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099B1 -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099B1
KR101785099B1 KR1020150156253A KR20150156253A KR101785099B1 KR 101785099 B1 KR101785099 B1 KR 101785099B1 KR 1020150156253 A KR1020150156253 A KR 1020150156253A KR 20150156253 A KR20150156253 A KR 20150156253A KR 101785099 B1 KR101785099 B1 KR 10178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aphid
microbial
present
beauveria bassia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864A (ko
Inventor
김정준
이상엽
한지희
씨에링
윤진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0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01N63/04
    • C12R1/64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균주는 토착 미생물로서 국내 환경에 적응이 빠르고, 살충 또는 살미생물 효과를 나타내는데 신속하기 때문에,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생물 제제는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의 방제용 생물농약으로서의 용도가 우수하다. 상기 균주 또는 미생물 제제는 환경 친화적이고 안정적인 방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에, 시설하우스 재배 작물의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안전 농산물 생산증대 및 미생물 제제 개발산업의 활성화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simultaneous control of both aphid and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Beauveria bassiana Bb18 and its culture media}
본 발명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딧물(aphid)은 번식력이 매우 높고 빠른 유전적 약제 내성 발현에 의하여 방제하기 어려운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진딧물은 특히 작물을 직접 흡즙하거나,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매개체가 되어 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며, 2차적으로 그을음병까지 유발하기에, 농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의 하나이며, 국내외에서는 이러한 진딧물 방제를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딧물에 의한 피해면적은 국내 채소재배 면적의 53.8%(148,279 ha)에 이르고, 채소 재배 농가에서 살포하는 살충제의 27%가 진딧물 방제를 위해 살포되고 있는 실정으로, 특히 국내에서 진딧물 방제를 위해 이용되는 화학농약의 판매액은 2,3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원료의 대부분이 수입되어 막대한 외화가 지출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의 타겟이 되는 진딧물 중에서도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벚나무, 귤나무 등을 기주로 하며, 5월 중순 이후에는 여름 숙주인 담배, 오이, 고추 등에서 흡즙에 의한 성장 억제 피해를 유발한다. 1년간 9~23 세대를 경과 할 정도로 번식력이 강하며, 수명이 약 28.5일로 짧은 곤충이다.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도 이와 비슷한 수명이나 번식력을 가지고 있다. 여름철에는 들깨, 오이, 호박, 수박, 가지, 토마토 등에 기생하고, 월동을 위해 늦가을에는 무궁화나무, 석류나무, 부용나무, 목화 등에 알을 낳는다. 한편, 이와 같은 흡즙성 진딧물의 방제는, 접촉에 의하여 진딧물에 침입하는 진균을 사용하는 미생물 농약의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기존의 미생물 방제제는 포자가 곤충제에 접촉, 발아, 침입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살충 효과를 나타내기까지는 온,습도 등 환경의 영향에 따라 방제 효과가 불균일하여 농민들이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곤충 병원성 진균의 활용기술이 아직까지는 시장에서 성공한 경우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균핵병은 토양전염성 병해로 주로 동절기에 고추, 상추 등에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초기에는 잎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고사된다. 주로 접지부에 수침상의 갈색 병반을 형성하고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으면 솜털 모양의 흰곰팡이가 생기며, 다시 흑색의 대형 균핵이 생긴다. 병원균(Sclerotinia sclerotiorum 등)은 자낭균류에 속하며 상추나 고추를 비롯한 많은 작물을 침해한다. 또한 토양 속에서 월동하며 저온에 잘 견디고 균사는 어는점 이하에서도 자란다. 국내에 보고된 균핵병은 방제가 까다로우면서도 그 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다. 또한 방제비용도 비싸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추나 상추의 경우는 쌈이나 생채소 등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농약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고 이로 인해 화학농약의 사용도 회피되고 있어 농가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화학농약을 사용하는 방제방법은 시간이 지나면서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발생하는데다가 화학적 잔류물에 의한 환경적인 위험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으며, 신속한 살충 또는 살미생물 효과를 나타내는 토착 곤충병원성 진균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농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국내 토양에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 방제능이 우수한 신규 균주인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Beauveria bassiana Bb18)을 분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72528,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84516, [J Invertebr Pathol. 2008, 99(3):312-317], [ Bioorg Med Chem. 2003, 11(14):3115-3120] 등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72528 (발명의 명칭 : Beauveria bassiana Bb08 및 그 배양액 이용한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공개일 : 2014.06.13)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84516 (발명의 명칭 : 곤충병원성 진균 및 이의 용도, 출원인 : 그린타이드 리미티드, 공개일 : 2011.07.25.)
