 환경오염 등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화학 살충제의 사용이 점차 제한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화학 살충제를 대체할 수 있고 환경적으로 안전한 생물학적 방제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애꽃노린재류(Orius sp.), 포식성 응애 등의 천적을 이용 하거나, 해충을 감염시키는 곤충병원성 진균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약 750여 종 이상의 곤충병원성 곰팡이가 알려졌으며, 그 중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 노무라에 릴레이이(Nomuraea rileyi) 등이 대표적으로 미생물 살충제로 개발되어 여러 해충 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보베리아 바시아나 균주와 관련하여, 국내 특허 공개 제 10-2016-0000537호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 균주 및 그 파밤나방 유충에 대한 방제활성을 개시하며, 국내 특허 공개 제 10-2016-0139521호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SD15 균주 및 그 점박이응애 또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방제활성, 국내 특허 공개 제10-2016-0084968호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007 균주 및 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방제활성, 국내 특허 공개 제10-2011-0011239 호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MaW1 균주 및 그의 솔수염하늘소 또는 털두꺼비하늘소 방제활성, 국내 특허 공개 제10-2011-0094749호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MsW1 균주 및 북방수염하늘소 방제활성, 국내 특허 공개 제10-2015-0113255호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ERL 836 균주 및 애멸구 또는 벼물바구미 등의 수도해충에 대한 방제활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 살충제와 동등한 정도로 강력하게 담배가루이를 방제할 수 있고, 환경 친화적이고 취급과 이용이 용이한 새로운 고활성 미생물 살충제가 여전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합성 살충제의 저항성 문제와 환경 잔류문제를 획기적으로 극복하면서도,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가 있는 미생물 기반 신규 곤충병원성 진균의 발굴 및 효과적인 담배가루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균주의 뛰어난 담배가루이의 살충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보베리아 바사니아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의 뛰어난 살충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을 해충, 이의 서식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여 담배가루이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담배가루이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총채벌레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제형, 분말제형 및 입상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를 기장, 백미, 밀기울, 조, 수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체 배양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술한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을 해충, 이의 서식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여 담배가루이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를 기장을 포함하는 고체배지에 배양하여 포자를 만들고, 상기 포자 현탁액을 담배가루이 유충이 붙어 있는 토마토 잎에 침지하여 25℃ 조건에서 3일부터 5일간 생충수와 사충수를 확인한 결과, 무처리군에서는 24%의 사충률이 확인된 반면에 본원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26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는 각각 100%의 사충률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다른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균주 보다 높은 사충률을 보였다. 본원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는 담배가루이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것(도 1a) 및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균사와 포자의 생장 형태 (도 1b)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의 ITS (Internal Transribed Spacer)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존에 보고된 균주들과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의 유연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Italian millet을 이용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의 포자 생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의 침지처리에 의한 담배가루이의 사충률(단반복) (도 5a)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에 의해 mycosis가 형성된 담배가루이 (도 5b)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의 침지처리에 의한 담배가루이의 사충률 (3 반복) (도 6a)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에 의해 mycosis가 형성된 담배가루이 (도 6b)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합성 살충제의 저항성 문제와 환경 잔류 문제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기존 식물 추출물의 기반의 살충성분이 총채벌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만 방제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개선하는 미생물 기반 신규 살충성 진균의 발굴 및 효과적인 담배가루이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뛰어난 살충력을 제공하여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가지는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균주 분리용 토양 샘플을 수집하기 위하여 표층 5~10 cm를 채집 하였다. 채집된 토양 샘플을 paper cup에 1/4정도 채웠다 (JEF-462:강원 정선군 민둥산 ,JEF-507:전남 장성군 팔암산). 갈색거저리 유충 (3-4 마리)을 넣고, 고습 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해 매일 1 ml의 증류수를 공급 하였다. 토양에 처리된 갈색거저리 유충에 5-10일간 수분을 공급하여 감염이 유도 되게 하였다. mycosis된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균주가 분리 되었다. 균주를 1/4 Sabouraud Dextrose Agar (1/4SDA; Difco, 미국)에 배양 (25±2℃, 암조건)하여 분리 하였다. 2-3번의 분리를 통하여 단일 콜로니가 획득 되었다. 획득된 단일 콜로니를 이용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한 병원성을 재 검정 하였다. 재 검정되어 병원성이 확인된 균주는 ITS primer (ITS1F: 5'-TCCGTAGGTGAACCTGCGG-3'/ ITS4R: 5'-TCCTCCGCTTATTGATATGC-3')를 이용하여 유전자가 증폭되었다. 증폭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BLAST 하였다. 분리 동정된 곤충병원성 진균은 장기보관을 위해 15-20% glycerol stock 하여 -70℃에 보관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서 얻은 균주를 시퀀싱하여 최종적으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JEF-507 균주로 동정하였고 (도 2),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9년 02월 12일에 기탁 번호 KFCC11821P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KFCC11822P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로 기탁되어 보관 중이다. 기존에 보고된 10종의 Beauveria 속 균주, 2종 Isaria 속 균주, 2종 Metarhizium 속 균주와 1종 Pochonia 속 균주의 ITS sequence를 이용하여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와 유연관계를 비교하였고(도 3),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및 JEF-507 (KFCC11822P) 균주가 기존의 균주와 유전적인 차이가 있는 신규한 isolate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현탁액을 곡물배지에 접종하여 고체배양을 통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기장(millet), 쌀(rice), 조(Italian millet), 보리, 콩, 수수, 조, 쌀 및 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로 이루어진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 중 기장(millet)배지에 접종하여 고체 배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도 4).