Shapiro-Ilan DI, Cottrell TE, Jackson MA, Wood BW. Virulence of Hypocreales fungi to pecan aphids (Hemiptera: Aphididae) in the laboratory. J Invertebr Pathol. 2008, 99(3):312-317. Pedras MS, Montaut S., Probing crucial metabolic pathways in fungal pathogens of crucifers: biotransformation of indole-3-acetaldoxime, 4-hydroxyphenylacetaldoxime, and their metabolites. Bioorg Med Chem. 2003, 11(14):3115-3120.
본 발명의 목적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진딧물(aphid) 또는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방제능이 있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에 관한 것이다.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는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균체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의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과,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균체나 이의 배양액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여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딧물(aphid) 또는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방제능이 있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이들이 포함된 미생물 제제를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의 방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바람직하게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미생물 배지에 접종한 것의 배양액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배지로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이 생장할 수 있는, PDA(potato dextrose agar), PDB(Potato Dextrose Broth), SDA(sabouraud dextrose agar), SDAY(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AD(Modified adamek's media) 액체배지, AD 고체배지 등의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DAY, AD 액체배지 또는 PD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DA는 4g/ℓ potato starch, 20g/ℓ dextrose, 15g/ℓ agar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DB는 PDA에서 agar를 혼합하지 않고 제조한 액체배지이다. AD 액체배지는 Adameks media의 기본 조성을 변형하여 20g/ℓ glucose, 20g/ℓ yeast extract, 30g/ℓ corn steep liquor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AD 고체배지는 상기 AD 액체배지에 15g/ℓ agar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SDA는 40g/ℓdextrose, 10g/ℓ mycological peptone, 15g/ℓ agar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SDAY는 SDA에 10g/ℓ yeast extract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을 미생물 제제로 사용할 때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배양 후,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균체를 함유한 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균체를 제거한 배양여액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방법은, (a) 미생물 배지에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의 포자를 접종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종액을 23~30℃에서 1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미생물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SDAY, AD 액체배지 또는 PDB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접종할 때, 초기 접종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5x105 ~ 5x106 conidia/㎖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x106 conidia/㎖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배양액에 대해 균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상기 배양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 및 이의 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가 방제할 수 있는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조팝나무진딧물, 목화진딧물, 귤소리진딧물, 딱총나무수염진딧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목화진딧물 또는 복숭아진딧물일 수 있으나, 상기 진딧물이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어 '배양액'은 미생물 생장에 적절한 배지에 일정 농도의 균주 포자를 접종하여 배양기에서 일정 기간 동안 미생물이 생장하도록 유도한 후 수득된 균체, 균체가 생장하면서 분비한 물질 및 생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혼합된 액이며, 추가로 여과과정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걸러내는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배양여액'은 상기 배양액에서 균체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 과정(filtration) 통해 제거하고, 균체가 생장하면서 분비한 물질 및 생장에 필요한 영양성분만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과정에 사용되는 것은 종이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종이필터로서 와트만 No.2 필터페이퍼(Whatman No.2 filter paper)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방제'는 일반적으로 식물 병원체 감염을 예방, 감소 또는 근절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감염에 있어서의 예방 또는 감소는 비처리된 기주식물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는 식물의 생리적 상태, 곤충의 종류, 병원체 감염 정도 및 농도, 계절, 습도, 식물의 연령 및 성장단계, 식물 처리방법에 따라 조성물의 사용량 및 살포방법을 결정하는데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에 포함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은 생육가능한 상태이어야 하며, 이는 균사(mycelial) 및 포자(spore) 형태의 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는 곤충 병원성 균주로서, 상기 용어 '곤충 병원성'은 진균류 즉 곰팡이의 포자가 숙주 곤충의 외피에 부착하여 발아하게 되면, 키티나아제(chitinase), 프로테아제(protease), 리파아제(lipase), 에스테라아제(esterase) 등을 생성하여 곤충의 큐티클 층을 뚫은 후 침입하게 되고, 이어 곤충의 체내에 증식하면서 독성 물질을 생산하여 숙주곤충을 사멸케하는 효과를 의미하며, '살충효과'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배양하여 제조한 미생물 제제는 고체 또는 액체 배양기술을 사용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온도는 23~30℃, 바람직하게는 25~28℃, 더 바람직하게는 25℃가 적정온도이다. 또한 15일간 배양하여 배양액 또는 배양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제(fillers), 용매, 부형제, 계면활성제(surfactants), 현탁제(suspending agents), 스프래더(spreaders), 부착제(adhesives), 소포제, 분산제, 습윤제, 드리프트 감소제(drift reducitng agents), 보조제(suxiliaries), 보강제(adjuvants)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농축물, 용액, 스프레이, 에어로졸, 침수용(immersion baths), 침지(dips), 에멀젼(emulsions), 현탁 농축액, 겔, 과립(granules) 등의 타입으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상기 미생물 제제 단독 또는 다른 농업용 제제, 농약(pesticides), 살충제(insecticides), 살응애제(acaracides), 살진균제(본 발명의 진균에 무해한 진균제), 살박테리아제, 제초제, 항생제, 항균제, 살선충제(nematocides), 쥐약(rodenticides), 곤충병원체(entomopathogens), 페로몬(pheromones), 유인제(attractants), 식물성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식물 호르몬(plant hormones), 곤충성장 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s), 화학불임제(chemosterilants), 미생물 작물보호제(microbial pest control agents), 방충제(repellents), 바이러스, 식자극제(phagostimulents), 식물 영양제, 식물비료 및 생물학적 방제제와 함께 배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특정 예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균주는 토착 미생물로서 국내 환경에 적응이 빠르고, 신속한 살충 또는 살진균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생물 제제는 진딧물 또는 균핵병균의 방제효과가 우수한 생물농약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균주 또는 미생물 제제는 환경 친화적이고 안정적인 방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에, 시설하우스 재배 작물의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안전 농산물 생산증대 및 미생물 제제의 개발산업의 활성화에도 유용하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72528에 본 발명자가 분리해낸 뷰베리아 바시아나 Bb08 균주(KACC93163P)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뷰베리아 Bb18 균주가 상기 선행문헌의 균주보다 진딧물 방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 외에,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84516, [J Invertebr Pathol. 