본 발명의 상기 총채벌레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체배양은상기 균주의 현탁액을 배지에 접종한 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5일 내지 20일 동안 배양한 후, 실온 조건에서 1 내지 30일 동안 건조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조건에서 7일간 배양 후, 실온 조건에서 1일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및/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의 포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포자가 숙주곤충에 부착한 후 발아하여 진균증 등을 일으켜 살충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에 직접적으로 접촉한 담배가루이 외에 조성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담배가루이라도 포자의 전달로 인해 방제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 분말 또는 입상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제형은 가루형태를 의미하며, 상기 입상제형은 고체 배양체를 증량제를 이용하여 중량 대비 1~100 배로 희석한 낟알이나 알갱이 형태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는 오이총채벌레 성충에 진균증(mycosis)을 일으켜 담배가루이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술한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을 해충, 이의 서식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여 담배가루이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침지 처리, 접촉 처리, 분무 처리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지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현탁액은 담배가루이 방제용 고체 배양체 내지 조성물인 배양된 균주의 포자를 수확하여 세포계산기(hemocytometer)로 계수한 후,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처리 농도에 맞춰 희석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체배양 완료 후 포자를 세포계산기(hemocytometer)로 계수하였을 때, 포자수는 1x101 포자(conidia)/g 내지 1x1010 포자(conidia)/g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x103 포자(conidia)/g 내지 1x107포자(conidia)/g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7 포자(conidi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방법에 있어서, 담배가루이에 침지처리 하는 것은 담배가루이에 100마리당 0.1 내지 10 ㎖의 현탁액을 뿌리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1㎖의 현탁액으로 침지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량을 초과하여 현탁액을 처리하는 경우 처리량 대비 방제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상기 용량보다 미만으로 현탁액을 처리하는 경우 높은 방제 활성을 보기 어렵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여 담배가루이 유충에 침지 처리하는 경우 높은 살충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 및 도 6).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JEF-507 (KFCC11822P) 균주는 다른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균주보다 담배가루이의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도 5 및 도 6).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1. 균주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토양 샘플에서 곤충병원성 진균을 분리하였다. 균주 분리용 토양 샘플을 수집하기 위하여 표층 5~10 cm를 채집 하였다. 채집된 토양 샘플을 paper cup에 1/4정도 채웠다 (JEF-462:강원 정선군 민둥산 ,JEF-507:전남 장성군 팔암산). 갈색거저리 유충 (3-4 마리)을 넣고, 고습 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해 매일 1 ml의 증류수를 공급 하였다. 토양에 처리된 갈색거저리 유충에 5-10일간 수분을 공급하여 감염이 유도 되게 하였다. mycosis된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균주가 분리 되었다. 균주를 1/4 Sabouraud Dextrose Agar (1/4SDA; Difco, 미국)에 배양 (25±2℃, 암조건)하여 분리 하였다. 2-3번의 분리를 통하여 단일 콜로니가 획득 되었다. 획득된 단일 콜로니를 이용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한 병원성을 재 검정 하였다. 재 검정되어 병원성이 확인된 균주는 ITS primer (ITS1F: 5'-TCCGTAGGTGAACCTGCGG-3'/ ITS4R: 5'-TCCTCCGCTTATTGATATGC-3')를 이용하여 유전자가 증폭되었다. 증폭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BLAST 하였다. 분리 동정된 곤충병원성 진균은 장기보관을 위해 15-20% 글리세롤에 저장하여 -70℃에 보관 하였다.