2008, 99(3):312-317], [ Bioorg Med Chem. 2003, 11(14):3115-3120] 등의 선행문헌에도 뷰베리아 바시아나 균주들이 진딧물, 균핵병균 등에 방제효과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들의 균주는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와는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전혀 다른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기에, 상기 선행문헌의 기술들은 본 발명과는 다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08 균주(KACC93163P) 포자 현탁액 희석액의 진딧물 살충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샘플 표시에서, 'Bb18(10*8)'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 1x108 conidia/㎖ 투여군, 'Bb18(10*7)'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 1x107 conidia/㎖ 투여군, 'Bb18(10*6)'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 1x106 conidia/㎖ 투여군을 나타내고, D1~D6은 각각 살충율을 확인한 1~6일의 날짜를 나타낸다. 도 1A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율, 도 1B는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 액체배양액의 진딧물 살충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샘플 표시에서, 'Bb18(10*8)'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희석액 1x108 conidia/㎖ 투여군, 'Bb18(10*7)'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희석액 1x107 conidia/㎖ 투여군, 'Bb18(10*6)'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희석액 1x106 conidia/㎖ 투여군을 나타내고, D1~D6은 각각 살충율을 확인한 1~6일의 날짜를 나타낸다. 도 2A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율, 도 2B는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율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의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AD 액체배지 배양액을 균핵병균이 있는 PDA 배지에 배양하여 확인).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토양으로부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분리 및 동정>
실시예 1-1. 토양으로부터 균주의 분리
농경지 주변 야산에서 수집된 토양에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유충을 넣어, 토양에 존재하는 진균에 감염되도록 14일 동안 방치한 다음, 감염된 유충을 선별하여, 이에 대해 인공배지인 PDA(Potato Dextrose Agar)를 이용하여 얻어진 균주들을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균은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균을 보존하고, 이 균들 중, 항균활성이 큰 균주들을 선별하여(실시예 2 및 3의 방법으로 검정) 통상적인 균주의 분리 동정법에 따라 균주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토양에서 분리된 균주의 동정
실시예 1-1의 방법대로 토양에서 순수 분리된 진균 중, 항균활성이 가장 큰 균주를 현미경 관찰에 의해 형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 균주의 DNA를 추출하여 ITS 분석을 수행하였다([주]제노셀). 그 결과, 최종적으로 상기 균주가 Beauveria bassiana와 유전학적 정보가 100% 일치하고, 하기의 서열번호 1의 16S rRNA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확인하여,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이라 명명하여 기탁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 - 서열번호 1:
TGCGGAGGGATCATTACCGAGTTTTCAACTCCCCAACCCTTCTGTGAACCTACCTATCGTTGCTTCGGCGGACTCGCCCCAGCCCGGACGCGGACTGGACCAGCGGCCCGCCGGGGACCTCAAACTCTTGTATTCCAGCATCTTCTGAATACGCCGCAAGGCAAAACAAATGAATCAAAACTTTCAACAACGGATCTCTTGGCTCTGGCATCGATGAAGAACGCAGCGAAATGCGATAAGTAATGTGAATTGCAGAATCCAGTGAATCATCGAATCTTTGAACGCACATTGCGCCCGCCAGCATTCTGGCGGGCATGCCTGTTCGAGCGTCATTTCAACCCTCGACCTCCCCTTGGGGAGGTCGGCGTTGGGGACCGGCAGCACACCGCCGGCCCTGAAATGGAGTGGCGGCCCGTCCGCGGCGACCTCTGCGTAGTAATACAGCTCGCACCGGAACCCCGACGCGGCCACGCCGTAAAACACCCAACTTCTGAACGTTGACCTCGAATCAGGTAGGACTACCCGCTGAACTTAAGCATATCT
한편,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는 하기와 같은 생물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최소생육온도는 5℃이고, 최대생육온도는 38℃이다. 바람직한 생육 또는 배양온도는 23~30℃, 더 바람직하게는 25~28℃, 가장 바람직하게는 25℃가 적절하다. 균주의 활성을 가장 잘 유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배양시간은 15일간이다. 또한, pH 4~13 범위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최적 pH는 5~6이다. 상기 균주는 PDA에 접종하여 2~3일간 배양시, 흰색을 보이다 점차 유백색을 띈다.
<실시예 2.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진딧물 방제효과 확인>
실시예 2-1. PDA 배양 포자의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살충율
실시예 1에서 확인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PDA 배지에 접종하고 25℃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여 형성된 포자를 멸균된 0.05% Tween 80 용액에 넣어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포자 현탁액을 헤모사이토메터를 이용하여 포자수를 계수하고 포자농도가 각각 1x106, 1x107, 1x108 conidia/㎖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과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의 2~4령 약충을 페트리디쉬(직경 5.5cm)에 담겨있는 직경 5cm의 배추와 오이 잎 조각에 붓을 이용하여 각각 옮긴 후, 상기 포자 현탁액의 희석액 1㎖을 분무기를 이용하여 살포하였다. 이 후, 25℃, 80~90%의 습도를 유지하는 플라스틱 케이지에 상기 약충이 들어있는 페트리디쉬를 유지하면서 각 날짜별로 진딧물 생존 여부를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샘플 표시에서, 'Bb18(10*8)'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 1x108 conidia/㎖ 투여군, 'Bb18(10*7)'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 1x107 conidia/㎖ 투여군, 'Bb18(10*6)'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 1x106 conidia/㎖ 투여군을 나타내고, D1~D6은 각각 살충율을 확인한 1~6일의 날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A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율, 도 1B는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율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을 처리했을 때, 무처리군(control) 대비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살충율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72528에 개시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08 균주(KACC93163P)(본 발명자가 분리해 냄)의 포자 현탁액의 진딧물 살충효과와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포자 현탁액 희석액이 갖는 진딧물 살충효과를 비교할 때, 상기 선행문헌의 균주에 비해 본 발명의 균주가 현저하게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2. AD 배양액의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살충율
실시예 1에서 확인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PDA 배지에 접종하고 25℃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여 형성된 포자를 100㎖(1x106 conidia/㎖)의 AD 액체배지에 접종하였다. 이 후, 25℃, 200rpm의 조건으로 배양하면서 배양시작일로부터 3일에 배양액을 수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수거된 균주 배양액의 균주 농도가 1x106, 1x107, 1x108 conidia/㎖이 되도록 배양전의 배지로 희석하고, 이 희석액을 각각 1㎖씩 취하여 진딧물 방제능 검정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2~4령 약충을 페트리디쉬(직경 5.5cm)에 담겨있는 직경 5cm의 배추와 오이 잎 조각에 붓을 이용하여 각각 옮겨 주고, 각 배양액의 희석액 1㎖을 살포하였다. 이 후, 25℃, 80~90%의 습도를 유지하는 플라스틱 케이지에 상기 약충이 들어있는 페트리디쉬를 유지하면서 각 날짜별로 진딧물 생존 여부를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샘플 표시에서, 'Bb18(10*8)'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희석액 1x108 conidia/㎖ 투여군, 'Bb18(10*7)'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희석액 1x107 conidia/㎖ 투여군, 'Bb18(10*6)'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희석액 1x106 conidia/㎖ 투여군을 나타내고, D1~D6은 각각 살충율을 확인한 1~6일의 날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A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율, 도 2B는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율을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배양액을 처리했을 때, 배양액을 처리한 것 모두에서 무처리군(control) 대비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살충율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3.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균핵병균 방제효과>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가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방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SDAY에서 3일간 배양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조각과 균핵병균 조각(직경 0.7cm)을 새로운 SDAY 배지에 2cm 간격으로 두고 7일간 배양하여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또, AD 액체배지에서 3일 간 배양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의 배양액 10㎕(1x106 conidia/㎖)를 떨어뜨린 페이퍼 디스크와 PDA에서 3일 배양한 균핵병균 조각(직경 0.7cm)을 새로운 PDA 배지에 2cm 간격으로 두고 7일간 배양하여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하기 표 1 및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가 균핵병균에 대한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항균 균주
Zone of inhibition (mm)
SDAY 배지에서 배양하고
SDAY에서 항균력을 확인한 것
AD 액체배지에서 배양하고 PDA 배지에서 항균력을 확인한 것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5.9 ± 0.5

5.2 ± 0.3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3242P 20151102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omposition for simultaneous control of both aphid and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Beauveria bassiana Bb18 and its culture media <130> P2015-0234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43 <212> DNA <213> Beauveria bassiana <400> 1 tgcggaggga tcattaccga gttttcaact ccccaaccct tctgtgaacc tacctatcgt 60 tgcttcggcg gactcgcccc agcccggacg cggactggac cagcggcccg ccggggacct 120 caaactcttg tattccagca tcttctgaat acgccgcaag gcaaaacaaa tgaatcaaaa 180 ctttcaacaa cggatctctt ggctctggca tcgatgaaga acgcagcgaa atgcgataag 240 taatgtgaat tgcagaatcc agtgaatcat cgaatctttg aacgcacatt gcgcccgcca 300 gcattctggc gggcatgcct gttcgagcgt catttcaacc ctcgacctcc ccttggggag 360 gtcggcgttg gggaccggca gcacaccgcc ggccctgaaa tggagtggcg gcccgtccgc 420 ggcgacctct gcgtagtaat acagctcgca ccggaacccc gacgcggcca cgccgtaaaa 480 cacccaactt ctgaacgttg acctcgaatc aggtaggact acccgctgaa cttaagcata 540 tct 543

Claims (5)

  1. 진딧물(aphid) 및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동시방제능이 있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
  2. 삭제
  3. 제1항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의 균체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딧물(aphid) 및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동시방제를 위한 미생물 제제.