1-2. 분리된 균주의 생육 및 형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이 배양된 agar block을 Sabraud Dextrose Agar (SDA)에 옮겨 7일간 배양(25℃, dark)한 후 육안관찰 및 광학현미경 (400 배)에서 관찰하였다 (도 1). 보베리아 (Beauveria)속 균주의 전형적인 특징인 백색의 균사, 회백색의 포자 및 포자 형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균주의 DNA 시퀀싱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를 동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PCR을 진행하였다. 94℃에서 5분, 94℃ 60초, 62℃ 30초, 72℃ 30초를 30회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72℃에서 3분간 후처리(post maturation) 시켰다. 서열은 하기 표 1의 ITS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진행 되었다. PCR 산물은 0.8% agarose gel 및 Eco dye를 사용하여 140 V로 25분간 전기 영동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산물을 시퀀싱한 결과 B. bassiana로 동정되었다 (도 2).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를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로 각각 균주로 명명하였다.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균주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균주의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서열은 서열번호 1번 및 서열번호 2로 각각 기재하였다. 더불어 기존에 알려진 Beauveria 속 균주들과 유연관계를 확인하고자,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http://www.ncbi.nlm.nih.gov/)에 보고되어 있는 10종의 Beauveria 속 균주, 2종 Isaria 속 균주, 2종 Metarhizium 속 균주와 1종 Pochonia 속 균주의 ITS sequence를 이용하여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와 유연관계를 비교하였다 (도 3). 그 결과 대부분의 B. bassiana 균주들의 유연관계가 비교적 높은 것이 확인되었고, Isaria, Metarhizium와 Pochonia 균주의 유연관계가 비교적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프라이머 방향 서열 서열목록 번호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정방향 5' -TCC GTA GGT GAA CCT GCG G-3' 1
역방향 5` -TCC TCC GCT TAT TGA TAT GC-3` 2
실시예 3. 기장 (Millet)을 이용한 고체배양조건에서의 포자 생산
배양용 polyvinyl bag에 기장(millet)을 200 g씩 넣은 후, 50% citric acid 0.16 ㎖을 추가로 처리하였다. Microwave를 5분간 처리하여 수분이 충분히 millet에 흡수되도록 하였다. polyvinyl bag의 입구 부분은 원활한 산소공급을 위해 종이컵과 멸균 거즈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Millet이 담긴 polyvinyl bag은 121℃ 조건에서 15분 간 멸균하였다. 상온에서 냉각 후 B. bassiana JEF-462 및 JEF-507 균주현탁액 (1*107 conidia/㎖)을 1 ㎖ 씩 polyvinyl bag에 접종하였다. 25℃ 조건에서 7일간 배양 후, 실온 조건에서 1일간 건조 하여 B. bassiana JEF-462 및 507 포자를 최종 생산하였다 (도 4).
실시예 4.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및 JEF- 507 균주의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제 효과 (침지처리-단반복)
기장 (Millet)에 배양된 B. bassiana JEF-462 또는 JEF- 507을 이용하여 포자 현탁액 (1x107 conidia/ml) 조제한 후 담배가루이 유충이 붙어있는 토마토 잎에 침지처리 하였다. 상기 실험은 25℃를 유지하며 수행하였으며, 처리 후 3일 부터 5일까지 생충수와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균주 처리 후 3일차부터 JEF-462 및 JEF-507 균주 처리구에서 사충이 확인되었으며, 균주 처리 5일차에 Negative Control 24%, JEF-462 100%, JEF-507 100%의 사충률을 확인하였으며, JEF-462 와 JEF-507 균주가 다른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006, -105, -133, -201, -232, -479) 균주보다 높은 치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a). 또한 처리 5일 후, 각각의 균주 처리구의 담배가루이 유충에서 mycosis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5b).
실시예 5.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및 JEF- 507 균주의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제 효과 (침지처리-3반복)
기장 (Millet)에 배양된 B. bassiana JEF-462 또는 JEF- 507을 이용하여 포자 현탁액 (1x107 conidia/ml) 조제한 후 담배가루이 유충이 붙어있는 토마토 잎에 침지처리 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Pyriproxyfen 10% 약제를 2,0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은 25℃를 유지하며 수행하였으며, 처리 후 3일 부터 5일까지 생충수와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균주 처리 후 3일차부터 B. bassiana JEF-462, B. bassiana JEF-507 균주 처리구에서 사충을 확인하였으며, 균주 처리 5일차에 Negative Control 21%, JEF-462 91%, JEF-507 99%의 사충률을 확인하였다 (도 6a). 또한 처리 5일 후, 각각의 균주 처리구의 담배가루이 유충에서 mycosis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6b).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수탁번호 : KFCC11821P
수탁일자 : 20190212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수탁번호 : KFCC11822P
수탁일자 : 20190212

Claims (5)

  1.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
  2.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제형, 분말제형 및 입상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된,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62 (KFCC11821P)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507 (KFCC11822P) 균주를 기장, 백미, 밀기울, 조, 수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체 배양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5. 제 2항의 방제용 조성물을 해충, 이의 서식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여, 담배가루이를 방제하는 방법.