  4. (a) 미생물 배지에 제1항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Beauveria bassiana Bb18, KACC93242P)의 포자를 접종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종액을 23~30℃에서 1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
  5. 제3항의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여 진딧물(aphid) 및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을 동시방제하는 방법.
KR1020150156253A 2015-11-07 2015-11-07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178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253A KR101785099B1 (ko) 2015-11-07 2015-11-07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253A KR101785099B1 (ko) 2015-11-07 2015-11-07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864A KR20170053864A (ko) 2017-05-17
KR101785099B1 true KR101785099B1 (ko) 2017-10-12

Family

ID=5904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253A KR101785099B1 (ko) 2015-11-07 2015-11-07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310A (ko) * 2022-10-21 202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및 살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331r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368B1 (ko) * 2008-12-31 2012-07-02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보베리아 바시아나 kk5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진딧물을 방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368B1 (ko) * 2008-12-31 2012-07-02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보베리아 바시아나 kk5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진딧물을 방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864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098B1 (ko) 이사리아 자바니카 Pf185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잘록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1836007B1 (ko) 해충방제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sd4-2 균주
CN102363750B (zh) 一种杀虫真菌及其应用
CN107418899B (zh) 一株防治红火蚁的球孢白僵菌BbL25菌株及其应用
KR101680638B1 (ko)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2162105B1 (ko)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KR100914451B1 (ko)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El-Hindi Safe approach to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Tomato Leafminer Tuta absoluta by entomopathogenic fungi Beauveria bassiana isolates from Gaza Strip
KR101773339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Pf212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잘록병균 및 고추 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1444214B1 (ko) Beauveria bassiana Bb08 및 그 배양액 이용한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CN112553086B (zh) 一种淡紫紫孢菌菌株及其在防治黄曲条跳甲方面的应用
KR102126582B1 (ko)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3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총채벌레 및 식물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1896932B1 (ko)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317 또는 이를 함유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Deka et al. Biocontrol prospects of entomopathogenic fungi for management of mustard aphid (Lipaphis erysimi Kalt.) on rapeseed-mustard
KR101785099B1 (ko)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Anitha et al. Bio-effienc of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METSCH) against the tea mosquito bug, Helopeltis theivora (water house) and the red spider mite, Oligonychus coffeae (NIETNER) infecting tea in south India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07732B1 (ko)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ft319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0791983B1 (ko) 아쓰로보트리스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기생성선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
CN110235662B (zh) 一种桨角蚜小蜂协同爪哇虫草防治烟粉虱的方法
Swathy et al. Biological control effect of Trichoderma harzianum (Hypocreales: Hypocreaceae) against phytopathogens
KR101680639B1 (ko) 신규미생물 이사리아 푸모소로세 fg340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Annamalai et al. Pathogenicity of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and Lecanicillium lecanii Zimmerman against onion thrips, Thrips tabaci Lindeman
KR102145620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ft337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20240057093A (ko)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및 노제마병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SDTu2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