KR1020190032711A 2019-03-22 2019-03-22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KR10216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11A KR102162105B1 (ko) 2019-03-22 2019-03-22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PCT/KR2020/003749 WO2020197163A1 (ko) 2019-03-22 2020-03-19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62 또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11A KR102162105B1 (ko) 2019-03-22 2019-03-22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64A true KR20200112364A (ko) 2020-10-05
KR102162105B1 KR102162105B1 (ko) 2020-10-06

Family

ID=7260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11A KR102162105B1 (ko) 2019-03-22 2019-03-22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2105B1 (ko)
WO (1) WO2020197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28B1 (ko) 2021-09-06 2022-05-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aad16 균주와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 및 살충방법
CN114403163A (zh) * 2022-01-26 2022-04-29 合肥高尔生命健康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治大棚茄子烟粉虱的方法、及球孢白僵菌的培养方法
CN114736810B (zh) * 2022-04-22 2023-04-28 浙江泰达作物科技有限公司 高抗紫外辐射球孢白僵菌菌株及其定向诱变方法和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1856A1 (en) * 1991-01-09 1992-07-23 Wright James E Biopesticid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nsect pest control
WO2004054359A2 (en) * 2002-12-13 2004-07-01 A.M.C. Chemical S.L. Biological control agent and formulations
KR20160084968A (ko) * 2015-01-06 2016-07-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KR20180079240A (ko) * 2018-05-28 2018-07-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엠130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38B1 (ko) * 2014-06-24 2016-12-14 대한민국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CN104263655B (zh) * 2014-09-01 2017-05-24 中国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球孢白僵菌菌株scwj‑2及其应用
KR101974265B1 (ko) * 2017-04-21 2019-04-30 주식회사 팜한농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1856A1 (en) * 1991-01-09 1992-07-23 Wright James E Biopesticid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nsect pest control
WO2004054359A2 (en) * 2002-12-13 2004-07-01 A.M.C. Chemical S.L. Biological control agent and formulations
KR20160084968A (ko) * 2015-01-06 2016-07-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KR20180079240A (ko) * 2018-05-28 2018-07-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엠130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163A1 (ko) 2020-10-01
KR102162105B1 (ko)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090B2 (en) Fungal endophytes for improved crop yields and protection from pests
Bayissa et al. Selection of fungal isolates for virulence against three aphid pest species of crucifers and okra
KR102162105B1 (ko)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Ibrahim et al.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fungi from Lebanese soils against aphids, whitefly and non-target beneficial insects.
CN107418899B (zh) 一株防治红火蚁的球孢白僵菌BbL25菌株及其应用
KR101680638B1 (ko)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2251508B1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58476B1 (ko) 곤충병원성 곰팡이 보베리아 바시아나 MsW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62104B1 (ko)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350, 이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방법
KR100914451B1 (ko)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Gerson et al. A tale of three acaropathogenic fungi in Israel: Hirsutella, Meira and Acaromyces
KR101773339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Pf212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잘록병균 및 고추 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2121945B1 (ko) 곤충병원성 진균 및 이를 포함하는 살충제
KR102231341B1 (ko) 진드기에 방제효과를 갖는 Metarhizium anisopoliea JEF-214, Metarhizium anisopoliea JEF-279 또는 Metarhizium anisopoliea JEF-290, 이를 포함하는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드기 방제방법
KR102207732B1 (ko)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ft319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Abada et al. Effect of combination among bioagents, compost and soil solarization on management of strawberry Fusarium wilt
KR102342488B1 (ko)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50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붉은야자나무바구미 방제용 조성물
KR102145620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ft337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1785099B1 (ko)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20160000540A (ko) 신규미생물 이사리아 푸모소로세 fg340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20160021155A (ko)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엠130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
Sarvani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biological attributes of promising isolates of Metarhizium anisopliae collected from three agro-climatic zones of Telangana A Lalitha Sarvani, Dr. SJ Rahman, Dr. JC Sekhar and Dr. G Uma Dev
Izz-aldien et al. The potential of native Palestinian Nomuraea rileyi isolates in the biocontrol of corn earworm Helicoverpa (Heliothis) armígera
US20230076846A1 (en) Novel Beauveria Bassiana KNU-101 Strain Having Excellent Insecticidal Effect and Sporulation Potential and Use Thereof
Ghising CHARACTERIZATION OF METARHIZIUM ANISOPLIAE ISOLATED FROM ORGANIC FARMS AND ITS EFFICACY AGAINST THE INSECT PESTS UNDER LABORATORY CONTROLLED COND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